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10507B1 - 파형강관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파형강관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0507B1
KR101810507B1 KR1020160159980A KR20160159980A KR101810507B1 KR 101810507 B1 KR101810507 B1 KR 101810507B1 KR 1020160159980 A KR1020160159980 A KR 1020160159980A KR 20160159980 A KR20160159980 A KR 20160159980A KR 101810507 B1 KR101810507 B1 KR 101810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corrugated steel
flange
layer
coupl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9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유장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주) 영일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영일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 영일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60159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05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50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on or detail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16L13/00 - F16L23/00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composition of the fl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 F16L23/08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connection by tangentially arranged pin and n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관 시공 현장에서 파형강관을 연결하기 위해 파형강관의 접합부에 결합되는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즉, 시공현장에서 파형강관(100)을 연결할 때 용이하도록 시공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연결부의 밀폐(sealing)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시공시 약간의 곡률이 필요한 장소, 시공 바닥면이 불균일한 장소, 시공 후 발생하는 부등침하 등에 의한 불균형적 상황에서도 유연하게 적용 가능하여 시공된 관 전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파형강관 연결장치 {omitted}
본 발명은 배수관 시공 현장에서 파형강관을 연결하기 위해 파형강관의 접합부에 결합되는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파형강관(CSP-Corrugated Steel Pipe)은 용융아연도금(KS D 3506) 강판 등의 재료를 파형, 성형하여 강성을 높인 다음 나선형으로 조관을 한 것으로, 구조적 안정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 부식에 강하고 타재질의 관에 비해 수명이 길다.
특히 기존의 콘크리트 배수관에 비해 인력 및 설치 비용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이기 때문에 전국의 산업단지 조성, 골프장, 도로 및 택지 개발 건설공사는 물론 우수저류조 등 광범위한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어 콘크리트 배수관의 대체자재로 그 사용 범위를 확대해 가고 있다.
이러한 파형강관은 도 12와 같이 "C"형상의 커플링밴드에 의해 접합되거나, 플랜지가 형성된 커플러 두 개를 결합하여 마주한 플랜지를 볼트로 체결하는 방식으로 연결된다.
전자인 커플링밴드에 의한 방법은 무겁고 큰 강관을 사람이 들어 커플링에 삽입하는 과정이 쉽지 않아 시공성이 떨어지는 반면, 후자의 볼트체결방식은 시공성은 이에 비해 비교적 좋으나 접합부의 실링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
한편 강관연결시 굴곡을 주기 위해서는 도 13과 같은 커플링밴드에 의한 방법은 'ㄱ'자 엘보(90도), 'Y'자 엘보(60도) 등의 조인트부재를 사용하는데, 10~30도 등의 미세한 각도로 나온 엘보는 쉽게 구하기 힘들며, 다양한 시공현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모든각도의 엘보를 다 구비하고 있어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도 10의 좌측과 같은 굽이진 장소에 시공할 때에는 직진으로 진행하다가 60도로 꺾을 수 있는 지점에서 60도 엘보를 장착하여 다시 직진 진행하는 형태로 시공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지하에 매설되는 파형강관의 시공 후 예기치 못한 지반의 부등 침하가 발생할 경우(예를 들면 지하수위의 변화로 인한 지지력 불균일로 부등침하, 토양의 공극 변화로 지지력 약화에 따른 침하, 지진 진동으로 인한 부등침하로 관 접합부분에 항복 전단력이 발생하여 누수되는 경우 등) 정하중(자중, 상부 토압)이 다짐현상으로 관접합부의 간극 발생하고, 관접합 부위에 전단력, 인장, 압축력으로 관의 변형과 공간이 생겨 관내 유체가 누수되어 배수 기능의 저하와 내구연한이 줄어드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구배가 있는 관에서 부등침하가 발생하면, 침하가 된 곳 또는 깊은 곳에는 항상 빗물이 고인다. 만곡시 유량의 증가로 인한 균일한 유속이 형성되지 않아 침하된 관 주변에서 부압이 발생되고 그 부압은 관의 형상에 변형을 가져온다.
등록특허 제10-1544998호 (2015.08.10.)
본 발명에서는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즉, 시공현장에서 파형강관(100)을 연결할 때 용이하도록 시공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연결부의 밀폐(sealing)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파형강관 연결장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시공시 약간의 곡률이 필요한 장소, 시공 바닥면이 불균일한 장소, 시공 후 발생하는 부등침하 등에 의한 불균형적 상황에서도 유연하게 적용 가능한 연결장치의 구조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1,2파형강관(100a,100b)을 이어 길이를 연장하기 위해 각 파형강관(100a,100b)의 단부에 장착되며 대응되는 구조로서 마주하여 결합되는 탄성 있는 재질의 제1,2커플러(200a,200b); 반원으로 형성되는 두 개의 밴드가 제1,2커플러(200a,200b)가 맞닿는 부분을 감싸 조임으로써 두 커플러를 결합시킴과 동시에 파형강관의 연결부를 밀폐시키는 제1,2밴드(300a,300b);를 포함하고, 상기 제1,2커플러(200a,200b)는 커플러의 내측면에 내면나사홈(231)이 형성되어 외면나사선(110)이 형성된 파형강관(100)이 나사결합되는 강관결합부(230), 파형강관(100)의 단부에 결합되어 소정 길이 연장되며 단부에 플랜지(211)가 형성되어 마주하는 커플러의 플랜지와 밴드(300a,300b)에 의해 결합되는 연결부(210), 커플러를 구성하는 적층소재 중 인장력형성부재가 형성되는 인장보강층(240)을 포함하며, 상기 커플러는 고무를 포함하는 소재가 커플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으로 적층되어 형성될 때, 안쪽에서부터 제1고무층(201), 제2고무층(202), 제3고무층(203)으로 형성되고, 상기 인장보강층(240)은 제1고무층(201)에 인장력 보강용 실(40)이 사선방향으로 다수회 감겨 형성되는 제1층(241), 인장력 보강용 실(40)이 제1층(241)의 사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수회 감겨 형성되는 제2층(242)으로 구성되되, 제1층(241)과 제2층(242) 사이에 고무층(202)이 형성되며, 상기 제1,2밴드(300a,300b)는 제1,2커플러(200a,200b)가 결합될 때 맞닿는 플랜지를 감싸도록 단면이 'ㄷ'자로 형성되며, 각 밴드(300a,300b)의 양 단부에 체결수단이 구비된 결합부(320)가 형성되어, 맞닿은 플랜지(211a,211b)의 일부를 제1밴드(300a)에 안착시키고 플랜지(211a,211b)의 나머지 부분을 제2밴드(300b)로 덮을 때 마주하는 제1밴드(300a)의 단부와 제2밴드(300b)의 결합부(320a,320b)를 체결하여 플랜지(211a,211b)를 결합 및 밀폐시키며, 상기 플랜지(211a,211b)는 플랜지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다른 플랜지와 맞닿는 면의 반대측 면이 경사진 테이퍼부(212a,212b)로 형성되되, 상기 테이퍼부(212a,212b)에는 소정 두께를 갖는 합성수지 소재의 밀폐시트(213a,213b)가 커플러(200a,200b)의 외주면을 따라 부착되고, 상기 제1,2밴드(300a,300b)의 'ㄷ'자 단면의 중앙 내측면에는 밀폐가스켓(330a,330b)이 부착되며, 맞닿은 플랜지(211a,211b)와 밀폐시트(213a,213b)를 포함한 상단 가로폭을 L1, 맞닿은 플랜지(211a,211b)와 밀폐시트(213a,213b)를 포함한 하단 가로폭을 L2, 제1밴드(300a)의 함몰부 폭을 G라고 할 때, L1 < G < L2 의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2커플러(200a,200b)는 연결부(210)와 강관결합부(230)의 사이에서 강관결합부(230) 및 연결부(210)보다 더 큰 직경으로 돌출된 아치조인트(2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아치조인트(220)는 커플러(200)의 원형을 유지하도록 복원력 있는 재질의 링으로 형성된 함몰방지링(2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밴드(300a,300b)는 결합부(320)의 개방시 개방 간격을 확장시키기 위해 밴드(300)의 일측에 형성되는 힌지(310)를 더 포함 파형강관 연결장치를 제시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즉, 시공현장에서 파형강관(100)을 연결할 때 용이하도록 시공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연결부의 밀폐(sealing)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시공시 약간의 곡률이 필요한 장소, 시공 바닥면이 불균일한 장소, 시공 후 발생하는 부등침하 등에 의한 불균형적 상황에서도 유연하게 적용 가능하여 시공된 관 전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커플러의 구조 및 이에 의해 파형강관이 결합되는 과정에 대한 도면.
도 2는 커플러의 측단면도.
도 3은 커플러가 결합된 파형강관을 밴드에 의해 밀착시키기 직전 상태에 대한 측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밴드에 의해 밀착시킨 이후 상태에 대한 측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커플러의 연결부와 밴드가 결합된 부분의 확대도.
도 6은 커플러가 결합된 파형강관을 힌지가 형성된 밴드에 의해 밀착시키기 직전 상태에 대한 정면도.
도 7은 도 6에서 밴드에 의해 밀착시킨 이후 상태에 대한 정면도.
도 8은 아치조인트에 의해 커플러가 유동적으로 적용되는 형태에 대한 도면.
도 9는 커플러에 인장보강층이 형성되는 과정에 대한 도면.
도 10은 조인트부재(엘보)에 의해 시공된 형태의 간략도(좌) 및 아치조인트를 구비한 본 발명의 연결장치에 의해 시공된 형태의 간략도(우).
도 11은 파형강관 시공 현장의 실제 사진.
도 12는 종래의 'C'형 커플링밴드를 이용한 파형강관 접합 방법.
도 13은 도 10의 좌측도면에 적용가능한 조인트부재(엘보).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파악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는 공지기술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설명 중 "상", "하" 등의 방향 한정은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된 도면의 형태를 기준으로 지시하는 것일 뿐, 기준선을 달리하면 방향도 달리 지시될 것임을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커플러(200a)와 제2커플러(200b)가 대응되고, 제1밴드(300a)와 제2밴드(300b)가 대응되는 구조로서, 도면 부호에 'a', 'b'가 기입되지 않은 구성요소는 'a', 'b'가 기입된 구성요소를 통칭하는 것임을 전제로 한다. 즉, 커플러(200) 또는 밴드(300) 또는 그 세부 구성요소(210, 220, ... 등)는 'a', 'b'가 기입된 제1커플러(200a)와 제2커플러(200b) 또는 제1밴드(300a)와 제2밴드(300b) 또는 그 세부 구성요소(210a/210b, 220a/220b, ... 등)를 의미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파형강관 연결장치는 도 3과 같이 두 개의 커플러(200a,200b)와 두 개의 밴드(300a,300b)로 구성된다.
제1커플러(200a) 및 제2커플러(200b)는 대응되는 구조로서 도 1과 같이 각 파형강관(100a,100b)의 단부에 장착되며 두 커플러가 마주하여 결합됨으로써 제1,2파형강관(100a,100b)을 이어 길이를 연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각 커플러(200a,200b)는 동일한 구조이므로 이하 부호에서는 'a', 'b'를 생략하고 설명한다.
상기 커플러(200)는 탄성 있는 재질로서 고무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도 2와 같이 연결부(210), 아치조인트(220), 강관결합부(230)로 구성되며, 내부에 인장보강층(24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커플러(200)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커플러(200)를 기준으로 일측이 연결부(210), 타측이 강관결합부(230)으로 나뉜다.
강관결합부(230)는 커플러의 내측면에 내면나사홈(231)이 형성되어 외면나사선(110)이 형성된 파형강관(100)이 나사결합되는 부분이다.
연결부(210)는 파형강관(100)의 단부에 결합되어 소정 길이 연장되며 단부에 플랜지(211)가 형성되어 마주하는 커플러의 플랜지와 밴드(300a,300b)에 의해 결합된다. 아치조인트(220)가 없는 경우에는 강관결합부(230)에서 연결부(210)가 일직선으로 연장될 것이나, 아치조인트(220)이 있는 경우에는 아치조인트(220)를 기준으로 파형강관(100)이 결합되지 않은 부분을 연결부(210)로 구분한다.
플랜지(211)는 단부(도 2 기준, 윗방향)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됨으로써, 다른 플랜지와 맞닿는 면의 반대측 면(도 2 기준, 좌측면)이 경사진 테이퍼부(212)로 형성된다. 즉, 도 5를 기준으로 맞닿은 플랜지(211a,211b)가 이루는 단면은 윗변이 짧은 사다리꼴 형태이다. 이는 밴드(30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조이다. 상세하게는 도 3과 같이 플랜지(211a,211b)의 상단 가로폭(도 3 기준)이 좁게 형성되어 제1밴드(300a)의 'ㄷ'자 함몰부의 입구에서 플랜지(211a,211b)의 삽입이 용이해진다. 그리고 삽입할수록(도 3 기준 제1밴드(300a)가 하방으로 내려오며 결합 될수록) 플랜지(211a,211b)의 가로폭이 넓어져 자연스럽게 플랜지(211a,211b)가 압착되는 것이다.
이러한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해 도 5와 같이, 맞닿은 플랜지(211a,211b)의 상단 가로폭이 L1, 하단 가로폭이 L2, 제1밴드(300a)의 함몰부 폭이 G라고 할 때, L1<G<L2의 관계를 갖도록 설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이퍼부(212)에는 밀폐시트(213)가 부착되는데, 소정 두께를 갖는 합성수지 소재의 가스켓을 커플러(200)의 외주면을 따라 테이퍼부(212)에 부착한다. 이는 밴드(300)가 플랜지(211)에 결합될 때 결합되는 면을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L1, L2는 밀폐시트(213)의 두께를 포함한 간격에 해당된다.
아치조인트(220)는 연결부(210)와 강관결합부(230)의 사이에서 강관결합부(230) 및 연결부(210)보다 더 큰 직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커플러(200)와 동축이되 커플러(20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원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커플러(200)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것이다. 이는 파형강관의 연결장치의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아치조인트(220)가 커플러(200)의 중앙부에 구비됨으로써, 파형강관(100)의 접합부가 다양한 환경요인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되어, 부등침하 등의 문제현상이 발생하여도 파형강관(100)이 불균일하게 받는 압력을 줄일 수 있고, 도 10과 같이 원만한 곡률로 형성된 시공장소에서도 30도, 45도, 60도 등으로 각도가 정해진 별도의 조인트 부재(엘보) 필요 없이 곡선따라 밀착하여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커플러(200)에 길이방향으로 압축력이 작용하는 경우(A), 인장력이 작용하는 경우(B), 지형 단차가 발생하여 커플러(200)와 파형강관(100)의 높이가 달라지는 경우(C), 커플러(200)와 파형강관(100)에 다른 방향으로 회전력이 작용하는 경우(D) 모두 아치조인트(220)의 변형에 의해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치조인트(220)는 커플러(200)의 원형을 유지하도록 복원력 있는 재질의 링으로 형성된 함몰방지링(2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와 같이 아치조인트(220)의 돌출부 내부에 함몰방지링(221)이 형성되며, 이를 도 7과 같은 방향에서 보면 아치조인트(220)의 최외곽 원주를 이루는 링의 형태일 것이다. 스텐레스와 같은 잘 위어지지 않는 금속재질의 강선으로서 지반의 압력에도 함몰되지 않도록 커플러(200)의 형태(구체적으로는 아치조인트(220)의 원형)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인장보강층(240)은 커플러를 구성하는 적층소재 중 인장력형성부재가 형성되는 층이다. 커플러(200)는 고무를 주 원료로 하는 소재가 커플러(20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전제로 할 때, 도 9와 같이 안쪽에서부터 제1고무층(201), 인장보강 제1층(241), 제2고무층(202), 제2층(242), 제3고무층(203)과 같은 순서로 형성된다(도 9에서는 연결부(210), 아치조인트(220) 및 강관결합부(230)를 표현하지 않고 단순화하였음). 인장력형성부재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재질이 바람직하다.
이 때, 제1층(241)은 폴리에스테르 재질의 인장력 보강용 실(40)이 사선방향으로 다수회 감겨 형성되는데, 제2층(242)은 인장력 보강용 실(40)이 제1층(241)의 사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수회 감겨 형성된다.
이는 제1층(241)과 제2층(242)가 사이에 제2고무층(202) 없이 겹쳐 형성될 때, 즉 메쉬(mesh)형태를 이룰 때(제1고무층(201)-인장보강층-제3고무층(203)), 제1고무층(201)과 제3고무층(203)사이 접착력이 떨어짐으로 인한 박리현상이 일어날 수 있어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한방향으로만 감기는 각 층 사이 고무층(202)을 두어 전체 커플러(200)를 구성하는 적층 소재 사이 결합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다만, 한방향으로만 감김에 따라 버티는 인장력이 편향될 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감기는 제1층(241)과 제2층(242)을 두어, 인장력 효과는 메쉬구조와 동일하면서도, 적층 소재 사이 결합력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1밴드(300a) 및 제2밴드(300b)는 각각 반원으로 형성되며, 제1,2커플러(200a,200b)가 맞닿는 부분을 두 밴드(300a,300b)로 감싸 조임으로써 두 커플러를 결합시킴과 동시에 파형강관의 연결부를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밴드(300)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커플러(200a,200b)가 결합될 때 맞닿는 플랜지(211a,211b)를 감싸도록 단면이 'ㄷ'자로 형성된다. 따라서 'ㄷ'자의 중앙 홈에 맞닿은 플랜지(211a,211b)가 삽입된다. 'ㄷ'자 단면의 중앙 내측면에는 밀폐가스켓(330)이 부착되어, 밴드(300)가 플랜지(211)에 결합될 때 플랜지(211a,211b)가 맞닿는 부분을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각 밴드(300a,300b)의 양 단부에 체결수단이 구비된 결합부(320)가 형성되어, 맞닿은 플랜지(211a,211b)의 일부를 제1밴드(300a)에 안착시키고 플랜지(211a,211b)의 나머지 부분을 제2밴드(300b)로 덮을 때 마주하는 제1밴드(300a)의 단부와 제2밴드(300b)의 결합부(320a,320b)를 체결하여 플랜지(211a,211b)를 결합 및 밀폐시키게 된다. 체결수단은 도 6 및 도 7과 같이 밴드(300)의 단부에 리브가 형성되고 이를 볼트에 의해 체결하는 방식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러한 구조는 도 11과 같은 시공현장에서 무거운 관을 들어 연결장치에 삽입한 후 조이던 종래 방식과 달리, 관을 살짝 띄운 채 제1밴드(300a)를 삽입한 뒤 관을 놓고 제2밴드(300b)를 덮는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수고를 많이 덜 수 있다.
한편 밴드(300)는 힌지(31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결합부(320)의 개방시 개방 간격을 확장시키기 위해 밴드(300)의 일측에 형성되는 부분이며, 바람직하게는 밴드(300)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힌지(310)가 없는 반원의 밴드(300a,300b)를 마주 결합할 수도 있으나, 직경이 큰 파형강관(100)을 연결할 때에는 삽입이 잘 안될 수 있으므로, 힌지(310)에 의해 개방 간격을 확장시키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파형강관
110 : 외면나사선
200 : 커플러
210 : 연결부
211 : 플랜지
212 : 테이퍼부
213 : 밀폐시트
220 : 아치조인트
221 : 함몰방지링
230 : 강관결합부
231 : 내면나사홈
240 : 인장보강층
241 : 제1층
242 : 제2층
300 : 밴드
310 : 힌지
320 : 결합부
330 : 밀폐가스켓
40 : 인장력보강용실

Claims (3)

  1. 제1,2파형강관(100a,100b)을 이어 길이를 연장하기 위해 각 파형강관(100a,100b)의 단부에 장착되며 대응되는 구조로서 마주하여 결합되는 탄성 있는 재질의 제1,2커플러(200a,200b);
    반원으로 형성되는 두 개의 밴드가 제1,2커플러(200a,200b)가 맞닿는 부분을 감싸 조임으로써 두 커플러를 결합시킴과 동시에 파형강관의 연결부를 밀폐시키는 제1,2밴드(300a,300b);를 포함하고,

    상기 제1,2커플러(200a,200b)는
    커플러의 내측면에 내면나사홈(231)이 형성되어 외면나사선(110)이 형성된 파형강관(100)이 나사결합되는 강관결합부(230),
    파형강관(100)의 단부에 결합되어 소정 길이 연장되며 단부에 플랜지(211)가 형성되어 마주하는 커플러의 플랜지와 밴드(300a,300b)에 의해 결합되는 연결부(210),
    커플러를 구성하는 적층소재 중 인장력형성부재가 형성되는 인장보강층(240)을 포함하며,

    상기 커플러는 고무를 포함하는 소재가 커플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으로 적층되어 형성될 때,
    안쪽에서부터 제1고무층(201), 제2고무층(202), 제3고무층(203)으로 형성되고,

    상기 인장보강층(240)은
    제1고무층(201)에 인장력 보강용 실(40)이 사선방향으로 다수회 감겨 형성되는 제1층(241),
    인장력 보강용 실(40)이 제1층(241)의 사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다수회 감겨 형성되는 제2층(242)으로 구성되되,
    제1층(241)과 제2층(242) 사이에 제2고무층(202)이 형성되며,

    상기 제1,2밴드(300a,300b)는
    제1,2커플러(200a,200b)가 결합될 때 맞닿는 플랜지를 감싸도록 단면이 'ㄷ'자로 형성되며,
    각 밴드(300a,300b)의 양 단부에 체결수단이 구비된 결합부(320)가 형성되어,
    맞닿은 플랜지(211a,211b)의 일부를 제1밴드(300a)에 안착시키고 플랜지(211a,211b)의 나머지 부분을 제2밴드(300b)로 덮을 때 마주하는 제1밴드(300a)의 단부와 제2밴드(300b)의 결합부(320a,320b)를 체결하여 플랜지(211a,211b)를 결합 및 밀폐시키며,

    상기 플랜지(211a,211b)는
    플랜지 단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다른 플랜지와 맞닿는 면의 반대측 면이 경사진 테이퍼부(212a,212b)로 형성되되,
    상기 테이퍼부(212a,212b)에는 소정 두께를 갖는 합성수지 소재의 밀폐시트(213a,213b)가 커플러(200a,200b)의 외주면을 따라 부착되고,
    상기 제1,2밴드(300a,300b)의 'ㄷ'자 단면의 중앙 내측면에는 밀폐가스켓(330a,330b)이 부착되며,

    맞닿은 플랜지(211a,211b)와 밀폐시트(213a,213b)를 포함한 상단 가로폭을 L1,
    맞닿은 플랜지(211a,211b)와 밀폐시트(213a,213b)를 포함한 하단 가로폭을 L2,
    제1밴드(300a)의 함몰부 폭을 G라고 할 때,
    L1 < G < L2 의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관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커플러(200a,200b)는
    연결부(210)와 강관결합부(230)의 사이에서 강관결합부(230) 및 연결부(210)보다 더 큰 직경으로 돌출된 아치조인트(2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아치조인트(220)는
    커플러(200)의 원형을 유지하도록 복원력 있는 재질의 링으로 형성된 함몰방지링(2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관 연결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밴드(300a,300b)는
    결합부(320)의 개방시 개방 간격을 확장시키기 위해 밴드(300)의 일측에 형성되는 힌지(310)를 더 포함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20160159980A 2016-11-29 2016-11-29 파형강관 연결장치 Active KR101810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980A KR101810507B1 (ko) 2016-11-29 2016-11-29 파형강관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9980A KR101810507B1 (ko) 2016-11-29 2016-11-29 파형강관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0507B1 true KR101810507B1 (ko) 2018-01-25

Family

ID=61093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9980A Active KR101810507B1 (ko) 2016-11-29 2016-11-29 파형강관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05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49783A4 (en) * 2021-02-07 2024-04-17 Shanghai Vision Mechanical Joint Co., Ltd. QUICK-INSTALL CONNECT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0760A (ja) * 1999-05-06 2000-11-24 Shinwa Kogyo Kk 免震性とシール性を向上させた管継手
KR200255556Y1 (ko) * 2001-09-01 2001-12-13 이장섭 캡을 구비하는 파형강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0760A (ja) * 1999-05-06 2000-11-24 Shinwa Kogyo Kk 免震性とシール性を向上させた管継手
KR200255556Y1 (ko) * 2001-09-01 2001-12-13 이장섭 캡을 구비하는 파형강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49783A4 (en) * 2021-02-07 2024-04-17 Shanghai Vision Mechanical Joint Co., Ltd. QUICK-INSTALL CONNEC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1049B2 (en) Pipe coupling system and method
US9068673B2 (en) Sump wall penetration fitting
US20040207201A1 (en) Corrugated plastic pipe sections having flanged ends and structurally tight joints thereof
US20130284298A1 (en) Rehabilitating pipe segment and existing pipe rehabilitation method using same
CN212452335U (zh) 一种箱涵密封结构
JPS58501957A (ja) 導管、サイロ又はシェルタのような中空構造物の製造方法
KR101599025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1060752B1 (ko) 나선형 파형관용 이음장치
KR101663691B1 (ko) 파형 강관을 이용한 도로 측구
CA2783431C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upling pipe with angled coupling mechanism
KR101207634B1 (ko) 압력관 연결용 이음관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력관의 시공방법
KR101810507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US6581984B1 (en) Corrugated spiral pipe with a coupling device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same
KR20090027957A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20140040470A (ko) 파형 강관의 연결구조 및 그 연결방법
KR100732475B1 (ko) 관로의 방향변경이 가능한 맨홀의 관 결합구조
JP2008064251A (ja) 管路の補修又は補強構造
US7690691B2 (en) Coupler for joining plastic and concrete pipe
CN212452338U (zh) 一种用于波纹板片对接搭接的伸缩装置
US4703940A (en) Joint sleeve for pipe with contoured inner surface
KR20140026205A (ko) 압력관 이음부의 원터치 3단 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력관의 시공방법
CN210032032U (zh) 管道周向连接结构及管道
KR102581533B1 (ko) 수밀성이 향상된 파형강관 연결구조 및 그 제조 방법
CN212561799U (zh) 管道周向连接结构及管道
KR102664526B1 (ko) 수밀성이 향상된 파형강관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4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8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2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2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