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315648B1 - Plate-type heat exchanger - Google Patents

Plate-type heat exchang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648B1
KR101315648B1 KR1020130076508A KR20130076508A KR101315648B1 KR 101315648 B1 KR101315648 B1 KR 101315648B1 KR 1020130076508 A KR1020130076508 A KR 1020130076508A KR 20130076508 A KR20130076508 A KR 20130076508A KR 101315648 B1 KR101315648 B1 KR 101315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plate
heat exchanger
sebron
fluid inl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65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훈
Original Assignee
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훈 filed Critical 김훈
Priority to KR1020130076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64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648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4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 F28F3/04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in the form of local deformations of the element
    • F28F3/046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in the form of local deformations of the element the deformations being linear, e.g. corrug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형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모서리에 각각 유체 유입구와 유체 유출구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판상의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 중앙부분의 표면에 돌출부와 함몰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V자형 또는 물결 무늬가 반복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세브론부; 상기 세브론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유체 유입구 또는 유체 유출구가 형성된 방향으로 기울어진 격자 무늬 형상으로 마련되는 유체 가이드부; 및 상기 유체 가이드부의 단부에서 유체 유입구 또는 유체 유출구의 사이에 형성되는 선 형상의 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 가이드부의 단면상 높이는 상기 유체 가이드부가 상기 유체 유입구 또는 유체 유출구 방향으로 향할수록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유체의 경로 흐름을 개선하여 낮은 압력손실에서 높은 성능을 구비함과 동시에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고, 장치의 내구성도 증대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te heat exchanger, the plate-shaped plate formed in which the fluid inlet and the fluid outle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evron portio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plate including a protrusion and a depression, and is provided in a V-shaped or wavy pattern repeated shape; A fluid guide part provided in a lattice pattern inclined from an end portion of the sebron par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luid inlet port or the fluid outlet port is formed; And a linear connection portion formed between the fluid inlet port or the fluid outlet port at the end of the fluid guide part. The height of the cross section of the fluid guid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luid guide portion is formed higher toward the fluid inlet or the fluid outlet direction.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flow path of the fluid to have high performance at low pressure loss, to improve heat exchange efficiency, and to increase durability of the apparatus.

Description

판형 열교환기{PLATE-TYPE HEAT EXCHANGER}Plate Heat Exchanger {PLATE-TYPE HEAT EXCHANGER}

본 발명은 판형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te heat exchanger.

열교환기는 일반적으로 열교환매체의 유입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한 쌍의 헤더탱크와, 상기 헤더탱크들을 연결하여 열교환매체를 그 내부로 유통시키면서 열교환을 이루어지게 하는 튜브로 구성된다.The heat exchanger generally comprises a pair of header tanks through which the heat exchange medium is introduced and discharged, and a tube connecting the header tanks to heat exchange medium while circulating the heat exchange medium therein.

이 때 형태별로 열교환기를 크게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다수 개의 튜브를 탱크에 삽입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핀-튜브 타입 열교환기와, 다수 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되어 튜브부 및 탱크부가 형성되는 플레이트 타입 열교환기 즉 판형 열교환기로 구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eat exchanger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The fin-tube type heat exchanger is formed by inserting a plurality of tubes into a tank, and the plate type heat exchanger in which a plurality of plates are stacked to form a tube part and a tank part. It can be divided into a plate heat exchanger.

이 중 판형 열교환기의 경우 핀-튜브 타입 열교환기에 비해 조립이 간편하고 필요 부품수가 적어서 생산성이 좋으며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엔진 룸 공간 확보에 유리한 장점 등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Among them, plate type heat exchangers are widely used because they are easier to assemble and require fewer parts than other fin-tube type heat exchangers.

특히 판형 열교환기는 플레이트의 형상을 변화시킴으로써 핀-튜브 타입 열교환기에 비해 좀 더 복잡하고 다양화된 유로 설계가 가능하다.In particular, the plate heat exchanger changes the shape of the plate to allow a more complicated and diversified flow path design than the fin-tube type heat exchanger.

이에 따라 판형 열교환기는 수냉식 오일 쿨러와 같이 2종의 유체가 유통하면서 서로 열교환을 일으키는 경우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plate heat exchanger is preferably applied to heat exchange between two kinds of fluids such as a water-cooled oil cooler and causing heat exchange with each other.

한편 종래의 판형 열교환기는 전열판에 형성되는 세브론의 면적 및 피치만을 고려하여 열교환 효율을 결정하였으며 판형 열교환기에 흐르는 유체의 방향 또는 압력손실을 크게 고려하지 않았다.Meanwhile, the conventional plate heat exchanger determines heat exchange efficiency by considering only the area and pitch of the Severon formed on the heat exchanger plate, and does not consider the direction or pressure loss of the fluid flowing in the plate heat exchanger.

특히 압력 손실을 해소하는 방안으로 판형 열교환기의 적층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이러한 방법은 열교환기의 크기 및 중량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을 낳고 있다.In particular, a method of increasing the stacking amount of the plate heat exchanger was used as a method for releasing the pressure loss, which causes a problem of increasing the size and weight of the heat exchanger.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06858호(등록일 12.11.26.)가 있었으며, 상기 종래의 기술은 세브론부와 유체 분배 가이드를 구성하여 유체의 경로 흐름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기재하고 있었으나, 열교환 효율의 극대화 및 유로 내부의 부식과 파손을 방지하는 부분에서 문제점이 있었다.Related prior arts include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1206858 (Registration Date 12.11.26.), Which is used to improve fluid flow by configuring a fluid distribution guide with a sebron portion. Although it described a method that can be, there was a problem in maximizing heat exchange efficiency and preventing corrosion and damage inside the flow path.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유체의 경로 흐름을 개선하여 낮은 압력손실에서 높은 성능을 구비함과 동시에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고, 장치의 내구성 또한 증대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heat flow efficiency of the fluid by improving the flow path of the fluid, and at the same time to improv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and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apparatus. It is to provide the technology that can be.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모서리에 각각 유체 유입구와 유체 유출구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판상의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 중앙부분의 표면에 돌출부와 함몰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V자형 또는 물결 무늬가 반복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세브론부; 상기 세브론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유체 유입구 또는 유체 유출구가 형성된 방향으로 기울어진 격자 무늬 형상으로 마련되는 유체 가이드부; 및 상기 유체 가이드부의 단부에서 유체 유입구 또는 유체 유출구의 사이에 형성되는 선 형상의 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 가이드부의 단면상 높이는 상기 유체 가이드부가 상기 유체 유입구 또는 유체 유출구 방향으로 향할수록 높게 형성되는 판형 열교환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te-shaped plate is formed in the corner, the fluid inlet and the fluid outlet are spaced from each other; Sevron portio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plate including a protrusion and a depression, and is provided in a V-shaped or wavy pattern repeated shape; A fluid guide part provided in a lattice pattern inclined from an end portion of the sebron par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luid inlet port or the fluid outlet port is formed; And a linear connection portion formed between the fluid inlet port or the fluid outlet port at the end of the fluid guide part. The height of the cross section of the fluid guide portion may be achieved by a plate heat exchanger that is formed as the fluid guide portion toward the fluid inlet or the fluid outlet direction.

여기서, 상기 세브론부의 돌출부와 함몰부는 라운드지도록 형성된다.Here, the protrusion and the depression of the Sevron portion are formed to be round.

또한, 상기 세브론부는 세브론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미세주름부분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bron portion further includes one or more fine wrinkles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bron portion.

또는, 상기 세브론부는 세브론부의 길이방향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미세주름부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sebron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fine wrinkle portion protru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bron portion.

여기서, 상기 세브론부의 기울기가 서로 상이한 제1, 2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짝수의 제1플레이트의 적층에 의해 마련되는 제1집합플레이트와 짝수의 제2플레이트의 적층에 의해 마련되는 제2집합플레이트가 서로 조합 및 결합되어 상이한 열전달 채널을 구비할 수도 있다.Here, the first set plate and the second set plate provided by stacking the even number of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nd the second set plate of which the inclination of the Sevron portion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May be combined and combined with each other to have different heat transfer channels.

또한, 상기 플레이트 다수개가 상호 대면되도록 적층되어 판형 열교환기를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plates may be stacked to face each other to form a plate heat exchanger.

본 발명에 의해, 유체의 경로 흐름을 개선하여 낮은 압력손실에서 높은 성능을 구비함과 동시에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고, 장치의 내구성도 증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flow path of the fluid, to have high performance at low pressure loss, to improve heat exchange efficiency, and to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devic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판형 열교환기의 제1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판형 열교환기의 제2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판형 열교환기의 유체 가이드부의 높이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판형 열교환기의 미세주름부분을 나타낸 정면도 및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1 is a front view of a first plate of the plat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 second plate of the plat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height of the fluid guide portion of the plat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ne wrinkle portion of the plat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ptions of techniques which are well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 of components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and function will be omitted.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For the same reason, some of the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and the size of each elem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relative size or spacing depic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판형 열교환기는 다수의 판형 플레이트가 적층되어 형성되며, 플레이트 상에 마련된 유체 입출구를 통해 유입 또는 유출되는 유체를 플레이트 전면에 유도 분배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러한 기능 지원을 통하여 본 발명의 판형 열교환기는 크로스타입과 유사한 유체 이동로를 확보함으로서 유체 입출구의 위치구성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또한 격자무늬 형태로 형성되는 유체 가이드를 이용하여 유체 유입구 또는 유체 유출구에서 발생하는 유체에 의한 압력을 분산시켜 효과적인 열교환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브론부 상에 미세주름부분을 형성하여 열교환 면적 증대를 통환 열교환 효율의 극대화를 구현한다.
The plate heat exc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plate-shaped plates, and supports to induce and distribute the fluid flowing in or out through the fluid inlet and outlet provided on the plate to the front of the plate. By supporting such a function, the plate heat exc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luid flow path similar to that of the cross type, thereby facilitating the location of the fluid inlet and outlet, and using the fluid guide formed in the lattice pattern at the fluid inlet or the fluid outlet. By distributing the pressure by the generated fluid, it is possible to perform effective heat exchang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fine wrinkle portion on the sebron portion to realize the maximized heat exchange efficiency by increasing the heat exchange area.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판형 열교환기의 제1플레이트의 정면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판형 열교환기의 제2플레이트의 정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판형 열교환기의 유체 가이드부의 높이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판형 열교환기의 미세주름부분을 나타낸 정면도 및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 first plate of the plat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of a second plate of the plat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luid guide part of the plat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eight, and FIG. 4 is a front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ne wrinkle portion of the plat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판형 열교환기는 다수개의 플레이트(10)가 적층형태로 결합되며, 모서리에 각각 유체 유입구(12)와 유체 유출구(14)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판상의 플레이트(10); 상기 플레이트(10) 중앙부분의 표면에 돌출부와 함몰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V자형 또는 물결 무늬가 반복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세브론부(20); 상기 세브론부(20)의 단부로부터 상기 유체 유입구(12) 또는 유체 유출구(14)가 형성된 방향으로 기울어진 격자 무늬 형상으로 마련되는 유체 가이드부(30); 및 상기 유체 가이드부(30)의 단부에서 유체 유입구 (12)또는 유체 유출구(14)의 사이에 형성되는 선 형상의 연결부(40); 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 가이드부(30)의 단면상 높이는 상기 유체 가이드부(30)가 상기 유체 유입구(12) 또는 유체 유출구(14) 방향으로 향할수록 높게 형성된다.1 to 4, the plat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plates 10 coupled to each other in a stacked form, and each of the fluid inlet 12 and the fluid outlet 14 is formed in a plate-shaped corn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Plate 10; Sevron portion 20 is formed to include a protrusion and a depression on the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plate 10, V-shaped or wave pattern is repeated; A fluid guide part 30 provided in a lattice shape incli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luid inlet 12 or the fluid outlet 14 is formed from an end of the sebron portion 20; And a linear connection portion 40 formed between the fluid inlet 12 or the fluid outlet 14 at the end of the fluid guide part 30. The height of the cross section of the fluid guide portion 30 is formed as the fluid guide portion 30 is directed toward the fluid inlet 12 or the fluid outlet 14.

본 발명에 따른 판형 열교환기는 복수의 플레이트(10)를 포함한다. 복수의 플레이트(10)는 소정 간격으로 적층하여 배치되어 그들 사이에 작동 유체가 유동하도록 한다. 플레이트(10) 각각의 표면에는 돌출부 및 함몰부로 이루어지는 세브론부(20)가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10)는 소정 간격으로 적층하여 배치되어 그들 사이에 작동 유체가 유동하도록 하는데, 상기 복수의 플레이트(10)는 적층식으로 결합되어 그들 사이에 작동 유체가 유입 및 유출되도록 복수의 유동 경로를 형성한다.The plat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plates 10. The plurality of plates 10 are stacked and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allow the working fluid to flow between them. On each surface of the plate 10 is formed a Sebron portion 20 consisting of a protrusion and a depression. The plurality of plates 10 are stacked and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allow the working fluid to flow therebetween. The plurality of plates 10 are stacke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working fluid flows in and out between them. Form a flow path.

여기서, 플레이트(10)는 도 1 에서와 같이, 상부 모서리 양측에 각각 유체 유입구(12)와 유체 유출구(14)를 형성하며, 하부 모서리 양측에 각각 유체 유입구(12)와 유체 유출구(14)를 형성한다.Here, the plate 10 forms a fluid inlet 12 and a fluid outlet 14 on both sides of the upper edge,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1, and the fluid inlet 12 and the fluid outlet 14 on both sides of the lower edge, respectively. Form.

여기서, 유체 유입구(12)를 통하여 유체가 유입된 후 해당 유체가 세브론부(20)를 거쳐 유체 유출구(14)로 유동하도록 지원한다. 이에 따라 유체는 세브론부(20)를 거치면서 자신이 가진 에너지를 세브론부(20)와 교환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판형 열교환기를 이루는 플레이트(10)는 세브론부(20)의 단부에 형성된 유체 가이드부(30) 및 연결부(40)를 마련하여 유체 유입구(12)를 통하여 유입된 유체가 연결부(40) 및 유체 가이드부(30)를 거쳐 세브론부(20) 전체에 고르게 유포된 후, 다시 유체 가이드부(30) 및 연결부(40)를 거쳐 유체 유출구(14)로 유출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열교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Here, after the fluid is introduced through the fluid inlet 12, the fluid is supported to flow to the fluid outlet 14 through the sebron portion 20. Accordingly, the fluid passes through the sebron portion 20 and exchanges its own energy with the sebron portion 20. In particular, the plate 10 constituting the plat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luid guide portion 30 and the connecting portion 40 formed at the end of the sebron portion 20 is connected to the fluid flow through the fluid inlet 12 After the 40 and the fluid guide portion 30 is 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Sebron portion 20, and back to the fluid outlet 14 through the fluid guide portion 30 and the connecting portion 40 to support As a result,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can be improved.

세브론부(20)는 플레이트(10)의 중앙부분에 돌출부와 함몰부를 포함하여 물결 무늬가 반복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 면적에서 유체간의 열 교환이 이루어진다.The sebron portion 20 includes a protrusion and a depression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plate 10 and is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wave pattern is repeated, and heat exchange between the fluids is performed in this area.

여기서, 상기 돌출부와 함몰부는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데, 돌출부와 함몰부를 라운드지도록 형성한 것은 기존의 각진 형태로 마련되는 요부와 철부의 점접촉을 약간의 면접촉으로 구현함으로써, 전열 효율 증대, 강도 향상, 변형 및 응력집중 최소화, 내구성 및 내식성의 증대 효과를 기대하기 위함이다.Here, the protrusions and the depressions are formed to be rounded, and the protrusions and the depressions are formed to be rounded by implementing the point contact of the recesses and the convex portions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angled shapes with a slight surface contact, thereby increasing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improving the strength, This is to expect the effect of minimizing deformation and stress concentration, increasing durability and corrosion resistance.

또한, 세브론부(20)는 도 4 에서와 같이, 세브론부(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미세주름부분(22)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ebron portion 20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micro wrinkle portion 22 protru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bron portion 20, as shown in FIG. 4.

여기서, 미세주름부분(22)은 세브론부(20)가 형성하는 돌출부와 함몰부 상에 형성되며, 단위부피당 전열면적을 극대화하여 장치의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고, 미세주름부분(22)을 라운드 지도록 형성하여 낮은 유속에서도 작동 유체의 난류 형성을 용이하게 유도함과 동시에 유체와 공기의 접촉을 방지(미세주름부분 끼리의 접촉으로 인한 플레이트 간의 밀폐)하여 유체에 의한 플레이트(10)의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를 발휘한다.Here, the fine wrinkle portion 22 is formed on the protrusions and depressions formed by the sebron portion 20, can maximize the heat transfer area per unit volume to realize the miniaturization of the device, round the fine wrinkle portion 22 It is formed so as to facilitate the formation of turbulent flow of the working fluid even at a low flow rate, and at the same time to prevent contact between the fluid and the air (sealing between the plates due to contact between the fine wrinkles)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plate 10 by the fluid It is effective.

또한, 미세주름부분(22)은 세브론부(20)의 길이방향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시킬 수도 있으며, 이러한 미세주름부분(22)의 형성 방향은 열교환기의 설치 환경에 따라 상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ne wrinkles 22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bron portion 20, the direction of formation of such fine wrinkles 22 is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of the heat exchanger Can be.

유체 가이드부(30)는 세브론부(20)에서 난류형태로 유동된 작동 유체를 유체 유입구(12) 또는 유체 유출구(14) 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구성으로 세브론부(20)의 단부에서 유체 유입구(12) 또는 유체 유출구(14) 방향으로 기울어진 격자 무늬 형상으로 마련된다.The fluid guide portion 30 is configured to guide the working fluid flowing in the turbulent flow form from the sebron portion 20 toward the fluid inlet 12 or the fluid outlet 14 and at the end of the sebron portion 20. It is provided in a grid pattern inclined toward the inlet 12 or the fluid outlet 14.

여기서, 유체 가이드부(30)는 세브론부(20)와 같이 돌출부와 함몰부를 형성하며 전체적인 형상은 격자 무늬 형태의 삼각형을 이루며, 플레이트(10) 상부측에 형성된 유체 가이드부(30)는 세브론부(20)의 상단부를 밑변으로하는 삼각형 형태로 마련되며, 플레이트(10) 하부측에 형성된 유체 가이드부(30)는 세브론부(20)의 하단부를 밑변으로하는 역삼각형 형태로 마련된다.Here, the fluid guide portion 30 forms a protrusion and a depression like the sebron portion 20 and the overall shape forms a triangular triangular shape, and the fluid guide portion 30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plate 10 is three The upper portion of the bronze portion 20 is provided in a triangular form with the bottom side, and the fluid guide portion 30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plate 10 is provided in an inverted triangle form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sebron portion 20 at the bottom side. .

또한, 유체 가이드부(30)를 유체 유입구 또는 유체 유출구 방향으로 향하는 격자무늬 형태로 형성시킴으로써, 유체 유입 및 유체 유출이 빠르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유체 가이드부의 높이를 상이하게 조절하여 작동 유체의 난류 유도 및 유입, 유출 촉진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fluid guide portion 30 in a grid pattern toward the fluid inlet or the fluid outlet, the fluid inlet and fluid outflow can be made quickly and accurately,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fluid guide portion to induce turbulent flow of the working fluid And promotion of inflow and outflow can be variously set.

바람직하게는, 도 3 에서와 같이, 유체 가이드부(30)의 단면상 높이를 상기 유체 가이드부(30)가 상기 유체 유입구(12) 또는 유체 유출구(14) 방향으로 향할수록 높게 형성할 수 있으며, 격자 형태의 무늬를 구비하므로 양 방향(유체 유입구와 유체 유출구 방향)으로 각각 유체 가이드부(30)의 높이를 중심부분보다 높게 형성할 수도 있고, 이에 의해, 전열 효율 증대, 강도 향상, 변형 및 응력집중 최소화, 내구성 및 내식성의 증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Preferably, as shown in Figure 3, the height in the cross-section of the fluid guide portion 30 may be formed as the fluid guide portion 30 toward the fluid inlet 12 or the fluid outlet 14, Since the grid pattern is provided, the height of the fluid guide portion 30 may be higher than the central portion in both directions (fluid inlet and fluid outlet directions), thereby increasing heat transfer efficiency, improving strength, deformation, and stress. Minimize concentration, increase durability and corrosion resistance.

또한, 이러한 유체 가이드부(30)의 높이를 변화시킴으로써, 유출 및 유입 경로 상의 유체 유동 흐름을 이동 경로의 구간 길이에 따라 유동 속도를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다.In addition, by changing the height of the fluid guide portion 30, it is possible to constantly adjust the flow rate of the fluid flow flow on the outflow and inflow path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section of the movement path.

즉, 도 3 에서와 같이, 긴 이동 경로를 가지는 구간(V1->V2->V3->V4 의 순), 즉 V1부분의 높이를 높게하고, 순차적(V2, V3, V4 순)으로 유체 가이드부(30)의 높이를 낮게 구성함으로써, 높은 높이를 가지는 유체 가이드부(30) 부분(V1)은 유동속도가 가장 높게 형성되며, 순차적으로 유동속도가 낮아짐으로써, 결과적으로 전체 구간(V1, V2, V3, V4)의 유체 이동 경로는 다르지만 유입속도 또는 유출속도는 오차범위 내에서 동일하도록 설정하여 정확하고 균등한 유체의 확산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높은 열교환 효율이 보장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3, the section having a long moving path (in order of V1-> V2-> V3-> V4), that is, the height of the V1 portion is increased, and the fluid guide in order (V2, V3, V4 order) By lowering the height of the part 30, the portion V1 of the fluid guide part 30 having the high height is formed with the highest flow rate, and as the flow rate is lowered sequentially, as a result, the entire sections V1 and V2. , V3, V4) fluid flow paths are different, but the inflow or outflow speed is set to be the same within the error range can be accurate and evenly spread of the fluid, thereby ensuring a high heat exchange efficiency.

연결부(40)는 유체 가이드부(30)에 의해 안내된 유체를 유체 유입구(12) 또는 유체 유출구(14)로 직접적으로 안내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구성으로 유체 가이드부(30)의 단부에서 유체 유입구(12) 또는 유체 유출구(14) 사이에 직선 형태의 유체 이동 경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The connection part 40 is configured to provide a path for guiding the fluid guided by the fluid guide part 30 directly to the fluid inlet 12 or the fluid outlet 14, and at the end of the fluid guide part 30. It is provided to form a straight fluid flow path between the 12 or the fluid outlet (14).

여기서, 연결부(40)의 형성방향은 유체 유입구(12) 또는 유체 유출구(14)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도 1 에서와 같이, 플레이트(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각각의 유입구 또는 유출구를 향해 대향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40 is formed in the direction toward the fluid inlet 12 or the fluid outlet 14, preferably as shown in Figure 1, each inlet or relative to the center line of the plate 10 or It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utlet.

전술한 구성으로 마련되는 플레이트(10)는 다수개가 대면적으로 적층되어 열교환기를 이루게되며, 적층에 따라 세브론부(20)와 유체 가이드부(30)와 연결부(40)가 유체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Plate 10 provided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a plurality of large area is stacked to form a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stacking Severon portion 20, the fluid guide portion 30 and the connection portion 40 is the path of fluid movement To form.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는 세브론부(20)의 기울기가 서로 상이한 제1, 2플레이트(10)의 상호간 결합 및 조합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by mutual coupling and combin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s 10, the inclination of the sebron portion 20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즉, 도 1 의 제1플레이트(10)를 짝수개로 마련한 후, 상호간 적층으로 결합시켜 제1집합플레이트(미도시)를 구성하고, 도 2 의 제2플레이트(10)를 짝수개로 마련한 후, 상호간 적층으로 결합시켜 제2집합플레이트(미도시)를 구성하고, 상기 제1집합플레이트와 제2집합플레이트를 서로 조합 및 결합시켜 상이한 열전달 채널을 구비하는 판형 열교환기를 구성할 수 있다.That is, after the first plate 10 of FIG. 1 is provided in even numbers, the first plate 10 in FIG. 2 is combined to form a first aggregate plate (not shown), and the second plate 10 of FIG. A second set plate (not shown) may be combined to form a stack, and the first set plate and the second set plate may be combined and combined with each other to form a plate heat exchanger having different heat transfer channels.

여기서, 제1플레이트의 경우, 세브론부(20)의 기울기가 제2플레이트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됨으로써, 제2플레이트에 비해 높은 난류 유동, 높은 열전달율, 정밀한 온도 제어라는 장점이 있지만, 높은 압력 손실이 발생한다는 단점도 있다. 또한, 제2플레이트의 경우, 세브론부(20)의 기울기가 제1플레이트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됨으로써, 제1플레이트에 비해 낮은 난류 유동, 낮은 열전달율이라는 단점이 있지만, 설정 온도의 빠른 근접 및 낮은 압력 손실이라는 장점이 있다. 그러므로, 전술한 각각 다른 특성의 플레이트를 짝수개로 구성하여 집합플레이트로 구성하고 집합된 플레이트를 설정 및 요구 사항에 적합하도록 조합하여 상이한 열전달 채널을 구비하는 판형 열교환기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Here, in the case of the first plate, since the inclination of the sebron portion 20 is formed to be relatively lower than the second plate, there are advantages such as higher turbulent flow, higher heat transfer rate, and precise temperature control than the second plate, but high pressure loss. There is also a disadvantage that this occurs.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second plate, since the inclination of the sebron portion 20 is formed relatively higher than the first plate, there are disadvantages of low turbulent flow and low heat transfer rate compared to the first plate, but quick proximity and low setting temperature There is an advantage of pressure los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plate heat exchanger having different heat transfer channels by constructing an even number of plates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as described above, which is composed of aggregate plates, and the aggregated plates are combined to suit the setting and requirements.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판형 열교환기는, 유체의 경로 흐름을 상이한 형상으로 마련되는 세브론부와 유체 가이드부와 연결부로 형성시킴으로써, 경로 흐름을 개선하고, 낮은 압력손실에서 높은 성능을 구비함과 동시에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고, 장치의 내구성도 증대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lat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path flow by forming the path flow of the fluid into the sebron portion, the fluid guide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provided in different shapes, and has high performance at low pressure loss. At the same tim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can be improved, and the durability of the device can be increased.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플레이트, 제1플레이트, 제2플레이트
12 : 유체 유입구 14 : 유체 유출구
20 : 세브론부
22 : 미세주름부분
30 : 유체 가이드부
40 : 연결부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0: plate, first plate, second plate
12: fluid inlet 14: fluid outlet
20: Sebron
22: fine wrinkles
30: fluid guide part
40: connection part

Claims (6)

모서리에 각각 유체 유입구와 유체 유출구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판상의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 중앙부분의 표면에 돌출부와 함몰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며, V자형 또는 물결 무늬가 반복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세브론부;
상기 세브론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유체 유입구 또는 유체 유출구가 형성된 방향으로 기울어진 격자 무늬 형상으로 마련되는 유체 가이드부; 및
상기 유체 가이드부의 단부에서 유체 유입구 또는 유체 유출구의 사이에 형성되는 선 형상의 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 가이드부의 단면상 높이는 상기 유체 가이드부가 상기 유체 유입구 또는 유체 유출구 방향으로 향할수록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열교환기.
A plate-shaped plate formed at a corner such that the fluid inlet and the fluid outle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evron portio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plate including a protrusion and a depression, and is provided in a V-shaped or wavy pattern repeated shape;
A fluid guide part provided in a lattice pattern inclined from an end portion of the sebron par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luid inlet port or the fluid outlet port is formed; And
A linear connection portion formed between a fluid inlet port or a fluid outlet port at an end of the fluid guide part; Including;
The cross-sectional height of the fluid guide portion is formed as the fluid guide portion toward the fluid inlet or fluid outlet direction is formed higher
Plate heat exchang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브론부의 돌출부와 함몰부는 라운드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열교환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recessed portion of the sebron portion are formed to be rounded.
Plate heat exchang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브론부는 세브론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미세주름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열교환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ebron portion further comprises one or more fine wrinkles protru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bron portion
Plate heat exchang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브론부는 세브론부의 길이방향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미세주름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열교환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ebron portion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fine wrinkle portion protru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bron portion
Plate heat exchang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브론부의 기울기가 서로 상이한 제1, 2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짝수의 제1플레이트의 적층에 의해 마련되는 제1집합플레이트와 짝수의 제2플레이트의 적층에 의해 마련되는 제2집합플레이트가 서로 조합 및 결합되어 상이한 열전달 채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판형 열교환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nd second plates of which the inclination of the Severon part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first assembly plate provided by the stacking of the even numbered first plate and the second assembly plate provided by the stacking of the even numbered second plate are combined and combined with each other to have different heat transfer channels.
Plate heat exchang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다수개가 상호 대면되도록 적층되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형 열교환기.
The method of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plates are stacked and provided so as to face each other.
Plate heat exchanger.
KR1020130076508A 2013-07-01 2013-07-01 Plate-type heat exchanger Expired - Fee Related KR1013156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6508A KR101315648B1 (en) 2013-07-01 2013-07-01 Plate-type heat exchang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6508A KR101315648B1 (en) 2013-07-01 2013-07-01 Plate-type heat exchang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5648B1 true KR101315648B1 (en) 2013-10-08

Family

ID=49637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6508A Expired - Fee Related KR101315648B1 (en) 2013-07-01 2013-07-01 Plate-type heat exchang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64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5104A (en) 2015-07-31 2017-02-08 주식회사 엘에치이 heat plate for plate type heat exchanger
KR20170116372A (en) 2016-04-11 2017-10-19 주식회사 엘에치이 heat exchanger plate for plate type heat exchang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0386A (en) * 1994-03-28 1995-10-13 Hisaka Works Ltd Plate heat exchanger
KR20100094236A (en) * 2009-02-18 2010-08-26 (주)지아노니 두발 Heat-exchanging plates and a hot-water heat exchanger with the plates
KR20110005913A (en) * 2008-06-13 2011-01-19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Heat exchanger
KR20110048340A (en) * 2009-11-02 2011-05-11 (주) 루텍 Heat exchanger plate for plate heat exchanger and single unit heat exchanger plat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0386A (en) * 1994-03-28 1995-10-13 Hisaka Works Ltd Plate heat exchanger
KR20110005913A (en) * 2008-06-13 2011-01-19 알파 라발 코포레이트 에이비 Heat exchanger
KR20100094236A (en) * 2009-02-18 2010-08-26 (주)지아노니 두발 Heat-exchanging plates and a hot-water heat exchanger with the plates
KR20110048340A (en) * 2009-11-02 2011-05-11 (주) 루텍 Heat exchanger plate for plate heat exchanger and single unit heat exchanger plat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5104A (en) 2015-07-31 2017-02-08 주식회사 엘에치이 heat plate for plate type heat exchanger
KR101847625B1 (en) * 2015-07-31 2018-04-11 주식회사 엘에치이 heat plate for plate type heat exchanger
KR20170116372A (en) 2016-04-11 2017-10-19 주식회사 엘에치이 heat exchanger plate for plate type heat exchang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33973B2 (en) Heat exchanger plate and heat exchanger
EP2455695B1 (en) Heat exchanger
EP2455694A2 (en) Heat exchanger
KR101206858B1 (en) Heat exchanging plate and plate-type heat exchanger configurating to stack the same
JP2015535585A (en) Fin-tube heat exchanger
US6286588B1 (en) Evaporator
CN103868380A (en) Plate heat exchanger
JP2019530845A (en) Heat exchange plate and heat exchanger
EP2682703A1 (en) Plate for heat exchanger, heat exchanger and air cooler comprising a heat exchanger.
CN103512400B (en) Plate and tube type heat exchanger
JP6659374B2 (en) Heat exchanger and heat exchange method
JP5100860B2 (en) Plate heat exchanger
EP2246655A1 (en) Heat exchanger
KR20180060262A (en) Plate heat exchanger
EP2682702A1 (en) Plate for heat exchanger, heat exchanger and air cooler comprising a heat exchanger.
KR101315648B1 (en) Plate-type heat exchanger
JP4874365B2 (en) Plate heat exchanger and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using the heat exchanger
JP2013029296A (en) Header plateless heat exchanger
KR101163995B1 (en) Oilcooler
CN105674629A (en) Microchannel heat exchanger and heat pump water heater
CN210400089U (en) Microchannel heat exchanger of reinforcing heat transfer in coordination
CN114608368A (en) Heat exchanger
KR101315594B1 (en) Plate-type heat exchanger
KR101579540B1 (en) Improved Primary Surface Heat Exchanger for Micro Gas Turbine
CN215766636U (en) Heat exchan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0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9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9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