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5636B1 - Drinking water furnishing device - Google Patents
Drinking water furnish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5636B1 KR101815636B1 KR1020160127489A KR20160127489A KR101815636B1 KR 101815636 B1 KR101815636 B1 KR 101815636B1 KR 1020160127489 A KR1020160127489 A KR 1020160127489A KR 20160127489 A KR20160127489 A KR 20160127489A KR 101815636 B1 KR101815636 B1 KR 1018156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water supply
- main body
- faucet
- bas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20—Pillar fountains or like apparatus for dispensing drinking wat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이 출원은 이동식 공용식수대에 관한 것으로, 본체의 전면 중간상부위치에 제1급수꼭지가 설치된 전면급수부, 전면급수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물병 감지센서, 본체의 한쪽 측면에 제2급수꼭지가 설치된 측면급수부, 물병 감지센서에서 물병 테이블 상에 물병이 있는 것으로 감지되었을 때에만 온(ON)작동이 가능한 제1급수버튼, 제2급수꼭지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2급수버튼; 및 베이스에 대하여 직교된 상태에서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어 본체가 지면에 고정된 상태가 되게 하기 위한 고정설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drinking water tab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drinking water table, which includes a front water supply portion provided with a first water supply tap at an upper middle position in a front side of a main body, a water bottle sensor installed at one side of a front water supply portion, A first water supply button capable of ON operation only when the water bottle sensor detects that the water bottle is on the water bottle table, a second water supply button provided below the second water supply faucet; And fixing means for fixing the main body to the ground by being fastened by the fastening means in a state of being orthogonal to the base.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식 공용식수대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물을 마시려는 사람이 물병만 소지하면 쉽게 물을 받아 마실 수 있으며, 특히, 물이 배출되는 부분에 항균 효과가 뛰어난 구리 소재의 구리 하우징 및 항균 커버가 구비되어 위생적으로 물을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공용식수대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public drinking water table, which is installed in a public place and can drink water easily when a person who drinks water has only a water bottle. In particular, A copper housing and an antibacterial cover, so that water can be hygienically consumed.
일반적으로 식수대(음수대)라 함은 학교나 구내식당, 공원, 체육시설 등과 같은 다중 이용시설의 실내외에 마련되어 있어 이용자가 언제든지 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한 시설을 말한다.Generally, drinking water (negative water) refers to a facility that is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of a multi-use facility such as a school, a restaurant, a park, an athletic facility, etc., so that a user can drink water at any time.
이와 같은 식수대는 음용수가 토출되는 물 배출구로부터 물이 직하 또는 상향으로 배출되도록 설계되어 있어 이용자가 조작 버튼 또는 수도꼭지를 개방하게 되면 물이 흘러나오도록 한 뒤 물을 물병이 받거나 입을 통하여 물을 취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is type of drinking water is designed to discharge water directly or upward from the water outlet where the drinking water is discharged. When the user opens the operation button or the faucet, the water is drained out and then the water is received by the water bottle or water is taken through the mouth .
이와 같은 식수대는 일반적으로 강변의 체육시설 또는 공원과 같은 공공장소에만 설치되어 있어 그 사용이 제한적이다.Such drinking water is generally only installed in public places such as athletic facilities or parks on riverside, and its use is limited.
따라서 이와 같이 여행 또는 피크닉 등을 즐기기 위해 야외 활동을 나가는 사람들은 대부분 물을 가정에서 일부 준비하여 나오게 되며, 물을 준비하여 나오게 되더라도 준비한 물을 다 먹게 되면, 생수를 사서 마셔야 하기 때문에 경제적 손실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most of the people who go outdoors to enjoy a trip or a picnic like this will come out with some water at home. Even if they come out with water, if they eat all of the prepared water, they will have to drink and drink bottled water. There was a problem.
또한, 구매하는 생수의 경우 대부분 1회용 플라스틱 병에 수용되어 판매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구매한 생수를 다 마신 후에 이 병은 버려지게 되며 특히, 하절기와 같이 물 섭취가 많은 계절에는 1회용 물병의 사후 처리가 곤란하여 환경오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most bottled water purchased is usually sold in disposable plastic bottles, so after drinking the bottled water, the bottle is discarded. Especially in the seasons when water is consumed, such as in the summer, There is a problem that treatment is difficult and environmental pollution occurs.
비단 상기한 1회용 물병의 문제뿐만 아니라 커피숍에서 판매되는 테이크아웃용 커피 잔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The same is true for the above-mentioned disposable water bottle problem, as well as for a take-out coffee cup sold at a coffee shop.
즉,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되는 물병 또는 음료잔의 경우 한번만 사용한 후 그대로 버려지기 때문에 이를 버리지 않고 휴대하고 다니면서 식수를 취식할 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In other words,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a water bottle or a drink cup made of a plastic material, since it is used once and then discarded as it is, it is urgently required to carry water without drinking it and drink water.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물을 마시려는 사람이 물병만 소지하면 쉽게 물을 받아 마실 수 있으며, 특히, 물이 배출되는 부분에 항균 효과가 뛰어난 구리 소재의 구리 하우징 및 항균 커버가 구비되어 위생적으로 물을 취식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공용식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A copper housing and an antibacterial cover which are made of copper, which is excellent in hygienic water conten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력의 소모 없이 상수원에서 배출되는 수압을 통하여 정수된 물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전력의 소모없이 비치하여 사용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공용식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economical common drinking water pool because it can supply purified water through a water pressure discharged from a water source without consuming electric power, so that it can be used without consuming electric power.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공용식수대는 본체의 전면 중간상부위치에 물병이 수납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되 상부에서 하부로 향할수록 폭이 넓어지는 물방울 모양으로 형성되며 본체의 안쪽을 향해 파인 홈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물병이 세워지도록 평평한 면을 갖으며 간격을 두고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물병 테이블이 조립 설치되고, 상부에는 물공급관과 연결된 제1급수꼭지가 설치된 전면급수부; 전면급수부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는 본체의 한쪽 측면에 본체의 안쪽을 향해 파인 홈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배수 트랩이 조립 설치되고, 상부에는 물공급관과 연결된 제2급수꼭지가 설치된 측면급수부; 제1급수꼭지를 통한 급수를 제어하기 위해 전면급수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급수버튼; 제2급수꼭지를 통한 급수를 제어하기 위해 제2급수꼭지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2급수버튼; 본체가 지면에 세워진 상태가 유지되게 하기 위한 베이스가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되 베이스의 내측에는 베이스에 대하여 직교된 상태에서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어 본체가 지면에 고정된 상태가 되게 하기 위한 보조 베이스가 수용된 고정설치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진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a water supply opening; And a water dispenser table having a plurality of water discharging holes formed at intervals and having a flat surface such that a water bottle is raised is assembled and provided with a first water supply faucet connected to a water supply pipe, ; A drain trap form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corresponding to a position where the front water supply unit is formed and having a plurality of drain holes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in a hollow shape toward the inside of the body, A side water supply part having a water supply faucet; A first water supply button installed on an upper part of the front water supply part to control water supply through the first water supply faucet; A second water supply button provided below the second water supply faucet to control water supply through the second water supply faucet; An auxiliary base for fastening the main body to the ground by being fastened by fastening means in a state in which the base for maintaining the main body standing on the ground is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and the inside of the base is orthogonal to the base, A fixed mounting means accommodated; .
이 출원에 따른 이동식 공용식수대에서는 전면급수부의 내부 표면이 구리재질로 된 내부 하우징으로 감싸질 수 있다.In the portable drinking water table according to this applica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water supply part can be enclosed in an inner housing made of copper.
이 출원에 따른 이동식 공용식수대는 제2급수꼭지의 외부가 구리 재질의 항균 커버로 감싸진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pplication, the movable drinking water can be configured such that the outside of the second water supply faucet is surrounded by an antibacterial cover made of copper.
이 출원에 따른 이동식 공용식수대에서 제2급수꼭지는 물이 상향 분출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water supply faucet in the movable common drinking water according to this applica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water is sprayed upward.
이 출원에 따른 이동식 공용식수대에서 물공급관의 도중에는 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A filter may be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water supply pipe in the portable public drinking water according to this application.
이 출원에 따른 이동식 공용식수대에서 본체의 전면에는 광고용 디스플레이가 설치될 수 있다.In the portable public drinking water according to this application, the advertisement display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이 출원에 따른 이동식 공용식수대에서 물공급관에는 냉각을 위한 칠러가 더 설치될 수 있다.In the portable public drinking water according to this application, the water supply pipe may be provided with additional chiller for cooling.
삭제delete
본 발명의 이동식 공용식수대에 의하면, 물병 취수부의 내측 표면에 구리 하우징이 구비됨으로서 물을 취식하는 사용자가 위생적으로 물을 취식할 수 있어 식수의 안정성은 높이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ortable drinking water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pper housing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 take-in part, the user who drinks water can take the water hygienically, thereby enhancing the stability of drinking water.
본 발명의 이동식 공용식수대의 경우 이동식 및 고정식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장소 및 유동 인원에 따라 적절히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portable drinking water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ituted by a movable type and a fixed type, it can be installed and used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place and the number of people to flow, and the useability is increased.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공용식수대에 의하면 1회용 플라스틱 물병의 사용이 감소되며, 이에 따라 1회용 물병의 사용 후 처리 문제에 대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어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ortable drinking water spo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 of the disposable plastic water bottle is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environmental pollution to the after-use treatment problem of the disposable water bottle, and thus there is an eco-friendly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식 공용식수대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베이스 및 보조 베이스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식 공용식수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ortable drinking water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n internal view of FIG. 1. FIG.
3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base and the auxiliary base shown in Figs. 1 and 2.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ortable drinking water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n internal view of FIG. 4. FIG.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hapes and the lik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can be exaggeratedly express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member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urther,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b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삭제delete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식 공용식수대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베이스 및 보조 베이스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movable common drinking w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internal view of FIG. 1,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base and the auxiliary base shown in FIGS. Fig.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공용식수대의 본체(100)는 직육면체 형태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본체의 내부에는 물공급관(130) 및 물배출관(170)이 설치된다. 물공급관(130)의 한쪽 끝단이 위치되는 본체의 배면에는 원수공급호스(도시되지 않음)가 연결되기 위한 물공급 플러그(130a)가 설치된다.1 to 3, the
한편, 본체(100)의 전면 중간상부위치에는 물병이 수납될 수 있는 높이를 갖으며 본체의 안쪽을 향해 파인 홈형상의 전면급수부(110)가 형성된다. 전면급수부(110)는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부에서 하부를 향할수록 폭이 넓어지는 물방울 모양의 구조로 형성된다.In the middle of the front of the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전면급수부(110)의 내부 표면은 구리 재질로 형성된 구리 케이스(120)로 감싸진다. 이와 같이 전면급수부(110)가 구리 재질로 된 구리 케이스(120)로 감싼 구조로 형성하는 이유는 항균 효과를 위해서이다.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한편, 전면급수부(110)의 하부에는 물병이 세워지기 용이하도록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는 물병 테이블(121)이 설치되는데, 물병 테이블(121)에는 간격을 두고 다수의 배수공(122)이 형성된다. 물병 테이블(121)이 위치된 전면급수부(110)의 하부에는 물배출관(170)이 연결된다.On the other hand, a water bottle table 121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front
한편, 전면급수부(110)의 내측 상부에는 물공급관(130)과 연결되는 제1급수꼭지(132)가 설치된다. 이 제1급수꼭지(132)를 통한 급수를 제어를 위해 제1급수버튼(140)은 본체(100)의 전면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제1급수버튼(140)은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물방울 모양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체를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에는 본체의 전면에 두 개의 물방울이 보이게 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물이 공급되는 장치임을 연상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특히 전면급수부(110)의 일측에는 감지 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전면급수부(110)에 물병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1급수버튼(140)을 작동하여도 제1급수꼭지(132)를 통한 물의 배출은 허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a first
A sensing sensor may further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ront
삭제delete
한편, 물공급관(130)의 도중에는 계측기(13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계측기(131)는 물의 온도, 공급되는 물의 수압 등을 점검하기 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a
한편, 전술한 전면급수부(110)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는 본체(100)의 한쪽 측면에는 이용자의 입을 직접 대거나 근접한 거리에서 물을 마실 수 있도록 구성되는 측면급수부(1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측면급수부(150)는 도면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체의 안쪽을 향해 파인 홈형상의 구조로 형성된다. 측면급수부(150)의 상부 측에는 물공급관(130)과 연결된 제2급수꼭지(151)가 설치되는데, 제2급수꼭지(151)은 구리 재질로 제작된 항균 커버(153)로 감싸질 수 있다. 그리고, 측면급수부(150)의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배수 트랩(154)이 설치된다. 배수 트랩(154)이 설치된 측면급수부(150)의 하부는 물배출관(170)이 연결된다.On the other hand, the side
한편, 물공급관(130)의 도중에는 필터(160)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160)를 통과하면서 유해한 성분을 제거된 물은 전면급수부(110) 및 측면급수부(150)로 공급된다.Meanwhile, a
한편, 전면급수부(110) 및 측면급수부(150)의 하부로 배출되는 물은 물배출관(170)을 통해서 외부로의 배출이 유도된다.The water discharged to the lower part of the front
한편,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는 바닥면에 본체가 안정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고정설치수단이 형성된다. 고정설치수단은 본체(100)의 하부에 형성되는 베이스(180)와 베이스와 직교된 상태에서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는 보조 베이스(181)로 이루어진다. 특히, 보조 베이스(181)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베이스(180) 내측에 인입된 상태에서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된 상태로 보관되도록 구성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80)와 보조 베이스(181)은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보조 베이스(181)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베이스(180) 내측에 보조 베이스(181)가 수용된 상태가 되도록 하고, 사용할 때에는 베이스(180)에 대하여 보조 베이스(181)이 직교된 상태에서 중간에 형성되는 체결공(182)에 체결수단을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베이스(180)의 전방과 후방의 중간부분에는 보조 베이스(181)가 베이스(180)에 대하여 직교된 상태에서 안정되게 결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결합홈(180a)이 보조 베이스(181)의 폭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된다.In the meantime, a fixing means is provided on the bottom of the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공용식수대는 설치장소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보조 베이스(181)를 베이스(180) 내로 접어 둘 수 있어 이동 시에 용이하게 된다.The portable common drinking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old the
한편, 상수원의 수압으로만 물을 정수하여 제공하기 때문에 별도의 전력이 필요하지 않아 경제적이다.On the other hand, since water is purified only by the water pressure of the water source, no additional electric power is required, which is economical.
삭제delet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공용식수대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movable common drinking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공용식수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내부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mmon drinking w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internal view of FIG.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공용식수대에서는 본체(100)의 전면에 광고용 디스플레이(190)가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and 5, in the portable common drinking wa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 출원에 따른 이동식 공용식수대는 별도의 커버 또는 케이스에 쉽게 담아 운반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며, 커버 또는 케이스로 포장하는 과정에서 보조 베이스(181)를 베이스(180) 내로 접어 둘 수 있는 측면에서 유리하다.The portable common drinking water according to this application is formed to be easily carried in a separate cover or case and can be folded into the base 180 in the process of packaging with a cover or a case It is advantageous from the side.
삭제delete
한편, 전술한 제1급수버튼(140)은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무전원 방식의 푸시버튼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제1급수버튼(140)을 누르게 되면, 물공급관(130)을 통과한 물은 수압에 의해 제1급수꼭지를 통해 급수된다. 물론 제1급수버튼(140)은 전자식 제어에 의해 개폐되는 형태도 적용될 수 있다.When the user presses the first
한편, 본체(100)의 외측면에는 인쇄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면, 좌우측면에는 투명 폴리카보네이트(렉산) 시트를 부착할 수 있다. 상기 인쇄필름에는 본 발명의 공용식수대를 협찬하는 제휴사 또는 제조업체의 광고 문구를 게시하여 홍보효과를 누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는 본체의 각 면의 재질을 달리하거나 일체형으로도 제작하면서 홍보용 인쇄필름을 부착하여 이용이 가능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a printing film may b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한편, 물공급관(130)의 도중에는 냉수의 공급을 위한 칠러(Chiller)(200)가더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공용식수대의 경우 사용자가 위생적인 환경에서 물을 마실 수 있도록 구성되었을 뿐만 아니라, 특히 편의점 또는 마트에서 구매하는 1회용 플라스틱 물병의 사용 후 처리 문제에 대한 환경오염도 줄일 수 있는 친환경적인 공용식수대인 것이다.In the case of the common drinking water spo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s not only able to drink water in a hygienic environment, but also can reduce the environmental pollution of the disposable plastic water bottle purchased from a convenience store or a mart, It i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common drinking water table.
또한, 본 발명과 같은 공용식수대가 보편화된다면 외출 시 별도로 생수를 구입하지 않고 물병을 소지하고 다니면서 목이 마를 경우 또는 물의 섭취가 필요할 경우 공용식수대에서 물을 받아서 물을 섭취하게 된다면 별도의 생수 구입비용이 줄게 되어 경제적이며, 특히, 생수 구입 이후 버려지는 1회용 물병의 처리문제도 해결될 수 있는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발명인 것이다.In addition, if the common drinking water pool as in the present invention becomes common, if the water pool is not purchased separately when going out and the water bottle is carried while carrying water or when water is consumed, if the water is taken from the public drinking water pool, It is economical and eco-friendly invention that can solve the disposal problem of disposable water bottle which is discarded after purchasing bottled water.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이동식 공용식수대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movable public drinking w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possible.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본체 110 : 전면급수부
120 : 구리 케이스 121 : 물병 테이블
130 : 물공급관 132 : 제1급수꼭지
140 : 제1급수버튼 150 : 측면급수부
151 : 제2급수꼭지 152 : 제2급수버튼
155 : 물배출관 160 : 필터
180 : 베이스 181 : 보조 베이스
190 : 광고용 디스플레이 200 : 칠러100: main body 110: front water supply part
120: copper case 121: water bottle table
130: water supply pipe 132: first water supply pipe
140: first water supply button 150: side water supply part
151: second water supply tap 152: second water supply button
155: water discharge pipe 160: filter
180: base 181: auxiliary base
190: Advertising display 200: Chiller
Claims (9)
상기 본체의 전면 중간상부위치에 물병이 수납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되 상부에서 하부로 향할수록 폭이 넓어지는 물방울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안쪽을 향해 파인 홈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 표면은 구리 재질로 형성된 구리 케이스로 감싸지고, 하부에는 상기 물병이 세워지도록 평평한 면을 갖으며 간격을 두고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물병 테이블이 조립 설치되고, 상부에는 상기 물공급관과 연결된 제1급수꼭지가 설치된 전면급수부;
상기 물병 테이블 상의 물병 유무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전면급수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물병 감지센서;
상기 전면급수부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본체의 한쪽 측면에 상기 본체의 안쪽을 향해 파인 홈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간격을 두고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배수 트랩이 조립 설치되고, 상부에는 상기 물공급관과 연결된 제2급수꼭지가 설치된 측면급수부;
상기 제1급수꼭지를 통한 급수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전면급수부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물병 감지센서에서 상기 물병 테이블 상에 물병이 있는 것으로 감지되었을 때에만 온(ON)작동이 가능한 제1급수버튼;
상기 제2급수꼭지를 통한 급수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2급수꼭지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2급수버튼; 및
상기 본체가 지면에 세워진 상태가 유지되게 하기 위한 베이스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베이스의 내측에는 상기 베이스에 대하여 직교된 상태에서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본체가 지면에 고정된 상태가 되게 하기 위한 보조 베이스가 수용되며, 상기 베이스의 전방과 후방의 중간부분에는 상기 보조 베이스가 교차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홈이 형성된 고정설치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공용식수대.And a water supply plug for supplying a raw water supply hose to the back surface of the main body in which one end of the water supply pipe is located,
A water droplet is formed at a height above the middle of the front of the main body so as to accommodate a water bottle, and the width of the water droplet increases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And a water dispenser table having a plurality of water discharging 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having a flat surface so as to raise the water bottles is assembled and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water dispensing table, ;
A water bottle senso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ront water supply part to detect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water bottle on the water bottle table;
A drain trap formed at one side of the body corresponding to a position where the front water supply unit is formed and having a groove shape recessed toward the inside of the body and having a plurality of drain 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lower portion thereof, A side water supply unit having a second water supply faucet connected to the second water supply faucet;
A first water supply button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ront water supply portion to control water supply through the first water supply faucet and capable of ON operation only when the water bottle sensor detects the water bottle on the water bottle table;
A second water supply button provided below the second water supply faucet to control water supply through the second water supply faucet; And
A base for holding the main body standing on the ground is installed on a lower part of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is fixed to the ground on the inner side of the base by being fastened by a fastening means in a state orthogonal to the base, A fixing means having a coupling groove form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between a front side and a rear side of the base to allow the auxiliary base to be coupled in an intersecting state; And a portable drinking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water to the movable water supply unit.
상기 제2급수꼭지의 외부는 구리 재질의 항균 커버로 감싸진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공용식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water supply faucet is surrounded by an antibacterial cover made of a copper material.
상기 제2급수꼭지는 물이 상향 분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공용식수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water supply faucet is configured to discharge water upwardly.
상기 물공급관의 도중에는 필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공용식수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ilter is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water supply pipe.
상기 물공급관에는 냉각을 위한 칠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공용식수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 supply pipe is further provided with a chiller for cooling.
상기 본체의 전면에는 광고용 디스플레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공용식수대.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isplay for advertisement is installed on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7489A KR101815636B1 (en) | 2016-10-04 | 2016-10-04 | Drinking water furnishing device |
PCT/KR2017/008611 WO2018066801A1 (en) | 2016-10-04 | 2017-08-09 | Movable public water fountai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7489A KR101815636B1 (en) | 2016-10-04 | 2016-10-04 | Drinking water furnishing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15636B1 true KR101815636B1 (en) | 2018-01-08 |
Family
ID=61003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27489A Active KR101815636B1 (en) | 2016-10-04 | 2016-10-04 | Drinking water furnishing devic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815636B1 (en) |
WO (1) | WO2018066801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853418B1 (en) | 2018-09-20 | 2023-08-09 | Civiq Pty Ltd | Portable water dispensing station |
US20250019220A1 (en) * | 2018-09-20 | 2025-01-16 | Civiq Pty Ltd | Portable Water Dispensing Station |
CN109876263A (en) * | 2019-03-13 | 2019-06-14 | 成都利泽科技有限公司 | An intelligent quantitative dosing vehicle for medical humidifying liquid |
IT202000015946A1 (en) * | 2020-07-02 | 2022-01-02 | Hera S P A | MULTIFUNCTIONAL WATER SUPPLY STATIO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4613B1 (en) * | 2013-11-01 | 2014-10-27 | 이세영 | Sterilization and far infrared rays and negative ions emitted dispenser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668023A (en) * | 1985-08-09 | 1987-05-26 | Kelsey-Hayes Company | Control valve for an anti-lock brake system |
KR970005350B1 (en) * | 1993-05-06 | 1997-04-15 | 최수부 | Nomobacterial extract effective in liver disease and pharmaceutical preparations containing it as an active ingredient |
KR970032964U (en) * | 1995-12-27 | 1997-07-26 | Emergency light flasher of car | |
KR20090077460A (en) * | 2008-01-11 | 2009-07-15 | 박종주 | Cold and hot water purifier |
-
2016
- 2016-10-04 KR KR1020160127489A patent/KR101815636B1/en active Active
-
2017
- 2017-08-09 WO PCT/KR2017/008611 patent/WO2018066801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4613B1 (en) * | 2013-11-01 | 2014-10-27 | 이세영 | Sterilization and far infrared rays and negative ions emitted dispens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8066801A1 (en) | 2018-04-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15636B1 (en) | Drinking water furnishing device | |
USD567659S1 (en) | Beverage container closure and dispensing device | |
USD536932S1 (en) | Ice holding device | |
US20130292537A1 (en) | Foldable coaster attachable to keychain or the like | |
AU2006264220B2 (en) | Drink dispensing system | |
DZ3369A1 (en) | BEVERAGE DISPENSING DEVICE AND CONTAINER PROVIDED WITH POSITIONING MEANS | |
USD530209S1 (en) | Bottle | |
USD657922S1 (en) | Laundry cup caddy | |
USD591824S1 (en) | Dispenser mounting device | |
CN108346229A (en) | A kind of shared water fountain system | |
KR101863712B1 (en) | Drinking water furnishing device having sales means of water bottle | |
KR20130060836A (en) | Straw device for beverages container | |
CN209674457U (en) | One kind is self-service to sell milk machine | |
US20150245678A1 (en) | Necktie with satin pouch being used as a permanent pocket | |
US6010033A (en) | Refrigerated beverage dispenser | |
JP2006280834A (en) | Portable toilet shower attachment which can be attached to neck of pet bottle to use it as portable toilet shower | |
KR200421585Y1 (en) | Functional lid for cup | |
USD667944S1 (en) | Dispenser mounting device | |
CN213060178U (en) | Wine pouring device | |
KR200441799Y1 (en) | Water bottle cover for rust prevention | |
KR200406456Y1 (en) | Disposable Cup with Liquid Container | |
KR200430533Y1 (en) | Concentric Disc Container | |
KR100263287B1 (en) | A carring cup | |
JP3137307U (en) | Mounted body of a portable manual bottom washer that can be used as a portable manual bottom washer attached to the neck of a PET bottle | |
US20060043206A1 (en) | Drink Pouch with Inner Snap-on Straw/Spou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7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2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2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