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49471B1 - 공항용 카트 - Google Patents

공항용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9471B1
KR101849471B1 KR1020160154042A KR20160154042A KR101849471B1 KR 101849471 B1 KR101849471 B1 KR 101849471B1 KR 1020160154042 A KR1020160154042 A KR 1020160154042A KR 20160154042 A KR20160154042 A KR 20160154042A KR 101849471 B1 KR101849471 B1 KR 101849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pedestal
handle
rotation
suppo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4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태
전형민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54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4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47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3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hand operated
    • B62B5/0447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hand operated using elements cooperating with a handle b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78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wheel braking mechanism
    • B60B33/0081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wheel braking mechanism acting on tyre t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automatic
    • B62B5/041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automatic dead man's 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항에서 사용하는 공항용 카트에 관한 것으로, 운반물을 상부에 안착하기 위한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하부에 형성하는 복수개의 바퀴; 상기 받침대의 일측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형성하는 손잡이로 이루어지되, 상기 손잡이부를 밀거나 당기면 상기 바퀴에 결합되는 브레이크부가 해제되어 이동되고,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지지대와 일직선이면 브레이크부가 상기 바퀴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하도록 한다.

Description

공항용 카트 {AIRPORT CART}
본 발명은 공항용 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항에서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화물을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공항용 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항용 카트는 사용자가 각종 화물 및 운반물을 원하는 지점까지 편리하게 운반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공항용 카트는 사용자가 쉽게 조작하여 정지 또는 이동할 수 없으므로 사용효율을 저하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또한, 종래에는 별도의 브레이크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나, 이는 구조가 복잡하여 잦은 고장 및 오작동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특히 종래에는 일정기간이 지나면서 브레이크 기능이 점차 상실되어 지정한 위치에 정확하게 정지할 수 없으므로 다른 카트 또는 사람과 충돌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공항카트를 사용할 시 손잡이에 힘이 가해지는 하중의 방향과 공항카트가 나아가는 방향의 불일치로 인해 사용자의 힘이 이중으로 가해지게 된다. 즉, 손잡이를 하부방향으로 내리고 전진하거나 후진할 때는 손잡이가 하부방향으로 내려진 상태일 때 이동해야하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악력을 사용하여 카트를 끌어당기면서 불편함을 감소해야 했다.
때문에 사용자는 손잡이를 하부로 내리는 힘과 전진 또는 후진으로 가해지는 힘이 이중으로 발생되게 된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86752호(등록일: 2005.06.03., 명칭: 운반용 카트)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7313호(등록일: 2002.08.16., 명칭: 완충범퍼를 갖는 화물운반용 손수레)
본 발명은 공항용 카드의 이동방향에 따라 브레이크 제동장치를 쉽게 풀리게 하고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가 힘을 가하지 않으면 브레이크가 걸리게 되는 공항용 카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항용 카트는, 운반물을 상부에 안착하기 위한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하부에 구비하는 복수개의 바퀴; 상기 받침대의 일측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형성하는 손잡이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대와 결합되는 손잡이부는 회동부에 의해 회동되며, 상기 손잡이부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바퀴에 결합되는 브레이크부가 해제되어 이동되고,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지지대와 일직선이면 브레이크부가 상기 바퀴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브레이크부는 상기 바퀴와 접촉 시 바퀴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 상기 회전방지부의 상단과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된 연결부; 및 상기 회전방지부의 상단과 상기 바퀴 보호부의 내측 상단을 연결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부의 회동에 따라 연결부와 결합된 회전방지부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방지부의 상기 바퀴와 접촉되는 부분은 상기 바퀴의 회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반복되는 요철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를 밀거나 당기면 상기 연결부가 텐션(tension)이 발생하여 연결부와 연결된 회전방지부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바퀴와 접촉되지 않고, 상기 손잡이부를 상기 지지대와 일직선으로 놓으면 상기 연결부의 텐션(tension)이 감소하면서 상기 회전방지부가 바퀴와 접촉하여 바퀴의 회전을 멈추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 상단에는 상기 지지대 내측에서 외측으로 점차 경사도를 갖는 보조 받침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나아가는 방향과 브레이크의 제동장치가 풀리는 방향이 일치하여 사용자가 작은 힘으로 공항용 카트를 운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밀거나 당기는 힘을 가하지 않으면 디폴트로 설정된 브레이크 제동장치가 동작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항용 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항용 카트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항용 카트의 브레이크부가 해제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항용 카트의 브레이크부가 동작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항용 카트의 손잡이의 방향에 따른 브레이크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항용 카트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항용 카트(100)는 받침대(110), 바퀴(120), 지지대(130), 및 손잡이부(140)를 포함한다.
받침대(110)는 운반물을 상부에 안착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부에 일정 경사도를 갖는 보조 받침대(111)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보조 받침대(111)는 지지대(130) 내측에서 외측으로 점차 경사도를 갖는다. 즉, 받침대(110)의 내측 상부에서 외측 상부로 점차 경사도를 갖는다.
이때, 보조 받침대(111)는 일정한 경사도를 가지고 있으며, 받침대(110)와 일정한 경사도를 유지하도록 고정부(112)에 의해 고정된다.
보조 받침대(111)는 급정차 시 운반물이 관성에 의해 공항용 카트(100) 밖으로 미끄러지거나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퀴(120)는 상기 받침대(110) 하부에 구비하여 운반물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바퀴를 구비한다. 이때, 바퀴(120)는 브레이크부와 연동되어 공항용 카드(100)를 운행 또는 정차시킬 수 있되, 사용되는 바퀴(120) 중 조향과 관련 있는 바퀴에만 브레이크가부가 채용될 수 있다.
지지대(130)는 받침대(110)의 일측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운반물을 지지한다. 지지대(130) 내측에는 이후 설명될 연결부(162)의 이동 범위에 따른 이동각도부(131)를 형성한다. 지지대(130) 하부는 바퀴(120)까지 연장되어 바퀴(12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감싸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140)는 지지대(130)의 상부에 형성하여 공항용 카트(100) 전체의 방향을 전환하거나 바퀴(12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손잡이부(140)는 지지대의 상부를 연결하여 형성 하거나,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즉, 손잡이부(140)를 지지대(130)와 결합되는 회동부(150)에 의해 손잡이부(140)를 전방으로 밀거나 후방으로 당기면 결합되는 브레이크부가 해제되어 바퀴(120)가 회전하여 이동할 수 있고, 손잡이부(140)가 지지대(130)와 일직선이면 브레이크부가 동작되어 바퀴(12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때, 손잡이부(140)는 일정한 힘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밀거나 당겨지며 사용자가 힘을 가하지 않으면 브레이크부가 동작될 수 있도록 지지대(130)와 일직선상으로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손잡이부(140)에 외부로부터 어떠한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지지대(130)와 손잡이부(140)를 결합하는 회동부(150)에 의해 제자리로 복귀하게 된다.
손잡이부(140)의 기본 위치는 지지대(130)와 일직선인 상태로 브레이크부가 바퀴(12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상태이다.
손잡이부(140)를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으로 밀거나 후방으로 당기면 연결부(162)가 텐션(tension)이 발생하여 연결부(162)와 연결된 회전방지부(161)가 당겨지면서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바퀴(120)와 접촉되지 않아 바퀴(120)가 회전하고, 손잡이부(140)를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130)와 일직선으로 놓으면 연결부(162)의 텐션(tension)이 감소하면서 상기 회전방지부(161)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바퀴(120)와 접촉하여 바퀴(120)의 회전을 멈추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손잡이부(140)가 지지대(130)와 일직선으로 놓이면 이라고 하였으나, 정확히 일직선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손잡이 방향이 상부로 향하는 것을 의미한다.
손잡이부(140)와 연동되는 브레이크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브레이크부는 회전방지부(161), 연결부(162), 및 탄성부재(163)를 포함한다.
회전방지부(161)는 바퀴(120)와 접촉 시 바퀴(12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때, 회전방지부(161)의 저면은 바퀴(120)와 접촉되는 부분으로 바퀴(120)의 회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반복되는 요철(凹凸)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162)는 지지대(130)를 경유해서 회전방지부(161)의 상단과 손잡이부(140)를 연결시킨다. 여기서, 연결부(162)는 와이어 형태일 수 있으며, 경유하는 지지대 내측의 이동각도부(131) 내에서 각도 전환이 가능하다.
탄성부재(163)는 회전방지부(161)의 상단과 바퀴 보호부(164)의 내측 상단을 연결하여 손잡이부(140)의 동작에 따라 손잡이부(140)와 연결된 연결부(162)의 텐션으로 회전방지부(161)와 결합된 탄성부재(163)를 당기거나 풀어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나아가는 방향과 브레이크의 제동장치가 풀리는 방향이 일치하여 사용자가 작은힘으로 공항용 카트를 운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밀거나 당기는 힘을 가하지 않으면 디폴트로 설정된 브레이크 제동장치가 동작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공항용 카트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공항용 카트 110 : 받침대
111 : 보조 받침대 112 : 고정부
120 : 바퀴 130 : 지지대
131 : 이동각도부 140 : 손잡이부
150 : 회동부 161 : 회전방지부
162 : 연결부 163 : 탄성부재
164 : 바퀴 보호부

Claims (5)

  1. 운반물을 상부에 안착하기 위한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하부에 구비하는 복수개의 바퀴;
    상기 받침대의 일측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상부에 형성하는 손잡이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대와 결합되는 손잡이부는 회동부에 의해 회동되며, 상기 손잡이부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바퀴에 결합되는 브레이크부가 해제되어 이동되고,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지지대와 일직선이면 브레이크부가 상기 바퀴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하고,
    상기 브레이크부는 상기 바퀴와 접촉 시 바퀴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
    상기 회전방지부의 상단과 상기 손잡이부와 연결된 연결부; 및
    상기 회전방지부의 상단과 바퀴 보호부의 내측 상단을 연결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부의 회동에 따라 연결부와 결합된 회전방지부가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연결부는 지지대를 경유해서 회전방지부의 상단과 손잡이부를 연결시키고, 와이어 형태일 수 있고, 경유하는 지지대 내측의 이동각도부 내에서 각도 전환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회전방지부의 상기 바퀴와 접촉되는 부분은 상기 바퀴의 회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반복되는 요철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손잡이부를 밀거나 당기면 상기 연결부가 텐션(tension)이 발생하여 연결부와 연결된 회전방지부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바퀴와 접촉되지 않고, 상기 손잡이부를 상기 지지대와 일직선으로 놓으면 상기 연결부의 텐션(tension)이 감소하면서 상기 회전방지부가 바퀴와 접촉하여 바퀴의 회전을 멈추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받침대는 상기 지지대 내측에서 외측으로 점차 경사도를 갖는 보조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항용 카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154042A 2016-11-18 2016-11-18 공항용 카트 Expired - Fee Related KR101849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042A KR101849471B1 (ko) 2016-11-18 2016-11-18 공항용 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042A KR101849471B1 (ko) 2016-11-18 2016-11-18 공항용 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9471B1 true KR101849471B1 (ko) 2018-04-17

Family

ID=62083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4042A Expired - Fee Related KR101849471B1 (ko) 2016-11-18 2016-11-18 공항용 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94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9755B1 (ko) 2018-03-21 2018-09-17 여신동 바퀴잠금 및 해제가 용이한 카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5065B2 (ja) * 2000-03-10 2004-06-07 株式会社カナツー ブレーキ機構付き手押し運搬車
JP2008273418A (ja) * 2007-05-01 2008-11-13 Nagano:Kk 運搬台車のストッパー
KR101594468B1 (ko) * 2015-12-28 2016-02-22 이재혁 브레이크 기능을 갖는 공항용 카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5065B2 (ja) * 2000-03-10 2004-06-07 株式会社カナツー ブレーキ機構付き手押し運搬車
JP2008273418A (ja) * 2007-05-01 2008-11-13 Nagano:Kk 運搬台車のストッパー
KR101594468B1 (ko) * 2015-12-28 2016-02-22 이재혁 브레이크 기능을 갖는 공항용 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9755B1 (ko) 2018-03-21 2018-09-17 여신동 바퀴잠금 및 해제가 용이한 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2316B1 (ko) 포터블 카트의 제동장치
US3276550A (en) Brakeable hand truck
KR101899755B1 (ko) 바퀴잠금 및 해제가 용이한 카트
KR101850293B1 (ko) 브레이크부가 구비되는 화물 운반용 대차
WO2016110242A1 (zh) 一种具有限位结构的手推车
US20150344056A1 (en) Dolly system and method of use
JP2014131901A (ja) 台車の制動構造
KR101849471B1 (ko) 공항용 카트
JP2008273418A (ja) 運搬台車のストッパー
US5427494A (en) Container carrier
JP4336670B2 (ja) 運搬台車
JP3161076U (ja) 台車用ストッパー装置
KR101739009B1 (ko) 자동브레이크 장치가 부착된 핸드카트
KR20150029142A (ko) 운반용 카트
JP3189269U (ja) 柵付き台車
KR101808263B1 (ko) 여행가방
JP6067165B1 (ja) 運搬用車両
JP6205515B1 (ja) 荷役運搬車のブレーキ装置
JP5483411B2 (ja) 運搬用台車
JP5869393B2 (ja) 運搬用台車
JP3241320U (ja) 運搬具
JP2021079874A (ja) カゴ車搬送補助装置
JP3118197U (ja) ドーリー台車
JP2018158650A (ja) 台車
JP3207046U (ja) 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7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1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4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4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