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43148B1 - 콘크리트 블록을 성형하는 금형 및 이 금형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블록을 성형하는 금형 및 이 금형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148B1
KR101843148B1 KR1020160059829A KR20160059829A KR101843148B1 KR 101843148 B1 KR101843148 B1 KR 101843148B1 KR 1020160059829 A KR1020160059829 A KR 1020160059829A KR 20160059829 A KR20160059829 A KR 20160059829A KR 101843148 B1 KR101843148 B1 KR 101843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block
molding die
holes
sha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9016A (ko
Inventor
강택신
Original Assignee
(주)88콘크리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88콘크리트 filed Critical (주)88콘크리트
Priority to KR1020160059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148B1/ko
Publication of KR20170129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9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14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64Moulds characterised by special surfaces for producing a desired surface of a moulded article, e.g. profiled or polished moulding surfaces
    • B28B7/007Moulds characterised by special surfaces for producing a desired surface of a moulded article, e.g. profiled or polished moulding surfaces with moulding surfaces simulating natural effets, e.g. wood or st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2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uring, setting or hardening
    • B28B11/245Curing con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64Moulds characterised by special surfaces for producing a desired surface of a moulded article, e.g. profiled or polished mould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97Press moulds; Press-mould and press-ram assembl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블록 성형용 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록 특히, 벽돌과 같이 측면이 노출되는 블록의 노출되는 면에 자연석과 유사한 다양한 재질 및 질감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는 금형을를 제공함으로써 블록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금형을 쉽게 교체 및 장착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질감 및 형태의 외면을 갖는 블록을 쉽고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콘크리트 블록 성형용 금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블록을 성형하는 금형 및 이 금형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의 제작방법{Plastic concrete blocks of concrete advantage of this mold and mold manufacturing methods}
본 발명은 콘크리트 블록 성형용 금형 및 이 금형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블록 특히, 벽돌과 같이 측면이 노출되는 블록의 노출되는 면에 자연석과 유사한 다양한 재질 및 질감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는 금형을를 제공함으로써 블록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금형을 쉽게 교체 및 장착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질감 및 형태의 외면을 갖는 블록을 쉽고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콘크리트 블록 성형용 금형 및 이 금형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구조물의 내부 벽체 혹은 외장 벽체로 널리 사용되는 벽돌은 장방형 단면을 갖는 직육면체를 이루고 있으며, 접합재로서 시멘트 모르타르, 황토 등을 채워가면서 적층하는 방식으로 시공된다.
한편, 통상적인 구조의 벽돌은 생산성 향상과 원가절감을 위해 다양한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이와 관련되어 참조할 수 있는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52652호(등록일: 2006년 02월 09일)건축용 벽돌 자동제조장치는,
실린더로드의 작동으로 랙 기어에 맞물린 피니언 기어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좌우측 금형이 동시에 서로 대향하고, 양로드 실린더의 작동으로 좌우측금형이 서로 당겨져서 벽돌을 성형하고, 벽돌은 좌우측금형의 하측의 컨베이어로 이동하면서 가열난로와 덕트로 연결된 열풍기에 의하여 건조과정을 거친다. 이에따라, 생산성 저하와 높은 노동강도를 해결하면서 다양한 형상의 벽돌을 쉽게 제조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1131687호(등록일: 2012년 03월 22일)벽돌 제조장치는,
재료공급기, 압출기, 금형을 지닌 벽돌 제조장치에 있어서, 금형은 몸체, 재료유입홈 형성면, 압출홈 형성면, 돌기부를 구비하고, 컨베이어가 성형체를 이송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이송되는 성형체의 양측면을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는 측면가압부와, 상기 이송되는 성형체의 상면을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는 상면가압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벽돌에 균일한 형상의 무늬를 용이하게 형성하고, 몰탈 타설시 구조적 강도를 향상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들은 좌우측금형의 회전과 전후진을 동반하므로 높은 생산성을 실현하기 곤란하고, 또한, 컨베이어로 연속적인 제조가 가능하지만 단순한 형태의 벽돌에 한정되는 한계성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기술구성에 의하여 제작된 블록 제품의 측면 실물사진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17115407011-pat00015

또한, 상기 블록을 상부로 적층시 노출되는 표면이 사진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단순히 매끄러운 면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별도의 콘크리트 미장을 통하여 다양한 미감 및 이미지를 보조적으로 형성하고 있어 시공기간이 오래 걸리고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블록의 외형을 자연석과 유사한 형태의 고급스러운 미감을 갖도록 하기 위한 종래 알려진 기술로 실용신안등록 제20-0398237호(등록일: 2005년 10월 05일)옹벽블록 성형기에 있어 옹벽블록의 돌출부 성형장치는,
파레트가 공급되도록 구성된 콘베어와 그 위에 옹벽블록을 성형하기 위한 복수개의 형틀(1)과 가압구(2)들을 승, 하강시켜 옹벽블록을 성형하도록 구성된 옹벽블록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옹벽블록을 성형하기 위한 형틀(1)의 내측에 옹벽블록의 전면에 돌출부성형을 위한 요철부(3)가 형성된 요철가압구(4)를 설치하여 형틀 내부로 전, 후진시킬 수 있도록 형틀의 측면(8)에 설치된 실린더(6)의 피스톤(7)에 연결하며, 상기 요철가압구(4)가 안정적으로 형틀 내부로 전, 후진할 수 있도록 가이드봉(5)을 연결하여 형틀의 측면(8)을 관통시켜 설치하며,
상기 형틀(1)과 요철부(3)에 모르타르가 골고루 유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형틀의 측면(8)에는 공지의 진동기(9)를 설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공개특허번호 제10-2002-0080144호(공개일:2002년 10월 23일)점토 벽돌 제조장치 및 방법은,
두 장 크기의 벽돌을 제조한 후 유압 압축기로 한 장 크기로 절단하여 그 절단면이 사용면이 되면서 자연미를 창출하도록 한 벽돌 제조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기술에 의하여 제작된 별돌의 실물 사진은 아래와 같다.

*
Figure 112017115407011-pat00016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벽돌 제조방법은 압축기로 벽돌을 절단하는 경우 상기 사진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절단면이 일정하지 못하여 벽돌의 규격에 차이가 발생하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사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록 특히, 벽돌과 같이 양측면이 노출되는 블록의 노출되는 면에 자연석과 유사한 다양한 재질 및 질감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는 금형을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질감을 표현할 수 있는 블록을 쉽게 생산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콘크리트 블록 성형용 금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다양한 질감을 표현할 수 있는 블록 성형용 금형을 제공함에 있어서 금형의 교체가 용이하여 블록에 다양한 질감을 손쉬운 금형의 교체를 통하여 생산할 수 있어 일일생산량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블록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콘크리트 블록 성형용 금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상기와 같은 새로운 형태의 블록 성형용 금형을 통하여 다양한 외면을 갖는 블록을 제작할 수 있는 개선된 형태의 블록 제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록의 생산을 위한 자동화 라인의 컨베이어밸트(미도시)에 안착되어 가압금형에 의하여 성형된 경화전의 블록 성형품이 안착되는 구성으로 금속이나 목재재질의 판상체로 구성된 이송판(10);
상기 이송판(10)의 상부에 위치되며 내부에 성형되는 블록의 외형을 성형하는 복수 개의 가공공(21)과 가장자리로 성형장치(미도시)에 고정을 위한 고정날개부(22)가 일체로 형성된 하부성형금형(20);
성형장치(미도시)에 몸체(31)가 상하이동가능하게 형성되며 몸체(31)의 하부에 상기 가공공(21)의 내부로 삽입되는 복수 개의 다짐돌기(32)가 일체로 형성된 상부가압금형(30);을 포함하되,
상기 하부성형금형(20)의 가공공(21) 바닥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다양한 모양의 스크래치부(23)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하부성형금형(20)이 상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스크래치부(23)가 성형된 블록의 외주면을 긁어 스크래치를 발생시키며 상승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을 성형하는 금형에 의하여 달성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록의 생산을 위한 자동화 라인의 컨베이어밸트(미도시)에 안착되어 가압금형에 의하여 성형된 경화전의 블록 성형품이 안착되는 구성으로 금속이나 목재재질의 판상체로 구성된 이송판(10);
상기 이송판(10)의 상부에 위치되며 내부에 성형되는 블록의 외형을 성형하는 복수 개의 가공공(21)과 가장자리로 성형장치(미도시)에 고정을 위한 고정날개부(22) 및 하면에 복수 개의 암나사공()이 일체로 형성된 하부성형금형(20);
성형장치(미도시)에 몸체(31)가 상하이동가능하게 형성되며 몸체(31)의 하부에 상기 가공공(21)의 내부로 삽입되는 복수 개의 다짐돌기(32)가 일체로 형성된 상부가압금형(30);
상기 하부성형금형(20)에 밀착되며 암나사공(25)과 대응되는 위치에 내부에 단턱을 갖는 복수 개의 관통공(241)과 내측에 가장자리에 다양한 형태의 스크래치부(243)를 갖는 복수 개의 가공공(242)을 일체로 형성한 보조금형(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을 성형하는 금형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스크래치부(23, 243)는 삼각형 형태의 쇄기(231)를 좁게 혹은 넓게 연속하여 형성하거나 또는 일정간격 이격되게 부분적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복수 개의 강철사(232)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제작방법으로는,컨베이어(미도시)상에 안착된 이송판(10)에 하부성형금형(20)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부성형금형(20)의 내부에 블록을 성형할 콘크리트 조성물(A)을 투입하여 블록의 성형을 준비하는 블록 조성물 투입단계;
상기 하부성형금형(20) 내부에 콘크리트 조성물(A)을 투입한 상태에서 상부금형(30)을 하강시켜 몸체(31)의 하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다짐돌기(32)가 하부성형금형(20)에 형성된 복수 개의 가공공(21)에 삽입되어 가공공(21) 내부에 충진된 콘크리트 조성물(A)을 가압하여 콘크리트 조성물(A)을 가공공(21)의 형태대로 견고하게 다짐하는 상부가압금형 가압단계;
상기 가공공(21)의 내부에 다짐돌기(32)를 삽입 가압하여 콘크리트 조성물(A)을 가공공(21)의 형태대로 성형한 상태에서 상부가압금형(30)을 상부로 이동시켜 하부성형금형(20)으로부터 분리하는 상부가압금형 분리단계;
상기와 같이 가공공(21) 내부에 수용된 콘크리트 조성물(A)은 상부가압금형(30)의 다짐돌기(32)의 가압에 의하여 견고하게 블록의 형태로 성형된 상태에서 하부성형금형(20)이 상승하여 이송판(10)으로부터 분리되며 콘크리트 조성물(A)은 가공공(21)의 형태에 따라서 블록의 형상으로 성형된 가성형품 상태를 유지하는데, 이때, 하부성형금형(20)이 상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가공공(21)의 내측 하부에 형성된 스크래치부(23)가 하부성형금형(20)이 상승하며 가성형품의 표면을 긁어 스크래치를 발생시켜 가성형품의 외면을 꺼끌꺼끌한 자연석과 유사한 형태로 변형시키는 하부성형금형 분리단계;
상기 가성형품의 측면이 스크래치부(23)에 의하여 꺼끌꺼끌한 자연석과 같은 형태로 성형된 상태에서 가성형품을 상온에서 7일 양생하여 블록을 완성하는 블록 완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성형용 금형는 하부성형금형에 형성된 복수 개의 성형홈 하부에 다양한 모양의 스크래치부를 형성하고, 하부성형금형을 상승시키는 과정에서 성형홈 내부에 성형된 블록 성형품의 외면을 스크래치부가 긁으며 상승하여 블록 성형품의 외면을 다양한 질감으로 표현되도록 성형한 후 건조함으로써 스크래치부의 모양, 크기, 재질을 변경하며 블록을 성형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스크래치를 블록 성형품 표면에 발생시켜 블록 표면의 질감을 자연석과 유사한 형태로 변형시킬 수 있어 블록을 고급스럽게 제작할 수 있음과 더불어 블록을 이용한 건축물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블록의 성형금형을 통하여 규격화된 블록을 성형한 후 표면에 스크래치를 발생시켜 다양한 질감을 형성함으로써 블록의 규격의 변동이 없어 블록 제품의 품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성형용 금형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도
도 3a 내지 3d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성형용 금형을 이용하여 다양한 질감을 갖는 블록의 성형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성형용 금형중 스크래치부의 여러 가지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성형용 금형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성형용 금형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성형용 금형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도이며, 도 3a 내지 3d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성형용 금형을 이용하여 다양한 질감을 갖는 블록의 제작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성형용 금형중 스크래치부의 여러가지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성형용 금형(이하, '금형'라 한다)(100)은 제작되는 블록이 안착하며 컨베이어(미도시)에 의하여 이송되는 이송판(10)과, 상기 이송판(1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하이동가능하게 형성되고 내부에 블록의 형태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가공공(21)이 형성된 하부성형금형(20) 및 상기 하부형성금형(20)의 가공공(21)에 수용되어 콘크리트를 다짐하는 복수 개의 다짐돌기(31)가 형성되며 상하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상부가압금형(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판(10)은 블록의 생산을 위한 자동화 라인의 컨베이어밸트(미도시)에 안착되어 가압금형에 의하여 성형된 경화전의 블록 성형품이 안착되는 구성으로 금속이나 목재재질의 판상체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성형금형(20)은 실질적으로 블록의 외형을 성형하는 금형으로써,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성형되는 블록의 외형을 성형하는 복수 개의 가공공(21)과 가장자리로 성형장치(미도시)에 고정을 위한 고정날개부(22)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공공(21)의 바닥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다양한 모양의 스크래치부(23)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하부성형금형(20)이 상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스크래치부(23)가 성형된 블록의 외주면을 긁어 스크래치를 발생시키며 상승하도록 한다.
상기 상부가압금형(30)은 하부성형금형(20)의 가공공(21)에 수용된 블록 가공 조성물을 가압하여 다짐함으로써 블록 성형품을 견고하게 하는 구성으로써, 도시한 바와 같이 성형장치(미도시)에 몸체(31)가 상하이동가능하게 형성되며 몸체(31)의 하부에 상기 가공공(21)의 내부로 삽입되는 복수 개의 다짐돌기(32)가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가압금형(30)은 실시예에 따라서 몸체(31)에 복수 개의 다짐돌기(32)가 끼움된 상태에서 상부의 실린더(미도시)에 의하여 다짐돌기(32)가 상하 이동하며 가공공(21)에 삽입되어 블록 가공 조성물을 다짐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성형용 금형을 이용한 블록 제작방법을 도 3a 내지 3d를 참조하여 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블록 조성물 투입단계 >(3a)
컨베이어(미도시)상에 안착된 이송판(10)에 하부성형금형(20)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부성형금형(20)의 내부에 블록을 성형할 콘크리트 조성물(A)을 투입하여 블록의 성형을 준비한다.

< 상부가압금형 가압단계 >(3b)

*상기와 같이 하부성형금형(20) 내부에 콘크리트 조성물(A)을 투입한 상태에서 상부금형(30)을 하강시켜 몸체(31)의 하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다짐돌기(32)가 하부성형금형(20)에 형성된 복수 개의 가공공(21)에 삽입되어 가공공(21) 내부에 충진된 콘크리트 조성물(A)을 가압하여 콘크리트 조성물(A)을 가공공(21)의 형태대로 견고하게 다짐한다.

< 상부가압금형 분리단계 >(3c)
상기와 같이 가공공(21)의 내부에 다짐돌기(32)를 삽입 가압하여 콘크리트 조성물(A)을 가공공(21)의 형태대로 성형한 상태에서 상부가압금형(30)을 상부로 이동시켜 하부성형금형(20)으로부터 분리한다.

< 하부성형금형 분리단계 >(3d)
상기와 같이 가공공(21) 내부에 수용된 콘크리트 조성물(A)은 상부가압금형(30)의 다짐돌기(32)의 가압에 의하여 견고하게 블록의 형태로 성형된 상태에서 하부성형금형(20)이 상승하여 이송판(10)으로부터 분리된다.
한편, 상기 하부성형금형(20)이 상승하면서 각각의 가공공(21)으로부터 콘크리트 조성물(A)이 빠져 분리되는데, 이때 분리되는 콘크리트 조성물(A)은 가공공(21)의 형태에 따라서 블록의 형상으로 성형된 가성형품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가성형품은 하부성형금형(20)이 상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가공공(21)의 내측 하부 가장자리로 형성된 스크래치부(23)가 하부성형금형(20)이 상승하는 과정에서 성형된 가성형품의 표면을 긁어 스크래치를 발생시킴으로써 실질적으로 가성형품의 외면이 꺼끌꺼끌한 자연석과 유사한 형태로 변형된다.

이렇게 가성형품의 측면이 스크래치부(23)에 의하여 꺼끌꺼끌한 자연석과 같은 형태로 성형된 상태에서 가성형품을 상온에서 7일이상 양생하여 블록을 완성한다.

한편, 상기 스크래치부(23)는 그 가공공(21) 내부에서 돌출된 형태를 다양하게 형성함으로써 여러 가지 형태의 긁힘을 블록 가성형품의 표면에 형성할 수 있어 다양한 모양 및 형태의 자연미를 갖는 블록을 제작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즉, 도 4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공공(21) 내면 하단에 삼각형 형태의 쇄기(231)를 좁게 혹은 넓게 연속하여 형성하여 가성형품의 측면에 전체적인 긁힘을 발생시키거나 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삼각형 형태의 쇄기를 일정간격 이격되게 부분적으로 형성하여 가성형품 측면에 부분적인 긁힘을 발생시켜 블록의 표면을 다양한 미감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7은 또 다른 형태의 스크래치부(23)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강철사를 일정간격으로 가공공(21)의 하단에 형성하여 하부성형금형(20)이 상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강철사(232)로 형성된 스크래치부(23)가 가성형품의 측면을 빗질하듯 긁어 스크래치를 발생시킴으로써 또 다른 자연미를 갖는 블록을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도 8 내지 도 9는 스크래치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성형용 금형의 다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다른 실싱예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 성형용 금형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모양 및 형태를 갖는 스크래치부(23)가 형성된 보조금형(24)을 하부성형금형(2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하부성형금형(20)에 여러 개의 보조금형(24)을 선택적으로 손쉽게 탈부착하여 블록을 성형함으로써 간단하게 다양한 외형을 갖는 블록을 성형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즉, 상기 보조금형(24)은 가장자리 또는 내부에 단턱을 갖는 복수 개의 관통공(241)과 복수 개의 가공공(242) 및 가공공(242)의 가장자리에 다양한 형태의 스크래치부(243)를 일체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하부성형금형(20)의 바닥부분에 상기 보조금형(24)의 관통공(241)과 대응되는 부분에 암나사공(25)을 형성한다.
이렇게 형성된 하부성형금형(20)과 보조금형(24)은 각각에 형성된 가공공(21, 242)을 동일선상에 위치시킨 후 밀착시키고 볼트(26)를 보조금형(24)의 관통공(241)을 관통시켜 하부성형금형(20)의 암나사공(25)에 나사체결함으로서 하부성형금형(20)과 보조금형(24)을 일체로 조립한 후 블록을 제작함으로서 보조금형(24)에 형성된 스크래치부(243)의 형태에 따라서 다양한 외면을 갖는 블록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조금형(24)의 관통공(241)을 단턱지게 형성하여 체결되는 볼트머리가 보조금형(24)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서 이송판(10)의 표면에 보조금형(24)의 하면이 밀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원활하게 콘크리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가성형품을 성형할 수 있는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 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 : 이송판 20 : 하부성형금형
21 : 가공공 22 : 고정날개부
23 : 스크래치부 24 : 보조금형
241 : 관통공 242 : 가공공
243 : 스크래치부 25 : 암나사공
26 : 볼트 30 : 상부가압금형
31 : 몸체 32 : 다짐돌기

Claims (4)

  1. 블록의 생산을 위한 자동화 라인의 컨베이어밸트에 안착되어 가압금형에 의하여 성형된 경화전의 블록 성형품이 안착되는 구성으로 금속이나 목재재질의 판상체로 구성된 이송판(10);
    상기 이송판(10)의 상부에 위치되며 내부에 성형되는 블록의 외형을 성형하는 복수 개의 가공공(21)과 가장자리로 성형장치에 고정을 위한 고정날개부(22) 및 하면에 복수 개의 암나사공(25)이 일체로 형성된 하부성형금형(20);
    상기 성형장치에 몸체(31)가 상하이동가능하게 형성되며 몸체(31)의 하부에 상기 가공공(21)의 내부로 삽입되는 복수 개의 다짐돌기(32)가 일체로 형성된 상부가압금형(30);
    상기 하부성형금형(20)의 하면에 밀착되며 암나사공(25)과 대응되는 위치에 내부에 단턱을 갖는 복수 개의 관통공(241)과 내측에 가장자리에 삼각형 형태의 쇄기(231)를 좁게 혹은 넓게 연속하여 형성하거나 또는 일정간격 이격되게 부분적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복수 개의 강철사(232)로 이루어진 스크래치부(243)를 갖는 복수 개의 가공공(242)을 일체로 형성한 보조금형(24);을 포함하며,
    여기서, 다양한 모양 및 형태를 갖는 스크래치부(243)가 형성된 보조금형(24)을 하부성형금형(20)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하나의 하부성형금형(20)에 여러 가지 스크래치 형태를 갖는 보조금형(24)을 선택적으로 탈부착하여 하부성형금형(20)이 상승하는 과정에서 블록의 외주면을 긁어 자연석의 외형을 갖도록 스크래치를 발생시키며 상승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을 성형하는 금형.
  2. 컨베이어 상에 안착된 이송판(10)에 단턱을 갖는 복수 개의 관통공(241)과 복수 개의 가공공(242) 및 가공공(242)의 가장자리에 삼각형 형태의 쇄기(231)를 좁게 혹은 넓게 연속하여 형성하거나 또는 일정간격 이격되게 부분적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복수 개의 강철사(232)로 구성된 스크래치부(243)가 일체로 형성된 보조금형(24)을 조립한 하부성형금형(20)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부성형금형(20)의 내부에 블록을 성형할 콘크리트 조성물(A)을 투입하여 블록의 성형을 준비하는 블록 조성물 투입단계;
    상기 하부성형금형(20) 내부에 콘크리트 조성물(A)을 투입한 상태에서 상부금형(30)을 하강시켜 몸체(31)의 하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다짐돌기(32)가 하부성형금형(20)에 형성된 복수 개의 가공공(21)에 삽입되어 가공공(21) 내부에 충진된 콘크리트 조성물(A)을 가압하여 콘크리트 조성물(A)을 가공공(21)의 형태대로 견고하게 다짐하는 상부가압금형 가압단계;
    상기 가공공(21)의 내부에 다짐돌기(32)를 삽입 가압하여 콘크리트 조성물(A)을 가공공(21)의 형태대로 성형한 상태에서 상부가압금형(30)을 상부로 이동시켜 하부성형금형(20)으로부터 분리하는 상부가압금형 분리단계;
    상기와 같이 가공공(21) 내부에 수용된 콘크리트 조성물(A)은 상부가압금형(30)의 다짐돌기(32)의 가압에 의하여 견고하게 블록의 형태로 성형된 상태에서 하부성형금형(20)이 상승하여 이송판(10)으로부터 분리되며 가성형품의 표면을 스크래치부(243)를 이용하여 긁어 스크래치를 발생시켜 가성형품의 외면을 꺼끌꺼끌한 자연석과 유사한 형태로 변형시키는 하부성형금형 분리단계;
    상기 가성형품의 측면이 스크래치부(23)에 의하여 꺼끌꺼끌한 자연석과 같은 형태로 성형된 상태에서 가성형품을 상온에서 7일 양생하여 블록을 완성하는 블록 완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블록을 성형하는 금형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의 제작방법.
  3. 삭제
  4. 삭제
KR1020160059829A 2016-05-16 2016-05-16 콘크리트 블록을 성형하는 금형 및 이 금형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의 제작방법 Active KR101843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829A KR101843148B1 (ko) 2016-05-16 2016-05-16 콘크리트 블록을 성형하는 금형 및 이 금형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829A KR101843148B1 (ko) 2016-05-16 2016-05-16 콘크리트 블록을 성형하는 금형 및 이 금형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016A KR20170129016A (ko) 2017-11-24
KR101843148B1 true KR101843148B1 (ko) 2018-03-28

Family

ID=60810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829A Active KR101843148B1 (ko) 2016-05-16 2016-05-16 콘크리트 블록을 성형하는 금형 및 이 금형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31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3807A (ko) 2022-06-20 2023-12-27 (주)엘엔드지 조립식 옹벽블럭 제조틀과 이를 이용한 옹벽블럭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59259B (zh) * 2018-11-06 2024-02-06 青岛新世纪预制构件有限公司 预制镂空板模具及使用该模具制造预制镂空板的方法
CN115107149A (zh) * 2022-07-28 2022-09-27 四川建筑职业技术学院 平面人工石批量生成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1314A (ja) * 2000-01-12 2001-07-17 Akagi Shokai:Kk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1314A (ja) * 2000-01-12 2001-07-17 Akagi Shokai:Kk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3807A (ko) 2022-06-20 2023-12-27 (주)엘엔드지 조립식 옹벽블럭 제조틀과 이를 이용한 옹벽블럭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016A (ko) 2017-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3148B1 (ko) 콘크리트 블록을 성형하는 금형 및 이 금형을 이용한 콘크리트 블록의 제작방법
KR101131687B1 (ko) 벽돌 제조장치
KR101899533B1 (ko) 황토벽돌 제조 장치
CN208118034U (zh) 一种木板成型热压机
CN107263674B (zh) 一种乐高砖成型机
CN218227123U (zh) 一种实验用多孔砖压制成型模具
CN218488678U (zh) 一种双边燕尾槽瓷砖上模芯及制成瓷砖
CZ29912U1 (cs) Forma pro výrobu řadových stavebních bloků nebo rohových stavebních bloků
EP3713730B1 (en) Device for pressing a non-hardened concrete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concrete articles
JP3455620B2 (ja) 建築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化粧方法
KR100469071B1 (ko) 도자물의 성형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N104859088B (zh) Upvc墙面装饰板的注塑制造方法
CN101708627A (zh) 用于在陶瓷产品的表面上获得凹槽的方法及设备
KR102249048B1 (ko) 플레이트 제조장치
CN218557508U (zh) 一种切割的自保温发泡混凝土砌块模具
JP6179495B2 (ja) 成形用型枠装置
CN204076456U (zh) 滚筒洗衣机平衡块模具
CN119526555B (zh) 瓷砖三次布料机及瓷砖复合布料方法
CN216031485U (zh) 生土砖压制模具
KR20120036235A (ko) 점토 용기를 생산하는 장치 및 방법
JPH0966396A (ja) 塑性材料の加圧成形方法および加圧成形装置
CN103950088A (zh) 干法制水泥花砖工艺
KR830000119B1 (ko) 단이 부착된 기와의 성형장치
JPH0513802B2 (ko)
JP4566353B2 (ja) 窯業系外壁材用の同質出隅部材や同質入り隅部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9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3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3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