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26540B1 -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6540B1
KR101826540B1 KR1020120097311A KR20120097311A KR101826540B1 KR 101826540 B1 KR101826540 B1 KR 101826540B1 KR 1020120097311 A KR1020120097311 A KR 1020120097311A KR 20120097311 A KR20120097311 A KR 20120097311A KR 101826540 B1 KR101826540 B1 KR 101826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rash box
width direction
bumper beam
guide brack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0763A (ko
Inventor
한민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7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540B1/ko
Priority to US13/708,774 priority patent/US8720961B2/en
Publication of KR20140030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0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54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26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 B60R19/3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destroyed upon impact, e.g. one-sho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04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formed from more than one section in a side-by-side arran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8Details of structures as upper supports for springs or dam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충격흡수장치가 개시된다.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배치된 범퍼 빔과,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좌우 양측에 배치된 사이드 멤버, 상기 범퍼 빔의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좌우 양측 부위를 상기 사이드 멤버에 연결하는 크래쉬 박스, 상기 사이드 멤버보다 상기 차량의 폭 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된 펜더 에이프런 멤버, 상기 펜더 에이프런 멤버와 상기 사이드 멤버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사이드 멤버보다 상기 차량의 폭 방향으로 외측에 위치한 상기 범퍼 빔의 외곽 부위에 그 전방 선단부가 장착되고, 그 후방 선단부를 상기 연결부재에 대해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된 사이드 크래쉬 박스를 포함하여, 차량의 전방 오프셋 충돌 대응 성능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충격흡수장치{Impact absorbin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크래쉬 박스의 외측으로 사이드 크래쉬 박스를 설치한 차량용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충격흡수장치는 차량이 보행자나 다른 차량 혹은 물체와의 충돌시에 그 충격을 흡수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하며, 동시에 차체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방 및 후방에 장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차량용 충격흡수장치는, 빔 형상으로 제작되어 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서 차량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범퍼 빔(1)과, 이 범퍼 빔(1)의 후방에서 상기 범퍼 빔(1)의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양측 부위에 각각 장착되는 크래쉬 박스(2)를 포함한다.
상기 크래쉬 박스(2)의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전방 선단부는 상기 범퍼 빔(1)에 스테이 브래킷을 매개로 장착되고, 상기 크래쉬 박스(2)의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후방 선단부는 사이드 멤버(3)에 직접 장착되어 지지된다.
상기 사이드 멤버(3)는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좌우 양측에 배치되고,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차체를 구성한다.
상기 크래쉬 박스(2)는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의 사각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범퍼 빔(1)과 크래쉬 박스(2)를 장착한 차량이 전방 충돌할 경우에 상기 범퍼 빔(1)이 전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범퍼 빔(1)이 우선적으로 충돌 에너지를 받아 변형되면서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여 저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범퍼 빔(1)에서 흡수되지 못한 일부 충돌 에너지는 상기 범퍼 빔(1)과 연결된 상기 크래쉬 박스(2)로 전달되고, 상기 크래쉬 박스(2)도 충돌 에너지를 전달받아 변형되면서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여 저감하게 된다.
상기 범퍼 빔(1)과 크래쉬 박스(2)로 이루어진 충격흡수장치에서 미처 흡수되지 못한 충돌 에너지는 상기 크래쉬 박스(2)와 연결된 사이드 멤버(3)로 전달되고, 상기 사이드 멤버(3)도 충돌 에너지를 전달받아 변형되면서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여 저감하게 된다.
상기 사이드 멤버(3)는 차체를 구성하는 다른 부품들과도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사이드 멤버(3)로 전달된 충돌 에너지는 사이드 멤버를 통해 차체의 다른 부위로도 전달되어 분산되게 된다.
그런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리어(4; barrier)와 같은 충돌 물체가 차량의 한쪽 측부에 위치하여, 즉 상기 사이드 멤버(3)보다 차량의 폭 방향 외측으로 위치하여, 상기 배리어(4)와 차량이 전방 25% 오프셋 충돌할 경우에, 상기 배리어(4)는 상기 사이드 멤버(3)와 오브랩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배리어(4)는 상기 범퍼 빔(1)의 양측 외곽 부위(1a)를 치고 들어가서 차량의 타이어 부분과 충돌하게 되고, 상기 타이어는 배리어(4)에 의해 차실 쪽으로 밀려들어가서 운전석 하부 영역을 타격하여 운전자와 탑승자의 상해를 가중시킨다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사이드 멤버의 외측 부위에서 차량이 사람이나 물체 혹은 다른 차량과 전방 오프셋 충돌할 경우에, 그 충돌 에너지를 사이드 멤버와 차체의 다른 부위로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차체의 변형을 줄이고, 탑승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충격흡수장치는,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배치된 범퍼 빔과,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좌우 양측에 배치된 사이드 멤버, 상기 범퍼 빔의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좌우 양측 부위를 상기 사이드 멤버에 연결하는 크래쉬 박스, 상기 사이드 멤버보다 상기 차량의 폭 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된 펜더 에이프런 멤버, 상기 펜더 에이프런 멤버와 상기 사이드 멤버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사이드 멤버보다 상기 차량의 폭 방향으로 외측에 위치한 상기 범퍼 빔의 외곽 부위에 그 전방 선단부가 장착되고, 그 후방 선단부는 상기 연결부재에 대해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된 사이드 크래쉬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크래쉬 박스는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크래쉬 박스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개의 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의 삼각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에는 상기 사이드 크래쉬 박스의 후방 선단부와 대향하도록 장착된 가이드 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브래킷에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브래킷이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상기 플랜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소정 간격은 차량이 저속으로 전방 오프셋 충돌할 경우에 상기 사이드 크래쉬 박스의 후방 선단부가 상기 가이드 브래킷과 접촉되지 않도록 유지하는 저속 충돌 대응 유지 간격일 수 있다.
상기 소정 간격은 차량이 5kph 이하의 속도로 전방 15% 이하의 오프셋 충돌할 경우에 상기 사이드 크래쉬 박스의 후방 선단부가 상기 가이드 브래킷과 접촉되지 않도록 유지하는 저속 충돌 대응 유지 간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충격흡수장치에 의하면,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사이드 멤버보다 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범퍼 빔의 양측 외곽 부위에 사이드 크래쉬 박스가 장착되어, 차량의 전방 오프셋 충돌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사이드 크래쉬 박스는 상기 범퍼 빔의 양측 외곽 부위에서 사이드 멤버와 펜더 에이프런 멤버 사이의 연결부재를 향해 장착되어, 차량이 상기 범퍼 빔의 양측 외곽 부위에서 사람이나 물체 혹은 다른 차량과 오프셋 충돌할 경우에 상기 사이드 크래쉬 박스가 충돌 에너지를 전달받아 상기 연결부재 쪽으로 밀려서 변형되고, 이러한 과정에 충돌 에너지를 1차적으로 흡수하여 저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크래쉬 박스에서 흡수되지 못한 충돌 에너지는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사이드 멤버와 펜더 에이프런 멤버 쪽으로 전달되어 차체의 다른 부위로 분산됨으로써, 충돌 에너지의 집중으로 인한 차체의 충돌 손상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충돌 에너지가 사이드 크래쉬 박스를 통해 차체의 다른 부위로 효과적으로 분산됨으로써, 차실 쪽으로 전달되는 충돌 에너지의 전달양이 줄어들어 탑승자의 충돌 상해를 경감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크래쉬 박스는 상기 연결부재와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장착되어, 차량이 범퍼 빔의 외곽 양측 부위에서 저속으로 전방 오프셋 충돌할 경우에는, 그 충돌 에너지가 상기 범퍼 빔에서 완전히 흡수되면서 범퍼 빔만의 변형이 이루어지고, 상기 사이드 크래쉬 박스는 상기 연결부재와 충돌하지 않고 본래의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변형된 범퍼 빔만을 보수하면 되므로, 보수비용이 증가하지 않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충격흡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전방 차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이드 크래쉬 박스가 범퍼 빔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이드 멤버와 펜더 에이프런 멤버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장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이드 크래쉬 박스와 연결부재의 장착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충격흡수장치는,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 범퍼 빔(10)과, 이 범퍼 빔(10)의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양측 부위를 차체를 구성하는 사이드 멤버(11)에 연결하는 크래쉬 박스(20) 및, 상기 사이드 멤버(11)보다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외측에서 상기 범퍼 빔(10)의 양측 외곽 부위에 설치된 사이드 크래쉬 박스(30)를 각각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범퍼 빔(10)은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 단면을 가진 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공 단면은 범퍼 빔(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한쪽 선단부에서부터 다른쪽 선단부까지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범퍼 빔(10)의 중공 단면은 대체로 사각 형상을 갖지만, 기타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범퍼 빔(10)에서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후면에 상기 크래쉬 박스(20)의 전방 선단부가 스테이 브래킷(12)을 매개로 장착된다.
상기 크래쉬 박스(2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의 사각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다수개의 비드(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크래쉬 박스(20)의 후방 선단부에는 마운팅 브래킷(22)이 부착되고, 상기 마운팅 브래킷(22)이 상기 사이드 멤버(11)에 장착되어, 상기 범퍼 빔(10)이 상기 크래쉬 박스(20)와 마운팅 브래킷(22)을 매개로 상기 사이드 멤버(11)에 장착되어 지지된다.
상기 범퍼 빔(10)에서 상기 사이드 멤버(11)보다 차량의 폭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범퍼 빔(10)의 양측 외곽 부위(10a)에는 상기 사이드 크래쉬 박스(30)의 전방 선단부가 스테이 브래킷(31)을 매개로 장착된다.
상기 사이드 크래쉬 박스(30)도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의 박스 형상을 가지고,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다수개의 비드(30b)가 형성된다.
상기 사이드 크래쉬 박스(30)는 상기 크래쉬 박스(20)와 달리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른 후방을 향해 소정 각도로 비스듬히 경사지게 장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펜더 에이프런 멤버(32)는 상기 사이드 멤버(11)보다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사이드 멤버(11)에서 상기 펜더 에이프런 멤버(32)를 향하는 일측면에는 연결부재(40)가 부착되고, 상기 연결부재(40)에 상기 펜더 에이프런 멤버(32)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사이드 멤버(11)와 상기 펜더 에이프런 멤버(32)는 상기 연결부재(40)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재(40)는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의 삼각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삼각 박스 형상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플랜지가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가 상기 사이드 멤버(11)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부착된다.
상기 삼각 박스 형상의 빗면에 상기 펜더 에이프런 멤버(32)의 선단부가 끼워지는 형태로 연결되어 일체로 부착된다.
상기 삼각 박스 형상에서 상기 사이드 크래쉬 박스(30)를 향하는 대향면에는 가이드 브래킷(50)이 부착된다.
상기 가이드 브래킷(50)은 대체로 사각 브래킷 형상을 하고서 상기 삼각 박스의 내부로 삽입되어 장착된다.
즉 상기 연결부재(40)의 대향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 브래킷(50)에는 그 가장자리를 따라서 플랜지를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 브래킷(5)을 상기 개구부를 통해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를 상기 개구부의 가장자리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부착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브래킷(50)은 상기 사이드 크래쉬 박스(30)가 상기 연결부재(40) 쪽으로 밀릴 때에 사이드 크래쉬 박스(30)와 밀착되어 충돌 에너지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사이드 크래쉬 박스(30)의 후방 선단부(30a)가 상기 가이드 브래킷(50)과 대향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브래킷(50)에 대해 소정 간격(L) 만큼 이격되도록 범퍼 빔(10)의 양측 외곽 부위(10a)의 후면에 상기 사이드 크래쉬 박스(30)의 전방 선단부가 장착된다.
상기 소정 간격(L)은 차량이 저속으로 전방 오프셋 충돌 할 경우에, 예를 들면 차량이 5kph의 이하의 속도로 전방 15% 이하의 오프셋 충돌할 경우에 상기 사이드 크래쉬 박스(30)가 상기 가이드 브래킷(50)을 타격하지 않도록 하는 저속 충돌 대응 유지 간격(L)이다.
즉 차량이 저속으로 오프셋 충돌할 경우에 상기 범퍼 빔(10)만이 충돌 에너지를 전달받아 변형되면서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도록 하고, 상기 사이드 크래쉬 박스(30)는 상기 가이드 브래킷(50)과 접촉되지 않고 상기 저속 충돌 대응 유지 간격 내에 있도록 한다.
따라서 차량이 저속으로 전방 오프셋 충돌할 경우에 상기 사이드 크래쉬 박스(30)는 상기 가이드 브래킷(50)과 접촉되지 않아서 파손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차량의 저속 오프셋 충돌 사고 이후에 상기 사이드 크래쉬 박스는 보수할 필요가 없고, 상기 범퍼 빔 만을 보수하면 되므로, 차량의 보수비용이 절감되게 된다.
한편 차량이 예를 들면 전방 25% 오프셋(스몰 오브랩) 충돌할 경우에, 상기 사이드 크래쉬 박스(30)는 충돌 에너지를 전달받아 차량의 후방으로 이동해서 상기 가이드 브래킷(50)을 타격하고, 이 과정에 상기 사이드 크래쉬 박스(30)는 충돌 에너지로 인해 변형되면서 충돌 에너지의 일부를 흡수하여 저감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크래쉬 박스(30)에 의해 흡수되지 못한 충돌 에너지는 상기 가이드 브래킷(50)을 통해 상기 연결부재(40)로 전달된다.
상기 연결부재(40)는 상기 사이드 멤버(11)와 펜더 에이프런 멤버(32)를 연결하고 있으므로, 상기 연결부재(40)에 전달된 충돌 에너지가 상기 사이드 멤버(11)와 펜더 에이프런 멤버(32)를 통해 차체의 다른 부위로 효과적으로 분산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격흡수장치의 충돌대응성능이 향상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범퍼 빔 10a: 양측 외곽 부위
11: 사이드 멤버 12: 스테이 브래킷
20: 크래쉬 박스 21: 비드
22: 마운팅 브래킷 30: 사이드 크래쉬 박스
31: 스테이 브래킷 40: 연결부재
50: 가이드 브래킷

Claims (8)

  1.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배치된 범퍼 빔과;
    차량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좌우 양측에 배치된 사이드 멤버;
    상기 범퍼 빔의 상기 차량의 폭 방향을 따른 좌우 양측 부위를 상기 사이드 멤버에 연결하는 크래쉬 박스;
    상기 사이드 멤버보다 상기 차량의 폭 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된 펜더 에이프런 멤버;
    상기 펜더 에이프런 멤버와 상기 사이드 멤버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사이드 멤버보다 상기 차량의 폭 방향으로 외측에 위치한 상기 범퍼 빔의 양측 외곽 부위에 그 전방 선단부가 장착되고, 그 후방 선단부는 상기 연결부재에 대해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된 사이드 크래쉬 박스;
    를 포함하는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크래쉬 박스는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크래쉬 박스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개의 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의 삼각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사이드 크래쉬 박스의 후방 선단부와 대향하도록 장착된 가이드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브래킷에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브래킷이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상기 플랜지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간격은 차량이 저속으로 전방 오프셋 충돌할 경우에 상기 사이드 크래쉬 박스의 후방 선단부가 상기 가이드 브래킷과 접촉되지 않도록 유지하는 저속 충돌 대응 유지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간격은 차량이 5kph 이하의 속도로 전방 15% 이하의 오프셋 충돌할 경우에 상기 사이드 크래쉬 박스의 후방 선단부가 상기 가이드 브래킷과 접촉되지 않도록 유지하는 저속 충돌 대응 유지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KR1020120097311A 2012-09-03 2012-09-03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Active KR101826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311A KR101826540B1 (ko) 2012-09-03 2012-09-03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US13/708,774 US8720961B2 (en) 2012-09-03 2012-12-07 Impact absorbing device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311A KR101826540B1 (ko) 2012-09-03 2012-09-03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0763A KR20140030763A (ko) 2014-03-12
KR101826540B1 true KR101826540B1 (ko) 2018-02-07

Family

ID=50186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311A Active KR101826540B1 (ko) 2012-09-03 2012-09-03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720961B2 (ko)
KR (1) KR1018265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337269B (es) * 2010-09-28 2016-02-22 Magna Int Inc Capsula de aplastamiento escalable para vehiculo.
JP5287927B2 (ja) * 2011-05-13 2013-09-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構造
US8789877B2 (en) 2012-03-19 2014-07-29 Honda Motor Co., Ltd.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EP2851272B1 (en) * 2012-05-18 2016-10-05 Nissan Motor Co., Ltd. Structure for front part of vehicle body
JP5880320B2 (ja) * 2012-07-06 2016-03-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US20140091585A1 (en) * 2012-10-02 2014-04-03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Small overlap frontal impact counter-measure
US9550463B2 (en) * 2012-12-07 2017-01-2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body end section structure
DE102013007348A1 (de) * 2013-04-27 2014-10-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Stoßfängeranordn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5924308B2 (ja) * 2013-06-03 2016-05-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JP6048318B2 (ja) * 2013-06-05 2016-12-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KR101500366B1 (ko) * 2013-09-27 2015-03-09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전방 충돌에너지 흡수 구조
US8991903B1 (en) * 2013-10-04 2015-03-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flector-catcher for small overlap vehicle impacts
US9193318B2 (en) * 2013-10-14 2015-11-2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tepped dual tube deflector
JP6020497B2 (ja) * 2014-03-24 2016-11-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エネルギ吸収構造及びエネルギ吸収部材
US9421927B2 (en) * 2014-03-27 2016-08-2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load transfer apparatus
DE102014206674A1 (de) * 2014-04-07 2015-10-0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arosserie für ein Kraftfahrzeug
CN105313976B (zh) * 2014-07-31 2017-12-15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车辆的车身和具有其的车辆
JP2016037074A (ja) 2014-08-05 2016-03-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前部構造
US9180829B1 (en) * 2014-09-10 2015-11-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arbon fiber wrapped aluminum dual tube deflector
WO2016038987A1 (ja) * 2014-09-12 2016-03-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US9315167B1 (en) 2014-10-07 2016-04-19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Bumpers including a reinforcement bracket and vehicles incorporating the same
JP2016078492A (ja) * 2014-10-10 2016-05-16 トヨタ自動車東日本株式会社 車両前部構造
US9527463B2 (en) * 2014-12-01 2016-12-27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Bumper assemblies including spacer members and vehicles incorporating the same
JP6517558B2 (ja) * 2015-03-26 2019-05-2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バンパー構造
CN106005018B (zh) * 2015-03-27 2018-03-20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车身前部结构
JP6178361B2 (ja) * 2015-05-12 2017-08-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前部構造
KR101703612B1 (ko) * 2015-06-16 2017-02-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방 차체 보강구조 및 그 조립방법
DE102015211544A1 (de) * 2015-06-23 2016-12-2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bstützeinrichtung für einen Vorderwagen eines Personenkraftfahrzeugs
FR3041580B1 (fr) * 2015-09-30 2018-08-24 Psa Automobiles Sa. Structure de vehicule comportant un dispositif de renfort et vehicule comportant une telle structure
JP6215891B2 (ja) * 2015-10-15 2017-10-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衝撃吸収部材付き車体構造
FR3044986B1 (fr) * 2015-12-11 2019-05-17 Compagnie Plastic Omnium Poutre de chocs pour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e traverse et un absorbeur de chocs
DE102016201008B4 (de) * 2016-01-25 2019-05-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toßfängereinheit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6012183B4 (de) * 2016-10-12 2018-08-23 Audi Ag Crashstruktur für ein Fahrzeug
KR102429004B1 (ko) * 2016-12-15 2022-08-03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스몰 오버랩 충돌에 대응하는 차체 보강구조
KR102371239B1 (ko) * 2017-04-21 2022-03-04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방 차체 보강구조
WO2019042554A1 (en) * 2017-08-31 2019-03-07 Volvo Truck Corporation FRONT INSULATION PROTECTION ASSEMBLY
TWI651224B (zh) * 2017-11-21 2019-02-21 財團法人金屬工業研究發展中心 衝擊吸能裝置
JP6866831B2 (ja) * 2017-11-24 2021-04-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前部車体構造
JP6581645B2 (ja) * 2017-12-06 2019-09-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構造
SE1751561A1 (en) * 2017-12-18 2019-06-19 Gestamp Hardtech Ab Crash box for a bumper
US10906596B2 (en) * 2018-01-09 2021-02-02 Faurecia Automotive Composites Structural part of a body in white of a vehicle and associated manufacturing method
JP7020220B2 (ja) * 2018-03-20 2022-02-16 マツダ株式会社 後部車体構造
JP6703559B2 (ja) * 2018-03-29 2020-06-03 株式会社Subaru 車両の前部車体構造
EP3718830B1 (en) 2019-04-01 2022-10-12 Volvo Car Corporation One piece load distribution device
KR102663542B1 (ko) * 2019-05-07 2024-05-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프런트엔드모듈 프레임
JP7115414B2 (ja) * 2019-05-08 2022-08-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前部構造
US11097678B2 (en) 2019-08-23 2021-08-24 Volvo Car Corporation Automotive side rail crush can fastening assembly
US11034316B2 (en) 2019-08-23 2021-06-15 Volvo Car Corporation Mounting arrangement for coupling a bumper beam to a crash box and side rail of a vehicle
CN110481477B (zh) * 2019-08-28 2021-04-20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吸能结构和具有其的车辆
CN110606038B (zh) * 2019-09-17 2023-04-18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汽车防撞梁和吸能盒的连接结构
KR102805470B1 (ko) * 2020-05-11 2025-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프론트엔드구조
US11827167B2 (en) * 2020-06-25 2023-11-28 Rivian Ip Holdings, Llc Wheel deflector for a small overlap crash
CN115027569B (zh) * 2022-07-19 2024-06-18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车身前部传力结构及车辆
CN115285052A (zh) * 2022-08-08 2022-11-04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集成式前防护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3455A (ja) 2008-10-02 2010-04-15 Honda Motor Co Ltd 車体前部構造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011192A1 (it) 2001-06-06 2002-12-06 Adlev Srl Struttura di protezione per veicoli
JP4004924B2 (ja) * 2002-10-29 2007-11-0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バンパ装置
DE102005039489B4 (de) * 2005-08-18 2009-01-02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Stoßfänger für ein Kraftfahrzeug
US8287013B2 (en) * 2007-11-05 2012-10-16 Toyoda Iron Works Co., Ltd. Impact absorbing member for vehicle
JP4926018B2 (ja) 2007-12-06 2012-05-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JP5217574B2 (ja) 2008-04-01 2013-06-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バンパの取付構造
US7677617B2 (en) * 2008-07-24 2010-03-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Efficient joint for vehicle energy-absorbing device
DE102009025310B4 (de) * 2009-06-15 2012-08-23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Stoßfänger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3455A (ja) 2008-10-02 2010-04-15 Honda Motor Co Ltd 車体前部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62106A1 (en) 2014-03-06
US8720961B2 (en) 2014-05-13
KR20140030763A (ko) 201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6540B1 (ko)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KR101588752B1 (ko) 스몰 오버랩 충돌대응 차체보강구조
KR101416387B1 (ko) 차량용 전방 충돌 충격흡수장치
KR101448747B1 (ko) 전방 차체 구조
CN108016506B (zh) 车辆机舱总成
US9260135B2 (en) Deflector structure
KR20140074765A (ko)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KR101703612B1 (ko) 전방 차체 보강구조 및 그 조립방법
KR101055071B1 (ko) 저속 충돌시 수리비 절감을 위한 범퍼 레일
KR20180118327A (ko) 전방 차체 보강구조
JP6432730B2 (ja) 車両の前部構造
KR20120029947A (ko) 차량용 완충장치
CN203318330U (zh) 一种客车前碰吸能机构
US12116041B2 (en) Front face structural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KR20130136302A (ko) 차량용 범퍼 어셈블리
KR101755495B1 (ko) 전방 충돌대응 차체보강구조
JP2012224275A (ja) フロントアンダーランプロテクタ
CN216734500U (zh) 车辆的车身组件以及车辆
CN107472176B (zh) 防撞装置及具有该防撞装置的汽车
KR20050112342A (ko) 차량의 크래쉬 박스
KR101588801B1 (ko) 전방 충돌대응 차체보강구조
KR101438286B1 (ko) 충돌 성능을 향상시킨 범퍼 백빔
KR20110071250A (ko) 차량 범퍼의 크래쉬 박스
KR102002309B1 (ko) 차량용 리어 범퍼 빔
CN110001561A (zh) 用于车辆的前保险杠组件支撑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10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9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