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32092B1 - 고휘도 미러 시트 - Google Patents

고휘도 미러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2092B1
KR101832092B1 KR1020170022898A KR20170022898A KR101832092B1 KR 101832092 B1 KR101832092 B1 KR 101832092B1 KR 1020170022898 A KR1020170022898 A KR 1020170022898A KR 20170022898 A KR20170022898 A KR 20170022898A KR 101832092 B1 KR101832092 B1 KR 101832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eight
parts
mirror
thicknes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기혁
Original Assignee
나기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기혁 filed Critical 나기혁
Priority to KR1020170022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20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09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84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refl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57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creating an anisotropic diffusion characteristic, i.e. distributing output differently in two perpendicular ax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휘도를 갖는 미러 시트에 관한 것으로, 옵티컬 필름 재질의 두께가 100 ~ 500 ㎛인 기재필름층; UV 패턴층; 50 ~ 100 ㎛ 두께의 미세기포 분산층; 10 ㎛ 두께의 미러 인쇄층; 및 접착제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미세기포 분산층과 상기 미러 인쇄층 사이에 20 ~ 50 ㎛의 제1 프라이머층과 10 ~ 30 ㎛의 제1 요철층을 형성하고, 상기 미세기포 분산층은, 폴리카본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살리실산 0.2 중량부, 하이드록시페놀 벤조트리아졸 0.1 중량부, 탄산칼슘 1.5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2 중량부를 투입하고, 230℃의 온도로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유체상태의 헬륨을 투입하여 교반 혼합시킨 혼합물을 180℃에서 압연롤에 통과시켜 시트 형태로 가공하여 상기 기재필름층의 하부에 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휘도 미러 시트{High brightness mirror sheet}
본 발명은 고휘도를 갖는 미러 시트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인 통상의 미러 시트에 비해 더욱 향상된 휘도를 갖게 하여 외관의 미려함을 고취함과 동시에, 우수한 내구성을 부여하는 고휘도 미러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 또는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 등 가전제품과 자동차, 유리 등의 표면에는 다양한 색감, 문양, 질감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외장 패널이 설치되는데, 최근에는 외장 패널에 미러(Mirror) 효과를 요구하는 추세가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미러 시트는 투명 시트의 하부에 니켈(Ni)을 증착시키는 방식이나 투명 시트에 미러 잉크액을 인쇄하는 방식을 통해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점점 미러 시트의 고급화를 요구하는 추세에 따라 이러한 종래의 미러 시트보다 휘도와 내구성이 증가된 새로운 제품을 개발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197308호 (2012. 11. 05. 공고)가 있으나, 이는 엠보싱 가공을 할 경우에 미러가 깨지지 않는 점에 중점이 있을 뿐, 미러 시트의 휘도를 증가시켜 제품의 고급화를 달성하는 데에는 미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KR 10-1197308 B1
본 발명은 기존의 미러 시트를 한층 개량하여 휘도를 증가시키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접착물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경우 피접착물과의 접착력을 증대시켜 내구성을 증가시키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휘도 미러 시트는, 옵티컬 필름 재질의 두께가 100 ~ 500 ㎛인 기재필름층; UV 패턴층; 50 ~ 100 ㎛ 두께의 미세기포 분산층; 10 ㎛ 두께의 미러 인쇄층; 및 접착제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미세기포 분산층과 상기 미러 인쇄층 사이에 20 ~ 50 ㎛의 제1 프라이머층과 10 ~ 30 ㎛의 제1 요철층을 형성하고, 상기 미세기포 분산층은, 폴리카본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살리실산 0.2 중량부, 하이드록시페놀 벤조트리아졸 0.1 중량부, 탄산칼슘 1.5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2 중량부를 투입하고, 이에 유기용매 200 ~ 400 중량부를 혼합해서 230℃의 온도로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유체상태의 헬륨을 투입하여 교반 혼합시킨 혼합물을 180℃의 온도에서 압연롤에 통과시켜 시트 형태로 가공하여 상기 기재필름층의 하부에 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휘도 미러 시트는, 상기 유체상태의 헬륨의 양은 5 ~ 2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휘도 미러 시트는, 상기 제1 프라이머층에 안료가 그래비어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휘도 미러 시트는, 상기 접착제층은 접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0.5 중량부를 갖는 하이드로젠 플루오라이드를 접착제와 혼합하여 구성된 것을 상기 미러 인쇄층 하부에 도포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휘도 미러 시트는, 상기 제1 요철층과 상기 미러 인쇄층 사이에 제2 프라이머층과 제2 요철층을 더 형성시키되, 제2 프라이머층과 제2 요철층의 두께는 각각 상기 제1 프라이머층과 상기 제1 요철층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미러 시트보다 높은 휘도를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접착물에 접착되는 강도를 높여 제품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휘도 미러 시트의 적층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고휘도 미러 시트의 적층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휘도 미러 시트의 일 실시예를 도 1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서 기재필름층(50)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재필름층(50)은 빛의 투과율이 높은 옵티컬 필름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경우 필름의 재질은 폴리에스터(PET) 또는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OPP)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미러 시트가 고휘도를 갖게 하기 위해서는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빛 투과율과 투과된 빛의 반사율이 높아야 하므로 일반 필름이 아닌 옵티컬 필름이 적합하다.
기재필름층(50)의 두께는 사용목적 내지 용도에 따라 100 ~ 500 ㎛의 범위에서 조절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서 UV 패턴층(60)에 대하여 설명한다.
UV 패턴층(60)은 미러 시트에 입체적인 패턴 문양을 부가할 경우에 형성하는 것으로 기재필름층(50)의 상부에 자외선 경화 수지를 도포한 후, 미세 패턴이 형성된 롤(Roll)로 압연하여 패턴을 형성시킨 다음,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과정을 거친다. 미세 패턴은 주로 헤어라인 방식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UV 패턴층에 관한 기술적 사항은 종래기술로부터 자명한 사항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을 참조하면서 미세기포 분산층(40)에 대하여 설명한다.
미러 시트의 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시트에 투과된 빛이 난반사가 증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한데, 이러한 빛의 난반사를 촉진하기 위해 기재필름층(50) 하부에 50 ~ 100 ㎛ 두께의 미세기포 분산층(40)을 형성한다.
여기서, 미세기포 분산층(40)은 다음과 같은 발포기술에 의해 제조된 것이다.
먼저, 폴리카본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살리실산 0.2 중량부, 하이드록시페놀 벤조트리아졸 0.1 중량부, 탄산칼슘 1.5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2 중량부를 투입하고, 이에 유기용매 200 ~ 400 중량부를 혼합해서 230℃의 온도로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유체상태의 헬륨(Helium)을 투입하여 교반 혼합시킨 혼합물을 180℃의 온도에서 압연롤에 통과시켜 시트 형태로 가공한 후, 기재필름층(50)의 하부에 부착한다.
실험 결과 투입되는 유체상태의 헬륨의 양은 5 ~ 20 중량부임이 바람직한데,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기포가 깨지는 비율이 증가하고, 생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여기서, 살리실산(Salicylic acid)은 260 ~ 340㎚ 파장의 자외선을 흡수하여 시트의 변색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고. 하이드록시페놀 벤조트리아졸(Hydroxyphenol benzotriazole)은 시트의 투명도를 향상시키며,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은 투과된 빛의 반사를 촉진시키는 촉진제의 기능을 한다.
한편, 적외선 차폐를 위해 미세기포 분산층(40)에 붕산염 0.5 ~ 0.8 중량부를 더 첨가할 수도 있고, 후술하는 제1 프라이머층(30)에 적외선 차단 잉크를 그래비어 인쇄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서 제1 프라이머층(30)과 제1 요철층(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미세기포 분산층(40)의 하부에는 20 ~ 50 ㎛의 제1 프라이머층(30)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1 프라이머층(30)의 재질은 우레탄 계열, 아크릴 계열, 폴리에스테르수지, 폴리염화비닐 중에서 선택 가능하다. 특히, 곡면 부착 등 가공의 용이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우레탄 계열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프라이머층(30)은 미세기포 분산층(40)과 후술할 미러 인쇄층(10) 사이에서 빛을 굴절시키고 일부 투입된 빛을 반사시키는 기능을 하는데, 미러 시트에 다양한 색상을 부여하여 금속성 색채를 표현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안료를 제1 프라이머층(30)에 혼합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프라이머층(30)의 하부에는 10 ~ 30㎛의 제1 요철층(20)이 형성되는데, 이는 에칭액에 의해 화학적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고, 요철 패턴이 형성된 롤(Roll)에 압연시켜 물리적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제1 프라이머층(30)과 제1 요철층(20)은 재질은 같으나, 요철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을 제1 프라이머층(30)으로 지칭하고, 요철이 형성된 부분을 제1 요철층(20)으로 지칭한 것임을 밝혀둔다.
이러한 제1 요철층(20)은 투과된 빛의 난반사를 위한 것인데, 상기 미세기포 분산층(40)에서 반사되지 않고 투과된 가시광선을 난반사시키는 기능을 한다.
물론 상기 미세기포 분산층(40)을 여러 겹으로 적층하여 난반사를 더욱 촉진시키는 것도 가능하나, 생산원가가 증가하는 문제와 더불어 제조의 효율성의 문제가 있으므로 제1 요철층(20)을 형성시킨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서 미러 인쇄층(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미러 인쇄층(10)은 미러 효과(Mirror effect)를 발생시키는 잉크가 그래비어 인쇄와 같은 도포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데, 이러한 미러 인쇄층의 두께는 10㎛가 바람직하다. 미러 효과를 발생시키는 잉크는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분말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잉크가 사용된다.
종래 미러 시트에 다양한 색상을 부여시킬 경우에는, 미러 인쇄층에 다양한 색상의 안료를 부가하여 금속성 적색, 금속성 청색 등의 색상을 표현하였으나, 미러 인쇄층에 안료를 부가할 경우에 미러 효과가 저감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미러 인쇄층(10)에 안료를 부가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1 프라이머층(30)에 안료를 부가하는 구성을 안출하여, 미러 효과가 저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다양한 금속성 색상을 표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서 접착제층(8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휘도 미러 시트는 주로 가전제품이나 유리, 가구 등의 표면에 부착하여 사용된다. 그런데, 유리와 같이 매끈한 표면을 갖는 피접착물에 미러 시트를 부착시키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미러 시트가 유리로부터 박리되거나 들뜨는 현상이 발생하여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엇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미러 인쇄층(10) 하부에 유리 표면을 부식시키기 위한 하이드로젠 플루오라이드(Hydrogen fluoride) 성분이 포함된 접착제층(80)을 더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접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하이드로젠 플루오라이드 0.1 ~ 0.5 중량부를 혼합한 혼합물을 미러 인쇄층(10)의 하부에 도포한다. 하이드로젠 플루오라이드는 독성이 강하므로 취급시 주의를 요한다.
위와 같이 하이드로젠 플루오라이드가 포함된 접착제층(80)을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고휘도 미러 시트를 유리 재질의 피접착물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경우, 유리 재질의 표면을 미세하에 부식시킴과 동시에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접착력을 높여 결국 제품의 내구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고휘도 미러 시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앞에서 설명한 도 1에 나타난 고휘도 미러 시트의 제1 요철층(20)의 하부에 제2 프라이머층(31)을 형성하고, 제2 프라이머층(31)의 하부에는 제2 요철층(21)을 더 형성한 것이다.
이때, 제2 프라이머층(31)과 제2 요철층(21)의 두께는 각각 제1 프라이머층(30)과 제1 요철층(20)의 두께보다 얇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두께를 달리함으로써 입사광과 반사광의 굴절각의 변화를 유도하여 난반사가 더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2 프라이머층(31)의 두께는 10 ~ 30 ㎛로 하고, 제2 요철층(21)의 두께는 10 ~ 20 ㎛로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 프라이머층(31)에는 제1 프라이머층(30)과는 달리 안료를 혼합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2 프라이머층(31)과 제2 요철층(21)은 재질은 같으나, 요철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을 제2 프라이머층(31)으로 지칭하고, 요철이 형성된 부분을 제2 요철층(21)으로 지칭한 것임은 앞서 설명한 제1 프라이머층(30)과 제1 요철층(20) 부분과 같다.
실험예
후술하는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에 따라 제작된 각각의 미러 시트에 20와트(W)의 LED 전구를 상부 1.0m 지점에 설치하여 광원을 조사한 후, 포토다이오드센서를 이용한 휘도계로 각각의 미러 시트로부터 45°각도로 반사되는 반사광의 휘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아래 표 1과 같다.
(1) 실시예 1
도 1에 나타난 적층 구조를 가진 미러 시트를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하였다. 다만, 제1 프라이머층에 안료를 첨가하지 않았고, 접착제층은 형성하지 않았다.
(2) 실시예 2
도 2에 나타난 적층 구조를 가진 미러 시트를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하였다. 다만, 제1 프라이머층에 안료를 첨가하지 않았고, 접착제층은 형성하지 않았다.
(3) 비교예
UV 패턴층, 기재필름층, 미러 인쇄층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미러 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측정 휘도값(cd/㎡)

175.4

178.8

156.3
실험 결과, 본 발명에 따른 미러 시트는 통상의 미러 시트에 비해 반사광의 휘도가 높음을 알 수 있고, 육안으로 판단할 경우에도 고급스러움이 한층 높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치환 내지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 : 미러 인쇄층
20 : 제1 요철층 21 : 제2 요철층
30 : 제1 프라이머층 31 : 제2 프라이머층
40 : 미세기포 분산층
50 : 기재필름층
60 : UV 패턴층
80 : 접착제층

Claims (5)

  1. 옵티컬 필름 재질의 두께가 100 ~ 500 ㎛인 기재필름층;
    UV 패턴층;
    50 ~ 100 ㎛ 두께의 미세기포 분산층;
    10 ㎛ 두께의 미러 인쇄층; 및
    접착제층;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미세기포 분산층과 상기 미러 인쇄층 사이에 20 ~ 50 ㎛의 제1 프라이머층과 10 ~ 30 ㎛의 제1 요철층을 형성하고,
    상기 미세기포 분산층은,
    폴리카본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살리실산 0.2 중량부, 하이드록시페놀 벤조트리아졸 0.1 중량부, 탄산칼슘 1.5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2 중량부를 투입하고, 이에 유기용매 200 ~ 400 중량부를 혼합해서 230℃의 온도로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유체상태의 헬륨을 투입하여 교반 혼합시킨 혼합물을 180℃의 온도에서 압연롤에 통과시켜 시트 형태로 가공하여 상기 기재필름층의 하부에 부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 미러 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체상태의 헬륨의 양은 5 ~ 2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 미러 시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라이머층에 안료가 그래비어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 미러 시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은 접착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0.5 중량부를 갖는 하이드로젠 플루오라이드를 접착제와 혼합하여 구성된 것을 상기 미러 인쇄층 하부에 도포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 미러 시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철층과 상기 미러 인쇄층 사이에 제2 프라이머층과 제2 요철층을 더 형성시키되, 제2 프라이머층과 제2 요철층의 두께는 각각 상기 제1 프라이머층과 상기 제1 요철층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휘도 미러 시트.


KR1020170022898A 2017-02-21 2017-02-21 고휘도 미러 시트 Expired - Fee Related KR101832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898A KR101832092B1 (ko) 2017-02-21 2017-02-21 고휘도 미러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898A KR101832092B1 (ko) 2017-02-21 2017-02-21 고휘도 미러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2092B1 true KR101832092B1 (ko) 2018-02-23

Family

ID=61387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898A Expired - Fee Related KR101832092B1 (ko) 2017-02-21 2017-02-21 고휘도 미러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209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676B1 (ko) 2021-06-14 2022-01-14 주식회사 크라텍 미러필름이 장착된 주방가구
KR102361812B1 (ko) 2021-06-14 2022-02-15 주식회사 크라텍 반사율과 외관이 개선된 필름형 거울이 장착된 수납가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04447B1 (ko) 2022-01-06 2022-06-02 주식회사 크라텍 반사율의 향상으로 보다 선명한 상을 제공하며 개선된 내충격성을 갖는 필름형 안전거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703663B1 (ko) 2023-11-09 2024-09-05 주식회사 크라텍 오렌지필 현상을 개선한 필름형 안전거울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4440A (ko) * 2004-07-09 2006-01-12 (주)창조아이엠디 인서트 몰드용 인쇄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51333B1 (ko) * 2007-02-05 2008-08-08 엘리트싸이언테크 (주) 광반사판
JP2012078420A (ja) * 2010-09-30 2012-04-19 Sumitomo Chemical Co Ltd 光拡散性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1197308B1 (ko) * 2011-12-14 2012-11-05 서울화학 주식회사 고광택 미러 시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WO2013103139A1 (ja) * 2012-01-06 2013-07-11 コニカミノルタアドバンストレイヤー株式会社 フィルムミラー、フィルムミラーの製造方法、太陽熱発電用フィルムミラー及び太陽熱発電用反射装置
KR101361744B1 (ko) * 2013-01-03 2014-02-12 박인화 수전사용 홀로그램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홀로그램 무늬 형성방법
KR20150010895A (ko) * 2013-07-19 2015-01-29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액정 디스플레이용 기능성 반사시트
JP2016224076A (ja) * 2013-10-29 2016-12-2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フィルムミラーおよびこれを用いた太陽熱反射用光反射装置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4440A (ko) * 2004-07-09 2006-01-12 (주)창조아이엠디 인서트 몰드용 인쇄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51333B1 (ko) * 2007-02-05 2008-08-08 엘리트싸이언테크 (주) 광반사판
JP2012078420A (ja) * 2010-09-30 2012-04-19 Sumitomo Chemical Co Ltd 光拡散性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1197308B1 (ko) * 2011-12-14 2012-11-05 서울화학 주식회사 고광택 미러 시트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WO2013103139A1 (ja) * 2012-01-06 2013-07-11 コニカミノルタアドバンストレイヤー株式会社 フィルムミラー、フィルムミラーの製造方法、太陽熱発電用フィルムミラー及び太陽熱発電用反射装置
KR101361744B1 (ko) * 2013-01-03 2014-02-12 박인화 수전사용 홀로그램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홀로그램 무늬 형성방법
KR20150010895A (ko) * 2013-07-19 2015-01-29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액정 디스플레이용 기능성 반사시트
JP2016224076A (ja) * 2013-10-29 2016-12-2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フィルムミラーおよびこれを用いた太陽熱反射用光反射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676B1 (ko) 2021-06-14 2022-01-14 주식회사 크라텍 미러필름이 장착된 주방가구
KR102361812B1 (ko) 2021-06-14 2022-02-15 주식회사 크라텍 반사율과 외관이 개선된 필름형 거울이 장착된 수납가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04447B1 (ko) 2022-01-06 2022-06-02 주식회사 크라텍 반사율의 향상으로 보다 선명한 상을 제공하며 개선된 내충격성을 갖는 필름형 안전거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703663B1 (ko) 2023-11-09 2024-09-05 주식회사 크라텍 오렌지필 현상을 개선한 필름형 안전거울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4609B1 (ko) 방현성 필름 및 화상표시장치
KR101832092B1 (ko) 고휘도 미러 시트
CN1738711B (zh) 含二氧化硅的层状结构和用于形成多孔二氧化硅层的涂料组合物
JP5275341B2 (ja) テクスチャーを適用した多変量着色システム
WO2008044398A1 (fr) film pour revêtement dur,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et film antireflet
TW200848790A (en) Anti-glare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JP2009510515A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用光拡散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84665A (ko) 눈부심-방지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KR20170086618A (ko) 눈부심 방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다른 코팅 제품 및 그들의 형성 방법
JP7120378B2 (ja) バリア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波長変換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WO2018062442A1 (ja) 防眩性反射防止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防眩性反射防止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
TW201728461A (zh) 積層聚酯薄膜
JP2019082648A (ja) 粘着層付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
JP5691279B2 (ja) 透明導電性フィルム
JP2023049868A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JP2013254118A (ja) 光学積層体、及びこれを用いた偏光板
KR20170039590A (ko) 점착 시트
CN106118442B (zh) 一种光学膜用树脂涂料及其应用
JP2014235233A (ja) 防眩性反射防止フィルム
JP7067193B2 (ja) 加飾成形品、画像表示装置及び転写シート
WO2013114964A1 (ja) 装飾成形用フィルム
KR20140087796A (ko) 접착성이 개선된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04341553A (ja) 防眩性フィルム
JP2005047283A (ja) 防眩性フィルム
WO2023037789A1 (ja) 金属調加飾フィルム、金属調製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2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2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