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625B1 - heat plate for plate type heat exchanger - Google Patents
heat plate for plate type heat exchang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47625B1 KR101847625B1 KR1020160036541A KR20160036541A KR101847625B1 KR 101847625 B1 KR101847625 B1 KR 101847625B1 KR 1020160036541 A KR1020160036541 A KR 1020160036541A KR 20160036541 A KR20160036541 A KR 20160036541A KR 101847625 B1 KR101847625 B1 KR 1018476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 transfer
- patterns
- fluid
- distribution
-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3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25—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formed by zig-zag bend plat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8—Elements constructed for building-up into stacks, e.g. capable of being taken apart for cleaning
- F28F3/083—Elements constructed for building-up into stacks, e.g. capable of being taken apart for cleaning capable of being taken apar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12—Elements constructed in the shape of a hollow panel, e.g. with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측의 어느 한 모서리 부위 및 하측의 어느 한 모서리 부위에 각각 관통 형성되면서 유체의 유입이나 유출을 위한 유출입구; 중앙측 부위를 이룸과 더불어 표면에는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전열용패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루어진 전열부; 상측의 유출입구와 전열부 사이 및 하측의 유출입구와 전열부 사이에 각각 위치되며, 표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볼록형 분배용패턴 및 후방으로 돌출되는 오목형 분배용패턴이 경사 구조로 서로 교차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진 두 분배부; 상기 전열부와 각 분배부 간의 경계 부위를 따라 형성되는 강도보강용 요철;을 포함하며, 상기 강도보강용 요철은 다수로 이루어지면서 전열부의 각 전열용패턴과 각 분배부의 각 분배용패턴 사이 사이에 각각 위치되며, 서로는 연결되지 않는 비연결 구조로 형성됨과 더불어 전방 및 후방을 향해 교대로 반복하면서 순차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열교환기용 전열판이 제공되며, 이를 통해 전 부위가 안정적인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체압에 의한 벌어짐과 같은 변형이나 휨 변형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flow port for inflow or outflow of fluid, the inflow port being formed at an upper corner and a lower corner, respectively, And a plurality of heat transfer patterns protruding frontward and rearward are inclinedly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heat transfer part. A convex distribution pattern protruding frontward and a concave distribution pattern protruding rearward are formed to be intersected with each other in an inclined structure, respectively, between the outflow inlet and the heat transfer portion on the upper side and between the outflow inlet and the heat transfer portion on the lower side, Two distribution parts made up of; And a plurality of irregularities for reinforcing the strength, the irregularities for strength reinforcement being formed between the respective heat transfer patterns of the heat transfer part and the respective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respective distribution parts, The heat transfer plate for a plat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t transfer plate is formed of a non-connection structure that is not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s formed so as to sequentially and repetitively alternate forward and backward. It is possible to prevent deformation such as widening due to fluid pressure and occurrence of warping deform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열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 부위가 안정적인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체압에 의한 벌어짐과 같은 변형이나 휨 변형의 발생을 방지하고, 또한 유체의 유동 특성에 대한 개선을 통해 전 부위로의 유체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판형 열교환기용 전열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transfer plat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t transfer plate capable of maintaining a stable strength throughout the entire region thereof, thereby preventing occurrence of deformation and warping such as spreading due to fluid pressure, To a heat transfer plate for a plate-typ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 new form capable of enhancing heat exchange efficiency by allowing fluid flow to a portion of the heat exchanger.
일반적으로 열교환기는 두 유체 간에 열을 주고받도록 하는 장치로써, 목적하고자 하는 유체의 종류나 적용 위치 등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지지만 통상은 핀튜브형 열교환기와 판형 열교환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Generally, a heat exchanger is a device for exchanging heat between two fluids. The heat exchanger has a variety of structures depending on the kind of fluid to be targeted, the application position, etc. In general, a finned tube heat exchanger and a plate heat exchanger are used.
여기서, 상기 핀튜브형 열교환기는 다수의 핀들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면서 튜브의 외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튜브의 내부를 유동하는 유체와 각 핀들 사이를 유동하는 유체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 구조이고, 상기 판형 열교환기는 다수의 전열판이 서로 맞닿은 상태로 적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각 전열판 사이 사이로 서로 다른 두 유체가 교대로 흐르도록 함으로써 이 두 유체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 구조이다.The fin tube heat exchanger is structured such that a plurality of fins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tube so as to perform heat exchange between a fluid flowing inside the tube and a fluid flowing between the fins, The plate-type heat exchanger is installed such that a plurality of heat transfer plates are stack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wo different fluids flow alternately between the heat transfer plates, thereby achieving heat exchange between the two fluids.
등록특허 제10-0958485호, 등록특허 제10-0837655호, 등록특허 제10-1017328호, 등록특허 제10-1203674호, 등록실용신안 제20-0344180호, 등록특허 제10-1326940호 등에서는 전술된 각 열교환기 중 판형 열교환기에 관련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며, 첨부된 도 1은 전술된 판형 열교환기를 이루는 일반적인 전열판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In Patent Documents 10-0958485, 10-0837655, 10-1017328, 10-1203674, Registered Utility Models 20-0344180 and 10-1326940, etc., A technique related to a plate heat exchanger among the heat exchangers described above is disclosed, and FIG. 1 shows a structure of a general heat transfer plate constituting the plate heat exchanger described above.
즉, 종래의 전열판(1)은 상하측 부위의 양측으로는 유체의 유출입을 위한 유출입구(11,12,13,14)가 각각 형성되고, 중앙측 부위에는 열교환을 위한 전열부(20)가 형성되며, 각 유출입구(11,12,13,14)들 사이 및 상기 각 유출입구(11,12,13,14)와 전열부(20) 사이에는 유체를 균일하게 분배하기 위한 분배부(30,40)가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이때, 상기 전열판(1)의 네 모서리측에 위치되는 각 유출입구(11,12,13,14) 중 상측의 두 유출입구(11,13)는 유체가 유입되는 부위로 제공되고, 하측의 두 유출입구(12,14)는 유체가 유출되는 부위로 제공되며, 어느 한 유출입구로부터 제공되는 유체는 그의 하측 방향에 위치된 유출입구로 유동되어 유출되도록 이루어진다. 물론, 도시된 바와는 달리 상부의 어느 한 측으로 유체가 유입되어 하부의 어느 한 측으로 유체가 유출되고, 하부의 다른 한 측으로 유체가 유입되어 상부의 다른 한 측으로 유체가 유출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도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two
또한, 상기 전열부(20) 및 분배부(30,40)에는 다수의 요철패턴(21,31,41)이 각각 형성되어 유체의 유동을 위한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이때 상기 각 분배부(30,40)의 경우는 각 요철패턴(31,32,41,42)이 서로 교차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진다.A plurality of concave and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전열판(1)의 상측 분배부(30)에 형성되는 요철패턴(31,32)은 첨부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가 양측으로 안내되도록 함과 더불어 아래로도 안내되도록 돌출 및 함몰 부위 간의 교차 지점이 서로 이격된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요철패턴(31,32)을 따라 유동되는 유체가 그의 자중 및 관성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흐르는 유량에 비해 아래로 흐르는 유량이 매우 많아서 해당 유출입구(11)와는 가장 멀리 떨어진 측편에 이르기까지는 상기 유체가 원활히 유동되지 못하여 전열부(20)의 어느 한 측 부위에 사영역(dead zone)이 과도하게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cavo-
또한,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전열판(1)은 전열부(20)에 형성되는 유체의 유동을 안내하는 요철패턴(21)의 경사 방향이 상하측으로는 모두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이 요철패턴(21)의 경사 방향을 향한 굽힘이 쉽게 이루어진다는 강도의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뿐만 아니라, 상기 전열판(1)의 각 부위 중 상기 전열부(20)와 분배부(30,40) 간의 경계 부위는 서로의 요철패턴(21,31,32,41,42)이 일부는 겹치는 반면, 나머지 부위는 첨부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빈 영역으로 남기 때문에 해당 부위는 두 전열판을 적층하였을 경우 서로 맞닿지 않는 부위로 제공되며, 이로써 해당 부위에 대한 강도는 매우 약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among the respective portions of the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 부위가 안정적인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체압에 의한 벌어짐과 같은 변형이나 휨 변형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판형 열교환기용 전열판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various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teel plate, which can maintain a stable strength throughout the whole area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deformation or warping And a heat exchanger for a plat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 new typ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체의 유동 특성에 대한 개선을 통해 전열부의 전 부위로 유체 유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판형 열교환기용 전열판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 transfer plate for a plat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 new type that improves the flow characteristics of a fluid to improv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by allowing fluid flow smoothly to the entire portion of the heat transfer portion .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판형 열교환기용 전열판은 상측의 어느 한 모서리 부위 및 하측의 어느 한 모서리 부위에 각각 관통 형성되면서 유체의 유입이나 유출을 위한 유출입구; 중앙측 부위를 이룸과 더불어 표면에는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전열용패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루어진 전열부; 상측의 유출입구와 전열부 사이 및 하측의 유출입구와 전열부 사이에 각각 위치되며, 표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볼록형 분배용패턴 및 후방으로 돌출되는 오목형 분배용패턴이 경사 구조로 서로 교차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진 두 분배부; 상기 각 유출입구와 그에 인접한 각 분배부 사이의 부위를 이루면서 표면에는 해당 부위에 대한 강도의 보강 및 상기 유출입구를 통과하는 유체 유동의 안내를 위한 다수의 유체안내지지패턴이 돌출 형성된 유출입부; 상기 전열부와 각 분배부 간의 경계 부위를 따라 형성되는 강도보강용 요철;을 포함하며, 상기 두 분배부 중 상측의 분배부에 형성되는 각 분배용패턴은 유출입구가 위치된 어느 한 측편의 끝 부위로부터 그 반대측의 다른 한 측편의 끝 부위로 갈수록 전방측 및 후방측으로의 돌출 높이가 점차 낮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강도보강용 요철은 다수로 이루어지면서 전열부의 각 전열용패턴과 각 분배부의 각 분배용패턴 사이 사이에 각각 위치되며, 서로는 연결되지 않는 비연결 구조로 형성됨과 더불어 교대로 반복하면서 전방 및 후방을 향해 순차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각 유체안내지지패턴 중 일부는 상기 각 유출입구의 둘레 부위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됨과 더불어 나머지 일부는 상기 각 유출입구의 둘레 부위로부터 분배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상하 방향의 유체안내지지패턴들이 형성된 부위에는 해당 유체안내지지패턴들을 가로지르면서 상기 각 유체안내지지패턴의 돌출 높이에 비해서는 낮은 돌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 다수의 유체저항용패턴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eat transfer plate for a plate-type heat exchanger, the heat transfer plate for a plate heat exchanger including: an outflow inlet formed at an upper corner and a lower corner, And a plurality of heat transfer patterns protruding frontward and rearward are inclinedly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heat transfer part. A convex distribution pattern protruding frontward and a concave distribution pattern protruding rearward are formed to be intersected with each other in an inclined structure, respectively, between the outflow inlet and the heat transfer portion on the upper side and between the outflow inlet and the heat transfer portion on the lower side, Two distribution parts made up of; A plurality of fluid guiding support patterns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each of the inflow outlets for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inflow outlets and adjacent to the inflow outlets and guiding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inflow outlets; Wherein the distributing patterns formed on the upper distributing portion of the two distributing portions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straight line extending from the end of one side where the outflow inlet is located And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for reinforcing the strength are formed so as to extend from the respective heat transfer patterns of the heat transfer portion to the respective distribution portions of the respective distributing portions Wherein the plurality of fluid guide support patterns are formed so as to protrude forward and rearward alternately while being alternately arranged in a non-connection structure in which they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other part is formed so as to extend from the peripheral portion of each of the outlet openings to the distributing portion And a plurality of fluid resistance patterns formed so as to have a protrusion height that is lower than a protrusion height of each of the fluid guide support patterns across the fluid guide support patterns at a portion where the fluid guide support patterns are formed, Is further formed.
여기서, 상기 상측의 분배부에 형성되는 각 분배용패턴은 어느 한 측 끝 부위로부터 그 반대측의 다른 한 측 끝 부위에 이르기까지 적어도 3부분 이상의 서로 다른 돌출 높이를 갖는 단차 영역으로 각각 구분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Here, each of the distribution patterns formed on the upper distribution portion is formed to be divided into a stepped region having at least three or more different protrusion heights from one end portion to the other end portion on the opposite side, .
또한, 상기 상측의 분배부 중 일부의 부위는 각 분배용패턴이 다수의 부분으로 분할됨과 더불어 상기 다수의 부분으로 분할된 볼록형 분배용패턴과 오목형 분배용패턴 간의 교차 부위는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측의 분배부 중 나머지 일부의 부위는 각 분배용패턴 중 오목형 분배용패턴만 다수의 부분으로 분할됨과 더불어 상기 분할된 각 오목형 분배용패턴은 상기 볼록형 분배용패턴과의 교차 부위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ortion of the upper distribution port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ortions for each distribution pattern, and the intersections between the convex distribution pattern and the concave distribution pattern divided into the plurality of portions are formed to be planar And the other part of the upper distributing port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ortions only in the pattern for distributing among the distributing patterns, and each of the divided concave distributing patterns is located at the intersection with the convex distributing pattern And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상측의 분배부 중 일부의 부위는 그에 인접한 유출입구의 직하방에 유체 유입측이 위치된 부위이고, 상기 상측의 분배부 중 나머지 일부의 부위는 상기 유출입구의 직하방으로부터 벗어난 곳에 유체 유입측이 위치된 부위임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ortion of the upper distribution portion is a portion where a fluid inflow side is located in a portion directly under the inflow inlet adjacent thereto, and a portion of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upper side distribution portion is a fluid portion And a region where the inflow side is located.
또한, 상기 각 볼록형 분배용패턴 및 오목형 분배용패턴은 그에 의해 안내되는 유체의 유동이 라운드지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vex distribution pattern and the concave distribution pattern are formed such that the flow of the fluid guided by the convex distribution pattern and the concave distribution pattern is rounded.
또한, 상기 전열부의 표면에 형성되는 각 전열용패턴은 저부로 갈수록 좌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좌경사 영역 및 저부로 갈수록 우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우경사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좌경사 영역과 우경사 영역은 수평 방향을 따라 서로 교대로 반복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전열부의 표면 중 중앙측 부위에는 그에 인접한 각 전열용패턴의 경사와는 반대의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 역경사 영역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Each of the heat transfer pattern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heat transfer portion includes a left inclined region formed to be inclined leftward toward the bottom portion and a right inclined region inclined to the right toward the bottom portion, Regions are alternately arranged alternately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reverse slope region is formed at the center side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heat transfer portion so as to form a slope opposite to the slope of each of the heat transfer patterns adjacent thereto.
또한, 상기 전열부의 표면에 형성되는 각 전열용패턴 중 어느 한 부위에는 해당 부위의 전열용패턴들이 이루는 경사 방향과는 직교된 방향으로 경사지면서 전방 혹은, 후방으로 돌출되는 강도보강용 라인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line for reinforcing the strength is formed at any one of the heat transfer pattern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heat transfer portion so as to be inclined forward or backwar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lanting direction formed by the heat transfer patterns of the corresponding portion .
또한, 상기 강도보강용 라인의 돌출 높이는 상기 전열용패턴들의 돌출 높이보다 낮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lso, the projecting height of the line for reinforcing the strength is formed to be lower than the projecting height of the heat transfer patterns.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른 판형 열교환기용 전열판은 상측의 어느 한 모서리 부위 및 하측의 어느 한 모서리 부위에 각각 관통 형성되면서 유체의 유입이나 유출을 위한 유출입구; 중앙측 부위를 이룸과 더불어 표면에는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전열용패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루어진 전열부; 상측의 유출입구와 전열부 사이 및 하측의 유출입구와 전열부 사이에 각각 위치되며, 표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볼록형 분배용패턴 및 후방으로 돌출되는 오목형 분배용패턴이 경사 구조로 서로 교차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진 두 분배부; 상기 전열부와 각 분배부 간의 경계 부위를 따라 형성되는 강도보강용 요철;을 포함하며, 상기 강도보강용 요철은 다수로 이루어지면서 전열부의 각 전열용패턴과 각 분배부의 각 분배용패턴 사이 사이에 각각 위치되며, 서로는 연결되지 않는 비연결 구조로 형성됨과 더불어 전방 및 후방을 향해 교대로 반복하면서 순차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eat transfer plate for a plate heat exchanger, comprising: an outflow inlet formed at an upper corner and a lower corners of the heat exchanger, And a plurality of heat transfer patterns protruding frontward and rearward are inclinedly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heat transfer part. A convex distribution pattern protruding frontward and a concave distribution pattern protruding rearward are formed to be intersected with each other in an inclined structure, respectively, between the outflow inlet and the heat transfer portion on the upper side and between the outflow inlet and the heat transfer portion on the lower side, Two distribution parts made up of; And a plurality of irregularities for reinforcing the strength, the irregularities for strength reinforcement being formed between the respective heat transfer patterns of the heat transfer part and the respective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respective distribution parts, Respectively, and are formed in a non-connection structure that is not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re formed so as to sequentially and repeatedly alternate forward and backward.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판형 열교환기용 전열판은 각 분배부와 전열부 간의 경계 부위에 형성되는 각 강도보강용 요철이 해당 경계 부위를 따라 전방으로의 돌출 및 후방으로의 요입을 교대로 번갈아가면서 순차적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서로는 연결되지 않는 비연결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해당 부위에 대한 휨 변형이 방지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In the heat transfer plate for a plate heat exc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each of the strength-reinforcing irregularities formed at the boundary portion between each distribution portion and the heat transfer portion alternately protrudes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boundary portion, And is formed as a non-connection structure that is not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bending de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portion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의 판형 열교환기용 전열판은 유출입부 중 어느 한 측의 끝단 부위에 복수의 유체저항용패턴을 추가로 돌출 형성하되, 그 돌출 높이는 각 유체안내지지패턴의 돌출 높이에 비해 대략 절반 정도의 높이를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해당 부위를 향한 유체의 유동량을 줄여 각 분배부로 제공되는 유체의 유동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The heat transfer plate for a plat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fluid resistance patterns protruding from one end of one of the inflow / outflow portions, the protrusion height of which is approximately half The flow amount of the fluid toward the corresponding portion can be reduced, and the flow of the fluid supplied to each of the distribution portions can be made uniform as a whole.
또한, 본 발명의 판형 열교환기용 전열판은 상측 분배부에 대한 구조적 개선을 통해 제1유입구를 통과하여 유입된 유체가 상기 분배부의 안내를 받아 전열부의 전 부위로 고르게 제공될 수 있게 되어 전열부의 사영역 발생이 최소화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Further, the heat transfer plate for a plate-type heat exc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ructurally improved on the upper distributor portion, so that fluid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inlet port can be guided by the distributor portion and uniformly supplied to the entire portion of the heat transfer portion, The occurrence can be minimized.
이와 함께, 본 발명의 판형 열교환기용 전열판은 전열부의 표면에 형성되는 각 전열용패턴 중 어느 한 부위에 전열용패턴이 이루는 경사 방향과는 직교된 방향으로 경사지면서 전방 혹은, 후방으로 돌출되는 강도보강용 라인을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단일의 경사로 인해 야기되는 휨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the heat transfer plate for a plate-type heat exc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t transfer patter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heat transfer portion is inclin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lanting direction formed by the heat transfer pattern, It is possible to prevent warpage caused by a single inclination.
도 1은 종래의 판형 열교환기용 전열판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은 도 1의 “B”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형 열교환기용 전열판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형 열교환기용 전열판에 적층되는 또 다른 전열판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도 4의 “C”부 확대도
도 7은 도 4의 “D”부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형 열교환기용 전열판 중 강도보강용 라인의 돌출 높이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화하여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9는 도 4의 “E”부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형 열교환기용 전열판 중 유출입부의 각 유체저항용패턴이 형성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1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heat transfer plate for a conventional plate heat exchanger.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 A &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portion " B &
4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heat transfer plate for a plat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nother heat transfer plate stacked on a heat transfer plate for a plat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 C "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 D "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schematically shown for explaining the projection height of the line for reinforcing strength among the heat transfer plates for the plat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nlarged view of " E &
FIG. 10 is a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each fluid resistance pattern of the inflow / outflow portion of the heat transfer plate for a plat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이하, 본 발명의 판형 열교환기용 전열판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heat transfer plate for a plate heat exc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10.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전열판(1)이 적용되는 판형 열교환기는 둘 이상의 전열판이 서로 적층되면서 각 전열판 사이로 유동되는 서로 다른 온도의 두 유체를 열교환하도록 이루어진 열교환기이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the plate heat exchanger to which the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형 열교환기용 전열판의 전체 구조를 정면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FIG. 4 is a front view of the entire structure of a heat transfer plate for a plat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판형 열교환기용 전열판은 복수의 유출입구(111,112,121,122)와, 전열부(200)와, 두 분배부(300,400) 및 유출입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두 분배부(300,400) 중 상측에 위치되는 분배부(300)는 그에 형성되는 각 분배용패턴(310,320)에 대한 돌출 높이가 부위별로 달리 형성되도록 함과 더불어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11)로부터 멀리 위치된 측의 전열부(200)로도 해당 유체의 유동이 원활히 유동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The heat transfer plate for a plat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for each configuration.
먼저, 상기 유출입구(111,112,121,122)는 유체가 유입 및 유출되도록 전열판(1)에 관통 형성된 구멍이다.First, the
이와 같은 유출입구(111,112,121,122)는 전열판(1)의 상측 부위 및 하측 부위의 네 모서리에 각각 관통 형성되며, 이러한 네 유출입구(111,112,121,122) 중 상측 부위에 위치되는 두 유출입구(111,121)는 서로 다른 온도의 유체에 대한 유입 유동이 이루어지는 유입구이고, 하측 부위에 위치되는 두 유출입구(112,122)는 서로 다른 온도의 유체에 대한 유출 유동이 이루어지는 유출구이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판형 열교환기의 배치 구조나 종류에 따라 상기 유체의 유입 유동을 위한 두 유출입구(111,121)와 유체의 유출 유동을 위한 유출입구(112,122)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도 있다.The
특히, 상기 네 유출입구(111,112,121,122)는 서로 상하에 위치된 것끼리 하나의 쌍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즉, 도면상 좌측 상부에 위치된 유입구(이하, “제1유입구”라 함)(111)로는 유체가 해당 전열판의 전면으로 유입된 후 도면상 좌측 하부에 위치된 유출구(이하, “제1유출구”라 함)(112)를 통해 해당 유체가 유출되도록 이루어지고, 도면상 우측 상부에 위치된 유입구(이하, “제2유입구”라 함)(121)로는 유체가 후면으로 유입된 후 도면상 우측 하부에 위치된 유출구(이하, “제2유출구”라 함)(122)를 통해 해당 유체가 유출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서로 적층된 복수의 전열판 사이는 서로 다른 온도의 유체가 교대로 제공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Particularly, the four
이때, 상기 제1유입구(111)와 제2유입구(121) 사이 및 상기 제1유출구(112)와 제2유출구(122) 사이에는 상기 각 두 유입구(111,121) 및 두 유출구(112.122) 간을 서로 구획하는 씨일부재(130)가 안착 설치된다. 즉, 상기한 씨일부재(130)로 인해 제1유입구(111)를 통해 전면으로 유입된 유체가 그 측편에 위치된 제2유입구(121)로 유동됨이 방지됨과 더불어 제2유출구(112)로 유동됨도 방지된다.At this time, between the
첨부된 도 5는 전술된 전열판(1)의 후면에 겹쳐지는 또 다른 전열판(2)이며, 이러한 또 다른 전열판(2)에 설치되는 씨일부재(130)는 전술된 전열판(1)에 설치되는 씨일부재(130)와는 반대로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한 씨일부재(130)로 인해 제2유입구(121)를 통해 전면으로 유입된 유체가 그 측편에 위치된 제1유입구(111)로 유동됨이 방지됨과 더불어 제1유출구(112)로 유동됨도 방지되는 것이다.5 is a further
이때, 상기 또 다른 전열판(2)은 사실상 전술된 전열판(1)을 상하 뒤집은 구조이다.At this time, the another heat transfer plate (2)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above described heat transfer plate (1) is vertically inverted.
다음으로, 상기 전열부(200)는 각 전열판들 사이를 유동하는 서로 다른 온도의 유체에 대한 실질적인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영역을 제공하는 부위이다.Next, the
이와 같은 전열부(200)는 해당 전열판(1)의 중앙측 부위를 이룸과 더불어 표면에는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전열용패턴(201)이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다수의 전열용 유체 유로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In the
이때, 상기 전열부(200)의 표면에 형성되는 각 전열용패턴(210,220,230)은 저부로 갈수록 좌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좌경사 영역(210) 및 저부로 갈수록 우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우경사 영역(2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좌경사 영역(210)과 우경사 영역(220)은 수평 방향을 따라 서로 교대로 반복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전열부(200)의 표면 중 중앙측 부위에는 그에 인접한 각 전열용패턴(210,220)의 경사와는 반대의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 역경사 영역(23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Each of the
즉, 상기한 각 영역별 전열용패턴(210,220,230)의 경사 방향에 대한 배치 구조를 통해 전열부(200)의 특정 부위가 어느 한 방향으로 쉽게 휘는 문제점을 최대한 방지하면서도 열교환 성능의 향상을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specific portion of the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열부(200)의 표면에 형성되는 각 전열용패턴(210,220,230) 중 어느 한 부위에는 해당 부위의 전열용패턴이 이루는 경사 방향과는 직교된 방향으로 경사지면서 전방 혹은, 후방으로 돌출되는 강도보강용 라인(240)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Particular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one of the
즉, 상기한 강도보강용 라인(240)의 추가 형성을 통해 동일한 경사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영역에 대한 휨 변형이 더욱 안정적으로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by further forming the
이때, 상기 강도보강용 라인(240)의 돌출 높이는 상기 전열용패턴(210,220,230)의 돌출 높이보다 낮게 형성함을 제시하며, 이로써 해당 강도보강용 라인(240)이 형성된 부위로 유체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유동이 차단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첨부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At this time, it is suggested that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다음으로, 상기 분배부(300,400)는 상기 제1유입구(111)를 통과하여 제공되는 유체의 유동을 전열부(200)의 전 부위로 고르게 분배하여 제공되도록 안내함과 더불어 상기 전열부(200)를 통과하여 제공되는 유체의 유동을 제1유출구(112)로 제공되도록 안내하는 부위이다.Next, the
이러한 분배부(300,400)는 두 유입구(111,121)와 전열부(200) 사이에 위치되는 상측 분배부(300)와, 두 유출구(112,122)와 전열부(200) 사이에 위치되는 하측 분배부(400)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분배부(300,400)의 표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볼록형 분배용패턴(310,410) 및 후방으로 돌출되는 오목형 분배용패턴(320,420)이 경사 구조로 서로 교차되게 형성되면서 다수의 분배용 유체 유로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The distributing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측 분배부(300)를 이루는 각 분배용패턴(310,320)은 제1유입구(111)가 위치된 좌측 끝 부위로부터 그 반대측의 우측 끝 부위로 갈수록 전방측 및 후방측으로의 돌출 높이가 점차 낮아지게 형성됨을 제시한다.Particular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즉, 제1유입구(111)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유체는 비록 처음에는 그 분사 압력에 의해 상측 분배부(300)의 전 부위로 고른 유동이 이루어지나, 각 분배용패턴(310,320)을 따라 유동되는 과정에서 자중 및 관성에 의해 직하방으로 흘러내리는 유량이 더욱 많게 되고, 이로써 전열부(200)의 각 부위 중 제1유입구(111)로부터 먼 부위로 제공되는 유체의 유량은 상기 제1유입구(111)로부터 가까운 부위로 제공되는 유체의 유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게 된다.That is, although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 분배용패턴(310,320)의 돌출 높이를 달리 형성하여 상기 상측 분배부(300) 중 제1유입구(111)의 직하방측 부위로는 유체 저항을 증가시킴과 더불어 제1유입구(111)와는 먼 측으로 갈수록 점차 유체 저항을 감소시킴으로써 유체의 유동이 전열부(200)의 전 부위로 고르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u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sion height of each of the
이때, 상기 상측 분배부(300)에 형성되는 각 분배용패턴(310,320)은 적어도 3부분 이상의 서로 다른 돌출 높이를 갖는 단차 영역으로 각각 구분되도록 형성하여 전열부(200)의 전 부위로 더욱 고른 유체 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각 분배용패턴(310,320)들은 셋 이상의 서로 다른 돌출 높이를 갖도록 하면서 그 돌출 높이에 따라 제1유입구(111)와 가까운 측으로부터 먼 측에 이르기까지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고른 유체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At this time, each of the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측 분배부(300) 중 일부의 부위는 각 분배용패턴(310,320)이 다수의 부분으로 분할됨과 더불어 상기 다수의 부분으로 분할된 볼록형 분배용패턴(310)과 오목형 분배용패턴(320) 간의 교차 부위는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 분배부(300) 중 나머지 일부의 부위는 각 분배용패턴(310,320) 중 오목형 분배용패턴(320)만 다수의 부분으로 분할됨과 더불어 상기 분할된 각 오목형 분배용패턴(320)은 상기 볼록형 분배용패턴(310)과의 교차 부위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됨을 제시한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rt of the upper distributing
이때, 상기 상측 분배부(300) 중 일부의 부위라 함은 제1유입구(111)의 직하방에 유체 유입측이 위치되는 부위이고, 상기 상측 분배부(300) 중 나머지 일부의 부위라 함은 제1유입구(111)의 직하방으로부터 벗어난 곳에 유체 유입측이 위치되는 부위이다.Here, a part of the
즉, 전술된 각 분배용패턴(310,320)의 각 부위별 돌출 높이에 대한 조절로써 유체 유동이 전열부(200)의 전 부위로 균일하게 분배될 수 있도록 하더라도 제1유입구(111)의 직하방으로 낙하되는 유체의 유동이 더욱 많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상측 분배부(300)의 제1유입구(111)의 직하방을 벗어난 위치의 일부 볼록형 분배용패턴(310)을 단일의 돌출된 패턴을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해당 볼록형 분배용패턴(310)을 따라 유동되는 도중 직하방으로 낙하되는 유체 유량이 최소화하며, 이를 통해 전열부(200) 중 제1유입구(111)와 먼 측의 부위(도면상 우측편의 부위)로도 유체 유동이 최대한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even if the fluid flow can be uniformly distributed to the entire area of th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볼록형 분배용패턴(310) 및 오목형 분배용패턴(320)은 그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분배용 유체 유로가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도록 함을 추가로 제시하며, 이를 통해 유체가 외곽측으로 더욱 많이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구조와 같다.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dditionally proposed that each of th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열부(200)와 각 분배부(300,400) 간의 경계 부위에 강도보강용 요철(500)이 더 구비됨을 제시한다.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it is suggested that the
이와 같은 강도보강용 요철(500)은 상기 전열부(200)의 각 영역별 전열용패턴(210,220,230) 및 각 분배부(300,400)의 각 분배용패턴(310,320,410,420) 간이 겹치지 않는 비겹침 부위에 전방 및 후방을 향해 순차적으로 교대하면서 돌출되게 형성됨과 더불어 서로는 연결되지 않는 비연결 구조로 형성되며, 이러한 강도보강용 요철(500)의 추가 제공에 의해 상기 비겹침 부위에 대한 강도의 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첨부된 도 7을 참조하여 볼 때 각 강도보강용 요철(500)들 중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 강도보강용 요철은 후방으로 돌출된 구조를 나타냄과 더불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 강도보강용 요철은 전방으로 돌출된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The concavity and
즉, 각 전열판들 사이로 서로 다른 온도의 유체가 교대로 유동되는 과정에서 어느 두 전열판 사이로 제공되는 유체의 유동이 원치않게 중단될 경우에는 이에 인접된 전열판과의 사이로 제공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유체가 유동되지 않은 두 전열판 사이가 오므려지도록 변형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데, 이를 상기 강도보강용 요철(500)의 추가 제공을 통해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when fluid flows between the two heat transfer plates are interrupted unexpectedly in the process of alternately flowing fluids having different temperatures between the heat transfer plates, the pressure of the fluid supplied between the adjacent heat transfer plates The
다음으로, 상기 유출입부(600)는 상기 각 유출입구(111,121,112,122)와 그에 인접한 각 분배부(300,400) 사이의 부위를 이루는 구조이다.Next, the inflow /
이와 같은 유출입부(600)의 표면에는 해당 부위에 대한 강도의 보강 및 상기 유출입구(111,121,112,122)를 통과하는 유체 유동의 안내를 위한 다수의 유체안내지지패턴(610)이 돌출 형성된다.A plurality of fluid
이때, 상기 각 유체안내지지패턴(610)은 상기 각 유출입구(111,121,112,122)의 둘레 부위로부터 하향 경사 혹은, 저부로 수직하게 형성된다.At this time, each of the fluid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유체안내지지패턴(610) 중 각 유출입구(111,121,112,122)의 직하방(혹은, 직상방)에 위치되는 부위의 일부에 상기 각 유체안내지지패턴(610)을 가로지르는 다수의 유체저항용패턴(620)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Particular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fluid
상기한 각 유체저항용패턴(620)은 상기 각 유체안내지지패턴(610)의 안내를 받아 유동되는 유체의 유동에 저항을 제공함으로써 해당 부위로의 유동이 여타 부위에 비해 줄어들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를 통해 각 분배부(300,400)의 전 부위로 고른 유체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Each of the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유체저항용패턴(620)이 상기 유출입부 중 유출입구(111,121,112,122)가 형성된 측의 외측 끝단으로부터 상기 유출입구(111,121,112,122)의 중심이 위치된 부위까지의 적어도 절반 이상의 부위에 형성하며, 특히 상기 각 유체안내지지패턴(610)에 비해서는 낮게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한 각 유체저항용패턴(620)의 돌출 높이는 상기 각 유체안내지지패턴(610)의 돌출 높이에 비해 대략 절반 정도를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하여는 첨부된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열판에 의한 유체 유동의 안내 과정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ocess of guiding the fluid flow by the heat transfer plat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우선, 판형 열교환기의 운전이 시작되면 전열판의 제1유입구(111)를 통해 유체의 유입이 이루어진다.First, when the operation of the plate heat exchanger is started, the fluid is introduced through the
이렇데 유입되는 유체는 상기 제1유입구(111)를 통과한 후 그 분사 압력에 의해 상측 분배부(300)의 전 부위로 제공된다. 이때 상기 제2유입구(121)와 상기 상측 분배부(300) 사이에는 씨일부재(130)가 가로막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유입구(111)를 통과한 유체가 상기 제2유입구(121)로 유동됨은 방지됨과 더불어 상기 제2유입구(121)를 통과한 유체가 상기 상측 분배부(300)로 제공됨은 방지된다.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상측 분배부(300)의 전 부위로 제공된 유체는 상기 상측 분배부(300)에 형성된 각 볼록형 분배용패턴(310) 및 오목형 분배용패턴(320)에 의한 다수의 분배용 유체 유로를 따라 전열부(200)를 향하여 유동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luid supplied to the entire portion of the
이때, 상기와 같이 유동되는 유체는 상기 제1유입구(111)를 통과하여 상측 분배부(300)의 분배용 유체 유로를 따라 유동되는 과정에서 그의 자중 및 관성에 의해 직하방으로 흘러내리려 하지만, 상기 상측 분배부(300)에 형성되는 각 분배용패턴(310,320)의 경우 제1유입구(111)가 위치된 좌측 편으로부터 그 반대측의 우측 편으로 갈수록 점차 돌출 높이가 낮아지는 구조로 배치되고, 또한 상측 분배부(300) 중 제1유입구(111)의 직하방으로부터 벗어난 측에 위치되는 복수의 볼록형 분배용패턴(310)의 경우는 복수로 분할되지 않고 단일의 연장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전열부(200)로 제공되는 유체는 상기 전열부(200)의 상단 전 부위에 고르게 제공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전열부(200)로 제공된 유체는 해당 전열부(200)에 형성된 각 영역별 전열용패턴(210,220,230)에 의한 안내를 받아 하향 유동되며, 이후 하측 분배부(400)의 각 분배용 유체 유로에 의한 안내를 받아 제1유출구(112)를 통해 유출된다.The fluid supplied to the
물론, 상기 전열부(200)로 제공된 유체가 상기 각 전열용패턴(210,220,230)에 의한 안내를 받아 하향 유동되는 도중 이 전열용패턴(210,220,230) 중 어느 한 부위에 형성된 강도보강용 라인(240)에 의한 유동 저항을 받지만 상기 강도보강용 라인(240)의 돌출 높이는 상기 전열용패턴(210,220,230)의 돌출 높이보다 낮게 형성됨과 더불어 이 강도보강용 라인(240)은 각 영역별 전열용패턴(210,220,230)의 일부에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강도보강용 라인(240)에 의한 유동 저항은 전열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Of course, the fluid provided to the
결국, 본 발명의 판형 열교환기용 전열판은 각 분배부(300,400)와 전열부(200) 간의 경계 부위에 다수의 강도보강용 요철(500)을 추가로 형성하되, 이러한 강도보강용 요철(500)들은 서로 연결되지 않는 비연결 구조로 형성됨과 더불어 교대로 반복하면서 전방 및 후방을 향해 순차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됨으로써 경계 부위에 대한 대한 강도 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In the heat transfer plate for a plat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또한, 본 발명의 판형 열교환기용 전열판은 유출입부(600) 중 어느 한 측의 끝단 부위에 복수의 유체저항용패턴(620)을 추가로 돌출 형성하되, 그 돌출 높이는 각 유체안내지지패턴(610)의 돌출 높이에 비해 대략 절반 정도의 높이를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해당 부위를 향한 유체의 유동량을 줄여 각 분배부(300,400)로 제공되는 유체의 유동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e heat transfer plate for a plate heat exc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판형 열교환기용 전열판은 상측 분배부(300)에 대한 구조적 개선을 통해 제1유입구(111)를 통과하여 유입된 유체가 상기 상측 분배부(300)의 안내를 받아 전열부(200)의 전 부위로 고르게 제공될 수 있게 되며, 이로써 전열부의 사영역 발생이 최소화된다.In addition, the heat transfer plate for a plate-type heat exc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ructurally improved in the
이와 함께, 본 발명의 판형 열교환기용 전열판은 전열부(2000의 표면에 형성되는 각 전열용패턴(210,220,230) 중 어느 한 부위에 전열용패턴이 이루는 경사 방향과는 직교된 방향으로 경사지면서 전방 혹은, 후방으로 돌출되는 강도보강용 라인(240)을 추가로 형성함으로써 단일의 경사로 인해 야기되는 휨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heat transfer plate for a plate heat exc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ny one of the
1,2. 전열판 111. 제1유입구
112. 제1유출구 121. 제2유입구
122. 제2유출구 130. 씨일부재
200. 전열부 210. 좌경사 영역의 전열용패턴
220. 우경사 영역의 전열용패턴 230. 역경사 영역의 전열용패턴
240. 강도보강용 라인 300. 상측 분배부
310. 볼록형 분배용패턴 320. 오목형 분배용패턴
400. 하측 분배부 410. 볼록형 분배용패턴
420. 오목형 분배용패턴 500. 강도보강용 요철1,2.
112.
122.
200.
220. Heat transfer pattern in the right-
240.
310.
400.
420.
Claims (9)
중앙측 부위를 이룸과 더불어 표면에는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전열용패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루어진 전열부;
상측의 유출입구와 전열부 사이 및 하측의 유출입구와 전열부 사이에 각각 위치되며, 표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볼록형 분배용패턴 및 후방으로 돌출되는 오목형 분배용패턴이 경사 구조로 서로 교차되게 형성되어 이루어진 두 분배부;
상기 각 유출입구와 그에 인접한 각 분배부 사이의 부위를 이루면서 표면에는 해당 부위에 대한 강도의 보강 및 상기 유출입구를 통과하는 유체 유동의 안내를 위한 다수의 유체안내지지패턴이 돌출 형성된 유출입부;
상기 전열부와 각 분배부 간의 경계 부위를 따라 형성되는 강도보강용 요철;을 포함하며,
상기 두 분배부 중 상측의 분배부에 형성되는 각 분배용패턴은 유출입구가 위치된 어느 한 측편의 끝 부위로부터 그 반대측의 다른 한 측편의 끝 부위로 갈수록 전방측 및 후방측으로의 돌출 높이가 점차 낮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전열부와 각 분배부 사이는 각 전열용패턴 및 각 분배용 패턴들이 서로 겹치지 않는 비겹침 부위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강도보강용 요철은 다수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전열부와 각 분배부 사이의 비겹침 부위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각 강도보강용 요철들은 서로 연결되지 않는 비연결 구조를 이루면서 상기 비겹침 부위의 수평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형성됨과 더불어 전방 및 후방을 향해 교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각 유체안내지지패턴 중 일부의 유체안내지지패턴들은 상기 각 유출입구의 둘레 부위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되면서 유체를 안내하도록 이루어짐과 더불어 나머지 일부는 상기 각 유출입구의 둘레 부위로부터 분배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유체를 안내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이루어진 유체안내지지패턴들이 형성된 부위에는 상기 각 유체안내지지패턴의 돌출 높이에 비해서는 낮은 돌출 높이를 가지면서 유출입부의 외측 끝단으로부터 해당 유체안내지지패턴들을 가로지르도록 좌우 방향으로 수평하게 이루어진 다수의 유체저항용패턴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열교환기용 전열판.An outflow inlet formed at an edge of the upper side and a lower edge of the lower edge, respectively, for flowing in or out of the fluid;
And a plurality of heat transfer patterns protruding frontward and rearward are inclinedly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heat transfer part.
A convex distribution pattern protruding frontward and a concave distribution pattern protruding rearward are formed to be intersected with each other in an inclined structure, respectively, between the outflow inlet and the heat transfer portion on the upper side and between the outflow inlet and the heat transfer portion on the lower side, Two distribution parts made up of;
A plurality of fluid guiding support patterns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each of the inflow outlets for reinforcing the strength of the inflow outlets and adjacent to the inflow outlets and guiding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inflow outlets;
And a strength reinforcing concave and convex portion formed along a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heat transfer portion and each distribution portion,
Each of the distributing patterns formed on the upper distributing portion of the two distributing portions is formed so that the projecting height from the end portion of one side where the outflow inlet is located to the end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opposite side, Is formed,
Wherein the heat transfer part and each distribution part are formed in a non-overlapping part in which the heat transfer pattern and each of the distribution patterns do not overlap with each other, and the plurality of irregularities for reinforcing the strength are formed, Respectively,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strength-reinforcing irregularities is form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horizontal direction of the non-overlapping portion while forming a non-connection structure that is not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lternately protrudes forward and rearward,
Wherein a part of the fluid guide support patterns are vertically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peripheries of the respective outlet openings to guide the fluid, and the remaining part of the fluid guide support patterns extends from the peripheries of the respective outlet openings toward the distributor Wherein the fluid guiding support pattern has a protruding height that is lower than a protruding height of the fluid guiding support pattern and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fluid guiding support patterns are formed perpendicularly to the up and down direction, Wherein a plurality of fluid resistance patterns are formed horizontally in a lateral direction so as to cross the guide support patterns.
상기 상측의 분배부에 형성되는 각 분배용패턴은 어느 한 측 끝 부위로부터 그 반대측의 다른 한 측 끝 부위에 이르기까지 적어도 3부분 이상의 서로 다른 돌출 높이를 갖는 단차 영역으로 각각 구분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열교환기용 전열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each of the distributing patterns formed on the upper distributing portion is formed to be divided into a stepped region having at least three or more different protruding heights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on the opposite side, Plate heat exchanger.
상기 상측의 분배부 중 일부의 부위는 각 분배용패턴이 다수의 부분으로 분할됨과 더불어 상기 다수의 부분으로 분할된 볼록형 분배용패턴과 오목형 분배용패턴 간의 교차 부위는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측의 분배부 중 나머지 일부의 부위는 각 분배용패턴 중 오목형 분배용패턴만 다수의 부분으로 분할됨과 더불어 상기 분할된 각 오목형 분배용패턴은 상기 볼록형 분배용패턴과의 교차 부위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열교환기용 전열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ortion of the upper distributing port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ortions for each of the distributing patterns and the intersecting portion between the convex distributing pattern and the concave distributing pattern divided into the plurality of portions is formed to be planar,
And the other part of the upper distribution par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for only the concave distribution pattern among the distribution patterns, and the divided concave distribution patterns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at intersections with the convex distribution pattern Wherein the heat transfer plate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heat transfer plate.
상기 상측의 분배부 중 일부의 부위는 그에 인접한 유출입구의 직하방에 유체 유입측이 위치된 부위이고,
상기 상측의 분배부 중 나머지 일부의 부위는 상기 유출입구의 직하방으로부터 벗어난 곳에 유체 유입측이 위치된 부위임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열교환기용 전열판.The method of claim 3,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distribution portion is a portion where the fluid inflow side is located directly below the outflow inlet adjacent thereto,
Wherein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is a portion where a fluid inflow side is located at a position away from a direct lower portion of the outflow inlet.
상기 각 볼록형 분배용패턴 및 오목형 분배용패턴은 그에 의해 안내되는 유체의 유동이 라운드지게 이루어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열교환기용 전열판.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convex distribution pattern and the concave distribution pattern are formed such that the flow of the fluid guided by the convex distribution pattern and the concave distribution pattern is rounded.
상기 전열부의 표면에 형성되는 각 전열용패턴은 저부로 갈수록 좌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좌경사 영역 및 저부로 갈수록 우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우경사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좌경사 영역과 우경사 영역은 수평 방향을 따라 서로 교대로 반복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전열부의 표면 중 중앙측 부위에는 그에 인접한 각 전열용패턴의 경사와는 반대의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 역경사 영역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열교환기용 전열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heat transfer patter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heat transfer portion includes a left inclined region formed to be inclined leftward toward the bottom portion and a right inclined region formed inclined to the right toward the bottom portion,
Wherein the left-leaning region and the right-leaning region are arranged so as to alternate with each other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Wherein an inverted inclined region is formed at a center side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heat transfer portion so as to form an inclination opposite to the inclination of each of the heat transfer patterns adjacent thereto.
상기 전열부의 표면에 형성되는 각 전열용패턴 중 어느 한 부위에는 해당 부위의 전열용패턴들이 이루는 경사 방향과는 직교된 방향으로 경사지면서 전방 혹은, 후방으로 돌출되는 강도보강용 라인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열교환기용 전열판.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6,
One of the heat transfer pattern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heat transfer por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line for reinforcing the strength that is inclined forward or backwar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slanting direction formed by the heat transfer patterns of the corresponding portion Wherein the heat exchanger is a plate heat exchanger.
상기 강도보강용 라인의 돌출 높이는
상기 전열용패턴들의 돌출 높이보다 낮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열교환기용 전열판.8. The method of claim 7,
The projecting height of the strength reinforcing line
Wherein the heat transfer plate is formed to have a height that is lower than a projecting height of the heat transfer patter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8456 | 2015-07-31 | ||
KR20150108456 | 2015-07-3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5104A KR20170015104A (en) | 2017-02-08 |
KR101847625B1 true KR101847625B1 (en) | 2018-04-11 |
Family
ID=58155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36541A Active KR101847625B1 (en) | 2015-07-31 | 2016-03-28 | heat plate for plate type heat exchang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4762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S2839409T3 (en) * | 2017-03-10 | 2021-07-05 | Alfa Laval Corp Ab | Plate, plate and heat exchanger device package |
KR101885476B1 (en) | 2017-05-24 | 2018-08-03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Heat exchanger plate and exchanger plate assembly having the sam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500588A (en) * | 2005-07-04 | 2009-01-08 | アルファ ラヴァル コーポレイト アクチボラゲット | Heat exchange plate for plate-type heat exchanger, one set of heat exchange plate, and plate package |
KR101315648B1 (en) * | 2013-07-01 | 2013-10-08 | 김훈 | Plate-type heat exchanger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543992B2 (en) | 1994-03-28 | 2004-07-21 | 株式会社日阪製作所 | Plate heat exchanger |
JP3526321B2 (en) | 1994-03-28 | 2004-05-10 | 株式会社日阪製作所 | Plate heat exchanger |
SE520702C2 (en) | 2001-12-18 | 2003-08-12 | Alfa Laval Corp Ab | Heat exchanger plate with at least two corrugation areas, plate package and plate heat exchanger |
KR200344180Y1 (en) | 2003-12-24 | 2004-03-10 | 임혁 | Heat Plate and Gaskette Assembly Structure of Plate Type Heat Exchanger |
KR100837655B1 (en) | 2008-03-17 | 2008-06-13 | 주식회사 엘에치이 | Plate heat exchanger |
KR101203674B1 (en) | 2009-07-03 | 2012-11-23 | 코스트 주식회사 | Heat exchanger plate and heat exchanger using heat exchanger plate. |
KR101017328B1 (en) | 2009-11-13 | 2011-02-28 | 주식회사 엘에치이 | Heat exchanger plate for heat exchanger and fully welded heat exchanger with this heat exchanger plate |
KR101326940B1 (en) | 2011-11-25 | 2013-11-11 | 조형석 | Heat transfer plat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d stacking thereof for the plate type heat exchanger |
-
2016
- 2016-03-28 KR KR1020160036541A patent/KR10184762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500588A (en) * | 2005-07-04 | 2009-01-08 | アルファ ラヴァル コーポレイト アクチボラゲット | Heat exchange plate for plate-type heat exchanger, one set of heat exchange plate, and plate package |
KR101315648B1 (en) * | 2013-07-01 | 2013-10-08 | 김훈 | Plate-type heat exchang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5104A (en) | 2017-02-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110030C1 (en) | Plate-type heat exchanger for heat exchange between two liquids at different high flow rates | |
US11215401B2 (en) | Heat exchanger | |
RU2561356C1 (en) | Heat exchanger with two-side pattern of cavities | |
JP2010085094A (en) | Plate type heat exchanger | |
KR101847625B1 (en) | heat plate for plate type heat exchanger | |
US20080223564A1 (en) | Heat Exchanger Plate and a Plate Package | |
KR101952938B1 (en) | Heat exchanger having plate type distributor | |
CN101957153A (en) | Flat heat pipe | |
KR20140069919A (en) | Fill for cross flow type of cooling tower | |
KR20160139530A (en) | Heat exchanger with baffle and spacing plate | |
US20070151717A1 (en) | Heat exchange plate | |
KR101124582B1 (en) | A hot-water heat exchanger | |
JP5710232B2 (en) | Plate heat exchanger | |
CN103822521A (en) | Heat exchange plate and plate type heat exchanger | |
CN100513967C (en) | Heat exchanger plate and plate set | |
KR20210026216A (en) | Plate type heat exchanger | |
KR101315648B1 (en) | Plate-type heat exchanger | |
JP6422585B2 (en) | Plate heat exchanger | |
KR101651799B1 (en) | Plate type heat exchanger | |
JP2021110502A (en) | Plate heat exchanger | |
CN112146484B (en) | Plate heat exchanger | |
JP4813288B2 (en) | Heat exchanger | |
US20160320051A1 (en) | Comb tooth type water-cooled column and furnace having the same | |
CN114383445A (en) | Heat exchanger | |
KR20120083599A (en) | Plate heat exchang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712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6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12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80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32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8022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12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80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4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4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