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47090B1 - 누설 및 누설위치 감지 센서 - Google Patents

누설 및 누설위치 감지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090B1
KR101847090B1 KR1020160001641A KR20160001641A KR101847090B1 KR 101847090 B1 KR101847090 B1 KR 101847090B1 KR 1020160001641 A KR1020160001641 A KR 1020160001641A KR 20160001641 A KR20160001641 A KR 20160001641A KR 101847090 B1 KR101847090 B1 KR 101847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line
leakage
sensing
line
resistance valu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1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1548A (ko
Inventor
최기환
Original Assignee
최기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기환 filed Critical 최기환
Priority to KR1020160001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090B1/ko
Publication of KR20170081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09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6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by means of cables or similar elongated devices, e.g. ta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liquid
    • G01N27/07Construction of measuring vessels; Electrode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22Measuring resistance of flui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설 감지 센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테이프 형태로서 장거리 배치가 가능하며, 아울러 액체의 누설된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 누설 및 누설위치 감지 센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 쌍의 감지라인의 라인저항값을 다르게 함으로써 누설된 위치의 거리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가 크게 발생하도록 하여 누설은 물론 누설된 위치까지 정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누설 및 누설위치 감지 센서{Sensor for detecting Leak and location}
본 발명은 누설 감지 센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테이프 형태로서 장거리 배치가 가능하며, 아울러 액체의 누설된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 누설 및 누설위치 감지 센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도전성을 갖는 액체의 누설을 감지하기 위하여 테이프 형태의 센서가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테이프 방식의 센서는 누설이 발생되는 벽이나 바닥 등에 부착되어 고정됨으로써 누설되어 낙하되는 액체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일반적인 테이프형 누설센서(100)의 구조를 보인 도로서, 합성수지재로 된 테이프 형태의 베이스 기재(110)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한 쌍의 도전성을 갖는 감지라인(120,130)이 전자인쇄방식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전성을 갖는 액체의 누설이 발생하여 그 누설된 액체에 의해 두 감지라인(120,130)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원격의 컨트롤러에서는 이의 전기적 연결상태를 판단하여 누설을 감지하게 된다.
즉, 두 감지라인(120,130) 사이가 누설에 의하여 저항값의 변화를 가져오게 되면, 컨트롤러에서 그 저항값의 변화에 의해 누설여부를 판단하게 되며, 또한 그 저항값의 크기에 의해 누설된 위치를 판단하게 된다.
누설된 위치가 컨트롤러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 발생하였다면, 가까운 위치보다 저항값의 변화가 크게 발생하게 되므로 그 저항값의 크기를 거리로 환산하여 누설된 위치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누설된 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저항값의 크기를 감지하는 구조로서, 이는 감지라인(120,130)의 고유저항값이 어느 위치에서나 균일하게 가지는 경우에 정확한 위치를 쉽게 판단할 수 있지만, 사실상 균일한 저항값을 가지도록 감지라인(120,130)을 형성하기가 매우 어렵다.
다시 말하면, 수십미터에서 수백미터로 테이프형 누설센서(100)가 설치된 경우에 감지라인(120,130) 상에서 누설이 발생하게 되면, 그 누설에 의한 저항값의 변화는 감지라인(120,130)의 고유저항값의 불균일한 값보다 작기 때문에 저항값의 변화에 따른 거리값에 따라 누설된 위치를 정확히 판단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누설여부는 확인할 수 있지만 누설된 위치를 원격의 컨트롤러에서 정확히 판단하기란 매우 어렵게 된다.
그러므로, 누설에 대하여 신속한 조치가 힘들게 되므로, 유독성 물질의 누설인 경우에 이로 인한 인적 및 물적 피해는 환경 피해까지 확대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10-0827385 등록특허 10-0909242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 쌍의 감지라인의 라인저항값을 다르게 함으로써 누설된 위치의 거리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가 크게 발생하도록 하여 누설은 물론 누설된 위치까지 정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누설 및 누설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누설 및 누설위치 감지 센서는,
합성수지재로 된 테이프 형태의 베이스 기재;
상기 베이스 기재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도전성의 제1감지라인;
상기 베이스 기재의 상부면에서 상기 제1감지라인과 나란히 형성되며, 상기 제1감지라인과 다른 저항값을 갖는 제2감지라인;
상기 제1감지라인의 측부에 나란히 형성되고, 그 단부가 제1감지라인과 연결되어 감지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원라인;
상기 제2감지라인의 측부에 나란히 형성되고, 그 단부가 제2감지라인과 연결되어 감지전원을 공급하는 제2전원라인;
상기 제1전원라인과 제2전원라인을 각각 상기 제1감지라인과 제2감지라인과 절연시키는 절연층;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액체의 누설은 물론 누설된 위치까지 정확히 감지할 수 있어서, 누설에 대한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적 및 물적 피해, 그리고 환경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일반적인 누설 센서의 구조를 보인 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센서의 구조를 보인 도.
도3은 본 발명의 다양한 단면 구조를 보인 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센서에 의해 거리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
도6은 누설된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설명을 위한 도.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센서(200)의 구조를 보인 도로서, 합성수지재로 된 필름형태의 베이스 기재(210)의 상부면에서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제1감지라인(230), 제2감지라인(240)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제1 및 제2감지라인(230,240)은 도전성의 재질인 은, 구리, 카본, 니켈, 전도성을 갖는 금속 등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감지라인(230)과 제2감지라인(240)의 양측 외측으로는 제1전원라인(220)과 제2전원라인(250)이 나란히 형성되며, 이러한 제1 및 제2전원라인(220,250)도 마찬가지로 도전성을 갖는 은, 구리, 카본, 니켈, 전도성을 갖는 금속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베이스 기재(210)의 타측단부에서 제1감지라인(230)과 제1전원라인(220)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커넥터 등에 의해 커넥팅(C1)되고, 제2감라인(240)과 제2전원라인(250)도 마찬가지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커넥팅(C2)된다.
한편, 제1감지라인(230)과 제2감지라인(240)은 단위면적당 서로 동일한 저항값을 가지게 되지만, 제1감지라인(230)의 폭이 전체적으로 제2감지라인(240)보다 좁게 형성됨으로써 라인저항값이 커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물론, 제1감지라인(230)과 제2감지라인(240)의 폭이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제1감지라인(230)이 제2감지라인(240)보다 저항값이 높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어야 한다.
베이스 기재(210)의 일측단부는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됨으로써 제1전원라인(220)과 제2전원라인(250)에 누설 감지를 위한 전원을 공급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컨트롤러는 제1감지라인(230)과 제2감지라인(240)의 저항값을 검출하여 누설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아울러, 제1전원라인(220)가 제2전원라인(250)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제1감지라인(230) 및 제2감지라인(240)과는 절연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도3(a)에서와 같이 제1감지라인(230) 및 제2감지라인(240)의 상부와 측부로 절연층(260,270)이 형성된다.
이러한 절연층(260,270)은 절연물질에 의한 코팅, 합지 등에 의해 형성되며, 제1감지라인(230)과 제2감지라인(240)은 노출된 상태를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절연층(260,270)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측으로는 매쉬, 우레탄이나 에폭시 등의 합성수지에 의한 흡착 또는 코팅 형태로 된 보호층(280)이 부착되는데, 이러한 보호층(280)은 절연층(260,270)이 형성된 베이스 기재(210)의 상부면 전체를 덮도록 형성된다.
도3(b)는 절연층(260,270)의 또다른 형태를 보인 도로서, 절연층(260)이 제1전원라인(220)의 전체와 제1감지라인(230)의 일부를 연이어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다른 절연층(270)은 제2전원라인(250)의 전체와 제2감지라인(240)의 일부를 연이어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 구조이다.
즉, 제1감지라인(230)과 제2감지라인(240)을 폭방향으로 일부만을 노출시키도록 형성된 구조로서, 이러한 구조는 제1감지라인(230)과 제2감지라인(240)이 외부로의 노출을 최소화 시킴으로써 외적인 요소 예를 들면, 스크래치, 이물질, 충격 등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며, 오동작에 의한 경보를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절연층(260,270)의 상측으로는 메쉬 형태의 보호층(280)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보호층(280)의 다른 형태로서, 도3(c)와 같이 절연층(260,270)이 형성된 베이스 기재(210)의 상부면 전체를 덮도록 필름재질 또는 우레탄이나 에폭시 등에 의한 흡착 또는 코팅 형태로 된 보호층(290)이 형성되며, 제1감지라인(230)과 제2감지라인(240)이 형성된 부위에는 베이스 기재(21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노출공(291)이 형성되어 제1감지라인(230)과 제2감지라인(240)이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누설 감지 동작을 설명한다.
도2에서와 같이 도전성 용액의 누설이 발생하여 'L1'위치 또는 'L2'위치에 누설용액이 떨어지면, 제1감지라인(230)과 제2감지라인(240)이 서로 전기적으로 통전됨으로써 제1감지라인(230)과 제2감지라인(240) 상에 저항값의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저항값의 변화를 컨트롤러에서 입력받아 누설이 발생하기 전의 초기의 저항값과 다르게 되면, 이는 누설이 발생한 것이므로 경보 등의 조치를 취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센서(100)는 누설되는 위치 즉, 컨트롤러로부터 누설된 위치까지의 거리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데, 제1감지라인(230)과 제2감지라인(240)의 저항값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4에서와 같이 거리에 따라 저항값의 변화가 크게 나타난다.
즉, 'L1'의 위치와 'L2'의 위치에서의 저항값의 변화는 균일하게 증가하지 않고, 제1감지라인(230)의 저항값이 제2감지라인(240)의 저항값보다 훨씬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두 감지라인(230,240)의 저항값의 크기는 그 위치에 따라 변화폭이 크게 나타나는 것이다.
따라서, 컨트롤러에서 바라볼 때 'L1'위치보다 'L2'위치의 저항값이 누설된 위치의 거리에 비례한 값보다 크게 증가하므로, 콘트롤러는 이러한 저항값의 큰 변화에 의하여 정확한 누설 위치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종래에는 두 감지라인이 동일한 저항값으로 형성됨으로써 누설된 위치에 따라 저항값의 변화가 크게 발생하지 않게 되어, 그 적은 저항값의 변화에 의해 누설된 위치를 판단하기가 매우 어려웠지만, 본 발명에서는 도4에서와 같이 누설 위치에 따른 거리보다 두 감지라인(230,240)의 저항값이 훨씬 크게 나타나므로, 이 저항값의 차이에 의하여 누설된 위치 즉 거리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300)를 보인 도로서, 베이스 기재(310)의 상부면에 3개의 감지라인(320,330,340)이 서로 나란히 형성되는데, 제1감지라인(320)과 제3감지라인(340)은 저항값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고, 제2감지라인(330)은 제1감지라인(320)과 제3감지라인(340) 보다 크거나 작게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각 감지라인(320,330,340)은 그 단부가 서로 연결되지 않는 개회로 구조이며, 제1감지라인(320)과 제3감지라인(340)의 일측단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커넥터가 연결되게 된다.
따라서 제1감지라인(320)부터 제3감지라인(340)에 걸쳐서 누설(L)이 발생하며, 그 누설(L)에 의해 감지라인(320,330,340)이 폐회로로 구성됨으로써 누설(L)을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누설(L) 감지에 의하여 누설된 위치를 감지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제1감지라인(320)과 제3감지라인(340)의 라인 저항값이 0Ω이고, 제2감지라인(330)의 저항값이 1MΩ/1m이며, 누설된 액체가 각 감지라인(320,330,340)에 미치는 저항값이 500Ω으로 동일하다고 가정한다면, 'L'위치에서 누설이 발생한 경우에 제1감지라인(320)과 제3감지라인(340)의 라인 저항값이 500Ω이고, 제1감지라인(320)과 제2감지라인(330)의 저항값은 3000kΩ이며, 제2감지라인(330)과 제3감지라인(340)의 저항값은 3200kΩ이 된다.
따라서, 제2감지라인(220)과 제1감지라인(320) 사이에는 2500kΩ의 저항값 차이가 발생하고, 제2감지라인(220)과 제3감지라인(340) 사이에는 2700kΩ의 저항값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제2감지라인(220)은 1m당 1000kΩ의 저항값을 가지고 있으므로, 제2감지라인(220)과 제1감지라인(320) 사이의 저항값인 2500kΩ에 의해 베이스 기재(310)의 2.5m 위치에서 누설이 발생한 것을 판단되고, 제2감지라인(220)과 제3감지라인(340) 사이의 저항값인 2700kΩ에 의해 베이스 기재(310)의 2.7m 위치에서 누설이 발생한 것을 판단된다.
그러므로, 2.5m와 2.7m의 중간거리인 2.6m에서 누설이 발생한 것임을 컨트롤러에서 정확히 알 수 있는 것이다.
210 : 베이스 기재 220,250 : 전원라인
230,240 : 감지라인 260,270 : 절연층
280,290 : 보호층

Claims (5)

  1. 합성수지재로 된 테이프 형태의 베이스 기재;
    상기 베이스 기재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한 쌍으로 형성되고, 서로 폭을 달리하거나 저항값이 다른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어 서로 저항값을 달리하는 제1감지라인 및 제2감지라인;
    상기 제1감지라인의 측부에 나란히 형성되고, 그 단부가 제1감지라인과 연결되어 감지전원을 공급하는 제1전원라인;
    상기 제2감지라인의 측부에 나란히 형성되고, 그 단부가 제2감지라인과 연결되어 감지전원을 공급하는 제2전원라인;
    상기 제1전원라인과 제2전원라인을 각각 상기 제1감지라인과 제2감지라인과 절연시키는 절연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및 누설위치 감지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절연물질에 의해 코팅되거나 또는 상부와 측부에 절연재가 합지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및 누설위치 감지 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제1감지라인과 제2감지라인을 폭방향으로 일부만을 노출시키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및 누설위치 감지 센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의 상측으로는 보호층이 적층되며, 상기 보호층은 메쉬, 제1감지라인과 제2감지라인만을 노출시키도록 노출공을 갖는 필름재 또는 코팅재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및 누설위치 감지 센서.
  5. 삭제
KR1020160001641A 2016-01-04 2016-01-04 누설 및 누설위치 감지 센서 Active KR101847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641A KR101847090B1 (ko) 2016-01-04 2016-01-04 누설 및 누설위치 감지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641A KR101847090B1 (ko) 2016-01-04 2016-01-04 누설 및 누설위치 감지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548A KR20170081548A (ko) 2017-07-12
KR101847090B1 true KR101847090B1 (ko) 2018-04-11

Family

ID=59353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641A Active KR101847090B1 (ko) 2016-01-04 2016-01-04 누설 및 누설위치 감지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0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721B1 (ko) * 2018-08-07 2020-03-04 성백명 정전용량형 누설 감지 센서
CN114607950B (zh) * 2022-03-31 2024-06-11 华能国际电力股份有限公司德州电厂 一种基于机械堵漏的凝汽器泄漏管在线查漏设备及查漏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548A (ko) 201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65917B1 (en) Leak sensor apparatus for sensing moisture
US8646318B2 (en) Leak sensor apparatus for sensing moisture
KR101200918B1 (ko) 히팅기능을 갖는 리크감지장치
KR101460020B1 (ko) 산성용액 누설 감지 장치
KR101119823B1 (ko) 유체관 연결부의 리크감지장치
KR102305127B1 (ko) 누설용액 감지장치
JP2015517650A (ja) 漏れ検出器
KR20130015854A (ko) 누유 감지 장치
KR101591918B1 (ko) 리크감지센서
JP5760027B2 (ja) 有機液体検出用センター
JP2019082467A (ja) 漏液感知システム及び漏液感知方法
KR20100138523A (ko) 화재감지기능을 갖는 리크감지장치
KR101847090B1 (ko) 누설 및 누설위치 감지 센서
KR20100062529A (ko) 리크 감지 장치
KR101393074B1 (ko) 필름형 누수감지센서
KR20150131888A (ko) 누수 감지 센서
KR101610053B1 (ko) 누수감지센서
WO2021165148A1 (en) Sensor sheet, composite material and detection system for detecting damages of a composite material
KR20160006091A (ko) 용액 누설 감지 장치
KR20150041564A (ko) 알칼리 용액 누설 감지 장치
KR20150033517A (ko) 약산성 용액 누설 감지 장치
KR102187189B1 (ko) 단선 및 리크 검출 장치 및 검출 방법
KR102205502B1 (ko) 누설용액 감지장치
KR102086727B1 (ko) 누설 감지 장치
KR20140099634A (ko) 산성용액 누설 감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4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4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