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5105B1 - 지지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 Google Patents
지지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25105B1 KR101825105B1 KR1020150191011A KR20150191011A KR101825105B1 KR 101825105 B1 KR101825105 B1 KR 101825105B1 KR 1020150191011 A KR1020150191011 A KR 1020150191011A KR 20150191011 A KR20150191011 A KR 20150191011A KR 101825105 B1 KR101825105 B1 KR 1018251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king
- coupling
- engaging portion
- engaging
- connecting me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76—Anchorings for bulkheads or sections thereof in as much a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7—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eans incorporating sheet piles or pi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매설 구조물의 사시도.
도 2는 매설 구조물의 평면도.
도 3은 흙막이 구조물의 평면도.
도 4 이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 내지 6은 지지말뚝과 연결부재의 결합과정에 관한 평면도.
도 7은 결합부의 사시도.
도 8은 지지말뚝의 제1 실시예의 정면도.
도 9는 지지말뚝의 제1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10은 지지말뚝의 제2 실시예의 정면도.
도 11은 흙막이 구조물의 평면도.
41 : 로드부 42 : 헤드부
43 : 록킹부 100 : 지지말뚝
110 : 본체 111 : 전방플랜지
112 : 웹 113 : 후방플랜지
114 : 잔여부 115 : 인입공
120 : 결합부 121 : 걸림공
122 : 걸림부 123 : 록킹부 지지부
124 : 전후방향 경사부 125 : 측벽부
131 : 상판 132 : 하판
133 : 중앙판 134 : 외측판
135 : 상하방향 경사부
Claims (13)
- 지중에 수직방향으로 매설되도록 형성된 본체(110);
전단이 전방의 흙막이 벽체(10)에 결합한 연결부재(40)의 후단의 록킹부(43)가 회전에 의해 걸려 결합하도록, 전방에 걸림공(121)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공(121) 양측에 걸림부(122)가 형성되며 후방에 록킹부 지지부(123)가 형성된 결합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120)에 결합한 상기 연결부재(40)의 록킹부(43)는 상기 걸림부(122)에 의해 전방으로 지지되고, 상기 록킹부 지지부(123)에 의해 후방으로 지지되고,
상기 본체(110)는 H 파일이고,
상기 결합부(120)는 상기 본체(110)의 전방플랜지(111) 및 웹(112)의 일부의 절개에 의해 형성된 내부영역에 설치되고,
상기 록킹부 지지부(123)는 상기 본체(110)의 후방 플랜지(113)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웹(112)의 절개 후 잔여부(114)는 돌출구조에 의해 상기 록킹부(43)의 후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말뚝(1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20)는,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구조로 상기 걸림공(121)의 양측에 형성된 전후방향 경사부(124);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122)는 상기 전후방향 경사부(124)의 후단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말뚝(100).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20)는,
상기 연결부재(40)의 록킹부(43)가 상기 결합부(120)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40)의 록킹부(43)의 측방향 유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걸림부(122)의 후방에 형성된 측벽부(12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말뚝(100).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전후방향 경사부(124), 걸림부(122) 및 측벽부(125)는 판 구조로 상기 본체(110)의 내부영역에 설치되고,
전후방향 경사부(124)는 상기 본체(110)의 전방 플랜지(111)의 절개에 의해 형성된 인입공(115)과 상기 걸림공(121)의 사이 영역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말뚝(100).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향 경사부(124), 걸림부(122) 및 측벽부(125)의 상단에 결합하여 상기 결합부(120)의 상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결합부(120)의 상부에 설치된 상판(131);
상기 전후방향 경사부(124), 걸림부(122) 및 측벽부(125)의 하단에 결합하여 상기 결합부(120)의 하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결합부(120)의 하부에 설치된 하판(13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말뚝(100).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방향 경사부(124), 걸림부(122) 및 측벽부(125)의 중앙부에 결합하여 상기 결합부(120)를 보강하도록, 상기 결합부(120)의 중앙부에 설치된 중앙판(13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말뚝(1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120)의 양 외측을 보호하도록, 상기 전방플랜지(111) 및 후방플랜지(113)의 외측 가장자리에 설치된 외측판(13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말뚝(100). - 제1항에 있어서,
중앙이 상측으로 돌출되고, 양측이 하향경사지도록, 상기 결합부(120)의 상부에 형성된 상하방향 경사부(13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말뚝(100).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방향 경사부(135)의 상단은 상기 결합부(120)의 상부의 웹(112)에 결합하고, 상기 상하방향 경사부(135)의 전후단은 각각 상기 결합부(120)의 상부의 전방플랜지(111) 및 후방플랜지(113)에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말뚝(100). - 제1항 내지 제3항,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지지말뚝(100)을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로서,
흙막이 벽체(10);
전단이 상기 흙막이 벽체(10)에 결합한 연결부재(40);
상기 흙막이 벽체(10)의 후방에 매설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부재(40)의 후단의 록킹부(43)가 회전에 의해 걸려 결합하는 상기 지지말뚝(100);을 포함하고,
상기 흙막이 벽체(10)는 상기 지지말뚝(100)에 의해 전방 및 후방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구조물.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40)는
로드부(41);
상기 흙막이 벽체(10)에 지지되도록, 상기 로드부(41)의 전단에 형성된 헤드부(42);
상기 걸림공(121)을 통과하여 상기 지지말뚝(100)의 결합부(120)에 록킹하도록, 상기 로드부(41)의 후단에서 양측으로 연장된 구조로 형성된 록킹부(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구조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91011A KR101825105B1 (ko) | 2015-12-31 | 2015-12-31 | 지지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91011A KR101825105B1 (ko) | 2015-12-31 | 2015-12-31 | 지지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80953A KR20170080953A (ko) | 2017-07-11 |
KR101825105B1 true KR101825105B1 (ko) | 2018-03-23 |
Family
ID=59355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91011A Active KR101825105B1 (ko) | 2015-12-31 | 2015-12-31 | 지지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2510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68512B1 (ko) | 2023-11-29 | 2025-02-17 | 주식회사 진우엔지니어링코리아 | 개량형 지반보강식 흙막이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531821B (zh) * | 2024-07-17 | 2024-10-22 | 集美大学 | 一种边坡复合锚固装置 |
-
2015
- 2015-12-31 KR KR1020150191011A patent/KR101825105B1/ko active Activ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68512B1 (ko) | 2023-11-29 | 2025-02-17 | 주식회사 진우엔지니어링코리아 | 개량형 지반보강식 흙막이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80953A (ko) | 2017-07-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52163B1 (ko) | 옹벽용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 |
KR100950778B1 (ko) | 녹화용 옹벽구조물 설치용 기구 | |
KR101825105B1 (ko) | 지지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 |
KR20160041396A (ko) | 토낭 연결 및 보강 부재 | |
KR101558867B1 (ko) | 토낭 연결 및 보강 부재 | |
KR102135476B1 (ko) | 스토퍼가 구비된 대형 옹벽 블록 | |
KR100938493B1 (ko) | 보강토 옹벽 지지 스트립 | |
KR102240428B1 (ko) | 말뚝의 슬라이딩 선단확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말뚝의 시공방법 | |
KR101680872B1 (ko) | 마이크로 파일 내하체 및 이를 이용한 마이크로 파일 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 |
KR102191389B1 (ko) | 보강토 옹벽 설치용 바 연결장치 | |
KR101221118B1 (ko) | 건축공사용 흙막이시설 | |
KR101065726B1 (ko) | 조립식 옹벽 | |
KR101804342B1 (ko) | Pc파일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pc파일 구조물 | |
KR101713894B1 (ko) | 고정핀을 이용한 옹벽 | |
JP5800765B2 (ja) | 落石防止構造 | |
KR101378097B1 (ko) | 복공판 | |
KR100650065B1 (ko) | 건축공사용 흙막이 시설 | |
KR102755450B1 (ko) | 수평보강 및 수직보강된 일체형 식생 절토부옹벽 | |
KR20060126340A (ko) | 옹벽 축조용 블록 | |
KR102135475B1 (ko) | 스토퍼가 구비된 옹벽 블록 및 그 시공 방법 | |
KR101527703B1 (ko) | 옹벽블록 및 상기 옹벽블록을 포함하는 옹벽블록조립체 그리고 상기 옹벽블록조립체의 시공방법 | |
KR100567853B1 (ko) | 토류판 구조물 | |
KR100465463B1 (ko) | 피씨 침수옹벽 | |
KR102079012B1 (ko) | 흙막이 구조물 시공방법 | |
KR200453240Y1 (ko) | 관매설용 지지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4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27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