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10053B1 - 누수감지센서 - Google Patents

누수감지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0053B1
KR101610053B1 KR1020150157257A KR20150157257A KR101610053B1 KR 101610053 B1 KR101610053 B1 KR 101610053B1 KR 1020150157257 A KR1020150157257 A KR 1020150157257A KR 20150157257 A KR20150157257 A KR 20150157257A KR 101610053 B1 KR101610053 B1 KR 101610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line
main
conductive lines
conductive
leak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7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호
강승경
김철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엑사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엑사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엑사이엔씨
Priority to KR1020150157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0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05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6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by means of cables or similar elongated devices, e.g. ta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liquid
    • G01N27/07Construction of measuring vessels; Electrodes therefor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수감지센서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부면에 쌍으로 배치되는 도전라인, 상기 도전라인의 상측에 위치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센싱홀을 포함하며,상기 도전라인은 부식과 오작동 방지를 위해 상기 도전라인의 표면에 도포된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누수감지센서{LEAK DETECTION SENSORS}
본 발명은 누수감지센서에 관한 것이다.
기술이 발전할수록 기계 및 설비 시설의 정밀화가 요구된다. 정밀화가 가속될수록 기계 또는 전산장비에 있어서 민감성도 높아지게 된다. 특히 반도체 시설이나 주요 전자시설 공정에서 누수가 발생할 경우 시스템 오류로 이어져 대형사고를 일으킬 수 있다.
건물에 배치되는 기계 설비로는 온수 보일러, 공기 조화기, 냉동기, 가습기와 같은 냉난방수 사용 장치, 배선, 발전기 등과 같은 전력 공급 관련 설비, 상하수도 관련 설비 등이 있으며, 별도의 기계실과 같은 격리된 공간에 설치된다. 기계실은 주로 건물의 지하에 배치되며, 건물의 상하수 설비 또는 배치된 기계 설비 자체로부터의 누수에 의해 침수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전도성 액체의 누수검출에 있어서 누수센서에 전도성 액체뿐만 아니라 기타 도전성 물질, 예를 들면 인체, 금속 등과 같은 물질의 접촉시에 누수센서의 오작동으로 인해 사회적, 경제적 비용이 발생하고, 수직으로 떨어지는 누수에 있어서 누수가 누수센서의 도전라인 중 어느 한 곳만을 통해 흐르는 경우 누수 센서가 작동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시설물의 누수에 대한 정확하고 신속한 감지를 위한 누수감지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누수감지센서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부면에 쌍으로 배치되는 도전라인, 상기 도전라인의 상측에 위치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센싱홀을 포함하며,상기 도전라인은 부식과 오작동 방지를 위해 상기 도전라인의 표면에 도포된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라인은,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으로 2개가 배치되는 주도전라인, 및 각각의 상기 주도전라인에서 돌출하는 복수 개의 부도전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홀은, 일측의 상기 주도전라인에서 돌출되는 상기 부도전라인과 타측의 상기 주도전라인에서 돌출되는 상기 부도전라인 만이, 하나의 상기 센싱홀에 함께 노출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도전라인은,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으로 대칭되게 2개가 배치되는 주도전라인, 및 대칭되게 배치된 2개의 상기 주도전라인의 내측으로 각각의 상기 주도전라인에서 돌출하는 복수 개의 부도전라인을 포함하며, 2개의 상기 주도전라인에서 돌출하는 복수 개의 상기 부도전라인은 서로 교차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도전라인은,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으로 4개가 배치되는 주도전라인, 및 4개의 상기 주도전라인 중 내측에 위치하는 2개의 상기 주도전라인에서 각각 돌출하는 복수 개의 부도전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베이스부를 고정시키는 양면접착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누수감지센서는 누수를 감지하는 도전라인이 부도전라인을 포함하여 누수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다.
부도전라인이 교대로 교차 패턴으로 가깝게 배치되어 있고 하나의 센싱홀이 두 개의 주도전라인에서 각각 돌출하는 부도전라인을 함께 노출시켜 처음에 한쪽 도전라인만을 흐르던 누수나 미량의 누수라도 누수에 대한 감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도전라인 자체에 코팅처리가 되어 있어, 누수가 아닌 습도나 금속, 금속성 분진 등에 따른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따로 코팅층을 두는 것보다 효과적으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체적과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코팅층은 도전라인의 부식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어 누수감지센서의 사용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누수감지센서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누수감지센서의 개략적인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누수감지센서의 센싱홀과 도전라인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누수감지센서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누수감지센서의 개략적인 결합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그 변형예에 따른 누수감지센서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누수감지센서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누수감지센서의 개략적인 결합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누수감지센서는 베이스부(100), 도전라인(200), 커버부(300), 양면접착테이프(500)를 포함할 수 있다.
누수감지센서는 베이스부(100), 상기 베이스부(100) 상부면에 쌍으로 배치되는 도전라인(200), 상기 도전라인(200)의 상측에 위치하는 커버부(300), 및 상기 커버부(300)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센싱홀(400)을 포함하며, 상기 도전라인(200)은 부식과 오작동 방지를 위해 상기 도전라인(200)의 표면에 도포된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라인(200)은, 상기 베이스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2개가 배치되는 주도전라인(210), 및 각각의 상기 주도전라인(210)에서 돌출하는 복수 개의 부도전라인(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라인(200)은, 상기 베이스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대칭되게 2개가 배치되는 주도전라인(210), 및 대칭되게 배치된 2개의 상기 주도전라인(210)의 내측으로 각각의 상기 주도전라인(210)에서 돌출하는 복수 개의 부도전라인(220)을 포함하며, 2개의 상기 주도전라인(210)에서 돌출하는 복수 개의 상기 부도전라인(220)은 서로 교차되게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부(100)는 후술하는 도전라인(200)이 배치되는 층으로 절연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전라인(200)은 베이스부(100)의 상부면에 쌍으로 배치되는 도체로서, 전기가 흐를 때 누수가 되는 경우 합선이 되어 누수 여부를 알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전라인(200)은 주도전라인(210)과 부도전라인(220)을 포함할 수 있다.
주도전라인(210)은 전술한 베이스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2개가 배치되는 것으로, 2개의 주도전라인(210)은 일단이 도선 등으로 연결되어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일례로, 도 1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주도전라인(210)은 베이스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2개가 서로 대칭되게 위치할 수 있다.
부도전라인(220)은 주도전라인(210)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복수 개가 배치되어 누수 감지를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도 1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부도전라인(220)은 대칭으로 배치된 주도전라인(210)의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부도전라인(220)은 일측의 주도전라인(210)으로부터 돌출한 부도전라인(220)과 타측의 주도전라인(210)으로부터 돌출한 부도전라인(220)이 서로 하나 씩 교대로 배치되도록 돌출될 수 있다. 부도전라인(220)의 교차 패턴은 한 쌍의 도전라인(200)의 간격을 좁혀 한쪽 도전라인(200)만을 타고 흐르는 누수나 미량의 누수라도 양쪽의 부도전라인(220)에 좀 더 용이하게 감지되게 하여 정확한 누수감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부도전라인(220)의 교차 패턴은 후술하는 하나의 센싱홀(400)을 투과하는 누수의 위치를 좀 더 정확히 알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코팅층은 도전라인(200)의 표면에 도포되는 것으로, 부식 방지와 누수감지센서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전라인(200)은 코팅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습도나 금속, 금속성 분진, 인체 등의 접촉에도 민감하게 반응하여 실제 누수가 아닌 경우에도 누수로 오작동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코팅층은 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코팅층은 누수나 습도 등으로부터 도전라인(200)의 부식 등을 방지하고 도전라인(200)을 보호하여 도전라인(200)의 내구성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코팅층은 별도로 베이스부(100)와 커버부(300) 사이에 층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도전라인(200)인 주도전라인(210)과 부도전라인(220)의 표면에만 도포되어 정확하게 누수를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 코팅층은 은과 팔라듐(Pd,palladium)을 함유한 용액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용액은 누수 감지 기능 향상과 도전라인(200)의 산화방지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누수감지센서의 센싱홀(400)과 도전라인(200)에 대한 평면도이다.
상기 센싱홀은, 일측의 상기 주도전라인에서 돌출되는 단수의 상기 부도전라인과 타측의 상기 주도전라인에서 돌출되는 단수의 상기 부도전라인 만이, 하나의 홀에 함께 노출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커버부(300)는 전술한 베이스부(100)의 상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비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부(300)는 전술한 도전라인(200)을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센싱홀(400)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홀(400)은 커버부(300)에 위치하는 것으로, 누수가 커버부(300)를 통해 도전라인(200)으로 침투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센싱홀(400)은 2개의 주도전라인(200)에서 각각 돌출하는 복수 개의 부도전라인(210)이 하나의 센싱홀(400)에 포함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센싱홀(400)의 크기와 위치가 배치될 수 있다. 센싱홀(400)의 크기와 모양은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나 도 3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센싱홀(400)에 일측의 주도전라인(210)에서 돌출되는 부도전라인(220)과, 타측의 주도전라인(210)에서 돌출되는 부도전라인(220) 만이 함께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센싱홀(400)의 배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부도전라인(220)의 교차 패턴과 함께 정확한 누수감지와 정확한 누수 위치를 확인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누수감지센서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베이스부(100)를 고정시키는 양면접착테이프(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양면접착테이프(500)는 누수를 감지하려는 물체에 누수감지센서를 부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양면접착테이프(500)는 베이스부(100)의 하측에 위치하여 일면은 베이스부(100)를 고정시키고 타면은 물체에 고정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그 변형예에 따른 누수감지센서의 작용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누수감지센서 하부에 있는 양면접착테이프(500)를 이용해 누수감지센서를 누수를 감지하려는 시설물에 부착시킬 수 있다. 물이 커버부(300)를 통해 누수되는 경우 센싱홀(400)을 통해 베이스부(100) 상부면에 배치되어 있는 부도전라인(220)에 물이 흘러들게 되고 교차 배치된 복수 개의 부도전라인(220)에 물이 퍼지게 되면 전류가 흐르는 도전라인(200)이 합선되어 누수를 감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누수감지센서는 누수를 감지하는 도전라인(200)이 주도전라인(210)과 부도전라인(220)을 포함하여 누수를 좀 더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고, 부도전라인(220)이 교대로 교차 패턴으로 가깝게 배치되어 있어 한쪽 도전라인(200)만을 흐르는 누수나 미량의 누수라도 누수에 대한 감지를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전라인(200) 자체에 코팅처리가 되어 있어, 누수가 아닌 습도나 금속, 금속성 분진 등에 따른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고, 따로 코팅층을 두는 것보다 효과적으로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고 제품의 체적을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누수감지센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누수감지센서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누수감지센서의 개략적인 결합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누수감지센서는 베이스부(100), 도전라인(200), 커버부(300), 양면접착테이프(5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실시예는 주도전라인(230)이 2개 더 배치되는 것으로, 베이스부(100), 도전라인(200), 커버부(300), 양면접착테이프(500)에 대하여 앞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누수감지센서에 대한 설명이 유추 적용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누수감지센서의 상기 도전라인(200)은, 상기 베이스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4개가 배치되는 주도전라인(210, 230), 및 4개의 상기 주도전라인(210, 230) 중 내측에 위치하는 2개의 상기 주도전라인(210)에서 각각 돌출하는 복수 개의 부도전라인(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2개의 주도전라인(210) 외측으로 2개의 주도전라인(230)이 각각 하나씩 추가로 배치되는 것이다. 추가로 외측에 배치되는 주도전라인(230)은 일단이 연결되어 전류가 흐를 수 있으며, 전술한 부도전라인(220)의 어느 부분에서 누수가 감지되었는지 누수가 감지된 위치를 측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추가로 외측에 배치되는 주도전라인(230)은 베이스부(100)의 길이 방향으로 전술한 부도전라인(220)이 돌출된 주도전라인(210)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시예들을 구분하여 설명하였지만, 전술한 실시예는 일체에서 함께 구현될 수 있으며 각 실시예의 일부 구성들만 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베이스부 200 : 도전라인
210 : 주도전라인 220 : 부도전라인
230 : 외측의 주도전라인 300 : 커버부
400 : 센싱홀 500 : 양면접착테이프

Claims (6)

  1.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부면에 쌍으로 배치되는 도전라인;
    상기 도전라인의 상측에 위치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센싱홀을 포함하며,
    상기 도전라인은,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으로 4개가 배치되는 주도전라인;
    4개의 상기 주도전라인 중 내측에 위치하는 2개의 상기 주도전라인에서 각각 돌출하는 복수 개의 부도전라인; 및
    부식과 오작동 방지를 위해 상기 도전라인의 표면에 도포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누수감지센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홀은, 일측의 상기 주도전라인에서 돌출되는 상기 부도전라인과 타측의 상기 주도전라인에서 돌출되는 상기 부도전라인 만이, 하나의 상기 센싱홀에 함께 노출되도록 위치하는 누수감지센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라인은,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 방향으로 대칭되게 4개가 배치되는 주도전라인; 및
    대칭되게 배치된 4개의 상기 주도전라인의 내측에 위치하는 2개의 상기 주도전라인의 내측으로 각각의 상기 주도전라인에서 돌출하는 복수 개의 부도전라인을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부도전라인은 서로 교차되게 위치하는 누수감지센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베이스부를 고정시키는 양면접착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누수감지센서.
KR1020150157257A 2015-11-10 2015-11-10 누수감지센서 Active KR101610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257A KR101610053B1 (ko) 2015-11-10 2015-11-10 누수감지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257A KR101610053B1 (ko) 2015-11-10 2015-11-10 누수감지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0053B1 true KR101610053B1 (ko) 2016-04-07

Family

ID=55789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7257A Active KR101610053B1 (ko) 2015-11-10 2015-11-10 누수감지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05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838Y1 (ko) * 2016-04-26 2017-10-31 최기환 리크 감지 센서
KR20220095563A (ko)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코위드원 누수감지센서 및 센서함체부를 삽입하는 보호커버
KR20220095521A (ko)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코위드원 누수감지센서 및 그를 이용한 방법
KR20220095553A (ko)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코위드원 누수감지센서 및 이를 삽입하는 센서함체부 및 센서함체부를 삽입하는 보호커버
KR20230020273A (ko) 2021-08-03 2023-02-10 주식회사 코위드원 센서함체부 및 이를 이용한 누수감지센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381B1 (ko) * 2013-08-12 2014-01-03 지기환 플렉시블 누설센서
KR101460020B1 (ko) * 2013-02-04 2014-11-10 (주)유민에쓰티 산성용액 누설 감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020B1 (ko) * 2013-02-04 2014-11-10 (주)유민에쓰티 산성용액 누설 감지 장치
KR101346381B1 (ko) * 2013-08-12 2014-01-03 지기환 플렉시블 누설센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838Y1 (ko) * 2016-04-26 2017-10-31 최기환 리크 감지 센서
KR20220095563A (ko)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코위드원 누수감지센서 및 센서함체부를 삽입하는 보호커버
KR20220095521A (ko)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코위드원 누수감지센서 및 그를 이용한 방법
KR20220095553A (ko) 2020-12-30 2022-07-07 주식회사 코위드원 누수감지센서 및 이를 삽입하는 센서함체부 및 센서함체부를 삽입하는 보호커버
KR20230020273A (ko) 2021-08-03 2023-02-10 주식회사 코위드원 센서함체부 및 이를 이용한 누수감지센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0053B1 (ko) 누수감지센서
US9212965B2 (en) Leak detection device and remote monitoring system having slave controllers with unique IDs
US10209095B2 (en) Eddy current sensor
KR101119823B1 (ko) 유체관 연결부의 리크감지장치
JP2008233031A (ja) 漏水検知システム
KR101591918B1 (ko) 리크감지센서
KR101623537B1 (ko) 누액감지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누액감지시스템
KR101393074B1 (ko) 필름형 누수감지센서
KR101346381B1 (ko) 플렉시블 누설센서
KR20100138523A (ko) 화재감지기능을 갖는 리크감지장치
KR20150131888A (ko) 누수 감지 센서
KR102087562B1 (ko) 누액센서장치와 누액감지시스템
KR101375811B1 (ko) 자동화재탐지시스템을 이용한 누수감지장치
KR101847090B1 (ko) 누설 및 누설위치 감지 센서
JP6973855B2 (ja) 液体検知装置、それを備えた装置、及び液体検知方法
KR101222832B1 (ko) 정전용량 방식 누수 감지 장치
KR102228312B1 (ko) 화학용액 누설감지장치
JP6568785B2 (ja) 廃棄物処分場、廃棄物処分場の遮水シートの破損検知システム
CN208207113U (zh) 一种用于大功率器件散热器的漏电检测结构
CN208317198U (zh) 一种探测器柔性电路板保护装置
CN105277596A (zh) 湿度检测装置
KR20200041009A (ko) 노즐용 누설 감지 센서
CN207940690U (zh) 一种净水机
KR101952340B1 (ko) 영역 구분형 누설 감지 센서
KR101594891B1 (ko) 누액 감지 센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4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4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