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41707B1 - 회전식 구이기 - Google Patents

회전식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1707B1
KR101841707B1 KR1020170052680A KR20170052680A KR101841707B1 KR 101841707 B1 KR101841707 B1 KR 101841707B1 KR 1020170052680 A KR1020170052680 A KR 1020170052680A KR 20170052680 A KR20170052680 A KR 20170052680A KR 101841707 B1 KR101841707 B1 KR 101841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ource
screw shaft
case
time
inner sp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성학
위민주
위민욱
위민경
Original Assignee
위성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성학 filed Critical 위성학
Priority to KR1020170052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17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70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3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을 발산하는 열원이 구비된 구이케이스의 내부공간에서 구이재료가 원형으로 회전되면서 구워질 수 있는 회전식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구이케이스(100)와, 구이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프레임(200)과, 회전프레임(200)이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부재(300)와, 회전프레임(200)에 구이재료를 고정시키는 구이재료고정부재(400)와, 구이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회전되는 구이재료에 열을 가하는 열원부재(500)와, 회전부재(300)를 동작시키거나 정지시키는 컨트롤러(6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회전식 구이기{ROTARY TYPE ROASTER}
본 발명은 열을 발산하는 열원이 구비된 구이케이스의 내부공간에서 구이재료가 원형으로 회전되면서 구워질 수 있는 회전식 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이나 가정에서 숯불을 이용하여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등 육고기와 고등어, 갈치, 조개 등 어폐류와 해산물 등을 익혀 제공하는 숯불구이기는, 화로 내부 하단에 일정한 공간을 확보하고 그 공간에 숯통을 안착시킨 후, 화로의 상단에 석쇠나 불판을 장착시켜 육고기 등을 석쇠나 불판에 올린 후 숯불에서 발열되는 열에 의하여 조리를 하게 된다.
전술한 숯불구이기 중 불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육고기 등에서 배출되는 기름을 별도로 처리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도 있으나 숯불의 직화에 의한 요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숯불고기의 독특한 맛이 저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숯불구이기 중 석쇠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숯불의 직화에 의한 요리가 이루어져 숯불고기의 독특한 맛을 유지하기는 하나 육고기 등의 기름이 숯통의 숯에 직접 낙하하여 연소되어 유해가스와 함께 연기와 그을음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되어 공개된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07151호(2003.02.28.)가 개제되어 있다.
상기의 종래기술은 체인을 이용하여 육류가 담긴 구이상자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체인 및 체인을 회전시키기 위한 스프라켓들이 몸체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어야 하므로, 몸체의 부피가 커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열을 발산하는 열원이 구비된 구이케이스의 내부공간에서 구이재료가 원형으로 회전되면서 구워질 수 있는 회전식 구이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구이기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구이케이스(100)와, 구이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프레임(200)과, 회전프레임(200)이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부재(300)와, 회전프레임(200)에 구이재료를 고정시키는 구이재료고정부재(400)와, 구이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회전되는 구이재료에 열을 가하는 열원부재(500)와, 회전부재(300)를 동작시키거나 정지시키는 컨트롤러(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회전프레임(200)은 구이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서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메인프레임(210)과, 메인프레임(210)에서 측방으로 돌출되어 구이재료들이 매달려서 고정되는 가지프레임(220)을 포함하며, 메인프레임(210)은 수평된 상태로 구이케이스(10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열원부재(500)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700)를 포함하며, 이동부재(700)는 구이케이스(100)에 공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나사축(710)과, 나사축(710)에서 이격되면서 나란히 설치되는 가이드샤프트(720)와, 열원부재(500)가 분리가능하게 고정되고, 나사축(710)이 나사결합되는 나사탭(731)이 형성되며, 가이드샤프트(720)가 관통되는 관통홀(732)이 형성되는 열원고정부(7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나사축(710)은 나사산이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열원고정부(730)는 복수로 구성되어 나사축(710)의 양측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나사축(710)의 끝단이 절곡되어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열원고정부(730)에는 나사축(710)을 청소하는 청소부재(740)가 형성되고, 청소부재(740)는 열원고정부(730)와 함께 이동되면서 나사축(710)을 문질러서 청소하는 브러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컨트롤러(600)는 회전부재(300)를 작동시키는 작동부(610)와, 기준시간을 설정하는 기준시간설정부(620)와, 제1기준속도 및 제2기준속도를 설정하는 기준속도설정부(630)와, 작동부(610)의 작동시간을 체크하는 시간체크부(640)와, 체크시간을 기준시간에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시간비교부(650)와, 체크시간이 기준시간에 일치하지 않으면 회전부재(300)가 제1기준속도로 작동되도록 작동부(610)를 조작하고, 체크시간이 기준시간에 일치되면 회전부재(300)가 제2기준속도로 작동되도록 작동부(610)를 조작하는 조작부(6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열을 발산하는 열원이 구비된 구이케이스의 내부공간에서 구이재료가 원형으로 회전되므로, 작은 크기의 구이케이스에 용이하게 적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협소한 내부공간에 의해 열손실이 최소화되면서 열원의 열기가 구이재료에 집중될 수 있다.
또한, 구이재료가 회전되면서 열원에 접근되어서 익혀지므로 구이재료의 굽는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지는 편리함이 있으면서, 구이재료가 이동되면서 열원에 간헐적으로 접근하여 타지 않으면서 적정하게 익혀질 수 있다.
또한, 열원부재가 구이재료의 측방으로 열을 가하므로 구이재료가 익혀지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름이 열원으로 낙하됨이 방지될 수 있어서, 기름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유해가스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이케이스의 상부에 상부예열부가 형성되어 열원부재에서 발생되는 폐열을 이용하므로 구워진 고기와 같은 구이재료가 따뜻한 상태로 보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이재료의 초벌구이가 가능하며, 야채나 과일과 같은 구이재료의 건조도 가능하다.
또한, 상부예열부가 타공판으로 구성되어 폐열이 직접적으로 통과되므로 구이재료가 더욱 높은 온도에서 보관될 수 있다.
또한, 구이케이스에 상부예열부 및 하부타공판이 형성되어 내부공간이 좁혀짐에 따라, 열원부재에서 발생되는 열이 구이재료에 집중될 수 있다.
또한, 회전프레임의 메인프레임에 가지프레임들이 연결되므로 다수의 구이재료가 걸려서 구워질 수 있다.
또한, 열원부재가 원호형태로 휘어지게 형성됨에 따라 원형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구이재료에 간섭되지 않는다.
또한, 이동부재에 의해 열원부재가 구이재료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으므로, 다양한 구이재료의 익는 정도에 맞게 열원부재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동부재의 나사축에 나사산이 양측에 대칭되게 형성됨에 따라, 하나의 나사축이 회전되면 두개의 열원부재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져서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열원부재가 고정되는 열원고정부재에 청소부재를 설치함에 따라, 열원고정부재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청소부재에 의해 나사축이 청소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러에 의해 구이재료의 회전하는 속도가 조절될 수 있어서, 다양한 구이재료에 맞는 회전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구이기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회전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3는 본 발명의 회전프레임을 보인 부분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의 회전프레임에 의해 구이재료고정부재가 회전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a)(b)는 본 발명의 이동부재에 의해 열원부재들이 구이재료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진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a)(b)는 본 발명의 열원부재가 이동부재에 고정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컨트롤러를 보인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회전프레임이 구이케이스에 수평으로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구이케이스(100)와, 구이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프레임(200)과, 회전프레임(200)이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부재(300)와, 회전프레임(200)에 구이재료를 고정시키는 구이재료고정부재(400)와, 구이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회전되는 구이재료에 열을 가하는 열원부재(500)와, 회전부재(300)를 동작시키거나 정지시키는 컨트롤러(600)를 포함한다.
먼저, 구이재료는 구워서 먹을 수 있는 음식재료이다. 예를 들어, 육류, 생선, 야채, 과일 등일 수 있다.
구이케이스(100)는 내부공간에서 상부에 구이재료가 수용되어서 예열되는 상부공간이 형성되도록 상부예열부(110)가 설치된다. 이러한, 상부예열부(110)가 금속의 타공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금속재에 의한 열원부재(500)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용이하게 전도될 뿐만 아니라, 열원부재(500)의 열기가 타공홀을 관통하여서 상부공간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공간에 수용되어서 상부예열부(110)에 안착된 구이재료에 열기가 전해지므로, 구워진 구이재료의 따뜻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더욱이, 구워지기 전의 구이재료가 수용되는 경우에도 미리 예열되므로 구이재료의 구워지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여기서, 구이재료인 야채나 과일을 상부공간에 수용시켜서 건조시키면 건조된 야채나 과일을 장기간 보관하면서 섭취할 수 있다.
그리고, 구이케이스(100)는 상부에 연통이 형성되므로 열원부재(500)에서 발생되어 상부예열부(110)를 관통하는 배기가스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구이케이스(100)는 내부공간에서 구워지는 구이재료에서 낙하되는 기름이 통과되는 하부타공판(120)과, 하부타공판(120)의 하부에 구비되어 낙하되는 기름을 모으는 기름호퍼(130)와, 기름호퍼(130)에서 모여지는 기름이 담겨지는 기름받이(140)를 포함한다.
하부구이판(120)이 금속의 타공판으로 구성되므로 열원부재(500)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통과될 수 있고, 상부에 열원부재(500)가 구비될 수 있다.
기름호퍼(130)가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기름호퍼(130)의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에 구이재료를 수용시켜서 따뜻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기름받이(140)는 기름호퍼(130)의 하부에 위치되며,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는 버킷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구이케이스(100)에는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되므로 도어가 개방되면, 구이재료를 유입시키거나 배출시킬 수 있고, 상부예열부(110), 하부구이판(120), 기름호퍼(130), 기름받이(140), 열원부재(500)도 유지보수 및 교체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프레임(200)은 구이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서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메인프레임(210)과, 메인프레임(210)에서 측방으로 돌출되는 가지프레임(220)을 포함한다.
메인프레임(210)은 양단이 상부예열부(110) 및 하부구이판(120)에 구비된 베어링에 고정되므로 연속으로 회전될 수 있다.
가지프레임(220)은 복수로 구성되어 메인프레임(210)에 분산되게 형성되면 구이재료들이 매달려서 고정될 수 있고, 끝단이 절곡되어 고리형태로 형성되면 구이재료가 직접 걸려서 고정되거나 구이재료고정부재(400)에 의해 걸려서 고정될 수 있다.
회전부재(300)는 회전프레임(200)의 메인프레임(210)에 모터축이 축결합되는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재(300)인 모터가 작동되면 메인프레임(210)이 정회전되거나 역회전될 수 있고 저속이나 고속으로도 회전될 수 있다.
구이재료고정부재(400)는 양단이 절곡되는 고리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구이재료고정부재(400)의 일단이 회전프레임(200)의 가지프레임(220)에 걸려서 고정되고, 구이재료고정부재(400)의 타단에 구이재료가 걸려서 고정된다. 따라서, 구이재료고정부재(400)에 고기와 같은 구이재료가 걸려서 매달린 상태로 구워질 수 있다.
그리고, 구이재료고정부재(400)는 구이재료의 양측을 가압하여서 고정시키는 석쇠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석쇠를 벌려서 구이재료를 위치시킨 후에 석쇠를 오므려서 구이재료를 고정시킨 상태로 석쇠의 손잡이를 회전부재(300)에 걸어서 고정시킬 수 있다.
열원부재(500)는 전기히터, 가스버너, 숯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열원부재(500)에서 측방으로 열을 발산하도록 설치되므로 열원부재(500)에 근접된 상태로 이동하는 구이재료가 구워질 수 있다. 이러한, 열원부재(500)는 구이재료가 이동하는 경로에 근접되게 구비될 수 있다. 더욱이, 열원부재(500)는 복수로 구성되어 이동경로의 양측에 위치되는 경우 구이재료의 양측에 열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열원부재(500)는 숯이 담겨지도록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는 숯용기(510)와, 숯용기(5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숯의 열기가 통과되는 망체(520)를 포함한다.
숯용기(510)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홀이나 돌기와 같은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
숯용기(510)는 내구성을 위해 금속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망체(520)는 금속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숯용기(510)에 담긴 숯에서 발산되는 열기가 망체(520)를 통과하여서 이동하는 구이재료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열원부재(500)는 원형으로 회전되면서 이동하는 구이재료에 간섭되지 않도록 원호형태로 휘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열원부재(500)는 쌍으로 구성되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로의 내측 및 외측에 각각 설치되면 구이재료의 양측이 가열될 수 있다. 특히, 열원부재(500)가 쌍으로 구성되면서 구이케이스(100)의 도어가 위치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3곳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3곳에 위치되는 열원부재(500)들에 의해 구이재료가 신속하게 구워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이케이스(100)의 도어가 오픈되어 내부공간이 개방되면 3곳에 위치되는 열원부재(500)의 교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열원부재(500)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700)를 포함한다.
이동부재(700)는 구이케이스(100)에 공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나사축(710)과, 나사축(710)에서 이격되면서 나란히 설치되는 가이드샤프트(720)와, 열원부재(500)가 분리가능하게 고정되고, 나사축(710)이 나사결합되는 나사탭(731)이 형성되며, 가이드샤프트(720)가 관통되는 관통홀(732)이 형성되는 열원고정부(730)를 포함한다.
나사축(710)은 구이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 구비된 브래킷에 공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가이드샤프트(720)도 브래킷에 고정된다.
그리고, 나사축(710)의 끝단이 절곡되어 손잡이가 형성되면 사용자가 손잡이를 회전시킴에 따라 나사축(710)이 회전될 수 있다. 또는 나사축(710)의 끝단에 모터가 연결될 수 있어서 모터가 구동되면 나사축(710)이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나사축(710)이 정회전이나 역회전되면 나사축(710)에 나사결합된 열원고정부(730)가 열원부재(500)와 함께 전진되거나 후진될 수 있다. 즉, 열원부재(500)가 구이재료가 이동하는 경로에 가까워지면 이동하는 구이재료에 열이 많이 가해질 수 있고, 열원부재(500)가 구이재료가 이동하는 경로에서 멀어지면 이동하는 구이재료에 열이 적게 가해질 수 있다.
더욱이, 나사축(710)은 나사산이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열원고정부(730)는 복수로 구성되어 나사축(710)의 양측에 각각 나사결합 된다. 따라서, 나사축(710)이 회전되면 열원부재(500)와 함께 열원고정부(730)들이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질 수 있다. 즉, 열원부재(500)들이 서로 가까워지게 하거나 멀어지게 하여 구이재료의 양측에 적절한 간격으로 위치시키면 구이재료의 양측에 열이 가해져서 적절하게 구워질 수 있다.
따라서, 구이재료가 열원부재(500)의 측방으로 근접된 상태로 이동되면서 구워지므로 육류와 같은 구이재료에서 발생되는 기름이 낙하되어 열원부재(500)에 제공되지 않는다. 즉, 열원부재(500)에서 기름이 연소되지 않으므로 유해가스가 발생되지 않는다.
열원고정부(730)는 열원부재(500)가 삽입되어서 고정되도록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된다.
열원고정부(730)에는 나사축(710)을 청소하는 청소부재(740)가 형성된다.
청소부재(740)는 브러시로 구성되어 열원고정부(730)와 함께 이동되면서 육류와 같은 구이재료가 구워지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름 및 찌꺼기 등에 의해 오염된 나사축(710)을 문질러서 청소한다. 즉, 열원고정부(730)가 이동됨에 따라 청소부재(740)에 의해 나사축(710)이 청소되므로 열원고정부(730)의 이동성이 보장될 수 있다.
컨트롤러(600)는 회전부재(300)를 작동시키는 작동부(610)와, 기준시간을 설정하는 기준시간설정부(620)와, 제1기준속도 및 제2기준속도를 설정하는 기준속도설정부(630)와, 작동부(610)의 작동시간을 체크하는 시간체크부(640)와, 체크시간을 기준시간에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시간비교부(650)와, 체크시간이 기준시간에 일치하지 않으면 회전부재(300)가 제1기준속도로 작동되도록 작동부(610)를 조작하고, 체크시간이 기준시간에 일치되면 회전부재(300)가 제2기준속도로 작동되도록 작동부(610)를 조작하는 조작부(6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기준속도는 제2기준속도보다 저속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회전부재(300)가 제1기준속도로 회전되면 구이재료가 열원부재(500)에 근접되는 시간이 늘어나고, 회전부재(300)가 제2기준속도로 회전되면 구이재료가 열원부재(500)에 근접되는 시간이 줄어든다. 즉, 구이재료인 육류가 저속으로 이동되어서 열원부재(500)의 열을 많이 제공받으면 빠르게 익혀질 수 있다. 그리고, 적당히 익혀진 구이재료인 육류가 고속으로 이동되어서 열원부재(500)의 열을 적게 제공받으면 타지 않으면서 서서히 익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기준시간 및 기준속도를 적정하게 설정하므로 다양한 구이재료들이 적정하게 구워져서 익혀질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600)는 구이케이스(100)의 상부에 설치된 태양전지(800)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600)를 통해 회전부재(300)가 태양전지(800)에서 생산되는 전기에너지를 제공될 수 있다. 즉, 태양전지(800)의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회전부재(300)가 작동되므로 전기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이때, 나사축(710)에 연결된 모터도 태양전지(800)의 전기에너지를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구이재료가 회전되면서 열원에 접근되어서 익혀지고 익혀지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기름이 열원으로 낙하됨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회전식 구이기에 적용되어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이하,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메인프레임(210)은 수평된 상태로 구이케이스(10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가지프레임(220)은 메인프레임(210)에서 방사상으로 분사되어서 사방으로 돌출되되, 고기나 야채와 같은 구이재료가 끼워지는 꼬챙이가 삽입되어서 고정되는 고정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구는 측방을 향해 홀이 형성되므로 꼬챙이가 수평상태로 삽입되어서 고정될 수 있다.
회전부재(300)는 구이케이스(100)의 외측에 구비된 상태로 회전프레임(200)의 메인프레임(210)에 축결합될 수 있다. 즉, 회전부재(300)가 구이케이스(100)의 외측에 구비됨에 따라 열원부재(50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손상됨이 방지될 수 있다.
열원부재(500)는 구이케이스(100)에 측방으로 형성된 홀에 수평으로 삽입되어서 장착되되, 가지프레임(220)의 회전구간에 근접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구이케이스(100)의 측방에 고정된 회전부재(300)에 의해 메인프레임(210)이 회전되면 꼬챙이와 함께 가지프레임(220)이 하부에서 좌측, 상부, 우측의 순서로 회전된다. 이때, 꼬챙이가 회전되면서 열원부재(500)에 근접되면 꼬챙이에 끼워진 고기나 야채가 구워질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의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구이케이스 110 : 상부예열부
120 : 하부타공판 130 : 기름호퍼
140 : 기름받이 200 : 회전프레임
210 : 메인프레임 220 : 가지프레임
300 : 회전부재 310 : 회전모터
400 : 구이재료고정부재
500 : 열원부재 510 : 숯용기
520 : 망체 600 : 컨트롤러
610 : 작동부 620 : 기준시간설정부
630 : 기준속도설정부 640 : 시간체크부
650 : 시간비교부 660 : 조작부
700 : 이동부재 710 : 나사축
720 : 가이드샤프트 730 : 열원고정부
731 : 나사탭 732 : 관통홀
740 : 청소부재

Claims (7)

  1.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구이케이스(100)와,
    구이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프레임(200)과,
    회전프레임(200)이 회전되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부재(300)와,
    회전프레임(200)에 구이재료를 고정시키는 구이재료고정부재(400)와,
    구이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어 회전되는 구이재료에 열을 가하는 열원부재(500)와,
    회전부재(300)를 동작시키거나 정지시키는 컨트롤러(600)를 포함하며,
    구이케이스(100)는 내부공간에서 상부에 구이재료가 수용되어서 예열되는 상부공간이 형성되도록 상부예열부(110)가 설치되고,
    상부예열부(110)가 타공판으로 구성되어 열원부재(500)의 열기가 관통하여서 상부공간에 제공되며,
    회전프레임(200)은
    구이케이스(100)의 내부공간에서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메인프레임(210)과,
    메인프레임(210)에서 측방으로 돌출되어 구이재료들이 매달려서 고정되는 가지프레임(220)을 포함하며,
    메인프레임(210)은 수평된 상태로 구이케이스(10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열원부재(500)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700)를 포함하며,
    이동부재(700)는
    구이케이스(100)에 공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나사축(710)과,
    나사축(710)에서 이격되면서 나란히 설치되는 가이드샤프트(720)와,
    열원부재(500)가 분리가능하게 고정되고, 나사축(710)이 나사결합되는 나사탭(731)이 형성되며, 가이드샤프트(720)가 관통되는 관통홀(732)이 형성되는 열원고정부(730)를 포함하며,
    나사축(710)은 나사산이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열원고정부(730)는 복수로 구성되어 나사축(710)의 양측에 각각 나사결합되며,
    나사축(710)의 끝단이 절곡되어 손잡이가 형성되고,
    열원고정부(730)에는 나사축(710)을 청소하는 청소부재(740)가 형성되고,
    청소부재(740)는 열원고정부(730)와 함께 이동되면서 나사축(710)을 문질러서 청소하는 브러시로 구성되며,
    컨트롤러(600)는
    회전부재(300)를 작동시키는 작동부(610)와,
    기준시간을 설정하는 기준시간설정부(620)와,
    제1기준속도 및 제2기준속도를 설정하는 기준속도설정부(630)와,
    작동부(610)의 작동시간을 체크하는 시간체크부(640)와,
    체크시간을 기준시간에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시간비교부(650)와,
    체크시간이 기준시간에 일치하지 않으면 회전부재(300)가 제1기준속도로 작동되도록 작동부(610)를 조작하고, 체크시간이 기준시간에 일치되면 회전부재(300)가 제2기준속도로 작동되도록 작동부(610)를 조작하는 조작부(660)를 포함하고,
    제1기준속도는 제2기준속도보다 저속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구이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70052680A 2017-04-25 2017-04-25 회전식 구이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841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680A KR101841707B1 (ko) 2017-04-25 2017-04-25 회전식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680A KR101841707B1 (ko) 2017-04-25 2017-04-25 회전식 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1707B1 true KR101841707B1 (ko) 2018-03-23

Family

ID=61911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680A Expired - Fee Related KR101841707B1 (ko) 2017-04-25 2017-04-25 회전식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17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919B1 (ko) 2018-03-28 2018-08-06 (주)케이투시스템이엔지 회전식 구이기
CN116491528A (zh) * 2023-05-09 2023-07-28 浙江麦尚食品有限公司 一种肉制品烘烤工艺及其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2206A (ja) * 1999-06-23 2001-01-09 Nec Yonezawa Ltd 防除塵機構を具備するライブラリ装置
KR200367548Y1 (ko) 2004-08-18 2004-11-12 김상곤 석쇠 회전식 구이기
WO2008066323A1 (en) 2006-11-29 2008-06-05 Seong Gon Na Roaster
KR101255814B1 (ko) * 2012-09-12 2013-04-17 (주) 미래통상 자동 구이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2206A (ja) * 1999-06-23 2001-01-09 Nec Yonezawa Ltd 防除塵機構を具備するライブラリ装置
KR200367548Y1 (ko) 2004-08-18 2004-11-12 김상곤 석쇠 회전식 구이기
WO2008066323A1 (en) 2006-11-29 2008-06-05 Seong Gon Na Roaster
KR101255814B1 (ko) * 2012-09-12 2013-04-17 (주) 미래통상 자동 구이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919B1 (ko) 2018-03-28 2018-08-06 (주)케이투시스템이엔지 회전식 구이기
CN116491528A (zh) * 2023-05-09 2023-07-28 浙江麦尚食品有限公司 一种肉制品烘烤工艺及其设备
CN116491528B (zh) * 2023-05-09 2024-05-31 浙江麦尚食品有限公司 一种肉制品烘烤工艺及其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8957Y1 (ko) 회전식 구이기
KR200223262Y1 (ko) 숯불 바베큐 구이장치
KR102077945B1 (ko) 고기구이 장치
KR101321528B1 (ko) 고기 구이장치
KR101607990B1 (ko) 측면직화구이장치
KR101841707B1 (ko) 회전식 구이기
KR101384297B1 (ko) 회전식 구이기
US6405640B1 (en) Roasting oven
KR101679695B1 (ko) 드럼 회전식 직화구이 장치
KR100843323B1 (ko) 회전식 바베큐 장치
KR200489004Y1 (ko) 회전식 구이기
KR102335948B1 (ko) 초벌구이장치
RU102475U1 (ru) Мангал
KR101401393B1 (ko) 회전식 구이장치
RU5938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епловой обработки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KR101349683B1 (ko) 바베큐 구이장치
KR101618604B1 (ko) 바베큐 장치
KR101055065B1 (ko) 간접 가열 방식의 휴대용 바비큐 기기
KR20130010776A (ko) 통구이 훈제기
KR20090060097A (ko) 오리 통구이기
KR101689089B1 (ko) 가마형 구이장치
KR100719475B1 (ko) 회전식 숯불 구이장치
KR101449555B1 (ko) 측면 폐쇄형 꼬치 구이기
RU13696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епловой обработки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KR200410913Y1 (ko) 양면 구이가 가능한 할로겐 히터가 구비된 바베큐 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9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3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3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