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35537B1 - 전기영동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영동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5537B1
KR101835537B1 KR1020100132472A KR20100132472A KR101835537B1 KR 101835537 B1 KR101835537 B1 KR 101835537B1 KR 1020100132472 A KR1020100132472 A KR 1020100132472A KR 20100132472 A KR20100132472 A KR 20100132472A KR 101835537 B1 KR101835537 B1 KR 101835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phoretic display
display panel
electrophoretic
area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2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0937A (ko
Inventor
김성준
송상무
정대성
신영준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2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5537B1/ko
Publication of KR20120070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0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53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6753Structures for supporting or mounting cel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 G02F1/16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by electrophoresi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6755Substr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676Electrodes
    • G02F1/16766Electrodes for active matr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67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Filling or closing of cells
    • G02F1/1681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Filling or closing of cells having two or more microcells partitioned by walls, e.g. of microcup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2001/1678Constructional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particle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12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 G02F2201/121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common or backgroun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12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 G02F2201/123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pixe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전기영동 표시장치 전체 면적에 대하여 전기영동 표시 패널의 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이 극대화된 전기영동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영동 표시장치는, 후방 프레임(back frame); 상기 후방 프레임 상에 위치하며, 표시영역과 주변영역을 갖는 전기영동 표시 패널; 및 상기 전기영동 표시 패널의 표시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전기영동 표시 패널의 주변영역을 커버하는 전방 프레임(front frame)을 포함하되, 상기 전기영동 표시 패널은 상기 주변영역에 형성된 홀을 가지며, 상기 전방 프레임 및 상기 후방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기영동 표시 패널의 홀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갖는다.

Description

전기영동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Electrophoretic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영동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평판 표시장치 중 하나인 전기영동 표시장치는 서로 대향하는 2개의 전극들을 포함하고, 이들 사이에 전기영동 분산액이 위치한다. 마이크로캡슐 방식에서는, 전기영동 분산액을 내부에 저장하고 있는 복수 개의 마이크로캡슐들이 상기 2개의 전극 사이에서 층을 형성한다. 마이크로컵 방식에서는 전기영동 분산액이 격벽에 의해 셀 별로 구획된다. 두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전기영동 분산액에 포함되어 있는 착색된 대전 입자가 전기영동(electrophoresis)에 의해 반대 극성의 전극으로 이동함으로써 화상이 표시된다.
전기영동 표시장치는 쌍안정성(bistability)을 갖고 있어 인가된 전압이 제거되어도 원래의 이미지를 장시간 보존할 수 있다. 즉, 전기영동 표시장치는 전압을 지속적으로 인가받지 않아도 일정 화면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전기영동 표시장치는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화면의 신속한 교환이 요구되지 않는 응용 분야에 적합하다. 또한, 전기영동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 장치와는 달리 시야각(viewing angle)에 대한 의존성이 없을 뿐만 아니라 종이와 유사한 정도로 눈에 편안한 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기영동 표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기영동 표시장치의 I-I' 라인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영동 표시장치는 후방 프레임(back frame)(6), 상기 후방 프레임(6) 상에 위치하는 전기영동 표시 패널(P), 및 상기 전기영동 표시 패널(P)의 주변영역을 커버하는 전방 프레임(front frame)(7)을 포함한다.
전기영동 표시 패널(P)은 TFT 기판(1), 전기영동 분산액(3), 공통전극(2) 및 보호 시트(4)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이고, 보호 시트(4)와 TFT 기판(1) 사이에 개재된 전기영동 분산액(3) 및 공통전극(2)을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한 실링 패턴(5)을 더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영동 표시 패널(P)은 후방 프레임(6)에 의해 지지된다. 후방 프레임(6)은 전기영동 표시 패널(P)이 놓여지지 않는 여백 영역(MA)을 포함한다. 전방 프레임(7)은 후방 프레임(6)의 둘레부에 대응하는 여백 영역(MA) 내로 전기영동 표시 패널(P)이 이동하는 것, 즉 전기영동 표시 패널(P)이 후방 프레임(6) 상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범프(bump)(7a)를 갖는다. 범프(7a)는 전기영동 표시 패널(P)의 측면과 접촉하여 그것의 이동을 방지한다.
따라서, 각종 배선들을 위한 공간(S) 외에도 전방 프레임(7)의 범프(7a)를 위한 공간까지도 확보할 수 있는 충분한 크기의 여백 영역(MA)을 후방 프레임(6)이 가져야 한다. 즉, 전기영동 표시 패널(P)과 전방 프레임(7)의 내측면 사이에는 배선 공간(S)을 위한 거리(d)에 범프(7a)의 폭(w)이 더해진 길이 만큼의 간격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것은 전기영동 표시장치의 콤팩트화(표시장치 전체 면적에 대한 표시 패널 면적 비율의 극대화)를 제한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은, 전기영동 표시장치 전체 면적에 대하여 전기영동 표시 패널의 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이 극대화된 전기영동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전기영동 표시장치 전체 면적에 대하여 전기영동 표시 패널의 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이 극대화된 전기영동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관점들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라, 후방 프레임(back frame); 상기 후방 프레임 상에 위치하며, 표시영역과 주변영역을 갖는 전기영동 표시 패널; 및 상기 전기영동 표시 패널의 표시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전기영동 표시 패널의 주변영역을 커버하는 전방 프레임(front frame)을 포함하되, 상기 전기영동 표시 패널은 상기 주변영역에 형성된 홀을 가지며, 상기 전방 프레임 및 상기 후방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기영동 표시 패널의 홀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표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표시영역과 주변영역을 갖는 전기영동 표시 패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전기영동 표시 패널의 주변영역에 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홀을 갖는 전기영동 표시 패널을 후방 프레임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전기영동 표시 패널의 표시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전기영동 표시 패널의 주변영역을 전방 프레임으로 커버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영동 표시 패널을 후방 프레임 상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단계는 상기 전방 프레임 및 상기 후방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상기 전기영동 표시 패널의 홀에 삽입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영동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에 대한 일반적 서술은 본 발명을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영동 표시장치 전체 면적에 대하여 전기영동 표시 패널의 면적이 차지하는 비율이 극대화된 콤팩트한 전기영동 표시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실시를 통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새롭게 파악되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예시하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들을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전기영동 표시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기영동 표시장치의 I-I' 라인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표시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표시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5a 내지 도 5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표시장치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영동 표시장치들의 단면도들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영동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컬러 구현 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전기영동 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흑백만을 구현하는 모노 타입의 전기영동 표시장치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아래에서 개시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컬러필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전기영동 표시장치는 물론이고, 전기영동 분산액 내의 대전 입자가 적색, 청색, 녹색 또는 백색으로 착색된 전기영동 표시장치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마이크로캡슐(microcapsule) 방식은 물론이고 마이크로컵(microcup) 방식의 전기영동 표시장치 모두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마이크로캡슐 방식의 전기영동 표시장치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어떤 구조물이 다른 구조물의 "상에" 또는 "아래에" 형성된다고 기재된 경우, 이러한 기재는 이 구조물들이 서로 접촉되어 있는 경우는 물론이고 이들 구조물들 사이에 제3의 구조물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다만, "바로 위에" 또는 "바로 아래에"라는 용어가 사용될 경우에는, 이 구조물들이 서로 접촉되어 있는 것으로 제한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표시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표시장치는, 전기영동 표시 패널(10), 데이터 구동부(20), 게이트 구동부(30), 및 타이밍 컨트롤러(40)를 포함한다.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은 데이터 라인들(D1 내지 Dm)과 게이트 라인들(G1 내지 Gn)을 포함한다. 데이터 라인들(D1 내지 Dm)과 게이트 라인들(G1 내지 Gn)은 서로 교차하고, 이러한 교차 구조로 인해 m×n개의 화소(11)들이 매트릭스 타입으로 배열된다. 데이터 라인들(D1 내지 Dm)과 게이트 라인들(G1 내지 Gn)이 교차하는 영역마다 스위칭 소자(SW)들이 형성되어 있다. 스위칭 소자(SW)는 박막트랜지스터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박막트랜지스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각각의 박막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갖는다. 게이트 전극은 게이트 라인들(G1 내지 Gn) 중 하나에 접속되고, 소스 전극은 데이터 라인들(D1 내지 Dm) 중 하나에 접속되며, 드레인 전극은 해당 화소(11)의 화소 전극에 접속된다.
스캔 펄스가 게이트 라인(G1 내지 Gn)을 통해 박막트랜지스터에 공급되면, 박막트랜지스터가 상기 스캔 펄스에 응답하여 턴-온(turn-on)됨으로써 데이터 라인(D1 내지 Dm)을 통해 공급되는 데이터 전압이 대응하는 화소 전극으로 인가된다.
화소 전극은 공통전극과 함께 전기영동 커패시터(Cep)를 형성함과 동시에 스토리지 전극과 함께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를 형성한다.
화소 전극과 공통전극 사이에는 착색된 대전 입자들을 포함하는 전기영동 분산액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 두 전극들에 데이터 전압과 공통 전압(Vcom)이 각각 인가될 경우, 전기영동 분산액에 포함되어 있는 착색된 대전 입자들이 전기영동(electrophoresis)에 의해 반대 극성의 전극으로 각각 이동함으로써 해당 화소(11)에 화상이 표시된다.
데이터 구동부(20)는 소스 구동부라고도 지칭되며, 타이밍 컨트롤러(40)의 제어 하에, 표시하고자 하는 계조에 대응하는 데이터 전압을 데이터 라인들(D1 내지 Dm)에 공급한다.
게이트 구동부(30)는 스캔 구동부라고도 지칭되며, 타이밍 컨트롤러(40)의 제어 하에 박막트랜지스터(SW)들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스캔 펄스를 게이트 라인들(G1 내지 Gn)에 공급한다.
타이밍 컨트롤러(40)는 외부의 그래픽 제어기(미도시)로부터 수직/수평 동기신호(Vsync/Hsync), 클럭신호(CLK) 등을 제공받아 데이터 구동부(20) 및 게이트 구동부(3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40)는 그래픽 제어기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데이터 전압의 구동 파형을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및 프레임 카운터 등을 이용하여 결정하며, 이렇게 결정된 데이터 전압의 구동 파형에 대응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데이터 구동부(20)에 전송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영동 표시장치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표시장치는 전기영동 표시 패널(10), 후방 프레임(600) 및 전방 프레임(700)을 포함한다.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은 TFT 기판(100), 전기영동 필름(200) 및 보호 시트(310)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이고, 보호 시트(310)와 TFT 기판(100) 사이에 개재된 전기영동 필름(200)을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한 실링 패턴(320)을 더 포함한다. TFT 기판(100)의 하부에는 점착층(520)을 통해 후면 필름(510)이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TFT 기판(100)은 금속 기판, 상기 금속 기판 상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화소 전극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전기영동 필름(200)은 전기영동 분산액과 공통전극을 포함한다. 전기영동 분산액은 TFT 기판(100)과 공통전극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은 표시영역(DA)과 주변영역(PA)을 포함한다. 표시영역(DA)은 전기영동 표시 패널(10) 중에서 전기영동 분산액이 존재하는 영역을 지칭하고, 주변영역(PA)은 전기영동 분산액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을 지칭한다.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의 주변영역(PA)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은 4개의 코너부 근처에 홀들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의 주변영역(PA)은 TFT 기판(100) 제조시 박막트랜지스터 형성을 위하여 사용되는 기판을 포함한다. 앞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박막트랜지스터 형성을 위한 기판으로서 유리 기판 대신에 금속 기판이 이용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의 주변영역(PA)은 유리 기판 대신에 금속 기판을 포함하기 때문에 주변영역(PA)을 관통하는 홀이 펀칭 등의 방법을 통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후방 프레임(600)은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을 지지한다. 즉,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은 후방 프레임(600) 상에 위치한다. 후방 프레임(600)은 그 둘레부에 여백 영역(MA)을 포함한다. 후방 프레임(600)의 여백 영역(MA) 바로 위에는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이 위치하지 않는다.
전방 프레임(700)은 후방 프레임(600)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한다. 전방 프레임(700)은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의 주변영역(PA)만 커버하거나 또는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의 주변영역(PA)과 함께 표시영역(DA)의 둘레부를 커버함으로써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의 표시영역(DA)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 프레임(7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의 주변영역(PA)에 형성된 홀(들)에 삽입되는 돌출부(들)(710)를 갖는다. 후방 프레임(60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된 전방 프레임(700)의 돌출부(들)(710)가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의 홀(들)에 삽입되기 때문에, 후방 프레임(600)과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의 상대적 움직임이 방지될 수 있다.
후방 프레임(600)과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의 상대적 움직임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이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의 주변영역(PA)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후방 프레임(600)과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의 상대적 움직임이 방지될 수 있는 한, 홀이 주변영역(PA)을 관통하지 않고 소정 깊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의 홀에 전방 프레임(700)의 돌출부(710)가 완전히 삽입되는 것이 후방 프레임(600)과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의 상대적 움직임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할 수는 있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프레임(600)과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의 상대적 움직임이 방지될 수 있는 한,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의 홀에 전방 프레임(700)의 돌출부(720)가 부분적으로 삽입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도 7에 예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 프레임(700) 대신에 후방 프레임(600)이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의 홀(들)에 완전히 삽입되는 돌출부(들)(610)을 갖는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후방 프레임(600)과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의 상대적 움직임이 방지될 수 있는 한,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의 홀에 후방 프레임(600)의 돌출부(620)가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방 프레임(700) 및 후방 프레임(600) 중 적어도 하나는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의 홀(들)에 삽입되는 돌출부(710, 720, 610, 620)를 가지기 때문에 후방 프레임(600)의 둘레부에 대응하는 여백 영역(MA) 내로 전기영동 표시 패널(100)이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이 후방 프레임(600) 상에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각종 배선들을 위한 공간(S)만 확보되면 되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의 여백 영역(MA)만 후방 프레임(600)이 가지면 된다. 즉, 전기영동 표시 패널(10)과 전방 프레임(700)의 내측면 사이에 배선 공간(S)을 위한 거리(d) 만큼의 간격만 확보되면 되기 때문에 전기영동 표시장치 전체 면적에 대한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의 면적 비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더욱 콤팩트한 전기영동 표시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5i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영동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기판(110) 상에 증착 공정을 통해 유기막(120) 및 장벽층(130)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금속 기판(110)은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로 형성될 수 있다. 금속 기판(110)은 전도체이기 때문에 금속 기판(110) 바로 위에 박막트랜지스터를 형성할 수 없다. 따라서, 절연 및 평탄화를 위하여 금속 기판(110) 상에 유기막(120)이 형성된다. 무기막 대신에 유기막(120)이 형성되는 이유는, 무기막의 경우 일정 두께 이상의 막을 형성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막의 표면 조도(surface roughness)가 취약하기 때문이다. 유기막(120)과 금속(게이트 라인 및 게이트 전극)의 접착성이 취약하다는 점 및 유기막(120)으로부터 발생되는 아웃가스가 금속(게이트 라인 및 게이트 전극)을 손상시킬 수도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하여, 유기막(120) 상에 장벽층(130)이 형성된다. 유기막(120)은 예를 들어 포토아크릴(photoacryl)로 형성될 수 있고, 장벽층(130)은 질화규소(SiNx)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벽층(130) 상에 게이트 전극(141)을 형성하고 이를 포함하는 장벽층(130)의 전면 상에 게이트 절연막(142)을 증착한다. 이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141)에 대응하는 게이트 절연막(142)의 영역 상에 반도체층(143)을 형성한다. 이어서, 게이트 절연막(142) 상에 소스 전극(144) 및 드레인 전극(145)을 서로 이격되게, 그리고 상기 반도체층(143)과 부분적으로 중첩되게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전극(141), 게이트 절연막(142), 반도체층(143), 소스 전극(144), 및 드레인 전극(145)은 박막트랜지스터(T)를 구성한다. 이어서,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를 포함하는 게이트 절연막(142)의 전면 상에 제1 보호막(150) 및 유전막(160)을 순차적으로 형성한 후, 콘택 홀에 해당하는 유전막(160) 부분 및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의 주변 영역(PA)에 해당하는 유전막(160) 부분을 노광 및 현상 공정을 통해 선택적으로 제거한다. 이어서, 상기 유전막(160)을 포함하는 제1 보호막(150)의 전면 상에 제2 보호막(180)을 형성한다. 이어서, 콘택 홀에 해당하는 제1 및 제2 보호막들(150, 170)의 부분을 이방성 건식 식각 공정을 통해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콘택 홀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관통 홀을 통해 상기 박막트랜지스터(T)의 드레인 전극(145)과 접속되는 화소 전극(180)을 상기 제2 보호막(170) 상에 형성함으로써 TFT 기판(100)을 완성한다. 화소 전극(180)은 구리, 알루미늄, ITO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화소 전극(180)은 게이트 라인(미도시), 데이터 라인(미도시), 및 박막트랜지스터(T)를 모두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화소 전극(180)의 면적이 극대화될 수 있고, 그 결과 전기영동 표시장치의 반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면에, 화소 전극(180)이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과 중첩될 경우 매우 큰 기생 커패시턴스(Cgp, Cdp)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화소 전극(180)과 데이터 라인의 중첩에 의해 발생하는 기생 커패시턴스(Cdp)는 수직 크로스토크(crosstalk)를 유발하는데, 이는 화질 불량의 원인이 된다. 화소 전극(180)과 게이트 라인의 중첩에 의해 발생하는 기생 커패시턴스(Cgp)는 킥백 전압((kickback voltage: ΔVp)을 유발하는데, 이는 화소 전압 홀딩 특성을 나쁘게 하여 전기영동 표시 장치의 반사율 및 명암비 저하를 야기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화소 전극(180)과 게이트 라인 사이 및 화소 전극(180)과 데이터 라인 사이에 낮은 유전 상수를 갖는 유전막(160)이 개재된다. 유전막(160)은 포토아크릴(photoacryl), 폴리이미드, 또는 폴리(4-비닐페놀) 등과 같은 낮은 유전상수를 갖는 유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보호막들(150, 170)은 질화막일 수 있다. 전극 물질은 유기물에 대해 취약한 점착성(adhesion)을 갖기 때문에, 유전막(160)과 소스/드레인 전극들(144, 145) 사이 및 유전막(160)과 화소 전극(180) 사이에 질화규소로 형성된 제1 및 제2 보호막들(150, 170)이 각각 개재될 필요가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보호막들(150, 170)은 유전막(160)으로부터 발생하는 아웃가스로부터 소스/드레인 전극들(144, 145) 및 화소 전극(180)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어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필름(210), 공통 전극(220), 마이크로캡슐들(230), 및 점착층(240)을 포함하는 전기영동 필름(200)을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의 주변 영역(PA)이 아닌 표시 영역(DA)에 대응하는 TFT 기판(100)의 상면에만 부착시킨다. 베이스 필름(210)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며, 공통 전극(220)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로 형성된다.
도 5c에서는 마이크로캡슐 타입의 전기영동 필름(200)이 예시되어 있으나, 마이크로컵 타입의 전기영동 필름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TFT 기판(100) 상에 격벽이 바로 형성되고, 격벽에 의해 구획된 공간이 전기영동 분산액으로 채워지고, 격벽 상에 베이스 필름 및 공통전극을 포함하는 상판이 합착될 수도 있다. 어떠한 방식이 적용되든지 간에, 베이스 필름(210) 및 공통 전극(220)은 화상 표시를 위해 투명하여야 한다.
이어서,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기영동 필름(200) 상에, 더욱 정확히는 베이스 필름(210) 상에 보호 시트(310)를 부착한다. 이어서, 상기 보호 시트(310)와 TFT 기판(100) 사이에 개재된 전기영동 필름(200)을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하여 전기영동 필름(200) 외주면에 실런트를 도포함으로써 실링 패턴(320)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 시트(310)를 포함하는 TFT 기판(100)의 전면 상에 보호 커버 필름(400)을 부착한다. 보호 커버 필름(400)은 후속의 금속 기판(110) 식각 공정시 식각물질(etchant)로부터 나머지 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이어서,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각 공정을 통해 금속 기판(110)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슬림(slim)한 금속 기판(110')을 만든다.
이어서, 도 5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각 공정이 완료된 후에, 보호 커버 필름(400)을 제거한다. 다만, 상기 보호 커버 필름(400)의 제거 시기는 가변적일 수 있으며, 아래에서 설명하는 후면 필름(510) 부착 단계 이 후에, 또는 스크라이빙(scribing) 공정 이 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이어서, 금속 기판(110')에 후면 필름(510)을 롤 라미네이터(roll laminator)를 이용하여 부착한다. 이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후면 적층 필름(미도시)을 제조한다. 후면 적층 필름은 릴리즈 필름, 점착층(520) 및 후면 필름(51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후면 적층 필름으로부터 릴리즈 필름을 제거한 후 점착층(520)이 금속 기판(110')과 접촉되는 방식으로 후면 적층 필름을 TFT 기판(100)에 부착한다. 후면 필름(510)은 물, 습기, NaCl 등에 의해 금속 기판(1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약 10 내지 40㎛의 두께를 갖는 폴리이미드(PI) 필름일 수 있다. 후면 필름(510)의 두께는 수요자가 원하는 최종 제품의 두께에 맞추어 얼마든지 조절될 수 있다.
앞에서 살펴본 도 5a 내지 도 5g의 공정들을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표시영역(DA)과 주변영역(PA)을 갖는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을 제조한 후, 도 5h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의 주변영역(PA)에 홀(H)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4개의 홀들(H)이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의 코너부에 해당하는 주변영역(PA)에 형성된다.
도 5h에는 홀(H)이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의 주변영역(PA)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이 예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서는 홀(H)이 주변영역(PA)을 관통하지 않고 소정 깊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홀(H)은 레이저 또는 드릴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펀칭(punching) 방식을 이용하여 홀(H)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경우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의 주변영역(PA)이 유리 기판이 아닌 금속 기판(100')을 포함하기 때문에 홀(H) 형성이 가능하다.
이어서, 도 5i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H)을 갖는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을 후방 프레임(600) 상에 위치시킨다. 이어서,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의 주변영역(PA)을 전방 프레임(700)으로 커버한다. 이때, 후방 프레임(600)과 전방 프레임(700)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의 주변영역(PA)을 전방 프레임(700)으로 커버할 때 전방 프레임(700)의 돌출부(710)가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의 홀(H)에 완전히 삽입됨으로써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이 후방 프레임(600) 상에 고정된다. 즉,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의 주변영역(PA)을 전방 프레임(700)으로 커버함과 동시에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이 후방 프레임(600) 상에 고정된다.
도 6에 예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전방 프레임(700)의 돌출부(들)(720)가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의 홀(들)(H)에 부분적으로 삽입됨으로써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이 후방 프레임(600) 상에 고정된다.
도 7 및 도 8에 예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 경우에는, 홀(H)을 갖는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을 후방 프레임(600) 상에 위치시킬 때 후방 프레임(600)의 돌출부(610 또는 620)가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의 홀(H)에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삽입됨으로써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이 후방 프레임(600) 상에 고정된다. 즉, 홀(H)을 갖는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을 후방 프레임(600) 상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전기영동 표시 패널(10)이 후방 프레임(600) 상에 고정된다.
위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으로서, 특허청구범위의 발명에 대한 더욱 자세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실시예들의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 및 그 균등물의 범위 내의 변경 및 변형을 모두 포함한다.
10: 전기영동 표시 패널 20: 데이터 구동부
30: 게이트 구동부 40: 타이밍 컨트롤러
100: TFT 기판 110, 110': 금속 기판
120: 유기막 130: 장벽층
141: 게이트 전극 142: 게이트 절연막
143: 반도체층 144: 소스 전극
145: 드레인 전극 150: 제1 보호막
160: 유전막 170: 제2 보호막
180: 화소 전극 200: 전기영동 필름
210: 베이스 필름 220: 공통전극
230: 마이크로캡슐 240: 점착층
310: 보호 시트 320: 실링 패턴
510: 후면 필름 520: 점착층
600: 후방 프레임 700: 전방 프레임
610, 620, 710, 720: 돌출부

Claims (10)

  1. 후방 프레임(back frame);
    상기 후방 프레임 상에 적층된 TFT 기판, 전기영동 필름 및 보호 시트를 포함하고, 표시영역과 주변영역을 갖는 전기영동 표시 패널; 및
    상기 전기영동 표시 패널의 표시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전기영동 표시 패널의 주변영역을 커버하는 전방 프레임(front frame)을 포함하되,
    상기 전기영동 표시 패널은 상기 주변영역 중에서 상기 보호 시트가 마련된 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TFT 기판을 관통하며 형성된 홀을 가지며,
    상기 전방 프레임 및 상기 후방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기영동 표시 패널의 홀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갖는, 전기영동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영동 표시 패널은 상기 후방 프레임 상에 적층된 TFT 기판, 전기영동 필름 및 보호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영동 필름은,
    공통전극; 및
    상기 TFT 기판과 상기 공통전극 사이의 전기영동 분산액을 포함하는, 전기영동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TFT 기판은,
    금속 기판;
    상기 금속 기판 상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화소 전극을 포함하는, 전기영동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영동 표시 패널의 주변영역은 상기 금속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홀은 상기 전기영동 표시 패널의 주변영역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일부만 상기 홀에 삽입된, 전기영동 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프레임은 그 둘레부에 여백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후방 프레임의 여백 영역 바로 위에는 상기 전기영동 표시 패널이 위치하지 않는, 전기영동 표시장치.
  6. TFT 기판, 전기영동 필름 및 보호 시트를 포함하고, 표시영역과 주변영역을 갖는 전기영동 표시 패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전기영동 표시 패널의 주변영역 중에서 상기 보호 시트가 마련된 영역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 마련되며, 상기 TFT 기판을 관통하는 홀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홀을 갖는 전기영동 표시 패널을 후방 프레임 상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전기영동 표시 패널의 표시영역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전기영동 표시 패널의 주변영역을 전방 프레임으로 커버하는 단계; 및
    상기 전기영동 표시 패널을 후방 프레임 상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 단계는 상기 전방 프레임 및 상기 후방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상기 전기영동 표시 패널의 홀에 삽입됨으로써 수행되는, 전기영동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프레임의 돌출부가 상기 전기영동 표시 패널의 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고정 단계가 수행되고,
    상기 고정 단계는 상기 주변영역의 커버 단계와 동시에 수행되는, 전기영동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프레임의 돌출부가 상기 전기영동 표시 패널의 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고정 단계가 수행되고,
    상기 고정 단계는 상기 전기영동 표시 패널을 상기 후방 프레임에 위치시키는 단계와 동시에 수행되는, 전기영동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영동 표시 패널을 제조하는 단계는,
    금속 기판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화소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영동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영동 표시 패널의 주변영역은 상기 금속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홀은 상기 전기영동 표시 패널의 주변영역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일부만 상기 홀에 삽입되는, 전기영동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00132472A 2010-12-22 2010-12-22 전기영동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Active KR101835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472A KR101835537B1 (ko) 2010-12-22 2010-12-22 전기영동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472A KR101835537B1 (ko) 2010-12-22 2010-12-22 전기영동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937A KR20120070937A (ko) 2012-07-02
KR101835537B1 true KR101835537B1 (ko) 2018-03-08

Family

ID=46706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2472A Active KR101835537B1 (ko) 2010-12-22 2010-12-22 전기영동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55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69649B2 (en) 2015-10-28 2021-04-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isplay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4553A (ja) * 2009-03-05 2010-09-16 Seiko Epson Corp 電気泳動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4553A (ja) * 2009-03-05 2010-09-16 Seiko Epson Corp 電気泳動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937A (ko) 2012-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7248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lignment mark and light shielding pattern
JP4541421B2 (ja) 液晶表示装置、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6972750B2 (en) Liquid crystal panel device having a touch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160349589A1 (en)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riv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apparatus
US20080291376A1 (en) Liquid crystal panel having low-resistance common electrode layer
CN106773275B (zh)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US849352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two sub-pixel regions and a storage capacitor
US9746731B2 (en) Array substrate, repairing sheet, display panel and method of repairing array substrate
US20110149172A1 (en) Active matrix substrate, liquid crystal panel, liquid crystal display uni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elevision receiver, and active matrix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US9651810B2 (en)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substrate for use in the display panel
KR20120062455A (ko) 전기영동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3163699B (zh) 用于非晶硅栅极驱动电路的电容器及液晶显示器
KR101799938B1 (ko) 액정표시장치
US7903322B2 (en) Electro-phoretic display film, 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JP2017090794A (ja) 液晶表示装置
US843250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improved side visibility
US20160178945A1 (en) Thin film display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40086395A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7052368A (ja) 液晶表示装置
KR101835537B1 (ko) 전기영동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8009273A (ja) 液晶表示装置
KR20110066326A (ko) 전기영동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363341B1 (ko) 전기영동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662135B1 (ko) 전기영동 표시패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영동 표시장치
JP2007310283A (ja) 液晶表示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11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12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11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6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11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80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1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711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110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80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