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08140B1 - 표면 보호 필름 - Google Patents

표면 보호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8140B1
KR101808140B1 KR1020127028161A KR20127028161A KR101808140B1 KR 101808140 B1 KR101808140 B1 KR 101808140B1 KR 1020127028161 A KR1020127028161 A KR 1020127028161A KR 20127028161 A KR20127028161 A KR 20127028161A KR 101808140 B1 KR101808140 B1 KR 101808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sin
ethylene
adherend
fil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8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6230A (ko
Inventor
요시야스 아사다
히로시 테라우치
시로 이마이
Original Assignee
도레이 필름 카코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필름 카코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필름 카코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56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6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14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9J1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9J1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ly on one side of the carrier, e.g. sing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4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4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2423/046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ethene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10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propene
    • C09J2423/106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propene in the substra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도의 품질이 요구되는 광학용 필름에 대해서 점착력이 증대하지 않고, 또한 피착체를 오염시키거나 피착체에 오목부나 변형 등의 타흔 결점을 발생시키지 않는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은 점착층과 배면층과 중간층의 3층 적층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점착층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이것들의 혼합물 중 1종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간층은 주로 밀도 0.870∼0.935g/㎤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또는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이것들의 혼합물 중 1종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면층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되어서 이루어지며, 상기 배면층의 표면 조도는 상기 산술 평균 조도(Ra)로서 0.6㎛ 이상, 10점 평균 조도(Rz)로 4㎛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표면 보호 필름{SURFACE PROTECTIVE FILM}
본 발명은 주로 광학용 분야에서 사용되는 편광판이나 위상차판 등의 각종 광학 필름 등의 표면에 일시적으로 부착시켜 사용하는 표면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고, 특히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의 피쉬아이나 권취 주름에 의해 피착체에 오목부나 변형 등의 타흔 결점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또한 피착체 표면을 오염시키지 않는 특징을 갖는 표면 보호 필름에 관한 것이다.
표면 보호 필름은 과혹한 사용 조건에 견딜 수 있는 점착 기능을 유지하면서 표면 보호 기능을 끝냈을 때에는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는 경도의 밀착력인 것이 요구되고, 또한 피착체를 오염시켜서는 안되어 표면 보호 필름의 흔적을 피착체에 남기지 않는 것이 요구된다. 광학용으로 제공하는 경우는 특히 피착체를 오염시키지 않는 것에 더해서 표면 보호 필름 중의 피쉬아이 등의 볼록부 결점이나 권취 주름 등에 의해 피착체에 오목부나 변형 등의 타흔 결점을 발생시키지 않는 것이 엄격하게 요구된다. 이 요구는 최근 점점 엄격해지고 있고, 피착체에 표면 보호 필름이 접합된 후 롤 형상으로 권취되어 권중체(卷重體)서 장기간 보관시킨 경우에 있어서도 권취 조임 등의 영향을 받아 압박이 부하되기 때문인지 극히 미소한 피쉬아이에 의한 볼록부 결점이나 극히 약간의 권취 주름 등에 의한 오목부나 변형 등의 타흔 결점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결점조차 없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표면 보호 필름은 통상 롤 형상으로 제공되지만, 점착층과 배면층 간의 미끄러짐성, 내블록킹성이 뛰어나고(풀림 용이성), 피착체에 접합할 때의 작업성이 안정되어 있으며, 가공성에도 뛰어난 것은 기본적인 요구 사항이다.
상술과 같이 표면 보호 필름은 재료 특성으로서 활성과 불활성인 정반대인 기능을 동시에 만족시킬 필요가 있고, 이들 요구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여러가지 수많은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표면 보호 필름의 고온 가공 등에 있어서의 점착력의 증대를 막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점착층에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제안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특허문헌 1, 2, 3).
또한, 표면 보호 필름의 풀림 용이성을 개선하는 방법으로서 기재층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에 무기입자를 첨가하는 것 등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4).
또한, 보호 필름을 피착체에 접합시킨 상태에서 펀칭이나 스퀴징 가공, 절단이나 연마 가공이 실시되지만 이러한 2차 가공성 개량으로서 여러가지 제안되어 있지만 모두 일장일단의 면이 있어 복수의 교착하고 있는 특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것은 찾아내지 못하고,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복수의 교착하고 있는 특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제안을 행하고 있다(특허문헌 5).
또한, 최근 요구가 점점 높아지고 있는 피쉬아이 등의 볼록부 결점에 의한 피착체에의 오목부 등(타흔)을 해소하도록 기재층에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사용한 제안(특허문헌 6) 또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사용한 제안(특허문헌 7)이 이루어져 있지만, 아직 미소 피쉬아이 등에 의해 피착체에의 타흔 해소에 대해서는 충분하게 만족시키는 레벨까지에는 이르지 않고 있다.
즉, 특허문헌 6에 있어서는 기재층에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을 사용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지만 피쉬아이 그 자체를 완전하게 해소할 수 없고, 매우 평활한 표면을 갖는 위상차판 등에 대해서는 기재층에 비교적 유연한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사용하고 있어도 상기 표면 보호 필름과 피착체를 접합시켜서 롤 형상의 권취물로서 장기간 보관시키거나 하면 상기 표면 보호 필름이 갖는 피쉬아이에 의한 팽창(볼록) 부분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러한 팽창에 의해 피착체에 오목부 결점이 발생하여 아직 완전하게 피착체의 피쉬아이 등에 의한 타흔을 해소하는 것은 곤란했다. 또한, 특허문헌 7에서는 기재층에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사용해서 피쉬아이 자체를 저감시키는 것이 제안되어 있지만, 기재층에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사용했을 경우 피쉬아이 자체의 개수는 저감시킬 수 있어도 기재층이 단단해서 쿠션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반대로 피쉬아이 결점이 존재하면 피착체에의 타흔은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사용했을 경우보다 심해지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의 제안(특허문헌 5)에 의해서도 미소한 피쉬아이 등의 결점이나 권취 주름에 의해 피착체에 오목부나 변형을 발생시키지 않는 것 등의 고도의 요구 품질을 모든 광학용 필름에 대해서 충분하게 만족시키기까지에는 이르지 못했다. 특히, 피착체에 접합시킨 후 롤 형상으로 권취되어 이러한 권중체로서 장기간 보관시킨 경우 등에 미소한 피쉬아이의 볼록부에 의해 피착체에 오목부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일본 특허공개 평 3-47886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 4-55488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 5-239418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소 55-165974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8-30349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평 9-111208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9-143215호 공보
본 발명은 점착층, 중간층 및 배면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구성에 있어서 특히 미소한 피쉬아이 등의 결점이나 권취 주름에 의해 피착체에 오목부나 변형 등을 발생시키지 않는 것 등의 고도한 품질이 요구되는 편광판이나 위상차판 등의 광학용 필름에 대해서 점착력이 증대하지 않고, 또한 피착체를 오염시키거나 피착체에 오목부나 변형 등의 타흔 결점을 발생시키지 않는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표면 보호 필름은 실용에 있어서 다종다양의 사용 조건이나 요구 품질 특성이 있고, 이러한 사용 조건에 있어서 공업적으로 원활하고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요구 품질 특성을 만족시켜서 비로소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점착에 관련되는 기능에 머무르지 않고, 표면 보호 필름의 각종의 가공성이나 취급에 관한 기본적인 성능은 물론이고, 최근 특히 편광판이나 위상차판 등의 광학 필름에서 요구되는 피쉬아이나 필름의 각종 주름 등을 기인으로 피착체에 오목부 등의 타흔이나 오염 등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고,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배경에 비추어서 미끄러짐성이나 블록킹성이나 탄력이 있어 취급하기 쉬움 등의 핸들링성을 비롯해서 기본적인 점착 특성을 만족시킴과 아울러 점착력의 증대도 적고, 또한 최근 엄격하게 요구되는 권중체로서 장기간 보관했을 때에도 피쉬아이 등이나 필름의 권취 주름 등에 의한 피착체에의 오목부나 변형도 발생하기 어려운 표면 보호 필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수단을 채용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점착층과 중간층과 배면층의 3층 적층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점착층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이것들의 혼합물 중 1종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간층은 주로 밀도 0.870∼0.935g/㎤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이것들의 혼합물 중 1종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면층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되어서 이루어지며, 상기 배면층의 표면 조도가 산술 평균 조도(Ra)로서 0.6㎛ 이상, 10점 평균 조도(Rz)로 4㎛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의 배면층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230℃, 하중 2.16㎏/㎠ 하에서의 멜트플로우레이트가 5∼50g/10분의 범위이고, 또한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190℃, 하중 2.16㎏/㎠ 하에서의 멜트플로우레이트가 0.5∼5g/1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점착층과 중간층과 배면층의 3층 적층 형태로 이루어지고, 중간층이 밀도 0.870∼0.935g/㎤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이것들의 혼합물 중 1종과 점착층 구성 수지 및 배면층 구성 수지의 혼합 수지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과제를 해결하여 피착체와의 접합시의 필름 풀림시에는 용이하게 되감을 수 있고, 탄력이 있으며, 피착체와의 접합 가공에 있어서도 취급하기 용이하여 가공성이 뛰어나고, 특히 편광판이나 위상차판 등의 광학 필름에서 요구되는 피쉬아이나 필름의 각종 주름 등을 기인으로 피착체에 오목부나 변형 등의 타흔이나 오염 등이 발생하지 않는 표면 보호 필름을 재현성 좋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 즉 점착력이나 다종다양한 가공 특성, 블록킹성으로 대표되는 핸들링성(표면 특성)을 비롯해, 특히 피쉬아이 등의 볼록부 결점이나 필름의 각종 주름 등을 기인으로 피착체에 오목부나 변형 등의 타흔 결점이나 오염 등이 발생하지 않는 표면 보호 필름에 대해서 예의 검토하여 피쉬아이 등의 팽창에 의한 볼록부의 응력 집중을 완화시키는 특정한 점착층, 중간층, 배면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형태로 함으로써 이러한 과제를 일거에 해결하는 것을 구명한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의 점착층의 요건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점착층은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이것들의 혼합물 중 1종으로 이루어진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란 소위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을 가리키고, 코모노머인 α-올레핀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부텐-1, 헥센-1, 4-메틸·펜텐-1, 옥텐-1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밀도로서는 0.870∼0.935g/㎤의 범위의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특히 120℃ 이상의 고온 처리가 실시되어도 점착력이 증대하지 않는 특성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밀도는 0.910∼0.935g/㎤의 범위이고, 융점의 주피크가 100∼130℃의 범위의 것을 사용하면 피착체 표면을 오염시키지 않으며, 피착체에 대한 밀착력도 안정되며, 고온처리가 실시되어도 점착력이 증대하기 어려운 등의 뛰어난 점착 특성이 얻어지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밀도나 융점은 α-올레핀의 단쇄 분기의 상태나 그것에 의한 결정 상태 등에 의해 결정된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구조 인자는 그 평균 분자량, 분자량 분포 이외에 단쇄 분기종, 단쇄 분기도 및 조성 분포 등이 있지만, 밀도, 융점의 요건은 코모노머량을 10몰%까지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복수의 융점 피크를 나타내는 것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시차 주사 열량계를 사용한 시차 주사 열량측정(DSC) 곡선으로부터 구해지는 융점의 주피크를 가리킨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는 종래의 멀티 사이트 촉매에 의한 중합방법에 더해서 싱글 사이트 촉매(카민스키 촉매, 메타로센 촉매)를 사용한 중합방법을 사용해서 얻어진 것, 모두 본 발명에 있어서 유용할 수 있다.
다른 성분으로서 다른 폴리올레핀, 올레핀 공중합체의 폴리머나 지방족 화합물 내지는 환식 화합물을 포함해도 좋지만 필요 최소한의 양에 머무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 이상으로 배합하면 피착체 오염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요건인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이하에 MMA 공중합체로 약기함)로서는 에틸렌에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이하에 MMA로 약기함)를 공중합한 수지이고, MMA의 공중합 비율로서는 5중량%∼약 40중량% 공중합시킨 것이 입수 가능하지만 점착층 수지로서는 MMA 공중합 비율이 5중량%∼20중량%의 범위의 것이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MMA 공중합 비율 10중량%∼15중량%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MMA 공중합 비율 5중량% 미만에서는 소망의 점착력을 얻는 것이 곤란하고, 또한 MMA 공중합 비율 20중량%를 초과하면 융점이 너무 낮아져서 내열성이 떨어지게 된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각각 단독으로 점착층을 구성하는 것도, 또한 임의의 비율로 소망하는 점착력에 적합하도록 적당히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의 압출 성형시의 열 열화를 억제하여 피쉬아이의 핵이 되는 겔 발생을 방지할 목적으로 산화 방지제를 500∼3,000ppm 첨가하는 것은 바람직한 방법이지만 단 지나치게 첨가하면 피착체를 오염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에 최소 필요량으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페놀계, 방향족 아민계, 티오에테르계, 인계 등이 있고, 소량 배합으로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2종 이상의 것을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페놀계와 인계의 병용은 바람직한 방법이다.
또한, 점착층에는 점착력을 높이기 위해서 테르펜 화합물 등의 점착 부여제를 첨가해도 좋지만, 후술과 같이 평활한 표면을 갖는 편광판이나 위상차판 등의 피착체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점착 부여제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적당한 점착 특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점착 부여제로서는 α-피넨, β-피넨, 디펜텐 등의 구조 유닛을 갖는 폴리테르펜이나 이러한 수소 첨가물(수소 첨가 테르펜 수지), 이러한 변성물로서의 테르펜스티렌 수지, 테르펜페놀 수지, 또한 로진류로서는 로진, 중합 로진, 수소 첨가 로진, 로진 변성물, 유도체로서 로진 또는 수소 첨가 로진의 글리세린에스테르, 펜타에리스리톨에스테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형성되는 본 발명의 점착층의 표면 조도는 JIS B0601-1994에 준거하여 산술 평균 조도(Ra)로서 0.2㎛ 이하, 10점 평균 조도(Rz)로서 2㎛ 이하의 평활화된 표면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점착층을 평활화함으로써 편광판이나 위상차판 등의 표면 평활한 광학용 필름과 접합시켰을 때 기포의 혼입도 없고, 밀착성 좋게 이러한 피착체와 접합할 수 있다. 상기 점착층의 (Ra)가 0.2㎛, (Rz)가 2㎛보다 크고, 거친 점착층이 되면 피착체와의 밀착성이 떨어져서 피착체의 가공 중이나 보관 중에 뜨거나 박리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어서 본 발명의 중간층의 요건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의 중간층은 밀도 0.870∼0.935g/㎤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이것들의 혼합물 중 1종으로 주로 구성된다. 이러한 폴리에틸렌계 수지로서는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예시할 수 있다. 중간층은 후술하는 피쉬아이 등의 팽창(볼록부)의 피착체에 대한 응력 집중을 완화시켜 쿠션성을 가지게 하기 때문에 유연한 수지로 구성하는 것이 간요하다. 여기서 수지의 유연성을 나타내는 하나의 척도로서 굽힘 탄성율을 예시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굽힘 탄성율이 500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M㎩ 이하가 바람직하다. 굽힘 탄성율을 500M㎩ 이하로 함으로써 피쉬아이 등의 팽창의 피착체에 대한 응력을 완화시켜 피착체에의 타흔의 데미지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굽힘 탄성율을 20M㎩ 이상으로 함으로써 후술하는 본 발명의 배면층의 수지 구성과 함께 탄력이 있는 취급하기 쉬운 표면 보호 필름으로 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밀도 0.910∼0.935g/㎤의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수지 그 자체가 갖는 피쉬아이도 적고, 쿠션성에도 뛰어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밀도 0.870∼0.935g/㎤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중간층을 유연한 것으로 함과 아울러 전연성(展延性)이 풍부하고, 고속으로 박막 필름을 제막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밀도 0.870∼0.91g/㎤의 소위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중간층을 보다 유연한 것으로 해서 쿠션성이 매우 풍부하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반대로, 밀도가 0.870g/㎤를 하회하면 지나치게 유연화되기 때문에 후술하는 배면층의 수지 구성을 조합시켜도 탄력이 없어 취급하기 어려워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서는 코모노머에 헥센-1이나 옥텐-1을 사용한 폴리에틸렌계 플라스토머로서 Japan Polyethylene Corporation 제품 "커널(KERNEL)", Sumitomo Chemical Co., Ltd. 제품 "엑셀렌(EXCELLEN) VL", TOSOH CORPORATION 제품 "LUMITAC", The Dow Chemical Company 제품 "어피니티(AFFINITY)", "넉 플렉스(NUC-FLX)"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중간층에 사용할 수 있는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서는 상술한 점착층 구성 수지와 동일한 것이어도 다른 것이어도 좋다. 이러한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와 동등 이상의 유연성을 갖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수지로서의 굽힘 탄성율로는 100M㎩ 이하의 것을 용이하게 입수 가능하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은 밀도 0.870∼0.935g/㎤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이것들의 혼합물 중 1종에 점착층 구성 수지 및 후술한 배면층 수지를 첨가·혼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일반적으로 용융 공압출법으로 제막했을 경우, 단부의 두께 불균일한 부분은 슬릿 공정 등에서 슬릿되어 제거되고 있지만 이러한 부분을 중간층에 사용하는 것은 사용 원료의 양을 저감시켜 경제적으로 바람직한 방법이다.
이러한 경우의 중간층에의 첨가·혼합량으로서는 후술하는 배면층 구성 수지 30중량% 미만까지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주체로 한 배면층 수지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본 발명의 골자인 중간층의 유연성이 얻어지기 어려워진다.
또한, 본 발명의 중간층은 밀도 0.870∼0.935g/㎤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이것들의 혼합물 중 1종인 바람직하게는 6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으로 구성됨으로써 중간층을 유연화할 수 있고, 피쉬아이 등의 볼록부 결점의 응력 집중을 완화할 수 있지만, 상기 중간층에는 그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탈크, 스테아르산 아미드, 스테아르산 칼슘 등의 충전제나 활제,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안료, 내전 방지제, 핵제 등을 적당히 첨가해도 좋다. 또한, 이것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해서 첨가해도 좋다.
이어서 본 발명의 배면층의 요건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의 배면층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로서는 호모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 부텐의 공중합체 등을 예시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구성 요건인 배면층의 표면을 조면화할 목적으로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랜덤 공중합체 단독 또는 호모폴리프로필렌의 혼합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프로필렌과 에틸렌의 랜덤 공중합체로서는 내열성을 비롯해 미끄러짐성이나 필름의 핸들링성의 관점에서 에틸렌 함유량으로서는 1∼7중량%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230℃ 하, 하중 2.16㎏/㎠ 하에서의 멜트플로우레이트(이하 MFR로 생략함)는 5∼50g/10분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MFR 10∼40g/10분의 것은 저온 압출할 수 있고, 또한 후술하는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조합시킴으로써 배면층을 조면화하기 쉽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2종 이상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사용했을 경우의 혼합 수지의 MFR은 측정값이 있으면 그 값을 나타내지만 혼합 수지로서의 MFR값이 평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각각 단독 수지의 MFR의 대수를 각각의 수지 비율로 안분해서 구한 값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즉, 수지 A의 MFR을 [A], 수지 B의 MFR을 [B]로 하고, 그 비율을 X, Y로 하면 혼합한 수지의 MFR[C]은 X×log[A]+Y×log[B]=log[C]로서 구한 것으로 한다.
또한, 배합하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밀도 범위 0.910∼0.935g/㎤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밀도가 0.935g/㎤를 초과하면 금속롤이나 고무 롤과의 찰과에 있어서 수지가 탈락하기 쉬워서 백분 발생의 요인이 되기 쉽다.
또한, 이러한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서는 상기 중간층에 사용되는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동일이어도 좋지만 후술하는 배면층의 표면 조도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190℃, 하중 2.16㎏/㎠ 하에서의 MFR이 0.5∼5g/10분으로 점도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190℃ 하 MFR과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230℃ 하 MFR의 차가 클수록(예를 들면, 차가 10g/10분 이상, 바람직하게는 20g/10분 이상) 조면화 효과가 현저하게 발현되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배면층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배합 비율(중량%)은 목적으로 하는 표면 조도를 얻기 위해서 70:30∼95:5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형성되는 본 발명의 배면층의 표면 조도는 JIS B0601-1994에 준거하여 산술 평균 조도(Ra)로 0.6㎛ 이상, 10점 평균 조도(Rz)로 4㎛ 이상의 조면화된 표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배면층을 조면화함으로써 필름끼리의 미끄러짐성이나 블록킹성을 뛰어난 것으로 하는 것을 비롯해 본 발명의 목적인 피쉬아이에 의한 팽창에 의한 피착체에의 응력 집중을 배면층의 조면화로 응력 분산시킴과 아울러 중간층의 쿠션성을 살려 응력 집중을 완화시켜서 피착체에의 타흔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배면층에의 그 이외의 배합제는 점착층과 마찬가지로 필요 최소한의 양에 머무르는 것이 중요하다. 필요 이상으로 배합하면 피착체에의 오염의 원인이 된다. 미끄러짐이나 블록킹에 관한 표면 상태는 폴리머 구성 요건에 따라 자세가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미끄러짐성을 발현시키기 위해서 무기 화합물의 미립자 등이 첨가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무기 화합물의 미립자 등을 배합하지 않고 양호한 미끄러짐성이나 블록킹성을 발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무기 화합물의 미립자에 의해 피착체를 손상시키거나 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은 배면층이 산술 평균 조도(Ra)가 0.6㎛ 이상이고, 또한 10점 평균 조도(Rz)가 4㎛인 거친 표면 상태로 이루어지며, 반대로 점착층측은 산술평균 조도 0.2㎛ 이하, 10점 평균 조도(Rz)가 2㎛ 이하의 평활한 표면 형상을 갖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안정된 점착력과 뛰어난 필름의 핸들링 기능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이러한 표면 조도는 통상 사용되고 있는 표면 형상 측정기에 의해 측정한 조도 프로파일(조도 곡선)을 해석하여 구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점착층 수지로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이것들의 혼합 수지를 중간층 수지로 하고, 주로 밀도 0.870∼0.935g/㎤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또는 이것들의 혼합 수지를 배면층 수지로 하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혼합 수지 조성물을 각각 개별의 압출기로부터 용융 압출하여 구금(口金) 내에서 적층 일체화시켜 소위 3층 공압출함으로써 점착층, 중간층, 배면층을 적층 일체화해서 성형한 후, 롤 형상으로 귄취함으로써 표면 보호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상기 점착층, 중간층, 배면층을 각각 개별로 용융 압출한 후 라미네이트법에 의해 상기 점착층, 중간층, 배면층을 적층 일체화하는 방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에 있어서는 T다이법이나 인플레이션법 등의 공지의 방법을 사용하고, 후자에 있어서는 드라이 라미네이션 또는 T다이에 의한 용융 압출법 또는 압출 코팅법을 사용할 수 있지만 두께 정밀도에 뛰어난 것 및 표면 형상의 제어의 면으로부터 T다이법에 의한 용융 공압출법이 품질상, 경제상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표면 보호 필름의 두께는 피착체의 두께 및 피착체의 요구 품질 레벨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성형성, 사용 편리함의 관점에서 20∼100㎛의 범위에서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특히 20∼5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층, 중간층, 배면층, 각각 각 층의 두께도 상기 기재와 같이 요구 레벨에 따라서 적당히 조정되면 좋지만, 본 발명의 3층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점착층, 중간층, 배면층의 두께 비율(%)은 각각 15∼40:81∼45:4∼15의 비율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 비교예의 「%」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질량 기준이다. 또한, 각종 물성값의 측정방법, 및 평가방법을 이하에 나타낸다.
(1) 표면 조도
표면 조도는 Kosaka Laboratory Ltd. 제품의 전자동 미세형상 측정기(SURFCORDER ET4000A)를 사용하고, JIS B0601-1994에 준거하여 필름 가로 방향(필름의 TD 방향)으로 측정 길이 2㎜이며, 길이 방향(기계 방향)으로 10㎛ 피치로 20회 측정해서 3차원 해석하여 산술 평균 조도(Ra) 및 10점 평균 조도(Rz)를 각각 구했다(단위는 ㎛). 또한, 촉침선단반경 2.0㎛, 꼭지각 60°의 다이아몬드 바늘을 사용, 측정력 10μN, 커트 오프 0.8㎜에서 측정했다.
(2) 시료 샘플의 접합
온도 23℃, 습도 50% RH의 조건 하에서 24시간, 보관·조정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 샘플을 피착체에 롤프레스기(Yasuda Seiki Seisakusho Ltd. 제품, 특수 압착 롤러)를 사용해서 접합 압력 9,100N/m, 접합 속도 300cm/분으로 접합했다. 그런 후, 온도 23℃, 습도 50% RH 조건 하에서 24시간 보관한 후, 각 측정과 평가에 사용했다.
(3) 점착력
인장 시험기(ORIENTEC Co., Ltd. "텐시론" 만능 시험기)를 사용해서 인장 속도 300㎜/분, 박리 각도 180°에서 점착력을 측정했다.
(4) 밀착성
피착체와 시료 샘플의 밀착 상태를 육안 관찰하여 다음 판정을 행했다.
A: 완전하게 밀착되어 있다
B: 극히 일부가 밀착 불량으로 시료 필름이 일부(면적비 30% 이내) 떠있다
C: 면적비 70% 이상의 부분에서 필름이 피착체로부터 떠있다.
(5) 오염성
피착체로부터 시료 필름을 박리한 후 암실 내에서 피착체 표면에 스폿 광을 쐬어서 표면의 오염 상태를 육안 관찰하여 다음 판정을 행했다.
A: 오염이 없다
B: 경도한 오염이 있다
C: 오염되어 있다.
(6) 피쉬아이의 피착체에의 전사성(피착체에의 오목부 발생)
미리 시료 샘플의 피쉬아이 결점을 국립 인쇄 제조의 불순물 측정 도표와 대비하여 0.05㎟∼0.1㎟ 사이즈의 피쉬아이 결점부를 선별하고, 상기 결점을 갖는 부분을 포함하는 시료 샘플을 피착체와 접합시킨 후, 양측을 평활한 폴리카보네이트판(판두께 2㎜) 사이에 끼워 넣고, 하중 1.3㎏/㎠를 부하하여 60℃ 열풍 오븐 내에서 3일간 보관한 후, 실온으로 되돌리며, 그 후 피착체로부터 시료 필름을 박리한 후 피착체가 피쉬아이에 의해 오목부가 발생되어 있지 않는지를 판정했다. 또한, 육안으로 피쉬아이 결점부가 전혀 발견되지 않은 샘플에 있어서는 시료 샘플을 그대로 사용했다.
A: 피쉬아이에 의한 오목부 발생이 전혀 확인되지 않는다
B: 조금 피쉬아이에 의한 오목부가 확인된다
C: 피쉬아이에 의한 오목부가 분명하게 확인된다.
(7) MFR
Toyo Seiki Seisaku-sho, Ltd. 제품, 멜트 인덱서(Melt Indexer)를 사용하고, JIS K7210-1997에 준거하여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경우는 온도 230℃, 하중 2.16㎏/㎠이며, 폴리에틸렌계 수지 및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경우는 온도 190℃, 하중 2.16㎏/㎠에서 측정했다. 단위는 모두 g/10분이다.
(실시예 1)
각 층의 구성 수지를 다음과 같이 준비했다.
점착층 수지로서 인계 산화 방지제 1000ppm을 함유하는 밀도 0.922g/㎤, 융점 116℃, 190℃ 하 MFR 5.0g/10분의 에틸렌·헥센-1 공중합체(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를 사용하고, 중간층 수지로서 밀도 0.923g/㎤, 190℃ 하 MFR 10g/10분의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91중량%에 점착층 수지 6.6중량% 및 후술하는 배면층 구성 수지 조성물 2.4중량%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에지부를 회수하는 것을 상정한 조성물로 함)을 헨셀 믹서로 균일하게 혼합한 것을 사용하며, 배면층 수지로서 230℃ 하 MFR 35g/10분, 에틸렌 함유량 5중량%의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80중량%와 190℃ 하 MFR 2g/10분, 밀도 0.92g/㎤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20중량%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을 헨셀 믹서로 균일하게 혼합한 것을 사용하고, φ90㎜(점착층용)와 φ115㎜(중간층용)와 φ65㎜(배면층용)의 3대의 압출기를 갖는 구금 폭 2400㎜의 T다이형 복합제막기를 사용해서 상기 준비한 수지 조성물을 각각의 압출기에 도입하여 점착층 두께 비율 22%, 중간층 두께 비율 70%, 배면층 두께 비율 8%가 되도록 각 압출기의 토출량을 조정하고, 복합 T다이로부터 압출 온도 200℃에서 압출하여 필름 두께 35㎛의 3층 적층 필름을 제막하고, 일단 롤 형상으로 권취했다.
이어서, 롤 형상으로 권취한 필름을 슬릿기에 걸어서 폭 1600㎜, 길이 7,000m의 사이즈로 마무리하여 롤 형상으로 감아 올린 필름 샘플을 얻었다. 또한, 슬릿기에서 소정 폭의 제품을 얻을 때에도 이형 처리 등의 처리를 실시할 필요도 없고, 아무 저항 없이 용이하게 슬릿기에 송출(풀림)할 수 있으며, 블록킹은 전혀 확인되지 않았다. 블록킹이 발생되어 있으면 점착층과 배면층이 박리될 때에 쩍하고 소리가 나지만 박리음도 없이 매우 스무스하게 풀려지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얻어진 필름의 헤이즈값은 51이고, 표면 조도를 측정한 바 점착층의 표면 조도 (Ra) 0.13㎛, (Rz) 1.4㎛로 비교적 평활했지만, 배면층의 표면 조도 (Ra) 1.2㎛, (Rz) 8.4㎛로 배면층측은 표면이 요철 형상의 것이었다.
본 필름 샘플로부터 전체 폭에서 길이 1m 커트하고, 피쉬아이를 육안으로 판정 체크한 바 확인할 수 있는 장경 약 100㎛ 이상의 크기의 피쉬아이는 검출되지 않고 0개/㎡였다.
그런 후, 상기 시료 샘플을 후술하는 비교예 1과 동시 평가로 표면 평활한 두께 100㎛의 환상 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을 사용해서 점착 특성을 평가한 바 피착체에의 밀착성은 매우 양호하고, 점착력은 0.08N/50㎜이며, 또한 본 필름을 박리한 후 피착체의 표면을 관찰했지만 오염은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피쉬아이는 확인되지 않았지만(국립 인쇄 제조의 불순물 측정 도표에서 대비한 0.05㎟∼0.1㎟ 사이즈의 피쉬아이는 0개/㎡, 또한 결점 육안 식별 가능한 약 100㎛ 이상의 피쉬아이도 0개/㎡) 피쉬아이의 피착체에의 전사성(피착체에의 오목부 발생) 평가를 실시한 바 피착체에의 오목부는 없고, 또한 배면층이 요철화되어 있지만 이러한 요철의 전사도 확인되지 않았다.
(비교예 1)
점착층 수지로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에틸렌·헥센-1 공중합체(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를 사용하고, 중간층 수지로서 밀도 0.964g/㎤, 융점 135℃, 190℃ 하 MFR 7.0g/10분의 고밀도 폴리에틸렌 91중량%와 점착층 구성 수지인 에틸렌·헥센-1 공중합체 6.6중량%와 후술하는 배면층 구성 수지 조성물 2.4중량%를 헨셀 믹서로 균일하게 혼합한 것을 사용하며, 배면층 수지로서 융점 163℃, 230℃ 하 MFR 7.5g/10분의 호모폴리프로필렌 98중량%와 190℃ 하 MFR 2g/10분, 밀도 0.92g/㎤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2중량%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을 헨셀 믹서로 균일하게 혼합한 것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T다이형 3층 복합제막기를 사용해서 필름 두께 35㎛의 3층 적층 필름을 제막했다.
얻어진 필름의 헤이즈값은 11이고, 블록킹도 없으며, 용이하게 되감을 수 있는 것이었다. 또한, 표면 조도를 측정한 바 점착층의 표면 조도 (Ra) 0.13㎛, (Rz) 0.51㎛이고, 배면층의 표면 조도 (Ra) 0.14㎛, (Rz) 1.3㎛로 점착층, 배면층 모두 평활한 필름이었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피쉬아이를 평가한 바 0.05㎟ 이상의 피쉬아이는 7개/㎡였지만, 확인할 수 있는 장경 약 100㎛ 이상의 것은 280개/㎡였다.
상술한 실시예 1과 동시 평가로 0.05㎟ 사이즈의 피쉬아이부에 표시를 실시하고, 상기 부분의 피쉬아이의 전사성을 평가한 바 비교예의 것은 피쉬아이부가 피착체에 오목부를 발생시키고 있었다.
(실시예 2)
각 층의 구성 수지를 다음과 같이 준비했다.
점착층 수지로서 인계 산화 방지제 1000ppm을 함유하는 밀도 0.922g/㎤, 융점 116℃, 190℃ 하 MFR 5.0g/10분의 에틸렌·헥센-1 공중합체(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를 40중량%, 페놀계 산화 방지제 1200ppm을 함유하는 밀도 0.875, 융점 71℃, 190℃ 하 MFR 3.0g/10분의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을 60중량%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을 헨셀 믹서로 균일하게 혼합한 것을 사용하고, 중간층 수지로서 밀도 0.923g/㎤, 190℃ 하 MFR 10g/10분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배면층 수지로서 230℃ 하 MFR 7.5g/10분, 밀도 0.90g/㎤의 호모폴리프로필렌 45중량%와 230℃ 하 MFR 35g/10분, 에틸렌 함유량 5중량%의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45중량%와 190℃ 하 MFR 2g/10분, 밀도 0.92g/㎤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10중량%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을 헨셀 믹서로 균일하게 혼합한 것을 사용하며, φ90㎜(점착층용)와 φ115㎜(중간층용)와 φ65㎜(배면층용)의 3대의 압출기를 갖는 구금 폭 2400㎜의 T다이형 복합제막기를 사용해서 상기 준비한 수지 조성물을 각각의 압출기에 도입하여 점착층 두께 비율 20%, 중간층 두께 비율 72%, 배면층 두께 비율 8%가 되도록 각 압출기의 토출량을 조정하고, 복합 T다이로부터 압출 온도 210℃에서 압출하여 필름 두께 30㎛의 3층 적층 필름을 제막하고, 일단 롤 형상으로 권취했다. 배면층의 폴리프로필렌계의 혼합 수지의 MFR은 상술한 계산방법에서 16.2g/10분이다.
이어서, 롤 형상으로 권취한 필름을 슬릿기에 걸어서 폭 1300㎜, 길이 3,000m의 사이즈로 마무리하여 롤 형상으로 감아 올린 필름 샘플을 얻었다. 또한, 슬릿기에서 소정 폭의 제품을 얻을 때에도 이형 처리 등의 처리를 실시할 필요도 없고, 아무 저항 없이 용이하게 슬릿기에 송출(풀림)할 수 있으며, 블록킹은 전혀 확인되지 않았다.
얻어진 필름의 헤이즈값은 35이고, 표면 조도를 측정한 바 점착층의 표면 조도 (Ra) 0.08㎛, (Rz) 0.43㎛으로 비교적 평활했지만, 배면층의 표면 조도 (Ra) 0.71㎛, (Rz) 5.3㎛으로 배면층측은 표면이 요철된 형상의 것이었다.
본 필름 샘플로부터 전체 폭에서 길이 1m 커트하고, 피쉬아이를 육안으로 판정 체크한 바 0.05㎟ 사이즈 이상의 피쉬아이는 0개/㎡였지만, 더 작은 미소 피쉬아이로서 확인할 수 있는 장경 100㎛ 이상의 크기를 카운트한 바 1㎡ 중에 1개 발견되었다.
그런 후, 상기 시료 샘플을 후술한 비교예 2와 동시 평가로 두께 100㎛의 표면 평활한 박형 편광판을 사용해서 점착 특성을 평가한 바 피착체에의 밀착성은 매우 양호하고(점착력은 0.09N/50㎜), 또한 본 필름을 박리한 후 피착체의 표면을 관찰했지만 오염은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피쉬아이의 피착체에의 전사성(피착체에의 오목부 발생) 평가를 실시한 바 피착체에의 오목부는 없고, 또한 배면층이 요철화되어 있지만 이러한 요철의 전사도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3)
점착층 수지로서 실시예 1의 에틸렌·헥센-1 공중합체(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100중량% 대신에 밀도 0.93g/㎤, 190℃ 하 MFR 7g/10분의 MMA 10중량% 공중합된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60중량%와 실시예 1의 에틸렌·헥센-1 공중합체 40중량%를 사용하고, 중간층 수지로서 상기 점착층에 사용한 것과 동일한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필름 두께 35㎛의 3층 적층 필름을 제막하고, 일단 롤 형상으로 권취했다.
이어서, 롤 형상으로 권취한 필름을 슬릿기에 걸어서 폭 1600㎜, 길이 7,000m의 사이즈로 마무리하여 롤 형상으로 감아 올린 필름 샘플을 얻었다.
또한, 롤 샘플의 필름 풀림 특성에 대해서는 특별히 장력을 가하지 않더라도 용이하게 풀 수 있는 것이었다.
얻어진 필름의 헤이즈값은 50이고, 표면 조도를 측정한 바 점착층의 표면 조도 (Ra) 0.12㎛, (Rz) 1.3㎛로 비교적 평활했지만, 배면층의 표면 조도 (Ra) 1.1㎛, (Rz) 8.1㎛로 배면층측은 표면이 요철 형상의 것이었다.
본 필름 샘플로부터 전체 폭에서 길이 1m 커트하고, 피쉬아이를 육안으로 판정 체크한 바 확인할 수 있는 장경 약 100㎛ 이상의 크기의 피쉬아이는 검출되지 않고 0개/㎡이었다.
그런 후, 상기 시료 샘플을 실시예 2와 같은 표면 평활한 두께 100㎛의 환상 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을 사용해서 점착 특성을 평가한 바 피착체에의 밀착성은 매우 양호하고, 점착력은 0.09N/50㎜이며, 또한 본 필름을 박리한 후 피착체의 표면을 관찰했지만 오염은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피쉬아이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확인되지 않았지만, 피쉬아이의 피착체에의 전사성(피착체에의 오목부 발생) 평가를 실시한 바 피착체에의 오목부는 없고, 또한 배면층의 요철에 의한 피착체에의 전사도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4)
점착층 수지로서 190℃ 하 MFR 7g/10분의 MMA 10중량% 공중합시킨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100중량%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필름 두께 35㎛, 폭 1600㎜, 길이 7,000m의 3층 적층 필름을 완성했다. 또한, 소정 폭의 제품을 얻을 때에도 아무 저항 없이 용이하게 슬릿기에 송출(풀림)할 수 있고, 블록킹은 전혀 확인되지 않았다.
얻어진 필름의 헤이즈값은 51이고, 표면 조도를 측정한 바 점착층의 표면 조도 (Ra) 0.14㎛, (Rz) 1.5㎛로 비교적 평활했지만, 배면층의 표면 조도 (Ra) 1.2㎛, (Rz) 8.4㎛로 배면층측은 표면이 요철 형상의 것이었다.
본 필름 샘플로부터 전체 폭에서 길이 1m 커트하고, 피쉬아이를 육안으로 판정 체크한 바 확인할 수 있는 장경 약 100㎛ 이상의 크기의 피쉬아이는 검출되지 않고 0개/㎡이었다.
그런 후, 상기 시료 샘플을 실시예 1이 마찬가지로 두께 100㎛의 환상 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위상차 필름을 사용해서 점착 특성을 평가한 바 점착력은 0.12N/50㎜이고, 또한 본 필름을 박리한 후 피착체의 표면을 관찰했지만 오염은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피쉬아이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육안으로는 확인할 수 없었기 때문에 시료 샘플을 그대로 사용하여 피쉬아이의 전사성 평가를 실시한 바 피착체에의 오목부는 없고, 또한 배면층이 요철되어 있지만 이러한 요철의 전사도 확인되지 않았다.
(비교예 2)
각 층의 구성 수지를 다음과 같이 준비했다.
점착층 수지로서는 비교예 1과 동일한 에틸렌·헥센-1 공중합체(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를 사용하고, 중간층 수지로서 밀도 0.964g/㎤, 융점 134℃, 190℃ 하 MFR 7.5g/10분의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배면층 수지로서 190℃ 하 MFR 5.5g/10분, 밀도 0.923g/㎤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94중량%, 190℃ 하 MFR 2g/10분, 밀도 0.92g/㎤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1중량%, 230℃ 하 MFR 40g/10분, 에틸렌 함유량 5중량%의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4중량%에 추가해서 윤활제로서 평균 입자 지름 2.0㎛의 소듐칼슘알루미노실리케이트 1.0중량%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을 헨셀 믹서로 균일하게 혼합한 것을 사용하고,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T다이형 3층 복합제막기를 사용해서 필름 두께 30㎛의 3층 적층 필름을 제막했다.
얻어진 필름의 헤이즈값은 12이고, 블로킹도 없으며, 용이하게 되감을 수 있는 것이었다. 또한, 표면 조도를 측정한 바 점착층의 표면 조도 (Ra) 0.09㎛, (Rz) 0.48㎛이고, 배면층의 표면 조도 (Ra) 0.12㎛, (Rz) 2.4㎛로 점착층, 배면층 모두 비교적으로 평활한 필름이었다.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피쉬아이를 평가한 바 0.05㎟∼0.1㎟ 사이즈의 피쉬아이는 13개/㎡ 확인할 수 있는 장경 약 100㎛ 이상의 것은 220개/㎡였다.
상술한 실시예 2와 동시 평가로 피쉬아이의 전사성을 평가한 바 비교예 2의 것은 피쉬아이부가 피착체에 오목부를 발생시켰다.
(실시예 5, 6, 7)
중간층 수지로서 실시예 2의 점착층에 사용한 것과 동일한 밀도 0.875g/㎤, MFR 3g/10분의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실시예 5의 필름을 얻었다.
또한, 중간층 수지로서 밀도 0.934g/㎤, MFR 5g/10분의 직쇄상 저저밀도 폴리에틸렌(부텐-1 공중합체)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실시예 6의 필름을 얻었다.
또한, 중간층 수지로서 밀도 0.923g/㎤, 190℃ 하 MFR 10g/10분의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60중량%에 실시예 1의 배면층 구성 수지 조성물 40중량%로 이루어지는 수지 조성물을 헨셀 믹서로 균일하게 혼합한 것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실시예 7의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의 어느 필름이나 슬릿 공정에서 소정 폭으로 마무리할 때 스무스하게 풀리고, 미끄러짐성, 블록킹성도 매우 양호했다.
각 시료 필름의 특성을 표 1에 나타냈지만,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피쉬아이는 확인할 수 없었다.
또한, 피쉬아이의 전사성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피착체를 사용해서 평가한 바 실시예 5 및 실시예 6의 시료 필름에서는 피쉬아이의 전사성은 양호했지만, 실시예 7의 것에서는 조금 피쉬아이에 의한 오목부가 관찰되었다.
Figure 112012087778408-pct00001

Claims (4)

  1. 점착층과 중간층과 배면층의 3층 적층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점착층은 밀도 0.870∼0.935g/㎤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및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비율이 5중량%~20중량%의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간층은 밀도 0.870∼0.935g/㎤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및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함유하고, 상기 중간층의 굽힘 탄성율은 20M㎩ 이상 500M㎩ 이하이며, 상기 배면층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되어서 이루어지고,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배합 비율(중량%)은 70:30∼95:5의 범위이며, 상기 배면층의 표면 조도는 산술 평균 조도(Ra)로서 0.6㎛ 이상, 10점 평균 조도(Rz)로 4㎛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표면 조도는 산술 평균 조도(Ra)로서 0.2㎛ 이하, 10점 평균 조도(Rz)로서 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층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230℃, 하중 2.16㎏/㎠ 하에서의 멜트플로우레이트는 5∼50g/10분의 범위이고, 또한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190℃, 하중 2.16㎏/㎠ 하에서의 멜트플로우레이트는 0.5∼5g/1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점착층과 중간층과 배면층의 3층 적층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층은 밀도 0.870∼0.935g/㎤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및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과 점착층 구성 수지 및 배면층 구성 수지의 혼합 수지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 보호 필름.
KR1020127028161A 2010-04-13 2011-03-10 표면 보호 필름 Active KR1018081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91947 2010-04-13
JP2010091947 2010-04-13
PCT/JP2011/055627 WO2011129167A1 (ja) 2010-04-13 2011-03-10 表面保護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230A KR20130056230A (ko) 2013-05-29
KR101808140B1 true KR101808140B1 (ko) 2017-12-13

Family

ID=44798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8161A Active KR101808140B1 (ko) 2010-04-13 2011-03-10 표면 보호 필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30052418A1 (ko)
EP (1) EP2559745A4 (ko)
JP (1) JP5761571B2 (ko)
KR (1) KR101808140B1 (ko)
CN (1) CN102844393B (ko)
TW (1) TWI480158B (ko)
WO (1) WO20111291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80925A1 (ja) * 2011-11-29 2013-06-06 東レ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ならびに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3124306A (ja) * 2011-12-15 2013-06-24 Okura Ind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CN104140768A (zh) * 2013-05-10 2014-11-12 鸿威光电股份有限公司 保护膜
JP6159163B2 (ja) * 2013-06-21 2017-07-0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6390231B2 (ja) * 2013-07-31 2018-09-19 日本ポリプロ株式会社 医療用プロピレン−エチ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射出成形品
KR102363884B1 (ko) * 2014-05-30 2022-02-15 니폰 제온 가부시키가이샤 복층 필름 및 권회체
CN107849399B (zh) * 2015-08-06 2020-12-01 东丽株式会社 粘结膜和粘结膜筒
JP6924015B2 (ja) * 2016-11-22 2021-08-25 日東電工株式会社 コーティング層付き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18119138A (ja) * 2017-01-20 2018-08-02 東レ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
CN106933038A (zh) * 2017-04-28 2017-07-07 湖南鸿瑞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感光干膜的保护膜
KR102509299B1 (ko) * 2017-10-31 2023-03-14 도레이 필름 카코우 가부시키가이샤 적층 필름
JP7106416B2 (ja) * 2018-10-01 2022-07-26 東レ株式会社 エンボス成形用シリコーンゴムローラー、それを用いた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ならびに表面保護フィルム
JP7292884B2 (ja) * 2019-01-18 2023-06-19 東レフィルム加工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CN112888738B (zh) * 2019-06-17 2023-07-21 塔玛波里股份有限公司 聚乙烯膜及干膜抗蚀剂
CN111171745B (zh) * 2019-12-27 2022-02-22 无锡达美新材料有限公司 一种持久性高表面能聚乙烯保护膜及其制备方法
JP7464706B2 (ja) * 2020-05-22 2024-04-09 三井化学東セロ株式会社 電子装置の製造方法
TWI816459B (zh) * 2022-07-06 2023-09-21 住華科技股份有限公司 光學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1883A (ja) * 2000-06-21 2002-01-08 Gunze Ltd 壁装材表面保護用無延伸積層フィルム及び壁装材
JP2008030349A (ja) * 2006-07-31 2008-02-14 Toray Advanced Film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9166277A (ja) * 2008-01-11 2009-07-30 Dic Corp 表面保護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5974A (en) 1979-06-12 1980-12-24 Nitto Electric Ind Co Ltd Adhesive film for surface protection
JP2952312B2 (ja) 1989-07-17 1999-09-27 株式会社サンエー化研 合成樹脂板用表面保護フィルム
JPH0455488A (ja) 1990-06-22 1992-02-24 Sekisui Chem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JPH05239418A (ja) 1992-02-26 1993-09-17 Sekisui Chem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JP3116109B2 (ja) * 1995-05-31 2000-12-11 東レ合成フィルム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JP3510719B2 (ja) 1995-10-13 2004-03-2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8068564A (ja) * 2006-09-15 2008-03-27 Dainippon Ink & Chem Inc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8102271A (ja) * 2006-10-18 2008-05-01 Nitto Denko Corp 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付き光学フィルム
JP2008208173A (ja) * 2007-02-23 2008-09-11 Nitto Denko Corp 表面保護シート
JP4929213B2 (ja) 2007-03-22 2012-05-09 日本ポリプロ株式会社 表面保護用フィルム
JP2009255525A (ja) * 2007-12-28 2009-11-05 Japan Polypropylene Corp 表面保護用フィルム
JP2009170478A (ja) * 2008-01-11 2009-07-30 Gunze Ltd 表面保護テープ用多層基体フィルム
JP5457745B2 (ja) * 2008-07-15 2014-04-02 サン・トックス株式会社 基材フィルム
JP2010059218A (ja) * 2008-09-01 2010-03-18 Sekisui Chem Co Ltd 光学フィルム用表面保護フィルム
JP5157786B2 (ja) * 2008-09-26 2013-03-06 日立化成株式会社 光学シート保護用粘着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1883A (ja) * 2000-06-21 2002-01-08 Gunze Ltd 壁装材表面保護用無延伸積層フィルム及び壁装材
JP2008030349A (ja) * 2006-07-31 2008-02-14 Toray Advanced Film Co Ltd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9166277A (ja) * 2008-01-11 2009-07-30 Dic Corp 表面保護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230A (ko) 2013-05-29
EP2559745A1 (en) 2013-02-20
WO2011129167A1 (ja) 2011-10-20
CN102844393A (zh) 2012-12-26
TWI480158B (zh) 2015-04-11
EP2559745A4 (en) 2014-01-01
TW201141700A (en) 2011-12-01
JPWO2011129167A1 (ja) 2013-07-11
JP5761571B2 (ja) 2015-08-12
US20130052418A1 (en) 2013-02-28
CN102844393B (zh) 201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8140B1 (ko) 표면 보호 필름
KR101932000B1 (ko) 표면 보호 필름
CN110283545B (zh) 自粘合性表面保护薄膜
KR101750357B1 (ko) 표면 보호 필름
TWI639511B (zh) 加熱步驟用表面保護膜
JP4904525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KR101867113B1 (ko) 점착성 수지 조성물 및 점착 필름
KR20100134630A (ko) 점착 필름
US10513098B2 (en) Laminated film
JP5360723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TW201120180A (en) Adhesive film
CN104685017B (zh) 自粘合性表面保护膜
JP6508383B2 (ja) 自己粘着性表面保護フィルム
TWI621683B (zh) Self-adhesive surface protection film
JP5544821B2 (ja) 粘着フィルムロール
CN106457786B (zh) 复层膜和卷绕体
JP2018145365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CN106459684B (zh) 自粘合性表面保护薄膜
JP2016196650A (ja) 粘着剤及び粘着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02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11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5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2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