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47433B1 - 렌즈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렌즈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433B1
KR101847433B1 KR1020160077067A KR20160077067A KR101847433B1 KR 101847433 B1 KR101847433 B1 KR 101847433B1 KR 1020160077067 A KR1020160077067 A KR 1020160077067A KR 20160077067 A KR20160077067 A KR 20160077067A KR 101847433 B1 KR101847433 B1 KR 101847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member
moving body
hub
magnet
corner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7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3197A (ko
Inventor
한민석
박준열
Original Assignee
(주)알비케이이엠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비케이이엠디 filed Critical (주)알비케이이엠디
Priority to KR1020160077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433B1/ko
Publication of KR20170143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3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43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10Bifocal lenses; Multifocal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 두 곳의 코너부에 코일부재와 마그네트를 각각 구비함으로써, 크기를 소형화 하면서 효율을 증가시켜 구동력이 향상시킬 수 있는 렌즈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렌즈 구동장치는, 이미지모듈에 장착되는 허브; 상기 허브에 고정 장착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며, 렌즈가 장착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대각선 방향으로 제1코너부가 각각 구비된 이동체; 상기 허브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체를 감싸는 스페이서; 상기 제1코너부에 각각 장착되는 환형의 코일부재; 상기 코일부재의 측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코일부재 방향으로 갈수록 너비가 점점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마그네트; 를 포함하되,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코일부재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넓어지는 일단과, 상기 코일부재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타단으로 극성이 분리된다.

Description

렌즈 구동장치{Lens driving device}
본 발명렌즈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 단말기 등에 장착되는 소형 카메라의 초점 조절을 위해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렌즈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은 휴대단말기와 같은 소형 전자기기 등에 장착되고,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의 초점을 조절하기 위하여 렌즈를 이송하는 이송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0961127호에는 휴대단말기 등의 카메라 장치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카메라 모듈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의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10), 고정유닛(20), 이동유닛(30) 및 렌즈가 수용되는 렌즈배럴(31)로 이루어진다.
고정유닛(20)은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고, 고정지지부재(21)와, 고정지지부재(21)의 일측에 구비되는 코일부재(24)와, 고정지지부재(21)의 타측에 구비되는 자성부재(23)로 이루어진다.
이동유닛(30)은 고정유닛(20)에 대해 소정의 자기력에 의해 지지되어 이동하도록 구비되어 렌즈배럴(31)을 광축을 따라 이동시키고, 고정지지부재(21)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동지지부재(32)와, 이동지지부재(32)에 구비되어 자성부재(23)에 대한 자기력에 의해 고정지지부재(21)에 밀착되도록 지지하고 코일부재(24)와의 전자기적 영향력에 의해 이동지지부재(32)를 이동시키는 마그네트부재(3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고정지지부재(21)에는 제1지지면(21a)이 구비되고, 이동지지부재(32)에는 제2지지면(32a)이 구비된다.
제1지지면(21a)과 제2지지면(32a) 사이에는 이동지지부재(32)의 이동을 지지하는 볼부재(35)가 구비된다.
이러한 종래의 카메라 모듈은 제1지지면(21a)과 제2지지면(32a) 사이에 구비되는 볼부재(35)에 의해 고정유닛(20)에 대한 이동유닛(30)의 구동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지만, 이동유닛(30)의 이동시에 좌우 이동 변위의 차이에 따라 이동유닛(30)의 좌우 높낮이가 틀어지거나 측방향으로 유동하여 렌즈 광축이 틀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렌즈 광축의 틀어짐은 볼부재(35)에 의해 지지되는 이동유닛(30)의 좌우 부분에 작용하는 마찰력의 차이 또는 제1지지면(21a), 제2지지면(32a), 볼부재(35) 등의 가공 오차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으며, 카메라의 성능 및 내구성을 떨어드리거나 촬영된 이미지의 품질 저하를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 두 곳의 코너부에 코일부재와 마그네트를 각각 구비함으로써, 크기를 소형화 하면서 효율을 증가시켜 구동력이 향상시킬 수 있는 렌즈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렌즈 구동장치는, 이미지모듈에 장착되는 허브; 상기 허브에 고정 장착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며, 렌즈가 장착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대각선 방향으로 제1코너부가 각각 구비된 이동체; 상기 허브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체를 감싸는 스페이서; 상기 제1코너부에 각각 장착되는 환형의 코일부재; 상기 코일부재의 측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코일부재 방향으로 갈수록 너비가 점점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마그네트; 를 포함하되,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코일부재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넓어지는 일단과, 상기 코일부재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타단으로 극성이 분리된다.
상기 스페이서를 감싸는 커버부재;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재에는 환형의 상기 코일부재의 중심부에 삽입되도록 하방향으로 돌출된 요크부가 형성된다.
상기 이동체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볼부재;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동체에는 상기 제1코너부와 대칭되는 대각선 방향으로 제2코너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볼부재는 상기 제2코너부와 상기 스페이서 사이에 장착된다.
상기 제2코너부에는 상기 볼부재가 각각 하나씩 삽입 배치되는 제1볼가이드부와 제2볼가이드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볼가이드부와 상기 제2볼가이드부는 상하 배치되되 수평 방향으로 상호 엇갈리게 배치된다,
상기 이동체의 상기 제1코너부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마그네트와의 인력에 의해 상기 이동체에 회전력을 유도하는 유도부재; 를 더 포함한다.
상기 허브와 상기 이동체를 연결하여 상기 이동체를 상기 허브에 대해 상하 이동되게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를 더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렌즈 구동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 두 곳의 코너부에 코일부재와 마그네트를 각각 구비함으로써, 크기를 소형화 하면서 코일의 사용 부분을 최대화하여 종래 코일 구조 대비하여 효율을 증가시키고, 이로 인해 구동력이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제1코너부에 상기 코일부재를 각각 배치하고, 상기 제3코너부에 상기 마그네트를 각각 배치하되, 상기 마그네트를 상기 코일부재 방향으로 갈수 너비가 점점 넓어지는 일단과 상기 코일부재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타단으로 극성을 분리되게 함으로써, 전체적인 제품을 소형화 하면서 2곳에 상기 코일부재와 상기 마그네트를 배치하여 구동력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별도의 요크를 조립할 필요 없이 상기 커버부재에 상기 요크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조립을 편리하게 하고, 제조 공정을 감소시켜 생산성이 증가되며, 구동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이동체의 제2코너부에 상하 및 수평 방향으로 엇갈리게 형성된 상기 제1볼가이드부와 상기 제2볼가이드부를 형성하여 총 4개의 상기 볼부재들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적은 공간으로 안전적으로 상기 이동체를 가이드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유도부재가 각각 상기 코일부재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되게 구비됨으로써, 영구적으로 상기 이동체에 회전력이 가해지도록 하여 상기 이동체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렌즈의 구동시 흔들림이 감소되고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의 일부를 절개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B-B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는 허브(100), 탄성부재(200), 이동체(300), 스페이서(400), 코일부재(500), 마그네트(600), 커버부재(700), 볼부재(800) 및 유도부재(900)로 이루어진다.
상기 허브(100)는 피사체의 영상을 전자 데이터로 변환하는 이미지모듈의 상부에 고정 장착되는 것으로,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은 이미지모듈에 피사체를 투영하기 위해 원형으로 개방 형성된다.
상기 탄성부재(200)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후술할 상기 이동체(300)를 상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상기 허브(100)에 고정되는 제1결합부(210)와, 후술할 상기 이동체(300)에 고정되는 제2결합부(220) 및 상기 제1결합부(210)와 상기 제2결합부(220)를 연결하며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탄성부(230)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200)는 3개로 구성되며, 이중 2개는 후술할 상기 코일부재(50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상기 이미지모듈과 연결되는 단자부(240)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이동체(300)는 전체적으로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200)의 제2결합부(220)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하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또한, 상기 이동체(300)의 중앙에는 렌즈가 장착되는 관통홀(310)이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관통홀(310)을 중심으로 하는 대각선 방향으로 제1코너부(320)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코너부(320)와 교차되는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제2코너부(330)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코너부(320)는 후술할 상기 코일부재(500)가 장착되는 부분으로, 상면에는 상기 코일부재(500)의 중앙에 삽입되는 중심돌기(321)가 형성된다.
상기 제2코너부(330)는 상기 제1코너부(320)와 약 90도 각도 이격되게 배치되며, 후술할 상기 볼부재(800)가 삽입되는 제1볼가이드부(331)와 제2볼가이드부(3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볼가이드부(33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에서 바라볼 때 사다리꼴 형상으로 개방된 부분으로, 후술할 상기 스페이서(400)의 내측면의 사이에 상기 볼부재(800)가 1개 삽입될 정도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2볼가이드부(332)는 상기 제1볼가이드부(331)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1볼가이드부(331)와 수평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볼가이드부(331)와 마찬가지로 사다리꼴 형상으로 개방되며, 후술할 상기 스페이서(400)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상기 볼부재(800)가 1개 삽입될 정도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제1볼가이드부(331)는 상기 제2볼가이드부(332)는 상하 배치되되 수평 방향으로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스페이서(400)는 상기 허브(100)의 상부에 배치면서 상기 이동체(300)의 외측을 감싸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페이서(400)는 상하 관통된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코너부(320)에 대응되는 대각선 방향으로 제3코너부(410)가 형성되고, 상기 제2코너부(330)에 대응되는 대각선 방향으로는 상기 제1볼가이드부(331) 및 상기 제2볼가이드와 수평 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후술할 상기 볼부재(800)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4코너부(420)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4코너부(420)에는 상기 이동체(300)의 일부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개방홈(421)이 형성되며, 상기 제4코너부(420)의 하단은 상기 허브(100)의 상부에 위치한 상기 탄성부재(200)의 제1결합부(210) 및 제2결합부(220)와 접하여 상기 허브(100) 방향으로 가압 적층 된다.
상기 코일부재(500)는 수평방향으로 환형으로 감긴 형태이며, 2개로 이루어져 상기 제1코너부(320)에 각각 장착된다.
즉, 상기 코일부재(500)는 상기 제1코너부(320)의 상기 중심돌기(321)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으로 감긴 타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마그네트(600)는 둘레를 따라 3개의 평면을 갖는 삼각통형으로 형성되며, 2개로 이루어져 상기 스페이서(400)의 제3코너부(410)의 하단에 각각 하나씩 장착되고, 상기 코일부재(500)의 측부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마그네트(600) 어느 한 측면이 상기 코일부재(500)의 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코일부재(500)의 반대 방향으로 갈수록 너비가 점점 좁아지게 된다.
즉 상기 마그네트(600)는 상기 코일부재(500) 방향으로 갈수록 너비가 점점 넓어지는 형상이 된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600)는 상기 코일부재(500)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넓어지는 일단과, 상기 코일부재(500)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타단으로 극성이 분리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코너부(320)에 상기 코일부재(500)를 각각 배치하고, 상기 제3코너부(410)에 상기 마그네트(600)를 각각 배치하되, 상기 마그네트(600)를 상기 코일부재(500) 방향으로 갈수 너비가 점점 넓어지는 일단과 상기 코일부재(500)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타단으로 극성을 분리되게 함으로써, 전체적인 제품을 소형화하면서 2곳에 상기 코일부재(500)와 상기 마그네트(600)를 배치하여 구동력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상기 커버부재(700)는 상기 스페이스를 감싸게 장착되어 제품을 보호하면서 상기 스페이서(400)를 상기 허브(100) 방향으로 밀착 고정시키는 것으로, 육면체의 쉘 형태로 형성되고, 중앙이 상하 관통된다.
이러한 상기 커버부재(700)는 자성체 재질로 이루어지며, 내주면에는 상기 코일부재(500)의 중심부에 삽입되는 요크부(710)가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요크부(710)는 상기 코일부재(500)의 중심부에 각각 삽입되어 전자기력을 향상시키는 요크의 기능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별도의 요크를 조립할 필요 없이 상기 커버부재(700)에 상기 요크부(710)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조립을 편리하게 하고, 제조 공정을 감소시켜 생산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상기 볼부재(800)는 원형의 구 형상이며, 총 4개로 이루어지고, 2군데의 상기 제2코너부(330)의 제1볼가이드부(331)와 제2볼가이드부(332)에 각각 한개씩 삽입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볼부재(800)는 상기 이동체(300)의 상하 이동시 상기 스페이서(400)의 제4코너부(420)와 접한 상태로 회전하여 상하 이동시 마찰을 감소시키고 흔들림을 방지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볼가이드를 갖는 종래의 렌즈 구동장치들은, 이동체(300)의 둘레를 따라 볼부재(800)를 최소 4곳에 분산 배치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경우 볼부재(800)가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제품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는, 상기 이동체(300)의 제2코너부(330)에 상하 및 수평 방향으로 엇갈리게 형성된 상기 제1볼가이드부(331)와 상기 제2볼가이드부(332)를 형성하여 총 4개의 상기 볼부재(800)들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적은 공간으로 안전적으로 상기 이동체(300)를 가이드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제1볼가이드부(331)와 상기 제2볼가이드부(332)가 상하 배치되되 수평 방향으로 엇갈리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볼가이드부(331)와 상기 제2볼가이드부(332)의 높이차가 0이 되어 전체적인 제품의 높이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발생 된다.
한편, 상기 유도부재(900)는 2개로 이루어져 상기 제1코너부(320)에 각각 고정 장착되며, 자석에 붙는 자성체 재질로 이루어져 인력에 의해 상기 이동체(300)를 상기 마그네트(600)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힘을 가하게 된다.
여기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상기 유도부재(900)는 상기 코일부재(500)의 좌측에 배치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의 상기 유도부재(900)는 상기 코일부재(500)의 우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유도부재(900)는 상기 이동체(300)의 제1코너부(320)를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고, 여기에서 상기 볼부재(800)에 의해 상기 제2코너부(330)가 구속됨에 따라 상기 이동체(300)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력이 가해지는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유도부재(900)가 각각 상기 코일부재(500)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되게 구비됨으로써, 영구적으로 상기 이동체(300)에 회전력이 가해지도록 하여 상기 이동체(300)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렌즈의 구동시 흔들림이 감소되고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 된다.
위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부재(50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마그네트(600)와 상기 코일부재(500)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에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이동체(300)가 광축 방향으로 상하 이동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이동체(300)는 상기 유도부재(900)에 의해 시계방향을 회전력이 작용되고 있는 상태이며, 상기 이동체(300)가 광축 기준으로 상하 이동함에 따라 상기 볼부재(800)는 상기 이동체(300) 및 상기 스페이서(400) 사이에서 회전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장치는,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 두 곳의 코너부에 코일부재(500)와 마그네트(600)를 각각 구비함으로써, 크기를 소형화 하면서 효율을 증가시켜 구동력이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제1코너부(320)에 상기 코일부재(500)를 각각 배치하고, 상기 제3코너부(410)에 상기 마그네트(600)를 각각 배치하되, 상기 마그네트(600)를 상기 코일부재(500) 방향으로 갈수 너비가 점점 넓어지는 일단과 상기 코일부재(500)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타단으로 극성을 분리되게 함으로써, 전체적인 제품을 소형화 하면서 2곳에 상기 코일부재(500)와 상기 마그네트(600)를 배치하여 구동력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별도의 요크를 조립할 필요 없이 상기 커버부재(700)에 상기 요크부(710)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조립을 편리하게 하고, 제조 공정을 감소시켜 생산성이 증가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이동체(300)의 제2코너부(330)에 상하 및 수평 방향으로 엇갈리게 형성된 상기 제1볼가이드부(331)와 상기 제2볼가이드부(332)를 형성하여 총 4개의 상기 볼부재(800)들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함으로써, 적은 공간으로 안전적으로 상기 이동체(300)를 가이드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또한, 상기 유도부재(900)가 각각 상기 코일부재(500)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되게 구비됨으로써, 영구적으로 상기 이동체(300)에 회전력이 가해지도록 하여 상기 이동체(300)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렌즈의 구동시 흔들림이 감소되고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 된다.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부속 청구 범위의 사상 및 영역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 허브 200 : 탄성부재
210 : 제1결합부 220 : 제2결합부
230 : 탄성부 240 : 단자부
300 : 이동체 310 : 관통홀
320 : 제1코너부 321 : 중심돌기
330 : 제2코너부 331 : 제1볼가이드부
332 : 제2볼가이드부 400 : 스페이서
410 : 제3코너부 420 : 제4코너부
421 : 개방홈 500 : 코일부재
600 : 마그네트 700 : 커버부재
710 : 요크부 800 : 볼부재
900 : 유도부재

Claims (6)

  1. 삭제
  2. 이미지모듈에 장착되는 허브;
    상기 허브에 배치되어 상하 구동되며, 렌즈가 장착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대각선 방향으로 제1코너부가 각각 구비된 이동체;
    상기 허브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체를 감싸는 스페이서;
    상기 제1코너부에 각각 장착되는 환형의 코일부재;
    상기 코일부재의 측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코일부재 방향으로 갈수록 너비가 점점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마그네트; 를 포함하되,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코일부재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넓어지는 일단과, 상기 코일부재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타단으로 극성이 분리되며;
    상기 스페이서를 감싸는 커버부재;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커버부재에는 환형의 상기 코일부재의 중심부에 삽입되도록 하방향으로 돌출된 요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3. 이미지모듈에 장착되는 허브;
    상기 허브에 배치되어 상하 구동되며, 렌즈가 장착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대각선 방향으로 제1코너부가 각각 구비된 이동체;
    상기 허브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이동체를 감싸는 스페이서;
    상기 제1코너부에 각각 장착되는 환형의 코일부재;
    상기 코일부재의 측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코일부재 방향으로 갈수록 너비가 점점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마그네트; 를 포함하되,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코일부재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넓어지는 일단과, 상기 코일부재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는 타단으로 극성이 분리되며;
    상기 이동체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볼부재;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동체에는 상기 제1코너부와 대칭되는 대각선 방향으로 제2코너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볼부재는 상기 제2코너부와 상기 스페이서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제2코너부에는 상기 볼부재가 각각 하나씩 삽입 배치되는 제1볼가이드부와 제2볼가이드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볼가이드부와 상기 제2볼가이드부는 상하 배치되되 수평 방향으로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4. 삭제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의 상기 제1코너부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마그네트와의 인력에 의해 상기 이동체에 회전력을 유도하는 유도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와 상기 이동체를 연결하여 상기 이동체를 상기 허브에 대해 상하 이동되게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구동장치.
KR1020160077067A 2016-06-21 2016-06-21 렌즈 구동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847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067A KR101847433B1 (ko) 2016-06-21 2016-06-21 렌즈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7067A KR101847433B1 (ko) 2016-06-21 2016-06-21 렌즈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3197A KR20170143197A (ko) 2017-12-29
KR101847433B1 true KR101847433B1 (ko) 2018-04-10

Family

ID=60939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7067A Expired - Fee Related KR101847433B1 (ko) 2016-06-21 2016-06-21 렌즈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4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4620B1 (ko) * 2018-05-11 2021-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용 카메라
WO2019216590A1 (en) 2018-05-11 2019-11-14 Lg Electronics Inc. Camera for electronic device
CN120322726A (zh) * 2022-12-01 2025-07-15 Lg伊诺特有限公司 相机致动器和包括该相机致动器的相机模块
KR20240112692A (ko) * 2023-01-12 2024-07-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장치 및 광학기기
KR20240128372A (ko) * 2023-02-17 2024-08-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장치 및 광학기기
CN119865018A (zh) * 2023-10-13 2025-04-22 荣耀终端股份有限公司 一种马达、摄像头模组和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33186A (ja) * 2011-07-01 2013-02-14 Shicoh Engineerin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及び携帯端末装置
JP2015081991A (ja) * 2013-10-22 2015-04-27 新シコー科技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33186A (ja) * 2011-07-01 2013-02-14 Shicoh Engineerin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及び携帯端末装置
JP2015081991A (ja) * 2013-10-22 2015-04-27 新シコー科技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3197A (ko) 2017-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7433B1 (ko) 렌즈 구동장치
JP6923616B2 (ja) ボイスコイルモーター
KR101170714B1 (ko) 자동 초점 엑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8736988B2 (en) Compact imaging device
US9632280B2 (en) Lens actuator having autofocus function and hand-shake correction function
US10018800B2 (en) Lens driving apparatus
JP6273491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8191332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KR20110008714U (ko) 렌즈 초점 조절장치
KR20110008478U (ko) 카메라 모듈용 베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렌즈 액츄에이터
CN105324712A (zh) 相机模块
US11215786B2 (en) Lens driving device
JP2010197826A (ja) レンズ駆動装置
JP2011203475A (ja) レンズ駆動装置
KR101886386B1 (ko) 렌즈 구동장치
JP6192909B2 (ja) ボイスコイルモータ
KR101185303B1 (ko) 렌즈 초점 구동장치
WO2010084702A1 (ja) レンズ駆動装置
KR101253846B1 (ko) 보이스 코일 모터
CN113194244A (zh) 光学元件驱动机构的上盖
KR101026195B1 (ko) 소형 카메라 모듈
KR20120065493A (ko) 보이스 코일 모터
JP5779515B2 (ja) アクチュエータ機構、カメラモジュール、およびカメラ
KR20200075212A (ko) 광학 이미지 보정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CN110908064A (zh) 三角形透镜驱动马达及具备它的照相装置与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21040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0405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