[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50371B1 - 단열재 부착 탈형 강판 볼팅 조립 장치 - Google Patents

단열재 부착 탈형 강판 볼팅 조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371B1
KR101850371B1 KR1020160028937A KR20160028937A KR101850371B1 KR 101850371 B1 KR101850371 B1 KR 101850371B1 KR 1020160028937 A KR1020160028937 A KR 1020160028937A KR 20160028937 A KR20160028937 A KR 20160028937A KR 101850371 B1 KR101850371 B1 KR 101850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bolt
insulating material
steel plate
fasten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8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5814A (ko
Inventor
김명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덕신하우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덕신하우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덕신하우징
Priority to KR1020160028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371B1/ko
Publication of KR201701058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58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37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01Article feeders for assembl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23P19/06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10Aligning parts to be fitt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27Three-dimensional reinforcements composed of a prefabricated reinforcing mat combined with reinforcing elements protruding out of the plane of the mat
    • E04C5/0631Reinforcing mats combined with separate prefabricated reinforcement cages or gi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재 부착 탈형 강판에 스페이서를 소정 간격마다 볼팅하여 지지하는 단열재 부착 탈형 강판 볼팅 조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직렬로 대기된 다수의 스페이서 상에 데크 플레이트용 강판/단열재에 끼워진 체결될 볼트가 이송 정지되면 체결될 스페이서의 체결홈과 체결될 볼트가 자동으로 위치 정렬되어 맞춰지는 동시에 체결될 볼트를 수직으로 세워 볼팅 효율을 높인 단열재 부착 탈형 강판 볼팅 조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열재 부착 탈형 강판 볼팅 조립 장치{bolting assembling apparatus of stripping steel plate with insulating material}
본 발명은 단열재 부착 탈형 강판에 스페이서를 소정 간격마다 볼팅하여 지지하는 단열재 부착 탈형 강판 볼팅 조립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직렬로 대기된 다수의 스페이서 상에 데크 플레이트용 강판/단열재에 끼워진 체결될 볼트가 이송 정지되면 체결될 스페이서의 체결홈과 체결될 볼트가 자동으로 위치 정렬되어 맞춰지는 동시에 체결될 볼트를 수직으로 세워 볼팅 효율을 높인 단열재 부착 탈형 강판 볼팅 조립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탈형 강판 볼팅 조립 방법으로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특허문헌 1,2가 공지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픽커(940)가 스페이서공급라인(930)의 출구에 도달한 스페이서(3)를 하나씩 집어서 체결 위치로 이동시키고 볼트(4) 체결이 완료될 때까지 붙잡고 있다.
즉, 픽커(940)가 스페이서(3)를 일일이 체결 위치로 찾기 위해서는 체결위치마다 픽커(940)를 감지하는 센서가 많이 필요하고, 픽커(940)의 이동 거리도 가변적이어서 그 가변 거리를 정밀하게 제어해야 하는 등으로 인해, 스페이서(3)의 체결홈을 거푸집널(1)의 볼트 체결 위치로 맞추는 작업이 매우 복잡하다. 거푸집널(1)은 본 발명의 강판에 해당한다.
한편, 특허문헌 2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스페이서공급부는 자재로딩부의 일측면(좌측 또는 우측)에서 스페이서를 공급하여 거푸집널의 하부에 스페이서를 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단열재가 추가되는 데크 플레이트의 경우 단열재의 하부면에 스페이서를 밀착시키게 된다.
스페이서로딩블럭(410)은 자재로딩부의 일측면에 좌우 방향으로 설치되어 거푸집널(강판)의 하부에 부착될 스페이서를 적재하여 좌우로 왕복 운동을 하여 스페이서를 조립 위치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스페이서적재부(420)는 스페이서로딩블럭(410)의 상부에 결합되고 스프링(421)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어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스페이서로딩블럭(410)의 상부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스페이서적재부(420)는 외력이 작용하면 상승하였다가 외력이 제거되면 스프링(421)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하강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스페이서적재부(420)의 상부면에는 스페이서를 적재하는 스페이서적재홈(422)이 구비되는데, 다수 개의 스페이서를 동시에 공급할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 간격과 패턴으로 스페이서적재홈이 다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스페이서이송실린더(430)는 스페이서로딩블럭(410)을 이동시켜 거푸집널의 하부 조립 위치로 스페이서를 공급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스페이서로딩실린더(440)는 스페이서이송실린더(430)에 의하여 거푸집널의 하부 조립 위치로 이동된 스페이서로딩블럭(410)의 상부에 결합된 스페이서적재부(420)를 상부로 밀어올려 스페이서적재부(420)의 스페이서적재홈(422)에 적재된 스페이서를 거푸집널의 하부면에 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서는 스페이서적재홈(422)이 형성되어서, 스페이서를 일일이 픽커로 날라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스페이서적재홈(422)에 적재된 스페이서가 거푸집널의 하부 조립 위치로 맞추기 위해 볼트구멍확인센서로 거푸집널에 형성된 볼트 구멍의 위치를 감지하여 스페이서 적재홈(422)를 좌우로 왕복운동시켜야 해서 그 장치가 매우 복잡하다.
한편, 특허문헌 1,2에서는 스페이서공급라인과 픽커가 다수 개 병렬적으로 설치되어 동시에 체결작업이 한다고 기재되어 있지만, 각 병렬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거푸집널의 볼트구멍이 형성된 열과 열 사이의 간격(피치)이 미세하게 바뀌는 경우 예컨대 거푸집널의 사이즈에 따라 다소 피치의 간격이 달라지는 경우 대체하기 힘들다.
특허문헌 1 : 한국등록특허 제10-1356720호 특허문헌 2 : 한국등록특허 제10-1481951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직렬로 대기중인 스페이서 상에 데크 플레이트 강판/단열재가 이송 정지되면 데크 플레이트 강판/단열재에 끼워진 볼트가 대기중인 스페이서의 체결홈 상에 간단히 자동으로 정렬 맞춰지는 동시에 볼트가 신속 정확히 볼팅되게 하는 단열재 부착 탈형 강판 볼팅 조립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된 단열재 부착 탈형 강판 볼팅 조립 장치는, 데크 플레이트용 단열재와 데크 플레이트용 강판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된 체결될 볼트를 볼팅한 단열재 부착 탈형 강판 볼팅 조립 장치로서, 상기 체결될 볼트의 돌출 하측을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두 개의 볼트직립판; 상기 두 개의 볼트직립판을 접근/퇴거 및 승강시키는 볼트직립판 구동부; 상기 두 개의 볼트직립판 사이 아래에 배치되며, 다수의 스페이서가 공급되어 직렬로 대기하는 스페이서 대기부; 상기 대기하는 스페이서를 상승시키는 스페이서 상승부; 상기 체결될 볼트를 볼팅하여 상기 상승한 스페이서를 상기 데크 플레이트용 단열재에 배치시키는 드라이버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기재된 단열재 부착 탈형 강판 볼팅 조립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볼트직립판 각각은 상하 겹치도록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두 개의 볼트직립판에는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볼트의 돌출 하부 양측이 수용되는 <자 홈과 >자 홈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기재된 단열재 부착 탈형 강판 볼팅 조립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대기부는 병렬로 배치되는 제1열 스페이서 대기부와 제2열 스페이서 대기부로 구성되되, 상기 제1열 스페이서 대기부와 상기 제2열 스페이서 대기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기재된 단열재 부착 탈형 강판 볼팅 조립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열 스페이서 대기부가 고정인 경우,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제2열 스페이서 대기부를 가변시켜 간격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기재된 단열재 부착 탈형 강판 볼팅 조립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열 스페이서 대기부의 일측에는 제1열 스페이서 공급부가 이어지고, 상기 제2열 스페이서 대기부의 일측에는 관절형 제2열 스페이서 공급부가 이어진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기재된 단열재 부착 탈형 강판 볼팅 조립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관절형 제2열 스페이서 공급부는 다수의 마디부로 형성되며, 상기 마디부 각각에 개별형 간격조절부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기재된 단열재 부착 탈형 강판 볼팅 조립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상승부는 상기 대기하는 스페이서 중 체결될 스페이서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공급된 다수의 스페이서를 직렬로 대기시킴으로써, 데크 플레이트용 강판 및 단열재에 삽입된 볼트가 대기중인 스페이서의 체결홈 또는 대기중인 스페이서 중 체결될 스페이서의 체결홈 상에 자동으로 간단히 위치가 맞춰진다.
즉, 동일한 스펙(체결 거리)을 갖는 스페이서끼리 서로 맞닿게 직렬로 대기시키면 대기하는 스페이서 간의 빈 공간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데크 플레이트용 강판 및 단열재에 끼워진 볼트를 대기중인 스페이서의 체결홈 위에 놓기만 하면 자동으로 위치가 맞춰져서, 종래와 같이 데크 플레이트용 강판/단열재 또는 스페이서를 체결 위치를 맞추기 위해 강판/단열재의 진행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이동시키거나 체결을 위한 구멍을 찾기 위한 센서 등이 불필요하다.
또한, 데크 플레이트용 강판/단열재의 관통공에 끼워지는 체결될 볼트의 길이는 적어도 강판/단열재의 두께보다 길어야 하고 특히 단열재의 두께는 강판에 비해 매우 두꺼워 체결될 볼트의 길이도 그에 따라 매우 길어지게 되어, 끼울 때 볼트가 수직으로 바로 서지 않는 경우 이를 바로 잡아줌으로써 스페이서의 볼팅 작업이 신속 정확히 이루어진다.
특히, 하나의 판에 체결될 볼트의 수직을 잡아주는 홈을 다수 형성함으로써, 한 번의 구동으로 1개의 열에 있는 체결될 볼트 모두를 수직으로 잡을 수 있어 작업속도가 신속하다.
한편, 직렬로 대기하는 스페이서를 병렬로 배치되는 제1열과 제2열 사이의 간격(피치)을 조절하여 데크 플레이트용 강판/단열재의 관통공 피치가 바뀌어도 손쉽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제1열과 제2열 중 어느 하나를 고정시키면, 고정되지 않은 다른 하나만 가변적으로 조절하면 되는데, 특히 직렬로 대기하는 스페이서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4열인 다수의 경우에는 고정인 제2열에 대해 제1열, 제3열 및 제4열을 가변시켜면 전체(제1~4열)를 가변킬 때보다 적은 양으로 신속 정확히 피치(간격)를 맞출 수 있다.
도 1은 종래 볼트자동피딩유닛 및 스페이서자동피딩유닛의 정면도(전방에서 후방을 바라본 구조)로서 지지프레임의 구조는 생략한 도.
도 2는 다른 종래의 스페이서공급부를 도시한 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부착 탈형 강판 볼팅 조립 방법에 의해 생산된 데크 플레이트용 강판/단열재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 공급 라인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
도 4b는 도 4a에서 두 개의 볼트직립판을 제거한 평면도.
도 4c는 도 4a의 두 개의 볼트직립판 부위를 확대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5는 4a 및 의 굴곡형 스페이서 공급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6a~도 6g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부착 탈형 강판 볼팅 조립 방법의 순서를 전후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7a~도 7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부착 탈형 강판 볼팅 조립 방법의 순서를 좌우방향에서 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는데, 종래의 것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부착 탈형 강판 볼팅 조립 방법에 의해 생산된 데크 플레이트용 강판/단열재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 공급 라인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에서 분할형 직립작업판을 제거한 평면도이고, 도 4c는 도 4a의 분할형 직립작업판 부위를 확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5는 4a 및 의 굴곡형 스페이서 공급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a~도 6g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부착 탈형 강판 볼팅 조립 방법의 순서를 전후방향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7a~도 7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부착 탈형 강판 볼팅 조립 방법의 순서를 좌우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먼저 도 3의 데크 플레이트용 강판/단열재 조립체(10)의 스펙을 설명한다.
데크 플레이트용 강판/단열재 조립체(10)는 강판(11)과 단열재(17), 단열재(17)의 일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13)와, 강판(11)의 타면에서 볼팅하여 스페이서(13)를 단열재(17)에 지지시키는 볼트(15)로 구성되어 있다.
강판(11)은 아연도금 강판으로서 열(폭)에 비해 행(길이)이 긴 형태를 취한다.
강판(11)의 1열 선상에는 1개, 2개 또는 3개의 스페이서(13)가 지지되지만, 실질적으로는 5개의 스페이서(13)가 거리(d)에 따라 직렬로 맞대어 배열된 것처럼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직렬이란 1열(a)에서 제1~5행(A~E)의 스페이서를 일렬로 쭉 맞대어 밀착시킨 상태로 동일한 거리를 유지한다(d=d1=d2=d3=d4=d5). 배터리를 직렬로 접속한 형태라고 보아도 무방하다.
도 3에서 강판(11)의 1열에는 3개의 스페이서(13)가 징검다리 형태로 일정한 거리(d)를 유지하면서 배열되어 있다.
즉, 1열(a)의 제1행(A), 제3행(C) 및 제5행(E)에는 스페이서(13)가 설치되고, 제2행(B) 및 제4행(D)에는 스페이서(13)의 거리와 동일한 거리를 둔 채 비워져 있다.
2열(b)에는 제3행(C)에만 스페이서(13)가 설치되고, 제3열(c)에는 제1행(A) 및 제5행(E)에만 스페이서(13)가 설치되어 있다.
2열(b)과 3열(c)이 계속 반복되는 형태로 하다가 강판(11)의 맨 끝 열에서는 처음의 1열(a)과 마찬가지로 제1행(A), 제3행(C) 및 제5행(E)에 스페이서(13)가 설치되는 것으로 완료된다.
따라서, 각 열에는 반드시 1개 이상의 스페이서(13)가 설치되고, 제1,3,5행(A,C,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스페이서(13)가 설치되고, 제2,4행(B,D)에는 스페이서(13)가 전혀 설치되지 않는 배열을 이룬다.
이러한 행과 열에 따른 스페이서(13)의 배열에 맞춰서 강판(11)에도 같은 배열로 관통공(12)도 천공 형성되어 진다.
마찬가지로, 단열재(17)에도 강판(11)의 관통공(12)과 대응되는 관통공(18)이 형성되어 있다.
단열재(17)는 강판(11)의 두께에 비해 매우 두꺼워서, 단열재(17)와 강판(11)은 따로 천공하는 게 좋다.
또한, 단열재(17)는 그 작업여건에 따라 그 두께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단열재(17)의 관통공(18) 깊이에 맞춰서 준비된 볼트(15)가 볼팅될 위치에 미리 끼워진 채 공급된다.
이와 같이, 각 열에는 스페이서(13)의 거리(d)로 소정간격마다 둘 수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스페이서(13)를 슬라이딩으로 공급하여 직렬로 대기시키기만 해도 관통공(12)(18)이 스페이서(13)의 몸체(13b) 체결홈(13b')에 자동으로 위치 정지하게 된다.
예컨대, 후술될 대기중인 스페이서(13) 위에 도 3의 포인트(P1)과 포인트(P2)를 사이에 맞추도록 강판/단열재(11/17)의 이송 및 정지시키면, 강판/단열재(11/17)의 체결된 볼트(15)와 스페이서(13)의 체결홈(13b') 전체가 각 열 및 행 내에 들어와서 자동으로 볼팅될 위치를 손쉽게 맞추게 된다.
스페이서(13)는 트러스 거더(미도시)의 하현재(미도시)가 용접되는 브릿지(13a)와, 브릿지(13a)의 양단에서 인서트 사출되는 몸체(13b)로 구성되어 있다.
즉, 트러스 거드(미도시)는 래티스에 용접된 상현재와 하현재로 이루어진 1유닛으로서, 각 유닛이 제1행(A), 제3항(C) 및 제5항(E)에 각각 용접 고정되어 하나의 강판(11)에 3유닛의 트러스거더가 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데크 플레이트용 강판/단열재 조립체(10)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도 4a 내지 도 7d로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예에서는 도 4a와 같이 제1~4열(a~d)을 1볼팅 유닛으로 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단열재 부착 탈형 강판 볼팅 조립 장치는 도 4a 내지 도 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판/단열재(11/17)를 중심으로 아래에는 스페이서 공급라인(100), 위에는 볼트(15)의 체결을 위한 드라이버 유닛(200)이 강판/단열재(11/17)의 진행방향(좌우방향)에 대해 직각(전후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스페이서 공급라인(100)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4열 스페이서 공급라인(100a~100d)이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있다.
제1~4열 스페이서 공급라인(100a~100d)은 스페이서(13)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이동시키는 채널단면의 홈이 쭉 이어지는 레일 형태이다.
마찬가지로 드라이버 유닛(200)도 스페이서 공급라인(100)에 따라 제1~4열 드라이버 유닛이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어 있다.
제1~4열 스페이서 공급라인(100a~100d)은 강판/단열재(11/17)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1~4열 스페이서 대기부(110a~110d)와, 제1~4열 스페이서 대기부(110a~110d)로 스페이서(13)를 공급하는 제1~4열 스페이서 공급부(130a~130d)로 구성되어 있다.
제1~4열 스페이서 대기부(110a~110d) 각각은 도 4b와 같이 병렬로 피치(p) 간격에 따라 배치되어 있다.
제1~4열 스페이서 대기부(110a~110d) 각각은 상면이 개방된 홈을 구성하는 직선형 가이드 홈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4열 스페이서 대기부(110a~110d) 각각은 도 7c와 같이 체결될 스페이서(13)를 상승 가능하게 분할되어 있다.
예컨대, 제1~4열 스페이서 대기부(110a~110d) 각각은 5개의 스페이서(13)가 직렬로 놓여있기 때문에 직선형 가이드 홈부로 되어 있다.
체결될 스페이서(13)의 상승 및 복귀는 제1~4열 스페이서 대기부(110a~110d)의 분할 홈부의 밑면에 설치된 스페이서 상승부에 의해 행해진다.
스페이서 상승부는 제1~4열 스페이서 대기부(110a~110d)의 분할 홈부의 밑면에 고정된 피스톤(101)과, 이 피스톤(101)을 왕복운동시키는 실린더(미도시)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4열 스페이서 대기부(110a~110d)는 제1~4열 직선형 가이드 홈부로 이루어짐으로써, 스페이서(13)가 각 열에 5개 채워질 때까지 슬라이딩 방식으로 밀어 넣기만 하면 직렬로 배열 대기되어, 강판/단열재(11/17)의 체결될 볼트(15)와의 위치 맞춤이 자동으로 행해지게 된다.
제1~4열 스페이서 대기부(110a~110d)는 드라이버 유닛(200)과 함께 강판/단열재 이송 라인의 프레임(미도시)에 설치되게 된다.
한편, 강판/단열재(11/17)의 사이즈가 달라지는 경우 각 열과 열 사이의 간격 즉 피치(p1~pn)가 조절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피치(p)의 조절을 위해서는 제1~4열 스페이서 대기부(110a~110d)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140a,140c,140d)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간격조절부(140a,140c,140d)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2열 스페이서 대기부(110b)가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이다.
간격조절부(140a,140c,140d)는 통상의 기술로서, 도 4와 같이 프레임(미도시)에 설치된 제1,3,4실린더(141a,141c,141d)와, 제1,3,4열 스페이서 대기부(110a,110c,110d) 각각에 설치된 제1,3,4피스톤(143a,143c,143d)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프레임(미도시)에 고정된 제1,3,4실린더(141a,141c,141d)에 대해 가동인 제1,3,4피스톤(143a,143c,143d)이 움직임에 따라 제1,3,4열 스페이서 대기부(110a,110c,110d) 각각이 전후로 움직여 피치를 조절하게 된다.
제1,3,4피스톤(143a,143c,143d)의 왕복운동은 강판(11)의 진행방향인 좌우로 행하게 배치되면 된다.
제1,3,4실린더(141a,141c,141d)와 제1,3,4피스톤(143a,143c,143d)으로 제1,3,4열 스페이서 대기부(110a,110c,110d)를 동작시킬 때 제1,3,4열 스페이서 대기부(110a,110c,110d)가 프레임(미도시)에 레일 또는 가이드 봉 형태로 안내 지지되어 움직이게 설치하는 구조는 통상의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물론, 제1,3,4실린더(141a,141c,141d)와 제1,3,4피스톤(143a,143c,143d) 대신에 각각의 리니어 모터(또는 서보 모터)로 제1,3,4열 스페이서 대기부(110a,110c,110d) 각각을 동작시킬 수도 있다.
간격조절부(140a,140c,140d)가 제1,3,4열 스페이서 대기부(110a,110c,110d) 각각에 개별적으로 움직이게 설치하여도 좋지만, 고정된 기준부를 두어 그 기준에 대해 피치를 조절하는 게 피치량을 최소한으로 움직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열 스페이서 대기부(110b)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좌우로 움직여 피치(간격)를 조절하는 대상은 제1,3,4열 스페이서 대기부(110a,110c,110d)이다. 물론 피치량은 매우 미소하다.
이와 같이 피치(p) 조절을 위해 제1,3,4열 스페이서 대기부(110a,110c,110d)가 좌우로 움직이기 때문에, 제1~4열 스페이서 공급부(130a~130d)도 여기에 대응되게 설계되어야 한다.
즉, 제1~4열 스페이서 공급부(130a~130d)는 크게 제1~4열 스페이서 도입 공급부(140a~140d)와, 제1~4열 스페이서 중간 공급부(150a~150d)로 구성되어 있다.
제1~4열 스페이서 도입 공급부(140a~140d)는 제1~4열 스페이서 대기부(110a~110d)와 전후 같은 선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4열 스페이서 도입 공급부(140a~140d)는 스페이서가 제공되는 충전부에서 계속 유입되기 때문에 서로 결합되어 있어, 제1~4열 스페이서 대기부(110a~110d)와 달리 고정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제1~4열 스페이서 도입 공급부(140a~140d)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1~4열 스페이서 대기부(110a~110d) 각각이 좌우로 움직여 같은 선상에 있지 않을 경우에는 스페이서(13)가 연속적으로 슬라이딩 공급되지 않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1~4열 중간 스페이서 공급부(150a~150d) 중 제1,3,4열 스페이서 중간 공급부(150a,150c,150d)는 도 5와 같이 관절형 제1,3,4열 스페이서 중간 공급부(150a,150c,150d)로 구현될 수 있다.
제2열 스페이서 중간 공급부(150b)는 제2열 스페이서 대기부(110b) 및 제2열 스페이서 도입 공급부(140b)와 같은 선상에 있게 고정되어 있다.
관절형 제1,3,4열 스페이서 중간 공급부(150a,150c,150d) 각각은 다수의 마디부(151~154)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다수의 마디부(151~154)는 4개의 마디부(151~154)로 이루어져 있다.
마디부(151~154)의 밑면에는 개별적으로 좌우 이동시키는 개별형 간격조절부(160)가 설치되어 있다.
즉, 개별형 간격조절부(160)는 가이드 레일(161)과, 마디부(151~154)의 밑면에 설치되어 가이드 레일(161~164)에 끼워지는 레일 홈(미도시)와, 이를 제어하는 서보모터(미도시)로 이루어진다.
관절형 제3열 스페이서 중간 공급부(150c)의 마디부(151~154)와 관절형 제4열 스페이서 중간 공급부(150d)의 마디부(151~154)는 서로 같은 가이드 레일(161~164)에 설치되어 있고, 관절형 제1열 스페이서 중간 공급부(150a)의 마디부(151~154)는 개별적 가이드 레일(161~164)에 설치되어 있다.
개별형 간격조절부(160)는 통상의 리니어 운동과 유사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4a와 같이 제1~4열 스페이서 대기부(110a~110d) 위에는 분할형 직립작업판(170a~170d)이 각각 대응되게 배치되어 있다.
분할형 직립작업판(170a~170d) 각각은 체결될 볼트(15)의 돌출 하부를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접근함에 따라 체결될 볼트(15)를 수직으로 세우는 작업을 행하는 판이다.
즉, 분할형 직립작업판(170a~170d) 각각은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직립작업판(171)(173)이 서로 마주보고 있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좌우 직립작업판(171)(173)은 상하 겹치도록 마주보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좌우 직립작업판(171)(173)에는 볼트(15)의 돌출 하부 양측이 수용되는 <자 홈(172)과 >자 홈(174)이 형성되어 있다.
도 4c의 좌우 직립작업판(171)(173)은 볼트(15)를 바로 세우기 전에 벌어진 상태의 평면도로서, 전후 방향의 화살표 모양을 갖도록 관통(평면에서 볼 때)되어 있다.
이 관통을 통해 체결될 스페이서(13)가 위로 올라올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후술되는 바와 같이, 체결되는 스페이서는 제1행(A), 제3행(C) 및 제5행(E)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서 행해지기 때문에, 제2행(B) 및 제4행(D)에는 좌우 직립작업판(171)(173)으로 관통되지 않고 항상 막혀있는 모양이다.
이와 같이, 좌우 직립작업판(171)(173)에는 체결될 볼트(15) 모두를 수직으로 잡을 수 있게 일정 간격으로 <자 홈(172) 및 >자 홈(174)홈이 소정간격마다 형성됨으로써, 공정이 신속히 이루어진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행(A), 제3행(C) 및 제5행(E)의 스페이서(13A)(13C)(13E)에 해당되는 3개의 홈 구간이 배열되어 있다.
분할형 직립작업판(170a~170d)에는 도 6a 내지 도 6g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 및 접근/퇴거시키기 위한 직립작업판 구동부(180)가 설치되어 있다.
직립작업판 구동부(180)는 상하 승강용 구동부(181)와 좌우 접근/퇴거용 구동부(미도시)로 구성되어 있다.
상하 승강용 구동부(181)는 실린더(183)와 피스톤(185)으로 이루어진 것이 좋다.
좌우 접근/퇴거용 구동부(미도시)는 상하 승강용 구동부(181)와 마찬가지로 실린더와 피스톤으로 구동시키는 게 좋다.
한편, 좌우 직립작업판(171)(173)의 좌우 가장자리에는 상하 가이드 블럭(175)이 설치되는 게 좋다.
상가 가이드 블럭(175)는 좌우 직립작업판(171)(173)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면서, 최대한 벌어졌을 때의 스토퍼 역할도 한다.
분할형 직립작업판(170a,170c,170d) 및 이에 해당하는 직립작업판 구동부(180)는 제1,3,4열 스페이서 대기부(110a,110c,110d)가 간격조절부(140a,140c,140d)에 의해 움직일 때 함께 움직이도록 동일 기구 또는 별도의 기구를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다.
드라이버 유닛(200)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개별적으로 볼트(15)가 공급된 드라이버(210)를 하강시켜 관통공(12)(18)에 삽입시켜 스페이서(13)의 체결홈(13b')에 볼팅시켜 지지시키면 된다.
위에서 설명한 탈형 강판 볼팅 조립 장치로 조립하는 방법을 도 6a~도 6g 및 도 7a~도 7d로 가지고 설명하는데, 도면 상에는 제1열 스페이서 대기부(110a)만 도시하고, 설명은 제1~4열 스페이서 대기부(110a~110d)로 설명한다.
도 6a 및 도 7a을 참조하여, 다수의 스페이서(13)가 제1~4열 스페이서 대기부(110a~110d)로 슬라이딩 공급되어 대기 스페이서(13A~13E)의 순서로 직렬 대기시킨다.
또한, 대기하는 스페이서(13A~13E)의 체결홈(13b')에 대응되게 데크 플레이트용 강판/단열재(11/17)에 끼워진 체결될 볼트(15)를 열과 행에 맞춰 데크 플레이트용 강판/단열재(11/17)을 준비한다.
준비한 데크 플레이트용 강판/단열재(11/17)가 대기하는 스페이서(13A~13E) 위에 정지하여 체결될 볼트(15)가 대기하는 스페이서(13A~13E)와 체결될 위치에 맞춰 정지한다.
데크 플레이트용 강판/단열재(11/17)의 정지는 강판/단열재(11/17)의 우단이 스토퍼(미도시)에 닿으면 데크 플레이트용 강판/단열재(11/17)를 정지시킴으로써 제어한다.
도 6a 및 도 7a와 같이 대기 스페이서(13A~13E) 상에 체결될 볼트(15)가 배치되면, 도 6b 및 도 7b와 같이 좌우 직립작업판(171)(173)이 상승하고, 도 6c와 같이 좌우 직립작업판(171)(173)이 서로 접근시킨다.
도 6c와 같이 좌우 직립작업판(171)(173)이 서로 상하 겹치게 접근되면, 체결될 볼트(15)의 하부 노출 부위가 <자 홈(172)과 >자 홈(174) 사이에 끼워지는데, 좌우 직립작업판(171)(173)이 수직한 센터로 맞추어 정지할 때까지 계속 체결될 볼트(15)를 건드려 수직으로 바로 세우게 된다(직립하게 된다).
체결될 볼트(15)가 수직으로 세워지면, 도 6d와 같이, 좌우 직립작업판(171)(173)은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게 퇴거되고, 대기하는 스페이서(13A~13E) 중 체결될 스페이서(13A,13C,13E)를 피스톤(101)으로 상승시켜 단열재(17)의 밑면에 밀착시킨다.
단열재(17)의 밑면에 체결될 스페이서(13A~13E)가 밀착되면, 도 6e 및 도 7c와 같이 드라이버(210)가 내려와 체결될 볼트(15)를 잡고 볼팅을 한다.
볼팅이 끝나면, 도 6f와 같이 체결될 드라이버(210)와 제1~4열 스페이서 대기부(110a~110d)를 하강시키고 나서, 도 6g와 같이 좌우 직립작업판(171)(173)도 하강시킨다.
그런 다음, 도 7d와 같이, 체결되지 않은 스페이서(13B,13D)가 스페이서 공급부(130a~130d)로부터 슬라이딩 방식으로 공급되어, 스페이서(13)가 스페이서 대기부(110a~110d)의 체결되지 않은 스페이서(13B)는 제1행 스페이서(13A)의 위치로, 체결되지 않은 스페이서(13D)는 제2행 스페이서(13B)의 위치로 되면서 나머지 3개의 스페이서(13C,13D,13E)가 채워져 직렬로 대기시킨다.
위에서의 설명은 제1열 스페이서 대기부(110a)에서의 볼팅을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4열 스페이서 대기부(110a~110d)를 1세트로 하여 볼팅 작업을 하는 경우, 제2열(a) 및 제4열(d)에서는 제3행(C)의 스페이서(13C)만, 제3열(c)에서는 제1행(A)과 제5행(E)의 스페이서(13A)(13E)만 피스톤(101)에 의해 상승되어 볼팅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단순히 슬라이딩 방식으로 스페이서(13)를 제1~4열 스페이서 대기부(110a~110d)에 직렬로 5개가 채워질 때까지 밀어 넣어 대기시키면, 강판/단열재(11/17)의 체결될 볼트(15)가 자동으로 맞춰지기 때문에, 스페이서(13)와의 체결 위치를 맞추기 위한 센서 또는 스페이서(13)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구동부 등이 불필요하게 된다.
드라이버 유닛(200)도 제1~4열 스페이서 대기부(110a~110d)와 같이 간격 조절되며, 분할형 직립작업판(170a~170b) 및 피스톤(101)은 제1,3,4열 스페이서 대기부(110a,110c,110d)와 함께 간격 조절되게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됨을 부언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될 스페이서만 상승시키는 것으로 한정하였지만, 스페이서 대기부에 대기하는 스페이서 모두를 상승하고 체결될 위치의 볼트만 볼팅하는 것도 본 실시예와 청구범위에 모두 포함되는 것임은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데크 플레이트용 강판/단열재 조립체
11 : 강판 12 : 강판용 관통공
13 : 스페이서 13a : 브릿지
13b : 몸체 13b' : 체결홈
15 : 볼트 18 : 단열재용 관통공
100 : 스페이서 공급라인
100a~100d : 제1~4열 스페이서 공급라인
110a~110d : 제1~4열 스페이서 대기부
130a~130d : 제1~4열 스페이서 중간 공급부
140a,140c,140d : 간격조절부
141a,141c,141d : 제1,3,4실린더
143a,143c,143d : 제1,3,4피스톤
150a~150d : 제1~4열 스페이서 도입 공급부
170a~170d : 분할형 직립작업판
200 : 드라이버 유닛 210 : 드라이버

Claims (7)

  1. 삭제
  2. 데크 플레이트용 단열재와 데크 플레이트용 강판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된 체결될 볼트를 볼팅한 단열재 부착 탈형 강판 볼팅 조립 장치로서,
    상기 체결될 볼트의 돌출 하측을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두 개의 볼트직립판;
    상기 두 개의 볼트직립판을 접근/퇴거 및 승강시키는 볼트직립판 구동부;
    상기 두 개의 볼트직립판 사이 아래에 배치되며, 다수의 스페이서가 공급되어 직렬로 대기하는 스페이서 대기부;
    상기 대기하는 스페이서를 상승시키는 스페이서 상승부;
    상기 체결될 볼트를 볼팅하여 상기 상승한 스페이서를 상기 데크 플레이트용 단열재에 배치시키는 드라이버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볼트직립판 각각은 상하 겹치도록 마주보게 배치되며,
    상기 볼트직립판에는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볼트의 돌출 하측 양측이 수용되는 <자 홈과 >자 홈이 형성되어 있는 단열재 부착 탈형 강판 볼팅 조립 장치.
  3. 삭제
  4. 삭제
  5. 데크 플레이트용 단열재와 데크 플레이트용 강판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된 체결될 볼트를 볼팅한 단열재 부착 탈형 강판 볼팅 조립 장치로서,
    상기 체결될 볼트의 돌출 하측을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두 개의 볼트직립판;
    상기 두 개의 볼트직립판을 접근/퇴거 및 승강시키는 볼트직립판 구동부;
    상기 두 개의 볼트직립판 사이 아래에 배치되며, 다수의 스페이서가 공급되어 직렬로 대기하는 스페이서 대기부;
    상기 대기하는 스페이서를 상승시키는 스페이서 상승부;
    상기 체결될 볼트를 볼팅하여 상기 상승한 스페이서를 상기 데크 플레이트용 단열재에 배치시키는 드라이버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스페이서 대기부는 병렬로 배치되는 고정형 제1열 스페이서 대기부와 가변형 제2열 스페이서 대기부로 구성되되,
    상기 제1열 스페이서 대기부에 대해 상기 제2열 스페이서 대기부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열 스페이서 대기부의 일측에는 제1열 스페이서 공급부가 이어지고,
    상기 제2열 스페이서 대기부의 일측에는 관절형 제2열 스페이서 공급부가 이어지는 단열재 부착 탈형 강판 볼팅 조립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관절형 제2열 스페이서 공급부는 다수의 마디부로 형성되며,
    상기 마디부 각각에 개별형 간격조절부가 설치되는 단열재 부착 탈형 강판 볼팅 조립 장치.
  7.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상승부는 상기 대기하는 스페이서 중 체결될 스페이서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 부착 탈형 강판 볼팅 조립 장치.
KR1020160028937A 2016-03-10 2016-03-10 단열재 부착 탈형 강판 볼팅 조립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850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937A KR101850371B1 (ko) 2016-03-10 2016-03-10 단열재 부착 탈형 강판 볼팅 조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937A KR101850371B1 (ko) 2016-03-10 2016-03-10 단열재 부착 탈형 강판 볼팅 조립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814A KR20170105814A (ko) 2017-09-20
KR101850371B1 true KR101850371B1 (ko) 2018-04-20

Family

ID=60033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937A Expired - Fee Related KR101850371B1 (ko) 2016-03-10 2016-03-10 단열재 부착 탈형 강판 볼팅 조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37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6246B2 (ja) * 1993-02-22 2002-08-1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部品自動移送装置
KR101481951B1 (ko) * 2014-07-28 2015-01-14 주식회사 덕신하우징 데크플레이트 자동 볼팅장치
KR101541523B1 (ko) 2015-01-07 2015-08-04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강판 탈형 데크플레이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6246B2 (ja) * 1993-02-22 2002-08-19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部品自動移送装置
KR101481951B1 (ko) * 2014-07-28 2015-01-14 주식회사 덕신하우징 데크플레이트 자동 볼팅장치
KR101541523B1 (ko) 2015-01-07 2015-08-04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강판 탈형 데크플레이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814A (ko) 201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7878B1 (ko) 사출 성형기의 금형 반송 가이드 장치
CN101185950A (zh) 一种横向双夹钳送料机构
CN103894673B (zh) 一种型材锯切中心
CN103736908B (zh) 一种用于铆压带上下附件的链条的铆压机
CN215147208U (zh) 一种送料机的送料机构
CN105752373A (zh) 一种翻边压合装置
CN104340613A (zh) 单气缸送料装置及其送料方法
KR101850371B1 (ko) 단열재 부착 탈형 강판 볼팅 조립 장치
KR101850369B1 (ko) 단열재 부착 탈형 강판 볼팅 조립 방법
CN216730227U (zh) 一种柔性的箍筋连续送料定位机器
CN102079100B (zh) 一种橡胶冲孔机
CN204161969U (zh) 单气缸送料装置
KR101850370B1 (ko) 탈형 강판 볼팅용 스페이서 간격조절장치
CN106001888A (zh) 一种电梯门板的加强筋焊接结构
CN104803153A (zh) 一种板件输送设备
CN203649300U (zh) 一种用于铆压带上下附件的链条的铆压机
CN102133763B (zh) 耐火砖成型液压机模具下模定位及锁紧装置
KR101850368B1 (ko) 탈형 강판 볼팅 조립 방법
CN104291118A (zh) 码坯机的抓头装置
CN107804083B (zh) 一种套筒自动打字装置
CN112139297B (zh) 一种框架工件用多功能矫正装置
CN213436430U (zh) 一种框架工件用多功能矫正装置
CN211102931U (zh) 一种高精度工件定位输送机构
US3561663A (en) Apparatus for producing sheet metal plates having reinforcing members welded thereon
CN204124840U (zh) 码坯机的抓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23041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K11-X000 Ip right revival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1-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30414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3-oth-PR04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