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43806B1 -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separator for battery, and battery - Google Patents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separator for battery, and batte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806B1
KR101843806B1 KR1020127026859A KR20127026859A KR101843806B1 KR 101843806 B1 KR101843806 B1 KR 101843806B1 KR 1020127026859 A KR1020127026859 A KR 1020127026859A KR 20127026859 A KR20127026859 A KR 20127026859A KR 101843806 B1 KR101843806 B1 KR 101843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orous membrane
polyethylene
battery
less
mas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68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87367A (en
Inventor
코타로 타키타
신타로 키쿠치
카즈히로 야마다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87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3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80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8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by elimination of a liquid phase from a macromolecular composition or article, e.g. drying of coagul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17Polyolef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01M50/491Poros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ell Separator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수은 압입법에 의해 구한 구멍 지름 분포 곡선에 있어서 세공 반경이 10~1,000㎚ 범위의 세공 용적(S1)에 대하여 세공 반경이 100~1,000㎚ 범위의 세공 용적(S2)의 비율(S2/S1×100)이 25% 이상이고, 또한 세공 반경이 500~1,000㎚ 범위의 세공 용적(S3)의 비율(S3/S1×100)이 5% 이하인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고공극률 및 뛰어난 투과성 및 기계적 강도를 갖는 얇은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이러한 미다공막을 사용한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이러한 세퍼레이터를 사용한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S 2 / S 2 ) of the pore volume (S 2 ) in the range of 100 to 1,000 nm with respect to the pore volume (S 1 ) in the pore radius of 10 to 1,000 nm in the pore diameter distribution curve obtained by the mercury porosimetry, S 1 × 100) of 25% or more and a ratio (S 3 / S 1 × 100) of the pore volume (S 3 ) in the range of the pore radius of 500 to 1,000 nm is 5% or less.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thin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having a high porosity and excellent permeability and mechanical strength, a battery separator using such a microporous membrane, and a battery using such a separator.

Figure R1020127026859
Figure R1020127026859

Description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전지{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SEPARATOR FOR BATTERY, AND BATTERY}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a separator for a battery, and a battery.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높은 공극률 및 뛰어난 투과성 및 기계적 강도를 갖는 얇은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이러한 미다공막을 사용한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이러한 세퍼레이터를 사용한 전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in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having a high porosity and excellent permeability and mechanical strength, a battery separator using such a microporous membrane, and a battery using such a separator.

리튬 이온 이차전지는 니켈-수소 이차전지나 니켈-카드뮴 이차전지 등의 기타 이차전지에 비하여 높은 전압을 갖기 때문에 높은 에너지 밀도가 얻어지지만 내부 단락이 생겼을 경우에는 급격하게 발열하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리튬 이온 이차전지용 세퍼레이터는 내부 단락이 생겼을 경우에 전지 반응을 정지시키는 기능(셧다운 기능)을 가질 필요가 있다. 전지용 세퍼레이터로서 종래부터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이 사용되고 있다.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전지의 발열에 의해 세공이 폐쇄되어 전해액의 이온 전도를 차단함으로써 전지 반응을 셧다운시킨다. Th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has a higher voltage than other secondary batteries such as a nickel-hydrogen secondary battery and a nickel-cadmium secondary battery, so that a high energy density is obtained. However, if an internal short circuit occurs, the secondary battery may generate heat rapidly. Therefore, the separator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needs to have a function (shutdown function) for stopping the battery reaction when an internal short circuit occurs. Conventionally, a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has been used as a battery separator.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closes the pores due to heat generation of the battery, thereby blocking ion conduction of the electrolyte, thereby shutting down the cell reaction.

그러나 과충전시에는 LiCoO2 등의 정극 활물질의 결정이 파괴되어 격렬하게 발열한다. 과충전시의 발열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전지용 세퍼레이터로 과열을 방지하는 방법 이외에 정부극간에 미소한 단락 개소를 고의로 형성해서 과충전의 진행을 회피하는 방법이 있다(WO 2005/117167). 미소한 단락 개소는, 예를 들면 다른쪽의 전극과 대향하는 면에 두께 수㎛의 볼록부를 갖는 다공질막을 형성한 전극을 사용하고, 과충전시에 리튬이나 전이금속 등을 다공질막의 볼록부에 집중적으로 석출시켜 세퍼레이터를 관통하도록 덴드라이트를 성장시킴으로써 형성한다. 이 방법을 사용할 경우, 미소한 단락 개소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높은 공극률을 갖는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극률이 높은 미다공막은, 예를 들면 무기 물질로 이루어지는 구멍 형성제에 의해 공극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지만 이러한 미다공막은 피어싱 강도가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LiCoO 2 The crystals of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such as lithium are destroyed and generate heat violently. As a method for suppressing the heat generation at the time of overcharging, there is a method of deliberately forming a minute short circuit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to prevent the overcharge from proceeding, in addition to a method of preventing overheating by a battery separator (WO 2005/117167). An electrode having a porous film having a convex portion with a thickness of several micrometers on the surface facing the other electrode is used as the short-circuited portion, and lithium or a transition metal or the like is concentrated on the convex portion of the porous film at the time of overcharging And precipitating the dendrites so as to penetrate the separator. When this method is used, it is preferable to use a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having a high porosity in order to facilitate the formation of minute shorts. The microporous membrane having a high porosity can be produced by, for example, a method of forming a void by a hole forming agent made of an inorganic material, but such a microporous membrane has a problem that the piercing strength is lowered.

WO 2006/106783(특허문헌 1)은 세공 지름이 크고, 투과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을 중량 평균 분자량이 5×105 이상인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과 중량 평균 분자량이 1×104 이상 5×105 미만인 폴리에틸렌의 폴리에틸렌 조성물과 성막용 용제를 용융 혼련한 후 다이로부터 압출, 냉각함으로써 겔 형상 시트를 형성하고, 겔 형상 시트에 대하여 적어도 1축 방향으로 제 1 연신을 실시하고, 폴리에틸렌 조성물의 결정 분산 온도 이상 또한 융점 이하의 온도 범위 내에서 열고정 처리하고, 성막용 용제를 제거하고, 용제 제거 후의 연신물에 대하여 적어도 1축 방향으로 제 2 연신을 실시함으로써 형성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WO 2006/106783 (Patent Document 1), the pore diameter is large, the permeability and the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of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 × 10 5 or more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with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 × 10 4 more than 5 × 10 A polyethylene composition of polyethylene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less than 5 and a solvent for film formation is melt kneaded and then extruded from a die and cooled to form a gel sheet. The gel sheet is subjected to first stretching in at least one axial direction, And the second stretching is performed in at least one ax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tretched product after removing the solvent, and the second stretching is performed in at least one axial direction.

WO 2006/106783WO 2006/106783

그러나 특허문헌 1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5×105 미만인 폴리에틸렌을 다량으로 포함하기 때문에 비교적 얇은 미다공막을 형성했을 경우에 공극률, 투과성 및 피어싱 강도에 대해서 양호한 밸런스를 얻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었다. However, since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of Patent Document 1 contains a large amount of polyethylene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less than 5 10 5 , it is difficult to obtain a good balance of porosity, permeability and piercing strength when a relatively thin microporous membrane is formed there was.

최근에는 휴대전화 등에 사용되는 소형 리튬 이온 이차전지용으로 얇은 세퍼레이터, 특히 두께 19㎛ 이하의 세퍼레이터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높은 공극률 및 뛰어난 투과성 및 피어싱 강도를 갖고, 과충전시의 발열 방지에 적합한 얇은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이 요망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a thin separator, particularly a separator having a thickness of 19 탆 or less, is required for a small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used in a cellular phone or the like. Therefore, a thin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having a high porosity, excellent permeability and piercing strength, and suitable for preventing heat generation during overcharging is desir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공극률 및 뛰어난 투과성 및 기계적 강도를 갖는 얇은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이러한 미다공막을 사용한 전지용 세퍼레이터, 및 이러한 세퍼레이터를 사용한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hin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having a high porosity and excellent permeability and mechanical strength, a battery separator using such a microporous membrane, and a battery using such a separator.

상기 목적을 감안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본 발명자들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5×105~9×105인 제 1 폴리에틸렌과 중량 평균 분자량이 1×106 이상인 제 2 폴리에틸렌의 혼합물로 겔 형상 시트를 형성하고, 이것을 연신하고, 열고정 처리하고, 세정하고, 재연신하고, 열처리하면 적당한 구경 범위에서 큰 세공 용적을 갖고, 얇아도 뛰어난 투과성 및 기계적 강도를 갖는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이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As a result of intensive studies in view of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a mixture of a first polyethylene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 × 10 5 to 9 × 10 5 and a second polyethylene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 × 10 6 or more, A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having a large pore volume in a suitable diameter range and having excellent permeability and mechanical strength even when it is thin can be obtained by subjecting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to stretching, heat setting, washing, .

즉,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수은 압입법에 의해 구한 구멍 지름 분포 곡선에 있어서 세공 반경 0~1,000㎚ 범위의 세공 용적에 대하여 세공 반경이 100~1,000㎚ 범위의 세공 용적의 비율이 25% 이상이고, 또한 세공 반경이 500~1,000㎚ 범위의 세공 용적의 비율이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at is,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ore diameter distribution curve in which the ratio of the pore volume in the pore radius range of 100 to 1,000 nm is 25% or more , And the ratio of the pore volume in the pore radius range of 500 to 1,000 nm is 5% or less.

상기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은 중량 평균 분자량이 5×105~9×105인 제 1 폴리에틸렌과 중량 평균 분자량이 1×106 이상인 제 2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폴리에틸렌 및 제 2 폴리에틸렌의 합계를 100질량%로 하여 상기 제 2 폴리에틸렌의 함유량은 10~2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폴리에틸렌의 말단 비닐기 농도는 10,000개의 탄소원자당 0.2개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미다공막의 질량을 100질량%로 하여 10질량% 이하의 무기 필러를 포함해도 된다. The polyolefin constituting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preferably comprises a first polyethylene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 10 5 to 9 10 5 and a second polyethylene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 10 6 or m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total content of the first polyethylene and the second polyethylene is 100 mass% and the content of the second polyethylene is 10 mass% to 25 mass%. The terminal vinyl group concentration of the first polyethylene is preferably less than 0.2 per 10,000 carbon atoms.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may contain 10% by mass or less of inorganic filler based on 100% by mass of the microporous membran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19㎛ 이하의 평균 두께 및 45% 이상의 공극률을 갖고, 상기 구멍 지름 분포 곡선의 피크가 세공 반경 50㎚ 이상의 범위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형태에 의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7.5% 이하의 가로 방향(TD)의 열수축률(105℃ 및 8시간의 조건 하), 및 10% 이하의 가로 방향(TD)의 최대 수축률(용융 직전)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한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의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50% 이상의 공극률, 100mN/㎛ 이상의 피어싱 강도, 및 18㎛ 이하의 평균 두께를 갖는다.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verage thickness of 19 μm or less and a porosity of 45% or more, and the peak of the pore diameter distribution curve is in a range of 50 nm or more of the pore radius.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eat shrinkage ratio (TD) of less than 7.5% (under the condition of 105 ° C and 8 hours) and a maximum shrinkage ratio of less than 1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D) Just before melting).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according to still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orosity of 50% or more, a piercing strength of 100 mN / 占 퐉 or more, and an average thickness of 18 占 퐉 or less.

본 발명의 전지용 세퍼레이터는 상기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ttery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by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본 발명의 전지는 상기 전지용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지용 세퍼레이터는 소형 리튬 이온 이차전지에 적합하다. The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battery separator. The separator for a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for a small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발명의 효과)(Effect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얇고, 높은 공극률과 뛰어난 투과성 및 기계적 강도를 갖고, 특히 뛰어난 피어싱 강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으로 이루어지는 세퍼레이터를 사용한 소형 리튬 이온 이차전지는 뛰어난 안전성을 갖는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특히 휴대전화용 소형 리튬 이온 이차전지의 세퍼레이터에 적합하다.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in, has high porosity, excellent permeability and mechanical strength, and has particularly excellent piercing strength. The small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eparator made of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safety. Therefore,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a separator of a small-size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for a cellular phone.

도 1은 전형적인 구멍 지름 분포 곡선의 일례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용융 직전의 최대 수축률을 구하기 위한 온도-치수 변화율 곡선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1 및 비교예 1, 2 및 6의 구멍 지름 분포 곡선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1 is a graph showing an example of a typical pore diameter distribution curve.
2 is a graph schematically showing a temperature-dimensional change rate curve for obtaining a maximum shrinkage rate immediately before melting.
3 is a graph showing the hole diameter distribution curves of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1, 2 and 6. Fig.

[1] 폴리올레핀 미다공막[1]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A) 조성(A) Composition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은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5×105~9×105인 제 1 폴리에틸렌과 Mw가 1×106 이상인 제 2 폴리에틸렌의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폴리에틸렌의 함유량은 폴리에틸렌 조성물 전체를 100질량%로 하여 10~25질량%가 바람직하고, 15~25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 함유량이 10~25질량%라면 얻어지는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공극률과 기계적 강도의 밸런스가 좋다. The polyolefin constituting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is preferably a composition of a first polyethylene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5 10 5 to 9 10 5 and a second polyethylene having a Mw of 1 10 6 or more. The content of the second polyethylene is preferably 10 to 25% by mass, more preferably 15 to 25% by mass, based on 100% by mass of the entire polyethylene composition. If the content is 10 to 25 mass%, the polyolefin microporous film obtained has a good balance of porosity and mechanical strength.

(1) 제 1 폴리에틸렌(1) a first polyethylene

제 1 폴리에틸렌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분기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바람직하고, 고밀도 폴리에틸렌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1 폴리에틸렌은 에틸렌의 단독 중합체뿐만 아니라 에틸렌 이외의 α-올레핀을 소량 함유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이어도 된다. 에틸렌 이외의 α-올레핀으로서는 프로필렌, 부텐-1, 펜텐-1, 헥센-1, 4-메틸펜텐-1 및 옥텐-1이 바람직하다. 그 이외에, 아세트산 비닐, 메타크릴산 메틸 및 스티렌을 함유해도 된다. 에틸렌과 에틸렌 이외의 α-올레핀을 공중합함으로써 제 1 폴리에틸렌의 융점을 132℃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융점은 JIS K 7121에 의거해 시차주사열량측정(DSC)에 의해 구한다. 에틸렌 이외의 α-올레핀의 함유량은 5mol% 이하가 바람직하다. The first polyethylene is preferably high density polyethylene, medium density polyethylene, branched low density polyethylene and chain low density polyethylene, more preferably high density polyethylene. The first polyethylene may be not only a homopolymer of ethylene but also an ethylene /? - olefin copolymer containing a small amount of? -Olefin other than ethylene. As the? -Olefins other than ethylene, propylene, butene-1, pentene-1, hexene-1, 4-methylpentene-1 and octene-1 are preferable. In addition to these, vinyl acetate, methyl methacrylate and styrene may be contained. The melting point of the first polyethylene can be made to be 132 占 폚 or higher by copolymerizing ethylene and an? -Olefin other than ethylene. The melting point is determin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according to JIS K 7121. The content of the? -Olefin other than ethylene is preferably 5 mol% or less.

제 1 폴리에틸렌의 Mw는 5×105~8×105가 바람직하고, 5.5×105~7×105가 보다 바람직하다. 제 1 폴리에틸렌의 분자량 분포[중량 평균 분자량/수 평균 분자량(Mw/Mn)]은 50 이하가 바람직하고, 2~50이 보다 바람직하며, 3~15가 더욱 바람직하고, 4~10이 가장 바람직하다. The Mw of the first polyethylene is preferably 5 × 10 5 to 8 × 10 5 , more preferably 5.5 × 10 5 to 7 × 10 5 .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w / Mn)) of the first polyethylene is preferably 50 or less, more preferably 2 to 50, further preferably 3 to 15, and most preferably 4 to 10 .

높은 투과성 및 기계적 강도를 갖는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을 얻기 위해서 제 1 폴리에틸렌의 말단 비닐기 농도는 10,000개의 탄소원자당 0.2개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에틸렌의 시판품으로서, 예를 들면 썬파인(등록상표, 아사히카세이가부시키가이샤제)의 그레이드 「SH-800」, 「SH-810」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시판품의 말단 비닐기 농도는 10,000개의 탄소원자당 0.05~0.14개이다. 이러한 폴리에틸렌은, 예를 들면 치글러-나타 촉매 또는 싱글 사이트 중합 촉매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말단 비닐기 농도는 WO 1997/23554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erminal vinyl group concentration of the first polyethylene is less than 0.2 per 10,000 carbon atoms in order to obtain a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having high permeability and mechanical strength. As a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of such polyethylene, for example, grades "SH-800" and "SH-810" of Sun Fine (registered trademark, product of Asahi Chemical Industry Co., Ltd.) are listed. The terminal vinyl group concentration of these commercial products is 0.05 to 0.14 per 10,000 carbon atoms. Such a polyethylene can be produced, for example, by a Chigler-Natta catalyst or a single site polymerization catalyst. The terminal vinyl group concentration can also be measur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WO 1997/23554.

말단 비닐기 농도가 0.2개 미만이 되는 한 말단 비닐기 농도가 0.2개 미만인 폴리에틸렌에 말단 비닐기 농도가 0.2개 이상인 폴리에틸렌을 혼합해도 된다. 말단 비닐기 농도가 0.2개 이상인 폴리에틸렌에 의해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셧다운 특성이 향상된다. 말단 비닐기 농도가 0.2개 이상인 폴리에틸렌의 시판품으로서, 예를 들면 루폴렌(Lupolen, 등록상표, Basell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시판품의 말단 비닐기 농도는 10,000개의 탄소원자당 0.6~10.0개이다. 이러한 폴리에틸렌은 크롬 함유 촉매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As long as the terminal vinyl group concentration is less than 0.2, polyethylene having a terminal vinyl group concentration of less than 0.2 may be mixed with polyethylene having a terminal vinyl group concentration of 0.2 or more. The shutdown characteristic of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is improved by the polyethylene having the terminal vinyl group concentration of 0.2 or more. As a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of polyethylene having a terminal vinyl group concentration of 0.2 or more, for example, Lupolen (registered trademark, manufactured by Basell) and the like can be mentioned. The terminal vinyl group concentration of these commercial products is 0.6 to 10.0 per 10,000 carbon atoms. Such polyethylene can be produced by a chromium-containing catalyst.

셧다운 온도를 예를 들면 130℃ 이하로 저하시킬 목적으로 융점이 130℃ 이하인 폴리에틸렌을 제 1 폴리에틸렌에 첨가해도 된다. Polyethylene having a melting point of 130 占 폚 or lower may be added to the first polyethylene for the purpose of lowering the shutdown temperature to, for example, 130 占 폚 or less.

(2) 제 2 폴리에틸렌 (2) a second polyethylene

제 2 폴리에틸렌은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이 바람직하다.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은 에틸렌의 단독 중합체뿐만 아니라 에틸렌 이외의 α-올레핀을 소량 함유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이어도 된다. 에틸렌 이외의 α-올레핀으로서는 프로필렌, 부텐-1, 펜텐-1, 헥센-1, 4-메틸펜텐-1 및 옥텐-1을 들 수 있다. 그 이외에, 아세트산 비닐, 메타크릴산 메틸 및 스티렌도 사용할 수 있다. 에틸렌 이외의 α-올레핀의 함유량은 5mol% 이하가 바람직하다. 제 2 폴리에틸렌의 Mw는 1×106~5×106이 바람직하고, 1×106~3×106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2 폴리에틸렌의 Mw/Mn은 1.2~50이 바람직하고, 3~20이 보다 바람직하며, 4~15가 더욱 바람직하고, 4~10이 가장 바람직하다. The second polyethylene is preferably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The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may be not only a homopolymer of ethylene but also an ethylene /? - olefin copolymer containing a small amount of? -Olefin other than ethylene. Examples of? -Olefins other than ethylene include propylene, butene-1, pentene-1, hexene-1, 4-methylpentene-1 and octene-1. In addition, vinyl acetate, methyl methacrylate, and styrene may also be used. The content of the? -Olefin other than ethylene is preferably 5 mol% or less. Mw of the second polyethylene is 1 × 10 6 ~ 5 × 10 6 is preferable, and more preferably is 1 × 10 6 ~ 3 × 10 6. The Mw / Mn of the second polyethylene is preferably 1.2 to 50, more preferably 3 to 20, further preferably 4 to 15, most preferably 4 to 10.

제 2 폴리에틸렌은 한정적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치글러-나타 촉매 또는 싱글 사이트 중합 촉매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제 2 폴리에틸렌의 융점은 134℃ 이상이 바람직하다.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의 시판품으로서, 예를 들면 하이젝스밀리언(등록상표, 미츠이카가쿠가부시키가이샤제)의 그레이드 「240M」을 들 수 있다. The second polyethylene may be produced by, for example but not limited to, a Chigler-Natta catalyst or a single site polymerization catalyst. The melting point of the second polyethylene is preferably 134 캜 or higher. As a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 of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for example, a grade "240M" of Highjax Million (registered trademark, manufactured by Mitsui Kagaku K.K.) can be mentioned.

(3) 기타 성분 (3) Other components

상기 폴리에틸렌 조성물은 무기 필러, 내열 폴리머 등의 기타 성분을 함유해도 된다. 무기 필러는 규소 및/또는 알루미늄 원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열 폴리머로서 WO 2007/132942 및 WO 2008/016174에 기재된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필러 및 내열 폴리머의 각각의 함유량은 미다공막의 질량을 100질량%로 하여 1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The polyethylene composition may contain other components such as an inorganic filler and a heat-resistant polymer. The inorganic filler preferably contains silicon and / or aluminum atoms. As the heat resistant polymer, those described in WO 2007/132942 and WO 2008/016174 are preferable. The content of each of the inorganic filler and the heat resistant polymer is preferably 10% by mass or less based on 100% by mass of the microporous membrane.

(B) 제조 방법(B) Manufacturing method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을 제조하는 방법은 (1) 상기 폴리올레핀 및 성막용 용제를 용융 혼련해서 폴리올레핀 용액을 조제하고, (2) 폴리올레핀 용액을 다이로부터 압출하고, (3) 얻어진 압출 성형체를 냉각해서 겔 형상 시트를 형성하고, (4) 겔 형상 시트를 연신하고, (5) 열고정 처리하고, (6) 겔 형상 시트로부터 성막용 용제를 제거하고, (7) 얻어진 미다공막을 건조하고, (8) 미다공막을 연신(재연신)하고, (9) 열처리하는 공정을 갖는다. 공정 (9)의 뒤에 필요에 따라서 (10) 전리 방사에 의한 가교 처리 공정, (11) 친수화 처리 공정 등을 실시해도 좋다. The method for producing a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comprises the steps of (1) melt-kneading the polyolefin and a solvent for film formation to prepare a polyolefin solution, (2) extruding the polyolefin solution from the die, (3) (6) removing the solvent for film formation from the gel sheet, (7) drying the obtained microporous membrane, (8) drying the microporous membrane, and Stretching the sclera (re-stretching), and (9) heat-treating the sclera. After the step (9), (10) a crosslinking treatment step by ionizing radiation, (11) a hydrophilization treatment step may be carried out, if necessary.

(1) 폴리올레핀 용액의 조제 (1) Preparation of polyolefin solution

상기 폴리올레핀과 성막용 용제를 용융 혼련함으로써 조제하는 폴리올레핀 용액에 필요에 따라서 산화방지제, 미분규산(구멍 형성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해도 된다. Various additives such as antioxidants and microparticulate silicic acid (pore-forming agent) may be added to the polyolefin solution prepared by melt-kneading the polyolefin and the solvent for film formation, as needed, within the range not to impair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비교적 고배율의 연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성막용 용제는 실온에서 액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액체 용제로서는 노난, 데칸, 데칼린, 파라크실렌, 운데칸, 도데칸, 유동 파라핀 등의 지방족, 환식 지방족 또는 방향족의 탄화수소, 및 비점이 이것들에 대응하는 광유 유분(留分), 및 디부틸프탈레이트, 디옥틸프탈레이트 등의 실온에서는 액상인 프탈산 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액체 용제의 함유량이 안정적인 겔 형상 시트를 얻기 위해서 유동 파라핀과 같은 불휘발성 액체 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융 혼련 상태에서는 폴리올레핀과 혼화되지만 실온에서는 고체인 용제를 액체 용제에 혼합해도 된다. 이러한 고체 용제로서 스테아릴알코올, 세릴알코올, 파라핀왁스 등을 들 수 있다. 단 고체 용제만을 사용하면 연신 편차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In order to enable the stretching at a relatively high magnification, the solvent for film formation is preferably liquid at room temperature. Examples of the liquid solvent include aliphatic, cyclic aliphatic or aromatic hydrocarbons such as nonane, decane, decalin, para-xylene, undecane, dodecane and liquid paraffin, mineral oil fractions corresponding to these boiling points, and dibutyl phthalate, And phthalic acid esters in liquid state at room temperature such as dioctyl phthalate. In order to obtain a gel sheet in which the content of the liquid solvent is stable, it is preferable to use a nonvolatile liquid solvent such as liquid paraffin. Further, a solvent which is miscible with the polyolefin in the melt-kneading state but is solid at room temperature may be mixed with a liquid solvent. Examples of such a solid solvent include stearyl alcohol, ceryl alcohol, paraffin wax, and the like. However, if only a solid solvent is us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elongation deviation or the like may occur.

액체 용제의 점도는 40℃에 있어서 20~200cSt인 것이 바람직하다. 40℃에 있어서의 점도를 20cSt 이상으로 하면 다이로부터 폴리올레핀 용액을 압출한 시트가 불균일하게 되는 경우가 없다. 한편, 200cSt 이하로 하면 액체 용제의 제거가 용이하다. The viscosity of the liquid solvent is preferably 20 to 200 cSt at 40 占 폚. When the viscosity at 40 占 폚 is 20 cSt or more, the sheet extruded from the die by the polyolefin solution does not become unev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200 cSt or less, the liquid solvent can be easily removed.

폴리올레핀 용액의 균일한 용융 혼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고농도의 폴리올레핀 용액을 조제하기 위해서 이축압출기 중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막용 용제는 혼련 개시 전에 첨가해도, 혼련 중에 이축압출기의 도중에서부터 첨가해도 되지만 후자가 바람직하다. The homogeneous melt kneading of the polyolefin solu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referable to carry out the melt kneading in a twin-screw extruder in order to prepare a high-concentration polyolefin solution. The solvent for forming the film may be added before or during the kneading, while the latter may be preferably added from the middle of the twin-screw extruder during kneading.

용융 혼련 온도는 (폴리에틸렌 조성물의 융점(Tm)+10℃)~(Tm+12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 조성물은 약 130~140℃의 융점을 가지므로 용융 혼련 온도는 140~250℃가 바람직하고, 180~230℃가 보다 바람직하며, 210~230℃가 가장 바람직하다. The melting and knead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melting point (Tm) + 10 ° C) to (Tm + 120 ° C) of the polyethylene composition. Specifically, since the polyethylene composition has a melting point of about 130 to 140 ° C, the melt-knead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140 to 250 ° C, more preferably 180 to 230 ° C, and most preferably 210 to 230 ° C.

이축압출기의 스크류의 길이(L)와 직경(D)의 비(L/D)는 20~100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35~70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L/D를 20 이상으로 하면 용융 혼련이 충분하게 된다. L/D를 100 이하로 하면 폴리올레핀 용액의 체류 시간이 지나치게 증대하지 않는다. 이축압출기의 실린더 내경은 40~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ratio (L / D) of the length (L) to the diameter (D) of the screw of the twin-screw extruder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20 to 100,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35 to 70. When L / D is 20 or more, melt-kneading becomes sufficient. When L / D is 100 or less, the residence time of the polyolefin solution does not excessively increase. The inner diameter of the cylinder of the twin-screw extruder is preferably 40 to 100 mm.

폴리올레핀 용액을 100질량%로 하여 폴리올레핀의 함유량은 20~30질량%가 바람직하고, 20~28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의 함유량이 20~30질량%이면 겔 형상 시트의 성형성이 우수하다. The content of the polyolefin is preferably 20 to 30% by mass, more preferably 20 to 28% by mass, based on 100% by mass of the polyolefin solution. When the content of the polyolefin is 20 to 30% by mass, the gel sheet is excellent in moldability.

(2) 압출 (2) Extrusion

압출기 내에서 용융 혼련된 폴리올레핀 용액을 시트용 다이로부터 압출한다. 시트용 다이의 갭은 0.1~5㎜가 바람직하고, 압출시에 140~250℃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용액의 압출 속도는 0.2~15m/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melt-kneaded polyolefin solution in the extruder is extruded from the sheet die. The gap of the sheet die is preferably 0.1 to 5 mm, and it is preferable to heat the sheet die to 140 to 250 캜 at the time of extrusion. The extrusion speed of the heating solution is preferably 0.2 to 15 m / min.

압출 성형체 내에 폴리올레핀을 양호하게 분산시켜서 막두께 균일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이축압출기의 스크류 회전 속도(Ns)(rpm)에 대한 폴리올레핀 용액의 압출량(Q)(kg/h)의 비(Q/Ns)를 0.4kg/h/rp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35kg/h/rpm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Q/Ns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0.01kg/h/rpm이 바람직하다. Q/Ns는 스크류의 형상(예를 들면 직경, 스크류 홈의 깊이 등) 등에도 의존한다. 또한 스크류 회전수(Ns)는 50rpm 이상이 바람직하다. 스크류 회전수(Ns)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500rpm이 바람직하다.(Q / Ns (kg / h)) of the extruded amount (Q) (kg / h) of the polyolefin solution to the screw rotation speed (Ns) (rpm) of the biaxial extruder in order to uniformly disperse the polyolefin in the extrusion- ) Is preferably 0.4 kg / h / rpm or less, and more preferably 0.35 kg / h / rpm or less. The lower limit of Q / N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0.01 kg / h / rpm is preferable. Q / Ns also depends on the shape of the screw (for example, the diameter, the depth of the screw groove, etc.). The screw rotation speed (Ns) is preferably 50 rpm or more. The upper limit of the screw rotation speed (N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500 rpm.

(3) 겔 형상 시트의 형성 (3) Formation of a gel sheet

다이로부터 압출한 성형체를 냉각함으로써 겔 형상 시트가 얻어진다. 냉각은 적어도 겔화 온도까지는 30℃/분 이상, 바람직하게는 50℃/분 이상의 속도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10~45℃까지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에 의해 성막용 용제에 의해서 분리된 폴리올레핀의 마이크로상은 고정화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냉각 속도가 느리면 비교적 큰 폴리올레핀 결정이 형성되므로 겔 형상 시트의 고차 구조가 성기게 되지만, 냉각 속도가 빠르면 비교적 작은 폴리올레핀 결정이 형성되므로 겔 형상 시트의 고차 구조가 조밀해진다. 냉각 속도를 30℃/분 이상으로 하면 결정화도의 상승을 방지하여 연신에 적합한 겔 형상 시트가 된다. 냉각 방법으로서는 냉풍, 냉각수 등의 냉각 매체에 직접 접촉시키는 방법, 냉매로 냉각한 롤에 접촉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겔 형상 시트의 두께는 0.5~5㎜가 바람직하고, 0.7~3㎜가 보다 바람직하다. The gel-shaped sheet is obtained by cooling the formed body extruded from the die. The cooling is preferably carried out at least to a gelation temperature at a rate of 30 DEG C / min or more, preferably 50 DEG C / min or more. It is also preferable to cool to 10 to 45 占 폚. The microphase of the polyolefin separated by the solvent for film formation by cooling can be immobilized. Generally, if the cooling rate is low, a relatively high polyolefin crystal is formed, so that the gel sheet has a high-order structure. However, if the cooling rate is high, relatively small polyolefin crystals are formed, so that the gel sheet has a high-order structure. When the cooling rate is 30 DEG C / min or more, the rise of crystallinity is prevented, and a gel sheet suitable for stretching is obtained. Examples of the cooling method include a method of making direct contact with a cooling medium such as cold air or cooling water, a method of contacting with a roll cooled with a refrigerant, and the like. The thickness of the gel sheet is preferably 0.5 to 5 mm, more preferably 0.7 to 3 mm.

(4) 겔 형상 시트의 연신 (4) Stretching of the gel sheet

겔 형상 시트를 적어도 1축 방향으로 연신한다. 겔 형상 시트는 성막용 용제를 포함하므로 간단하고 균일하게 연신할 수 있다. 겔 형상 시트는 가열 후 텐터법 등으로 소정의 배율로 연신한다. 연신은 1축 연신이어도 2축 연신이어도 되지만 2축 연신이 바람직하다. 2축 연신의 경우 동시 2축 연신, 축차 연신 및 다단 연신(예를 들면 동시 2축 연신 및 축차 연신의 조합) 중 어느 것이나 되지만 동시 2축 연신이 바람직하다. The gel sheet is stretched in at least one axial direction. Since the gel sheet contains a solvent for film formation, it can be simply and uniformly stretched. After heating, the gel sheet is stretched at a predetermined magnification by the tenter method or the like. The stretching may be uniaxial stretching or biaxial stretching, but biaxial stretching is preferred. In the case of biaxial stretching, simultaneous biaxial stretching, sequential stretching, and multistage stretching (for example, simultaneous biaxial stretching and sequential stretching) may be used, but simultaneous biaxial stretching is preferred.

연신 배율은 1축 연신의 경우 2배 이상이 바람직하고, 3~30배가 보다 바람직하며, 2축 연신의 경우 어느 방향에서나 3배 이상이 바람직하다. 면적 배율로는 9배 이상이 바람직하고, 16배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20배 이상이 가장 바람직하다. 면적 배율을 9배 이상으로 함으로써 피어싱 강도는 한층 향상된다. 그러나 면적 배율을 400배 초과로 하는 것은 연신 장치 및 연신 조작의 점에서 곤란하므로 면적 배율의 상한은 사실상 400배이다. 또한 2축 연신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MD) 및 가로 방향(TD)에 있어서의 연신 배율은 같지 않아도 된다. In the case of uniaxial stretching, the stretching magnification is preferably at least 2 times, more preferably from 3 to 30 times, and more preferably at least three times in any direction in biaxial stretching. The area ratio is preferably 9 times or more, more preferably 16 times or more, and most preferably 20 times or more. By making the area magnification 9 times or more, the piercing strength is further improved. However, since it is difficult to make the area magnification of 400 times or more in view of the drawing apparatus and drawing operation, the upper limit of the area magnification is practically 400 times. The stretching magnifica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TD) in the biaxial stretching need not be the same.

연신 온도는 폴리에틸렌 조성물의 융점(T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 조성물의 결정 분산 온도(Tcd) 이상 또한 융점(Tm) 미만의 범위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연신 온도가 융점(Tm) 이하이면 폴리에틸렌 조성물이 용융되는 일이 없고, 연신에 의한 분자쇄의 배향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연신 온도가 결정 분산 온도(Tcd) 이상이면 폴리에틸렌 조성물의 연화가 충분하고, 연신시에 파막하는 일없이 고배율의 연신을 할 수 있다. 결정 분산 온도(Tcd)는 ASTM D 4065에 따라서 측정한 동적 점탄성의 온도 특성으로부터 구한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 조성물은 약 90~100℃의 결정 분산 온도를 가지므로 연신 온도를 90~130℃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100~120℃로 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120℃로 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15~120℃로 한다. The stretch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not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Tm) of the polyethylene composition, more preferably not lower than the crystalline dispersion temperature (Tcd) and less than the melting point (Tm) of the polyethylene composition. When the stretching temperature is not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Tm), the polyethylene composition is not melted and orientation of molecular chains by stretching can be achieved. When the stretching temperature is not lower than the crystal dispersion temperature (Tcd), softening of the polyethylene composition is sufficient and stretching at a high magnification can be carried out without stretching at the time of stretching. The crystal dispersion temperature (Tcd) is determined from the temperature characteristic of dynamic viscoelasticity measured according to ASTM D 4065. Specifically, since the polyethylene composition has a crystal dispersion temperature of about 90 to 100 캜, the stretching temperature is 90 to 130 캜, preferably 100 to 120 캜, more preferably 110 to 120 캜, And most preferably 115 to 120 ° C.

이상과 같은 연신에 의해 폴리에틸렌 라멜라간에 개열이 일어나 폴리에틸렌상이 미세화되고, 다수의 피브릴이 형성된다. 피브릴은 3차원적으로 불규칙하게 연결된 망목 구조를 형성한다. 연신에 의해 기계적 강도가 향상됨과 아울러 세공이 확대되므로 전지용 세퍼레이터에 적합하게 된다. By the stretching as described above, cleavage occurs between the polyethylene lamellae and the polyethylene phase is refined, and a large number of fibrils are formed. The fibrils form three-dimensionally irregularly connected network structures. Stretching improves the mechanical strength and enlarges the pores, which makes it suitable for battery separators.

원하는 물성에 따라서 막두께 방향으로 온도 분포를 형성해서 연신해도 되고, 이것에 의해 한층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이 얻어진다. 그 방법의 상세는 일본 특허 제 3347854호에 기재되어 있다.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having a higher mechanical strength can be obtained by forming a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film thickness direction according to desired physical properties. Details of the method are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No. 3347854.

(5) 열고정 처리 공정 (5) Heat fixation treatment process

연신한 겔 형상 시트를 열고정 처리(텐터에 고정한 상태에서 가열하는 처리)한다. 열고정 처리에 의해 겔 형상 시트의 결정이 안정화되고, 라멜라층이 균일화된다. 그 때문에 연신에 의해 형성된 피브릴로 이루어지는 망상 구조가 안정화되고, 후단(後段)의 성막용 용제 제거 처리에 의해 세공 지름이 크고, 기계적 강도가 뛰어나고, 열수축률이 낮은 미다공막을 제작할 수 있다. 열고정 처리는 텐터 방식, 롤 방식 또는 압연 방식에 의해 행한다. 열고정 처리 온도는 (Tcd-20℃)~Tm의 온도 범위 내이다. The stretched gel sheet is subjected to heat fixing treatment (heat treatment in a state where it is fixed to the tenter). The crystal of the gel sheet is stabilized by the heat fixing treatment, and the lamellar layer is homogenized. Therefore, a mesopore structure composed of fibril formed by stretching is stabilized, and a microporous membrane having a large pore diameter,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and low heat shrinkage ratio can be produced by the solvent removal treatment for the rear stage. The heat fixing process is performed by a tenter method, a roll method, or a rolling method. The heat setting treatment temperature is within the temperature range of (Tcd-20 ° C) to Tm.

(6) 성막용 용제의 제거(6) Removal of solvent for film formation

성막용 용제의 제거에 세정 용매를 사용한다. 폴리올레핀상과 성막용 용제상은 분리되어 있으므로 성막용 용제의 제거에 의해 다공질막이 얻어진다. 세정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펜탄, 헥산, 헵탄 등의 포화 탄화수소, 염화메틸렌, 사염화탄소 등의 염소화탄화수소, 디에틸에테르, 디옥산 등의 에테르류,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 3불화에탄, C6F14, C7F16 등의 쇄상 플루오로카본, C5H3F7 등의 환상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 C4F9OCH3, C4F9OC2H5 등의 하이드로플루오로에테르, C4F9OCF3, C4F9OC2F5 등의 퍼플루오로에테르 등의 이휘발성 용매를 들 수 있다. 이들 세정 용매는 낮은 표면장력(예를 들면 25℃에서 24mN/m 이하)을 갖는다. 낮은 표면장력의 세정 용매를 사용함으로써 미다공을 형성하는 망상 구조가 세정 후의 건조시에 기-액 계면의 표면장력에 의해 수축하는 것이 억제되어 더 높은 공극률 및 투과성을 갖는 미다공막이 얻어진다.A cleaning solvent is used to remove the solvent for forming the film. Since the polyolefin phase and the solvent for film formation are separated, a porous film can be obtained by removing the solvent for film formation. As the washing solvent, for example pentane, hexane, ketones such as chlorinated hydrocarbons, diethyl ether, dioxane and the like ethers, methyl ethyl ketone, saturated hydrocarbons, methylene chloride, carbon tetrachloride, and the like, such as heptane, trifluoride ethane, C 6 Chain fluorocarbons such as F 14 and C 7 F 16 , C 5 H 3 F 7 Cyclic hydrofluorocarbons such as C 4 F 9 OCH 3 , C 4 F 9 OC 2 H 5 , And perfluoro ethers such as C 4 F 9 OCF 3 and C 4 F 9 OC 2 F 5 . These cleaning solvents have low surface tension (e.g., 24 mN / m or less at 25 캜). By using a cleaning solvent having a low surface tension, the mesh structure that forms the micropores is inhibited from shrinking due to the surface tension of the gas-liquid interface at the time of drying after cleaning, and a microporous membrane having higher porosity and permeability is obtained.

성막용 용제의 제거는 연신막을 세정 용매에 침지하는 방법, 연신막에 세정 용매를 샤워하는 방법, 또는 이것들의 조합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세정 용매의 사용량은 세정 방법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연신막 100질량부에 대하여 300~30,000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세정 온도는 15~30℃이면 되고, 필요에 따라서 80℃ 이하로 가열한다. 잔류량이 당초의 1질량% 미만이 될 때까지 성막용 용제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moval of the solvent for film formation can be performed by a method of immersing the stretched film in a cleaning solvent, a method of showering a cleaning solvent on the stretched film,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amount of the washing solvent to be used varies depending on the washing method, but it is generally preferably 300 to 30,000 parts by mass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the drawn film. The cleaning temperature may be 15 to 30 占 폚, and if necessary, it is heated to 80 占 폚 or less. It is preferable to remove the solvent for film formation until the residual amount becomes less than the original amount of 1 mass%.

(7) 건조(7) Drying

성막용 용제를 제거함으로써 얻어진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을 가열 건조법, 풍건법 등에 의해 건조한다. 건조 온도는 폴리에틸렌 조성물의 결정 분산 온도(Tcd)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Tcd-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는 미다공막의 건조 중량을 100질량%로 하여 잔존 세정 용매가 5질량% 이하가 될 때까지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질량% 이하가 될 때까지 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건조가 충분하면 후의 열처리에서 미다공막의 공극률이 저하될 우려가 없고, 투과성이 양호하게 유지된다.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obtained by removing the solvent for film formation is dried by a heat drying method, a blow drying method, or the like. The drying temperature is preferably not higher than the crystal dispersion temperature (Tcd) of the polyethylene composition, and particularly preferably not higher than Tcd-5 占 폚. The drying is preferably carried out until the dry weight of the microporous membrane is 100 mass% and the residual washing solvent is 5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3 mass% or less. If the drying is sufficient, there is no fear that the porosity of the microporous membrane is lowered in the subsequent heat treatment, and the permeability is kept good.

(8) 미다공막의 연신(8) stretching of the microporous membrane

건조한 미다공막을 적어도 1축 방향으로 연신(재연신)한다. 재연신은 미다공막을 가열하면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텐터법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텐터 장치로서는, 예를 들면 WO 2009/084722에 기재된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재연신은 1축 연신이어도 2축 연신이어도 되지만 1축 연신의 경우에는 가로 방향(TD)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축 연신의 경우, 동시 2축 연신 및 축차 연신 중 어느 것이나 되지만 동시 2축 연신이 바람직하다. 또한 재연신은 통상 연신 겔 형상 시트로부터 얻어진 장척 시트 형상의 미다공막에 대하여 행하므로 재연신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MD) 및 가로 방향(TD)은 겔 형상 시트의 연신에 있어서의 MD 방향 및 TD 방향과 일치한다. The dried microporous membrane is stretched (re-stretched) in at least one axial direction. The reheating can be performed by a tenter method or the like as described above while heating the microporous membrane. As the tenter device, for example, the device described in WO 2009/084722 can be used. The re-stretching may be uniaxial stretching or biaxial stretching, but in the case of uniaxial stretching, it is preferable to perform the stretch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D). In the case of biaxial stretching, simultaneous biaxial stretching and sequential stretching may be used, but simultaneous biaxial stretching is preferred. Since the re-stretching is usually performed on the long-sheet-like microporous film obtained from the stretched gel sheet, the longitudinal direction (MD)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TD) in the re-stretching are the MD direction and the TD direction .

재연신의 온도는 폴리에틸렌 조성물의 융점(T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Tcd-20℃)~Tm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70~135℃가 바람직하고, 110~132℃가 보다 바람직하며, 120~130℃가 가장 바람직하다. The temperature of the recrystallization is preferably not higher than the melting point (Tm) of the polyethylene composition, more preferably within the range of (Tcd-20 ° C) to Tm. Specifically, the temperature is preferably 70 to 135 占 폚, more preferably 110 to 132 占 폚, and most preferably 120 to 130 占 폚.

1축 연신의 경우 재연신의 배율은 1.01~1.6배가 바람직하고, 특히 TD 방향은 1.1~1.6배가 바람직하며, 1.2~1.5배가 보다 바람직하다. 2축 연신의 경우 MD 방향 및 TD 방향으로 각각 1.01~1.6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MD 방향과 TD 방향에서 달라도 되지만 TD 방향쪽이 MD 방향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case of uniaxial stretching, the magnification of the re-stretching is preferably 1.01 to 1.6 times, particularly 1.1 to 1.6 times, more preferably 1.2 to 1.5 times in the TD direction. And in the case of biaxial stretching, it is preferable to be 1.01 to 1.6 times in the MD direction and in the TD direction, respectively. Further, although it may be different in the MD direction and the TD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D direction is smaller than the MD direction.

재연신의 속도는 MD 방향 및 TD 방향 모두 3%/초 이상이 바람직하고, 5%/초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한은 50%/초가 바람직하고, 25%/초가 보다 바람직하다. 재연신 속도는 MD 방향 및 TD 방향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설정해도 된다. The speed of re-winding is preferably not less than 3% / second in both the MD and TD directions, more preferably not less than 5% / second. The upper limit is preferably 50% / second, more preferably 25% / second. The re-rolling speed may be set independently of each other in the MD direction and the TD direction.

(9) 열처리 (9) Heat treatment

건조 후의 미다공막을 열처리한다. 열처리에 의해 결정이 안정화되고, 라멜라층이 균일화된다. 열처리 시간은 1,000초 이하가 바람직하고, 1~800초가 보다 바람직하다. 열처리는 열고정 처리 및/또는 열완화 처리이다. 열고정 처리란 MD 방향 및 TD 방향의 양쪽 모두 치수 변화가 없도록 행하는 열처리이고, 열완화 처리란 열수축시키는 처리이다. 열고정 처리는 텐터에 고정한 상태에서 가열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열고정 처리 온도는 Tcd~Tm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고, 미다공막의 연신(재연신) 온도±5℃의 범위 내가 보다 바람직하며, 재연신 온도±3℃의 범위 내가 특히 바람직하다. 열완화 처리는, 예를 들면 벨트컨베이어 또는 에어플로팅 방식에 의해 가열로 내를 이동시키거나, 텐터에 유지한 상태에서 가열하면서 TD 방향으로 좁히거나 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열완화 처리는 융점(Tm) 이하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60℃~(융점(Tm)-5℃)의 온도 범위 내에서 행한다. 열완화 처리에 의한 TD 방향에 있어서의 수축은 재연신 전의 TD 방향의 길이(L1)에 대하여 열완화 처리 후의 TD 방향의 길이(L2)가 91% 이상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5%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열완화 처리에 의해 투과성이 양호한 고강도의 미다공막이 얻어진다. Heat the microporous membrane after drying. Crystallization is stabilized by the heat treatment, and the lamellar layer is homogenized. The heat treatment time is preferably 1,000 seconds or less, more preferably 1 to 800 seconds. The heat treatment is heat fixing treatment and / or heat relaxation treatment. The heat fixing process is a heat treatment performed so that there is no dimensional change in both the MD direction and the TD direction, and the heat relaxation process is heat shrink treatment. The heat fixing treatment can be performed by heating in a state of being fixed to the tenter. The heat setting treatment temperature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Tcd to Tm,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the stretching (re-stretching) temperature of the microporous film ± 5 ° C, and particularly preferably in the range of the re- The heat relaxation treatment can be performed by moving the inside of the heating furnace, for example, by a belt conveyor or an air floating method, or narrowing it in the TD direction while being heated while being held by the tenter. The thermal relaxation treatment is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below the melting point (Tm), preferably within a temperature range of 60 占 폚 to (Melting point (Tm) -5 占 폚). Shrinkage in the TD direction due to thermal relaxation treatment is long in the TD direction prior reenactment Shin (L 1) to the relative length of the TD direction after the heat relaxation treatment (L 2) that it is preferable to so abnormal, 91%, 95% or more Is more preferable. By the thermal relaxation treatment as described above, a high strength microporous membrane having good permeability can be obtained.

(10) 미다공막의 가교 처리 (10) Cross-linking treatment of microporous membrane

미다공막에 대하여 α선, β선, γ선, 전자선 등의 전리 방사선의 조사에 의해 가교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전자선 조사의 경우 0.1~100Mrad의 전자선량이 바람직하고, 100~300kV의 가속 전압이 바람직하다. 가교 처리에 의해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멜트다운 온도가 상승한다. The microporous membrane may be subjected to crosslinking treatment by irradiation with ionizing radiation such as? Rays,? Rays,? Rays, electron beams, and the like. In the case of electron beam irradiation, an electron dose of 0.1 to 100 Mrad is preferable, and an acceleration voltage of 100 to 300 kV is preferable. The crosslinking treatment increases the meltdown temperature of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11) 친수화 처리 (11) Hydrophilization treatment

용도에 따라 미다공막에 친수화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친수화 처리는 모노머 그래프트, 계면활성제 처리, 코로나 방전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모노머 그래프트는 가교 처리 후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icroporous membrane may be subjected to hydrophilization treatment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The hydrophilizing treatment can be performed by a monomer graft, a surfactant treatment, a corona discharge, or the like. The monomer graft is preferably carried out after the crosslinking treatment.

계면활성제 처리의 경우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및 양(兩) 이온계 계면활성제 중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지만 비이온계 계면활성제가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를 물 또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저급 알코올에 용해해서 이루어지는 용액 중에 미다공막을 침지하거나, 미다공막에 닥터블레이드법에 의해 용액을 도포한다. In the case of the surfactant treatment, any of a nonionic surfactant, a cationic surfactant, an anionic surfactant, and a bionic surfactant can be used, but a nonionic surfactant is preferred. The microporous membrane is immersed in a solution prepared by dissolving the surfactant in water or a lower alcohol such as methanol, ethanol or isopropyl alcohol, or the solution is applied to the microporous membrane by the doctor blade method.

(C) 물성(C) Properties

(1) 19㎛ 이하의 평균 막두께(1) an average film thickness of 19 mu m or less

평균 막두께가 19㎛를 초과하면 휴대전화용 소형 리튬 이온 이차전지의 세퍼레이터에 적합하지 않다. 평균 막두께는 12~18㎛가 바람직하고, 14~17㎛가 보다 바람직하다. 미다공막의 평균 막두께는 주로 겔 형상 시트의 두께 및 연신 배율을 적당하게 조정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If the average film thickness exceeds 19 탆, it is not suitable for a separator of a small-size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for a cellular phone. The average film thickness is preferably 12 to 18 mu m, more preferably 14 to 17 mu m. The average film thickness of the microporous membrane can be controlled mainly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thickness and stretching ratio of the gel sheet.

(2) 세공 용적 분포 (2) Distribution of pore volume

수은 압입법에 의해 구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의 구멍 지름 분포 곡선{세공 반경(r)과 Log 미분 세공 용적[dVp/dLog(r)]을 플롯한 곡선}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공 반경 10~1,000㎚ 범위의 세공 용적[세공 반경 10~1,000㎚ 범위의 해칭 부분의 면적(S1)에 의해 나타내어진다]에 대하여 세공 반경이 100~1,000㎚ 범위의 세공 용적[세공 반경 100~1,000㎚ 범위의 해칭 부분의 면적(S2)에 의해 나타내어진다]의 비율(S2/S1×100)이 25% 이상이고, 또한 세공 반경 500~1,000㎚ 범위의 세공 용적[세공 반경 500~1,000㎚ 범위의 해칭 부분의 면적(S3)에 의해 나타내어진다]의 비율(S3/S1×100)이 5% 이하이다. (S2/S1×100)은 30% 이상이 바람직하고, 35%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S3/S1×100)은 4.5% 이하가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1, the pore radius distribution curve (the curve obtained by plotting the pore radius r and the log differential pore volume [dVp / dLog (r)) of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obtained by the mercury porosimetry has a pore radius of 10 to 1,000 (Represented by the area (S 1 ) of the hatching area in the range of 10 to 1,000 nm of the pore radius) in the range of 100 to 1,000 nm (the hatching radius in the range of 100 to 1,000 nm of the pore radius in the range of 100 to 1,000 nm) (S 2 / S 1 × 100) of the pore radius (represented by the area (S 2 ) of the pore radius (S 2 / S 1 × 100) of the pore radius of 500 to 1,000 nm (S 3 / S 1 x 100) of the area (represented by the area (S 3 ) of the portion) is 5% or less. (S 2 / S 1 × 100) is preferably 30% or more, more preferably 35% or more. (S 3 / S 1 × 100) is preferably 4.5% or less.

구멍 지름 분포 곡선의 피크(피크가 복수있는 경우에는 가장 높은 피크)는 세공 반경 50㎚ 이상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세공 반경 70~5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세공 반경 70~300㎚의 범위에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peak of the hole diameter distribution curve (the highest peak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peaks) is in the range of the pore radius of 50 nm or more, more preferably the pore radius is in the range of 70 to 500 nm, Nm is most preferable.

본 발명의 미다공막은 이상과 같은 세공 용적 분포를 가지므로 상술한 과충전시의 발열 방지 메커니즘(정부극간에 미소한 단락 개소를 고의로 형성해서 과충전의 진행을 회피시키는 메커니즘)에 적합한 높은 공극률을 갖고, 또한 투과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다. Since the microporous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ore volume distribution as described above, it has a high porosity suitable for the above-mentioned mechanism for preventing heat generation during overcharging (a mechanism for deliberately forming minute short-circuit portions between the gaps to avoid overcharging) It is also excellent in permeability and mechanical strength.

(3) 25~80%의 공극률(3) porosity of 25 to 80%

공극률이 25% 이상이면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양호한 투기도를 갖는다. 한편 80% 이하로 하면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을 전지용 세퍼레이터로서 사용했을 때 기계적 강도가 충분하고, 전극이 단락될 위험이 없다. 공극률은 45% 이상이 바람직하고, 50~55%가 보다 바람직하다. If the porosity is 25% or more,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has good air permeability. On the other hand, when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is used as a separator for a battery, the mechanical strength is sufficient and the electrode is not short-circuited. The porosity is preferably 45% or more, more preferably 50 to 55%.

(4) 10초/100㎤/㎛ 이하의 투기도 (4) Specification of 10 sec / 100 cm 3 / 탆 or less

JIS P 8117에 준거해서 측정한 투기도(공기 투과도)가 10초/100㎤/㎛ 이하이면 상술한 과충전시의 발열 방지 메커니즘(정부극간에 미소한 단락 개소를 고의로 형성해서 과충전의 진행을 회피시키는 메커니즘)에 적합한 높은 공극률을 갖는다. 투기도는 1초/100㎤/㎛~10초/100㎤/㎛가 바람직하고, 2초/100㎤/㎛~9초/100㎤/㎛가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투기도는 평균 막두께(TAV)의 미다공막에 대하여 JIS P 8117에 준거해서 측정한 투기도(P1)를 P2=P1/TAV의 식에 의해 막두께를 1㎛로 했을 때의 투기도(P2)로 환산한 값이다. (Air permeability) measured in accordance with JIS P 8117 is 10 sec / 100 cm 3 / 탆 or less, the above-mentioned mechanism for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overheating (a minute short circuit is deliberately formed between the gaps, Mechanism). ≪ / RTI > The air permeability is preferably 1 sec / 100 cm 3 / 탆 to 10 sec / 100 cm 3 / 탆, more preferably 2 sec / 100 cm 3 / 탆 to 9 sec / 100 cm 3 / 탆. Here, the degree of air permeability is defined as the air permeability (P 1 ) measured in accordance with JIS P 8117 with respect to the microporous membrane of the average film thickness (T AV ) by a formula P 2 = P 1 / T AV (P 2 ), which is the value converted to the permeability.

(5) 1.0×102mN/㎛ 이상의 피어싱 강도(5) Piercing strength of 1.0 x 10 < 2 > mN /

미다공막의 피어싱 강도는 선단이 구면[곡률 반경(R) : 0.5㎜]인 직경 1㎜의 바늘을 2㎜/초의 속도로 미다공막에 피어싱했을 때의 최대 하중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피어싱 강도가 1.0×102mN/㎛ 이상으로 하면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을 전지용 세퍼레이터로서 전지에 장착했을 경우에 단락이 발생할 우려가 없다. 피어싱 강도는 1.3×102mN/㎛ 이상이 바람직하고, 1.5×102mN/㎛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피어싱 강도는 평균 막두께(TAV)의 미다공막에 대하여 측정한 피어싱 강도(S)(mN)를 S'=S/TAV의 식에 의해 막두께를 1㎛로 했을 때의 피어싱 강도(S')(mN/㎛)로 환산한 값이다. The piercing strength of the microporous membrane is represented by the maximum load when a needle having a diameter of 1 mm, whose tip has a spherical surface (radius of curvature R: 0.5 mm), is pierced into the microporous membrane at a speed of 2 mm / sec. When the piercing strength is 1.0 × 10 2 mN / μm or more, there is no possibility of short-circuiting when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is mounted on a battery as a battery separator. The piercing strength is preferably 1.3 × 10 2 mN / μm or more, more preferably 1.5 × 10 2 mN / μm or more. Here, the piercing strength is the piercing strength (S) (mN) measured on the microporous membrane of the average film thickness (T AV ) by the formula of S '= S / T AV and the piercing strength (S ') (mN / m).

(6) 5×104㎪ 이상의 인장 파단 강도(6) Tensile breaking strength of 5 x 10 4 ㎪ or more

ASTM D882에 의해 측정한 인장 파단 강도가 MD 방향 및 TD 방향 중 어디에 있어서나 5×104㎪ 이상이면 전지용 세퍼레이터로서 사용했을 때에 파막될 걱정이 없다. 특히 MD 방향의 인장 파단 강도는 6×104~2.5×105㎪가 보다 바람직하고, TD 방향의 인장 파단 강도는 5×104~1.5×105㎪가 보다 바람직하며, 5×104~1.0×105㎪가 가장 바람직하다. When the tensile fracture strength measured by ASTM D882 is 5 x 10 < 4 > or more in both the MD and TD directions, there is no fear that the film will be broken when used as a battery separator. In particular, the tensile breaking strength in the MD direction is 6 × 10 4 ~ 2.5 × 10 5 ㎪ is more preferred, and the tensile strength at break in the TD direction is more preferably 5 × 10 4 ~ 1.5 × 10 5 ㎪, 5 × 10 4 ~ 1.0 x 10 < -5 > is most preferable.

(7) 100% 이상의 인장 파단 신도(7) Tensile elongation at break of 100% or more

ASTM D882에 의해 측정한 인장 파단 신도가 MD 방향 및 TD 방향 중 어디에 있어서나 100% 이상이면 전지용 세퍼레이터로서 사용했을 때에 파막될 걱정이 없다. 인장 파단 신도는 110~300%가 바람직하다. 특히 MD 방향의 인장 파단 신도는 125~250%가 보다 바람직하고, TD 방향의 인장 파단 신도는 140~300%가 보다 바람직하다. When the tensile elongation at break measured by ASTM D882 is 100% or more in both the MD direction and the TD direction, there is no worry that the film will be broken when used as a battery separator. The tensile elongation at break is preferably 110 to 300%. In particular, tensile elongation at break in the MD direction is more preferably 125 to 250%, and tensile elongation at break in the TD direction is more preferably 140 to 300%.

(8) 10% 이하의 열수축률(8) Heat shrinkage rate of 10% or less

105℃로 8시간 유지했을 때의 열수축률은 MD 방향 및 TD 방향 모두 10% 이하이다. TD 방향의 열수축률은 8% 이하가 바람직하고, 7.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6% 이하가 가장 바람직하다. The heat shrinkage rate when held at 105 占 폚 for 8 hours is 10% or less in both the MD and TD directions. The heat shrinkage ratio in the TD direction is preferably 8% or less, more preferably 7.5% or less, and most preferably 6% or less.

(9) 25% 이하의 용융 직전의 최대 수축률 (9) Maximum shrinkage immediately before melting of not more than 25%

도 2로부터 분명하게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중 하에서 미다공막을 승온시키면 미다공막은 계속해서 수축하고, 온도(T)(℃)에서 치수 변화율(수축률)이 최대가 된다. 온도(T)(℃)를 초과하면 미다공막은 급격하게 신장한다. 이것은 미다공막의 용융에 의한 것이라고 추측된다. 온도(T)(℃)에 있어서의 (용융 직전의) 최대 수축률(P)은 내용융 수축성의 지표가 된다. MD 방향의 최대 수축률은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TD 방향의 최대 수축률은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이하이다. As clearly shown in Fig. 2, when the microporous membrane is heated under a load, the microporous membrane continues to contract, and the rate of dimensional change (shrinkage ratio) becomes maximum at temperature (T) (占 폚). When the temperature (T) (占 폚) is exceeded, the microporous membrane expands rapidly. This is presumably due to the melting of the microporous membrane. The maximum shrinkage percentage (P) at the temperature (T) (占 폚) (immediately before melting) is an index of the content melting shrinkage. The maximum shrinkage ratio in the MD direction is preferably 10% or less. The maximum shrinkage ratio in the TD direction is preferably 15% or less, more preferably 12% or less.

[2] 전지용 세퍼레이터[2] Battery separator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얇고, 또한 투과성, 기계적 강도 및 내열수축성이 우수하므로 전지용 세퍼레이터, 특히 휴대전화용 소형 리튬 이온 이차전지의 세퍼레이터에 적합하다.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in and excellent in permeability, mechanical strength and heat shrinkage resistance, and is therefore suitable for a battery separator, particularly a separator of a small-size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for a cellular phone.

[3] 전지[3] batteries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리튬 이온 이차전지,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 니켈-수소 이차전지, 니켈-카드뮴 이차전지, 니켈-아연 이차전지, 은-아연 이차전지 등의 이차전지용 세퍼레이터에 바람직하고, 특히 리튬 이온 이차전지용 세퍼레이터에 바람직하다. 이하 리튬 이온 이차전지를 설명한다.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for a separator for a secondary battery such as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 lithium polymer secondary battery, a nickel-hydrogen secondary battery, a nickel-cadmium secondary battery, a nickel-zinc secondary battery or a silver- It is preferable for a separator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Hereinafte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will be described.

리튬 이온 이차전지에서는 정극과 부극이 전해액(전해질)을 함유하는 세퍼레이터를 통하여 적층되어 있다. 전극의 구조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원반 형상의 정극 및 부극이 대향하도록 설치된 전극 구조(코인형), 평판 형상의 정극 및 부극이 교대로 적층된 전극 구조(적층형), 띠 형상의 정극 및 부극이 겹쳐져서 권회된 전극 구조(권회형) 등으로 할 수 있다. In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are laminated via a separator containing an electrolyte (electrolyte). The structure of the electrod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electrode structure (coin type) in which the disk-shaped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re opposed to each other, the electrode structure (laminate type) in which the plate-shaped positive electrode and the negative electrode are alternately stacked, An electrode structure (wound type) in which 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are overlapped and wound, or the like.

정극은 통상 (a) 집전체와, (b) 그 표면에 형성되어 리튬 이온을 흡장 방출 가능한 정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층을 갖는다. 정극 활물질로서는 전이금속 산화물, 리튬과 전이금속의 복합 산화물(리튬 복합 산화물), 전이금속 황화물 등의 무기 화합물 등을 들 수 있고, 전이금속으로서는 V, Mn, Fe, Co, Ni 등을 들 수 있다. 리튬 복합 산화물의 바람직한 예로서는 니켈산 리튬, 코발트산 리튬, 망간산 리튬, α-NaFeO2형 구조를 모체로 하는 층상 리튬 복합 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부극은 (a) 집전체와, (b) 그 표면에 형성되어 부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층을 갖는다. 부극 활물질로서는 천연 흑연, 인조 흑연, 코크스류, 카본블랙 등의 탄소질 재료를 들 수 있다. The positive electrode usually has (a) a current collector and (b) a layer 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and including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apable of intercalating and deintercalating lithium ions. Examples of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nclude inorganic oxides such as transition metal oxides, complex oxides of lithium and transition metals (lithium complex oxides) and transition metal sulfides, and transition metals such as V, Mn, Fe, Co and Ni . Preferable examples of the lithium composite oxide include lithium nickel oxide, lithium cobaltate, lithium manganese oxide, and layered lithium composite oxide having a? -NaFeO 2 type structure as a matrix. The negative electrode has (a) a current collector, and (b) a layer 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and including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Examples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nclude carbonaceous materials such as natural graphite, artificial graphite, cokes, and carbon black.

전해액은 리튬염을 유기 용매에 용해함으로써 얻어진다. 리튬염으로서는 LiClO4, LiPF6, LiAsF6, LiSbF6, LiBF4, LiCF3SO3, LiN(CF3SO2)2, LiC(CF3SO2)3, Li2B10Cl10, LiN(C2F5SO2)2, LiPF4(CF3)2, LiPF3(C2F5)3, 저급 지방족 카르복실산 리튬염, LiAlCl4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의 혼합물로 해서 사용해도 된다. 유기 용매로서는 에틸렌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보네이트, 에틸메틸카보네이트, γ-부틸올락톤 등의 고비점 및 고유전율의 유기 용매나, 테트라히드로푸란, 2-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 디메톡시에탄, 디옥소란, 디메틸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등의 저비점 및 저점도의 유기 용매를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의 혼합물로 해서 사용해도 된다. 고유전율의 유기 용매는 점도가 높고, 저점도의 유기 용매는 유전율이 낮기 때문에 양자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electrolytic solution is obtained by dissolving a lithium salt in an organic solvent. Examples of the lithium salt include LiClO 4 , LiPF 6 , LiAsF 6 , LiSbF 6 , LiBF 4 , LiCF 3 SO 3 , LiN (CF 3 SO 2 ) 2 , LiC (CF 3 SO 2 ) 3 , Li 2 B 10 Cl 10 , LiN C 2 F 5 SO 2 ) 2 , LiPF 4 (CF 3 ) 2 , LiPF 3 (C 2 F 5 ) 3 , lower aliphatic carboxylic acid lithium salt and LiAlCl 4 .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Examples of the organic solvent include organic solvents having a high boiling point and high dielectric constant such as ethylene carbonate, propylene carbonate, ethylmethyl carbonate and? -Butyrolactone; organic solvents such as tetrahydrofuran, 2-methyltetrahydrofuran, dimethoxyethane, dioxolane, dimethyl And organic solvents having a low boiling point and a low viscosity such as carbonate, diethyl carbonate and the like.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Since an organic solvent having a high dielectric constant has a high viscosity and an organic solvent having a low viscosity has a low dielectric constant, it is preferable to use a mixture of both.

전지에 장착한 세퍼레이터에 이온 투과성을 부여하는 전해액을 침지법 등에 의해 함침시킨다. 원통형 전지를 조립할 경우, 예를 들면 정극 시트/미다공막 세퍼레이터/부극 시트/미다공막 세퍼레이터의 순으로 적층 권회하고, 전지캔에 삽입하고, 전해액을 함침시키고, 이어서 안전밸브를 구비한 정극 단자를 겸하는 전지 덮개를 개스킷을 통하여 덮는다. An electrolyte solution for imparting ion permeability to a separator attached to a battery is impregnated by a dipping method or the like. When the cylindrical battery is assembled, for example, a positive electrode sheet, a microporous membrane separator, a negative electrode sheet and a microporous membrane separator are laminated in this order, wound into a battery can, impregnated with an electrolytic solution, Cover the battery cover with a gasket.

본 발명을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further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실시예Example

실시예 1 Example 1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5.6×105이고, 분자량 분포(Mw/Mn)가 4.1이고, 말단 비닐기 농도가 10,000개의 탄소원자당 0.1개인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82질량%와, Mw가 2.0×106이고, Mw/Mn이 5인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18질량%로 이루어지는 폴리에틸렌 조성물을 조제했다. 폴리에틸렌 조성물의 융점(Tm)은 135℃이고, 결정 분산 온도(Tcd)는 100℃이었다. 82% by mass of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5.6 x 10 5 , a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Mw / Mn) of 4.1, a terminal vinyl group concentration of 10,000 carbon atoms per 0.1, 6, and 18 mass% of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UHMWPE) having Mw / Mn of 5 was prepared. The melting point (Tm) of the polyethylene composition was 135 占 폚, and the crystal dispersion temperature (Tcd) was 100 占 폚.

UHMWPE 및 HDPE의 Mw 및 Mw/Mn은 “Macromolecules, Vol.34, No.19, pp.6812-6820(2001)”에 기재된 방법에 따르고, 이하의 조건으로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법에 의해 구했다(이하 동일). Mw and Mw / Mn of UHMWPE and HDPE were determin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method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in " Macromolecules, Vol. 34, No. 19, pp. 6812-6820 (Hereinafter the same).

·측정 장치 : Polymer Laboratories제 PL-GPC220Measurement apparatus: Polymer Laboratories PL-GPC220

·컬럼 : Polymer Laboratories제 Three PLgel Mixed-B ColumnsColumn: Polymer Laboratories' Three PLgel Mixed-B Columns

·컬럼 온도 : 145℃Column temperature: 145 ° C

·용매(이동상) : 1,2,4-트리클로로벤젠(알드리치사제, 약 1,000ppm의 부틸화히드록시톨루엔을 포함한다) Solvent (mobile phase): 1,2,4-trichlorobenzene (containing approximately 1,000 ppm butylated hydroxytoluene, manufactured by Aldrich)

·용매 유속 : 0.5ml/분Solvent flow rate: 0.5 ml / min

·시료 농도 : 0.25~0.75mg/mL(용해 조건 : 160℃/2h)Sample concentration: 0.25 to 0.75 mg / mL (dissolution condition: 160 ° C / 2h)

·인젝션량 : 300μL· Injection volume: 300 μL

·검출기 : 시차 굴절계· Detector: Differential refractometer

·검량선 : 단분산 폴리스티렌 표준 시료를 이용하여 얻어진 검량선으로부터 소정의 환산 정수를 이용하여 작성했다. Calibration curve: The calibration curve was prepared from a calibration curve obtained using a monodisperse polystyrene standard sample using a predetermined conversion constant.

폴리에틸렌 조성물 25질량부를 이축압출기에 투입하고, 이축압출기의 사이드 피더로부터 유동 파라핀[50cSt(40℃)]75질량부를 공급하고, 210℃ 및 350rpm의 조건으로 용융 혼련하여 폴리에틸렌 용액을 조제했다. 이 폴리에틸렌 용액을 이축압출기에 설치한 T다이로부터 압출하고, 40℃로 온도 조절한 냉각 롤로 인수하면서 냉각하여 두께 1.2㎜의 겔 형상 시트를 형성했다. 얻어진 겔 형상 시트를 텐터 연신기에 의해 118.0℃에서 MD 방향 및 TD 방향 모두 5배로 동시 2축 연신하고, 95℃에서 열고정 처리했다. 25 parts by mass of the polyethylene composition was fed into a twin-screw extruder, and 75 parts by mass of liquid paraffin [50 cSt (40 占 폚)] was fed from the side feeder of the twin-screw extruder and melted and kneaded at 210 占 폚 and 350 rpm to prepare a polyethylene solution. This polyethylene solution was extruded from a T-die provided in a twin-screw extruder and cooled while being taken up by a cooling roll adjusted to 40 캜 to form a gel sheet having a thickness of 1.2 mm. The obtained gel sheet was simultaneously biaxially stretched at a ratio of 5 times in both the MD and TD directions at 118.0 占 폚 by a tenter stretching machine, and heat-settled at 95 占 폚.

이어서 연신 겔 형상 시트를 염화 메틸렌욕 중에 침지하여 유동 파라핀을 제거했다. 세정한 막을 풍건하고, 텐터 연신 장치에 의해 126.8℃에서 TD 방향으로 1.4배로 재연신한 후 텐터 연신 장치에 고정한 채 MD 방향 및 TD 방향의 양쪽 모두 치수 변화가 없도록 126.8℃의 온도에서 열고정 처리를 행하여(재연신 및 그 후의 열고정 처리의 합계 시간 : 26초) 미다공막을 얻었다.The stretched gel sheet was then immersed in a methylene chloride bath to remove liquid paraffin. The washed film was air-dried and re-stretched at a temperature of 126.8 DEG C in the TD direction by a tenter stretching device at a magnification of 1.4 times, and then heat-fixed at a temperature of 126.8 DEG C so as not to change dimensions in both the MD direction and the TD direction while being fixed to the tenter stretching device (Total time of re-smearing and subsequent heat fixation treatment: 26 seconds) to obtain a microporous membrane.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폴리에틸렌 조성물의 조성을 HDPE 70질량% 및 UHMWPE 30질량%로 하고, 폴리에틸렌 용액의 폴리에틸렌 조성물의 농도를 23질량%로 하고, 연신 온도를 115.0℃로 하고, 재연신 배율을 1.3배로 하고, 재연신 및 그 후의 열고정 처리의 온도를 122.2℃로 하고, 재연신과 그 후의 열고정 처리 사이에 L2/L1(L1은 재연신 전의 미다공막의 TD 방향의 길이를 나타내고, L2는 열완화 처리 후의 미다공막의 TD 방향의 길이를 나타낸다)이 1.0이 되도록 122.2℃에서 열완화 처리하고, 재연신 및 그 후의 열완화 처리 및 열고정 처리의 합계 시간을 26초로 한 이외에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평균 막두께 16㎛의 폴리에틸렌 미다공막을 제작했다. Wherein the polyethylene composition has a composition of 70% by mass of HDPE and 30% by mass of UHMWPE, the concentration of the polyethylene composition of the polyethylene solution is 23% by mass, the stretching temperature is 115.0 占 폚, the re- L 2 / L 1 where L 1 represents the length of the microporous membrane before re-stretch in the TD direction, L 2 represents the length of the microporous film after the thermal relaxation treatment The length of the microporous membrane in the TD direction) was 1.0, and the total time of the re-stretching, the subsequent thermal relaxation treatment and the heat setting treatment was 26 seconds, A polyethylene microporous membrane having a thickness of 16 mu m was produced.

비교예 2 Comparative Example 2

연신 온도를 118.0℃로 하고, 재연신 배율을 1.4배로 하고, 재연신 및 그 후의 열고정 처리의 온도를 126.9℃로 하고, 열완화 처리를 행하지 않고, 재연신 및 그 후의 열고정 처리의 합계 시간을 26초로 한 이외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평균 막두께 16㎛의 폴리에틸렌 미다공막을 제작했다. The stretching temperature was set to 118.0 deg. C, the re-stretching magnification was set to 1.4, the temperature of the re-stretching and the subsequent heat fixing treatment was set to 126.9 deg. C, and the total relaxation time Was changed to 26 seconds, a polyethylene microporous membrane having an average film thickness of 16 占 퐉 was produced.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폴리에틸렌 조성물의 조성을 중량 평균 분자량이 7.5×105이고, 분자량 분포가 11.8이고, 말단 비닐기 농도가 10,000개의 탄소원자당 0.7개의 HDPE 70질량% 및 UHMWPE 30질량%로 하고, 폴리에틸렌 용액의 폴리에틸렌 조성물의 농도를 23질량%로 하고, 연신 온도를 116.5℃로 하고, 재연신 배율을 1.1배로 하고, 재연신 및 그 후의 열고정 처리의 온도를 124.2℃로 하고, 재연신과 그 후의 열고정 처리 사이에 L2/L1이 0.95가 되도록 124.2℃에서 열완화 처리하고, 재연신 및 그 후의 열완화 처리 및 열고정 처리의 합계 시간을 26초로 한 이외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평균 막두께 16㎛의 폴리에틸렌 미다공막을 제작했다.The composition of the polyethylene composition was a polyethylene composition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7.5 x 10 5 , a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11.8, a terminal vinyl group concentration of 0.7 carbon atoms per 10,000 carbon atoms and 70 wt% of HDPE and 30 wt% of UHMWPE, Of 23% by mass, a stretching temperature of 116.5 占 폚, a re-stretching magnification of 1.1 times, a temperature of 124.2 占 폚 for the re-stretch and subsequent heat fixation treatment, and L 2 / L 1 was set to 0.95, and the total amount of the polyethylene microporous film having an average film thickness of 16 占 퐉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total time of the re-stretching, the thermal relaxation treatment and the heat- .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폴리에틸렌 조성물의 조성을 HDPE 60질량% 및 UHMWPE 40질량%로 하고, 연신 온도를 115.0℃로 하고, 재연신 배율을 1.08배로 하고, 재연신 및 그 후의 열고정 처리의 온도를 124.5℃로 하고, 재연신과 그 후의 열고정 처리 사이에 L2/L1이 0.96이 되도록 124.5℃에서 열완화 처리하고, 재연신 및 그 후의 열완화 처리 및 열고정 처리의 합계 시간을 26초로 한 이외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평균 막두께 16㎛의 폴리에틸렌 미다공막을 제작했다.The composition of the polyethylene composition was 60% by mass of HDPE and 40% by mass of UHMWPE, the drawing temperature was 115.0 占 폚, the re-drawing magnification was 1.08 times, the temperature of the re-drawing and the subsequent heat setting was 124.5 占 폚, The thermal relaxation treatment was performed at 124.5 캜 so that L 2 / L 1 was 0.96 between the subsequent heat fixation treatments, and the total time of the re-stretch and the subsequent thermal relaxation treatment and heat setting treatment was changed to 26 seconds, A polyethylene microporous membrane having an average film thickness of 16 mu m was produced.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폴리에틸렌 용액의 폴리에틸렌 조성물의 농도를 25질량%로 하고, 재연신을 행하지 않고 L2/L1이 0.95가 되도록 126.0℃에서 열완화 처리해서 TD 방향으로 수축시킨 후 126.0℃에서 열고정 처리하고, 열완화 처리 및 그 후의 열고정 처리의 합계 시간을 26초로 한 이외 비교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평균 막두께 20㎛의 폴리에틸렌 미다공막을 제작했다.The concentration of the polyethylene solution the polyethylene composition to 25% by weight and reproduce not performed put L 2 / L 1 is to be processed relaxation heat from 126.0 ℃ to be 0.95 that shrinkage in the TD direction and then heat-treated at 126.0 ℃ and thermal relaxation A polyethylene microporous membrane having an average film thickness of 20 占 퐉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Comparative Example 1, except that the total time of the treatment and subsequent heat fixation treatment was 26 seconds.

비교예 6Comparative Example 6

폴리에틸렌 조성물의 조성을 HDPE 98질량% 및 UHMWPE 2질량%로 하고, 폴리에틸렌 용액의 폴리에틸렌 조성물의 농도를 39질량%로 하고, 연신 온도를 118.7℃로 하고, 재연신 배율을 1.4배로 하고, 재연신 및 그 후의 열고정 처리의 온도를 130.2℃로 한 이외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평균 막두께 19㎛의 폴리에틸렌 미다공막을 제작했다.The composition of the polyethylene composition was changed to 98 mass% of HDPE and 2 mass% of UHMWPE, the concentration of the polyethylene composition of the polyethylene solution was 39 mass%, the stretching temperature was 118.7 占 폚, the re-stretching magnification was 1.4 times, A polyethylene microporous membrane having an average film thickness of 19 占 퐉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temperature of the subsequent heat fixing treatment was 130.2 占 폚.

실시예 1 및 비교예 1~6에서 얻어진 폴리에틸렌 미다공막의 물성을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했다. 결과를 표 1 및 도 3에 나타낸다.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lyethylene microporous membrane obtained in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6 were measured by the following methods.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and Fig.

(1) 평균 막두께 (1) Average film thickness

미다공막의 평균 막두께는 시험편의 복수 개소에서 10㎝의 가로 방향 길이에 걸쳐 1㎝의 간격으로 접촉 두께계(메이산가부시키가이샤제 RC-1)에 의해 막두께를 측정하고, 얻어진 막두께의 측정치를 평균함으로써 구했다.The average film thickness of the microporous membrane was measured by using a contact thickness meter (RC-1 made by Meisan K.K.) at intervals of 1 cm over a width of 10 cm in a plurality of places on the test piece, Were obtained.

(2) 투기도(sec/100㎤/㎛)(2) Air permeability (sec / 100 cm 3 / 탆)

투기도는 평균 막두께(TAV)의 미다공막에 대하여 JIS P8117에 준거해서 측정한 투기도(P1)를 P2=P1/TAV의 식에 의해 막두께를 1㎛로 했을 때의 투기도(P2)로 환산함으로써 구했다. The air permeability is a value obtained when the permeability (P 1 ) measured in accordance with JIS P8117 with respect to the microporous membrane of the average film thickness (T AV ) is 1 μm by the formula of P 2 = P 1 / T AV (P 2 ). ≪ tb >< TABLE >

(3) 공극률(%) (3) porosity (%)

공극률은 미다공막의 질량(w1)과, 미다공막과 같은 폴리에틸렌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동 사이즈의 공극이 없는 막의 질량(w2)으로부터 공극률(%)=(w2-w1)/w2×100의 식에 의해 산출했다. The porosity is calculated from the mass (w 1 ) of the microporous membrane and the mass (w 2 ) of the membrane of the same size composed of the polyethylene composition such as the microporous membrane to the porosity (%) = (w 2 -w 1 ) / w 2 × 100 . ≪ / RTI >

(4) 피어싱 강도(mN/㎛) (4) Piercing strength (mN / 탆)

선단에 구면[곡률 반경(R) : 0.5㎜]을 갖는 직경 1㎜의 바늘을 평균 막두께(TAV)의 미다공막에 2㎜/초의 속도로 피어싱하여 최대 하중(S)[관통하기 직전의 하중(mN)]을 측정하고, 막두께를 1㎛로 했을 때의 하중(S')을 S'=S/TAV의 식에 의해 구하고, 피어싱 강도(mN/㎛)로 했다. A needle having a diameter of 1 mm and having a spherical surface (radius of curvature R: 0.5 mm) was pierced on the microporous membrane having an average film thickness (T AV ) at a rate of 2 mm / sec to obtain a maximum load S Load (mN)] was measured, and the load S 'at the time when the film thickness was 1 m was determined by the formula of S' = S / T AV to obtain the piercing strength (mN / m).

(5) 인장 파단 강도 및 인장 파단 신도(5) Tensile breaking strength and tensile elongation at break

폭 10㎜의 직사각형상 시험편을 이용하여 ASTM D882에 의해 측정했다.The test piece was measured by ASTM D882 using a rectangular test piece having a width of 10 mm.

(6) 열수축률(%) (6) Heat shrinkage (%)

미다공막을 105℃로 8시간 유지했을 때의 MD 방향 및 TD 방향의 수축률을 각각 3회씩 측정하고, 평균함으로써 구했다. The shrinkage percentage in the MD direction and the TD direction when the microporous membrane was held at 105 占 폚 for 8 hours were measured three times, respectively, and the average value was obtained.

(7) 용융 직전의 최대 수축률(7) Maximum shrinkage rate immediately before melting

미다공막으로부터 잘라낸 50㎜×3㎜의 직사각형상 시험편을 열기계적 분석 장치(세이코인스트루먼트가부시키가이샤제, TMA/SS6000)에 10㎜의 척간 거리로 셋팅하고, 시험편의 하측 끝에 19.6mN의 하중을 걸면서 5℃/min의 속도로 승온시키고, 치수 변화를 측정했다. 23℃에 있어서의 시험편의 치수를 기준으로 해서, 그것에 대한 치수의 변화율을 산출하여 도 2에 나타내는 온도-치수 변화율 곡선을 작성했다. 135~140℃의 온도 범위에 있어서의 치수 변화율(수축률)의 최대값(P)을 용융 직전의 최대 수축률로 했다. A 50 mm x 3 mm rectangular test piece cut from the microporous membrane was set at a chuck distance of 10 mm on a thermomechanical analyzer (Seiko Instruments Inc., TMA / SS6000) and a load of 19.6 mN was applied to the lower end of the test piece The temperature was raised at a rate of 5 DEG C / min while being applied, and the dimensional change was measured. The rate of change of the dimension with respect to the dimension of the test piece at 23 캜 was calculated to prepare a temperature-dimensional change rate curve shown in Fig. The maximum value (P) of the dimensional change rate (shrinkage ratio) in the temperature range of 135 to 140 占 폚 was defined as the maximum shrinkage rate immediately before melting.

(8) 세공 용적 분포(8) Distribution of pore volume

세공 용적 분포는 WO 2009/044227의 단락 82~83에 기재된 방법에 따르고, 이하의 조건으로 수은 압입법에 의해 구했다. The pore volume distribution was determined by mercury porosimetry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in paragraphs 82 to 83 of WO 2009/044227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측정 장치 : Micromeritics Co., Ltd.제 Pore Sizer 9320Measuring device: Micromeritics Co., Ltd. Pore Sizer 9320

수은 : 접촉각 141.3°, 표면장력 484dyne/㎝Mercury: contact angle 141.3 DEG, surface tension 484 dyne / cm

압력 범위 : 3.6㎪~207㎫Pressure range: 3.6 ~ 207MPa

셀 용적 : 15㎤ Cell volume: 15 cm

세공 반경 10~1,000㎚ 범위의 세공 용적(S1)에 대한 세공 반경 100~1,000㎚ 범위의 세공 용적(S2) 및 세공 반경 500~1,000㎚ 범위의 세공 용적(S3)의 비율은 각각 도 1에 나타내는 S2/S1 및 S3/S1로부터 구했다.The ratio of the pore volume (S 2 ) in the pore radius (S 2 ) in the range of 100 to 1,000 nm and the pore volume (S 3 ) in the range of the pore radius in the range of 500 to 1,000 nm to the pore volume It was determined from the S 2 / S 1 and S 3 / S 1 shown in Fig.

Figure 112012083505750-pct00001
Figure 112012083505750-pct00001

Figure 112012083505750-pct00002
Figure 112012083505750-pct00002

주 : (1) Mw는 중량 평균 분자량을 나타낸다.Note: (1) Mw represents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2) 중량 평균 분자량/수 평균 분자량(Mw/Mn).     (2)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w / Mn).

(3) 적외 분광법에 의해 측정한 10,000개의 탄소원자당 말단 비닐기 농도.     (3) 10,000 vinyl groups per terminal vinyl group concentration as determined by infrared spectroscopy.

(4) MD는 길이 방향을 나타낸다.      (4) MD represents the longitudinal direction.

(5) TD는 가로 방향을 나타낸다.      (5) TD represents the horizontal direction.

(6) L1은 재연신 전의 미다공막의 TD 방향의 길이를 나타내고, L2는 열완화 처리 후의 미다공막의 TD 방향의 길이를 나타낸다. (6) L 1 represents the length of the microporous membrane before re-stretching in the TD direction, and L 2 represents the length of the microporous membrane after the thermal relaxation treatment in the TD direction.

(7) 도 1에 나타내는 S2/S1로부터 구했다.(7) was obtained from S 2 / S 1 shown in FIG.

(8) 도 1에 나타내는 S3/S1로부터 구했다.(8) was obtained from S 3 / S 1 shown in FIG.

(9) 135℃에 있어서의 치수 변화율. 135℃에 도달한 시점에서 이미 신장되어 있고, 23℃에 있어서의 기준 치수를 초과하고 있었다.      (9) Rate of dimensional change at 135 占 폚. It had already elongated at the point when it reached 135 DEG C and exceeded the reference dimension at 23 DEG C. [

표 1로부터 분명하게 나타나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미다공막은 구멍 지름 분포 곡선에 있어서 세공 반경이 10~1,000㎚ 범위의 세공 용적에 대하여 세공 반경이 100~1,000㎚ 범위의 세공 용적의 비율이 25% 이상이고, 또한 세공 반경이 500~1,000㎚ 범위의 세공 용적의 비율이 5% 이하이었다. 그 때문에 실시예 1의 미다공막은 평균 두께가 19㎛ 이하이면서 50% 이상의 높은 공극률 및 100mN/㎛ 이상의 피어싱 강도를 갖고, 또한 인장 파단 강도 및 내열 수축성이 뛰어났다.As clearly shown in Table 1, the microporous membrane of Example 1 had a pore diameter distribution curve in which the ratio of the pore volume in the range of 100 to 1,000 nm in pore radius with respect to the pore volume in the range of 10 to 1,000 nm 25% or more, and the ratio of the pore volume in the range of the pore radius in the range of 500 to 1,000 nm was 5% or less. Therefore, the microporous membrane of Example 1 had an average thickness of 19 탆 or less and a high porosity of 50% or more and a piercing strength of 100 mN / 탆 or more, and was excellent in tensile fracture strength and heat shrinkage resistance.

이에 대하여, 비교예 1~5의 미다공막은 폴리에틸렌 조성물의 UHMWPE의 함유량이 25질량% 초과이므로 세공 반경 10~1,000㎚ 범위의 세공 용적에 대한 세공 반경이 500~1,000㎚ 범위의 세공 용적의 비율이 5% 초과이었다. 그 때문에 비교예 1~5의 미다공막은 투기도, 공극률, 내열 수축성 및 용융 직전의 최대 수축률의 적어도 1개가 실시예 1의 미다공막보다 뒤떨어져 있었다. 비교예 6의 미다공막은 폴리에틸렌 조성물의 UHMWPE의 함유량이 10질량% 미만이므로 세공 반경 10~1,000㎚ 범위의 세공 용적에 대한 세공 반경이 100~1,000㎚ 범위의 세공 용적의 비율이 25% 미만이었다. 그 때문에 비교예 6의 미다공막은 공극률, 인장 파단 신도 및 용융 직전의 최대 수축률이 모두 실시예 1의 미다공막보다 뒤떨어져 있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microporous membranes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5, since the content of UHMWPE in the polyethylene composition exceeds 25% by mass, the ratio of the pore volume in the range of 500-1,000 nm to the pore volume in the pore radius of 10-1,000 nm 5%. Therefore, the microporous membranes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5 were inferior to the microporous membrane of Example 1 in at least one of the permeability, the porosity, the heat shrinkability, and the maximum shrinkage rate immediately before melting. The microporous membrane of Comparative Example 6 had less than 10% by mass of UHMWPE in the polyethylene composition, so that the ratio of the pore volume in the range of 100 to 1,000 nm of the pore radius to the pore volume in the pore radius of 10 to 1,000 nm was less than 25%. Therefore, the microporous membrane of Comparative Example 6 was inferior to the microporous membrane of Example 1 in porosity, tensile elongation at break, and maximum shrinkage rate immediately before melting.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Lt; Industrial Availability >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얇고, 높은 공극률과 뛰어난 투과성 및 기계적 강도를 갖고, 특히 뛰어난 피어싱 강도를 가지며,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으로 이루어지는 세퍼레이터를 사용한 소형 리튬 이온 이차전지는 뛰어난 안전성을 갖는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은 특히 휴대전화용 소형 리튬 이온 이차전지의 세퍼레이터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in, has a high porosity, excellent permeability, mechanical strength, particularly excellent piercing strength, and the small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eparator made of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safety. Therefore,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itably used particularly for a separator of a small-size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for a cellular phone.

S1 : 세공 반경 10~1,000㎚ 범위의 해칭 부분의 면적
S2 : 세공 반경 100~1,000㎚ 범위의 해칭 부분의 면적
S3 : 세공 반경 500~1,000㎚ 범위의 해칭 부분의 면적
P : 135~140℃의 온도 범위에 있어서의 치수 변화율(수축률)의 최대값(%)
T : 온도(℃)
S 1 : area of the hatched area in the range of pore radius 10 to 1,000 nm
S 2 : area of the hatched area in the range of 100-1,000 nm of the pore radius
S 3 : the area of the hatched area in the pore radius 500 to 1,000 nm
P: maximum value (%) of rate of change (shrinkage ratio) in a temperature range of 135 to 140 캜
T: Temperature (캜)

Claims (10)

수은 압입법에 의해 구한 구멍 지름 분포 곡선에 있어서 세공 반경이 10~1,000㎚ 범위의 세공 용적에 대하여 세공 반경이 100~1,000㎚ 범위의 세공 용적의 비율은 25% 이상이고, 또한 세공 반경이 500~1,000㎚ 범위의 세공 용적의 비율은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미다공막.The ratio of the pore volume in the pore radius range of 100 to 1,000 nm is 25% or more and the pore radius is in the range of 500 to 1,000 nm in the pore diameter range of the pore radius in the range of 10 to 1,000 nm in the pore diameter distribution curve obtained by the mercury intrusion method. Wherein the ratio of the pore volume in the range of 1 to 1,000 nm is 5% or less. 제 1 항에 있어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 5×105~9×105인 제 1 폴리에틸렌과 중량 평균 분자량이 1×106 이상인 제 2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polyethylene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 10 5 to 9 10 5 and a second polyethylene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 10 6 or mor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폴리에틸렌 및 제 2 폴리에틸렌의 합계를 100질량%로 하여 상기 제 2 폴리에틸렌의 함유량은 10~25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total content of the first polyethylene and the second polyethylene is 100 mass% and the content of the second polyethylene is 10-25 mass%.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폴리에틸렌의 말단 비닐기 농도가 10,000개의 탄소원자당 0.2개 미만이고, 미다공막의 질량을 100질량%로 하여 10질량% 이하의 무기 필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first polyethylene has an end vinyl group concentration of less than 0.2 per 10,000 carbon atoms and an inorganic filler having a mass of the microporous membrane of 100 mass% or less and 10 mass% or less of the inorganic filler.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균 두께가 19㎛ 이하이고, 공극률이 45% 이상이며, 상기 구멍 지름 분포 곡선의 피크가 세공 반경 50㎚ 이상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average thickness is 19 占 퐉 or less, the porosity is 45% or more, and the peak of the pore diameter distribution curve has a pore radius of 50 nm or mor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05℃로 8시간 유지했을 때의 가로 방향(TD)의 열수축률이 7.5% 이하이고, 상기 가로 방향(TD)의 용융 직전의 최대 수축률이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 heat shrinkage ratio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D) when held at 105 占 폚 for 8 hours is not more than 7.5%, and a maximum shrinkage rat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D) immediately before the melting is not more than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극률이 50% 이상이고, 피어싱 강도가 100mN/㎛ 이상이며, 평균 두께가 1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미다공막.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porosity of 50% or more, a piercing strength of 100 mN / 占 퐉 or more, and an average thickness of 18 占 퐉 or less.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폴리올레핀 미다공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세퍼레이터.A separator for a battery, characterized by comprising the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제 8 항에 기재된 전지용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A battery comprising the battery separator according to claim 8. 제 9 항에 있어서,
소형 리튬 이온 이차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10. The method of claim 9,
A battery characterized by being a small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KR1020127026859A 2010-06-04 2011-05-17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separator for battery, and battery Active KR10184380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29255 2010-06-04
JP2010129255A JP2013166804A (en) 2010-06-04 2010-06-04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separator for battery and battery
PCT/JP2011/061284 WO2011152201A1 (en) 2010-06-04 2011-05-17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separator for battery, and batter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367A KR20130087367A (en) 2013-08-06
KR101843806B1 true KR101843806B1 (en) 2018-03-30

Family

ID=45066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6859A Active KR101843806B1 (en) 2010-06-04 2011-05-17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separator for battery, and battery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3166804A (en)
KR (1) KR101843806B1 (en)
CN (1) CN102869710B (en)
WO (1) WO2011152201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32781B1 (en) * 2012-03-30 2017-12-06 Toray Industries, Inc. Polyethylene microporous membrane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same
KR102229797B1 (en) * 2013-05-31 2021-03-22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Multilayer, microporous polyolefin membran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JP5876632B1 (en) * 2014-05-28 2016-03-02 東レバッテリーセパレータフィルム株式会社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20160002447A (en) * 2014-06-30 2016-01-08 제일모직주식회사 Porous polyolefin separator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1749883B1 (en) 2014-12-17 2017-06-21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Inorganic oxide powder, slurry containing same,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WO2016194962A1 (en) 2015-06-05 2016-12-08 東レバッテリーセパレータフィルム株式会社 Method for preparing microporous membrane, microporous membrane, battery separator, and secondary battery
JP6878841B2 (en) * 2016-03-11 2021-06-02 東ソー株式会社 Separator made of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composition
KR102518673B1 (en) * 2017-03-08 2023-04-06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CN108819279B (en) * 2018-06-04 2021-06-29 四川大学 A kind of high porosity polypropylene microporous membran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CN113316607B (en) * 2019-01-09 2023-07-28 花王株式会社 Fiber shee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7567443B2 (en) * 2019-12-26 2024-10-16 東レ株式会社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and secondary battery
US20230411794A1 (en) * 2021-05-07 2023-12-21 Lg Energy Solution, Ltd. Porous substrate for separator and separator for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same
JPWO2024162314A1 (en) * 2023-02-01 2024-08-08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5306A (en) 2007-04-09 2008-10-23 Tonen Chem Corp Polyolefin multilayer microporous membrane,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separator for battery and battery
WO2009110397A1 (en) * 2008-03-07 2009-09-11 Tonen Chemical Corporation Microporous membrane, battery separator and battery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7663B2 (en) * 2000-10-26 2011-04-27 東レ東燃機能膜合同会社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JP4746772B2 (en) * 2001-06-19 2011-08-10 東レ東燃機能膜合同会社 Method for producing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JP2008297349A (en) * 2007-05-29 2008-12-11 Nitto Denko Corp Method of producing porous film
CN101796108B (en) * 2007-08-31 2012-08-22 东丽东燃机能膜合同会社 Microporous polyolefin membrane, its production method, battery separator and battery
JP5572334B2 (en) * 2008-05-30 2014-08-13 旭化成イー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55306A (en) 2007-04-09 2008-10-23 Tonen Chem Corp Polyolefin multilayer microporous membrane,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separator for battery and battery
WO2009110397A1 (en) * 2008-03-07 2009-09-11 Tonen Chemical Corporation Microporous membrane, battery separator and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69710B (en) 2014-03-05
JP2013166804A (en) 2013-08-29
WO2011152201A1 (en) 2011-12-08
CN102869710A (en) 2013-01-09
KR20130087367A (en) 2013-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3806B1 (en)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separator for battery, and battery
TWI428171B (en) Microporous polyolefin film, its preparation method, battery separator and battery
KR101477176B1 (en) Microporous polyolefin membrane, its production method, battery separator and battery
TWI418582B (en) Microporous polyolefin membrane, its production method, battery separator and battery
JP5422562B2 (en) Polymer microporous membrane
JP5453272B2 (en) Microporous membrane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uch membranes
KR101340396B1 (en) Microporous polyolefin membrane, its production method, battery separator, and battery
KR101318062B1 (en) Microporous membrane, battery separator and battery
JP5596768B2 (en) Polyethylene microporous membrane and battery separator
US20090081543A1 (en) Microporous Polyolefin Membrane And Manufacturing Method
JPWO2007060990A1 (en)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battery separator and battery
JP2007063547A (en) Polyethylene microporous membrane,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and battery separator
KR20100082778A (en) Microporous membran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uch membranes
JP6895570B2 (en)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and method for producing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JPWO2007060991A1 (en)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battery separator and battery
KR20170041195A (en)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separator for nonaqueous-electrolyte secondary cell, and nonaqueous-electrolyte secondary cell
WO2020203901A1 (en) Microporous polyolefin film, separator for battery,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producing microporous polyolefin film
KR20220069831A (en)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battery separator and secondary battery
JP2021105166A (en) Polyolefin microporous film, and secondary battery
JP2021021068A (en) Microporous polyolefin membrane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ies
JP2021021067A (en) Microporous polyolefin membrane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ies
TW200830616A (en) Electrode assembly and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1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3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707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7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3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3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1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