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30717B1 - 발광 소자 패키지 - Google Patents

발광 소자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0717B1
KR101830717B1 KR1020110064972A KR20110064972A KR101830717B1 KR 101830717 B1 KR101830717 B1 KR 101830717B1 KR 1020110064972 A KR1020110064972 A KR 1020110064972A KR 20110064972 A KR20110064972 A KR 20110064972A KR 101830717 B1 KR101830717 B1 KR 101830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wall
light emitting
lead frame
emitting element
emitting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4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7275A (ko
Inventor
박상재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4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717B1/ko
Priority to US13/367,043 priority patent/US8801232B2/en
Priority to CN201210059466.XA priority patent/CN102856479B/zh
Priority to EP12158913.9A priority patent/EP2541633B1/en
Publication of KR20130007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71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5Packages
    • H10H20/8506Contain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5Packag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5Packages
    • H10H20/857Interconnections, e.g. lead-frames, bond wires or solder ba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4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 H01L2224/4824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5Packages
    • H10H20/855Optical field-shaping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H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H20/00Individual inorganic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light-emitting diodes [LED]
    • H10H2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H20/85Packages
    • H10H20/855Optical field-shaping means, e.g. lenses
    • H10H20/856Reflecting means

Landscapes

  • Led Device Packag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실시 예는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 리드 프레임 및 제2 리드 프레임; 상기 제1 리드 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배치되는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를 주위를 둘러싸고, 상기 제1 리드 프레임과 상기 제2 리드 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반사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 측벽의 일부는 나머지 부분에 비하여 높이가 다르다.

Description

발광 소자 패키지{A LIGHT EMITTING DEVICE PAKAGE}
실시 예는 발광소자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의 3-5족 또는 2-6족 화합물 반도체 물질을 이용한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나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LD)와 같은 발광 소자는 박막 성장 기술 및 소자 재료의 개발로 적색, 녹색, 청색 및 자외선 등 다양한 색을 구현할 수 있으며, 형광 물질을 이용하거나 색을 조합함으로써 효율이 좋은 백색 광선도 구현이 가능하며, 형광등, 백열등 등 기존의 광원에 비해 저소비 전력, 반영구적인 수명, 빠른 응답속도, 안전성, 환경친화성의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광 통신 수단의 송신 모듈, LCD(Liquid Crystal Display)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를 구성하는 냉음극관(CCFL:Cold Cathode Fluorescenece Lamp)을 대체하는 발광 다이오드 백라이트, 형광등이나 백열 전구를 대체할 수 있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자동차 헤드 라이트 및 신호등에까지 응용이 확대되고 있다.
조명 장치나 표시 장치에는 발광소자가 패키지 몸체에 실장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 발광소자 패키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실시 예는 비대칭적인 광출사각을 갖는 발광 소자 패키지를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 패키지는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 리드 프레임 및 제2 리드 프레임; 상기 제1 리드 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배치되는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를 주위를 둘러싸고, 상기 제1 리드 프레임과 상기 제2 리드 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반사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 측벽의 일부는 나머지 부분에 비하여 높이가 다르다.
상기 반사 측벽은 복수의 측벽들 및 서로 마주보는 측벽들 중 어느 하나 상에 배치되는 돌출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 측벽은 상기 반사 측벽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돌출 측벽의 상부면의 높이는 상기 나머지 측벽들의 상부면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 패키지는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 리드 프레임 및 제2 리드 프레임; 상기 제1 리드 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발광 소자; 및 복수의 측벽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리드 프레임과 상기 제2 리드 프레임 둘레에 배치되는 반사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 측벽의 서로 마주보는 측벽들로부터 상기 발광 소자까지의 이격 거리들이 서로 다르다.
상기 서로 마주보는 측벽들 중 어느 하나의 측벽의 두께는 나머지 다른 하나의 측벽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서로 마주보는 측벽들 중 어느 하나의 측벽의 기울어진 각도는 나머지 다른 하나의 측벽의 기울어진 각도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서로 마주보는 측벽들 중 어느 하나 측벽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발광 소자까지의 거리와 나머지 다른 하나의 측벽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발광 소자까지의 거리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서로 마주보는 측벽들 중 어느 하나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발광 소자까지의 거리와 나머지 다른 하나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발광 소자까지의 거리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서로 마주보는 측벽들 중 어느 하나의 측벽의 두께와 나머지 다른 하나의 측벽의 두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실시 예는 광출사각을 비대칭적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 패키지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광 소자 패키지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발광 소자 패키지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1의 발광 소자 패키지의 AA' 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1의 발광 소자 패키지의 BB' 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 패키지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발광 소자 패키지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발광 소자 패키지의 DD' 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 패키지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 패키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나타낸다.
도 11a는 도 10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광원의 제1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11b는 도 10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광원의 제2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11c는 도 10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광원의 제3 실시 예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 예들은 첨부된 도면 및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실시 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위(on)"에 또는 "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위(on)"와 "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층의 위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도면의 설명을 통하여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 패키지,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및 표시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 패키지(100)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발광 소자 패키지(100)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발광 소자 패키지(100)의 상면도를 나타내고, 도 4는 도 1의 발광 소자 패키지(100)의 AA' 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5는 도 1의 발광 소자 패키지(100)의 BB' 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발광 소자 패키지(100)는 몸체(20), 제1 리드 프레임(31), 제2 리드 프레임(32), 발광 소자(10), 제1 와이어(12), 제2 와이어(14), 봉지재(40), 및 돌출 측벽(150)을 포함한다.
몸체(20)는 폴리프탈아미드(PPA:Polyphthalamide)와 같은 수지 재질, 또는 실리콘(Si)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20)의 상부면 형상은 발광 소자 패키지(100)의 용도 및 설계에 따라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및 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도시된 것과 같은 직사각형 형상의 발광 소자 패키지(100)는 엣지(edge) 타입의 백라이트 유닛(BLU: Backlight Unit)에 사용되고, 휴대형 손전등이나 가정용 조명에 적용되는 경우, 몸체(20)는 휴대용 손전등이나 가정용 조명에 내장하기 용이한 크기와 형태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몸체(20)는 상부가 개방되고, 반사 측벽(101)과 바닥(102)을 포함하는 캐비티(cavity, 105)를 가질 수 있다. 캐비티(105)는 컵 형상, 오목한 용기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캐비티(105)의 반사 측벽(101)은 바닥(102)에 대해 수직이거나 경사질 수 있다. 이때 반사 측벽(101)은 바닥(102), 제1 리드 프레임, 및 제2 리드 프레임 외주를 감쌀 수 있다. 반사 측벽(101)은 후술하는 발광 소자(10)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킬 수 있다.
또는 몸체(20)는 제1 리드 프레임(31), 및 제2 리드 프레임(32)의 둘레에 위치하거나, 외주를 감싸도록 위치하며, 상방향으로 확장하는 반사 측벽(10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방향은 몸체(20)의 바닥(102)으로부터 수직으로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캐비티(105)를 위에서 바라본 형상은 원형, 사각형, 다각형, 타원형 등의 형상일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티(105)를 위에서 바라본 형상은 사각형 형상이고, 사각형의 모서리가 곡선일 수 있으나,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리드 프레임(31) 및 제2 리드 프레임(32)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이격되어 몸체(20)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리드 프레임(31)과 제2 리드 프레임(32) 사이에는 캐버티(105)의 바닥(102)이 개재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리드 프레임(31)의 일단(121)은 몸체의 일 측면(131)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제2 리드 프레임(32)의 일단(122)은 몸체(20)의 다른 일 측면(132)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제1 리드 프레임(31)의 뒷면(143)은 몸체(20)로부터 노출될 수 있고, 제2 리드 프레임(32)의 뒷면(145)은 몸체(20)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제1 리드 프레임(31) 및 제2 리드 프레임(32) 각각의 일단(121,122) 및 뒷면(143,145)이 몸체(20)로부터 노출되기 때문에 제1 리드 프레임(31)에 배치되는 발광 소자(10)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제1 리드 프레임(31)을 통하여 몸체(20)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반사 측벽(101)은 제1 리드 프레임(31) 및 제2 리드 프레임(32) 상에 상방향으로 확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서는 제1 리드 프레임(31)의 길이가 제2 리드 프레임(32)의 길이보다 크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2 리드 프레임(32)의 길이가 제1 리드 프레임(31)의 길이보다 크거나 또는 양자의 길이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발광 소자(10)는 제1 리드 프레임(31) 상에 실장되며, 제1 리드 프레임(31) 및 제2 리드 프레임(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발광 소자(10)는, 예컨대,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는 적색, 녹색, 청색, 백색 등의 빛을 방출하는 유색 발광 다이오드, 또는 자외선을 방출하는 UV(Ultra Violet)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발광 소자(10)는 도시된 것과 같이 와이어 본딩(wire bonding) 방식에 의해 제1 리드 프레임(31), 및 제2 리드 프레임(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와이어(12)는 발광 소자(10)와 제1 리드 프레임(3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제2 와이어(14)는 발광 소자(10)와 제2 리드 프레임(32)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에서는 플립 칩(flip chip), 다이 본딩(die bonding) 방식 등으로 발광 소자(10)가 제1 리드 프레임(31) 및 제2 리드 프레임(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1 리드 프레임(31), 및 제2 리드 프레임(32)은 금속과 같은 전도성 재질, 예컨대, 티타늄(Ti), 구리(Cu), 니켈(Ni), 금(Au), 크롬(Cr), 탄탈늄(Ta), 백금(Pt), 주석(Sn), 은(Ag), 인(P) 중 하나,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단층 또는 다층 구조일 수 있다.
돌출 측벽(150)은 몸체(20)의 상면(103)의 일부 영역 상에 배치되며, 상방향으로 돌출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측벽(150)은 몸체(20)의 반사 측벽(101)의 일부 영역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반사 측벽(101)은 복수의 측벽들을 포함하며, 돌출 측벽(150)은 서로 마주보는 측벽들 중 어느 하나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반사 측벽(101)은 장측벽들과 단측벽들을 포함하며, 서로 마주보는 장측벽들 중 어느 하나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장측벽은 단측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측벽을 말한다.
돌출 측벽(150)도 반사 부재로 이루어지고, 발광 소자(10)의 주위에 배치되기 때문에 발광 소자(10)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반사할 수 있다.
제1 리드 프레임(31) 또는 제2 리드 프레임(32)으로부터 돌출 측벽(150)의 상면(152)까지의 높이(D2)는 반사 측벽(101)의 상면까지의 높이(D1)보다 크다.
제1 리드 프레임(31)을 기준으로 반사 측벽(101)의 제1 측벽(101-1)이 기울어진 제1 각도(θ1)는 제2 측벽(101-2)이 기울어진 제2 각도(θ2)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1 리드 프레임(31)을 기준으로 돌출 측벽(150)이 기울어진 제3 각도(θ3)는 제1 각도(θ1)와 동일할 수 있으나,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θ3≠θ1일 수 있다.
돌출 측벽(150)에 의하여 발광 소자(10) 주위를 둘러싸는 반사 측벽이 비대칭적인 형상을 갖기 때문에,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 패키지(100)의 출사각은 비대칭적일 수 있으며, 돌출 측벽(150)의 두께 또는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하여 출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돌출 측벽(150)은 반사 측벽(101) 또는 몸체(20)와 다른 물질의 반사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돌출 측벽(150)은 몸체(20) 또는 반사 측벽(101)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반사 측벽(10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 측벽(150)이 반사 측벽(101)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고, 일체로 형성될 경우, 돌출 측벽(150)은 반사 측벽(101)의 일 부분일 수 있다.
이때 몸체(20)는 발광 소자(10)를 둘러싸는 복수의 측벽들을 갖는 반사 측벽(101)을 포함하며, 서로 마주보는 측벽들은 높이 또는 기울어진 각도가 서로 비대칭적일 수 있다.
반사 측벽(101)의 어느 하나의 측벽(101-1)의 높이가 나머지 다른 측벽들(101-2 내지 101-4)과 다를 수 있다. 예컨대, 반사 측벽(101)의 제1 측벽(101-1)의 높이는 제2 측벽(101-2)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이때 제1 측벽(101-1)과 제2 측벽(101-2)은 서로 마주보는 측벽일 수 있으며, 장측벽일 수 있다.
또한 반사 측벽(101)의 어느 하나의 측벽(101-1)의 기울어진 각도는 나머지 측벽들(101-2 내지 101-4)의 기울어진 각도와 다를 수 있다. 예컨대, 반사 측벽(101)의 제1 측벽(101-1)의 기울어진 각도는 제2 측벽(101-2)의 기울어진 각도와 다를 수 있다.
실시 예는 비대칭적인 반사 측벽(101)에 의하여 광 출사각이 비대칭적일 수 있다. 예컨대, 실시 예는 비대칭적인 반사 측벽(101)에 의하여 광 출사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봉지재(40)는 발광 소자(10)를 밀봉하여 보호하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0)의 캐비티(105) 내에 충진될 수 있다. 봉지재(40)는 실리콘 또는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봉지재(40)는 캐비티(105) 내에 실리콘 또는 수지 재질을 충진한 후, 이를 경화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봉지재(40)는 형광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형광체에 의해 발광 소자(10)에서 방출되는 빛이 여기되어 다른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발광 소자(10)가 청색 발광 다이오드이고, 형광체가 황색 형광체인 경우, 황색 형광체는 청색 빛에 의해 여기 되어 백색의 빛을 생성할 수 있다. 발광 소자(10)가 자외선(UV)을 방출하는 경우에는, R, G, B 삼색의 형광체가 봉지재(40)에 첨가되어 백색광을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봉지재(40) 상에는 렌즈(미도시)가 더 형성되어, 발광 소자 패키지(100)가 방출하는 빛의 배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발광 소자 패키지(100)의 몸체(20)에는 내전압 향상을 위해 제너 다이오드(zener diode) 등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너 다이오드(미도시)가 더 포함될 경우, 제1 리드 프레임(31)과 제2 리드 프레임(32) 중 어느 하나에는 발광 소자(10)가 마운트되고, 다른 하나에는 제너 다이오드가 마운트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 패키지(200)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발광 소자 패키지(200)의 상면도를 나타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발광 소자 패키지(200)의 DD' 방향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에 도시된 발광 소자 패키지(200)의 저면도는 도 2와 동일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과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며, 앞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발광 소자(200)는 몸체(20), 제1 리드 프레임(31), 제2 리드 프레임(32), 발광 소자(10), 제1 와이어(12), 제2 와이어(14), 및 봉지재(40)를 포함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반사 측벽(101)의 서로 마주보는 측벽들로부터 발광 소자(10)까지의 이격 거리들이 서로 다르다.
즉 반사 측벽(101)의 서로 마주보는 측벽들 중 제1 측벽(101-1)으로부터 발광 소자(10)까지의 제1 이격 거리(D11)와 제2 측벽(101-2)으로부터 발광 소자(10)까지의 제2 이격 거리(D12)가 서로 다르도록 발광 소자(10)는 제1 리드 프레임(3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이격 거리(D11)는 제2 이격 거리(D12)보다 작을 수 있다.
그리고 제1 측벽(101-1) 및 제2 측벽(101-2)은 두께 및 기울어진 각도가 서로 대칭적일 수 있다. 즉 제1 측벽(101-1) 및 제2 측벽(101-2) 각각의 두께(W11, W12) 및 기울어진 각도(θ1, θ2)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몸체(20)의 일면(132), 예컨대, 제1 측벽(101-1)의 외주면(132)으로부터 발광 소자(10)까지의 거리(L1)와 몸체(10)의 다른 일면(134), 예컨대, 제2 측벽(101-2)의 외주면(134)으로부터 발광 소자(10)까지의 거리(L2)는 서로 다를 수 있다(L1≠L2). 예컨대, L1 < L2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는 발광 소자(10)로부터 반사 측벽(101)의 서로 마주보는 측벽들까지의 이격 거리들(D11, D12)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광출사각이 비대칭적일 수 있다.
도 9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 패키지(300)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9에 도시된 실시 예는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의 변형 예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반사 측벽(101)의 서로 마주보는 측벽들 중 제1 측벽(101-1')으로부터 발광 소자(10)까지의 제1 이격 거리(D21)와 제2 측벽(101-2)으로부터 발광 소자(10)까지의 제2 이격 거리(D22)가 서로 다를 수 있도록 발광 소자(10)는 제1 리드 프레임(3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과의 구조상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몸체(20)의 일면(132), 예컨대, 제1 측벽(101-1')의 외주면(132)으로부터 발광 소자(10)까지의 거리(L3)와 몸체(10)의 다른 일면(134), 예컨대, 제2 측벽(101-2)의 외주면(134)으로부터 발광 소자(10)까지의 거리(L4)는 서로 동일하다(L1=L2).
또한 제1 측벽(101-1')의 두께(W21)와 제2 측벽(101-2)의 두께(W22)가 서로 다르다. 예컨대, 제1 측벽(101-1')의 두께(W21)는 제2 측벽(101-2)의 두께(W22)보다 클 수 있다(W21 > W22).
도 9에 도시된 발광 소자 패키지(300)도 광출사각을 비대칭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10은 실시 예에 따른 발광 소자 패키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나타내고, 도 11a는 도 10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광원의 제1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10 및 도 11a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 표시 패널(860), 탑 커버(Top cover, 870), 고정부재(850)를 포함한다.
백라이트 유닛은 바텀 커버(Bottom cover, 810)와, 바텀 커버(810)의 내부의 일측에 마련되는 발광 모듈(880)과, 바텀 커버(810)의 전면에 배치되는 반사판(820)과, 반사판(820)의 전방에 배치되며 발광 모듈(880)에서 발산되는 빛을 표시 장치 전방으로 안내하는 도광판(830)과, 도광판(30)의 전방에 배치되는 광학 부재(840)를 포함한다. 액정 표시 장치(860)는 광학 부재(840)의 전방에 배치되며, 탑 커버(870)는 액정 표시 패널(860)의 전방에 마련되며, 고정 부재(850)는 바텀 커버(810)와 탑 커버(870) 사이에 배치되어 바텀 커버(810)와 탑 커버(870)를 함께 고정시킨다.
도광판(830)은 발광 모듈(880)에서 방출되는 광이 면광원 형태로 출사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고, 도광판(830)의 후방에 배치되는 반사판(820)은 발광 모듈(880)에서 방출된 광이 도광판(830)방향으로 반사되도록 하여 광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다만, 반사판(820)은 본 도면처럼 별도의 구성요소로 마련될 수도 있고, 도광판(830)의 후면이나, 바텀 커버(810)의 전면에 반사도가 높은 물질로 코팅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반사판(820)은 반사율이 높고 초박형으로 사용 가능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alate; PET)를 사용할 수 있다.
도광판(830)은 발광 모듈(880)에서 방출되는 빛을 산란시켜 그 빛이 액정 표시 장치의 화면 전영역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한다. 따라서, 도광판(830)은 굴절률과 투과율이 좋은 재료로 이루어지는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PMMA),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또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광학 부재(840)가 도광판(830)의 상부에 구비되어 도광판(830)에서 출사되는 빛을 소정 각도로 확산시킨다. 광학 부재(840)는 도광판(830)에 의해 인도된 빛을 액정 표시 패널(860) 방향으로 균일하게 조사되도록 하다. 광학 부재(840)로는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또는 보호 시트 등의 광학 시트가 선택적으로 적층되거나,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복수 개의 광학 시트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광학 시트는 아크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또는 실리콘 수지 등과 같은 투명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프리즘 시트 내에 형광 시트가 포함될 수도 있음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광학 부재(840)의 전면에는 액정 표시 패널(860)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액정 표시 패널(860) 외에 광원을 필요로 하는 다른 종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바텀 커버(810) 상에는 반사판(820)이 놓이게 되고, 반사판(820)의 위에는 도광판(830)이 놓이게 된다. 그리하여 반사판(820)은 방열부재(미도시)와 직접 접촉될 수도 있다.
발광 모듈(880)은 복수의 발광 소자 패키지(882) 및 인쇄회로기판(881)을 포함한다. 복수의 발광 소자 패키지(882)는 인쇄회로기판(881) 상에 일렬로 실장될 수 있다. 도 11a에 도시된 발광 소자 패키지(881)은 도 1에 도시된 실시 예일 수 있다.
돌출 측벽(150)이 도광판(830)의 입사면(832)의 장변에 평행하도록 발광 소자 패키지(881)는 입사면(823)에 대향하여 인쇄회로기판(88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비대칭적인 반사 측벽(101)의 측벽들(101-1,101-2)이 도광판(830)의 입사면(832)의 장변에 평행하도록 발광 소자 패키지(881)는 입사면(823)에 대향하여 인쇄회로기판(88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장변은 입사면(823)을 이루는 변들 중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서로 마주보는 변일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881)은 브라켓(812) 상에 접합될 수 있다. 여기서, 브라켓(812)은 발광 소자 패키지(882)의 고정 외에 열방출을 위하여 열전도율이 높은 물질로 이루어질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브라켓(812)과 발광 소자 패키지(882) 사이에는 열 패드가 구비되어 열 전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브라켓(8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ㄴ'자 타입으로 구비되어, 가로부(812a)는 바텀 커버(810)에 의하여 지지되고, 세로부(812b)는 인쇄회로기판(881)을 고정할 수 있다.
도 11b는 도 10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광원의 제2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11b를 참조하면, 복수의 발광 소자 패키지(882) 각각은 도 6에 도시된 발광 소자 패키지(200)일 수 있다. 이때 발광 소자 패키지(200)의 반사 측벽(101)의 서로 마주보는 측벽들(101-1, 101-2)으로부터 발광 소자(10)까지의 이격 거리들이 서로 다르다. 이때 서로 마주보는 측벽들(101-1, 101-2)은 도광판(830)의 입사면(832)의 장변에 평행할 수 있다.
도 11c는 도 10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광원의 제3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11c를 참조하면, 복수의 발광 소자 패키지(882)는 도 9에 도시된 발광 소자 패키지(300)일 수 있다.
발광 소자 패키지(300)의 반사 측벽(101)의 서로 마주보는 측벽들 중 제1 측벽(101-1')으로부터 발광 소자(10)까지의 제1 이격 거리(D21)와 제2 측벽(101-2)으로부터 발광 소자(10)까지의 제2 이격 거리(D22)가 서로 다르며, 제2 측벽(101-2)의 외주면(134)으로부터 발광 소자(10)까지의 거리(L4)는 서로 동일하고, 제1 측벽(101-1')의 두께(W21)와 제2 측벽(101-2)의 두께(W22)가 서로 다르다.
이때 서로 마주보는 제1 측벽(101-1') 및 제2 측벽(101-2)은 도광판(830)의 입사면(832)의 장변에 평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표시 장치의 슬림화를 위하여 도광판의 두께가 작아질 경우, 일반적인 표시 장치의 발광 소자 패키지는 대칭적이고, 일정한 광출사각을 갖기 때문에 두께가 작아진 도광판 내로 입사되는 빛의 양이 감소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1a 내지 도 11c에 도시된 실시 예는 비대적인 광출사각을 갖는 발광 소자 패키지를 포함하기 때문에, 도광판의 두께가 줄더라도 광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발광 소자 101: 반사 측벽
102: 바닥 105 : 캐비티
20 : 몸체 31 : 제1 리드 프레임
32: 제2 리드 프레임 40: 충진재
150: 돌출 측벽.

Claims (10)

  1.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 리드 프레임 및 제2 리드 프레임;
    상기 제1 리드 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하나의 발광 소자; 및
    상기 발광 소자를 주위를 둘러싸고 상기 제1 리드 프레임과 상기 제2 리드 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반사 측벽을 포함하는 캐비티를 갖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 측벽은,
    서로 마주보는 제1 측벽과 제2 측벽;
    상기 제1 및 제2 측벽들 사이에 위치하고, 서로 마주보는 제3 측벽과 제4 측벽; 및
    상기 제1 측벽의 상면 상에 배치되는 돌출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은 상기 제3 측벽과 상기 제4 측벽에 비하여 길이가 길고,
    상기 제1 내지 제4 측벽들의 외측면은 상기 몸체의 외측면을 이루고,
    상기 제1 리드 프레임의 일단은 상기 제3 측벽의 외측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2 리드 프레임의 일단은 상기 제4 측벽의 외측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1 측벽의 외측면과 상기 발광 소자까지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2 측벽의 외측면과 상기 발광 소자까지의 이격거리와 동일하고, 상기 제3 측벽의 외측면과 상기 발광 소자까지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4 측벽의 외측면과 상기 발광 소자까지의 이격거리와 동일하고,
    상기 돌출 측벽의 높이는 상기 제2 측벽의 상면의 높이보다 높고,
    상기 돌출 측벽에 의하여 상기 몸체의 캐비티를 통하여 출사되는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 조사된 빛의 출사각은 비대칭적인 발광 소자 패키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드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기 돌출 측벽의 기울어진 각도는 상기 제1 측벽의 기울어진 각도와 동일한 발광 소자 패키지.
  5.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 리드 프레임 및 제2 리드 프레임;
    상기 제1 리드 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발광 소자; 및
    반사 측벽을 포함하는 캐비티를 갖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 측벽은 상기 발광 소자를 주위를 둘러싸고 상기 제1 리드 프레임과 상기 제2 리드 프레임 상에 배치되는 제1 내지 제4 측벽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은 서로 마주보고, 상기 제3 측벽과 상기 제4 측벽은 서로 마주보고,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은 상기 제3 측벽과 상기 제4 측벽에 비하여 길이가 길고,
    상기 제1 리드 프레임의 일단은 상기 제3 측벽의 외측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2 리드 프레임의 일단은 상기 제4 측벽의 외측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1 리드 프레임의 하면 및 상기 제2 리드 프레임의 하면 각각은 상기 몸체의 하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1 측벽으로부터 상기 발광 소자까지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2 측벽으로부터 상기 발광 소자까지의 이격 거리와 다르고,
    상기 제1 측벽의 기울어진 각도는 상기 제2 측벽의 기울어진 각도와 동일하고,
    상기 제1 측벽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발광 소자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2 측벽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발광 소자까지의 거리와 동일하고, 상기 제1 측벽의 두께와 상기 제2 측벽의 두께는 서로 다르고,
    상기 몸체의 캐비티를 통하여 출사되는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 조사된 빛의 출사각은 비대칭적인 발광 소자 패키지.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10064972A 2011-06-30 2011-06-30 발광 소자 패키지 Active KR101830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972A KR101830717B1 (ko) 2011-06-30 2011-06-30 발광 소자 패키지
US13/367,043 US8801232B2 (en) 2011-06-30 2012-02-06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display device therewith
CN201210059466.XA CN102856479B (zh) 2011-06-30 2012-03-08 发光器件封装和具有该发光器件封装的显示装置
EP12158913.9A EP2541633B1 (en) 2011-06-30 2012-03-09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972A KR101830717B1 (ko) 2011-06-30 2011-06-30 발광 소자 패키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275A KR20130007275A (ko) 2013-01-18
KR101830717B1 true KR101830717B1 (ko) 2018-02-21

Family

ID=45808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4972A Active KR101830717B1 (ko) 2011-06-30 2011-06-30 발광 소자 패키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01232B2 (ko)
EP (1) EP2541633B1 (ko)
KR (1) KR101830717B1 (ko)
CN (1) CN1028564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35632A (zh) * 2012-12-20 2013-04-10 日月光半导体制造股份有限公司 发光封装体及其制造方法
EP2948709B1 (en) 2013-01-25 2016-10-05 Koninklijke Philips N.V. Lighting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lighting assembly
US20140208689A1 (en) 2013-01-25 2014-07-31 Renee Joyal Hypodermic syringe assist apparatus and method
KR102385941B1 (ko) 2015-06-15 2022-04-13 쑤저우 레킨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발광 소자 패키지
US10862014B2 (en) * 2015-11-12 2020-12-08 Advanced Semiconductor Engineering, Inc. Optical device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6790416B2 (ja) * 2016-03-31 2020-11-25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
KR20180032206A (ko) * 2016-09-21 2018-03-29 포산 내션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코., 엘티디 Led 지지대, led 소자 및 led 스크린
US10763639B2 (en) * 2018-02-12 2020-09-01 Lumentum Operations Llc Emitter-on-sub-mount device
JP7337590B2 (ja) * 2019-08-05 2023-09-04 ローム株式会社 半導体発光装置
CN114447177A (zh) * 2020-11-02 2022-05-06 隆达电子股份有限公司 发光二极管封装体
US12328977B2 (en) * 2021-06-02 2025-06-10 Lumens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pakage
US20240028090A1 (en) * 2022-07-22 2024-01-2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ystems having a display unit and interchangeable bezel trim pieces for securing theret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3604A (ja) * 2004-12-10 2006-06-29 Agilent Technol Inc 区画を持つ発光ダイオード・ディスプレイ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4139A (ja) * 2001-04-09 2002-10-25 Toshiba Corp 発光装置
JP4922555B2 (ja) * 2004-09-24 2012-04-25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Led装置
US7316488B2 (en) * 2005-02-07 2008-01-08 Philips Lumileds Lighting Company, Llc Beam shutter in LED package
KR100665216B1 (ko) * 2005-07-04 2007-01-09 삼성전기주식회사 개선된 측벽 반사 구조를 갖는 측면형 발광다이오드
DE102005059524A1 (de) * 2005-09-30 2007-04-05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Gehäuse für ein elektromagnetische Strahlung emittierendes optoelektronisches Bauelement, Bauelement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Gehäuses oder eines Bauelements
US11210971B2 (en) * 2009-07-06 2021-12-28 Cree Huizhou Solid State Lighting Company Limited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with tilted peak emission pattern
JP5150133B2 (ja) * 2007-05-08 2013-02-20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前照灯光源用ledランプ
KR101104034B1 (ko) * 2007-12-06 2012-01-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 발광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201204211Y (zh) * 2008-04-18 2009-03-04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发光二极管、背光模组与液晶显示装置
TWI456784B (zh) * 2008-07-29 2014-10-11 Nichia Corp 發光裝置
DE102008048846B4 (de) * 2008-09-25 2024-11-28 OSRAM Opto Semiconductors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Optoelektronisches Bauteil
KR101491485B1 (ko) * 2008-11-18 2015-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측면 방출형 발광장치 및 선광원형 발광장치
US8525213B2 (en) * 2010-03-30 2013-09-03 Lg Innotek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multiple cavities and light unit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3604A (ja) * 2004-12-10 2006-06-29 Agilent Technol Inc 区画を持つ発光ダイオード・ディスプレ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275A (ko) 2013-01-18
US8801232B2 (en) 2014-08-12
US20120134178A1 (en) 2012-05-31
EP2541633A3 (en) 2014-12-31
CN102856479B (zh) 2016-12-14
EP2541633B1 (en) 2018-02-21
EP2541633A2 (en) 2013-01-02
CN102856479A (zh) 201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0717B1 (ko) 발광 소자 패키지
KR101064036B1 (ko) 발광 소자 패키지 및 조명 시스템
KR101659357B1 (ko) 발광소자패키지
KR102076243B1 (ko) 발광 소자 패키지
US20150340576A1 (en) Light-emitting device, illumination device and backlight for display device
US9748452B2 (en) Light-emitting element package
KR20120045539A (ko) 발광소자 패키지
TWI573245B (zh) 發光二極體燈條
KR102432222B1 (ko) 광학 플레이트, 조명 소자 및 광원 모듈
KR101998762B1 (ko) 발광 소자 패키지
KR101797968B1 (ko) 발광소자 패키지
KR102719655B1 (ko) 광학 렌즈, 및 이를 구비한 라이트 유닛 및 조명 장치
KR20130007276A (ko) 발광 소자 패키지
KR102451866B1 (ko) 광학 플레이트, 조명 소자 및 광원 모듈
KR20190076935A (ko) 발광 소자 패키지
KR20140096847A (ko) 발광소자 모듈
KR20140089765A (ko) 발광 소자 패키지
KR101877410B1 (ko) 발광소자 패키지
KR102075522B1 (ko) 발광소자패키지
KR20130117572A (ko) 발광소자 패키지 및 백라이트 유닛
KR101880058B1 (ko) 발광 소자 패키지 및 조명 장치
KR101928358B1 (ko) 발광소자 패키지
KR20220137587A (ko) 광학 플레이트, 조명 소자 및 광원 모듈
KR101735310B1 (ko) 발광소자 패키지
KR101778151B1 (ko) 발광소자 패키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6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6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5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2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