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6381B1 - Robot leg apparatus and prosthetic leg apparatus providing sway motions of heel joint - Google Patents
Robot leg apparatus and prosthetic leg apparatus providing sway motions of heel joi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46381B1 KR101846381B1 KR1020160167940A KR20160167940A KR101846381B1 KR 101846381 B1 KR101846381 B1 KR 101846381B1 KR 1020160167940 A KR1020160167940 A KR 1020160167940A KR 20160167940 A KR20160167940 A KR 20160167940A KR 101846381 B1 KR101846381 B1 KR 1018463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lf
- joint
- swing motion
- joint power
- mo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60—Artificial legs or feet or parts thereof
- A61F2/604—Joints for artificial leg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60—Artificial legs or feet or parts thereof
- A61F2/66—Feet; Ankle joints
- A61F2/6607—Ankle joi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68—Operating or control means
- A61F2/74—Operating or control means fluid, i.e. hydraulic or pneumatic
- A61F2/741—Operating or control means fluid, i.e. hydraulic or pneumatic using powered actuators, e.g. stepper motors or solenoi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6—Exoskeletons, i.e. resembling a human fig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2—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electric
- B25J9/126—Rotary actua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50—Prostheses not implantable in the body
- A61F2/60—Artificial legs or feet or parts thereof
- A61F2002/607—Lower legs
-
- A61F2002/741—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로봇 다리 장치는 상단 발 베이스부, 종아리 골격을 형성하고 종아리 내의 중앙에 병렬로 배치되어 발뒤꿈치에 있는 종골의 상하 수직 운동을 지원하는 종골 구동 부재와 종골 피스톤 부재를 포함하는 종아리 관절 동력부 및 중족관절 벨트 부재를 통해 종아리 관절 동력부를 지지하고 상기 상단 발 베이스부 상의 후단에 위치한 스웨이 모션 구동 부재와 상기 중족관절 벨트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스웨이 모션 구동 부재의 작동에 의해 상기 종아리 골격을 좌우로 움직이는 스웨이 모션 모터 래퍼를 포함하는 발목 관절 동력부를 포함한다.The robot leg device includes an upper leg base portion and a calf joint power portion including a calf bone drive member and a calf bone piston member arranged in parallel at the center in a calf to support up and down vertical movement of the calf bone in the heel, A swing motion driving member that supports the calf joint power through the joint belt member and is disposed at a rear end on the upper foot base portion and a swing motion driving member which is coupled to the aft motion belt member, And an ankle joint power section including a motion motor wrapper.
Description
본 발명은 발목관절을 이용한 로봇 다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로봇 또는 사용자의 보행 과정에서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로봇 또는 사용자의 기울임 자세에서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발 뒤꿈치의 스웨이 모션을 제공할 수 있는 로봇 다리 장치 및 의족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bot leg technique using an ankle joi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bot leg technique using an ankle joint, To a robot leg device and a prosthetic device.
로봇 다리 장치는 로봇의 보행을 위해 필요한 장치로, 사람의 다리를 모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로봇 다리 장치는 의족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하지 절단 장애인의 보행동작을 보조하여 재활치료를 지원할 수 있다.The robot leg device is a device necessary for the walking of the robot, and can be manufactured by imitating human legs. In addition, the robot leg device can be used as a prosthesis and can assist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by assisting the walking motion of the person with limb amputation.
종래의 로봇 다리 장치는 보행 과정에서 발생되는 부자연스러움과 보행 과정에서 발생되는 불균형을 제어하는 복합한 메커니즘들을 요구하였다. 특히, 이러한 복잡한 메커니즘들은 모터의 순간적 제어를 요구하므로 고토크를 가지는 모터를 필요로 하였다. 로봇 다리 장치는 보행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의 움직임과 사용자의 의도를 보다 충실하게 반영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 한다.Conventional robotic leg devices require complex mechanisms to control the unnaturalness that occurs during the walking process and the unbalance that occurs during the walking process. In particular, such complicated mechanisms require momentary control of the motor and therefore require a motor with high torque. The robot leg device should be developed to more faithfully reflect the movement of the user and the intention of the user in order to solve such problems occurring in the walking process.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115395호는 지면에 따라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발목각도로 수동의족을 변경하고 유각기에서의 발걸림 현상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개선한 하퇴 의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6-0115395 relates to a lower limb device for changing a passive prosthesis at an ankle angle most suitable for a user according to a ground surface and preventing a footing phenomenon at an angular device, thereby improving a user's usability.
미국 등록특허 제8,986,397호는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위한 보철 다리에 관한 것이며 다리 보철물을 제어하는 방법을 소개한다.U.S. Patent No. 8,986,397 relates to a prosthetic foot for a user using a control system and describes how to control a leg prosthesis.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115395호는 지면에 따라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발목각도로 수동의족을 변경하고 유각기에서의 발걸림 현상을 방지하여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개선한 하퇴 의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6-0115395 relates to a lower limb device for changing a passive prosthesis at an ankle angle most suitable for a user according to a ground surface and preventing a footing phenomenon at an angular device, thereby improving a user's usability.
미국 등록특허 제8,986,397호는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위한 보철 다리에 관한 것이며 다리 보철물을 제어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U.S. Patent No. 8,986,397 relates to a prosthetic foot for a user using a control system and describes how to control a leg prosthesis.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로봇 또는 사용자의 보행 과정에서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로봇 또는 사용자의 기울임 자세에서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발 뒤꿈치의 스웨이 모션을 제공할 수 있는 로봇 다리 장치 및 의족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obot leg device and a prosthetic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 swing motion of a heel to maintain a balance in a tilting posture of a robot or a user so as to facilitate movement in a walking process of the robot or a user .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발 베이스부와 발목 관절 및 중족관절 동력부들의 설계를 통해 중족관절의 상하 자유도를 제공할 수 있는 로봇 다리 장치 및 의족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bot leg device and a prosthetic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 vertical degree of freedom of a middle joint through design of the foot base portion, the ankle joint portion, and the body joint power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지형의 불균일성으로 인해 발생되는 발바닥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스웨이 모션을 지원할 수 있는 로봇 다리 장치 및 의족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bot leg device and a prosthetic device capable of supporting a swing motion for eliminating unevenness of the sole caused by nonuniformity of the terrai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축 모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즉각적으로 감지하고 사용자의 다음 행동을 정확하게 예측하여 전체 다리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로봇 다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bot leg device capable of instantly detecting a user's movement through a multi-axis motion sensor and accurately predicting a user's next behavior and controlling the entire leg motion.
실시예들 중에서, 로봇 다리 장치는 상단 발 베이스부, 종아리 골격을 형성하고 종아리 내의 중앙에 병렬로 배치되어 발뒤꿈치에 있는 종골의 상하 수직 운동을 지원하는 종골 구동 부재와 종골 피스톤 부재를 포함하는 종아리 관절 동력부 및 중족관절 벨트 부재를 통해 종아리 관절 동력부를 지지하고 상기 상단 발 베이스부 상의 후단에 위치한 스웨이 모션 구동 부재와 상기 중족관절 벨트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스웨이 모션 구동 부재의 작동에 의해 상기 종아리 골격을 좌우로 움직이는 스웨이 모션 모터 래퍼를 포함하는 발목 관절 동력부를 포함한다.Among the embodiments, the robot leg device comprises a calf-bearing member which forms an upper foot base and a calf skeleton and is disposed in parallel at the center in the calf to support the vertical vertical movement of the calf bone in the heel and a calf- A swing motion driving member which supports the calf joint power section through the joint power section and the cushion joint belt member and is located at the rear end of the upper foot base section and a sway motion driving member which is engaged with the cushion joint belt member, And an ankle joint power section including a swing motion motor wrapper that moves left and right.
상기 스웨이 모션 모터 래퍼는 일단은 상기 중족관절 벨트 부재의 일측과 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스웨이 모션 모터의 적어도 일부를 래핑하여 상기 종아리 관절 동력부에 상기 스웨이 모션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The swing motion motor wrapper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cushion joint belt member at one end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wing motion motor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wing motion motor to the calf joint motor power.
상기 스웨이 모션 모터 래퍼는 상기 일단과 상기 다른 일단 사이에서 상기 중족관절 벨트 부재와 접촉되어 상기 종아리 관절 동력부를 지지할 수 있다.The swing motion motor wrapper may contact the ankle joint belt member between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to support the calf joint power.
상기 상단 발 베이스부는 중족관절을 통해 상단 발가락 부재와 상단 발판 부재로 구분될 수 있다.The upper foot base portion may be divided into an upper toe member and an upper foot member through the middle joint.
로봇 다리 장치는 상기 상단 발 베이스부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단 발가락 부재와 결합된 하단 발가락 부재와 상기 상단 발판 부재와 상기 중족 관절에서 결합되어 발뒤꿈치로 갈수록 벌어지는 하단 발판 부재로 구성된 하단 발 베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obot leg device includes a lower foot to base member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foot base portion and coupled to the upper toe member and a lower foot base member coupled to the upper foot member and the heel, .
로봇 다리 장치는 상기 상단 발판 부재 상의 중단에 병렬로 배치되고 벨트 부재를 통해 상기 발목 관절 동력부와 병렬적으로 결합되는 구동 부재와 피스톤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 부재는 상기 상단 발가락 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구동 부재를 통해 직선 운동을 수행하는 중족관절 동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bot leg device includes a driving member and a piston member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stop on the upper foot member and coupled in parallel with the ankle joint power portion through a belt member, and the piston member is engaged with the upper toe member And a cervical joint power unit for performing linear motion through the driving member.
상기 구동 부재는 모터를 통해 구현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 방향을 통해 상기 피스톤 부재의 직선 운동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The driving member is realized through a motor and is capable of controlling a linear movement direction of the piston member through a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상기 피스톤 부재는 상기 상단 발가락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상단 발가락 부재를 밀거나 또는 당겨서 상기 중족관절을 회전시킴으로써 사람의 중족관절의 움직임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다.The piston member is connected to the upper toe member and can push or pull the upper toe member to rotate the middle joint to simulate movement of a person's middle joint.
상기 중족관절 동력부는 상기 종골 구동 부재의 동작으로 인해 변경되는 상기 상단 발판 부재의 기울기를 검출하여 상기 기울기가 특정 각도 이상이면 상기 구동 부재의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The body joint power section detects the inclination of the upper pedestal member, which is changed due to the operation of the calcareous driving member, and can start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ember when the inclination is not less than a specific angle.
로봇 다리 장치는 상기 상단 발 발판 부재 상의 중단에 병렬로 배치되고 벨트 부재를 통해 상기 발목 관절 동력부와 병렬적으로 결합되는 구동 부재와 피스톤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 부재는 상단 발가락 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구동 부재를 통해 직선 운동을 수행하는 중족관절 동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obot leg device includes a driving member and a piston member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break on the upper foot member and coupled in parallel with the ankle joint power portion through a belt member and the piston member is engaged with the upper toe member And a cervical joint power unit for performing linear motion through the driving member.
상기 종골 구동 부재는 모터를 통해 구현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 방향을 통해 상기 종골 피스톤 부재의 직선 운동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The calcareous drive member is realized through a motor and is capable of controlling the linear motion direction of the calcaneus piston member through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상기 상기 종골 피스톤 부재는 중족관절 벨트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중족관절 벨트 부재를 밀거나 또는 당겨서 사람의 발목관절의 움직임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The calcaneus piston member is connected to the body member of the middle ear and can push or pull the body member to simulate the movement of the ankle joint of a person.
로봇 다리 장치는 상기 종아리 관절 동력부에 결합된 다축 모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동작을 예측하고 상기 구동 부재와 상기 종골 구동 부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obot le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ntrol unit for predicting a user's motion through a multi-axis motion sensor coupled to the calf joint power unit and controlling driving of the driving member and the calcareous driving member.
로봇 다리 장치는 상기 상단 발 베이스부에 결합된 기울기 센서를 통해 상기 상단 발 베이스부의 좌우 기울기를 검출하여 상기 종아리 골격이 직립할 수 있도록 스웨이 모션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obot le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ntroller for detecting the left and right inclination of the upper foot base through a tilt sensor coupled to the upper foot base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swing motion motor so that the calf skeleton can stand upright have.
실시예들 중에서, 의족 장치는 종아리 골격을 형성하고 종아리 내의 중앙에 병렬로 배치되어 발뒤꿈치에 있는 종골의 상하 수직 운동을 지원하는 종골 구동 부재와 종골 피스톤 부재를 포함하는 종아리 관절 동력부 및 중족관절 벨트 부재를 통해 종아리 관절 동력부를 지지하고 상기 상단 발 베이스부 상의 후단에 위치한 스웨이 모션 구동 부재와 상기 중족관절 벨트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스웨이 모션 구동 부재의 작동에 의해 상기 종아리 골격을 좌우로 움직이는 스웨이 모션 모터 래퍼를 포함하는 발목 관절 동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Among the embodiments, the prosthetic device includes a calf joint drive portion and a calf joint portion including a calf bone drive member and a calcaneus piston member that form a calf skeleton and are arranged in parallel at the center in the calf to support vertical up and down movement of the calf bone in the heel, A swing motion driving member which supports the calf joint power portion through a belt member and is disposed at a rear end of the upper foot base portion and a swing motion driving member which is engaged with the augmentation belt member so as to move the calf skeleton leftward and rightward by the operation of the swing motion driving member, And an ankle joint power section including a motor wrapper.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ique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hereby, as it is not meant to imply that a particular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다리 장치 및 의족 장치는 로봇 또는 사용자의 보행 과정에서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로봇 또는 사용자의 기울임 자세에서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발 뒤꿈치의 스웨이 모션을 제공할 수 있다.The robot leg device and the prosthesis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wing motion of the heel to balance the robot or the user in the tilting posture so that the robot or the user can smoothly move during the walking process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다리 장치 및 의족 장치는 발 베이스부와 발목 관절 및 중족관절 동력부들의 설계를 통해 중족관절의 상하 자유도를 제공할 수 있다.The robot leg device and the prosthesi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the vertical degree of freedom of the middle joint through the design of the foot base portion, the ankle joint portion, and the body joint power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다리 장치 및 의족 장치는 지형의 불균일성으로 인해 발생되는 발바닥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스웨이 모션을 지원할 수 있다.The robot leg device and the prosthet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ort a swing motion for eliminating an unevenness of the sole caused by the nonuniformity of the terrai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다리 장치 및 의족 장치는 다축 모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즉각적으로 감지하고 사용자의 다음 행동을 정확하게 예측하여 전체 다리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The robot leg apparatus and the prosthesis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stantaneously detect the movement of the user through the multi-axis motion sensor and accurately predict the user's next behavior, thereby controlling the entire leg mo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다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로봇 다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로봇 다리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로봇 다리 장치의 다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로봇 다리 장치의 또 다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robot le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the robot leg device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robot leg device shown in Fig. 1. Fig.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robot leg device shown in FIG. 1. FIG.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robot leg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xample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explana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the embodim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variously embodied and having various forms, so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echnical ideas. Also, the purpose o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r only such effect.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Meanwhile,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 second ",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the right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there may be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ingular " include " or "have" are to be construed as including the stat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combination is intended to specify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e.g., a, b, c, etc.) is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Unless otherwise stated, it may occur differently from the stat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describ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concurrently, or may be performed in reverse ord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predefined terms should be interpreted to be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 not be interpreted as having ideal or over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다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obot le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로봇 다리 시스템(100)은 로봇 다리 장치(110), 종아리 무릅 골격부(120) 및 다리 끼움부(1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a
로봇 다리 시스템(100)은 자연스러운 사람의 보행동작을 모방하도록 설계되었으며, 로봇 다리로서 활용되거나 또는 의족(즉, 착용 가능한 로봇 다리)로도 활용될 수 있다. 이하, 아래의 내용은 착용 가능한 로봇 다리 또는 의족으로 사용될 경우를 설명하였다.The
로봇 다리 장치(110)는 사람의 종아리 일부, 발목 및 발가락에 해당하는 부위를 포함하고, 로봇 다리 시스템(100)의 보행 과정에서 몸체의 이동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이하, 로봇 다리 장치(110)는 도 2와 도 3을 통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종아리 무릅 골격부(120)는 종아리 나머지 일부, 무릅 및 허벅지의 일부에 해당하는 부위를 포함하고, 로봇 다리 시스템(100)의 보행 과정에서 무릅의 꺾임과 몸체의 무게 지지를 위해 구성될 수 있다.The
다리 끼움부(130)는 사람의 허벅지의 나머지 일부에 해당하는 부위를 포함하고, 로봇 또는 사람의 몸체를 용이하게 착용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여기에서, 몸체는 허벅지 상부의 일부를 포함한 상부 구조물을 의미할 수 있다.
The leg-
도 2는 도 1에 있는 로봇 다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the robot leg device shown in Fig. 1. Fig.
도 2a는 로봇 다리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b와 도 2c는 보행 과정에서 중족관절이 꺾일 때를 나타내는 로봇 다리 장치의 분해 사시도와 분해 측면도이다. 도 2d와 도 2e는 보행 과정에서 스웨이 모션을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로봇 다리 장치의 분해 후면도와 분해 측면도이다.2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obot leg device. FIGS. 2B and 2C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disassembled side view of a robot leg devic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iddle joint is broken during a walking process. FIG. FIGS. 2d and 2e are exploded rear views and exploded side views of a robot leg device showing a process of performing a swing motion in a walking process. FIG.
도 2를 참조하면, 로봇 다리 장치(110)는 복수의 관절 동력부들(210, 220, 230)과 발 베이스부(240, 2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복수의 관절 동력부들(210, 220, 230)은 중족관절 동력부(210), 발목 관절 동력부(220) 및 종아리 관절 동력부(230)를 포함하고, 중족관절과 발목관절을 지원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며, 일반적으로, 모터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복수의 관절 동력부들(210, 220, 230)의 설명 전에, 발 베이스부(240, 250)를 먼저 설명한다.The plurality of
발 베이스부(240, 250)는 하단 발 베이스부(240)와 상단 발 베이스부(250)로 구성된다. 하단 발 베이스부(240)는 사람의 발 바닥과 유사하게 중앙을 오목하게 굴곡시킬 수 있다. 상단 발 베이스부(250)는 평평한 평면 형상으로 제작되어 발 뒤꿈치에서 하단 발 베이스부(240)와 이격될 수 있다.The
하단 발 베이스부(240)는 하단 발가락 부재(242)와 하단 발판 부재(244)를 포함하고, 상단 발 베이스부(250)는 상단 발가락 부재(252)와 상단 발판 부재(254)를 포함한다. 중족관절(256)은 하단 발 베이스부(240)와 상단 발 베이스부(250)를 결합한 관절에 해당한다. 여기에서, 상단 발 베이스부(250)와 하단 발 베이스(240)는 로봇의 발을 형상화하기 위해 설계되었고, 종족관절(256)은 사람의 로봇의 보행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한편, 하단 발 베이스부(240)는 로봇 다리 장치(110)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The lower
보다 구체적으로, 하단 발가락 부재(242)와 상단 발가락 부재(252)는 상호 결합되어 중족관절(256) 전단에 있는 발가락을 형상화하고 있으며, 보행 과정에서 중족관절(256)이 꺾일 때 몸체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에서, 하단 발가락 부재(242)와 상단 발가락 부재(252)는 사람의 발가락과 동일하게 형상화하였으나, 이러한 형상화는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다양한 형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하단 발판 부재(244)는 중족관절(256)을 통해 하단 발가락 부재(242)와 결합되어 있고, 사람의 발바닥을 형상화하고 있으며 직립 또는 보행 과정에서 몸체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에서, 하단 발판 부재(244)는 사람의 발바닥과 동일하게 형상화하였으나, 이러한 형상화는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다양한 형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The
상단 발판 부재(254)는 중족관절(256)을 통해 상단 발가락 부재(252)와 결합되어 있고, 중족관절 동력부(210)와 발목 관절 동력부(220)를 마운팅할 수 있다. 또한, 상단 발판 부재(254)는 하단 발판 부재(244)와 중족관절(256)에서 결합되어 발뒤꿈치로 갈수록 벌어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에서, 상단 발판 부재(254)는 사람의 발바닥과 동일하게 형상화하였으나, 이러한 형상화는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다양한 형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The
중족관절 동력부(210)는 상단 발 발판 부재(254) 상의 중단에 병렬로 배치되는 구동 부재(212)와 피스톤 부재(214)를 포함하고, 중족관절(256)의 상하 회전을 지원할 수 있다. 구동 부재(212)는 모터를 통해 구현되고, 모터의 회전 방향을 통해 피스톤 부재(214)의 전후 직선 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피스톤 부재(214)는 상단 발가락 부재(252)와 연결될 수 있다.The body
예를 들어, 구동 부재(212)는 모터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켜 피스톤 부재(214)를 전진 방향으로 직선 운동시킬 수 있고, 하단 및 상단 발가락 부재들(242, 252)을 하단 및 상단 발판 부재들(244, 254)과 평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구동 부재(212)는 모터를 제2 방향으로 회전시켜 피스톤 부재(214)를 후진 방향으로 직선 운동시킬 수 있고, 하단 및 상단 발가락 부재들(242, 252)을 하단 및 상단 발판 부재들(244, 254)과 꺾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족관절 동력부(210)는 보행 상황에 맞춰 사람 또는 몸체의 균형이 유지되도록 구동 부재(212)의 구동력을 특정 범위 내에서 제어하여 피스톤 부재(214)의 직선 운동 길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riving
즉, 피스톤 부재(214)는 그 일단에서 상단 발가락 부재(252)와 연결되고 그 다른 일단에서 구동 부재(212)와 연결되어, 구동 부재(212)로부터 전달된 동력을 통해 상단 발가락 부재(252)를 밀거나 또는 당겨서 중족관절(256)을 회전시킴으로써 로봇 또는 사람에 대한 중족관절의 회전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That is, the
발목 관절 동력부(220)는 스웨이 모션 구동 부재(222)와 스웨이 모션 모터 래퍼(224)를 포함한다.The ankle
발목 관절 동력부(220)는 상단 발 발판 부재(254)의 후단 중앙에서 벨트 부재(216)를 통해 중족관절 동력부(210)와 결합된다. 여기에서, 벨트 부재(216)는 상단 발판 부재(254)에 마운팅되어 그 일면에서 중족관절 동력부(210)에 있는 구동 부재(212)와 피스톤 부재(214)를 결합시키고, 그 다른 일면에서 발목 관절 동력부(220)를 결합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벨트 부재(216)는 상단 발판 부재(254)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The ankle
또한, 발목 관절 동력부(220)는 중족 관절 벨트 부재(226)를 통해 종아리 관절 동력부(230)와 결합된다. 여기에서, 중족 관절 벨트 부재(226)는 발목 관절 동력부(220) 상에 배치되어 그 일면에서 스웨이 모션 모터 래퍼(224)를 통해 발목 관절 동력부(220)를 결합시키고 그 다른 면에서 종아리 관절 동력부(230)를 결합시킨다.In addition, the ankle
스웨이 모션 구동 부재(222)는 실린더 형상의 스웨이 모션 모터를 통해 구현될 수 있고, 종아리 관절 동력부(230)를 실린더 형상을 통해 몸체의 무게를 지지하면서 회전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swing
스웨이 모션 모터 래퍼(224)는 그 일단에서 중족관절 벨트 부재(226)의 일측과 결합되고 그 다른 일단에서 스웨이 모션 구동 부재(222)(즉, 스웨이 모션 모터)의 적어도 일부를 래핑할 수 있다. 즉, 스웨이 모션 모터 래퍼(224)는 갈고리와 비슷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스웨이 모션 모터 래퍼(224)는 종아리 관절 동력부(230)에 스웨이 모션 구동 부재(222)(즉, 스웨이 모션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The swing
일 실시예에서, 발목 관절 동력부(220)는 균형 상황에 맞춰 사람 또는 몸체의 균형이 유지되도록 스웨이 모션 구동 부재(222)의 구동력을 특정 범위 내에서 제어하여 스웨이 모션 모터 래퍼(224)의 회전 운동 길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nkle
보다 구체적으로, 스웨이 모션 모터 래퍼(224)는 발목 관절 동력부(220)와 종아리 관절 동력부(230)의 구조에서, 그 일단과 그 다른 일단 사이에서 중족관절 벨트 부재(226)와 접촉되어 종아리 관절 동력부(230)를 지지할 수 있다. 즉, 스웨이 모션 모터 래퍼(224)는 스웨이 모션 구동 부재(222)를 거의 한 바퀴를 돌거나 또는 한 바퀴 이상을 돌아서 래핑할 수 있으므로, 중족관절 벨트 부재(226)가 스웨이 모션 구동 부재(222)의 상부 중앙에서 접촉되는 경우에는 중족관절 벨트 부재(226)를 그 다른 일단과 접촉 또는 결합되지 않게 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n the structure of the ankle
예를 들어, 스웨이 모션 구동 부재(222)는 제1 방향으로 회전시켜 스웨이 모션 모터 래퍼(224)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킬 수 있고, 종아리 관절 동력부(230)가 제1 방향(예를 들어, 오른손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스웨이 모션 모터 래퍼(224)를 통해 스웨이 모션 구동 부재(222)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wing
다른 예를 들어, 스웨이 모션 구동 부재(222)는 제2 방향으로 회전시켜 스웨이 모션 모터 래퍼(224)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킬 수 있고, 종아리 관절 동력부(230)가 제2 방향(예를 들어, 왼손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스웨이 모션 모터 래퍼(224)를 통해 스웨이 모션 구동 부재(222)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In another example, the swing
결과적으로, 발목 관절 동력부(220)는 스웨이 모션 구동 부재(222)의 회전력을 스웨이 모션 모터 래퍼(224)를 통해 종아리 관절 동력부(230)에 전달하여 종아리 관절 동력부(230)를 좌우로 움직일 수 있고, 발 베이스부(240, 250)의 비틀어짐을 보정하고 균형을 잡는데 활용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ankle
종아리 관절 동력부(230)는 종아리 골격(120)을 형성하며 종아리 내의 중앙에 병렬로 배치되고, 중족관절 벨트 부재(226)와 결합하여 상단 발판 부재(254) 상에 결합된 발목 관절 동력부(220)를 통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지지될 수 있다.The calf
종아리 관절 동력부(230)는 종골 구동 부재(232)와 종골 피스톤 부재(234)를 포함하고, 종아리 골격(120)의 상하 움직임을 지원하여 몸체를 앞쪽으로 기울이거나 또는 몸체를 바로 세울 수 있다. 종골 구동 부재(232)는 모터를 통해 구현되고, 모터의 회전 방향을 통해 종골 피스톤 부재(234)의 수직 직선 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종아리 관절 동력부(230)는 보행 상황에 맞춰 사람 또는 몸체의 균형이 유지되도록 종골 구동 부재(232)의 구동력을 특정 범위 내에서 제어하여 종골 피스톤 부재(234)의 직선 운동 길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The calf
예를 들어, 종골 구동 부재(232)는 모터를 제1 방향으로 회전시켜 종골 피스톤 부재(234)를 상부 방향으로 운동시킬 수 있고, 상단 발판 부재(254)에 직립된 종아리 골격(120)을 앞쪽으로 기울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종골 구동 부재(232)는 모터를 제2 방향으로 회전시켜 종골 피스톤 부재(234)를 하부 방향으로 운동시킬 수 있고, 상단 발판 부재(254)에 기울여진 종아리 골격(120)을 뒤쪽으로 직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종골 피스톤 부재(234)는 중족관절 벨트 부재(226)와 연결되고 중족관절 벨트 부재(226)를 밀거나 또는 당겨서 종아리 골격(120)을 상단 발판 부재(254)로부터 기울이거나 또는 직립시킬 수 있다. 즉, 종아리 관절 동력부(230)는 보행 과정에서 몸체의 기울임을 제어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aliper-bearing
도 3은 도 1에 있는 로봇 다리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robot leg device shown in Fig. 1. Fig.
도 3을 참조하면, 로봇 다리 장치(110)는 제1 제어부(312)와 제2 제어부(314)로 구성된 제어부(31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310)는 복수의 관절 동력부들(210, 220, 230), 다축 모션 센서(240) 및 기울기 센서(250)를 연계할 수 있다.3, the
여기에서, 다축 모션 센서(240)는 비록 도 2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종아리 관절 동력부(230)에 결합될 수 있고, 종아리 골격(120)의 미세한 움직임을 감지하여 로봇 또는 사용자의 보행 의도를 검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다축 모션 센서(240)는 종아리 관절 동력부(230)에 내장될 수 있다.Here, the
기울기 센서(250)는 비록 도 2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단 발판 부재(254)에 결합 결합될 수 있고, 상단 발판 부재(254)의 좌우 기울기를 검출하여 로봇 또는 사용자의 균형 상태를 검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울기 센서(250)는 상단 발판 부재(254)에 내장될 수 있다.2, the
즉, 제어부(310)는 다축 모션 센서(240) 및 기울기 센서(250)를 통해 사용자의 보행 의도 검출과 균형 상태를 획득하여 복수의 관절 동력부들(210, 220, 230)을 제어함으로써 로봇 또는 사용자의 보행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That is, the
우선, 제1 제어부(312)에 의한 로봇 또는 사용자의 보행 제어 과정을 살펴본다.First, a walk control process of the robot or the user by the
제1 제어부(312)는 다축 모션 센서(240)로부터 로봇 또는 사용자의 보행 의도를 통해 발생되는 종아리 골격(120)의 움직임에 관한 검출을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제어부(312)는 다축 모션 센서(240)를 통해 종아리 골격(120)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로봇 또는 사용자의 보행 의도가 있다고 판단되면 중족관절 동력부(210)와 종아리 관절 동력부(230)를 제어하여 사용자 또는 로봇의 몸체를 기울이거나 직립시키도록 할 수 있다.The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312)는 종아리 관절 동력부(230)에 있는 종골 구동 부재(232)를 제어하여 종골 피스톤 부재(234)를 통해 중족관절 벨트 부재(226)를 밀어서 로봇 또는 사용자의 몸체를 전방 방향으로 기울일 수 있다. 거의 동시에, 제1 제어부(312)는 종골 구동 부재(232)의 동작으로 인해 변경되는 상단 발판 부재(254)의 기울기를 검출하여 기울기가 특정 각도 이상이면 중족관절 동력부(210)가 구동 부재(212)의 동작을 시작하도록 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부(312)는 중족관절 동력부(210)에 있는 구동 부재(212)를 제어하여 피스톤 부재(214)를 통해 상단 발가락 부재(252)를 당겨서 중족관절(256)을 회전시킴으로써 로봇 또는 사람의 중족관절의 움직임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다음으로, 제2 제어부(314)에 의한 로봇 또는 사용자의 균형 제어 과정을 살펴본다.Next, the balance control process of the robot or the user by the
제2 제어부(314)는 기울기 센서(250)로부터 로봇 또는 사용자의 균형 상태 흐트러짐을 통해 발생되는 상단 발판 부재(254)의 기울임에 관한 검출을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제어부(314)는 기울기 센서(250)를 통해 상단 발판 부재(254)의 기울임을 검출하고, 로봇 또는 사용자의 불균형이 있다고 판단되면 발목관절 동력부(220)를 제어하여 사용자 또는 로봇의 몸체를 상단 발판 부재(254)를 기준으로 좌우로 기울이거나 직립시키도록 할 수 있다.The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제어부(314)는 발목 관절 동력부(230)에 있는 스웨이 모션 구동 부재(222)를 제어하여 스웨이 모션 모터 래퍼(224)를 통해 상단 발판 부재(254)를 기준으로 종아리 골격(120)을 좌우로 기울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예를 들어, 제2 제어부(314)는 기울기 센서(250)를 통해 상단 발판 부재(254)가 발 바닥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기울여짐이 검출되면 스웨이 모션 구동 부재(222)를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종아리 골격(120)을 발 바닥의 바깥쪽 방향으로 기울임으로써 로봇 또는 사람의 몸체를 직립시킬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2 제어부(314)는 기울기 센서(250)를 통해 상단 발판 부재(254)가 발 바닥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기울여짐이 검출되면 스웨이 모션 구동 부재(222)를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종아리 골격(120)을 발 바닥의 안쪽 방향으로 기울임으로써 로봇 또는 사람의 몸체를 직립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the
도 4는 도 1에 있는 로봇 다리 장치의 다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robot leg device shown in FIG. 1. FIG.
도 4에서, 로봇 다리 장치(400)는 도 2에 있는 로봇 다리 장치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므로, 그 동작 상에 차이가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렇게 하더라도, 당업자는 도 2로부터 도 4에 있는 로봇 다리 장치를 용이하게 발명할 수 있을 것이다.In Fig. 4, the
도 2의 모터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부재(212)는 스프링으로 구현되는 구동 부재(422)로 대체되었고, 도 2의 모터를 통해 가동되는 피스톤 부재(214)는 스프링으로 구현되어 수축 또는 신장되는 피스톤 부재(414)로 대체되었다.The
구동 부재(422)는 수축을 통해 중족관절 동력부(210)가 전방으로 기울여질 수 있고, 신장을 통해 중족관절 동력부(210)가 후방으로 기울여질 수 있다. 또한, 구동 부재(422)는 발목 관절 동력부(220)에 대한 스프링의 감김 또는 풀림을 통해 스웨이 모션을 지원할 수 있다.
The driving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100: 로봇 다리 장치 시스템
110: 로봇 다리 장치 120: 종아리 골격
130: 끼움부
210: 중족관절 동력부 212: 구동 부재
214: 피스톤 부재 216: 벨트 부재
220: 발목 관절 동력부 222: 스웨이 모션 구동 부재
224: 스웨이 모션 모터 래퍼 226: 중족 관절 벨트 부재
230: 종아리 관절 동력부 232: 종골 구동 부재
234: 종골 피스톤 부재
240: 하단 발 베이스부 242: 하단 발가락 부재
244: 하단 발판 부재
250: 상단 발 베이스부 252: 상단 발가락 부재
254: 상단 발판 부재 310: 제어부100: Robot leg device system
110: Robot leg device 120: Calf skeleton
130:
210: body joint power section 212: drive member
214: piston member 216: belt member
220: ankle joint power section 222: swing motion drive member
224: Sway motion motor wrapper 226: Neck joint belt member
230: calf joint power unit 232: calf bone drive member
234: a vertical bone member
240: lower foot base portion 242: lower toe member
244: lower foot plate member
250: upper foot base portion 252: upper toe member
254: upper stepping member 310:
Claims (15)
종아리 골격을 형성하고 종아리 내의 중앙에 병렬로 배치되어 발뒤꿈치에 있는 종골의 상하 수직 운동을 지원하는 종골 구동 부재와 종골 피스톤 부재를 포함하는 종아리 관절 동력부; 및
중족관절 벨트 부재를 통해 종아리 관절 동력부를 지지하고 상기 상단 발 베이스부 상의 후단에 위치한 스웨이 모션 구동 부재와 상기 중족관절 벨트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스웨이 모션 구동 부재의 작동에 의해 상기 종아리 골격을 좌우로 움직이는 스웨이 모션 모터 래퍼를 포함하는 발목 관절 동력부를 포함하는 로봇 다리 장치.
An upper foot base portion;
A calf joint power section including a calf-bearing member and a calcaneus piston member that form a calf skeleton and are disposed in parallel in the middle of the calf to support up-and-down vertical movement of the calf bone in the heel; And
A swing motion driving member that supports the calf joint power portion through the body joint belt member and is disposed at a rear end of the upper foot base portion and a swing motion driving member which is engaged with the body joint belt member and moves the calf skeleton left and right by operation of the swing motion driving member A robot leg device comprising an ankle joint power section including a swing motion motor wrapper.
일단은 상기 중족관절 벨트 부재의 일측과 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스웨이 모션 모터의 적어도 일부를 래핑하여 상기 종아리 관절 동력부에 상기 스웨이 모션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다리 장치.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wing motion motor wrapper
Wherein one end is engaged with one side of the cervical joint member and the other end is wrapped with at least a part of the swing motion motor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of the swing motion motor to the calf joint power unit.
상기 일단과 상기 다른 일단 사이에서 상기 중족관절 벨트 부재와 접촉되어 상기 종아리 관절 동력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다리 장치.
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the swing motion motor wrapper
Wherein the support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cervical joint belt member between the one end and the other end to support the calf joint power.
중족관절을 통해 상단 발가락 부재와 상단 발판 부재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다리 장치.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upper foot base
And an upper foot member and an upper foot member through the joint.
상기 상단 발 베이스부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상단 발가락 부재와 결합된 하단 발가락 부재와 상기 상단 발판 부재와 상기 중족 관절에서 결합되어 발뒤꿈치로 갈수록 벌어지는 하단 발판 부재로 구성된 하단 발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다리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lower foot base portion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foot base portion and composed of a lower toe member coupled with the upper toe member and a lower foot member coupled with the upper foot member and the heel, .
상기 상단 발판 부재 상의 중단에 병렬로 배치되고 벨트 부재를 통해 상기 발목 관절 동력부와 병렬적으로 결합되는 구동 부재와 피스톤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 부재는 상기 상단 발가락 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구동 부재를 통해 직선 운동을 수행하는 중족관절 동력부를 포함하는 로봇 다리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piston member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interruption on the upper foot member and coupled in parallel with the ankle joint power section via a belt member, the piston member being engaged with the upper toe member, And a cervical joint power unit for performing a linear motion through the cervical joint power unit.
모터를 통해 구현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 방향을 통해 상기 피스톤 부재의 직선 운동 방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다리 장치.
The apparatus as claimed in claim 6, wherein the driving member
Wherein the control unit is implemented through a motor and controls a linear motion direction of the piston member through a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상기 상단 발가락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상단 발가락 부재를 밀거나 또는 당겨서 상기 중족관절을 회전시킴으로써 사람의 중족관절의 움직임을 시뮬레이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다리 장치.
8. A piston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piston member
Wherein the robot leg device is connected to the upper toe member and pushes or pulls the upper toe member to rotate the ankle joint to simulate movement of a person's ankle joint.
상기 종골 구동 부재의 동작으로 인해 변경되는 상기 상단 발판 부재의 기울기를 검출하여 상기 기울기가 특정 각도 이상이면 상기 구동 부재의 동작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다리 장치.
7. The apparatus of claim 6, wherein the body joint power sec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inclination of the upper pedal member changed due to the operation of the calcareous driving member and starts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ember when the inclination is not less than a specific angle.
상기 상단 발 발판 부재 상의 중단에 병렬로 배치되고 벨트 부재를 통해 상기 발목 관절 동력부와 병렬적으로 결합되는 구동 부재와 피스톤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 부재는 상단 발가락 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구동 부재를 통해 직선 운동을 수행하는 중족관절 동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다리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 piston member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break on the upper foot member and coupled in parallel with the ankle joint power unit via a belt member, the piston member being coupled to the upper toe member, Further comprising a cervical joint power section for performing a linear motion through the cervical joint power section.
모터를 통해 구현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 방향을 통해 상기 종골 피스톤 부재의 직선 운동 방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다리 장치.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tor is implemented through a motor and controls the direction of linear motion of the calcaneus piston member through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motor.
중족관절 벨트 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중족관절 벨트 부재를 밀거나 또는 당겨서 사람의 발목관절의 움직임을 시뮬레이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다리 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alcareous piston member
Wherein the joint member is connected to the joint member of the crotch member and pushes or pulls the joint member to simulate movement of the ankle joint of the person.
상기 종아리 관절 동력부에 결합된 다축 모션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동작을 예측하고 상기 구동 부재와 상기 종골 구동 부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다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first control unit for predicting an operation of a user through a multi-axis motion sensor coupled to the calf joint power unit and controlling driving of the driving member and the caliber driving member.
상기 상단 발 베이스부에 결합된 기울기 센서를 통해 상기 상단 발 베이스부의 좌우 기울기를 검출하여 상기 종아리 골격이 직립할 수 있도록 스웨이 모션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봇 다리 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ontrol unit for detecting a left-right inclination of the upper foot base through a tilt sensor coupled to the upper foot base and controlling driving of the swing motion motor so that the calf skeleton can stand upright, Leg device.
종아리 골격을 형성하고 종아리 내의 중앙에 병렬로 배치되어 발뒤꿈치에 있는 종골의 상하 수직 운동을 지원하는 종골 구동 부재와 종골 피스톤 부재를 포함하는 종아리 관절 동력부; 및
중족관절 벨트 부재를 통해 종아리 관절 동력부를 지지하고 상기 상단 발 베이스부 상의 후단에 위치한 스웨이 모션 구동 부재와 상기 중족관절 벨트 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스웨이 모션 구동 부재의 작동에 의해 상기 종아리 골격을 좌우로 움직이는 스웨이 모션 모터 래퍼를 포함하는 발목 관절 동력부를 포함하는 의족 장치.
An upper foot base portion;
A calf joint power section including a calf-bearing member and a calcaneus piston member that form a calf skeleton and are disposed in parallel in the middle of the calf to support up-and-down vertical movement of the calf bone in the heel; And
A swing motion driving member that supports the calf joint power portion through the body joint belt member and is disposed at a rear end of the upper foot base portion and a swing motion driving member which is engaged with the body joint belt member and moves the calf skeleton left and right by operation of the swing motion driving member And an ankle joint power section including a swing motion motor wrapp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7940A KR101846381B1 (en) | 2016-12-09 | 2016-12-09 | Robot leg apparatus and prosthetic leg apparatus providing sway motions of heel joi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7940A KR101846381B1 (en) | 2016-12-09 | 2016-12-09 | Robot leg apparatus and prosthetic leg apparatus providing sway motions of heel joi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46381B1 true KR101846381B1 (en) | 2018-04-06 |
Family
ID=61973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67940A Expired - Fee Related KR101846381B1 (en) | 2016-12-09 | 2016-12-09 | Robot leg apparatus and prosthetic leg apparatus providing sway motions of heel joi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46381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423631A (en) * | 2019-02-18 | 2021-09-21 | 马克思-普朗克科学促进协会 | Robot leg and robot system |
CN114044065A (en) * | 2021-11-10 | 2022-02-15 | 江苏科技大学 | A biped robot lower limb structure and its motion method |
WO2025097003A1 (en) * | 2023-11-01 | 2025-05-08 |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 Limb-assistive device with energy shaping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30711A (en) | 2004-02-12 | 2012-07-12 | Oessur Hf | System and method for motion-controlled foot unit |
JP5578556B2 (en) | 2010-07-08 | 2014-08-27 |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 Legs for humanoid walking robot and their legs |
-
2016
- 2016-12-09 KR KR1020160167940A patent/KR10184638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2130711A (en) | 2004-02-12 | 2012-07-12 | Oessur Hf | System and method for motion-controlled foot unit |
JP5578556B2 (en) | 2010-07-08 | 2014-08-27 |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 Legs for humanoid walking robot and their legs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423631A (en) * | 2019-02-18 | 2021-09-21 | 马克思-普朗克科学促进协会 | Robot leg and robot system |
CN113423631B (en) * | 2019-02-18 | 2023-09-19 | 马克思-普朗克科学促进协会 | Robot legs and robotic systems |
CN114044065A (en) * | 2021-11-10 | 2022-02-15 | 江苏科技大学 | A biped robot lower limb structure and its motion method |
CN114044065B (en) * | 2021-11-10 | 2024-01-26 | 江苏科技大学 | Lower limb structure of biped robot and movement method thereof |
WO2025097003A1 (en) * | 2023-11-01 | 2025-05-08 |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 Limb-assistive device with energy shapin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60100B1 (en) | Exoskeleton comprising a foot structure | |
RU2414207C2 (en) | Device facilitating walking | |
RU2389468C9 (en) | Device that facilitates walking | |
KR101317354B1 (en) | Control method of walking assistance torque and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 |
RU2389469C2 (en) | Walking facilitating device | |
WO2017208480A1 (en) | Walking motion assist device | |
JP2014073199A (en) | Walking support device and walking support program | |
AU2003225051A1 (en) | Proprioception machine | |
KR101846381B1 (en) | Robot leg apparatus and prosthetic leg apparatus providing sway motions of heel joint | |
KR102786910B1 (en) | Motion assist apparatus | |
KR101694848B1 (en) | Gait rehabilitation robot to assist rehabilitation of patient | |
JPWO2009081938A1 (en) | Exercise assistance device | |
KR20170001261A (en) | Controlling method for gait transition of wearable robot | |
JP2018033641A (en) | Device for preventing leg muscle atrophy | |
KR101846379B1 (en) | Robot leg apparatus and prosthetic leg apparatus providing freedom of metatarsophalangeal joint | |
KR20190142709A (en) | Controlling method of lower body assisting robot | |
JP2005211328A (en) | Walking training apparatus | |
KR101661534B1 (en) | Active Ankle Rehabilitation Device | |
JP2013208292A (en) | Walking assistance device and walking assistance program | |
JP2005205001A (en) | Foot step-out assisting mechanism, movement aid including the mechanism, and movement aid with saddle | |
KR102243602B1 (en) |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 |
KR20160057034A (en) | Apparatus for training walk moving type | |
WO2011105411A1 (en) | Exercise aid | |
CN220070104U (en) | Multi-modal gait training lower limb rehabilitation device | |
KR20120012010A (en) | Mimic Automatic Rehabilitation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4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4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