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6497B1 - Dental Articulator That Copying Median Atlanto-axial Joint Movement - Google Patents
Dental Articulator That Copying Median Atlanto-axial Joint Move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6497B1 KR101816497B1 KR1020170132081A KR20170132081A KR101816497B1 KR 101816497 B1 KR101816497 B1 KR 101816497B1 KR 1020170132081 A KR1020170132081 A KR 1020170132081A KR 20170132081 A KR20170132081 A KR 20170132081A KR 101816497 B1 KR101816497 B1 KR 1018164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 groove
- shaft
- articulator
- ba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2—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the hinge means ; Articulators with pivo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1/00—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 A61C11/08—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 A61C11/081—Dental articulators, i.e. for simulating movement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s; Articulation forms or mouldings with means to secure dental casts to articulator with adjusting mean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정중환축관절운동 모사가 가능한 교합기는, 하악골 모형이 거치되는 하악 고정대; 상악골 모형이 거치되는 상악 고정대; 상기 상악 고정대가 상기 하악 고정대와 이격 배치되도록 회동축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 어셈블리; 상기 회동축을 고정하는 고정 어셈블리; 상기 상악 고정대와 상기 하악 고정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악 고정대와 상기 하악 고정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절치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rticul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simulating a medial condylar motion, comprising: a mandibular mount on which a mandible is mounted; A maxilla fixture on which a maxilla model is mounted; A connecting assembly rotatably connecting the maxillary fixing barrel to the mandrel fixing barrel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andrel fixing barrel; A fixing assembly for fixing the pivot shaft; And a cutter bar installed between the maxillary fixing bar and the mandibular fixing bar to maintain a distance between the maxillary fixing bar and the mandibular fixing bar.
Description
본 발명은 구강모형에 있어서 상악골이 정중환축관절을 기준으로 운동하는 것을 그대로 모사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구강모형에 작업모형의 손쉬운 탈착과 교합 조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교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ticulator capable of easily performing an easy detachment of an operation model and an occlusion adjustment in an oral cavity model, in which the maxillary bone is simulated as a motion of the maxillary right atrophy joint.
치과기공용 교합기는 치과에서 제작된 치아보철물을 치아모형에 물려놓고 치과 기공자가 의도하고자 하는 의치제작 등을 하는데 사용되는 도구이다. 즉, 치아보철물의 제조 시에는 제조된 치아보철물을 치아모형에 끼운 후, 이 치아모형을 교합기에 장착하여, 하악골의 운동을 시뮬레이션 함으로써 환자의 다른 치아와 보철물과의 교합여부를 확인한다. 따라서 교합기는 하악골 운동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도록 치아모형을 상하, 좌우 및 전후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제작된다.The dental articulating articulator is a tool used for dental prosthodontists to make dental prosthesis by putting the dental prosthesis made by the dentist into a tooth model. That is,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dental prosthesis, the manufactured dental prosthesis is inserted into a tooth model, the tooth model is mounted on the articulator, and the movement of the mandible is simulated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other tooth of the patient is occluded with the prosthesis. Therefore, the articulator is designed to move the tooth model up, down, left and right, and back and forth so that the mandibular movement can be simulated.
그러나 종래의 교합기들은 치아모형이 결합된 부재가 조절나사 등과 같은 조절수단을 통해 상하, 좌우 및 전후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따라서 치아보철물의 교합테스트 시에는 작업자가 교합기의 조절수단을 일일이 조작하면서 상하악골의 운동을 시뮬레이션해야 하므로 작업이 불편하고, 시간도 많이 소요된다. However, conventional articulators have been constructed so that a member to which a tooth model is coupled can be moved up and down, left and right and back and forth through adjusting means such as an adjusting screw and the like. Therefore, during the occlusal test of the dental prosthesis, the worker must simulate the motion of the upper and lower mandibles while manipulating the control means of the articulator. Therefore, the work is inconvenient and takes a lot of time.
또한, 실체 인체의 하악골은 상하, 좌우 및 전후 움직임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나, 종래의 교합기는 전술한 바와 같은 치아모형이 복합적인 움직임을 연출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In addition, the mandibular body of the actual human body has a complex combination of up and down, right and left and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s. In the conventional articulator, the tooth model described above often fails to produce a complex movement.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국 등록 특허 제 10-0920892호 ‘치아교합기’는 상, 하악골모형의 움직임을 시뮬레이션하기 용이하며 실제 인체와 유사 또는 동일한 조건으로 치아보철물의 교합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치아에 정확하게 교합되는 치아보철물을 제작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치아교합기에 관한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Korean Patent No. 10-0920892 'Dental Articulator' is easy to simulate the motion of the upper and lower mandible, and it is possible to confirm whether or not the dental prosthesis is occluded in a similar or identical condition to the human bod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 articulator of a new structure capable of manufacturing a tooth prosthesis that is accurately engaged with a tooth of a tooth.
이러한 치아교합기는 상하로 회동하는 축을 기본으로 하되, 좌우 움직임에는 별도의 패스너가 사용되므로, 움직임의 모사 이후 다시 고정하는 작업이 어렵다는 단점을 갖는다.Such a tooth articulator is disadvantageous in that it is difficult to fix it again after the motion is simulated because a separate fastener is used for the left and right movements based on the axis that rotates up and down.
다른 선행기술로서 한국 등록 실용신안 제 20-0220278호 ‘치과기공용 교합기’는 교합기에 치과기공용 작업모형을 손쉽게 착탈가능하게 고정하고, 교합 조정을 용이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교합기에 관한 것이다.As another prior art, a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20278 'Dental Orthopedic Articulator' relates to an articulator capable of easily detachably fixing a dental office work model to an articulator and easily implementing an occlusal adjustment.
이 교합기의 경우에는 볼조인트를 활용하여 하악의 운동을 모사하도록 구성되었으나, 볼조인트의 위치가 치아모형과 가깝고 고정하기 어려운 위치이기 때문에 이를 제대로 활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존재한다.In this articulator, the ball joint is used to simulate the movement of the mandible. However, since the position of the ball joint is close to the tooth model and is difficult to fix,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utilize it properly.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악골 모형과 상악골 모형을 고정하는 것이되, 회동축을 매개로 이 둘을 연결하여 정중환축관절운동 모사가 가능한 교합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above-described technique, and provides an articulator capable of fixing the mandibular model and the maxilla model, and connecting the two via a pivotal axis to perform a median circular joint motion simulation.
추가로, 상악골과 하악골을 원하는 위치로 회동시킨 후 회동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mandibles can be rotated to a desired position and then the rotated shape can be maintained.
추가로, 회동축을 두 개의 축으로 분리하는 경우에도 각 회동축의 사이간격을 최소화시켜 정중환축관절운동 모사를 보다 실제와 가깝게 진행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한다. In addition, even when the rotary shaft is divided into two axes, the spacing between the rotary shafts is minimized, thereby providing a configuration that allows the robot to move closer to the real one.
추가로, 하악운동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회동축의 회동을 제어하는 구성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re is provided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so as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mandibular mo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중환축관절운동 모사가 가능한 교합기는, 하악골 모형이 거치되는 하악 고정대; 상악골 모형이 거치되는 상악 고정대; 상기 상악 고정대가 상기 하악 고정대와 이격 배치되도록 회동축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 어셈블리; 상기 회동축을 고정하는 고정 어셈블리; 상기 상악 고정대와 상기 하악 고정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악 고정대와 상기 하악 고정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절치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rticulator capable of simulating medial rectus articulation, comprising: a mandibular fixture on which a mandible model is mounted; A maxilla fixture on which a maxilla model is mounted; A connecting assembly rotatably connecting the maxillary fixing barrel to the mandrel fixing barrel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andrel fixing barrel; A fixing assembly for fixing the pivot shaft; And a cutter bar installed between the maxillary fixing bar and the mandibular fixing bar to maintain a distance between the maxillary fixing bar and the mandibular fixing bar.
더하여, 상기 상악 고정대 및 상기 하악 고정대는, 상기 상악골 모형 및 상기 하악골 모형을 고정하는 베이스 평판과, 상기 베이스 평판의 중심부위에 함입 형성된 메인 홈 및, 상기 메인 홈의 주변에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서브 홈으로 구성되는 모형받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xillary fixation band and the mandibular fixation band may include a base plate for fixing the maxillary bone model and the mandibular bone model, a main groove formed 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se plate, and a plurality of sub- And a grooved groove.
추가로, 상기 절치봉 및 상기 연결어셈블리는, 상기 하악골 모형과 상기 상악골 모형의 경계부위로 부터 수평하게 연장된 가상의 연장선과 만나는 표면 둘레를 함입한 기준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cising rod and the connecting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 reference groove having a circumferential surface that meets a virtual extension line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boundary between the mandible model and the maxillary bone model.
덧붙여, 상기 절치봉은, 상기 상악 고정대와 상기 하악 고정대를 수직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연장된 것이되, 상기 하악골 모형과 상기 상악골 모형의 경계부위로 부터 수평하게 연장된 가상의 연장선과 만나는 부위를 상기 연장선의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아치형을 이루도록 호형으로 절곡시킨 호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cisal rod may extend vertically across the maxillary fixation band and the mandibular fixation band, and a portion where the imaginary extension line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boundary between the mandibular model and the maxillary bone model intersects the extension line And an arc-shaped portion protru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bent in an arcuate shape to form an arcuate shape.
본 발명에 따른 정중환축관절운동 모사가 가능한 교합기는,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rticulator capable of simulating medial joint motion,
1) 하악 고정대와 상악 고정대를 연결하는 구성에 회동축을 적용하여 정중환축관절의 움직임을 재현할 수 있도록 하고,1) The rotation axis is used to connect the mandibular fixation to the maxillary fixation band so that the motion of the condylar joint can be reproduced,
2) 각 고정대를 원하는 위치로 회동시킨 후 회동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하는 구성을 제공하며,2)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each fixed base can be rotated to a desired position and then the rotated shape can be maintained,
3) 회동축을 두 개의 축으로 분리하되, 회동축 사이에 서브축을 두어 서브축을 통해 회동된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불필요하게 회동축을 길게 형성하거나 회동축의 간격을 넓히지 않고도 위치의 고정이 가능하여 정중환축관절운동 모사를 보다 실제와 가깝게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할뿐더러,3) Separate the pivot shaft by two axes. By fixing the pivot position through the sub shaft by placing the sub shaft between the pivot shafts, it is possible to fix the position without forming the long pivot shaft unnecessarily or without widening the pivot shaft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figuration capable of performing a median circular joint motion simulation closer to the actual one,
4) 하악운동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회동축을 통한 회동을 제어하는 구성을 제공한다.4) A configuration is provided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of the mandible through the pivoting shaft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mandible.
도 1은 본 발명의 정중환축관절운동 모사가 가능한 교합기의 기본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중환축관절운동 모사가 가능한 교합기의 기본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정중환축관절운동 모사가 가능한 교합기에서 절치봉의 실시예를 도시한 전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정중환축관절운동 모사가 가능한 교합기의 하악 고정대 및 상악 고정대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정중환축관절운동 모사가 가능한 교합기의 회동축 주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정중환축관절운동 모사가 가능한 교합기의 서브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정중환축관절운동 모사가 가능한 교합기에서 회동제어를 위한 베벨기어를 적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sic structure of an articulator capable of simulating the median circular joint mo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 basic structure of an articulator capable of simulating the median condylar mo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front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incising rod in an articulator capable of simulating the medial rectus artic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upper and lower jaws of an articulator capable of simulating the medial j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otation axis of the articu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pable of simulating the medial joint mo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ub-axis of an articulator capable of simulating the medial joint mo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bevel gear for rotation control is applied in an articulator capable of simulating the medial joint mo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various drawings refer to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정중환축관절운동 모사가 가능한 교합기의 기본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정중환축관절운동 모사가 가능한 교합기의 기본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정중환축관절운동 모사가 가능한 교합기에서 절치봉(500)의 실시예를 도시한 전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정중환축관절운동 모사가 가능한 교합기의 하악 고정대(100) 및 상악 고정대(200)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sic structure of an articulator capable of simulating the medial j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 basic structure of an articulator capable of simulating medial joint mo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incising
교합기는 하악골과 상악골 모형을 거치하여 이 상/하악골의 움직임을 모사함으로써 치아 보형물을 실제로 환자인 사용자에게 장착하기 이전에 해당 보형물이 사용자에게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미리 시험하기 위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교합기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모형 중 하악골 모형이 거치되는 하악 고정대(100); 상악골 모형이 거치되는 상악 고정대(200);를 기본으로 하되, 이 상악 고정대(200)와 하악 고정대(100)와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회동축(310)을 매개로 둘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 어셈블리(300); 회동축(310)을 고정하는 고정 어셈블리(400); 및 상악 고정대(200)와 하악 고정대(100) 사이에 추가로 설치되어 연결 어셈블리(300)에 의해 조정된 간격을 유지하는 절치봉(5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The articulator is a configuration for testing the implant so that it can judge whether the implant is suitable for the user before mounting the implant to the patient by simulating the motion of the upper / lower mandible by mounting the mandibular and maxilla models .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articulator includes an
즉, 도면을 참고하여 다시 한 번 설명하면, 하악 고정대(100)와 상악 고정대(200)는 적어도 하악골 모형과 상악골 모형이 각각 거치될 수 있도록 충분한 면적을 갖는 것이 중요하며, 이 때 하악골 모형 및 상악골 모형은 일정 수준의 높이를 갖기 때문에 둘을 고정한 고정대들은 당연히 사이 간격이 각 모형의 높이만큼 이격되어야 한다. 따라서 둘을 이격시키기 위해 연결 어셈블리(300)의 구성이 더 포함된다. 이 연결 어셈블리(300)는 후술하는 내용에서 더욱 상세하게 다루겠지만, 기본적으로 하악 고정대(100)로부터 돌출된 부위와 상악 고정대(200)로부터 돌출된 부위를 통해 사이 간격을 벌리되, 이 둘을 회동축(310)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인체에서 상악골과 하악골이 상하로 움직이는 운동을 모사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referring to the drawings, it is important that the
다만, 이러한 회동축(310) 조절은 상하로 자유로운 조절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회동 후 고정할 수 있는 구성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이러한 제한/고정구성 또한 후술할 내용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으나, 기본적으로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수작업으로도 얼마든지 가능하나 회동 후 위치를 고정시키는 작업이 어렵기 때문에, 이를 위한 위치 고정수단인 고정 어셈블리(400)는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한다고 하겠다. 나아가 이 고정 어셈블리(400)를 보조하는 고정수단으로서, 상악 고정대(200)와 하악 고정대(100) 사이에 설치되어 간격을 유지하는 절치봉(500)의 구성을 더 포함하게 된다. 이 절치봉(500)은 쉽게 말하면 막대기이며, 바람직하게는 상악 고정대(200)와 하악 고정대(100) 사이에 끼워지거나 혹은 상악 고정대(200)에 별도로 절치봉(500)을 끼움 결합하는 홈 등을 더 형성하여 이 홈에 끼워지도록 하고, 하악 고정대(100)에도 별도로 절치봉(500)을 거치하는 거치부 등을 더 형성하여 거치부의 고정을 보조할 수도 있다. 나아가 절치봉(500)에도 나사 등을 측면에 장착하여 스토퍼 구성을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the adjustment of the
여기서 기본 구성의 보다 상세한 구조나 추가사항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 the more detailed structure and additions of the basic configuration are as follows.
먼저, 상악 고정대(200)와 하악 고정대(100)는 앞서 설명한 내용에 의하면 각각 상악골 모형과 하악골 모형이 거치되는 것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인체의 상악골과 하악골의 형상을 살펴보면, 편평하지 않고 굴곡이 많아 단순 평면을 갖는 상악 고정대(200)나 하악 고정대(100)에 이 모형을 얹게 되면 제대로 된 거치가 불가능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아예 모형을 각 고정대에 고정시켜 버리게 되면 거치는 훌륭하겠지만 모든 사람의 구강구조는 다르기 때문에 다른 모형을 장착하려는 경우 별도의 고정대를 더 구비하여야 하므로 이는 매우 낭비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상악골 모형 또는 하악골 모형을 각 고정대에 부착 형성하되, 부착되는 부분을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갖출 수 있도록 이 모형이 고정되는 별도의 모형받침(110)을 더 구비시키는 것이 좋다. 이 모형받침(110)은 기본이 되는 베이스 평판(111)을 구비하되, 이 베이스 평판(111)에는 중심부위에 함입 형성된 메인 홈(112)과, 메인 홈(112)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것이되, 메인 홈(112)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서브 홈(113)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irst, the
여기서 메인 홈(112)에는 바람직하게는 자석이나 무게 추 같은 것을 장착하여 모형의 베이스를 이룬 상태에서 상악골 모형 또는 하악골 모형을 만들거나 혹은 만든 모형을 얹을 수 있는 모형 베이스를 형성한다. 이 때 메인 홈(112) 이외에 서브 홈(113)에는 별도의 자석이나 무게 추가 삽입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홈은 모형의 일부나 모형 베이스의 일부가 이 서브 홈(113)에 유입되어 굳어짐으로써 회전되거나 쉽게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서브 홈(113)의 경우 2개 이상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되, 적어도 3개 또는 4개정도를 동일한 간격마다 배치하는 것이 좋다고 하겠다.Here, the
나아가 이런 고정구성 이외에도 교합기에 장착된 모형의 수평이나 수직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Further, in addition to such a fixed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configuration that allows easy identification of the horizontal or vertical of the model mounted on the articulator.
즉, 절치봉(500) 및 연결 어셈블리(300)에는 하악골 모형과 상악골 모형의 경계부위로 부터 수평하게 연장된 가상의 연장선과 만나는 표면 둘레를 함입한 기준홈(51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구강구조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하악골과 상악골은 이빨이 맞닿는 경계선을 기준으로 분리된다. 이 경계선은 치아 보형물의 올바른 교정을 위해 균형을 맞추는 데 필수적으로 필요한 구성이며, 따라서 교합기에 균형을 맞추기 위한 기준홈(510)과 같은 별도의 표식은 빠른 조정이 필요한 상황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at is, the
여기서 도 3을 참조하면, 절치봉(500)은 도 3의 (a)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하악골 모형 및 상악골 모형으로부터 연결어셈블리와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되, 이 외에도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나, 어떠한 위치에 설치되더라도 문제점은 모형의 일부를 이 절치봉(500)이 가릴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절치봉(500)이 모형을 가리지 않도록 구성하기는 어려우므로, 절치봉(500)이 가리는 모형의 부위 중 중요한 부위(예를 들면 이빨 정중앙 부분인 앞니와 같은 부위 등)가 가려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절치봉(500)을 수직하게 형성하지 않고 절치봉(500)을 구부리는 등의 물리적인 방법을 통해 강제로 중요한 부위를 절치봉(500)이 가리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가장 바람직한 방법은 도 3의 (b)와 같이 절치봉(500)에서 하악골 모형과 상악골 모형의 경계부위로 부터 수평하게 연장된 가상의 연장선과 만나는 부위를 이 연장선과 수직된 방향으로 돌출시키는 것으로서, 돌출된 부위가 아치형을 이루도록 호형으로 절곡시킨 호형부(520)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즉 절치봉(500)의 형상은 이러한 호형부(520)에 의해 오메가(Ω)형상을 갖게 되어 둥근 부위를 통해 중요한 부위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3, the
다시 연결 어셈블리(300)로 돌아가 도 4를 통해 회동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Returning back to the connecting
앞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연결 어셈블리(300)의 세부구성은 하악 고정대(100)의 둘레 일 측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절곡 연장된 것으로서, 단부에 회동축(310)이 장착된 고정 거치대(330)와, 상악 고정대(200)의 둘레 일 측으로부터 하부를 향해 절곡 연장된 것으로서, 단부에 회동축(310)에 끼움결합되는 회동고리(340)를 구비한 교합 연장판(320)이 회동축(310)-회동고리(340) 결합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이다. 고정 거치대(330)의 경우 일정한 높이(가장 바람직하게는 하악골 모형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혹은 좀 더 높은 높이로)로 연장된 것이며, 교합 연장판(320)은 상악 고정대(200)에서 일정한 높이(역시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악골 모형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혹은 좀 더 높은 높이)로 연장된 것이다. 즉, 이 두 구성을 통해 상악골 모형 및 하악골 모형의 높이와 대응되는 높이로 상악 고정대(200) 및 하악 고정대(100)의 사이 간격을 벌린 것이라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도 5는 본 발명의 정중환축관절운동 모사가 가능한 교합기의 회동축(310) 주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periphery of the
이 때, 회동축(310)은 간극을 사이에 두고 좌우에 각각 제 1 회동축(311)과 제 2 회동축(312)이 이격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회동고리(340)도 상기 제 1 회동축(311)과 상기 제 2 회동축(312)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제 1 회동고리(341) 및 제 2 회동고리(342)가 서브간극을 사이에 두고 좌우에 각각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간극은 좁으면 좁을수록 후술할 구성들에 의해 정중환축관절운동의 모사가 더욱 요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기존의 교합기들이 대부분 이러한 구성에서 간극을 2~5cm정도 두고 형성되기 때문에 이 간극에 의해 좌우방향을 포함하는 회동 시 정중환축관절운동의 모사가 부정확하게 이루어지는 문제가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10mm 이내의 간격을 두도록 구성하는 것이 이러한 운동 모사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라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본 구성의 경우 이러한 간극을 10mm 이내로 줄일 수 있도록 구성 가능하기 때문에 운동모사에 있어 매우 유리한 구성을 갖출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여기에서 추가로 고정 거치대(330)는, 상기 간극으로부터 바닥면을 향해 일정 길이 연장된 것으로서, 내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지게 연장된 곡면을 구비한 서브축(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브축(350)은 도면에 나타난 것처럼 회동축(310)을 두 개로 나누었을 때 그 사이에서 형성되어 바닥면을 향해 라운드지게 연장되거나 혹은 회동축(310)을 두 개로 나누었을 때, 이 회동축(310)을 일정높이로 올려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체에 형성하는 방법, 또는 회동축(310)을 나누지 않았을 때에도 이와 같이 별도의 지지체에 형성하는 방법이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Here, the fixed
이러한 회동축(310) 및 서브축(350)의 구성은 회동은 회동축(310)을 통해, 고정은 서브축(350)을 통해 진행하므로 회동축(310)에 회동과 고정을 모두 아우를 수 있는 면적이나 길이 등이 필요하지 않다. 즉,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일반적으로 간극을 두고 형성되는 제 1 회동축(311)과 제 2 회동축(312)은 단순 회전만 가능한 구성으로 구성되어 그 사이에 위치한 서브축(350)을 통해 별도로 회동을 중지하고 고정하는 기능을 갖게 되므로, 두 회동축(311, 312)간의 간격이 넓게 벌어질 필요가 없어 정중환축관절운동의 모사 시 유리할 뿐만 아니라, 후술할 추가 구성에 의해 상하 외에 좌우, 전후로 회동하게 될 때에도 이러한 과도하게 벌어지지 않은 구성에 의해 보다 실제와 유사한 방식으로 회동모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The pivoting
추가로 교합 연장판(320)에도 상기 서브간극으로부터 상기 상악골 모형이 위치한 전방을 향해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것으로서, 내부를 전후로 관통한 고정홈(361)이 형성된 고정부(360)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고정 어셈블리(400)를 상기 고정홈(361)의 길이보다 길게 연장되어 상기 고정홈(361)에 삽입되는 고정바(410)와, 상기 고정바(410)에 감겨져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홈(361) 내부에서 상기 고정바(410)의 전후 회동을 보조하는 고정 신축수단(420)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고정 어셈블리(400)가 고정부(360)에 걸린 채로 고정 신축수단(420)의 탄성을 통해 지속적으로 서브축(350)의 곡면에 접하도록 함으로써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고정부(360)의 고정홈(361)과 고정 어셈블리(400)의 고정바(410)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산결합을 통해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도 6은 본 발명의 정중환축관절운동 모사가 가능한 교합기의 서브축(35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이 때 서브축(350)을 활용하는 구성으로서, 서브축(350)에서 상기 곡면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서브축(350)에서 상기 곡면의 반대측에 위치한 수직면을 향해 전후로 관통된 내입홈(351)이 더 형성될 수 있되, 이 내입홈(351)에는 다시 동일한 높이와 폭으로 이루어진 종단면을 갖는 복수개의 기둥(366)이 상기 내입홈(351)에 순차적으로 적층 형성된 것으로서, 각각의 기둥(366)의 연장된 길이는 상기 내입홈(351)에서 적층된 높이에 비례하여 감소하는 돌출체(362)와, 상기 돌출체(362)와 동일한 높이와 폭으로 이루어진 종단면을 갖는 푸싱헤드(363) 및, 상기 푸싱헤드(363)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푸싱헤드(363)의 상하회동을 보조하는 헤드 신축편(365)을 포함하는 걸림부(6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a configuration utilizing the
즉, 서브축(350)에도 이 고정 어셈블리(400)와 대응되는 구성으로서, 일종의 걸림턱을 형성하는 것이되, 이 걸림턱들을 통해 원하는 위치까지만 고정 어셈블리(400)가 상하로 회동할 수 있도록 그 회동범위를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 즉, 도면에서 나타나듯이 복수개의 기둥(366)이 적층되되, 각 기둥(366)의 실질적인 길이는 높이가 높은곳에 위치할수록 줄어들도록 하여 서브축(350)의 단면이 곡면에 따라 길이(폭)가 변화하듯이 이에 대응되어 길이가 변화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 때 가장 바람직하게는 도면에서처럼 돌출체(362)의 기둥(366)들이 초기상태에는 내입홈(351)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나아가 내입홈(351)에서 돌출체(362)는 곡면측에 편중되어 위치시키되, 반대측(교합기의 외측)에는 약간의 공간을 두고, 이 공간에 푸싱헤드(363)와 푸싱헤드(363)를 상하로 회동시켰을 때 원래 위치로 복원될 수 잇도록 하는 헤드 신축편(365)을 푸싱헤드(363)에 더 구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전체 구성은 걸림부(620)라 할 수 있으며, 이 걸림부(620)에서 푸싱헤드(363)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 푸싱헤드(363)의 폭에 의해 돌출체(362)의 기둥(366)이 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되며, 이에 따라 곡면에 접한상태로 고정 어셈블리(400)를 회동시켰을 때 고정바(410)가 이 곡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체(362)의 기둥(366)에 접하게 되면 더 이상 상방 또는 하방으로 회동하지 못하게 되어 회동범위의 제한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sub-shaft 350 is formed with a kind of engagement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fixed
물론 이러한 구성에서 서브축(350)은 푸싱헤드(363)를 상하로 회동시킨 이후 일정한 위치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더 포함될 필요성이 있으며, 이에 따라 수직면에 위치한 상기 내입홈(351)의 입구에 형성된 것으로서,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측면(좌,우 방향 중 어느 하나 또는 좌우로 모두)으로 추가 함입된 핸들 고정홈(352)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푸싱헤드(363)에도 이 핸들 고정홈(352)에 끼워져 푸싱헤드(363)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측면 일 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 연장된 핸들(364)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핸들(364) 또한 핸들 고정홈(352)에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단순히 돌출만 된 것이 아닌 그 외형에 굴곡을 주는 등의 변화를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Of course, in this configuration, the
더욱 나아가 정중환축관절운동을 제대로 모사하려는 경우 상하 운동 뿐만 아니라 좌우로도 일정반경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교합기에서는 입을 다문 형태와 벌린 형태만을 고려하여 상하 회동만을 집중하는 경우가 많은데, 여기에 추가로 좌우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실제에 가까운 3차원 운동을 통해 관절운동을 모사토록 하는 것이다.Furthermore, in order to accurately simulate the medial condylar motion,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not only the vertical movement but also the left and right movement in a certain radius. In general, in an articulator, only the upper and lower rotations are concentrat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mouth shape and the open shape. In addition, the articulator is constructed so that the left and right rotations can be additionally performed so as to simulate the joint motion through the near realistic three-dimensional mo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정중환축관절운동 모사가 가능한 교합기에서 회동제어를 위한 베벨기어(600)를 적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7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이에 따라 상기 회동축(310)은, 상기 고정 거치대(330)의 단면에 장착된 것으로서, 상기 제 1 회동축(311) 및 상기 제 2 회동축(312) 중 어느 하나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 거치부(61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축 거치부(610)에 장착된 상기 제 1 회동축(311) 및 상기 제 2 회동축(312) 중 어느 하나의 상기 간극 측 단부 및 상기 고정바(410)의 상기 서브간극 측 단부에는 베벨기어(600)가 더 장착되도록 하여 고정바(410)와 어느 하나의 축이 서로 맞물려 회동되면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The
여기에서 상기 고정부(360)는, 한 쌍의 상기 베벨기어(600)가 서로 맞물려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베벨기어(600)가 장착된 상기 제 1 회동축(311) 및 상기 제 2 회동축(312) 중 어느 하나를 향해 편중되도록 위치하여야 할 것이다.The fixing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보다 편리한 상하 회동 방법으로서, 제 1 회동축(311) 또는 제 2 회동축(312)을 회전시키게 되면, 이 회전이 베벨기어(600)에 의해 고정바(410)에 전달되어 고정바(41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 때 고정바(410)는 서브축(350)의 곡면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이 회전에 의해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이동은 고정바(410)의 편심된 위치에 따라 다르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므로, 결론적으로는 구성의 종류에 따라 얼마든지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는 것이라 하겠다.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더욱이 축 거치부(610)를 제 1 볼 조인트(321)를 매개로 상기 고정 거치대(33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볼 조인트라고 함은 단순 볼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실질적으로 볼을 포함하여 3차원 적으로 회동할 수 있는 기반 구성인 볼이 거치되는 상판과 하판(미도시)등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는 큰 의미의 어셈블리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교합 연장판(320)은 상기 회동고리(340)를 포함하는 걸이판부(322)와 상기 고정부(360)를 포함하는 회동판부(323)를 또 하나의 제 2 볼 조인트(611)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상악 고정대(200)의 회동을 제어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기존의 회동축(310) 구성은 단순 상하로 회동만이 가능했다면, 이제는 좌우방향으로도 회동이 가능하여 실제의 구강구조와 유사하게 회동이 가능한 구성을 갖추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회동 시에도 여전히 고정 어셈블리(400)에 의해 최종 회동 후에 위치고정이 가능하고, 여전히 베벨기어(600)에 의한 회동변환이 유효하기 때문에, 앞선 구성 이외에도 더 나아가 제 1 회동축(311)이나 제 2 회동축(312) 중 축 거치부(610)에 장착된 회동축(310)을 돌리게 되면, 보다 편리하게 상하 및 회동 제어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Furthermore, the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중환축관절운동 모사가 가능한 교합기를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articulator capable of simulating the medial joint mo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하악 고정대 110: 모형 받침
111: 베이스 평판 112: 메인홈
113: 서브홈 200: 상악 고정대
300: 연결 어셈블리 310: 회동축
311: 제 1 회동축 312: 제 2 회동축
320: 교합 연장판 321: 제 1 볼조인트
322: 걸이판부 323: 회동판부
330: 고정 거치대 340: 회동고리
341: 제 1 회동고리 342: 제 2 회동고리
350: 서브축 351: 내입홈
352: 핸들 고정홈 360: 고정부
361: 고정홈 362: 돌출체
363: 푸싱헤드 364: 핸들
365: 헤드 신축편 366: 기둥
400: 고정 어셈블리 410: 고정바
420: 고정 신축수단 500: 절치봉
510: 기준홈 520: 호형부
600: 베벨기어 610: 축 거치부
611: 제 2 볼조인트 620: 걸림부100: lower mandrel 110:
111: base plate 112: main groove
113: Sub-groove 200:
300: connection assembly 310:
311: first coaxial shaft 312: second coaxial shaft
320: occlusal extension plate 321: first ball joint
322: hook plate portion 323:
330: Fixing stand 340: Rotating ring
341: 1st turning ring 342: 2nd turning ring
350: sub shaft 351: inner groove
352: handle fixing groove 360:
361: Fixing groove 362: Projection body
363: pushing head 364: handle
365: Head stretching piece 366: Column
400: stationary assembly 410: stationary bar
420: Fixed stretching means 500:
510: Reference groove 520:
600: Bevel gear 610: Axial mounting part
611: second ball joint 620:
Claims (11)
하악골 모형이 거치되는 하악 고정대;
상악골 모형이 거치되는 상악 고정대;
회동축을 매개로 상기 상악 고정대를 상기 하악 고정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하악 고정대의 둘레 일 측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절곡 연장된 것으로서 단부에 상기 회동축이 장착된 고정 거치대와, 상기 상악 고정대의 둘레 일 측으로부터 하부를 향해 절곡 연장된 것으로서 단부에 상기 회동축에 끼움 결합되는 회동고리를 구비한 교합 연장판을 구비한 연결 어셈블리;
상기 회동축을 상기 연결 어셈블리에 고정시키는 고정 어셈블리;
상기 상악 고정대와 상기 하악 고정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악 고정대와 상기 하악 고정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절치봉;을 포함하되,
상기 회동축은, 제 1 회동축과 제 2 회동축이 중앙부위가 이격된 간극을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되고,
상기 회동고리는, 상기 제 1 회동축과 상기 제 2 회동축에 각각 끼움 결합되는 제 1 회동고리 및 제 2 회동고리가 중앙부위가 이격된 서브간극을 사이에 두고 좌우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고정 거치대는, 상기 간극으로부터 바닥면을 향해 일정 길이 연장된 것으로서, 내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지게 연장된 곡면을 구비한 서브축을 포함하고,
상기 교합 연장판은, 상기 서브간극으로부터 상기 상악골 모형이 위치한 전방으로 이격 형성된 것으로서 내부를 전후로 관통하는 고정홈이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어셈블리는,
상기 고정홈의 길이보다 길게 연장되어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에 감겨져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홈 내부에서 상기 고정바의 전후 회동을 보조하는 고정 신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중환축관절운동 모사가 가능한 교합기.An articulator capable of simulating medial joint motion,
Mandibular fixture with mandibular fixation;
A maxilla fixture on which a maxilla model is mounted;
A fixed cradle extending from the circumferential side of the mandibular fixture toward the upper side and having the pivot shaft mounted on an end thereof, A connecting assembly including a bending extension plate that is bent and extended from a peripheral side to a lower side of the body and has a pivotal ring fitted to the end of the pivotal shaft;
A fixing assembly for fixing the pivot shaft to the connection assembly;
And an incising bar provided between the maxillary fixing bar and the mandible fixing bar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maxillary fixing bar and the mandible fixing bar,
Wherein the pivot shaft is spaced apart with a first pivot axis and a second pivot ax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gap,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pivotal rings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pivotal shaft and the second pivotal shaft,
Wherein the fixed cradle includes a sub axis having a curved surface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gap toward the bottom surface and extending convexly inwardly,
Wherein the occlusal extension plate includes a fixing part spaced forward from a position where the maxillary bone model is located from the sub clearance and having a fixing groove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maxillary bone forward and backward,
The fixing assembly includes:
And a fixing and expanding and contracting means for supporting an anteroposterior rotation of the fixing bar in the fixing groove by providing an elastic force by being wound on the fixing bar, the fixing bar being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by a length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xing groove, Articulator capable of simulating medial joint motion.
상기 상악 고정대 및 상기 하악 고정대는,
상기 상악골 모형 및 상기 하악골 모형을 고정하는 베이스 평판과,
상기 베이스 평판의 중심부위에 함입 형성된 메인 홈 및,
상기 메인 홈의 주변에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서브 홈으로 구성되는 모형받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중환축관절운동 모사가 가능한 교합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and lower mandibles are fixed,
A base plate for fixing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A main groove formed 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se plate,
The articulato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sub-grooves radially disposed around the main groove.
상기 절치봉 및 상기 연결 어셈블리는,
상기 하악골 모형과 상기 상악골 모형의 경계부위로 부터 수평하게 연장된 부위를 함입 형성한 기준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중환축관절운동 모사가 가능한 교합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cising rods and the connection assembly are formed of a metal plate,
Further comprising a reference groove in which a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from a boundary between the mandible model and the maxillary bone model is inserted into the reference groove.
상기 절치봉은,
상기 기준홈이 형성된 주변 부위를 호형(弧形)으로 절곡시킨 호형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중환축관절운동 모사가 가능한 교합기.The method of claim 3,
The cutting-
And an arcuate portion formed by bending the circumferential portion formed with the reference groove into an arcuate shape is further formed.
상기 서브축에는,
상기 곡면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곡면의 반대측에 위치한 수직면을 향해 전후로 관통된 내입홈과,
복수개의 기둥이 상기 내입홈에 순차적으로 적층 형성된 것으로서 각각의 기둥의 연장된 길이가 상기 내입홈에서 적층된 높이에 비례하여 감소하는 돌출체와, 상기 돌출체와 동일한 높이와 폭으로 이루어진 종단면을 갖는 푸싱헤드 및, 상기 푸싱헤드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푸싱헤드의 상하회동을 보조하는 헤드 신축편을 포함하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중환축관절운동 모사가 가능한 교합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ub-axis,
An inner groove penetrating back and forth from a surface of the curved surface toward a vertical surfac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urved surface,
A protruding body in which a plurality of columns are sequentially laminated on the inner groove and whose extended length of each column decreases in proportion to a height stacked in the inner groove; and a vertical section having the same height and width as the protruding body The articulato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atching part including a pushing head and a head stretching piece for assisting an up-and-down rotation of the pushing head by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pushing head.
상기 푸싱헤드의 측면에는,
핸들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서브축은,
상기 수직면에 위치한 상기 내입홈의 입구에 형성된 것으로서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마다 측면으로 추가 함입되어 상기 핸들을 거치하는 핸들 고정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중환축관절운동 모사가 가능한 교합기.9. The method of claim 8,
On the side surface of the pushing head,
A handle is protruded,
The sub-
Further comprising a handle fixing groove formed at an entrance of the inner groove located on the vertical surface, the handle fixing groove being further inserted laterally at regular intervals along a height direction, and the handle fixing groove for locking the handle.
상기 회동축은,
상기 고정 거치대의 단면에 장착된 것으로서, 상기 제 1 회동축 및 상기 제 2 회동축 중 어느 하나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축 거치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회동축 및 상기 제 2 회동축 중 어느 하나와 상기 고정바의 단부에는,
베벨기어가 더 장착되어 상기 베벨기어를 매개로 맞물려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중환축관절운동 모사가 가능한 교합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bove-
Further comprising a shaft holder mounted on an end surface of the fixed holder and in which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hafts is rotatably inserted,
Wherein one of the first rotating shaft and the second rotating shaft and an end portion of the fixing bar are provided with:
And a bevel gear is further mounted on the bevel gear so as to be pivoted through the bevel gear.
상기 축 거치부는,
제 1 볼 조인트를 매개로 상기 고정 거치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교합 연장판은,
상기 회동고리를 포함하는 걸이판부와,
상기 고정부를 포함하는 회동판부가 제 2 볼 조인트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상악 고정대의 회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중환축관절운동 모사가 가능한 교합기.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haft-
A first ball joint rotatably mounted on the fixed mount via a first ball joint,
The occlusal extension plate includes:
A hook plate portion including the pivot ring,
And the rotation plate portion including the fixing portion is rotatably connected via the second ball joint to control the rotation of the maxillary fixing fram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32081A KR101816497B1 (en) | 2017-10-12 | 2017-10-12 | Dental Articulator That Copying Median Atlanto-axial Joint Move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32081A KR101816497B1 (en) | 2017-10-12 | 2017-10-12 | Dental Articulator That Copying Median Atlanto-axial Joint Move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16497B1 true KR101816497B1 (en) | 2018-01-09 |
Family
ID=61000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32081A Expired - Fee Related KR101816497B1 (en) | 2017-10-12 | 2017-10-12 | Dental Articulator That Copying Median Atlanto-axial Joint Move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6497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61668A (en) | 2018-11-26 | 2020-06-03 | 박동효 | Articulator for both digital and analog manufactur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gnathostatic model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64691B1 (en) | 2004-07-23 | 2006-03-30 | 김의남 | Dental Semiregulatory Articulator |
KR101397438B1 (en) | 2012-11-27 | 2014-05-20 | 한인혜 | Articulator having gap prevention means |
KR101472808B1 (en) | 2014-11-03 | 2014-12-15 | 이동우 | Articulator |
KR101657990B1 (en) * | 2015-05-12 | 2016-09-20 | 주식회사 이큐 | the articular for dental model |
-
2017
- 2017-10-12 KR KR1020170132081A patent/KR10181649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64691B1 (en) | 2004-07-23 | 2006-03-30 | 김의남 | Dental Semiregulatory Articulator |
KR101397438B1 (en) | 2012-11-27 | 2014-05-20 | 한인혜 | Articulator having gap prevention means |
KR101472808B1 (en) | 2014-11-03 | 2014-12-15 | 이동우 | Articulator |
KR101657990B1 (en) * | 2015-05-12 | 2016-09-20 | 주식회사 이큐 | the articular for dental model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61668A (en) | 2018-11-26 | 2020-06-03 | 박동효 | Articulator for both digital and analog manufactur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gnathostatic mode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20535934A5 (en) | ||
KR100976043B1 (en) | Articulator | |
KR101302701B1 (en) | The articular for dental model | |
JP5688620B2 (en) | Articulator | |
KR101657990B1 (en) | the articular for dental model | |
CN104966451B (en) | A kind of complete denture setup trains demonstrating model | |
KR100420873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locating costume vocal cords model in articulators | |
JP5838602B2 (en) | 3D occlusal contact measuring instrument | |
KR101816497B1 (en) | Dental Articulator That Copying Median Atlanto-axial Joint Movement | |
TW201302160A (en) | Orthognathic planning system and method | |
KR20130014630A (en) | Articulator and three dimensional measurement apparatus using the same | |
JP3181517U (en) | Byte fork | |
CN109662791B (en) | Tooth jaw biting frame | |
KR101041321B1 (en) | Articulator | |
KR101825894B1 (en) | Zig Type Dental Articulator Copying Rotation Movement of Median Atlanto-Axial Joint | |
US6780011B2 (en) | Dental articulator with extended motion range | |
US5743733A (en) | Mechanical dental articulator having adjustable claming feature and method of use | |
KR101825893B1 (en) | Dental Articulator That Copying Mandibular Movement | |
JP3819358B2 (en) | Articulator | |
US10070946B1 (en) | Device for recording vertical and centric occlusion positions of edentulous jaws | |
CN204904687U (en) | Tooth training demonstration model is arranged to complete mouthful artificial tooth | |
RU2532358C1 (en) | Method for measuring mandibular inclination and device for cast model transfer into articulator space | |
RU2602044C2 (en) | Method of upper jaw position spatial transfer taking into account individual parameters, occlusal yoke with determination of spatial position and device for upper jaw model spatial positioning for said method implementation | |
KR20030070722A (en) | Articulator | |
JPH11318940A (en) | Auxiliary tool for dental parallel cutt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10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