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21007B1 - 차량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1007B1
KR101821007B1 KR1020140115268A KR20140115268A KR101821007B1 KR 101821007 B1 KR101821007 B1 KR 101821007B1 KR 1020140115268 A KR1020140115268 A KR 1020140115268A KR 20140115268 A KR20140115268 A KR 20140115268A KR 101821007 B1 KR101821007 B1 KR 101821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harging
current value
pilot circuit
pilo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5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6404A (ko
Inventor
최승우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5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1007B1/ko
Priority to US14/793,460 priority patent/US20160059724A1/en
Priority to EP15177605.1A priority patent/EP2990256A1/en
Priority to JP2015158922A priority patent/JP6174641B2/ja
Priority to CN201510555554.2A priority patent/CN105391111A/zh
Publication of KR20160026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1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100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23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 B60L3/0069Detecting, eliminating, remedying or compensating for drive train abnormalities, e.g. failures within the drive train relating to the isolation, e.g. ground fault or leak 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4Cutting off the power supply under faul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2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converters located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2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in response to charging parameters, e.g. current, voltage or electrical 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의 차량 충전 장치는, 외부의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 입력부와, 상기 전원 입력부를 통해서 입력받은 전원을 차량으로 전달하는 릴레이부와, 상기 릴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차량의 충전을 제어하기 위한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는 파일럿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럿 회로는 상기 파일럿 신호에 해당하는 PWM 신호의 듀티비를 가변시킴으로써 차량 충전의 중단을 유도하는 제 1 동작과, 상기 제 1 동작에 의해서도 차량 충전의 중단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릴레이부를 오픈시킴으로써 상기 차량으로 전원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제 2 동작을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Description

차량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Recharging device and recharging method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충전을 중단시켜야 하는 경우에, 전기차 내부의 전력변환부로 하여금 충전이 중단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통해서, 전기차와 충전 장치의 내부의 회로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충전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이다.
지속적인 유가 상승 및 화석 연료의 고갈에 대비하기 위하여, 종래의 석유 연료에 의존하는 내연기관 자동차나 오토 바이크 대신에 전기 배터리와 전기 모터를 이용하여 구동되는 전기 자동차나 전기 이륜차 등의 전기이동수단에 대한 연구 및 상용화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전기 자동차를 이용하는 경우, 석유 연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유지비와,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에 따른 환경 문제의 개선 등의 많은 이점이 있다. 따라서, 각국에서는 전기 자동차 시장이 점차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추세는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전기 자동차의 충전을 위해서는 별도의 충전 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충전 장치는 주유소와 같은 형태의 충전 스테이션 또는 가정에 설치되어 있어서, 충전을 원하는 전기 자동차와 커넥터를 통해 연결한 후, 필요한 전력을 제공받게 된다.
이때, 충전 장치는 전기 자동차에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제어하기 위하여, 파일릿 제어 신호(파일럿 신호)를 사용한다. 충전 장치는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여, 전기 자동차와 파일럿 통신을 수행하며, 이때, 파일럿 신호의 최대값의 크기를 통해 충전 상태를 정의하게 된다. 이러한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충전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차량의 충전 중에 과전압, 저전압, 과전류, 또는 여러가지 돌발적인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차량과 커넥터로 연결된 충전 장치 내부의 릴레이 회로를 오픈시킴으로써, 차량으로 전달되는 AC 전원을 차단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강제로 릴레이 회로를 오픈시킴으로써, 차량으로 전달되던 AC 전원이 순간적으로 공급중단이 되어 버리면, 충전 장치 내부의 회로 뿐만 아니라 차량 내부의 회로의 오동작 내지는 고장을 유발시킬 수 있다. 즉, 릴레이 회로의 강제 오프를 통한 릴레이 회로의 부하로 릴레이 회로가 융착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거나, 차량 내부의 회로에 오히려 과부하가 걸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서, 차량 충전 중에 돌발 상황의 발생으로 차량 충전을 중단시켜야 할 경우에, 차량측으로 하여금 충전 중단을 유도함으로써, 릴레이 회로를 보호하고, 차량 내부의 회로 역시 급작스런 전원 공급의 중단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의 차량 충전 장치는, 외부의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 입력부와, 상기 전원 입력부를 통해서 입력받은 전원을 차량으로 전달하는 릴레이부와, 상기 릴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차량의 충전을 제어하기 위한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는 파일럿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럿 회로는 상기 파일럿 신호에 해당하는 PWM 신호의 듀티비를 가변시킴으로써 차량 충전의 중단을 유도하는 제 1 동작과, 상기 제 1 동작에 의해서도 차량 충전의 중단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릴레이부를 오픈시킴으로써 상기 차량으로 전원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제 2 동작을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차량 충전 방법은, 배터리가 구비된 차량에 연결되어 상기 차량의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충전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차량은 상기 충전 제어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변환하는 전력 변환부와, 상기 전력 변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충전 제어부와, 상기 충전 제어 장치와 파일럿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 2 파일럿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제어 장치는 상기 제 2 파일럿 회로와 통신하는 제 1 파일럿 회로와, 상기 전력 변환부로 전원을 전달하는 릴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충전 전류값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의 확인된 충전 전류값이 기설정된 충전 전류값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의 측정된 충전 전류값이 기설정된 충전 전류값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충전 제어부가 상기 전력 변환부를 제어하여 충전 전류값을 감소시키는 단계와, 상기의 감소시킨 충전 전류값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의 충전이 감소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의 충전이 감소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 1 파일럿 회로는 제 2 파일럿 회로측으로 전달하는 PWM 신호의 듀티비를 가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실시예에 의해서, 차량 충전의 중단이 필요한 경우에, 릴레이 회로를 물리적으로 오픈시킴으로써, 차량의 전력 변환부 등의 회로가 부담하여야 할 로드를 줄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안정적인 차량 충전의 중단을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라 차량을 충전하는 시스템의 예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충전 장치와 차량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차량 충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라 차량 충전의 중단을 요청하는 파일럿 신호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제 2 실시예에 따라 차량 충전의 중단을 요청하는 파일럿 신호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자세히 살펴본다.
도 1과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라 차량을 충전하는 시스템의 예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의 충전 시스템은 AC 충전 장치(10)와, 상기 AC 충전 장치(10)를 통해 전기 충전되는 차량(200)으로 구성된다.
상기 AC 충전 장치(10)는 외부의 AC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전달되는 AC 전원을 차량(200)의 인렛(210)에 연결되는 커넥터(140)를 통하여 차량 배터리가 충전되도록 한다. AC 충전 장치(10)는 충전 스테이션 또는 가정에 설치될 수 있으며, AC 충전 장치(10)와 차량(200) 사이의 파일럿 통산을 위하여 충전을 위해 전송되는 전류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충전 장치는 도 1에서와 같은 충전 스테이션 형태 뿐만 아니라, 휴대가 가능한 코드셋 장치가 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충전 장치는 차량(200)과 주택(20)의 전원 콘센트 사이에 충전 케이블을 접속시킴으로써, 차량(200)에 탑재된 배터리를 차량 외부의 사용 전원(예를 들면, 계통 전원)에 의해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차량 외부의 전원을 '전력 공급원' 또는 '외부 전원'이라 할 수 있으며, 전력 공급원 또는 외부 전원에 의한 차량의 충전을 '외부 충전'이라 할 수 있다.
실시예의 차량 충전 장치(100)는, 릴레이 회로와 파일럿 회로를 포함하는 CCID(Charging Circuit Interrupt Device)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차량 충전 장치(100)는 외부 전원에 연결되는 플러그와, 플러그와 차량 충전 장치(100)를 연결하는 케이블과, 차량(200)에 접속되는 커넥터(1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200)에는 차량 충전 장치(100,CCID)와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 장치가 마련될 수 있으며, 차량(200) 상태를 차량 충전 장치(100)로 전달하거나, 차량 충전 장치(100)의 충전과 관련되는 제어 명령에 따를 수 있다.
또한, 차량 충전 장치(100)는 외부 전원을 이용한 차량 충전을 제어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며, 외부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거나 허용할 수 있는 CCID 릴레이와, 차량 또는 외부 전원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파일럿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CCID 릴레이는 파일럿 회로에 의하여 온/오프될 수 있으며, 파일럿 회로는 차량(200)의 충전 ECU에 파일럿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파일럿 신호는, 충전 케이블(그리드 케이블, 커넥터 케이블)의 전류 허용값(정격 전류)을 차량(200)의 충전 ECU에 통지하는 것과 함께, 충전 ECU에 의해 조작되는 파일럿 신호의 전위에 기초하여 차량(200)의 상태를 검지하기 위한 신호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충전 장치와 차량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량 충전 장치(100)는 외부의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AC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 입력부(110)와, 입력된 전원을 연결된 차량(200)으로 중계하기 위한 릴레이부(120)와, 차량(200)으로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제어하기 위한 제 1 파일럿 회로(101) 및, 차량(200)에 연결되는 커넥터(140)를 포함한다.
한편, 차량(200)의 경우, 차량 충전 장치의 커넥터(140)와 연결되는 인렛(210)과, 상기 인렛(210)을 통해 전달되는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여 차량에 격납되어 있는 배터리(230)를 충전시키는 전력 변환부(220) 및, 상기 전력 변환부(2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충전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 충전 장치(100)를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전원 입력부(110)는 외부의 AC 전원 공급원에 연결되어 AC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때, AC 전원 입력부(110)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전원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부(120)는 전원 입력부(110)와 커넥터(140) 사이에 배치되어, 제 1 파일럿 회로(101)의 제어 명령에 따라 동작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파일럿 회로(101)의 제어에 따라, 전원 입력부(110)로 전달되는 전원을 커넥터(140)측으로 전달하거나, 그 전달을 중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파일럿 회로(101)는 차량의 제 2 파일럿 회로(2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들 사이에 파일럿 통신이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파일럿 회로(101) 및 제 2 파일럿 회로(201)을 통칭하여 파일럿 회로부라고도 할 수 있다. 커넥터(140)와 인렛(210)의 결합으로 상호간에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제 1 파일럿 회로(101)와 제 2 파일럿 회로(201)가 연결됨으로써 완전한 제어 파일럿 회로가 구성된다.
제 1 파일럿 회로(101)와 제 2 파일럿 회로(201)로 구성되는 파일럿 회로부는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파일럿 통신을 수행하며, 차량의 충전을 제어한다. 제 1 파일럿 회로(101)는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파일럿 신호는 차량의 제 2 파일럿 회로(201)로 전달되고, 상기 제 2 파일럿 회로(201)에 연결된 충전 제어부(240)에서 이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충전 제어부(240)에 의하여 전력 변환부(220)의 AC-DC 변환을 통한 전력 변환의 여부, 또는 충전을 위해 변환되는 전류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파일럿 신호는 펄스폭 변조(PWM)된 신호가 되며, IEC 61851-1표준에 따를 경우에, 차량의 전력 변환부(220)가 공급받을 수 있는 전류의 양은 6A 부터 51A까지의 AC 충전 전류범위내에서 파일럿 신호의 펄스폭을 조절함으로써, 차량(200)의 충전 제어부(240)로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가능 전류는, (%듀티비)*0.6이 될 수 있으며, %듀티비는 파일럿 신호의 펄스폭의 듀티비를 나타내며, 이 %듀티비를 조절함으로써, 전력 변환부(220)에서 전송받을 전류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커넥터(140)는 인렛(210)과 결합하여 근접 감지 회로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파일럿 회로부(101,201)는 결합된 커넥터(140)와 인렛(210)에 의해 구성된 근접 감지 회로에서의 전압 강하를 통해 커넥터(140)의 탈거 동작을 미리 감지하고, 릴레이부(120)를 개방(오프)시킴으로써, 인렛(210)으로부터 커넥터(140)를 탈거하기 전에 미리 전류의 공급을 중지시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파일럿 회로들 사이에 차량의 충전 제어에 대한 사항과 함께, 차량 충전 상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며, 차량 충전의 중단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제 1 파일럿 회로(101)로부터 상기 전력 변환부(220)의 전력 변환을 줄여서 결국 전력 변환이 중단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가 전달된다. 그리고, 이러한 충전 중단을 요청하는 신호는 파일럿 신호의 PWM 듀티비를 100%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서, 약속된 충전 중단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첨부되는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차량 충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차량의 충전이 개시되면, 파일럿 회로부에 의한 충전 전류값이 확인 및 전달된다. 즉, 차량 충전 장치의 커넥터(140)가 차량 인렛(210)에 연결되고, 차량 충전 장치의 릴레이부에 의하여 외부 전원이 차량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차량의 전력 변환부(220)에 의하여 AC 전원이 DC 전원으로 변환되고, 변환된 DC 전원에 의해서 배터리(230)의 충전이 수행된다.
이러한 충전 과정 중에 현재의 충전 전류값은 상기 전력 변환부(220)와, 상기 전력 변환부(240)의 동작을 제어하는 충전 제어부(240)에 의해서 감지될 수 있다. 그리고, 측정된 충전 전류값은 제 2 파일럿 회로(201)를 통하여 제 1 파일럿 회로(101)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파일럿 회로(101)는 측정된 충전 전류값이 기설정된 충전 전류값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02), 만약, 충전 전류값이 기설정된 충전 전류값과 동일할 경우에는, 충전의 정상상태로 판단하고, 허용되는 최대 전류 허용치 범위 내에서 충전이 유지되도록 한다(S103).
반면에, 측정된 충전 전류값이 기설정된 충전 전류값과 상이할 경우에는, 상기 제 1 파일럿 회로(101)는 제 2 파일럿 회로(201)측으로 충전 전류를 감소시키는 제어 신호를 전달한다(S201). 즉, 제 1 파일럿 회로(101)는 감소된 PWM 듀티비를 충전 제어신호로서 제 2 파일럿 회로(201)로 전달하고, 상기 충전 제어부(240)는 전달되는 PWM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력 변환부(220)에 의한 DC 변환률(또는 DC 변환양)을 감소시킨다. 예를 들면, 현재의 PWM 듀티비에서 10% 감소된 PWM 듀티비를 제 2 파일럿 회로(201)로 전달한다.
그 다음, 상기 제 1 파일럿 회로(101)는 실제로 차량의 충전이 감소된 충전 전류로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02). 즉, 상기 제 1 파일럿 회로(101)는 제 2 파일럿 회로(201)로 현재의 충전 전류값을 측정하여 전달할 것을 요청하고, 상기 제 2 파일럿 회로(201)는 충전 제어부(240) 및 전력 변환부(220)를 통해서 측정되는 충전 전류값을 제 1 파일럿 회로(101)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파일럿 회로(101)는 추가로 전달되는 측정된 충전 전류값이 이전 단계에서 감소시킨 PWM 듀티비만큼 감소되었는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감소시킨 PWM 듀티비만큼 충전 전류값이 감소한 경우에는, 상기 제 1 파일럿 회로(101)는 감소한 충전 전류값으로 차량의 충전이 지속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제 2 파일럿 회로(201)로 전달한다.
그러나, 확인 결과, 제 1 파일럿 회로(101)가 충전 전류값을 감소시키는 것을 요청하는 제어 신호(PWM 신호)가 전달된 이후에도, 실제의 충전 전류값이 감소되지 않거나, 요청한 정도의 감소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 1 파일럿 회로(101)는 차량 충전의 이상 상태로 판단한다.
즉, 상기 제 1 파일럿 회로(101)는 차량 충전을 중단시켜야 하는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제 2 파일럿 회로(201)로 전달하는 제어 신호인 PWM 신호의 듀티비를 100%로 생성하여 전달한다(S203). 이때, 상기 충전 제어부(240)는 제 2 파일럿 회로(201)를 통하여 전달되는 PWM 신호의 듀티비가 100%인 경우에는, 상기 전력 변환부(220)에 의한 전력 변환을 서서히 감소시켜, 종국적으로 전력 변환이 0이 되도록 한다.
PWM 신호의 듀티비를 감소시켜 충전 전류값이 감소되도록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전력 변환부(220)에 의한 정상적인 충전 전류 감소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차량 내부의 회로에 문제가 발생하였거나, 회로의 오동작 등의 상태로 판단한다. 그리고, 이 경우, 상기 제 1 파일럿 회로(101)는 PWM 신호의 듀티비를 더욱 낮추어서 차량 충전을 중단시키는 명령이 정상적으로 전달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PWM 신호의 듀티비를 오히려 100%로 설정하여 제어 신호를 차량 측으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제 1 파일럿 회로(101)로부터 100%의 듀티비를 갖는 제어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에, 차량의 충전 제어부(240)는 상기 전력 변환부(220)에 의한 전력 변환을 기설정된 시간 동안 서서히 낮추도록 명령하고, 상기 전력 변환부(220)에 의한 충전 전류값이 점차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서, 차량 충전의 이상 발생시에, 곧바로 충전 장치의 릴레이부(120)를 오픈시켜 전원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에 비하여, 안정적으로 차량 충전의 중단을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파일럿 회로(101)는 100%의 듀티비를 갖는 PWM 신호를 전달한 다음,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3초)이 경과한 다음, 상기 배터리(230)의 충전이 수행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04). 왜냐하면, 듀티비 100%를 갖는 PWM 신호가 차량의 충전을 중단시키는 명령으로 사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차량의 충전이 지속되고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제어 명령 역시 차량 회로의 내부적인 오동작으로 정상 수행이 안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 1 파일럿 회로(101)로부터 전달되는 충전의 지속 여부에 대한 확인 요청에 대해서, 상기 충전 제어부(240)는 상기 전력 변환부(220)에 의한 DC 변환 여부를 체크한다. 그리고, 그 체크된 사항을 상기 제 2 파일럿 회로(201)를 경유하여 상기 제 1 파일럿 회로(101)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파일럿 회로(101)는 차량 충전이 지속되고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상기 릴레이부(120)를 오픈시킴으로써, AC 전원이 차량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량 충전을 중단시킨다(S205).
그러나, 상기 제 1 파일럿 회로(101)의 확인 결과, 차량 충전이 중단된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PWM 듀티비 100%의 제어 신호가 정상적으로 전달되고, 차량의 충전 제어부(240) 및 전력 변환부(220)에 의하여 충전 중단이 수행된 것이기 때문에, 상기 차량 충전 장치(100)를 안전 모드로 진입시킨다(S206). 여기서, 차량 충전 장치의 안전 모드에서는, 현재 차량의 충전이 중단되었음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LED 램프 등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파일럿 회로(101)가 차량 충전의 중단명령을 PWM 신호의 듀티비를 100%로 변경시킨 다음에, 차량의 충전이 지속되고 있는지 여부를 감시하는 것은 상기 충전 제어부(24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S204단계에서 충전이 계속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구성은, 상기 제 1 파일럿 회로(101)로부터 충전의 지속 여부에 대한 확인 요청이 없는 경우라도, 상기 충전 제어부(240)는 PWM 듀티비가 100%인 신호를 제 2 파일럿 회로(201)를 통하여 전달받은 경우에는, 전력 변환부(220)에 의한 배터리 충전의 중단을 유도하면서, 실제로 차량 충전이 중단되는지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충전 제어부(240)는 차량 충전이 중단되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한 결과를 상기 제 2 파일럿 회로(210)를 통해서 상기 제 1 파일럿 회로(101)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제 1 파일럿 회로(101)에 의한 릴레이부(120)의 오픈 여부가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차량 충전의 중단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차량 충전 장치의 릴레이부의 동작을 중단, 즉, 릴레이 회로를 오픈시키기 이전에, 차량으로 하여금 자체 전력 변환을 줄이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차량 충전의 중단을 요청하는 파일럿 신호의 PWM 듀티비가 100%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듀티비 설정은 실시예의 변경에 따라 다르게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라 차량 충전의 중단을 요청하는 파일럿 신호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제 2 실시예에 따라 차량 충전의 중단을 요청하는 파일럿 신호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5의 경우에는, 제 1 파일럿 회로(101)에서 소정의 듀티비를 갖는 PWM 신호를 생성하다가, 차량 충전의 중단이 필요한 경우에, 100%의 듀티비를 갖는 PWM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사항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차량의 충전 제어부(240)는 제 2 파일럿 회로(201)를 통하여 전달되는 PWM 신호의 듀티비가 기설정된 비율 이상으로 갑작스럽게 증가하는 경우에도 전력 변환부에 의한 DC 변환을 중단시키도록 명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와 같이, 듀티비 A%를 갖는 PWM 신호에서 기설정된 비율을 벗어나는 듀티비 B%를 갖는 PWM 신호가 제 2 파일럿 회로를 통하여 전달되는 경우에, 상기 충전 제어부(240)는 전력 변환부에 의한 전원 변환과, 그에 따른 배터리의 충전이 점차적으로 감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충전의 중단이 필요한 경우에, 릴레이 회로를 물리적으로 오픈시킴으로써, 차량의 전력 변환부 등의 회로가 부담하여야 할 로드를 줄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안정적인 차량 충전의 중단을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차량 충전 장치 101 : 제 1 파일럿 회로
110 : 전원 입력부 120 : 릴레이부
200 : 차량 201 : 제 2 파일럿 회로
220 : 전력 변환부 230 : 배터리
240 : 충전 제어부

Claims (10)

  1. 외부의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입력받는 전원 입력부와,
    상기 전원 입력부를 통해서 입력받은 전원을 차량으로 전달하는 릴레이부와,
    상기 릴레이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차량의 충전을 제어하기 위한 파일럿 신호를 생성하는 파일럿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럿 회로는,
    상기 차량의 충전 전류값이 설정된 충전 전류값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차량의 충전 전류값이 상기 설정된 충전 전류값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차량의 전력 변환부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의 충전 전류값이 기 설정된 범위로 감소되도록 하고, 상기 차량의 충전 전류값이 상기 설정된 범위로 감소되지 않으면, 상기 전력 변환부에 의해 전력 변환이 0이 되도록 서서히 감소되도록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파일럿 신호에 해당하는 PWM 신호의 듀티비를 가변시킴으로써 차량 충전의 중단을 유도하는 제 1 동작과, 상기 제 1 동작에 의해서도 차량 충전의 중단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릴레이부를 오픈시킴으로써 상기 차량으로 전원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제 2 동작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차량 충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회로는 상기 제 1 동작을 수행하는 때에, 상기 차량측으로 전달하는 PWM 신호의 듀티비를 100%로 설정하여 생성하는 차량 충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회로는 상기 제 1 동작을 수행하는 때에, 상기 차량측으로 기 전달한 PWM 신호의 듀티비에 비하여 기설정된 비율 이상으로 듀티비가 증가된 신호를 생성하는 차량 충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회로는, 상기 제 1 동작을 수행하기 이전에,
    상기 차량 충전을 위한 충전 전류값이 기설정된 충전 전류값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된 충전 전류값이 기설정된 충전 전류값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차량 충전을 위한 충전 전류값을 기설정된 범위로 감소시키는 차량 충전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회로는 상기 차량 충전을 위한 충전 전류값이 기설정된 범위로 감소되는지 여부를 더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기 충전 전류값이 감소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 1 동작을 수행하는 차량 충전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회로는 상기 제 1 동작을 수행한 다음, 상기 차량 충전이 중단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상기 차량 충전이 지속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제 2 동작을 수행하는 차량 충전 장치.
  7. 배터리가 구비된 차량에 연결되어 상기 차량의 충전을 제어하는 충전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충전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차량은 상기 충전 제어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변환하는 전력 변환부와, 상기 전력 변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충전 제어부와, 상기 충전 제어 장치와 파일럿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제 2 파일럿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제어 장치는 상기 제 2 파일럿 회로와 통신하는 제 1 파일럿 회로와, 상기 전력 변환부로 전원을 전달하는 릴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충전 전류값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의 충전 전류값이 기설정된 충전 전류값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의 충전 전류값이 기설정된 충전 전류값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충전 제어부가 상기 전력 변환부를 제어하여 충전 전류값을 감소시키는 단계와,
    상기 차량의 충전 전류값이 기설정된 범위로 감소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의 충전이 감소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 1 파일럿 회로는 제 2 파일럿 회로측으로 전달하는 PWM 신호의 듀티비를 가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PWM 신호의 듀티비를 가변시키는 단계는,
    상기 전력 변환부에 의해 전력 변환이 0이 되도록 서서히 감소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상기 PWM 신호를 생성하는 차량 충전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PWM 신호의 듀티비를 가변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1 파일럿 회로가 듀티비 100%를 갖는 상기 PWM 신호를 생성하여 전달하는 차량 충전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PWM 신호의 듀티비를 가변시킨 다음, 상기 차량의 충전이 지속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량의 충전이 지속되는지 여부는 상기 제 1 파일럿 회로 또는 상기 충전 제어부에 의하여 확인되는 차량 충전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충전이 지속되는지 여부를 확인한 결과, 상기 차량의 충전이 지속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파일럿 회로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릴레이부가 오픈됨으로써, 상기 전력변환부로 전달되는 전원을 제거하는 차량 충전 방법.
KR1020140115268A 2014-09-01 2014-09-01 차량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821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268A KR101821007B1 (ko) 2014-09-01 2014-09-01 차량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US14/793,460 US20160059724A1 (en) 2014-09-01 2015-07-07 Vehicle charging device and method
EP15177605.1A EP2990256A1 (en) 2014-09-01 2015-07-21 Vehicle charging device and method
JP2015158922A JP6174641B2 (ja) 2014-09-01 2015-08-11 車両充電装置及び充電方法
CN201510555554.2A CN105391111A (zh) 2014-09-01 2015-09-01 车辆充电设备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5268A KR101821007B1 (ko) 2014-09-01 2014-09-01 차량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404A KR20160026404A (ko) 2016-03-09
KR101821007B1 true KR101821007B1 (ko) 2018-01-22

Family

ID=53673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5268A Expired - Fee Related KR101821007B1 (ko) 2014-09-01 2014-09-01 차량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60059724A1 (ko)
EP (1) EP2990256A1 (ko)
JP (1) JP6174641B2 (ko)
KR (1) KR101821007B1 (ko)
CN (1) CN10539111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94903B2 (ja) * 2016-03-22 2018-03-14 株式会社Subaru 車両
KR102314043B1 (ko) 2016-12-05 2021-10-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충전 시스템
DE102018101642B4 (de) * 2018-01-25 2024-04-18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Kommunikationseinheit für ein Fahrzeug
DE102018203541A1 (de) * 2018-03-08 2019-09-1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Laden eines elektrisch angetriebenen oder antreibbaren Kraftfahrzeugs sowie Ladekabel
KR102100400B1 (ko) * 2018-05-30 2020-04-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 자동차를 위한 하이브리드 무선 전력 충전 시스템 및 그에 따른 무선 전력 충전 방법
KR102673296B1 (ko) * 2018-12-07 2024-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절연형 충전 제어 장치 및 그를 포함한 시스템
CN110867919B (zh) * 2019-11-21 2022-03-25 深圳市睿鑫智科技有限公司 一种可实现充电信号同步的系统
US20220029443A1 (en) * 2020-04-17 2022-01-27 Iontra LLC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chemical device charging and discharg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9410A (ja) * 2011-05-27 2012-12-13 Sharp Corp 電気自動車充電用の充電器及び充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77386B2 (ja) * 2009-12-14 2012-02-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力管理システム
WO2011130569A1 (en) * 2010-04-14 2011-10-20 Aerovironment, Inc. Ground fault interrupt circuit for electric vehicle
US20130241482A1 (en) * 2010-04-14 2013-09-19 Albert Flack Ground fault interrupt automatic test method for electric vehicle
JP6012144B2 (ja) * 2011-05-20 2016-10-25 パナソニックエコソリューションズ電路株式会社 充電制御システム
US8988042B2 (en) * 2011-08-25 2015-03-2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charg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vehicle
US20140239894A1 (en) * 2011-10-14 2014-08-28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harg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JP5960966B2 (ja) * 2011-10-21 2016-08-02 株式会社ケーヒン 電子制御装置
JP5852404B2 (ja) * 2011-10-21 2016-02-03 株式会社ケーヒン 電子制御装置
CA2792310C (en) * 2011-10-21 2019-06-04 Keihin Corporation Electronic control unit
JP5234159B2 (ja) * 2011-10-31 2013-07-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外部負荷に放電(給電)可能な蓄電部を備えた車両、同車両と電力ケーブルとを含む放電システム、同蓄電部の放電制御方法、及び、同放電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車両外部の装置。
CN203120353U (zh) * 2011-12-31 2013-08-0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散热器
ITRE20120021A1 (it) * 2012-04-02 2013-10-03 Igor Spinella Metodo ed apparato per il trasferimento di potenza elettrica
US20140015482A1 (en) * 2012-07-16 2014-01-16 Jason-David Nitzberg Remote annunciator for electric vehicle supply equipment
KR20140058090A (ko) * 2012-11-06 2014-05-1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기이동수단 충전 장치 및 전기이동수단 충전 방법
US20140211345A1 (en) * 2013-01-30 2014-07-31 Eaton Corporation Annunciating or power vending circuit breaker for an electric loa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9410A (ja) * 2011-05-27 2012-12-13 Sharp Corp 電気自動車充電用の充電器及び充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74641B2 (ja) 2017-08-02
KR20160026404A (ko) 2016-03-09
US20160059724A1 (en) 2016-03-03
EP2990256A1 (en) 2016-03-02
CN105391111A (zh) 2016-03-09
JP2016052246A (ja) 2016-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1007B1 (ko) 차량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US10160325B2 (en) Vehicle power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jump-start
US8878488B2 (en) Charge-and-discharge connector and a vehicle in which charge and discharge are permitted through the charge-and-discharge connector
US9511676B2 (en) Portable EV energy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WO2013054435A1 (ja) 電気自動車用の充電装置
US9627902B2 (en) Charging control apparatus and charging control method
US9481324B2 (en) Vehicle battery charger
WO2011078390A1 (en) Electrical power feeding system for electrical vehicle
JP7528784B2 (ja) 電力伝送システム
JP5632771B2 (ja) 交流電流供給装置の制御器、及び交流電流供給方法
CN108482154A (zh) 一种电动汽车控制系统
JP5361003B2 (ja) 分電盤
KR20140114372A (ko) 하이브리드 차량들에서의 고 전압 케이블 검출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5391103A (zh) 用于高电压电池充电的非车载充电器
JP7568046B2 (ja) 車両および充電システム
US20230249565A1 (en) Charge and discharge system,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charge and discharge system
JP6674000B2 (ja) 電気駆動車両の低電圧車載電気システムの供給
EP2986466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error detection during charging of an energy storage system
KR20130079163A (ko) 전기 차량용 충전 장치 및 전기 차량용 충전 시스템
JP2011205840A (ja) 車両用充電装置
KR20130136702A (ko) 차량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배터리의 충전방법, 차량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구비한 전기자동차
CN106911173B (zh) 一种智能低压辅助电源装置、方法和非车载充电机
KR20140134070A (ko) 차량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배터리의 충전방법, 차량 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기자동차
KR102095321B1 (ko) 네비게이션과의 상태 공유 정보를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시스템, 이를 이용한 충전 스테이션 정보 제공 방법, 네비게이션과의 상태 공유 정보를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
KR20160106311A (ko) 전기 자동차 충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12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90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