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19677B1 -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9677B1
KR101819677B1 KR1020110030314A KR20110030314A KR101819677B1 KR 101819677 B1 KR101819677 B1 KR 101819677B1 KR 1020110030314 A KR1020110030314 A KR 1020110030314A KR 20110030314 A KR20110030314 A KR 20110030314A KR 101819677 B1 KR101819677 B1 KR 101819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electrode
line
signal lines
g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0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1678A (ko
Inventor
이부열
한혜인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0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9677B1/ko
Priority to EP11195605.8A priority patent/EP2506128B1/en
Priority to CN201110455438.5A priority patent/CN102736291B/zh
Priority to US13/337,375 priority patent/US8933898B2/en
Priority to TW100148918A priority patent/TWI472859B/zh
Publication of KR20120111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1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9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967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3Display of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07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for displaying colours or for displaying grey scales with a specific pixel layout, e.g. using sub-pix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72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for fringe field switching [FFS] where the common electrode is not pattern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판 상에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게이트라인 및 데이터 라인; 상기 게이트 라인과 상기 데이터 라인의 교차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복수의 화소전극들;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복수의 화소전극들과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터치 구동전극과, 상기 적어도 2개의 터치 구동전극에 이웃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싱전극으로 구성되는 공통전극; 상기 적어도 2개의 터치 구동전극에 각각 접속되며, 제 1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제 1 신호라인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싱전극에 접속되며, 상기 제 1 신호라인들과 나란하게 상기 제 1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 2 신호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TOUCH SENSOR INTEGRATED TYP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치 센서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발광 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evice, EL), 전기영동 표시장치 등과 같은 화상표시장치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화상표시장치를 보면서 터치 패널을 가압하여(누르거나 터치하여) 미리 정해진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의 한 종류이다.
상술한 표시장치에 사용되는 터치 센서는 그 구조에 따라 상판 부착형(add-on type), 상판 일체형(on-cell type) 및 내장형(integrated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상판 부착형은 표시장치와 터치 센서를 개별적으로 제조한 후에, 표시장치의 상판에 터치 센서를 부착하는 방식이다. 상판 일체형은 표시장치의 상부 유리 기판 표면에 터치 세서를 구성하는 소자들을 직접 형성하는 방식이다. 내장형은 표시장치 내부에 터치 센서를 내장하여 표시장치의 박형화를 달성하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방식이다.
그러나, 상판 부착형 터치 센서는 완성된 터치 센서가 표시장치 위에 장착되는 구조로 두께가 두껍고, 표시장치의 밝기가 어두워져 시인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판 일체형 터치 센서는 표시장치의 유리기판 표면에 별도의 터치 센서가 형성된 구조로서, 유리기판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상판 부착형 보다 두께를 줄일 수 있지만, 여전히 터치 센서를 구성하는 터치 구동전극층과 터치 센싱전극층 및 이들을 절연시키기 위한 절연층으로 인해 전체 두께가 증가하고 공정수가 증가하여 제조가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내장형 터치 센서는 내구성 향상과 박형화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상판 부착형과 상판 일체형의 터치 센서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내장형 터치 센서는 광 방식, 정전용량 방식 등이 있다.
광방식 터치 센서는 표시장치의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어레이에 광센싱층을 형성하고,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의 광이나 적외선 광을 이용하여 터치된 부분에 존재하는 물체를 통해 반사된 광을 인식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광 방식 터치 센서는 주변이 어두운 경우 비교적 안정된 구동성능을 보여주지만, 주변이 밝은 경우에는 반사된 광보다 더 강한 광들이 노이즈로 작용하게 된다. 실제 터치에 의해 반사되는 광의 세기는 매우 약하여 외부가 조금만 밝아도 터치인식에 오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광 방식 터치 센서는 주변환경이 태양광에 노출되는 경우 광의 세기가 워낙 강하여 아에 터치 인식이 되는 않은 경우도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정전용량 방식 터치센서는 자기 정전용량방식(self capacitance type)과 상호정전용량 방식(mutual capacitance type)이 있다. 상호 정전용량방식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용 공통전극을 분할하고, 이를 터치 구동전극 영역과 터치 센싱전극 영역으로 나누어 터치 구동전극 영역과 터치 센싱전극 영역 사이에 상호 정전용량(mutual capacitance)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터치시 발생하는 상호 정전용량의 변화량을 측정하여 터치를 인식하는 방법이다.
상호 정전용량 방식 터치센서는 동일층에 형성된 공통전극이 복수의 터치 셀로 분할되고, 각각의 터치 셀은 터치 구동전극과 터치 센싱전극으로 분할되어 있다. 이와 같이 터치 구동전극들과 터치 센싱전극들은 동일 층에 형성되기 때문에 터치 구동전극들과 터치 센싱전극들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터치 구동전극들을 연결하기 위한 터치 구동라인들과 터치 센싱전극들을 연결하기 위한 터치 센싱라인들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터치 구동라인들은 게이트 라인 형성시 게이트 라인과 동일한 금속으로 형성되어 x축 방향으로 터치 구동전극들을 연결하였으며, 터치 센싱라인들은 터치 구동라인, 터치 구동전극 및 터치 센싱전극이 형성된 층과 다른 층에 형성된 금속으로 형성되어 y축 방향으로 터치 센싱전극들을 연결하고 있었다.
그러나, 터치 구동라인들과 터치 센싱라인들을 서로 다른 층에 형성하는 경우 박막 트랜지스터의 어레이 설계가 복잡해 지고, 터치 구동라인들의 좌우배선 설계로 인해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폭이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종류의 터치센서에 의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장치의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터치 센싱 소자를 표시장치의 구성요소와 겸용하게 함으로써 두께를 얇게 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킨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의 설계를 간단하게 할 수 있고, 터치 구동전극들을 연결하기 위한 터치 구동라인들에 의해 베젤 폭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는 기판 상에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게이트라인 및 데이터 라인; 상기 게이트 라인과 상기 데이터 라인의 교차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복수의 화소전극들;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복수의 화소전극들과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터치 구동전극과, 상기 적어도 2개의 터치 구동전극에 이웃하여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싱전극으로 구성되는 공통전극; 상기 적어도 2개의 터치 구동전극에 각각 접속되며, 제 1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제 1 신호라인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싱전극에 접속되며, 상기 제 1 신호라인들과 나란하게 상기 제 1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 2 신호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는 상기 제 1 신호라인들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신호라인들과 접속되는 제 3 신호라인; 및 상기 제 3 신호라인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 2 신호라인과 접속되는 제 4 신호라인을 더 포함하며, 또한, 제 3 및 제 4 신호라인들과 각각 접속되는 터치패드들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는 기판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라인; 상기 게이트라인이 형성된 기판의 전면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절연막; 상기 게이트라인과 교차하도록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되는 데이터 라인;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되며 상기 데이터 라인에 접속되는 소스전극을 구비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상기 데이터 라인과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신호라인;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에 접속되도록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되며, 상기 데이터 라인과 상기 게이트 라인의 교차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화소전극; 상기 데이터 라인,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상기 복수의 신호라인 및 상기 화소전극이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되는 층간절연막; 상기 층간절연막 상에 형성되며 상기 층간절연막에 형성된 콘택홀을 통해 상기 터치 신호라인에 접속되는 공통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공통전극은 적어도 2이상의 터치 구동전극과 적어도 1이상의 터치 센싱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신호라인은 제 1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며, 상기 적어도 2이상의 터치 구동전극에 접속되는 터치 구동신호라인과, 상기 적어도 1이상의 터치 센싱전극과 접속되는 터치 센싱신호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는 상기 복수의 제 1 신호라인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터치 구동신호라인과 접속되는 제 2 신호라인; 및 상기 제 2 신호라인과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터치 센싱신호라인과 접속되는 제 3 신호라인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터치 구동전극과 상기 터치 센싱전극의 각각은 적어도 2이상의 화소전극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화소전극은 상기 터치 구동전극 및 상기 터치 센싱전극과 중첩되는 영역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길게 형성되는 복수의 개구부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터치 구동전극 및 상기 터치 센싱전극은 상기 화소전극과 중첩되는 영역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길게 형성되는 복수의 개구부들을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에 의하면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터치 센싱 소자를 표시장치의 구성요소와 겸용하게 함으로써 두께를 얇게 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에 의하면 터치 구동전극들을 연결하기 위한 터치 구동라인들과 터치 센싱전극들을 연결하기 위한 터치 센싱라인들을 동일 층에 형성하고, 이들이 서로 교차되지 않도록 표시영역 내에 형성함으로써,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설계를 간단하게 할 수 있고 베젤 폭을 감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패널을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의 공통전극(터치 구동전극 및 터치 센싱전극)과 화소전극 및 배선들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B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5a는 도 4에 도시된 일부 영역을 확대 도시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I-I', I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a는 도 4에 도시된 일부 영역을 확대 도시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III-III', IV-IV'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C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8a는 도 7에 도시된 일부 영역을 확대 도시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V-V', VI-V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9a는 도 7에 도시된 일부 영역을 확대 도시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VII-VII', VIII-V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패널을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의 공통전극(터치 구동전극 및 터치 센싱전극)과 화소전극 및 배선들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의 일례로서 터치 센서 일체형 액정 표시장치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일체형 액정 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LCP), 호스트 콘트롤러(100), 타이밍 콘트롤러(101), 데이터 구동부(102), 게이트 구동부(103), 전원 공급부(105), 터치 인식 프로세서(107) 등을 포함한다.
액정 표시패널(LCP)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는 컬러필터 어레이(CFA)와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TFTA)를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는 제 1 기판(SUBS1) 상에 제 1 방향(예를 들면, x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된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1, G2, G3, ...Gm-1, Gm)과,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1, G2, G3, ...Gm-1, Gm)과 서로 교차하도록 제 2 방향(예를 들면, y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된 데이터 라인들(D1, D2, D3, ...Dn-1, Dn)과, 이들 게이트 라인(G1, G2, G3, ...Gm-1, Gm)과 데이터 라인들(D1, D2, D3, ...Dn-1, Dn)이 교차하는 영역에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TFT), 액정셀들에 데이터전압을 충전시키기 위한 다수의 화소전극(P), 및 상기 복수의 화소전극들(P)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공통전극(COM)을 포함한다.
컬러필터 어레이(CFA)는 제 2 기판(SUBS2) 상에 형성되는 블랙매트릭스 및 컬러필터를 포함한다. 액정표시패널(LCP)의 제 1 기판(SUBS1)과 제 2 기판(SUBS2) 각각에는 편광판(POL1, POL2)이 부착되고, 액정과 접하는 내면에 액정의 프리틸트각을 설정하기 위한 배향막이 형성된다. 액정 표시패널(LCP)의 제 1 기판(SUBS1)과 제 2 기판(SUBS2) 사이에는 액정셀의 셀갭(cell gap)을 유지하기 위한 컬럼 스페이서가 형성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도시생략)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의 아래에 배치된다. 백라이트 유닛은 다수의 광원들을 포함하며,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와 컬러필터 어레이(CFA)에 균일하게 빛을 조사한다. 백라이트 유닛은 직하형(direct type) 백라이트 유닛 또는 에지형(edge type) 백라이트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은 HCFL(Hot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EEFL(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LED(Light Emitting Diode)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종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공통전극(COM)은 TN(Twisted Nematic) 모드와 VA(Vertical Alignment) 모드와 같은 수직전계 구동방식에서 제 2 기판(SUBS2)에 형성되며, IPS(In Plane Switching) 모드와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와 같은 수평전계 구동방식에서는 화소전극(P)과 함께 제 1 기판(SUBS1) 상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평전계 구동방식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통전극(COM)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센서를 구성하는 복수의 터치 구동전극(T11, T12, T13, T21, T22, T23)과 복수의 터치 센싱전극(R11, R12, R21, R22)으로 분할된다. 터치 구동전극(T11, T12, T13, T21, T22, T23)과 터치 센싱전극(R11, R12, R21, R22)의 각각은 수개 또는 수십개 이상의 화소전극(P)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며, 터치 구동전극(T11, T12, T13, T21, T22, T23)의 크기는 터치 센싱전극(R11, R12, R21, R22)의 크기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화소전극(P)은 게이트 라인들(G1~Gm)과 데이터 라인들(D1~Dn)의 교차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 할당된다.
공통전극(COM)을 구성하는 터치 구동전극(T11, T12, T13, T21, T22, T23)중 터치 구동전극(T11)은 y축방향으로 배열된 제 1 수직 터치 구동라인(Ty11)을 통해 표시 영역 외부에서 x축방향으로 형성된 제 1 수평 터치 구동라인(Tx1)에 접속되고, 터치 구동전극(T12)은 y축방향으로 배열된 제 3 수직 터치 구동라인(Ty21)을 통해 표시 영역 외부에서 x축방향으로 형성된 제 1 수평 터치 구동라인(Tx1)에 접속되며, 터치 구동전극(T13)은 y축방향으로 배열된 제 5 수직 터치 구동라인(Ty31)을 통해 표시 영역 외부에서 x축방향으로 형성된 제 1 수평 터치 구동라인(Tx1)에 접속된다. 또한, 터치 구동전극(T21)은 y축방향으로 배열된 제 2 수직 터치 구동라인(Ty12)을 통해 표시 영역 외부에서 x축방향으로 형성된 제 2 수평 터치 구동라인(Tx2)에 접속되고, 터치 구동전극(T22)은 y축방향으로 배열된 제 4 수직 터치 구동라인(Ty22)을 통해 표시 영역 외부에서 x축방향으로 형성된 제 2 터치 구동라인(Tx2)에 접속되며, 터치 구동전극(T23)은 y축방향으로 배열된 제 6 수직 터치 구동라인(Ty32)을 통해 표시 영역 외부에서 x축방향으로 형성된 제 2 터치 구동라인(Tx2)에 접속된다.
또한, 공통전극(COM)을 구성하는 터치 센싱전극(R11, R12, R21, R22) 중 터치 센싱전극(R11, R21)은 제 1 수직 터치 센싱라인(RY1)을 통해 표시 영역 외부에서 x축방향으로 형성된 제 1 수평 터치 센싱라인(Rx1)에 접속되고, 터치 센싱전극(R12, R22)은 제 2 수직 터치 센싱라인(RY2)을 통해 표시 영역 외부에서 x축방향으로 형성된 제 2 수평 터치 센싱라인(Rx2)에 접속된다.
제 1 및 제 2 수평 터치 구동라인(Tx1, Tx2)과 제 1 및 제 2 수평 터치 센싱라인(Rx1, Rx2)은 액정표시장치의 비표시 영역에 형성되며, 터치 패드(TPT1, TPT2, TPR1, TPR2)에 각각 접속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게이트 구동부(103)는 타이밍 콘트롤러(101)의 제어 하에 디스플레이 모드에서 게이트펄스(또는 스캔펄스)를 순차적으로 출력하고 그 출력의 스윙전압을 게이트 하이 전압(VGH)과 게이트 로우 전압(VGL)으로 쉬프트시킨다. 게이트 구동부(103)로부터 출력되는 게이트펄스는 데이터 구동부(102)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 전압에 동기되어 게이트 라인들(G1, G2, G3,...Gm)에 순차적으로 공급된다. 게이트 하이 전압(VGH)은 박막트랜지스터(TFT)의 문턱 전압 이상의 전압이고, 게이트 로우 전압(VGH)은 박막트랜지스터(TFT)의 문턱 전압보다 낮은 전압이다. 게이트 구동부(103)의 게이트 구동 IC들은 TAP(Tape Automated Bonding) 공정을 통해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의 제 1 기판(SUBS1) 상에 형성된 게이트 라인들(G1, G2, G3,...Gm)에 연결되거나 GIP(Gate In Panel) 공정으로 픽셀과 함께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TFTA)의 제 1 기판(SUBS1)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02)는 타이밍 콘트롤러(101)의 제어 하에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샘플링하고 래치한다. 데이터 구동부(102)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를 정극성/부극성 감마보상전압(GMA1~GMAn)으로 변환하여 데이터전압의 극성을 반전시킨다. 데이터 구동부(102)로부터 출력되는 정극성/부극성 데이터전압은 게이트 구동부(103)로부터 출력되는 게이트 펄스에 동기된다. 데이터 구동부(102)의 소스 구동 IC(Integrated Circuit)들 각각은 COG(Chip On Glass) 공정이나 TAB(Tape Automated Bonding) 공정으로 디스플레이부의 데이터 라인들(D1, D2, D3, ...Dn)에 접속될 수 있다. 소스 구동 IC는 타이밍 콘트롤러(101) 내에 집적되어 타이밍 콘트롤러(101)와 함께 원칩 IC로 구현될 수도 있다.
타이밍 콘트롤러(101)는 외부의 호스트 콘트롤러(100)로부터 공급되는 표시장치의 구동을 위해 필요한 타이밍 신호들을 이용하여 게이트 구동부(103) 및 데이터 구동부(102)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신호들을 발생한다. 게이트 구동부(103) 및 데이터 구동부(102)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신호들은 게이트 구동부(103)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와, 데이터 구동부(102)의 동작 타이밍과 데이터전압의 극성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를 포함한다.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Gate Start Pulse, GSP), 게이트 쉬프트 클럭(Gate Shift Clock, GSC),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신호(Gate Output Enable, GOE) 등을 포함한다.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는 게이트 구동부(103)로부터 매 프레임기간마다 가장 먼저 게이트펄스를 출력하는 첫 번째 게이트 구동 IC에 인가되어 그 게이트 구동 IC의 쉬프트 시작 타이밍을 제어한다. 게이트 쉬프트 클럭(GSC)은 게이트 구동부(103)의 게이트 구동 IC들에 공통으로 입력되어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를 쉬프트시키기 위한 클럭신호이다.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신호(GOE)는 게이트 구동부(103)의 게이트 구동 IC들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한다.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는 소스 스타트 펄스(Source Start Pulse, SSP), 소스 샘플링 클럭(Source Sampling Clock, SSC), 극성제어신호(Polarity : POL), 및 소스 출력 인에이블신호(Source Output Enable, SOE) 등을 포함한다. 소스 스타트 펄스(SSP)는 데이터 구동부(102)에서 가장 먼저 데이터를 샘플링하는 첫 번째 소스 구동 IC에 인가되어 데이터 샘플링 시작 타이밍을 제어한다. 소스 샘플링 클럭(SSC)은 라이징 또는 폴링 에지에 기준하여 소스 구동 IC들 내에서 데이터의 샘플링 타이밍을 제어하는 클럭신호이다. 극성제어신호(POL)는 소스 구동 IC들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전압의 극성을 제어한다. 소스 출력 인에이블신호(SOE)는 소스 구동 IC들의 출력 타이밍을 제어한다. mini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구동부(102)에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가 입력된다면, 소스 스타트 펄스(SSP)와 소스 샘플링 클럭(SSC)은 생략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05)는 PWM(Pulse Width Modulation) 변조회로, 부스트 컨버터(boost converter), 레귤레이터(regulater), 차지펌프(charge pump), 분압회로, 연산 증폭기(Operation Amplifier) 등을 포함한 DC-DC 컨버터(DC-DC Convertor)로 구현된다. 전원 공급부(105)는 호스트 콘트롤러(100)로부터의 입력전압을 조정하여 액정표시패널(LCP), 데이터 구동부(102), 게이트 구동부(103), 타이밍 콘트롤러(101), 백라이트 유닛(도시생략)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발생시킨다.
전원 공급부(105)로부터 출원되는 전원들은 고전위 전원전압(VDD), 게이트 하이전압(VGH), 게이트 로우전압(VGL), 공통전압(Vcom), 정극성/부극성 감마기준전압들(VGMA1∼VGMAn), 터치 구동전압(Vtsp) 등을 포함한다. 이들 전압 중 공통전압(Vcom)과 터치 구동전압(Vtsp)은 호스트 콘트롤러(100)의 제어하에 공통전극(COM)에 선택적으로 공급된다. 그러나, 공통전압(Vcom)과 터치 구동전압(Vtsp)은 타이밍 콘트롤러(101)의 제어하에 공통전극(COM)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호스트 콘트롤러(100)는 입력 영상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와, 디스플레이 구동에 필요한 타이밍 신호들(Vsync, Hsync, DE, MCLK)을 LVDS 인터페이스(Low Voltage Difference Signalling), TMDS(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 인터페이스 등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타이밍 콘트롤러(101)에 전송한다. 호스트 콘트롤러(100)는 또한 액정 표시장치의 화면에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구동시에는 공통전극(COM)을 구성하는 터치 구동전극(T11, T12, T13, T21, T22, T23)과 터치 센싱전극(R11, R12, R21, R22)에 터치패드(TPT1, TPT2, TPR1, TPR2)를 통해 공통전압(Vcom)이 공급되고, 터치 인식을 위한 터치 구동시에는 공통전극(COM)을 구성하는 터치 구동전극(T11, T12, T13, T21, T22, T23)에 터치패드(TPT1, TPT2)를 통해 터치 구동전압(Vtsp)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전원 공급부(105)를 제어하는 제어신호(Vin)를 전원 공급부(105)에 공급한다.
터치 인식 프로세서(107)는 수평 터치 센싱라인(Rx1, Rx2)이 접속된 터치패드(TPR1, TPR2)에 접속되어 이들 터치 센싱전극(R11, R12, R21, R22) 각각의 초기 정전용량의 전압과 터치 후의 터치 정전용량의 전압을 차동 증폭하고 그 결과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그리고 터치 인식 프로세서(107)는 터치 인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초기 정전용량과 터치 정전용량의 차이를 바탕으로 터치가 이루어진 터치 위치를 판단하고, 그 터치 위치를 지시하는 터치 좌표 데이터를 호스트 콘트롤러(100)에 출력한다.
다음으로, 도 4,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의 터치 전극(터치 구동전극)과 화소전극의 관계 및 터치 전극들을 연결하는 배선구조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부분 B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5a는 도 4에 도시된 일부 영역을 확대 도시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이며,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I-I', I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에서, 도면 부호 P11, P12, P13, P21, P22, P23, P31, P32, P33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1, G2, G3)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n-2, Dn-1, Dn)의 교차에 의해 정의되는 복수의 화소영역에 각각 형성되는 화소전극들을 나타낸다.
도 5a 및 도 5b에서는 수직 터치 구동라인이 형성되지 않은 화소영역과 2개의 수직 터치 구동라인(Ty31, Ty32)이 형성되는 화소영역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2개의 수직 터치 구동라인(Ty31, Ty32)은 서로 다른 화소영역에 형성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는 제 1 기판(SUBS1)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라인(G1) 및 게이트 라인(G1)으로부터 연장되는 게이트 전극(G)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는 게이트 전극(G)을 구비하는 게이트 라인(G1)이 형성된 기판(SUBS1)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절연막(GI)과, 게이트 전극(G)의 일부와 중첩되도록 게이트 절연막(GI) 상에 형성되는 반도체 패턴(A)을 포함한다. 반도체 패턴(A)은 후술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활성영역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는 게이트 절연막(GI)을 사이에 두고 게이트 라인(G1)과 교차되는 데이터 라인(Dn-1, Dn), 데이터 라인(Dn-1, Dn)으로부터 연장된 소스 전극(S), 소스 전극(S)과 대향하는 드레인 전극(D)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FT), 상기 데이터 라인(Dn)으로부터 이격되어 데이터 라인(Dn)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2개의 수직 터치 구동라인(Ty31, Ty32), 게이트 라인(G1)과 데이터 라인(Dn) 및 수직 터치 구동라인(Ty31)의 교차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 형성되며,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드레인 전극(D)과 접속되는 화소전극(P12, P1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는 데이터 라인(Dn-1, Dn)과 트랜지스터(TFT) 및 화소전극(P12, P13)이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GI)의 전면 상에 형성된 층간 절연막(INS)과, 층간 절연막(INS) 상에 형성되는 공통전극(터치 구동전극)(T13)을 포함한다. 공통전극(터치 구동전극)(T13)은 층간절연막(INS)을 관통하는 콘택홀(CH)을 통해 수직 터치 구동라인(TY31)과 연결된다. 공통전극(터치 구동전극)(T13)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TO)를 구비하면, 화소전극과 공통전극에 전압이 인가될 경우 수평전계 외에 수직 전계도 액정에 작용하게 되어 액정 구동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터치 센싱전극 또한 터치 구동전극과 동일한 구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 6a는 도 4에 도시된 일부 영역을 확대 도시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따른 평면도이며,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III-III', IV-IV'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에서도 도 5a 및 도 5b와 마찬가지로 수직 터치 구동라인이 형성되지 않은 화소영역과 2개의 수직 터치 구동라인(Ty31, Ty32)이 형성되는 화소영역으로 나누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2개의 수직 터치 구동라인(Ty31, Ty32)은 서로 다른 화소영역에 형성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는 제 1 기판(SUBS1)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라인(G1) 및 게이트 라인(G1)으로부터 연장되는 게이트 전극(G)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는 게이트 전극(G)을 구비하는 게이트 라인(G1)이 형성된 기판(SUBS1)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절연막(GI)과, 게이트 전극(G)의 일부와 중첩되도록 게이트 절연막(GI) 상에 형성되는 반도체 패턴(A)을 포함한다. 반도체 패턴(A)은 후술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활성영역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는 게이트 절연막(GI)을 사이에 두고 게이트 라인(G1)과 교차되는 데이터 라인(Dn-1, Dn), 데이터 라인(Dn-1, Dn)으로부터 연장된 소스 전극(S), 소스 전극(S)과 대향하는 드레인 전극(D)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FT), 상기 데이터 라인(Dn)으로부터 이격되어 데이터 라인(Dn)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2개의 수직 터치 구동라인(Ty31, Ty32), 게이트 라인(G1)과 데이터 라인(Dn) 및 수직 터치 구동라인(Ty31)의 교차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 형성되며,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드레인 전극(D)과 접속되는 화소전극(P12, P13)을 포함한다. 화소전극(P12, P13)의 형상을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Po)를 구비하도록 형성하면, 화소전극과 공통전극에 전계가 인가될 경우 수평전계 외에도 수직 전계도 액정에 작용하게 되어 액정 구동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는 데이터 라인(Dn-1, Dn)과 트랜지스터(TFT) 및 화소전극(P12, P13)이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GI)의 전면 상에 형성된 층간 절연막(INS)과, 층간 절연막(INS) 상에 형성되는 공통전극(터치 구동전극)(T13)을 포함한다. 공통전극(터치 구동전극)(T13)은 층간절연막(INS)을 관통하는 콘택홀(CH)을 통해 수직 터치 구동라인(TY31)과 연결된다.
다음으로, 도 7,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의 터치 전극(터치 센싱전극)과 화소전극의 관계 및 터치 전극들을 연결하는 배선구조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는 도 3에 도시된 부분 C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8a는 도 7에 도시된 일부 영역을 확대 도시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이며,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V-V', VI-V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에서, 도면 부호 P'11, P'12, P'21, P'22, P'31, P'32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1, G2, G3)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k-1, Dk)의 교차에 의해 정의되는 복수의 화소영역에 각각 형성되는 화소전극들을 나타낸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는 제 1 기판(SUBS1)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라인(G1) 및 게이트 라인(G1)으로부터 연장되는 게이트 전극(G)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는 게이트 전극(G)을 구비하는 게이트 라인(G1)이 형성된 기판(SUBS1)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절연막(GI)과, 게이트 전극(G)의 일부와 중첩되도록 게이트 절연막(GI) 상에 형성되는 반도체 패턴(A)을 포함한다. 반도체 패턴(A)은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활성영역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는 게이트 절연막(GI)을 사이에 두고 게이트 라인(G1)과 교차되는 데이터 라인(Dk), 데이터 라인(Dk)으로부터 연장된 소스 전극(S), 소스 전극(S)과 대향하는 드레인 전극(D)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FT), 상기 데이터 라인(Dk)으로부터 이격되어 데이터 라인(Dk)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수직 터치 센싱라인(Ry1), 게이트 라인(G1)과 데이터 라인(Dk) 및 수직 터치 센싱라인(Ry1)의 교차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 형성되며,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드레인 전극(D)과 접속되는 화소전극(P'1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는 데이터 라인(Dk)과 트랜지스터(TFT) 및 화소전극(P'12)이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GI)의 전면 상에 형성된 층간 절연막(INS)과, 층간 절연막(INS) 상에 형성되는 공통전극(터치 센싱전극)(R11)을 포함한다. 공통전극(터치 센싱전극)(R11)은 층간절연막(INS)을 관통하는 콘택홀(CH)을 통해 수직 터치 센싱라인(Ry1)과 연결된다. 공통전극(터치 센싱전극)(R11)은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TO)를 구비하면, 화소전극과 공통전극에 전압이 인가될 경우 수평전계 외에 수직 전계도 액정에 작용하게 되어 액정 구동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9a는 도 7에 도시된 일부 영역을 확대 도시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따른 평면도이며,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VII-VII', VIII-V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는 제 1 기판(SUBS1)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라인(G1) 및 게이트 라인(G1)으로부터 연장되는 게이트 전극(G)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는 게이트 전극(G)을 구비하는 게이트 라인(G1)이 형성된 기판(SUBS1)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절연막(GI)과, 게이트 전극(G)의 일부와 중첩되도록 게이트 절연막(GI) 상에 형성되는 반도체 패턴(A)을 포함한다. 반도체 패턴(A)은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활성영역을 구성한다.
또한, 상기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는 게이트 절연막(GI)을 사이에 두고 게이트 라인(G1)과 교차되는 데이터 라인(Dk), 데이터 라인(Dk)으로부터 연장된 소스 전극(S), 소스 전극(S)과 대향하는 드레인 전극(D)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FT), 상기 데이터 라인(Dk)으로부터 이격되어 데이터 라인(Dk)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수직 터치 센싱라인(Ry1), 게이트 라인(G1)과 데이터 라인(Dk) 및 수직 터치 센싱라인(Ry1)의 교차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 형성되며,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드레인 전극(D)과 접속되는 화소전극(P'12)을 포함한다. 한편 화소전극(P'12)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를 구비하도록 형성되면, 화소전극과 공통전극에 전계가 인가될 경우 수평전계 외에도 수직 전계도 액정에 작용하게 되어 액정 구동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는 데이터 라인(Dk)과 트랜지스터(TFT) 및 화소전극(P'12)이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GI)의 전면 상에 형성된 층간 절연막(INS)과, 층간 절연막(INS) 상에 형성되는 공통전극(터치 센싱전극)(R11)을 포함한다. 공통전극(터치 센싱전극)(R11)은 층간절연막(INS)을 관통하는 콘택홀(CH)을 통해 수직 터치 센싱라인(Ry1)과 연결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에 따르면, 터치를 인식하기 위한 터치 센서를 표시장치의 구성요소와 겸용할 수 있게 되므로 표시장치의 두께를 얇게 하는 동시에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에 따르면, 터치 구동전극들(T11, T12, T13, T21, T22, T23)을 연결하기 위한 수직 터치 구동라인들(Ty11, Ty12, Ty21, Ty22, Ty31, Ty32)과, 터치 센싱전극들(R11, R12, R21, R22)을 연결하기 위한 수직 터치 센싱라인들(Ry1, Ry2)을 동일 층에 형성하고, 표시영역에서 이들이 서로 교차되지 않도록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배선관계가 단순해져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설계를 간단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수직 터치 구동라인들(Ty11, Ty12, Ty21, Ty22, Ty31, Ty32)과 수직 터치 센싱라인들(Ry1, Ry2)을 y축 방향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좌우에 배선을 위한 공간을 따로 둘 필요가 없게 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베젤 폭을 감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설명하고 있는 x축 방향이나 y축 방향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공통전극을 구성하는 터치 구동전극과 터치 센싱전극의 크기 및 수와 형상, 각각의 터치전극과 접속되는 터치 구동라인이나 터치 센싱라인의 위치는 임의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는 사항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재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 호스트 콘트롤러 101 : 타이밍 콘트롤러
102 : 데이터 구동부 103 : 게이트 구동부
105 : 전원 공급부 107 : 터치 인식 프로세서
CFA : 컬러필터 어레이 TFTA :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COM: 공통전극 P : 화소전극
T11, T12, T13, T21, T22, T23 : 터치 구동전극
Tx1, Tx2 : 수평 터치 구동라인
Ty11, Ty12, Ty21, Ty22, Ty31, Ty32 : 수직 터치 구동라인
R11, R12, R21, R22 : 터치 센싱전극
Rx1, Rx2 : 수평 터치 센싱라인
Ry1, Ry2 : 수직 터치 센싱라인
Vcom : 공통전압
Vtsp : 터치 구동전압

Claims (8)

  1. 기판 상에 서로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게이트라인 및 데이터 라인;
    상기 게이트 라인과 상기 데이터 라인의 교차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복수의 화소전극들;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복수의 화소전극들과 중첩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터치 구동전극과, 서로 인접한 2개의 터치 구동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싱전극을 포함하는 공통전극;
    상기 적어도 2개의 터치 구동전극에 각각 접속되며, 제 1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제 1 신호라인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싱전극에 접속되며, 상기 제 1 신호라인들과 접촉하지 않고 상기 제 1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제 2 신호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신호라인들 및 상기 제 2 신호라인은 모두 표시영역으로부터 비표시 영역의 동일한 일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라인들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신호라인들과 접속되는 제 3 신호라인; 및
    상기 제 3 신호라인과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 2 신호라인과 접속되는 제 4 신호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및 제 4 신호라인들과 각각 접속되는 터치패드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4. 기판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라인;
    상기 게이트라인이 형성된 기판의 전면 상에 형성되는 게이트 절연막;
    상기 게이트라인과 교차하도록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되는 데이터 라인;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되며 상기 데이터 라인에 접속되는 소스전극을 구비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상기 데이터 라인과 접촉하지 않도록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 1 신호라인들 및 제 2 신호라인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에 접속되도록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되며, 상기 데이터 라인과 상기 게이트 라인의 교차에 의해 정의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화소전극;
    상기 데이터 라인,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상기 제 1 신호라인들, 상기 제 2 신호라인들, 및 상기 화소전극이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되는 층간절연막;
    상기 층간절연막 상에 형성되며 상기 층간절연막에 형성된 콘택홀을 통해 상기 제 1 신호라인들 및 상기 제 2 신호라인들에 접속되는 공통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공통전극은 적어도 2이상의 터치 구동전극과 적어도 1이상의 터치 센싱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신호라인들은 제 1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며, 상기 적어도 2이상의 터치 구동전극에 각각 접속되고, 상기 제 2 신호라인들은 상기 제 1 신호라인들과 접촉하지 않고 상기 적어도 1이상의 터치 센싱전극과 접속되며,
    상기 제 1 신호라인들 및 상기 제 2 신호라인들은 모두 표시영역으로부터 비표시 영역의 동일한 일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라인들 및 상기 제 2 신호라인들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신호라인들과 접속되는 제 3 신호라인; 및
    상기 제 3 신호라인과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 2 신호라인과 접속되는 제 4 신호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6. 제 1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구동전극과 상기 터치 센싱전극의 각각은 적어도 2이상의 화소전극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7. 제 1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전극은 상기 터치 구동전극 및 상기 터치 센싱전극과 중첩되는 영역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길게 형성되는 복수의 개구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8. 제 1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구동전극 및 상기 터치 센싱전극은 상기 화소전극과 중첩되는 영역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길게 형성되는 복수의 개구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KR1020110030314A 2011-04-01 2011-04-01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Active KR101819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314A KR101819677B1 (ko) 2011-04-01 2011-04-01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EP11195605.8A EP2506128B1 (en) 2011-04-01 2011-12-23 Touch sensor integrated type display device
CN201110455438.5A CN102736291B (zh) 2011-04-01 2011-12-27 触摸传感器集成型显示装置
US13/337,375 US8933898B2 (en) 2011-04-01 2011-12-27 Touch sensor integrated type display device
TW100148918A TWI472859B (zh) 2011-04-01 2011-12-27 觸控感測器整合顯示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0314A KR101819677B1 (ko) 2011-04-01 2011-04-01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678A KR20120111678A (ko) 2012-10-10
KR101819677B1 true KR101819677B1 (ko) 2018-01-17

Family

ID=45524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314A Active KR101819677B1 (ko) 2011-04-01 2011-04-01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33898B2 (ko)
EP (1) EP2506128B1 (ko)
KR (1) KR101819677B1 (ko)
CN (1) CN102736291B (ko)
TW (1) TWI47285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3380A (ko) * 2014-12-30 2016-07-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그 구동회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7891A1 (zh) * 2009-08-12 2011-02-17 智点科技有限公司 一种有源触控系统
KR101380479B1 (ko) * 2012-03-30 2014-04-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944503B1 (ko) * 2012-06-21 2019-04-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센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센싱 표시 패널
KR101896377B1 (ko) * 2012-10-12 2018-09-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베젤이 최소화된 액정표시소자
TWI482065B (zh) * 2012-10-16 2015-04-21 Au Optronics Corp 觸控顯示面板及其驅動方法
CN102955636B (zh) * 2012-10-26 2015-09-09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电容式内嵌触摸屏及显示装置
CN102955637B (zh) * 2012-11-02 2015-09-09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电容式内嵌触摸屏、其驱动方法及显示装置
TWI502455B (zh) * 2012-11-02 2015-10-01 Innocom Tech Shenzhen Co Ltd 觸控顯示面板及應用其之觸控顯示裝置
KR102068588B1 (ko) * 2012-11-13 2020-02-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455314B1 (ko) * 2012-11-19 2014-10-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JP5778119B2 (ja) 2012-11-30 2015-09-1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318448B1 (ko) * 2012-12-11 2013-10-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024779B1 (ko) * 2012-12-13 2019-09-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KR102029437B1 (ko) * 2012-12-17 2019-10-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CN103293785B (zh) * 2012-12-24 2016-05-18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Tn型液晶显示装置及其触控方法
TWI480781B (zh) * 2012-12-27 2015-04-11 Ye Xin Technology Consulting Co Ltd 觸控顯示裝置
KR102187853B1 (ko) * 2012-12-28 2020-12-08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터치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14104825A1 (ko) * 2012-12-28 2014-07-03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터치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675256B1 (ko) * 2013-01-30 2016-11-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일체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JP6074287B2 (ja) * 2013-02-26 2017-02-0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03218097B (zh) * 2013-04-07 2016-07-06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电容式内嵌触摸屏及显示装置
CN103915444B (zh) * 2013-04-10 2016-10-19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及其制备方法、液晶显示面板
US9268447B2 (en) 2013-05-13 2016-02-23 Himax Technologies Limited Touch display panel, touch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372573B2 (en) 2013-05-31 2016-06-21 Boe Technology Group Co., Ltd. Array substrate, touch panel and driving method thereof
CN104598089B (zh) * 2013-05-31 2017-12-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触摸屏及驱动方法和显示装置
CN103309534B (zh) * 2013-05-31 2015-03-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触摸屏及驱动方法和显示装置
KR101507235B1 (ko) 2013-07-24 2015-03-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KR102082409B1 (ko) * 2013-08-28 2020-0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178797B1 (ko) 2013-10-04 2020-11-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112089B1 (ko) * 2013-10-16 2020-06-0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102149841B1 (ko) * 2013-12-10 2020-09-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178133B1 (ko) * 2013-12-30 2020-11-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KR102177539B1 (ko) * 2013-12-31 2020-11-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9626048B2 (en) * 2014-01-13 2017-04-18 Himax Technologies Limited Touch screen and related touch sensing control circuit
KR101633175B1 (ko) 2014-04-29 2016-06-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CN104020910B (zh) * 2014-05-30 2017-12-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内嵌式触摸屏及显示装置
US10739882B2 (en) 2014-08-06 2020-08-11 Apple Inc. Electronic device display with array of discrete light-emitting diodes
KR101671578B1 (ko) * 2014-08-11 2016-11-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KR102239861B1 (ko) * 2014-11-26 2021-04-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320514B1 (ko) * 2014-12-30 2021-11-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방식 액정표시장치
CN104516145A (zh) * 2014-12-31 2015-04-15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触控式液晶面板及其制作方法
CN104598080B (zh) * 2015-02-13 2019-02-26 重庆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触控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CN107783698B (zh) * 2015-04-01 2021-01-05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显示面板
TWI560597B (en) 2015-05-29 2016-12-01 Hon Hai Prec Ind Co Ltd In-cell touch display panel
KR102304311B1 (ko) * 2015-06-01 2021-09-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0228787B2 (en) * 2015-06-05 2019-03-12 Innolux Corporation Display device
KR102324661B1 (ko) * 2015-07-31 2021-11-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2369672B1 (ko) * 2015-08-26 2022-03-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내장형 표시장치
KR101750428B1 (ko) * 2015-09-24 2017-06-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KR102420490B1 (ko) * 2015-10-30 2022-07-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와 그 구동방법
CN105183265B (zh) * 2015-11-04 2017-03-08 重庆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触摸屏、显示装置及触摸屏制作方法
JP6539190B2 (ja) * 2015-11-20 2019-07-0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検出装置及び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
CN105373259B (zh) * 2015-12-11 2018-11-27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510818B1 (ko) * 2015-12-30 2023-03-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내장형 표시장치
KR102412366B1 (ko) * 2015-12-30 2022-06-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포스 센서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39350B1 (ko) * 2015-12-31 2022-09-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내장형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TWI686653B (zh) * 2016-05-16 2020-03-01 日商凸版印刷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KR102599283B1 (ko) 2016-07-14 2023-11-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576541B1 (ko) 2016-10-13 2023-09-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과, 구동 회로, 데이터 구동 회로 및 게이트 구동 회로
CN108255354B (zh) * 2016-12-29 2021-03-12 南京瀚宇彩欣科技有限责任公司 内嵌式触控显示面板
CN108255353B (zh) * 2016-12-29 2021-04-02 南京瀚宇彩欣科技有限责任公司 内嵌式触控显示面板
US11307697B2 (en) 2016-12-29 2022-04-19 Hann Star Display (Nanjing) Corporation Display device with two display panel
KR101932650B1 (ko) 2017-05-15 2018-1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76412B1 (ko) * 2017-07-14 2022-03-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410267B1 (ko) * 2017-09-08 2022-06-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력 감지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387793B1 (ko) * 2017-09-13 2022-04-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102411704B1 (ko) * 2017-09-29 2022-06-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CA2985264A1 (en) * 2017-11-14 2019-05-14 Vuereal Inc. Integration of touch and sensing
KR102418577B1 (ko) * 2017-12-13 2022-07-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가지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7233037B2 (ja) * 2018-05-01 2023-03-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タッチセンサ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CN108958539B (zh) * 2018-06-28 2021-09-14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触控显示面板及触控显示装置
KR102554586B1 (ko) * 2018-07-27 2023-07-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압력 센서와 그를 포함한 표시 장치
KR102653262B1 (ko) * 2018-10-16 2024-04-01 삼성전자 주식회사 개구부가 형성된 터치 레이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698410B1 (ko) * 2019-01-24 2024-08-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감지 유닛과 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1582096B (zh) * 2020-04-28 2024-02-02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指纹识别结构及装置、显示装置
CN112905052B (zh) * 2021-03-05 2024-08-13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阵列基板及其制备方法、触控显示装置
TWI870765B (zh) * 2023-01-18 2025-01-21 龍華科技大學 新型電路佈局效應之元件製作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8976A (ja) * 2006-04-06 2007-11-15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液晶表示装置及び半導体装置、並びに電子機器
US20080062139A1 (en) * 2006-06-09 2008-03-13 Apple Inc. Touch screen liquid crystal display
WO2010088670A1 (en) * 2009-02-02 2010-08-05 Apple Inc. Integrated touch scree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6342B2 (ja) * 2002-10-31 2008-09-24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3753141B2 (ja) * 2002-12-25 2006-03-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359921B1 (ko) * 2007-03-02 2014-02-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4816668B2 (ja) * 2008-03-28 2011-11-16 ソニー株式会社 タッチセンサ付き表示装置
US8508495B2 (en) * 2008-07-03 2013-08-13 Apple Inc. Display with dual-function capacitive elements
US8217913B2 (en) * 2009-02-02 2012-07-10 Apple Inc. Integrated touch screen
JP5366051B2 (ja) * 2009-04-20 2013-12-1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情報入力装置、表示装置
TWI406159B (zh) * 2009-05-13 2013-08-21 Chimei Innolux Corp 觸控式面板及觸控式顯示裝置
JP5178631B2 (ja) * 2009-05-26 2013-04-1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ウェスト タッチセンサ、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8804056B2 (en) * 2010-12-22 2014-08-12 Apple Inc. Integrated touch scree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98976A (ja) * 2006-04-06 2007-11-15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液晶表示装置及び半導体装置、並びに電子機器
US20080062139A1 (en) * 2006-06-09 2008-03-13 Apple Inc. Touch screen liquid crystal display
WO2010088670A1 (en) * 2009-02-02 2010-08-05 Apple Inc. Integrated touch scre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3380A (ko) * 2014-12-30 2016-07-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그 구동회로
KR102184863B1 (ko) 2014-12-30 2020-12-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그 구동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1678A (ko) 2012-10-10
EP2506128A2 (en) 2012-10-03
EP2506128B1 (en) 2019-06-12
TWI472859B (zh) 2015-02-11
US20120249444A1 (en) 2012-10-04
US8933898B2 (en) 2015-01-13
EP2506128A3 (en) 2013-10-16
TW201241532A (en) 2012-10-16
CN102736291A (zh) 2012-10-17
CN102736291B (zh) 201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9677B1 (ko)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US8970524B2 (en) Touch sensor integrated type display device
EP2866125B1 (en) Touch sensor integrated type display device
EP2492783B1 (en) Touch integrated display device
KR102045809B1 (ko)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KR101457743B1 (ko)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KR101450948B1 (ko)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KR102045808B1 (ko)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KR102033614B1 (ko)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TWI464854B (zh) 整合式觸控感測器顯示裝置
US949503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ouch screen
US9285933B2 (en) Display device with integrated touch screen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130110906A (ko) 터치 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819676B1 (ko) 터치 센서 일체형 액정 표시장치
KR101373953B1 (ko)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KR102238324B1 (ko) 터치센서 일체형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3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40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7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