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7460A - Cold and hot water purifier - Google Patents
Cold and hot water purifi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77460A KR20090077460A KR1020080003433A KR20080003433A KR20090077460A KR 20090077460 A KR20090077460 A KR 20090077460A KR 1020080003433 A KR1020080003433 A KR 1020080003433A KR 20080003433 A KR20080003433 A KR 20080003433A KR 20090077460 A KR20090077460 A KR 2009007746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ld
- bubble
- water
- cold water
- cok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3—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household-type filters for producing potable water, e.g. pitchers, bottles, faucet mounted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수용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물을 정수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에서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을 냉각 및 가열하는 냉수생성장치 및 온수생성장치를 갖는 냉온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본체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냉수생성장치와 상기 온수생성장치에 의해 생성된 냉수와 온수를 하향 배출하는 냉수코크 및 온수코크와; 상기 냉수코크와 온수코크 하부 영역에 설치되며, 외부를 향하는 냉온수드레인호스를 갖는 냉온수물받이와;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냉수생성장치에 의해 생성된 냉수를 토출하는 버블코크와; 상기 버블코크 하부 영역에 설치되며, 외부를 향하는 버블드레인호스를 갖는 버블물받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in body, a filter unit for purifying water received in the main body and delivered from the outside, a storage tank for storing the purified water in the filter unit, and cold water generation for cooling and heating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A cold and hot water purifier having an apparatus and a hot water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cold water coke and a hot water coke installed in front of the main body to discharge cold water and hot water generated by the cold water generating device and the hot water generating device downwardly; A cold / hot water drip tray installed in the cold water coke and the hot water coke lower region and having a cold / hot water drain hose facing outward; A bubble coke install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discharge cold water generated by the cold water generator; It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ubble coc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ubble gutter having a bubble drain hose facing outward.
이에 의해, 컵 등의 용기를 사용하여 냉온수를 음용할 뿐만 아니라, 컵 등의 용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냉수를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고, 물받이를 간편하고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냉온정수기가 제공된다.As a result, not only the hot and cold water is consumed using a container such as a cup, but a cold and hot water purifier can be used to drink cold water easily without using a container such as a cup, and the drip tray can be easily and hygienically manag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온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컵을 사용하지 않고도 냉온수를 음용할 수 있는 버블코크를 구비한 냉온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d and hot water purifi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ld and hot water purifier having a bubble coke capable of drinking cold and hot water without using a cup.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업소 및 학교 등에 사용되는 냉온정수기는 수돗물을 정수하는 정수필터와,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와, 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을 분배 공급받는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와, 냉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와, 온수탱크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가열장치와, 냉수탱크와 온수탱크로부터 냉수와 온수를 배출하는 냉수코크 및 온수코크와, 냉수코크 및 온수코크 하부에 마련되어 버려지는 냉온수를 수령하는 물받이로 구성되어 있다. In general, cold and hot water purifiers used in homes, businesses, and schools are used to purify tap water, storage tanks for storing purified water, cold and hot water tanks for receiving and supplying water stored in storage tanks, and cold water tanks. The cooling device for cooling the stored water, the heating device for heating the water stored in the hot water tank, the cold water and hot water coke for discharging the cold water and hot water from the cold water tank and the hot water tank, and the cold water coke and the hot water coke It consists of a drip tray that receives cold and hot water.
이러한 냉온정수기는 사용자가 컵을 구비한 상태에서 냉수코크나 온수코크를 선택적으로 조작하여 컵에 냉수 또는 온수를 원하는 양 만큼 받아서 마시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물받이로 수령된 물은 적절한 시기에 사용자가 물받이를 취출하여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The cold / hot water purifier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drink cold water or hot water in a cup by receiving a desired amount of cold water or hot water while the user has a cup. In addition, the water received by the drip tray is configured to allow the user to take out and remove the drip tray at an appropriate time.
그러나, 이러한 종래 냉온정수기에 있어서는 물을 음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컵과 같은 용기가 필요한데, 온수의 경우 고온이기 때문에 컵과 같은 용기를 구비한다고 하지만 냉수의 경우에도 컵과 같은 용기를 구비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cold and hot water purifier, a container such as a cup is necessary to drink water, but hot water is required to have a container such as a cup because of high temperature, but in the case of cold water, a container such as a cup must be provided. There was a problem.
또한, 냉온정수기의 사용 중 물받이로 버려지는 물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빈접하게 물받이를 비워주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불편하고, 물받이에 고인 물이 부폐되어 세균의 서식처를 제공하는 등 매우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water discarded by the drip tray during the use of the cold and hot water purifier is very inconvenient because the user must empty the drip tray inconveniently, there is a very unsanitary problem, such as water accumulated in the drip tray to provide a habitat for bacteria.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컵 등의 용기를 사용하여 냉온수를 음용할 뿐만 아니라, 컵 등의 용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냉수를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고, 물받이를 간편하고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냉온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to drink cold and hot water using a container such as a cup, but also to drink cold water without using a container such as a cup, and a cold and hot water purifier that can manage the drip tray simply and hygienically. To provide.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서,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수용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물을 정수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에서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을 냉각 및 가열하는 냉수생성장치 및 온수생성장치를 갖는 냉온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냉수생성장치와 상기 온수생성장치에 의해 생성된 냉수와 온수를 하향 배출하는 냉수코크 및 온수코크와; 상기 냉수코크와 온수코크 하부 영역에 설치되며, 외부를 향하는 냉온수드레인호스를 갖는 냉온수물받이와;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냉수생성장치에 의해 생성된 냉수를 토출하는 버블코크와; 상기 버블코크 하부 영역에 설치되며, 외부를 향하는 버블드레인호스를 갖는 버블물받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정수기에 의해 달성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the filter unit for purifying the water received in the main body and delivered from the outside, a storage tank for storing the purified water in the filter unit, and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tank is cooled And a cold water purifier having a cold water generating device and a hot water generating device for heating, comprising: cold water coke and hot water coke installed in front of the main body to discharge cold water and hot water generated by the cold water producing device and the hot water generating device downwardly; ; A cold / hot water drip tray installed in the cold water coke and the hot water coke lower region and having a cold / hot water drain hose facing outward; A bubble coke install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discharge cold water generated by the cold water generator; Is installed in the bubble cock lower region, it is achieved by a cold wate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ubble gutter having a bubble drain hose facing outward.
여기서, 상기 냉수생성장치는 상기 저장탱크로부터 물을 전달받아 저장하며, 상기 냉수코크와 냉수공급호스로 연결되고, 상기 버블코크와 냉수 공급 가능하게 연결된 냉수탱크와; 상기 냉수탱크 내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매를 생성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의 냉매를 상기 냉수탱크로 순환시키는 냉각코일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cold water growth value is stored in the water received from the storage tank, and connected to the cold water cock and cold water supply hose, the cold water tank connected to the bubble cock and cold water supply; A compressor for generating a refrigerant for cooling the inside of the cold water tank; It is preferable to have a cooling coil which circulates the refrigerant from the compressor to the cold water tank.
그리고, 상기 냉수탱크로부터의 냉수를 상기 버블코크로 펌핑하는 가압펌프와; 상기 냉수탱크와 상기 가압펌프 및 상기 버블코크 간을 연결하는 순환호스와; 상기 버블코크와 상기 냉수탱크 간을 연결하는 순환호스 상에 마련되어 상기 버블코크의 조작시 폐쇄되는 한편, 상기 버블코크의 무조작시 개방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And, the pressure pump for pumping cold water from the cold water tank to the bubble coke; A circulation hose connecting the cold water tank to the pressure pump and the bubble cock; It is effective to further include a check valve provided on the circulation hose connecting between the bubble cock and the cold water tank is clos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bubble coke, and open when the bubble coke is not operated.
또는, 상기 저장탱크는 상기 냉수코크와 냉수공급호스로 연결되고, 상기 버블코크와 냉수 공급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냉수생성장치는 상기 저장탱크 내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매를 생성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의 냉매를 상기 저장탱크로 순환시키는 냉각코일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Or, the storage tank is connected to the cold water cock and cold water supply hose, the bubble cock and cold water supply is connected; Preferably, the cold water growth value has a compressor that generates a refrigerant for cooling the inside of the storage tank, and a cooling coil that circulates the refrigerant from the compressor to the storage tank.
그리고, 상기 저장탱크로부터의 냉수를 상기 버블코크로 펌핑하는 가압펌프와; 상기 저장탱크와 상기 가압펌프 및 상기 버블코크 간을 연결하는 순환호스와; 상기 버블코크와 상기 저장탱크 간을 연결하는 순환호스 상에 마련되어 상기 버블코크의 조작시 폐쇄되는 한편, 상기 버블코크의 무조작시 개방되는 체크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And, the pressure pump for pumping cold water from the storage tank to the bubble coke; A circulation hose connecting the storage tank to the pressure pump and the bubble cock; It is more effective to further include a check valve provided on the circulation hose connecting between the bubble cock and the storage tank is clos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bubble cock, the check valve is opened when no operation of the bubble cock.
또한, 상기 버블코크는 상기 버블물받이에 설치되며, 버블물받이는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bubble cock is installed in the bubble gutter, it is preferable that the bubble gutter is detachably coupled to at least one side of the main body.
이에 의해, 컵 등의 용기를 사용하여 냉온수를 음용할 뿐만 아니라, 컵 등의 용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냉수를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고, 물받이를 간편하고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냉온정수기가 제공된다.As a result, not only the hot and cold water is consumed using a container such as a cup, but a cold and hot water purifier can be used to drink cold water easily without using a container such as a cup, and the drip tray can be easily and hygienically manag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정수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버블공급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냉온정수기의 정수처리 구성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온정수기(1)는 장치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 내에 수용되어 외부의 물공급원으로부터 전달되는 물을 정수하는 필터부(20)와, 필터부(20)에서 정수된 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30)와, 저장탱크(30)에 저장된 물을 냉각하는 냉수생성장치(40)와, 저장탱크(30)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온수생성장치(50)와, 냉수생성장치(40)와 온수생성장치(50)에서 생성된 냉수 및 온수를 컵 등의 용기를 이용하여 받을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냉온수공급부(60)와, 냉수생성장치(40)에서 생성된 냉수를 컵 등의 용기를 이용하지 않고 마실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버블공급부(70)를 포함하고 있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ld /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ubble supply unit, and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water treatment of the cold / hot water purifier of FIGS. 1 and 2. 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cold /
본체(10)는 적어도 일측에 개폐커버에 의해 개폐 가능하며, 그 내부에는 저장탱크(30)를 비롯한 필터부(20)와 냉수생성장치(40) 및 온수생성장치(50) 등의 구 성부품들이 수용되는 장치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10)의 정면에는 후술할 냉온수공급부(60)의 냉수코크(61)와 온수코크(65) 및 냉온수물받이(6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10)의 적어도 일측에는 후술할 버블공급부(70)의 버블물받이(78)가 설치되는 버블결합부(11)가 형성되어 있다. The
필터부(20)는 일반적인 냉온정수기와 마찬가지로 물공급원으로부터 공급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물을 단계적으로 정수하는 침전필터(21)와 카본필터(23) 및 메인필터(25)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메인필터(25)는 정수방식에 따라 역삼투압(R/O)필터나 중공사막(U/F)필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카본필터(23)는 메인필터(25)의 전후에 배치되는 전카본필터(23a)와 후카본필터(23b)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메인필터(25)에는 걸러진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해서 외부를 향하는 필터드레인호스(27)가 밸브에 의해 유로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 필터부(20)에서 정수된 물은 호스를 통해 본체(10) 내에 설치된 저장탱크(30)로 공급된다. The
저장탱크(30)는 본체(10)의 내측 상부영역에 설치되어 필터부(20)에서 정수된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받아 저장하며, 저장된 물은 온수생성장치(50)와 냉수생성장치(40)에 의해 온수 또는 냉수로 생성되어 냉온수공급부(60)로 공급된다. 또한, 저장탱크(30)에 저장된 물은 냉수생성장치(40)에 의해 냉수로 생성되어 버블공급부(70)로 공급된다. The
한편, 냉수생성장치(40)는 저장탱크(30)로부터 물을 전달받아 냉수용으로 저장하는 냉수탱크(41)와, 냉수탱크(41) 내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매를 생성하는 압축기(45)와, 압축기(45)로부터의 냉매에 대해 냉수탱크(41)에 저장된 물이 열교환되어 냉각되도록 압축기(45)와 냉수탱크(41)간을 순환하도록 설치된 냉각코일(47)을 포함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ld
여기서, 냉각코일(47)은 냉수탱크(41)의 외측면에 접하면서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으며, 냉수탱크(41) 내부에 수용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냉수탱크(41)의 둘레면은 단열재에 의해 단열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그리고, 냉수탱크(41)에는 내부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드레인 시킬 수 있도록 냉수탱크드레인호스(43)가 밸브에 의해 유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ld water
이 냉수탱크(41)에서 냉각된 냉수는 냉수탱크(41)와 냉수공급호스(63)로 연결된 후술할 냉온수공급부(60)의 냉수코크(61)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되며, 또한, 냉수탱크(41)에서 냉각된 냉수는 후술할 버블코크(71)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The cold water cooled in the cold water tank 41 is supplied to the user through the
한편, 냉수생성장치(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냉수탱크(41)를 구비하지 않고 저장탱크(30)의 내부를 냉각시키는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저장탱크(30) 내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매를 생성하는 압축기(45)와, 압축기(45)로부터의 냉매에 대해 저장탱크(30)에 저장된 물이 열교환되어 냉각되도록 압축기(45)와 저장탱크(30)간을 순환하도록 설치된 냉각코일(47)에 의해 구현될 수 있 다. On the other hand, the cold
물론, 냉각코일(47)은 저장탱크(30)의 외측면에 접하면서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으며, 저장탱크(30) 내부에 수용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저장탱크(30)의 둘레면은 단열재에 의해 단열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f course, the
그리고, 저장탱크(30)에서 냉각된 냉수는 냉수공급호스(63)로 연결된 후술할 냉온수공급부(60)의 냉수코크(61)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되고, 또한, 저장탱크(30)에서 냉각된 냉수는 후술할 버블코크(71)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And, the cold water cooled in the
한편, 온수생성장치(50)는 저장탱크(30)로부터 물을 전달받아 온수용으로 저장하는 온수탱크(51)와, 온수탱크(51) 내부를 가열하는 히팅수단(미도시)을 포함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hot
여기서, 히팅수단(미도시)은 온수탱크(51) 내부에 설치되어 전원공급에 의해 발열하는 히터코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온수탱크(51)의 둘레면은 단열재에 의해 단열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heating means (not shown) may be provided as a heater coil installed inside the
그리고, 온수탱크(51)에는 내부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드레인 시킬 수 있도록 온수탱크드레인호스(53)가 밸브에 의해 유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Further, the hot water
이 온수탱크(51)에서 가열된 온수는 온수탱크(51)와 온수공급호스(67)로 연결된 후술할 냉온수공급부(60)의 온수코크(65)를 통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The hot water heated in the
한편, 냉온수공급부(60)는 사용자에게 냉수와 온수를 공급하는 냉수코크(61) 및 온수코크(65)와, 냉수코크(61)와 온수코크(65)에서 배출되면서 버려지거나 사용자에 의해 버려진 냉온수를 수령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냉온수물받이(68)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ld and hot
냉수코크(61)와 온수코크(65)는 본체(10)의 정면 적절한 높이에 설치됨과 동시에, 냉수코크(61)는 냉수탱크(41)로부터 연장된 냉수공급호스(63)와 연결되고, 온수코크(65)는 온수탱크(51)로부터 연장된 온수공급호스(67)와 연결되어 있다. The
이들 냉수코크(61)와 온수코크(65)는 저장탱크(30)와 온수탱크(51) 및 냉수탱크(41)의 하부 영역에 설치됨으로써, 냉온수가 자중에 의해 하향 낙하하는 형태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컵 등의 용기를 이용하여 냉온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The
그리고, 냉온수물받이(68)는 냉수코크(61)와 온수코크(65) 하부에 설치되어 버려진 물을 수령한다. 이 냉온수물받이(68)에는 버려진 물이 외부로 드레인될 수 있도록 외부로 연장된 냉온수드레인호스(69)가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ld and hot
한편, 버블공급부(70)는 본체(10)의 적어도 일측에 마련되는 버블코크(71)와, 냉수탱크(41) 또는 저장탱크(30)로부터의 냉수를 버블코크(71)로 펌핑하는 가압펌프(73)와, 냉수탱크(41) 또는 저장탱크(30)와 가압펌프(73) 및 버블코크(71) 간을 연결하는 순환호스(75)와, 버블코크(71) 하부에 마련되어 버려지는 물을 수령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버블물받이(78)를 가지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여기서, 버블코크(71)는 버블물받이(78)에 설치된 상태에서 가압펌프(73)로와 냉수탱크(41) 또는 저장탱크(30)의 순환호스(75)와 연결된다. 이때, 버블물받이(78)에는 본체(10)의 적어도 일측에 형성된 버블결합부(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본체결합부(7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버블물받이(78)에는 버려진 물이 외부로 드레인될 수 있도록 외부로 연장된 버블드레인호스(78a)가 연결되어 있다.Here, the
그리고, 순환호스(75)는 냉수탱크(41) 또는 저장탱크(30)로부터 가압펌프(73) 간을 연결하며, 또한, 가압펌프(73)로부터 버블코크(71)를 연결하고, 버블코크(71)와 냉수탱크(41) 또는 저장탱크(30)를 연결한다. In addition, the
이때, 버블코크(71)와 냉수탱크(41) 또는 저장탱크(30) 간을 연결하는 순환호스(75) 상에는 체크밸브(77)가 설치되어 있다. 이 체크벨브는 버블코크(71)의 조작시 순환호스(75)의 압력저하에 의해 폐쇄되며, 버블코크(71)의 무조작시 압력 상승에 의해 개방되어 냉수탱크(41) 또는 저장탱크(30)로부터의 냉수가 순환호스(75)를 통해 다시 냉수탱크(41) 또는 저장탱크(30)로 순환되도록 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버블코크(71)를 조작하면 냉수가 가압펌프(73)에 의해 펌핑되는 압력에 의해 버블코크(71)로 토출됨으로써, 사용자는 컵 등의 용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냉수를 음용할 수 있다. At this time, a check valve 77 is provided on the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냉온정수기(1)는 사용자가 컵 등의 용기를 이용하여 냉온수를 음용하고자 할 때는, 내수코크와 온수코크(65)를 선택적으로 조작하여 냉수 또는 온수를 용기에 받아 음용하게 되며, 사용자가 컵 등의 용기를 이용하지 않고 냉수를 음용하고자 할 때는, 버블코크(71)를 조작하여 냉수를 음용하게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원하는 형태로 간편하게 냉수를 음용할 수 있다. Cold and
한편, 냉온수물받이(68)나 버블물받이(78)로 버려지는 물은 냉온수드레인호스(69)와 버블드레인호를 통해 바로바로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사용자가 일일이 각 물받이를 비우거나 청소할 필요가 없고, 버려지는 물이 고이지 않기 때문에, 물이 부패되거나 하지 않아 냉온정수기(1)를 매우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water discarded in the cold or hot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온정수기는 컵 등의 용기를 사용하여 냉온수를 음용할 뿐만 아니라, 컵 등의 용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냉수를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고, 물받이를 간편하고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ld /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only drink cold / hot water using a container such as a cup, but also drink cold water without using a container such as a cup, and can easily and hygienically manage the drip tray.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온정수기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ld / hot wate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버블공급부의 분해사시도,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ubble supply unit,
도 3은 도 1 및 도 2의 냉온정수기의 정수처리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water treatment of the cold / hot water purifier of FIGS. 1 and 2;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 및 도 2의 냉온정수기의 정수처리 구성도.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of the water treatment of the cold and hot water purifier of Figures 1 and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본체 20 : 필터부10: main body 20: filter unit
30 : 저장탱크 40 : 냉수생성장치30: storage tank 40: cold water generating device
41 : 냉수탱크 50 : 온수생성장치41: cold water tank 50: hot water generator
51 : 온수탱크 61 : 냉수코크51: hot water tank 61: cold water coke
65 : 온수코크 68 : 냉온수물받이65: hot water coke 68: cold and hot water drip tray
70 : 버블공급부 71 : 버블코크70: bubble supply 71: bubble cock
73 : 가압펌프 78 : 버블물받이73: pressurized pump 78: bubble drip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03433A KR20090077460A (en) | 2008-01-11 | 2008-01-11 | Cold and hot water purifi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03433A KR20090077460A (en) | 2008-01-11 | 2008-01-11 | Cold and hot water purifi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77460A true KR20090077460A (en) | 2009-07-15 |
Family
ID=41335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03433A KR20090077460A (en) | 2008-01-11 | 2008-01-11 | Cold and hot water purifi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90077460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26839A (en) * | 2009-09-08 | 2011-03-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water purifier |
KR101499321B1 (en) * | 2013-05-13 | 2015-03-06 | 이진웅 | Cool/Hot Water purifier with coffee maker |
WO2018066801A1 (en) * | 2016-10-04 | 2018-04-12 | (주)현대 와코텍 | Movable public water fountain |
-
2008
- 2008-01-11 KR KR1020080003433A patent/KR20090077460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26839A (en) * | 2009-09-08 | 2011-03-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water purifier |
KR101499321B1 (en) * | 2013-05-13 | 2015-03-06 | 이진웅 | Cool/Hot Water purifier with coffee maker |
WO2018066801A1 (en) * | 2016-10-04 | 2018-04-12 | (주)현대 와코텍 | Movable public water fountai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476096B2 (en) | Water supply apparatus and water cooling and water purification method used therefor | |
KR101629326B1 (en) |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of the same | |
CN109757991B (en) | Water dispenser | |
JPH1094708A (en) | Waste water receiver for water distributor | |
KR100993891B1 (en) | Purifier | |
KR101559634B1 (en) | Method for sterilizing cold and hot water purifier | |
KR101164722B1 (en) | Water purifier and sterilizing and cleaning method of the water purifier | |
KR20170142434A (en) | Water purifier | |
KR20090077460A (en) | Cold and hot water purifier | |
CN109757990B (en) | Water dispenser | |
KR101556176B1 (en) | drinking water supply device and a control method of the same | |
KR100937954B1 (en) | A large capacity water purifier for a group water drinker | |
KR101617922B1 (en) | Warm water supply and sterilization device of clean water tub for supply device of water | |
KR100622574B1 (en) | Heat-cooled drinking fountain and its use | |
CN215937075U (en) | Intelligent regulation water dispenser | |
JP2009255972A (en) | Drinking water server | |
KR20110139591A (en) | Cold and hot water purifier | |
KR200449784Y1 (en) | Heat-cooled drinking fountain | |
KR101012229B1 (en) | Hot water cooling device of drinking water supply | |
KR20180065733A (en) | Water furifier | |
CN109757980B (en) | Water dispenser | |
KR0161072B1 (en) | Bucket sterilizer of cold and hot water purifier | |
CN109757989B (en) | Water dispenser | |
CN109757978B (en) | Water dispenser | |
KR200409982Y1 (en) | Hot and cold water heater with silver nano fil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3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910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032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091119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10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09101010584 Request date: 20091119 |
|
J501 |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 ||
PJ0501 |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91119 Appeal identifier: 2009101010584 |
|
J501 |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 ||
PJ0501 |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091119 Appeal identifier: 200910101058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