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39474B1 - 볼 마커가 구비된 골프용 모자 - Google Patents

볼 마커가 구비된 골프용 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9474B1
KR101839474B1 KR1020140101109A KR20140101109A KR101839474B1 KR 101839474 B1 KR101839474 B1 KR 101839474B1 KR 1020140101109 A KR1020140101109 A KR 1020140101109A KR 20140101109 A KR20140101109 A KR 20140101109A KR 101839474 B1 KR101839474 B1 KR 101839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marker
main body
engaging portion
cap
ba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1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8440A (ko
Inventor
조병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풍
Priority to US14/454,333 priority Critical patent/US10609978B2/en
Publication of KR20150018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8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47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4Decorative arrangements or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20Holders, e.g. of tees or of balls
    • A63B57/207Golf ball position marke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30Markers
    • A63B57/353Golf ball position mark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dornments (AREA)
  • Slide Fasteners, Snap Fasteners, And Hook Faste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이 제안하는 볼 마커가 구비된 골프용 모자는 일면이 다수의 후크부재(hook) 또는 루프부재(loop) 형태로 이루어진 제 1 결합부가 구비된 볼 마커와, 상기 볼 마커가 탈부착이 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결합부(11)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결합부의 일면이 다수의 후크부재인 경우에는 다수의 루프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결합부의 일면이 다수의 루프부재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다수의 후크부재로 이루어진 제 2 결합부를 포함하여, 휴대 및 사용상의 편의성은 물론 사용시 볼 마커와 모자 간의 부착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볼 마커가 구비된 골프용 모자{Hat for fastening golf-ball maker}
본 발명은 볼 마커가 구비된 골프용 모자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휴대 및 사용상의 편의성은 물론 사용시 볼 마커와 모자 사이의 부착성능을 개선할 수 있고, 동시에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생산성을 높이더라도 동시에 먼지 또는 모래 등이 끼면 쉽게 털어서 제거할 수 있고, 자주 손에 쥐거나 바닥에 던져져 손상되는 볼 마커의 외주부가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볼 마커가 모자 자체에 구비된 골프용 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경기를 할 때 그린 위에 도달된 골프 공은 다음 플레이어의 경기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집어 들었다가 자신의 플레이 차례가 되었을 때 볼이 있었던 위치에 다시 볼을 내려놓은 후 경기를 속행하게 된다.
대부분의 플레이어들은 자신의 볼이 있던 위치를 명확히 표시하기 위하여 동전형태의 볼 마커를 휴대하였다가 이를 사용한다.
그런데, 이러한 볼 마커는 크기가 작고 두께가 얇기 때문에 주머니에 휴대할 경우, 주머니 속의 다른 물건들 예컨대, 티(tee)나, 골프 공 등과 섞여 찾기가 쉽지 않으며, 손에 장갑을 착용한 경우, 주머니에 넣었다 빼기가 곤란하여 볼 마커의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볼 마커의 손상 및 분실 위험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옷의 가장자리 또는 모자 차양부의 테두리에 끼울 수 있는 클립 형태의 고정부재에 영구자석을 달아 자성체로 된 볼 마커를 부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볼 마커의 부착방법은 클립형 볼 마커 고정부재를 별도로 제작해야 할 뿐만 아니라 옷 또는 모자차양의 두께에 따라 탄성체에 가해지는 피로가 누적되어 클립의 파지력이 떨어져 옷이나 모자 차양의 끼워진 위치로부터 분리되어 볼 마커를 분실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모자의 차양부에 구멍을 뚫어 볼 마커 고정부재를 일체형으로 고정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모자의 차양부 등에 구멍을 뚫어야 하기 때문에 인위적으로 모자에 손상을 입혀야 하며, 그 손상을 마무리 처리하더라도 미관상 심미성이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모자의 무게가 차양부에 집중되어 모자 착용시 착용자가 불편함을 느끼게 되고, 무게 중심이 착용자의 앞쪽으로 편중되어 모자가 머리에서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휴대 및 사용상의 편의성은 물론 사용시 볼 마커와 모자 사이의 부착성능을 개선할 수 있고, 동시에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볼 마커가 구비된 골프용 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목적은 기술구성상의 성능을 높이면서도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어서,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볼 마커가 구비된 골프용 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모자 자체에 손상을 주거나 모자 전체의 미감에 영향을 주면서 모자에 볼 마커용 고정부재를 형성할 필요가 없고, 동시에 생산성이 향상되면서도 열화에 의한 볼 마커의 손상이나 볼 마커의 분실을 걱정할 필요가 없는 볼 마커가 구비된 골프용 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목적은,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제조 비용 및 제조 공정이 용이하고, 규칙적인 형상의 제 1 결합부에 의해서 여러 번의 탈부착에도 탄성을 유지할 수 있고, 먼지 또는 모래 등이 끼여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부착된 경우에도 쉽게 털어서 제거할 수 있고, 테두리 마모방지수단에 의해서 손에 쥐거나 바닥에 던져질 때 주로 많이 사용되는 볼 마커의 외주부에서 제 1 결합부와 본체가 분리되거나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모자 자체에 손상을 주거나 모자 전체의 미감에 영향을 주면서 모자에 볼 마커용 고정부재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으며, 볼 마커용 고정부재로 인한 착용시 불편함을 개선하는 볼 마커가 구비된 골프용 모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마커가 구비된 골프용 모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면에 루프부재 또는 후크부재가 반복되는 탈부착에도 유지되는 탄성을 갖도록 일정한 형상으로 규칙적으로 사출성형된 합성수지재 또는 후크부재(hook) 형태로 직조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제 1 결합부와, 상기 본체와 상기 제 1 결합부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제 1 결합부의 외주부에 형성된 테두리 마모방지수단이 구비된 볼 마커; 및 챙부의 상부면이나 하부면 또는 크라운부 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적용하되, 각각 해당 부위의 전면 또는 일부 면에 동일높이로 배치되며, 상기 제 1 결합부의 일면이 다수의 후크부재인 경우에는 다수의 루프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결합부의 일면이 다수의 루프부재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다수의 후크부재로 이루어진 제 2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마커가 구비된 골프용 모자에 의하면, 크기가 작고 두께가 얇은 볼 마커를 모자에 쉽게 휴대할 수 있고, 모자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하고 다시 모자에 결합시켜 휴대할 수 있어서, 분실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마커가 구비된 골프용 모자에 의하면, 별도의 비용과 노력을 들여 볼 마커용 고정부재를 제조할 필요도 없으며, 볼 마커 고정부재를 별도로 준비하거나 열화로 인한 볼 마커의 손상이나 분실을 걱정하지 않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마커가 구비된 골프용 모자에 의하면,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제조 비용 및 제조 공정이 용이하고, 규칙적인 형상의 제 1 결합부에 의해서 여러 번의 탈부착에도 탄성을 유지할 수 있고, 먼지 또는 모래 등이 끼여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부착된 경우에도 쉽게 털어서 제거할 수 있고, 테두리 마모방지수단에 의해서 손에 쥐거나 바닥에 던져질 때 주로 많이 사용되는 볼 마커의 외주부에서 제 1 결합부와 본체가 분리되거나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모자 자체에 손상을 주거나 모자 전체의 미감에 영향을 주면서 모자에 볼 마커용 고정부재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으며, 볼 마커용 고정부재로 인한 착용시 불편함을 개선하는 등의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마커가 구비된 골프용 모자를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볼 마커가 구비된 골프용 모자에 사용된 볼 마커의 기술구성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 마커가 구비된 골프용 모자의 볼 마커에 대한 제1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볼 마커가 구비된 골프용 모자의 볼 마커에 대한 제2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볼 마커가 구비된 골프용 모자의 볼 마커에 대한 제3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볼 마커가 구비된 골프용 모자의 볼 마커에 대한 제4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볼 마커가 구비된 골프용 모자의 볼 마커에 대한 제5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볼 마커가 구비된 골프용 모자의 볼 마커에 대한 제6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볼 마커가 구비된 골프용 모자의 볼 마커에 대한 제7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볼 마커가 구비된 골프용 모자의 볼 마커에 대한 제8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볼 마커가 구비된 골프용 모자로써, 제 2 결합부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볼 마커가 구비된 골프용 모자의 제 2 결합부에 대한 자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볼 마커가 구비된 골프용 모자의 기술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볼 마커가 구비된 골프용 모자(20)는 도 1 내지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면이 다수의 후크부재(hook) 또는 루프부재(loop) 형태로 이루어진 제 1 결합부(11)가 구비된 볼 마커(10)와, 상기 볼 마커(10)가 탈부착이 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결합부(11)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결합부(11)가 다수의 후크부재인 경우에는 다수의 루프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결합부(11)가 다수의 루프부재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다수의 후크부재로 이루어진 제 2 결합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 마커(10)의 본체(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면에 다수의 후크부재 또는 루프부재로 이루어진 제 1 결합부(11)가 형성되고, 다른 면에 각종 로고나 심볼을 표현할 수 있는 장식면(12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 마커(10)의 제 1 결합부(11)와 상기 모자(20)의 제 2 결합부(21)는 루프부재 또는 후크부재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루프부재 또는 후크부재 중 반복되는 탈부착에도 결합강도가 떨어지지 않도록 소정 이상의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 이상의 탄성을 가지기 위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결합부(11)와 상기 제 2 결합부(21)에 형성된 후크부재(11a) 또는 루프부재(21a)는 소정의 형상을 가지며, 규칙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먼지 또는 모래 등이 제 1 결합부(11) 또는 제 2 결합부(12)에 끼여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부착된 경우에도 쉽게 털어서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후크부재(11a)는 일정간격(11b)을 두고 돌출되는 기둥(11aa)과 상기 기둥(11aa)의 자유단에 달린 머리(11ab)를 갖도록 규칙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 2 결합부(21)의 루프부재(21a)는 고리(21aa)를 갖도록 형성하여 상기 후크부재(11a)의 머리(11ab)가 상기 루프부재(21a)의 고리(21aa)에 체결되도록 성형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재(11a)는 후크형상이고, 상기 루프부재(21a)는 루프형상일 수 있다.
상기 볼 마커(10)의 본체(12)는 금속, 나무, 돌, 합성수지, 섬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바닥에 놓여지는 경우 골프 플레이를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바람에 날리지 않을 수 있도록 무게는 대략 5g 이상, 두께는 약 5mm 정도로 하는 것이 좋고, 상기 제 1 결합부(11)의 두께가 상기 본체(12) 두께의 30% 이상이 되지 않는 것이 좋다.
상기 제 1 결합부(11)는 루프부재 또는 후크부재가 사출 제작된 합성수지재 시트로 구성되거나, 다수의 루프부재 또는 후크부재(hook)로 직조된 합성수지재를 사용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 마커(10)의 본체(12)의 일면에 대해 상기 제 1 결합부(11)를 접착성이 좋은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양면접착시트 형태인 접착부(13)를 형성하여 부착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볼 마커(10)의 본체(12)의 일면에 대해 상기 제 1 결합부(11)를 접착부(13)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경우에 시간이 지나거나 자주 손가락으로 만지게 되면 마모되어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볼 마커(10)의 본체(12) 또는 상기 제 1 결합부(11)의 외주부에 테두리 마모방지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 마커(10)의 본체(12)의 일면에 대해 상기 접착부(13) 이외에 보조결합수단(14)에 의해서 상기 제 1 결합부(11)를 단단히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보조결합수단(14)는 상기 볼 마커(10)의 중앙에 배치되는 리벳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높이는 상기 제 1 결합부(11)의 루프부재 또는 후크부재(11a) 보다 낮은 것이 상기 모자(20)의 제 2 결합부(21)(도 1에 도시함)와의 결합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 마커(10)의 본체(12)의 일면에 대해 상기 접착부(13)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결합부(11)를 결합시키되, 손에 쥐거나 바닥에 던져질 때 주로 많이 사용되는 상기 볼 마커(10)의 외주부에서 상기 제 1 결합부(11)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테두리 마모방지수단으로서 상기 본체(12)와 상기 제 1 결합부(11)의 외주부를 단단히 고정시키기 위한 테두리부(15)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15)는 금속으로 클래스핑(clasping)처리하여 간단히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볼 마커(10)의 본체(12)의 일면에 대해 상기 제 1 결합부(11)를 클래스핑 방식으로 일체화시키는 경우, 상기 본체(12) 및 제1 결합부(11) 간의 클래스핑을 위해서 복수의 클립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 마커(10)의 본체(12)의 일면에 대해 상기 접착부(13)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결합부(11)를 결합시키되, 손에 쥐거나 바닥에 던져질 때 주로 많이 사용되는 상기 볼 마커(10)의 외주부에서 상기 제 1 결합부(11)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테두리 마모방지수단으로서 상기 본체(12)와 상기 제 1 결합부(11)를 봉제결합하는 봉제(sewing)부(16)를 형성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 마커(10)의 본체(12)의 일면에 대해 상기 접착부(13)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결합부(11)를 결합시키되, 손에 쥐거나 바닥에 던져질 때 주로 많이 사용되어 쉽게 제 1 결합부(11)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테두리 마모방지수단으로서 상기 본체(12)의 일면을 따라 가장자리 끝단에 날개단(12b)을 더 구비하며, 상기 날개단(12b)을 벤딩하여 상기 제 1 결합부(11)의 외주부를 감싸 고정시킬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 마커(10)는, 상기 본체(12)의 일면에 대해서 상기 제 1 결합부(11)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자석식 탈부착수단(16)을 포함하여, 상기 제 1 결합부(11)가 마모 또는 열화된 경우에 교체할 수 있다.
상기 자석식 탈착수단(16)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2)의 일면에 형성된 요홈(12c)에 끼워지는 자석 합성수지부(16a)와, 상기 제 1 결합부(11)의 일면에 부착된 자석 합성수지부(16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석 합성수지부(16a, 16b)는 자석과 같이 소지하더라도 전자제품 등에 전자기적 손상을 주지 않을 정도의 자성을 갖지만, 서로 결합이 가능한 특징으로 가지며, 가소성을 가지기 때문에 다양한 형상,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12)에 형성된 요홈(12c)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성형되어 평탄한 일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 마커(10)는, 상기 본체(12)의 일면에 대해서 상기 제 1 결합부(11)를 탈부착가능하게 하는 볼트식 탈부착수단(1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트식 탈부착수단(17)는 상기 본체(12)의 일면에 형성된 요홈(12c)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형성된 제 1 나선부(17a)와, 상기 제 1 결합부(11)의 일면에 대해 접착부(13)를 이용하여 결합되며, 상기 요홈(12c)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솔리드형 몸통(17b)과 상기 솔리드형 몸통(17b)의 원주방향을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제 1 나선부(17a)에 결합가능한 제 2 나선부(17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통(17b)과 상기 제 2 나선부(17c)는 견고한 볼트를 구성하여 상기 본체(12)의 요홈(12c)의 제 1 나선부(17a)에 대해 선회시켜서 체결 및 탈착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볼 마커(10)의 두께 및 무게를 유지하면서도 상기 본체(12)에 대해서 상기 제 1 결합부(11)를 탈부착할 수 있고, 로고나 마크등을 나타내는 본체(12)를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바꾸어 사용 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 마커(10)는, 상기 본체(12)의 일면에 대해서 상기 제 1 결합부(11)를 탈부착할 수 있도록 파스너식 탈부착수단(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스너식 탈부착수단(18)은 상기 본체(12)의 일면에 형성된 요홈(12c)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오목하게 형성된 암파스너(18a)와, 상기 본체(12)의 요홈(12c)을 커버링하는 덮개(18b)의 일면에서 상기 요홈(12c)의 암파스너(18a)에 대응결합되도록 상기 요홈(12c)의 깊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수파스너(18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18b)는 상기 요홈(12c)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12)의 일면에 대응하는 면적을 가지며, 타면에는 상기 접착부(13)를 사용하여 상기 제 1 결합부(11)를 결합하고 있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상기 볼 마커(10)는 로고나 마크등을 나타내는 본체(12)를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바꾸어 사용 할 수 있으면서, 상기 제 1 결합부(11)를 이용하여 모자(20)의 제 2 결합부(21)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 마커(10)는, 상기 본체(12)의 일면에 대해서 상기 접착부(13)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결합부(11)를 결합시키되, 상기 테두리 마모방지수단으로서, 상기 본체(12)의 테두리부(12d)까지 감쌀 수 있도록 천연고무, 폴리우레탄, PVC 등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캐스팅 방식으로 제조된 보조결합부(19)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결합부(11)는 단단히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조결합부(19)는 상기 본체(12)의 일면에 대해 당접하는 바닥부(19a)와, 상기 바닥부(19a) 근처가 더 두껍게 형성되고 상기 본체(12)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벽부(19b)를 포함하여, 상기 본체(12)의 테두리부(12d)에 대해 탄성적으로 밀착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부(11)는 상기 보조결합부(19)를 캐스팅방식으로 제조할 때 원하는 형태로 캐스팅 몰드에 삽입하여 캐스팅함으로써 상기 보조결합부(19)에 대해 별도의 접착 공정 없이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자(20)의 제 2 결합부(21)는 챙부(22)의 상부면이나 하부면 또는 머리에 씌여지는 크라운부(23)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챙부(22)의 상부면이나 하부면 또는 크라운부(23) 각각의 해당 부위 전면 또는 일부 면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결합부(21)는 상기 모자(20)의 겉감(20a)을 일부 제거하고 동일 높이를 갖는 루프부재 또는 후크부재로 이루어진 루프부재 또는 후크부재 원단(21a)을 배치하고, 상기 겉감(20a)과 상기 루프부재 또는 후크부재원단(21a)를 자수부(24)로 연결하여 상기 겉감(20a) 및 상기 루프부재 또는 후크부재 원단(21a)의 연결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결합부(21)는 상기 모자(20)의 겉감(20a)을 일부 제거하고 동일 높이를 갖는 루프부재 또는 후크부재로 이루어진 루프부재 또는 후크부재 원단(21a)을 맞대응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모자(20)의 겉감(20a)과 상기 루프부재 또는 후크부재 원단(21a) 각각의 끝단을 안으로 접어서 시접 처리하고 봉제사(25)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마감처리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볼 마커가 구비된 골프용 모자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구체적인 실시 예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충분히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한 정도는 본 발명의 범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볼 마커 11 : 제 1 결합부
11a : 루프부재 또는 후크부재 12 : 본체
12a: 장식면 12b: 날개단
13 : 접착층 14 : 리벳부
20 : 모자 20a: 겉감
21 : 제 2 결합부 21a: 루프부재 또는 후크부재
22 : 챙부 23 : 크라운부
24 : 자수부 25 : 봉제사

Claims (15)

  1.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면에 루프부재 또는 후크부재가 반복되는 탈부착에도 유지되는 탄성을 갖도록 일정한 형상으로 규칙적으로 사출성형된 합성수지재 또는 후크부재(hook) 형태로 직조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제 1 결합부와, 상기 본체와 상기 제 1 결합부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제 1 결합부의 외주부에 형성된 테두리 마모방지수단이 구비된 볼 마커; 및
    챙부의 상부면이나 하부면 또는 크라운부 부위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적용하되, 각각 해당 부위의 전면 또는 일부 면에 동일높이로 배치되며, 상기 제 1 결합부의 일면이 다수의 후크부재인 경우에는 다수의 루프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결합부의 일면이 다수의 루프부재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다수의 후크부재로 이루어진 제 2 결합부를 포함하는 볼 마커가 구비된 골프용 모자.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 마커의 본체에 대해 상기 제 1 결합부는 접착부에 의하여 결합되는 볼 마커가 구비된 골프용 모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볼 마커의 중앙에 배치되는 리벳부에 의해서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본체에 대해 보강 결합되며, 상기 리벳부의 높이는 상기 제 1 결합부의 루프부재 또는 후크부재의 높이보다 낮은 볼 마커가 구비된 골프용 모자.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마모방지수단은 상기 볼 마커의 본체와 상기 제 1 결합부의 외주부를 따라 금속으로 클래스핑 처리된 테두리부인 볼 마커가 구비된 골프용 모자.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마모방지수단은 상기 볼 마커의 본체와 상기 제 1 결합부를 따라 형성된 봉제부인 볼 마커가 구비된 골프용 모자.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마모방지수단은 상기 제 1 결합부의 외주부를 감싸 고정하도록 상기 볼 마커의 본체의 외주부를 따라 가장자리 끝단에 형성된 날개단인 볼 마커가 구비된 골프용 모자.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와 상기 모자의 겉감이 인접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제 2 결합부와 상기 모자의 겉감의 연결부를 자수부로 처리하는 볼 마커가 구비된 골프용 모자.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와 상기 모자의 겉감이 인접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제 2 결합부와 상기 모자의 겉감 끝단을 안으로 시접처리하고 내부에서 봉제사로 연결하는 볼 마커가 구비된 골프용 모자.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 마모방지수단은 상기 본체의 테두리부를 감쌀 수 있도록 천연고무, 폴리우레탄, PVC 등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캐스팅 제조된 보조결합부이며, 상기 보조결합부는 상기 제 1 결합부를 캐스팅 제조시 원하는 형태로 캐스팅 몰드에 삽입하여 캐스팅 방식으로 제조한 볼 마커가 구비된 골프용 모자.
KR1020140101109A 2013-08-09 2014-08-06 볼 마커가 구비된 골프용 모자 Active KR101839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454,333 US10609978B2 (en) 2013-08-09 2014-08-07 Golf cap having ball mar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94986 2013-08-09
KR1020130094986 2013-08-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440A KR20150018440A (ko) 2015-02-23
KR101839474B1 true KR101839474B1 (ko) 2018-03-16

Family

ID=53046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1109A Active KR101839474B1 (ko) 2013-08-09 2014-08-06 볼 마커가 구비된 골프용 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94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4544B1 (ko) 2017-11-30 2019-02-22 주식회사 이지텍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볼마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7164B2 (ja) * 1990-05-07 2000-11-06 株式会社リコー パルス幅変調回路
KR200257502Y1 (ko) * 2001-09-21 2001-12-29 주식회사 유신모자 볼마크를 구비한 골프용 모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7164B2 (ja) * 1990-05-07 2000-11-06 株式会社リコー パルス幅変調回路
KR200257502Y1 (ko) * 2001-09-21 2001-12-29 주식회사 유신모자 볼마크를 구비한 골프용 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440A (ko) 2015-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65531A (en) Attachment device for providing detachable uppers in footwear and the like
US20190037948A1 (en) Facemask affixed to a baseball cap
JP6034955B2 (ja) グローブまたは他の物体用の閉鎖システム
JP6267186B2 (ja) グローブまたは他の物体用の固定システム
US20140020153A1 (en) Facemask affixed to a baseball cap
KR101911738B1 (ko) 끈 조절고리부를 포함하는 마스크
US10609978B2 (en) Golf cap having ball marker
KR101839474B1 (ko) 볼 마커가 구비된 골프용 모자
JP3047622U (ja) 靴胛被
US20120233746A1 (en) Snowboard and ski head protector
US20070284022A1 (en) Golf Club Cover
KR100882889B1 (ko) 골프용 모자
US9278274B2 (en) Mouth guard
USD707315S1 (en) Racquet weight
KR101974751B1 (ko) 골프클럽 헤드 클리너
JP3234944U (ja) ゴルフバッグ用保護具
KR101179771B1 (ko) 착탈 가능한 장식물을 구비하는 헤어밴드
JP3210465U (ja) ゴルフバッグ用フードカバー
JP4493241B2 (ja) セーラー服
CN203469402U (zh) 一体注塑发泡成型高尔夫球头保护套
JP3165735U (ja) ゴルフ用手袋
JPS629903Y2 (ko)
JP3186570U (ja) カバー体が着脱自在な鞄
KR200341657Y1 (ko) 골프 볼마크 휴대구조
US20070118964A1 (en) Glove having an attached item of jewel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1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6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1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8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4S01D

Patent event date: 201605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3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1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6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8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X06013S01I

Patent event date: 20150629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6060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5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1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71130

Appeal identifier: 2016101003388

Request date: 2016060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338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608

Effective date: 20171130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71130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60608

Decision date: 20171130

Appeal identifier: 2016101003388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6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04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3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3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