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449555B1 - 측면 폐쇄형 꼬치 구이기 - Google Patents

측면 폐쇄형 꼬치 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9555B1
KR101449555B1 KR1020140046685A KR20140046685A KR101449555B1 KR 101449555 B1 KR101449555 B1 KR 101449555B1 KR 1020140046685 A KR1020140046685 A KR 1020140046685A KR 20140046685 A KR20140046685 A KR 20140046685A KR 101449555 B1 KR101449555 B1 KR 101449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ewer
heat source
grill
present
clos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6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계상범
Original Assignee
계상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상범 filed Critical 계상범
Priority to KR1020140046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95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9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955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1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77Warming devices using solid fuel, e.g. with c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83Warming devices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 A47J36/2488Warming devices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having infrared radia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6Shields or jackets for cooking utensils minimising the radiation of heat, fastened or movably moun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00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 F24C1/14Radiation heating stoves and ranges, with additional provision for convection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이물을 취출하는 과정에서 측면 또는 상면 덮개를 전부 개방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 본 발명은 많은 양의 구이 대상물을 편리하고 신속히 구울 수 있도록 하고, 조리자의 신체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측면 폐쇄형 꼬치구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꼬치구이부에 화력을 제공하는 숯불 또는 적외선 열원부를 상기 구이물과 바닥면을 향하여 평행하게 설치되도록 하여 구이물을 조리시 구이물에 기름 또는 수분이 숯불에 직접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연기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측면 폐쇄형 꼬치구이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닥면을 향하여 열원부와 꼬치구이부를 평행하게 설치하고, 측면을 폐쇄형으로 하는 한편, 꼬치구이부를 상하로 수직 이동하면서 구이 대상물을 꼬치구이기 몸체내에 설치 또는 몸체 밖으로 취출하도록 하는, 꼬치구이기 몸체(100)에 꼬치구이부(200), 구이판(300), 열원부(400), 덮개(500), 창(600), 기름받이 통(700) 및 꼬치구이부 유입홈(800), 지지봉(900)을 포함하는 측면 폐쇄형 꼬치구이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측면 폐쇄형 꼬치 구이기{Closed side Skewer Grill}
본 발명은 꼬치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숯불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육류나 야채류 등 구이물을 구울 경우 한꺼번에 많은 구이물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구울 수 있고, 화력 및 수분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구이물에서 떨어지는 기름 또는 수분으로 인한 연기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측면폐쇄형 꼬치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이기는 각종 육류, 어류 또는 야채류 등 구이물을 익혀 취식하기 위한 구이기 및 구이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구이기는 통상적으로 열원의 접촉방식에 따라 구분하게 되는데, 숯불과 같은 열원에 석쇠와 같은 구이 수단을 이용하여 구이물을 열원에 직접 노출시켜 가열하는 방식과, 열원과 구이물 사이에 판체의 구이판과 같은 열전도성 물체를 위치시켜 구이물을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방식으로 나뉘게 된다.
이 중에서 특히, 소고기나 돼지고기와 같은 육류의 경우에는 구이판을 이용하는 경우(대한민국 공개특허 공보 10-2006-0111774), 구워지는 속도가 석쇠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다소 늦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고기에서 나오는 기름 등이 고기에 그대로 엉겨 붙어 맛과 풍미를 떨어뜨리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소고기나 돼지고기와 같은 육류의 경우에는 숯불 또는 적외선 같은 열원을 직접 육류에 접촉시켜 굽는 방식을 선호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열원을 직접 육류에 접촉시켜 가열하게 되면 육류에서 발생하는 지방 및 기름기를 제거할 수 있고, 숯불고유의 향내가 고기에 스며들어 육류의 담백한 맛과 풍미를 배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내에 불필요한 지방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건강에도 좋기 때문이다.
그러나, 숯불을 이용하여 육류를 굽는 경우 조리자는 지속적으로 육류를 뒤집어야 하는 불편이 따름은 꼬치창의 사용시에나, 구이류를 조리하는 과정에서 열원의 화력으로 인한 신체손상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구이물이 가진 지방이나 수분 성분이 숯불에 직접 낙하하게 되어 연기와 함께 그을음 등이 발생하게 되고, 야유회 등에서 숯불을 이용하여 육류를 구울 경우, 야유회 장소에 숯불을 담는 큰 통 및 육류를 올려놓을 수 있는 그릴을 준비하여야 하며, 이러한 준비물품이 야유회 장소에 구비되지 않는 경우 숯불을 이용한 육류구이에 상당한 차질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된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공보 10-1273347에서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측에 위치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구이부 및 숯불을 수용할 수 있도록 된 숯불수용통이 구비된 숯불구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이부에는 육류를 수용하는 육류수용부재가 설치되되 그 육류수용부재는 상기 회전구이부에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회전구이부의 회전에 의해 원운동을 하도록 구성된 숯불구이 장치를 제공하나, 회전구이부를 통한 전력낭비 및 숯불을 양쪽에 배열하여 열손실이 많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8268호에는 3면 활용 이동식 숯불 꼬치 구이기가 기재되어 있으나, 이 또한 측면창을 전부 개방하여야 구이물을 취출할 수 있으며, 측면을 개방하는 경우 구이 공간의 급격한 온도 저하에 따른 열손실뿐만 아니라 구이 공간의 수분이 외부로 확산되면서 구이물의 수분함량이 떨어져 구이물의 맛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측면 개방에 따른 문제점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93-19292호 및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95-368호 및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95-2945호 등 공지된 모든 숯불 바베큐 기계장치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이다. 이와 같이 측면 개방형으로 설계된 구이기는 구이물의 취출 및 적재 도중. 발생하는 열손실 및 맛의 손실에 더하여 조리자의 안전상 문제점이 지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부분의 바비큐 장치나 꼬치 구이기의 문제점은 측면 개방형으로 설계 운영된 결과임을 밝혀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본 발명의 측면 폐쇄형 꼬치 구이기를 도출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구이물을 구이기 내부로 적재 또는 외부로 취출하는 과정에서 측면 또는 상면 덮개를 전부 개방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 본 발명은 많은 양의 구이물을 편리하고 신속하고 안정하게 구울 수 있도록 하고, 측면 또는 상면 덮개를 개방하는 경우 구이실 내부의 온도가 200 이상의 수준에서 100내외 수준으로 급격하게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구이실의 수분을 일정수준으로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구이물의 수분함량을 촉촉하게 하여 구이물의 맛이 저감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조리자의 신체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측면 폐쇄형 꼬치구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꼬치구이부에 화력을 제공하는 숯불 또는 적외선 발열부를 상기 구이 대상물과 평행하게 설치되도록 하여 구이 대상물을 구이시 구이물의 기름 또는 수분이 숯불 또는 발열부에 직접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연기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측면 폐쇄형 꼬치구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바닥면을 향하여 열원부와 꼬치 구이부를 평행하게 설치하고, 측면을 폐쇄형으로 하는 한편, 꼬치 구이부를 상하로 이동하면서 구이물을 구이기의 몸체내에 배치 또는 구이기의 몸체 밖으로 취출하도록 하는, 꼬치구이기 몸체(100)에 꼬치구이부(200), 구이판(300), 열원부(400), 덮개(500), 창(600), 기름받이 통(700) 및 꼬치구이부 유입홈(800)을 포함하는 측면 폐쇄형 꼬치구이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을 따르면 많은 양의 구이물을 편리하고 신속히 구울 수 있고, 조리자의 신체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꼬치구이부에 화력을 제공하는 숯불 또는 적외선 발열부와 꼬치구이부를 꼬치 구이기 몸체의 바닥면을 향하여 평행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도록 하여 구이물 구이시 구이물에서 떨어지는 기름 또는 수분이 발열부에 직접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연기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꼬치구이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꼬치구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직육면체형 꼬치구이기 몸체 및 발열부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이대상물을 취출하는 과정에서 측면 또는 상면 덮개를 전부 개방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 많은 양의 구이물을 편리하고 신속히 구울 수 있도록 하고, 조리자의 신체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꼬치구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꼬치구이부에 화력을 제공하는 숯불 또는 적외선 발열부와 꼬치구이부를 바닥면을 향하여 평행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도록 하여 구이물 구이시 구이물에서 떨어지는 기름과 수분이 숯불에 직접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연기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꼬치구이기 중앙부 열원을 꼬치구이기 몸체 중앙에 꼬치구이기 몸체 밑면을 향하여 수직으로 배치하고, 열원 둘레에 다수의 꼬치창이 꼬치창 걸이에 걸려있어, 구이물을 조리할 수 있는 꼬치구이기로서, 열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열원부(400), 열원부가 중앙부에 구비되는 꼬치구이기 몸체(100), 열원부 둘레에 배치될 수 있는 구이물을 끼운 꼬치창(203)과, 다수의 상기 꼬치창(203)이 거치할 수 있는 꼬치창 지지대(201) 및 꼬치창 지지대(201)를 꼬치구이기 몸체(100) 내부에 배치시킬 때,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꼬치창 지지대 손잡이(202)를 포함하는 꼬치구이부(200), 꼬치구이기 몸체(100)의 상단으로부터 상하 이동식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구이판 손잡이(301)가 좌우 형성된, 요리를 할 수 있는 구이판(300), 열원부(400) 둘레에 배치되면서, 꼬치구이기 몸체(100) 내부에 꼬치구이부(200)를 배치시킨 후, 이물질 유입 방지 및 열손실 방지를 위한 덮개(500), 꼬치구이기 몸체(100) 측면에 구이물의 조리상태를 확인 할 수 있도록 형성된 꼬치구이기 창(600), 몸체(100) 하단에 탈부착 식으로, 구이물에서 떨어지는 기름 또는 수분을 받을 수 있도록 형성된 기름받이 통(700), 상기 꼬치구이부를 유입하여 꼬치구이기 몸체(100) 내에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된 꼬치구이부 유입홈(800) 및 상기 꼬치구이부(200)를 꼬치구이기 몸체(100) 외부로 들어 올려 기울인 다음 꼬치창지지대(201)를 걸칠 수 있는 지지봉(9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구이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을 따르면 많은 양의 육류를 편리하고 신속히 구울 수 있고, 조리자의 신체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꼬치구이부에 화력을 제공하는 숯불 또는 적외선 열원부를 꼬치구이부 몸체에 수직으로 설치되도록 하여 구이물 구이시 구이물에서 떨어지는 기름 또는 수분이 열원에 직접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연기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꼬치구이기(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꼬치구이기 중앙부 열원, 코너 모서리부의 열원, 변 모서리부 열원을 구이물의 특성에 맞추어 선택적으로 배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열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열원부(400), 상기 열원부(400)가 중앙부에 구비되는 꼬치구이기 몸체(100), 상기 열원부(400) 둘레에 배치될 수 있으며, 구이물을 끼운 꼬치창(203)과, 다수의 상기 꼬치창(300)이 거치할 수 있는 꼬치창 지지대(201)이 꼬치창 걸이(204) 및 상기 꼬치창 지지대(201)를 상기 꼬치구이기 몸체(100) 내부로 유입시킬 때,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꼬치창 지지대 손잡이(202)를 포함하는 꼬치구이부(200)를 함유하는 구조를 가진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꼬치구이부(200)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꼬치구이부(200)는 구이물을 끼운 꼬치창(203)을 꼬치창 지지대(201)에 거치시키기 위해 상기 꼬치창 지지대(201)에 돌출되게 형성한 2개 이상의 꼬치창 걸이(204)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꼬치구이기 몸체(100) 열원부 주위에 배치되는 꼬치구이부(200)를 빼내어 중앙부로 기울여서 꼬치창 지지대(201)를 지지봉(900)에 거치하는 경우, 꼬치창 지지대 하단의 꼬치구이부 걸침대 걸이(205)를 꼬치구이부 취출 입구에 설치되는 꼬치구이부 걸침대(101)에 결착될 수 있는 별도의 꼬치구이부 걸침대 걸이(205)가 형성된다. 구이물을 뒤집기 위해 꼬치구이부(200)를 상기 꼬치구이기 몸체(100) 외부로 꺼낼 때에 상기 꼬치구이부 걸침대 걸이(205)가 꼬치구이기 몸체(100)에 형성된 꼬치구이부 걸침대(101)에 결착되어, 뜨거운 구이물이 흩뜨러지거나 떨어져 손에 화상을 입는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꼬치구이기 몸체(100)의 상단에 구이판(300)의 손잡이가 지지봉(900)을 통과하면서 탈부착 식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구이판 손잡이(301)가 좌우 형성된 요리를 할 수 있는 구이판(300), 열원부(400)둘레에 배치하도록, 꼬치구이기 몸체(100) 내부에 상기 꼬치구이부(200)를 유입시킨 후, 이물질 유입 방지 및 열손실 방지를 위한 덮개(500), 상기 몸체(100) 측면에 구이물의 조리상태를 확인 할 수 있도록 형성된 꼬치구이기 창(600), 꼬치구이기 몸체(100) 하단에 탈부착 식으로, 구이물에서 떨어지는 기름 또는 수분을 받을 수 있도록 형성된 기름받이 통(700), 꼬치구이부(200) 유입하여 꼬치구이기 몸체(100) 내에 꼬치창지지대(201)을 거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 꼬치구이부 유입홈(800) 및 꼬치창지지대(201)를 꼬치구이기 몸체(100) 상단에 거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 지지봉(900)을 구비하며, 지지봉(900)의 몸체에는 구이판 손잡이(301)를 거치할 수 있는 홈으로 파여진 구이판 손잡이 걸이(90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열원부(400)의 열원은 숯불 또는 적외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원부의 열원은 구이물을 조리하기에 적당한 것을 선택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열원은 가변식으로 실외에서 이용하고자 할 때는 숯불을 이용하여 조리할 수 있으며, 실내에서는 적외선발생장치 등의 열원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열원부(400)의 형태는 직육면체 또는 원기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원부(400)는 중앙부 열원(401), 코너 모서리부 열원(402) 및 변 모서리부 열원(403)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이기 열원부는 열원 둘레에 발생하는 열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형태가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직육면체 또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둘레에 꼬치구이부(200)를 배치할 수 있도록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꼬치구이기 몸체 및 열원부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구이판(300)의 재질은 돌판, 철판에서 선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이판은 상기 몸체(100) 상단부에 탈부착 식으로 설치되어, 각종 야채 또는 김치, 볶음밥, 해산물 등을 조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 내에서 당업자가 필요에 따라 형상과 종류는 변경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덮개(500)에는 통기구(50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원이 숯불인 경우에 화염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통기구(502)를 통해 산소가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기구를 통해(502) 내부에 연기가 순환되지 않아 구이물의 풍미가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몸체에서 발생하는 연기 등은 별도의 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공지의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꼬치구이기 몸체(100) 측면의 사면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꼬치 구이기 창(600)의 재질은 강화유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꼬치구이기 창(600)을 통해 구이물의 조리상태를 확인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름받이 통(700)의 재질은 스텐레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름받이 통(700)은 상기 몸체(100) 하단에 구비되어, 구이물을 조리할 시 기름 또는 수분이 떨어지는 부분이며, 구이 시에 물을 일정부분 받아 두어 구이 조리시에 수분 유지 및 기름받이 역할을 한다. 상기 기름받이 통(700)은 기름받이 통 측면 외부에 기름받이 통 손잡이(701)가 별도로 설치되어 구이물 조리 시 열원으로 인하여 가열되어 온도가 올라가도, 쉽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있어, 꼬치구이부 지지대(201)를 거치하는 지지봉(900)의 재질은 스텐레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봉(900)은 꼬치구이부(200)를 사용하여 조리할 때 구이물을 끼운 꼬치창을 교환하기 위해 또는 꼬치창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또는 꼬치창을 회전시킬 때, 꼬치구이부(200)를 꼬치구이기 외부로 들어올려 꼬치구이기 몸체(100) 상면에 설치된 지지봉(900)에 거치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지지봉(900)의 재질은 열원으로 가열된 상기 꼬치구이부(200)의 높은 온도에 내열성이 있는 재질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질의 바람직한 예로는 스텐레스가 있으며, 내열, 경량 재료이면 다양한 재질의 지지봉(900)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열원부(400)는 중앙부 또는 중앙부 둘레에 배치된 꼬치구이부(200)의 외곽으로 추가로 배치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꼬치구이기 내부 외곽에 열원부(400)를 추가적으로 배치할 경우 구이물을 중간에 꺼내어 뒤집지 않아도 되고, 더욱 빠른 시간에 구이물을 조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00 꼬치구이기 몸체
101 꼬치구이부 걸침대
200 꼬치구이부
201 꼬치창 지지대
202 꼬치창 지지대 손잡이
203 꼬치창
204 꼬치창 걸이
205 꼬치구이부 걸침대 걸이
300 구이판
301 구이판 손잡이
400 열원부
401 중앙부 열원
402 코너 모서리부 열원
403 변 모서리부 열원
500 덮개
501 덮개 손잡이
502 통기구
600 꼬치구이기 창
700 기름받이통
701 기름받이통 손잡이
800 꼬치유입홈
900 지지봉
901 구이판 손잡이 걸이

Claims (10)

  1. 꼬치구이기 몸체(100)에 열원부(400)와 꼬치구이부(200)를 바닥면을 향하여 평행하게 설치하고, 꼬치구이부(200)를 열원부(400)와 꼬치구이기 몸체(100)의 외곽사이에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구이물을 꼬치구이기 몸체(100)내에 배치 또는 꼬치구이기 몸체(100) 밖으로 취출하도록 하는, 구이물을 끼운 꼬치창(203)과 다수의 꼬치창(203)을 거치할 수 있는 꼬치창 걸이(204)가 형성된 꼬치창 지지대(201)와 상기 꼬치창 지지대(201)를 상기 꼬치구이기 몸체(100)에 배치 또는 취출시킬 때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형성된 꼬치창 지지대 손잡이(202)를 포함하는 꼬치구이부(200), 열원의 윗면에서 구이물을 요리할 수 있는 구이판(300), 몸체(100)내에 중앙부 또는 코너 모서리부 또는 변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열원부(400), 꼬치구이부(200)를 배치 및 취출하는 입구가 되는 덮개(500), 꼬치구이기(100) 측면에서 구이물의 조리상태를 확인하는 창(600), 몸체 바닥면으로 떨어지는 기름 또는 수분을 회수하는 기름받이 통(700) 및 꼬치구이부(200)를 몸체(100)에 장작하여 거치하는 꼬치구이부 유입홈(800), 꼬치구이부(200)를 몸체(100) 상부로 꺼낸 후 몸체(100)에 거치하는 지지봉(900)을 포함하는 측면 폐쇄형 꼬치구이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지지봉(900)에는 구이판 손잡이 걸이(90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폐쇄형 꼬치구이기.
  4. 제 1항에 있어서, 덮개(500)에는 덮개 손잡이(501)와 통기구(50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폐쇄형 꼬치구이기.
  5. 제 1항에 있어서, 꼬치구이기 창(600)은 꼬치구이기 몸체(100) 사면에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폐쇄형 꼬치구이기.
  6. 제 1항에 있어서, 구이판(300)의 손잡이가 지지봉(900)을 통과하면서 탈부착식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폐쇄형 꼬치구이기.
  7. 제 1항에 있어서, 기름받이 통(700)의 기름받이 통 손잡이(701)을 사용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폐쇄형 꼬치구이기.
  8. 제 1항에 있어서, 꼬치창 지지대(201)에는 2개 이상의 꼬치창 걸이(204)에 꼬치창(203)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폐쇄형 꼬치구이기.
  9. 제 1항에 있어서, 열원부(400)의 열원은 숯불 또는 적외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폐쇄형 꼬치구이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열원부(400)는 꼬치구이기 몸체(100) 중앙부와 꼬치구이기 몸체(100) 내부 외곽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 폐쇄형 꼬치구이기.
KR1020140046685A 2014-04-18 2014-04-18 측면 폐쇄형 꼬치 구이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449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685A KR101449555B1 (ko) 2014-04-18 2014-04-18 측면 폐쇄형 꼬치 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685A KR101449555B1 (ko) 2014-04-18 2014-04-18 측면 폐쇄형 꼬치 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9555B1 true KR101449555B1 (ko) 2014-10-13

Family

ID=51997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6685A Expired - Fee Related KR101449555B1 (ko) 2014-04-18 2014-04-18 측면 폐쇄형 꼬치 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95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479B1 (ko) * 2017-09-15 2018-07-13 석춘호 전기 구이장치
KR101902713B1 (ko) * 2017-12-03 2018-09-28 주식회사 에스티 전기그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0611A (ko) * 2000-12-21 2002-06-27 임완 바베큐 꼬치 구이기
KR20020053041A (ko) * 2002-05-17 2002-07-04 김복남 테이블용 숯불 꼬치구이기
KR101238268B1 (ko) * 2010-12-14 2013-03-06 홍 대 박 3면 활용 이동식 숯불 꼬치 구이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0611A (ko) * 2000-12-21 2002-06-27 임완 바베큐 꼬치 구이기
KR20020053041A (ko) * 2002-05-17 2002-07-04 김복남 테이블용 숯불 꼬치구이기
KR101238268B1 (ko) * 2010-12-14 2013-03-06 홍 대 박 3면 활용 이동식 숯불 꼬치 구이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479B1 (ko) * 2017-09-15 2018-07-13 석춘호 전기 구이장치
KR101902713B1 (ko) * 2017-12-03 2018-09-28 주식회사 에스티 전기그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1759B2 (en) Indoor barbecue
US20160235078A1 (en) Universal Barbeque System
US5431093A (en) Barbecue device
US3140651A (en) Charcoal cooker
US20130312732A1 (en) Gas and ceramic grill combination
US20100260910A1 (en) Simplified Device to Quickly Cook Food
KR200478957Y1 (ko) 회전식 구이기
KR101006018B1 (ko) 다목적 숯불 구이기
US12226048B2 (en) Kitchen container for preparing food cooked “in the barrel”
US20060196492A1 (en) Indirect heat cooking apparatus
EP1411771B1 (en) Roasting oven
JP2015092969A (ja) バーベキューグリルボックス
KR101449555B1 (ko) 측면 폐쇄형 꼬치 구이기
EP2416685B1 (en) Solid fuel outdoor cooking device
US20190120502A1 (en) Articulated device for grilling food in an oven
KR101325598B1 (ko) 다목적 회전식 구이기
US9155421B2 (en) Rotisserie grill
KR101300863B1 (ko) 숯불 구이기
US20090308264A1 (en) Ultimate combo smoker
US20130139706A1 (en) Mobile smoker oven
US2014022021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oking Food Using Fire Searing
AU765383B1 (en) A cooking device
KR20170126189A (ko) 대류열에 의한 구이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리 방법
GB2434741A (en) Barbecue
KR102506559B1 (ko) 착탈형 원적외선방출부를 구비한 다기능 구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10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10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7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