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16664B1 - 구이용 팬 - Google Patents

구이용 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6664B1
KR101816664B1 KR1020150164506A KR20150164506A KR101816664B1 KR 101816664 B1 KR101816664 B1 KR 101816664B1 KR 1020150164506 A KR1020150164506 A KR 1020150164506A KR 20150164506 A KR20150164506 A KR 20150164506A KR 101816664 B1 KR101816664 B1 KR 101816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plate
shielding plate
heat
axial dir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4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0633A (ko
Inventor
이흥규
김옥기
Original Assignee
이흥규
김옥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흥규, 김옥기 filed Critical 이흥규
Priority to KR1020150164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6664B1/ko
Publication of KR20170060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0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66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구이용 팬은 화염이 통과하는 화염 홀이 바닥에 형성된 몸체; 및 상기 화염 홀에 삽입되고 상기 화염의 유로를 형성하는 불받이통;을 포함하고, 상기 불받이통은 상기 몸체의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구이용 팬{ROAST PAN}
본 발명은 화염을 이용하여 요리하는 구이용 팬에 관한 것이다.
구이용 팬은 고기나 생선 등을 구울 때 숯이나 가스 등을 연료로 하여 발생하는 화염을 직접 이용하여 요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이용 팬은 화염이 일부분에 집중되어 음식물이 타는 문제점과 요리시 연기나 냄새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8739호에는 구이용 팬이 개시되고 있으나, 연기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그대로 갖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8739호
본 발명은 조리물이 타지 않고 신속하게 골고루 가열될 수 있도록 하고, 조리시 발생되는 액체의 인화가 억제되는 구이용 팬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구이용 팬은 화염이 통과하는 화염 홀이 바닥에 형성된 몸체; 및 상기 화염 홀에 삽입되고 상기 화염의 유로를 형성하는 불받이통;을 포함하고, 상기 불받이통은 상기 몸체의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염원으로부터 생성된 화염이 불받이통을 거쳐 몸체의 상측으로 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된 액체가 쌓이는 바닥이 화염으로부터 최대한 이격될 수 있고, 화염으로 인한 액체의 인화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염이 조리물에 직접 접촉되지 않으면서 열기가 최대한 순환될 수 있도록 하여 조리물이 골고루 잘 익고, 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조리물에서 발생된 연기가 화염을 향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연기 또는 냄새를 연소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구이용 팬의 외부로 유출되는 연기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이용 팬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구이용 팬을 절단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구이용 팬을 비스듬히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구이용 판의 내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구이용 팬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구이용 팬을 구성하는 불판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구이용 팬을 구성하는 보조 조리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는 몸체에 불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구이용 팬을 구성하는 덮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이용 팬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구이용 팬을 절단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구이용 팬을 비스듬히 아래에서 바라본 단면 사시도이고, 도 4는 구이용 판의 내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구이용 팬은 화염원으로부터 생성된 화염을 이용해서 조리물을 조리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구이용 팬의 기본 기능은 화염의 열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조리물에 인가하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구이용 팬의 실제 사용을 위해서는 조리물의 조리 과정에서 파생되는 여러 문제가 해소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일 예로, 구이용 팬이 조리물에 아무리 열을 잘 전달하더라도, 조리 과정에서 생성된 연기 냄새가 외부로 퍼지게 되면 현실적으로 사용이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연기로 인해 사용자가 구이용 팬의 사용을 거부할 것이기 때문이다.
다른 예로, 조리 과정에서 생성된 액체가 인화되는 경우도 현실적으로 사용이 불가능하다. 인화된 액체에 대한 처리 곤란으로 인해 사용자가 구이용 팬의 사용을 거부할 것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조리 과정에서 생성되는 액체의 인화와 연기와 냄새를 최대한 억제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구이용 팬은 몸체(100) 및 불받이통(500)을 포함할 수 있다.
몸체(100)는 냄비 또는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냄비와 다르게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화염에 의해 조리물을 조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내부 공간으로 화염이 유입되도록 몸체의 바닥에는 화염이 통과하는 화염 홀(153)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100)의 내부 공간에는 조리물이 놓일 수 있으며, 조리물은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화염에 의해 조리될 수 있다.
조리물의 조리 과정에서 육즙, 국물 등의 액체가 흘러내려 몸체의 바닥에 쌓이게 된다.
지방을 포함한 액체의 경우 고온으로 가열되면 인화될 수 있다. 인화된 액체는 불완전 연소되므로 몸체의 내면 또는 조리물이 불완전 연소된 연기로 인해 시커멓게 그을릴 수 있다. 또한, 액체의 인화로 인해 형성된 불연소 화염은 냄새 및 미세 먼지를 유발하거나 본체를 덮는 덮개를 훼손하거나 덮개(200)를 넘어서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몸체(100)에 따르면 화염 홀을 통해 화염이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므로 액체가 인화될 가능성이 더욱 높다. 따라서, 몸체(100)의 바닥에 쌓인 액체에 열이 인가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화염 또는 화염으로 인한 열기가 몸체의 바닥에 가해지는 현상이 최대한 억제되도록 불받이통(500)이 이용될 수 있다.
불받이통(500)은 화염 홀(153)에 삽입되고 화염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불받이통(500)은 몸체(100)의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상측' 또는 '하측'은 몸체(100)가 평평한 바닥에 놓인 상태에서 중력 방향 상의 위치 관계에 따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z축을 갖는 3차원 공간에서 z축이 중력의 반대 방향일 때, 상측은 z축의 양의 방향 측일 수 있고, 하측은 z축의 음의 방향 측일 수 있다.
불받이통(500)은 화염의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화염은 불받이통(500)의 내부 공간을 통해 몸체(1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런데, 불받이통(500)이 몸체(100)의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이므로, 몸체(100)의 내부 공간에서 화염이 토출되는 위치는 몸체(100)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불받이통(500)에 따르면, 화염의 토출 위치가 화염 홀(153)로부터 이격되고, 화염 홀(153)을 형성하는 몸체(100)의 바닥에 인가되는 화염 또는 열을 줄일 수 있다.
몸체(100)의 바닥으로 흘러내린 액체가 화염 홀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몸체(100)의 바닥에는 제1 가림판(170)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가림판(170)은 화염 홀(153)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원주를 따라 몸체(100)의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판 형상의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림판(170)에 의하면, 제1 가림판(170)과 몸체(100)의 측벽(110) 사이에 액체가 수용되는 골(140)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가림판(170)은 화염 또는 화염의 열기가 골(140)에 수용된 액체에 직접 가해지고 흘러내리는 것을 차단하므로, 액체가 인화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그런데, 제1 가림판(170)의 일면이 화염에 직접 닿게 되면 높은 온도로 가열되고, 제1 가림판(170)의 타면에 접촉된 상태의 액체에 제1 가림판(170)의 열이 그대로 전도될 수 있다. 제1 가림판(170)의 열전도로 인해 액체가 인화될 수 있으므로, 제1 가림판(170)에 화염이 직접 닿지 않게 하는 수단으로 불받이통(500)이 이용될 수 있다.
불받이통(500)에는 제1 가림판(170)에 대면되는 제2 가림판(570)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가림판(570)은 불받이통(500)의 측면을 형성하는 요소일 수 있으며, 화염의 유로가 되는 관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화염이 제1 가림판(170)과 별개로 마련된 제2 가림판(570)을 통해 흐르게 되므로 제1 가림판(170)에 화염이 직접 닿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제2 가림판(570)에서 몸체(100)의 내부 공간에 대면되는 상측 개구부의 직경은 제2 가림판(570)의 다른 부분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염이 골(1400) 측으로 번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수 있다.
제2 가림판(570)이 제1 가림판(170)에 접촉되면 열전도 과정을 통해 제2 가림판(570)의 높은 열이 제1 가림판(170)을 거쳐 액체로 전달될 수 있다. 제2 가림판(570), 제1 가림판(170)을 경유하는 열전도를 방지하기 위해 제2 가림판(570)은 제1 가림판(170)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화염으로부터 제1 가림판(170)을 가릴 수 있다.
제1 가림판(170)과 제2 가림판(570)이 이격 배치되고, 제2 가림판(570)에 의해 화염이 직접 제1 가림판(170)에 닿지 못하므로, 화염의 열이 직접 액체로 전달되거나 각 가림판을 거쳐 전도되는 현상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화염원의 화염이 몸체(100)의 바닥에 직접 인가되면, 몸체(100)의 바닥을 거쳐 열이 액체로 전도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2 가림판(570)은 몸체(100)의 바닥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고 화염이 생성되는 화염원의 받침대(미도시), 예를 들어 가스 레인지의 받침대 등에 놓일 수 있다. 또한, 제2 가림판(570)의 하단은 화염을 완전하게 감싸는 직경을 갖는 것이 좋다. 위 구성에 따르면, 화염원에서 생성된 화염은 모두 제2 가림판(57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므로, 몸체(100)의 밑면 및 제1 가림판(170)에 화염이 직접 닿지 못한다. 따라서, 제1 가림판(170)과 몸체(100)의 측벽(110) 사이에 형성된 골(140)에 수용된 액체를 인화시킬 정도의 열이 해당 액체에 인가되기 어렵다.
불받이통(500)이 화염 홀(153)에 삽입된다는 것은 불받이통(500)이 화염 홀(153)을 통해 몸체(100)로부터 빠져나갈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불받이통(500)이 화염 홀(15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가림판(170)과 제2 가림판(570)을 연결하는 연결 리브(530)가 마련될 수 있다.
연결 리브(530)에 따르면, 뜨겁게 가열된 제2 가림판(570)의 열이 연결 리브(530)를 거쳐 제1 가림판(170)으로 열전도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리브(530)를 통해 열전도되는 열을 최소화하는 것이 좋다.
열전도되는 열을 줄이기 위해 연결 리브(530)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막대 형상의 연결 리브(530)에서 일단이 제1 가림판(170)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리브(530)가 막대 형상이므로 제1 가림판(170)과 연결 리브(530)의 접촉은 거의 점접촉에 가까울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가림판(170)과 연결 리브(530)의 접촉 면적이 최소화될 수 있다. 접촉 면적이 최소화되므로 연결 리브(530)로부터 제1 가림판(170)으로 전달되는 열량이 상당히 제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리브(530)를 통한 열전도조차도 배제되는 방안이 제시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구이용 팬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일 예로, 불받이통(500)에는 화염의 유로가 되는 관을 형성하고 몸체(100)로부터 이격된 제2 가림판(570), 제2 가림판(570)이 화염 홀(153)을 통해 하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몸체(100)에 걸쳐지는 걸림부(59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불받이통(500)은 화염 홀(153)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걸림부(590)는 제2 가림판(570)에 설치되고, 몸체(100)의 측벽(110)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일예로 걸림부(590)는 화염 홀(153)의 테두리 등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제1 가림판(170)의 상단에 걸리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590)가 몸체(100)의 설정 위치 P에 걸쳐질 때, 설정 위치 P로부터 몸체(100)의 하단까지의 길이를 제1 길이 L1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또한, 설정 위치 P로부터 제2 가림판(570)의 하단까지의 길이를 제2 길이 L2로 정의하기로 한다.
제1 가림판(170)이 몸체(100)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경우, 제1 가림판(170)의 하단이 몸체(100)의 하단이 될 수 있다. 제1 가림판(170)이 몸체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경우, 몸체(100)의 하단은 몸체(100)의 최저면이 될 수 있다.
이때, 제1 길이 L1은 제2 길이 L2보다 짧을 수 있다. 따라서, 걸림부(590)가 몸체(100)에 걸쳐진 상태에서 제2 가림판(570)의 하단은 도 5와 같이 몸체(100)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으로 더 돌출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몸체(100)의 하단과 제2 가림판(570)의 하단은 화염이 생성되는 화염원의 받침대에 함께 놓일 수 있다.
화염원의 받침대에 함께 놓인 몸체(100)의 하단과 제2 가림판(570)의 하단은 도 6과 같이 동일한 높이에 위치될 것이다. 이로 인해, 제2 가림판(570)이 상측으로 들린 상태가 될 수 있다.
몸체(100)의 하단과 제2 가림판(570)의 하단이 받침대에 함께 놓이면, 걸림부(590)는 제1 길이 L1과 제2 길이 L2의 차이로 인해 제2 가림판(570)과 함께 상측으로 이동되고 몸체(10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위 구성을 기초로 화염원의 받침대에 구이용 팬이 놓인 경우를 살펴보면, 제2 가림판(570)은 제1 가림판(170)으로부터 이격되고, 걸림부(590)까지 몸체(100)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화염원에 놓인 불받이통(500)은 몸체(100)와 접촉되는 부위가 없게 된다.
따라서, 접촉을 통해 열이 골로(140) 전도되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고, 골(140)에 쌓인 액체의 인화가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불받이통(500)에 따르면, 조리 과정에서 흘러내린 액체가 인화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조리 과정에서 생성된 연기를 억제하고, 조리물에 열을 잘 전달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본 발명의 구이용 팬은 불판(300)(도 2 참조), 덮개(200)를 포함할 수 있다.
불판(300)은 화염 홀(153)을 덮도록 몸체(100)에 수용되고, 불받이통(500)으로부터 토출된 화염에 닿을 수 있다. 사용자는 불판(300)의 상면에 조리물을 올려놓고 프라이팬처럼 불판(300)을 이용할 수 있다. 또는 불판(300)의 상부에 배치되거나 결합되는 보조 조리기(400)를 이용해서 바베큐와 같은 직화구이 요리가 가능하다.
불판(300)의 하측에는 화염이 대면되고, 불판(300)의 상측에는 조리물이 놓여질 수 있다.
서로 직교하는 3개의 축 x, y, z로 이루어진 3차원 공간에서 불판(300)은 xy 평면에 놓여질 수 있으며, 이때, z축 방향으로 불판(300)의 상면에는 조리물이 놓여지고, 하면에는 화염이 인가될 수 있다.
불판(300)의 하면에 화염이 인가되면 불판(300)은 가열되고, 상면까지 열이 전도된다. 따라서, 가열된 불판(300)에 접촉된 조리물이 익게 된다. 그러나, 이에 따르면 직화구이를 실현할 수 없다. 직화구이는 화염 또는 화염으로 생성된 열기가 중간 매개체를 통하지 않고 직접 조리물에 인가되는 것일 수 있다.
화염 또는 화염의 열기가 조리물에 직접 인가되도록 몸체(100)와 덮개(200)가 이용될 수 있다.
몸체(100)는 불판(300)을 지지할 수 있으며, 내부 바닥에 화염이 통과하는 화염 홀(153)이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레인지 등의 화염원에는 불판(300)을 놓을 수 있는 받침대가 마련된다. 이러한 환경에서 추가로 불판(300)을 지지하는 몸체(100)를 마련한 것은 화염 또는 열기가 조리물에 직접 인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화염은 불판(300)의 하면에 인가되는데, 이 화염을 불판(300)의 상면에 놓인 조리물에 직접 인가시키기 위해서 불판(300)의 하면과 불판(300)의 상면을 연결하는 유로 또는 열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의 유로는 불판(300)의 하면에 가해진 화염 또는 열기가 유동하는 통로일 수 있다.
몸체(100)가 마련되면 몸체(100)와 불판(300)의 사이 통로가 위 유로 또는 화로로 기능할 수 있다.
몸체(100)는 구이용 팬의 바닥과 측벽(110)을 형성할 수 있다. 불판(300)은 몸체(100)의 측벽(1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유로가 형성되도록, 다시 말해 화염 또는 열기가 통과되도록 불판(300)의 가장자리와 몸체(100)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구이용 팬을 구성하는 불판(300)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살펴보면, xy 평면상으로 장방형의 불판(300)이 마련된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불판(300)은 평면상으로 서로 직교하는 제1 축 방향(x축 방향), 제2 축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불판(300)의 가장자리가 몸체(100)의 측벽(110)에 밀착되면 불판(300)의 하면에 인가된 화염 또는 열기가 불판(300)의 상면 또는 상측으로 전파되지 못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불판(300)에는 평면 또는 측면 방향으로 돌출된 제1 설치부(310)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는 불판(300)의 각 모서리에 제1 설치부(310)가 마련되고 있다. 제1 설치부(310)는 균형을 맞추기 위해 적어도 3개 이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설치부(310)는 몸체(100)의 측벽(110)에 밀착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불판(300)에서 제1 설치부(310)를 제외한 부분은 몸체(100)의 측벽(110)으로부터 이격된다. 이때의 이격된 틈을 통해 화염 또는 열기가 유입되고, 조리물에서 생성된 연기가 유출될 수 있다.
제1 설치부(310)에 대응하여 몸체(100)에는 제2 설치부(111)(도 4 참조)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설치부(111)는 몸체(100)의 측벽(110)에서 제1 설치부(310)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스토퍼일 수 있다. 제2 설치부(111)는 평면상으로 몸체(100)의 측벽(110) 내면으로부터 화염 홀(153)을 향해 돌출된 돌기일 수 있다.
몸체(100)가 덮개(200)로 덮이게 되면 화염 또는 열기가 구이용 팬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위 틈으로 조리물 방향으로 유입된 화염 또는 열기가 조리물을 직접 가열할 수 있다.
조리물의 가열로 연기가 발생되는데, 폭발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연기는 반드시 외부로 배출될 필요가 있다. 이때의 연기 역시 불판(300)과 몸체(100) 사이의 틈을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정리하면, 조리물이 놓이는 불판(300), 몸체(100) 및 덮개(200) 사이의 공간을 조리실이라 칭할 때, 불판(300)과 몸체(100) 사이의 틈으로 화염 또는 열기가 조리실로 유입되거나 조리실의 연기가 빠져나갈 수 있다.
불판(300)의 상면에 조리물이 직접 놓이게 되면, 일반 프라이팬과 유사하게 불판(300)의 전도열에 의해 조리물이 조리될 수 있다. 이 또한, 구이용 팬의 용도에 포함될 수 있다.
불판(300)은 판 형상이므로 통닭과 여러 재료를 꽂아 걸치는 꼬치 같은 조리물의 구이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조리물에 대한 직화구이를 구현하기 위해 조리물이 불판(300)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 조리기(40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구이용 팬을 구성하는 보조 조리기(40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의 보조 조리기(400)도 도 7의 불판(300)과 마찬가지로 절반이 잘린 상태로 개시된다.
보조 조리기(400)는 불판(300)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보조 조리기(400)에는 불판(300)의 상면 양측에 놓여지는 2개의 지지대(410), 각 지지대(410)를 연결하고 조리물이 놓여지는 복수의 연결 막대(430)가 마련될 수 있다.
지지대(410)는 불판(300)에서 화염 또는 열기가 유입되는 제1 틈(V1)에 인접한 장변측에 마련될 수 있다.
지지대(410)의 단부에는 불판(300)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불판(300)에 접촉되는 접촉부(411)가 마련될 수 있다. 접촉부(411)는 불판(300)에 마련된 홀 또는 홈 H에 끼이는 것으로 지지대(410)를 불판(300)에 얼라인시켜 설치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411)는 불판(300)에 결합된 상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접촉부(411)에 의하면 지지대(410)는 불판(300)으로부터 이격되며, 이때의 이격으로 형성된 틈으로 화염 또는 열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이렇게 유입된 화염 또는 열기는 조리물의 하부 또는 하면에 직접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지지대(410)에는 화염 또는 열기가 통과하는 통공(413)이 마련될 수 있다. 통공(413)에 의하면 제1 틈으로 유입된 화염 또는 열기가 조리물을 향해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지지대(410)는 화염 또는 열기가 잘 통과하는 철망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지지대(410)가 철망 등으로 구성될 경우 자연스럽게 통공(41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대(410)의 상면에는 꼬치 막대(미도시)가 거치되는 거치 홈(419)이 마련될 수 있다. 도면에는 불판(300)의 장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지지대(410)의 상면에 복수의 거치 홈(419)이 형성되고 있다.
한편, 조리실 내에서 화염 또는 열기가 유입되는 틈과 연기가 빠져나가는 틈은 열 포화를 방지하고 원활한 열 흐름을 위해 서로 구분되는 것이 좋다. 또한, 이렇게 구분된 틈에 맞게 열기 또는 연기를 유도시킬 필요가 있다.
도 9는 몸체(100)에 불판(300)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의 도면에는 제2 축 방향을 따라 구이용 팬이 절단된 상태가 개시된다.
불판(300)의 제1 축 방향 길이는 제2 축 방향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이로 인해, 평면상으로 불판(300)을 형성하는 4개의 변 중 2개는 장변(긴 변)이되고, 나머지 2개는 상대적으로 단변(짧은 변)이 될 수 있다.
장변을 제2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단변은 제1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불판(300)의 가장자리는 화염 또는 연기가 통과되도록 몸체(100)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서 장방형의 불판(300)에서 장변과 몸체(100) 사이의 제1 틈(V1)으로는 화염 또는 열기가 조리실로 유입되도록 하고, 단변과 몸체(100) 사이의 제2 틈(V2)으로는 조리실의 연기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불판(300)에서 장변의 길이 방향으로 화염에 대면하는 부분은 높고 가장자리는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불판(300)은 제2 축 방향 상으로 가운데가 높고 가장자리가 낮은 아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뜨거운 화염 또는 열기는 위로 상승하려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위 구조에 따르면 화염 또는 열기는 불판(300)의 중앙 부분에 몰리게 된다. 이렇게 중앙 부분에 몰린 화염 또는 열기는 단변의 길이 방향, 즉 제1 축 방향으로 유동하여(결과적으로 장변쪽으로 유동됨) 제1 틈(V1)을 통해 조리실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화염 또는 열기가 불판(300)의 중앙 부분에 몰리게 됨으로써 불판(300)에서 중앙의 온도가 가장자리의 온도보다 높다. 따라서, 조리실에서 불판(300)의 중간 부근의 공기 온도는 가장자리 부근의 공기 온도보다 높다. 이러한 환경에서 조리실 내의 공기는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제2 틈(V2)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조리실 내의 공기는 조리물에서 생성된 연기가 포함되므로 결과적으로 제2 틈(V2)으로 연기가 유출될 수 있다.
제1 틈(V1)으로 화염 또는 열기가 조리실로 유입되고, 제2 틈(V2)으로 조리실의 연기가 효과적으로 외부로 빠져나가도록 하기 위해 불판(300)에는 제2 돌출부(330)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불판(300)이 xy 평면에 놓여질 때, xy 평면상으로 불판(300)은 제1 측, 제2 측, 제3 측 및 제4 측의 측부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측과 제3 측은 서로 대면하는 단변일 수 있다. 제2 측과 제4 측은 서로 대면하는 장변일 수 있다.
이때, 효과를 높이기 위해 불판(300)에서 제1 측과 제3 측의 단부에만 화염 홀(153)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330)가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축 방향 상으로 불판(300)의 단부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330)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돌출부(330)는 단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 돌출부(330)는 제2 틈으로 화염 또는 열기가 유입되는 것을 신뢰성 있게 막을 수 있다.
유로 형성을 위해 측면상으로 아치형으로 형성된 불판(300)에 따르면, 조리 과정에서 생성된 액체는 제2 축 방향을 따라 불판(300)의 중앙으로부터 단부를 향해 흐를 수 있다. 불판(300)의 단부에 도달한 액체는 하측으로 자유 낙하할 수 있다. 자유 낙하하는 액체가 제1 가림판(170)과 몸체(100)의 측벽(110) 사이에 형성된 골(140)에 수용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일예로, 제2 축 방향 상으로 불판(300)의 단부는 몸체(100)의 측벽(110)과 제1 가림판(17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불판(300)의 장변에는 제3 돌출부(350)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다.
도 7을 살펴보면, 불판(300)의 단변에 제2 돌출부(330)가 마련되고, 불판(300)의 장변에 제3 돌출부(350)가 마련되고 있다.
제3 돌출부(350)는 제2 돌출부(330)와 다른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돌출부(330)는 불판(300)으로부터 화염 또는 화염원을 향하는 방향, 다시 말해 중력 방향(z축의 음의 방향)으로 돌출되는 반면, 제3 돌출부(350)는 화염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중력 방향의 반대 방향(z축의 양의 방향)으로 돌출되고 있다. 정리하면, 제1 축 방향 상으로 불판(300)의 단부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제3 돌출부(350)가 마련될 수 있다.
제3 돌출부(350)에 따르면 제1 틈(V1)으로 유입된 화염 또는 열기를 조리실로 가이드할 수 있으며, 조리실 내의 화염, 열기 또는 연기가 제1 틈(V1)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본 발명의 구이용 팬은 직화구이를 구현하는 것이기는 하나 가열된 불판(300)의 열전도에 의해 조리물이 익는 현상을 완전히 배재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가능한 줄이기 위해 화염이 직접 불판(300)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거나, 불판(300)의 저면 특정 부위가 집중적으로 화염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불받이통(500)이 이용될 수 있다.
불받이통(500)에서 제2 가림판(570)이 형성하는 관의 중앙에는 확산판(510)이 설치될 수 있다.
확산판(510)은 화염 홀(153)과 단차를 가지며 평면상으로 화염 홀(153)을 막는 것으로 화염 홀(153)을 통과한 화염의 방향을 불판(300)의 평면 또는 측면 방향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불판(300)에 화염이 직접 닿는 현상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따라서, 확산판(510)에 의하면 불판(300)의 저면이 국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불판(300)의 상면에 접촉된 조리물에서 특정 부위가 먼저 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확산판(510)은 화염 홀(153)을 통과한 화염을 제1 축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다. 확산판(510)의 제1 측, 제2 측, 제3 측 및 제4 측 중 서로 대면하는 제1 측과 제3 측에만 화염 홀(153)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550)가 마련될 수 있다. 확산판(510)은 불관(300)과 마찬가지로 아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확산판(510)의 제1 측 및 제3 측은 불판(300)의 단변에 대면하는 측일 수 있으며, 확산판(510)의 제2 측 및 제4 측은 불판(300)의 장변에 대면하는 측일 수 있다. 제1 돌출부(550)는 제2 돌출부(330)와 마찬가지로 화염 또는 화염의 열기가 제1 틈(V1)으로 집중적으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확산판(510)과 제2 가림판(570)을 연결하는 지지 리브(540)(도 4 참조)가 마련된 경우, 확산판(510)과 제2 가림판(570) 사이의 틈은 지지 리브(540)에 의해 제1 측 틈 a, 제2 측 틈 b, 제3 측 틈 c, 제4 측 틈(d)으로 구분될 수 있다.
화염이 불판(300)의 장변 측으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 장변에 대면되는 제2 측 틈 b 또는 제4 측 틈 d로 화염을 유도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제1 측 틈 a의 테두리와 제3 측 틈 c의 테두리에 하측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550)가 마련되면, 확산판(510)에 막혀 사방으로 퍼지는 화염은 제1 돌출부(550)에 막혀, 제1 측 틈 a 또는 제3 측 틈 c로 흐르지 못하고, 자연스럽게 제2 측 틈 b 또는 제4 측 틈 d로 유입될 수 있다.
도면에는 xy 평면상으로 제1 지름의 화염 홀(153)과 제2 지름의 확산판(510)이 마련되고 있으며, 화염 홀(153)과 확산판(510)의 중심은 동일하게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제1 지름은 제2 지름보다 클 수 있다. z축 상으로 화염 홀(153)은 몸체(100)의 바닥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z축 상으로 확산판(510)은 화염 홀(153)과 다른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일예로, 확산판(510)은 z축 상으로 화염 홀(153)과 불판(30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화염 홀(153)을 통과한 화염의 방향을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확산판(510)도 불판(300)과 마찬가지로 불판(300)의 장변측 방향에서 바라보았을 때 아치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축 방향 상으로 확산판(510)의 중심은 높고 가장자리는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화염이 단변측으로 용이하게 유도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제1 틈(V1)으로 화염 또는 화염이 열기가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화염 홀(153)은 xy 평면상으로 장방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틈(V2)으로 조리실의 연기가 배출되는데, 해당 연기는 제1 측 틈 a 또는 제3 측 틈 c를 통해 제2 가림판(570)이 형성하는 관으로 유입될 수 있다.
연기는 특성상 화염에 접촉되면 완전 연소되므로 연기의 성질을 잃어버리게 된다. 따라서, 제2 틈(V2)과 제1 측 틈 a, 제3 측 틈 c를 순서대로 거친 연기는 제2 가림판(570)의 중앙으로 입력되는 화염원의 화염에 의해 완전 연소될 수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불받이통(500)을 거쳐 빠져나가는 연기는 거의 없다. 더욱이 상대적으로 가벼운 연기는 기류에 의해 불받이통(500)으로 빨려들어가므로, 연기는 불받이통(500)을 빠져나가기 더욱 힘들다.
제1 가림판(170)의 하단은 몸체(100)의 바닥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제1 가림판(170)의 하단은 톱니(131)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톱니(131)에 의하면 몸체(100) 또는 불받이통(500)이 화염원의 받침대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을 신뢰성 있게 방지할 수 있다.
몸체(100)에는 불판(300)이 설치되므로 불판(300)이 장변과 단변을 갖는 경우 몸체(100) 역시 불판(300)에 대응하여 장변과 단변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양 단변에는 손잡이(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2 축 방향 상으로 양 단부 측에 손잡이가 마련되는 셈으로 이에 따르면 몸체(100)의 무게 중심이 흐트러지지 않게 몸체(100)를 들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구이용 팬을 구성하는 덮개(20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덮개(200)는 몸체(100)를 덮는 요소이다. 몸체(100)에 덮개(200)가 덮히면 불판(300)의 상면, 몸체(100)의 측벽(110), 덮개(200)에서 불판(300)에 대면하는 내면이 연합하여 조리물이 조리되는 조리실이 형성될 수 있다.
조리실의 공간을 가능한 크게 하고, 연기의 배출, 화염 또는 열기의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덮개(200)는 가장자리로부터 중심으로 갈수록 볼록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덮개(200)의 내면에는 가이드(250)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250)는 덮개(200)의 내면 일측으로 유입된 화염 또는 열기가 조리실의 중심부에서 충돌하는 현상을 줄이고, 덮개(200)의 내면 타측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250)는 덮개(200)의 내면에서 불판(300)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덮개(200)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불판(300)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250)에 따르면 조리물이 수용되는 공간이 가이드(250)의 돌출 거리만큼 줄어들게 된다. 그런데 가장자리로부터 중심으로 갈수록 볼록해지는 형상으로 덮개(200)가 형성되면 가이드(250)로 인해 조리물의 수용 공간이 제한되는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덮개(200)의 가장자리에는 xy 평면 방향으로 돌출된 밀폐부(211)가 마련될 수 있다. 밀폐부(211)에 따르면 덮개(200)와 몸체(100)의 결합 부위를 신뢰성 있게 밀폐시킬 수 있으므로 조리실 내의 열기 또는 연기가 덮개(200)와 몸체(100)의 결합 부위로 빠져나가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덮개(200)의 중심에는 조리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원형의 투명창(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250)는 덮개(200)의 내면 일측으로 유입된 화염 또는 열기를 덮개(200)의 내면 타측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불판(300)이 장변과 단변을 갖는 장방형으로 형성된 경우 덮개(200)는 이에 대응하여 장변과 단변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1 틈(V1)을 통해 조리실로 유입되는 화염 또는 열기는 덮개(200)의 장변측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제2 틈(V2)을 통해 조리실로부터 빠져나가는 연기, 화염, 열기는 덮개(200)의 단변측으로 유동된다.
조리실로 유입된 화염 또는 열기, 조리실에서 형성된 연기는 상측 방향, 즉 z축의 양의 방향으로 상승하려는 성질이 있으므로 덮개(200)의 내면을 따라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가이드(250)에 접촉되고 가이드(250)를 따라 유동하게 된다.
가이드(250)는 평면상으로 원형 또는 원형 대칭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위로 상승하던 화염, 열기, 연기는 가이드(250)의 외주를 따라 단변을 향해 유동할 수 있다.
화염, 열기, 연기가 가이드(250)를 따라 신뢰성 있게 유동하도록 하기 위해 가이드(250)는 덮개(200)에서 z축 방향으로 가장 높은 위치에 마련되는 것이 좋다. 이때 덮개(200)에서 z축 방향으로 가장 높은 위치는 장변과 단면에 모두 대면하는 덮개(200)의 중심이 좋다. 덮개(200)의 중심을 덮개(200)에서 가장 높게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 덮개(200)의 중심은 불판(30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된 함몰 부위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함몰 부위는 프레스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0에는 프레스에 의해 함몰된 함몰선 ⓡ이 개시되고 있다. 조리실로 유입된 화염 또는 열기는 위로 상승하려는 성질을 갖는다. 위로 상승한 화염 또는 열기는 함몰 부위의 단차 K를 넘어 함몰 부위로 모이게 된다. 해당 화염 등은 제1 틈(V1)을 향해 가려고 해도 단차 K를 넘어야 하므로 현실적으로 단차 K가 없는 제2 틈(v2)을 향해 흐르기 쉽다. 물론, 이를 위해 단차 K는 덮개(200)에서 제1 틈(V1)에 대면되는 위치에만 형성되고 제2 틈(V2)에 대면되는 위치는 단자 K가 형성되지 않도록 매끈하게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몸체 110...측벽
111...제2 설치부 131...톱니
140...골 153...화염 홀
170...제1 가림판 200...덮개
211...밀폐부 250...가이드
300...불판 310...제1 설치부
330...제2 돌출부 350...제3 돌출부
400...보조 조리기 410...지지대
411...접촉부 413...통공
419...거치 홈 430...연결 막대
500...불받이통 510...확산판
530...연결 리브 540...지지 리브
550...제1 돌출부 570...제2 가림판
590...걸림부

Claims (8)

  1. 화염이 통과하는 화염 홀이 바닥에 형성된 몸체; 및
    상기 화염 홀에 삽입되고 상기 화염의 유로를 형성하는 불받이통;을 포함하고,
    상기 불받이통에는 상기 화염의 유로가 되는 관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로부터 이격된 제2 가림판, 제2 가림판이 상기 화염 홀을 통해 하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상기 몸체에 걸쳐지는 걸림부가 마련되고,
    상기 불받이통은 상기 화염 홀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걸림부가 상기 몸체의 설정 위치에 걸쳐질 때, 상기 설정 위치로부터 상기 몸체의 하단까지의 제1 길이는 상기 설정 위치로부터 상기 제2 가림판의 하단까지의 제2 길이보다 짧고,
    상기 몸체의 하단과 상기 제2 가림판의 하단은 상기 화염이 생성되는 화염원의 받침대에 함께 놓이며,
    상기 몸체의 하단과 상기 제2 가림판의 하단이 상기 받침대에 함께 놓이면,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1 길이와 상기 제2 길이의 차이로 인해 상기 몸체로부터 이격되는 구이용 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바닥에는 상기 화염 홀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원주 상에 상측으로 돌출된 판 형상의 제1 가림판이 마련되고,
    상기 불받이통에는 상기 제1 가림판에 대면되는 상기 제2 가림판이 마련되며,
    상기 제2 가림판은 상기 화염의 유로가 되는 관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가림판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화염으로부터 상기 제1 가림판을 가리는 구이용 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림판은 상기 몸체의 바닥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화염이 생성되는 화염원의 받침대에 놓이는 구이용 팬.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 홀을 덮도록 상기 몸체에 수용되는 불판;을 포함하고,
    상기 불판은 평면상으로 서로 직교하는 제1 축 방향과 제2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불판의 제1 축 방향 길이는 제2 축 방향 길이보다 짧고,
    상기 불판의 가장자리는 상기 화염 또는 연기가 통과되도록 상기 몸체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불받이통에는 상기 화염 홀을 통과한 상기 화염을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유도하는 확산판이 마련되는 구이용 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불판은 상기 제2 축 방향 상으로 가운데가 높고 가장자리가 낮은 아치형으로 형성된 구이용 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축 방향 상으로 상기 불판의 단부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가 마련되며,
    상기 몸체의 바닥에는 상기 화염 홀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원주 상에 상측으로 돌출된 판 형상의 제1 가림판이 마련되고,
    상기 제2 축 방향 상으로 상기 불판의 단부는 상기 몸체의 측벽과 상기 제1 가림판의 사이에 위치하는 구이용 팬.
KR1020150164506A 2015-11-24 2015-11-24 구이용 팬 Expired - Fee Related KR101816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506A KR101816664B1 (ko) 2015-11-24 2015-11-24 구이용 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506A KR101816664B1 (ko) 2015-11-24 2015-11-24 구이용 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633A KR20170060633A (ko) 2017-06-02
KR101816664B1 true KR101816664B1 (ko) 2018-01-10

Family

ID=59222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506A Expired - Fee Related KR101816664B1 (ko) 2015-11-24 2015-11-24 구이용 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66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822Y1 (ko) 2005-08-09 2005-10-28 김경곤 구이용 불판
KR101532039B1 (ko) * 2014-01-17 2015-06-30 이흥규 직화구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822Y1 (ko) 2005-08-09 2005-10-28 김경곤 구이용 불판
KR101532039B1 (ko) * 2014-01-17 2015-06-30 이흥규 직화구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0633A (ko) 2017-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06211B2 (ja) 加熱調理容器
TWI523608B (zh) 無煙式木炭烘烤器
KR101965359B1 (ko) 화기조절판을 구비한 조리용기
KR101993792B1 (ko) 열순환 및 냄새 제거 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JP5973376B2 (ja) 加熱調理容器
KR101816664B1 (ko) 구이용 팬
KR101756006B1 (ko) 숯불구이기
KR20100001028U (ko) 직화구이기
KR101515579B1 (ko) 인덕션용 구이판
KR101932451B1 (ko) 복합기능을 갖는 구이기
KR100796321B1 (ko) 구이 장치
KR200443515Y1 (ko) 양면조리를 할 수 있는 가스기기의 그릴용 생선 구이판
KR101154028B1 (ko) 직화 조리기
KR101140260B1 (ko) 열기 유도형 주방용기
KR20100012797U (ko) 훈제요리가 가능한 열기순환식 고기구이장치
KR101532039B1 (ko) 직화구이 장치
KR102148014B1 (ko) 연기의 누출을 차단하는 후드를 구비한 숯불구이기
KR20200100510A (ko) 양면 구이팬
US20240389795A1 (en) Heating Cooker
KR100322626B1 (ko) 고기 구이판의 가열장치
KR200365215Y1 (ko) 숯불 구이기
KR20130090047A (ko) 기름 배출 석쇠 구이 장치
JP7166632B2 (ja) ロースター
KR102245425B1 (ko) 인덕션 렌지를 이용한 육류 구이장치
KR102785290B1 (ko) 휴대용 숯불구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3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