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05474B1 - 탈착가능 태블릿을 갖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탈착가능 태블릿을 갖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5474B1
KR101805474B1 KR1020157023468A KR20157023468A KR101805474B1 KR 101805474 B1 KR101805474 B1 KR 101805474B1 KR 1020157023468 A KR1020157023468 A KR 1020157023468A KR 20157023468 A KR20157023468 A KR 20157023468A KR 101805474 B1 KR101805474 B1 KR 101805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king
receptacle
tablet
connector
connector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34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3131A (ko
Inventor
밍 장
마이클 티 크로커
시아오펑 숀 셩
알랜 더블유 테이트
샨준 덩
카필 카네
밍레이 왕
러셀 뷰어가드
Original Assignee
인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50113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5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547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4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detachable, e.g. for remote u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입력 장치를 갖는 베이스 부분, 디스플레이, 및 복수의 제 2 전기 커넥터를 갖춘 도킹 커넥터를 갖는 태블릿, 및 베이스 부분에 대해 이동하는 도킹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킹 커넥터는 도킹 커넥터로부터 연장되고 도킹 리셉터클과 맞물리는 제 1 도킹 폴, 및 복수의 제 1 전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탈착가능 태블릿을 갖는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HAVING A DETACHABLE TABLET}
실시예는 탈착가능(detachable) 태블릿을 갖는,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전자 장치에 관련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키보드 및/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몇 개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은 많은 다양한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탈착가능한 태블릿을 갖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입력 장치를 갖는 베이스 부분(base portion)과, 디스플레이, 및 복수의 제 2 전기 커넥터를 갖춘 도킹 리셉터클(docking receptacle)을 갖는 디스플레이 부분과, 베이스 부분에 대해 이동하는 도킹 커넥터(docking connector)를 포함하고, 이 도킹 커넥터는, 상기 도킹 커넥터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도킹 리셉터클과 맞물리는 제 1 도킹 폴(docking pole)과 복수의 제 1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구비한다.
배열 및 실시예가 하기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시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2a는 포워드 클램쉘 구성(forward clamshell configuration)의 전자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2b는 리버스 클램쉘 구성(reverse clamshell configuration)의 전자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2c는 디스플레이가 위를 향하는 컨버터블 구성(convertible configuration)의 전자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2d는 디스플레이가 아래를 향하는 컨버터블 구성의 전자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킹 커넥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단일 슬롯을 갖는 태블릿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킹 폴(docking pole) 및 도킹 리셉터클(docking receptacle)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킹 커넥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킹 커넥터의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킹 커넥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킹 커넥터의 일부분 내로 도킹 커넥터(또는 태블릿)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킹되는 태블릿의 확대도,
도 1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로킹된 상태의 태블릿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킹 커넥터로부터의 태블릿의 해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킹 커넥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킹 커넥터의 구성요소로부터의 태블릿의 해제를 제공하기 위해 아이콘이 태블릿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전자 장치의 정면도,
도 1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킹 커넥터로부터의 태블릿의 해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킹 커넥터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킹 커넥터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도면, 및
도 18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킹 커넥터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도면.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동일한 숫자 및 부호가 상이한 도면 내의 동일한, 대응하는 그리고/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지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예시적인 크기/모델/값/범위가 제시될 수 있지만, 실시예는 그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상세사항이 예시적인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해 기재되는 경우, 실시예가 이들 구체적인 상세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실시예는 탈착가능 태블릿, 베이스(base) 및 도킹 커넥터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전자 장치에 관련될 수 있다. 베이스는 또한 베이스 부분, 도킹 유닛 또는 도킹 스테이션으로 여겨질 수 있다. 탈착가능 태블릿은 또한 디스플레이 부분, 태블릿 또는 뚜껑(lid)으로 여겨질 수 있다.
태블릿은 태블릿이 도킹 커넥터 - 이는 이어서 베이스에 물리적으로 연결됨 - 에 물리적으로 연결(또는 결합)될 때 베이스에 연결(또는 결합)되는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전자 장치를 도시한다. 다른 실시예 및 구성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태블릿(10)(또는 디스플레이 부분), 베이스(20)(또는 베이스 부분) 및 도킹 커넥터(50)를 도시한다. 예시 및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도 1은 도킹 커넥터(50)로부터(그리고 베이스(20)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것으로 태블릿(10)을 도시한다.
전자 장치는 태블릿 타입 컴퓨터 시스템일 수 있으며, 여기서 태블릿(10)(또는 디스플레이 부분)은 도킹 커넥터(50) 및/또는 전자 장치의 다른 구성요소, 예를 들어 베이스(20)로부터 탈착가능할 수 있다.
태블릿(10)(또는 디스플레이 부분)은 디스플레이(5), 프로세서, 칩셋, WiFi 구성요소, 메모리 및/또는 배터리(또는 배터리 팩)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성요소가 또한 태블릿(10) 상에, 태블릿에 또는 태블릿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또한 도킹 커넥터(5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외측 에지(11)(또는 저부 에지)를 도시한다. 태블릿은 하기에 기술될 바와 같이 도킹 리셉터클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20)(또는 베이스 부분)는 키보드(22), 터치 패드, 프로세서, 입력 포트 등과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베이스(20)는 키보드일 수 있으며, 전자 구성요소의 대부분이 태블릿(10)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베이스(10)는 예를 들어 입력 장치를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블릿(10)의 전면 표면(front surface)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5)는 터치-감응식 디스플레이 및 디스플레이 로직(logic)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의 적어도 일부분은 하드웨어이다. 배터리는 태블릿(10)이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때 태블릿(1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도킹 커넥터(50)는 태블릿(10)이 베이스(20)에 부착(또는 도킹)될 수 있게 할 수 있다(또는 그것을 허용할 수 있다). 도킹 커넥터(50)는 또한 태블릿(10)이 도킹되어, 예를 들어, 컨버터블 컴퓨터 또는 클램쉘 컴퓨터로서 작동할 수 있게 할 수 있다(또는 그것을 허용할 수 있다).
도킹 커넥터(50)의 구성요소는 베이스(20) 내에 제공될 수 있고/있거나 태블릿(10)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부분은 도킹 커넥터의 부분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부분에서) 도킹 리셉터클을 자동적으로 맞물림 해제(disengaging)시키는 것과 같은, 하기에 논의되는 작동을 수행하기 위해 로직, 명령어 및/또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는 클램쉘 구성의 (도 1로부터의) 전자 장치를 도시하며, 여기서 태블릿(10)은 제 1 구성(또는 포워드 구성)으로 도킹 커넥터(50)에(그리고 베이스(20)에) 도킹된다. 클램쉘 구성의 제 1 구성에서, 사용자는 (태블릿(10) 상의) 디스플레이(5) 및 베이스(20) 상의 키보드(22) 둘 모두를 관찰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전자 장치는 또한 통상 도킹 사용 구성(또는 모드)에 있는 것으로 여겨질 수 있으며, 여기서 디스플레이(5)는 사용자를 향하고, 키보드(22)는 사용자의 전방에 제공된다.
도 2b는 클램쉘 구성의 (도 1로부터의) 전자 장치를 도시하며, 여기서 태블릿(10)은 제 2 구성(또는 리버스 구성)으로 도킹 커넥터(50)(또는 베이스(20))에 도킹된다. 도 2b에 도시된 제 2 구성에서, 태블릿(10)의 디스플레이(5)는 사용자를 향하고 있을 수 있고, (베이스(20)의) 키보드(22)는 태블릿(10)의 배면 표면(rear surface) 뒤에 있을 수 있다. 태블릿(10)은 도킹 커넥터(50)에(그리고 베이스(20)에) 반대로 부착된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전자 장치는 반대로 된 도킹 사용 구성(또는 모드)에 있는 것으로 여겨질 수 있으며, 여기서 디스플레이(5)는 사용자를 향하고, 키보드(22)는 디스플레이(5) 뒤에 있다.
베이스(20)는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키보드(22)는 베이스(20)의 상부 표면에, 상부 표면 상에 또는 상부 표면 내에 제공될 수 있다. 터치 패드가 또한 베이스(20)의 상부 표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베이스(20)는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b는 또한 베이스(20)가 베이스(20)의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 사이의 개구인, 손잡이 개구(25)를 포함할 수 있음을 도시한다. 손잡이 개구(25)는 베이스(20)의 후방 에지 부근에 있을 수 있다. 손잡이 개구(25)는 사용자가 베이스(20)(및 태블릿(10)이 베이스(20)에 물리적으로 연결된 때 태블릿(10))를 쉽게 운반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손잡이 개구(25)는 또한 도킹 커넥터(50)가 (베이스(20) 및 태블릿(10)에 대해) 상이한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거나 피벗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도 2c는 컨버터블 구성(또는 컨버터블 사용 모드)의 전자 장치를 도시하며, 여기서 태블릿(10)은 도킹 커넥터(50)(및 베이스(20))에 반대로 도킹된다. 컨버터블 구성에서, (태블릿(10)의) 디스플레이(5)는 (베이스(10)의) 키보드(22)로부터 멀어지는 쪽을 향하고 있을 수 있다. 도 2c에서, 디스플레이(5)는 위쪽을 향하고 있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블릿(10)은 (베이스(20)의) 키보드(22)를 덮도록 충분히 피벗할 수 있으며, (태블릿(10)의) 디스플레이(5)는 전자 장치로부터 바깥쪽을 향할 수 있다.
도 2d는 컨버터블 구성의 전자 장치를 도시하며, 이때 디스플레이(5)는 키보드를 향해 아래쪽을 향하고 있다. 도 2d는 태블릿(10)의 배면(6)을 도시한다.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킹 커넥터를 도시한다. 다른 실시예 및 구성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킹 커넥터(100)의 부분을 도시한다. 도킹 커넥터(100)는 상기에 논의된 도킹 커넥터(50)에 대응할 수 있다. 도킹 커넥터(100)는 베이스(20)에 결합될 수 있고/있거나, 태블릿(1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킹 리셉터클과 같은) 도킹 커넥터의 다른 부분이 태블릿(10)에, 태블릿 상에, 또는 태블릿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도킹 커넥터(100)는 태블릿(10)과 베이스(20) 사이에 제공되어 태블릿(10)이 베이스(20)에 부착(또는 장착)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도킹 커넥터(100)는 도킹 커버(102)(또는 커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킹 커버(102)는 U-형상이어서 태블릿(10)을 U 형상 내에 수용할 수 있다. 도킹 커버(102)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태블릿(10)의 외측 에지(11)가 도킹 커버(102) 내에 수용되어, 태블릿(10)을 도킹 커넥터(100)에(그리고 베이스(20)에) 도킹시킬 수 있다(또는 장착할 수 있다).
도킹 커넥터(100)는 U-형상의 커버(102)의 제 1 단부에 제공된 제 1 단부 커넥터(104), 및 U-형상의 커버(102)의 제 2 단부에 제공된 제 2 단부 커넥터(106)를 포함할 수 있다. 단부 커넥터(104, 106)는 각각 베이스(20)에, 그리고 손잡이 개구(25) 부근의 영역에서 개별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단부 커넥터(104, 106)는 U-형상의 커버(10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 1 및 제 2 단부 커넥터(104, 106)는 베이스(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단부 커넥터(104, 106)는 도킹 커넥터(100)가 베이스(20)에 대해 피벗(또는 회전)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이는 도킹 커버(102)가 베이스(20)에 대해 기울어질 때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킹 커넥터(100)의) 도킹 커버(102)는, 태블릿(10)의 외측 에지(11)가 도킹 커버(102) 내에 수용되고 태블릿(10)이 전방 방향 또는 후방 방향으로 물리적으로 이동(또는 회전)될 때 피벗(또는 회전)할 수 있다.
도킹 커넥터(100)는 베이스(20)의 폭의 실질적으로 중심에 제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킹 커넥터(100)는 손잡이 개구(125)의 영역에, 그리고 베이스(20)의 중심 폭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도킹 커넥터(100)는 도킹 커버(102)의 중심 영역에 제공된 도킹 폴(1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킹 폴(110)은 또한 도킹 메커니즘 또는 도킹 플러그로 불릴 수 있다. 도킹 폴(110)은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킹 폴(110)은 U-형상의 커버(102)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킹 폴(110)은 박스-유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태블릿(10)이 도킹 폴(110)에(그리고/또는 베이스(20)에) 도킹(또는 장착)될 때, 태블릿(10)(및/또는 도킹 커넥터(100)의 다른 구성요소)의 일부분이 도킹 폴(110) 둘레에 제공될 수 있다.
도킹 커넥터(100)는 베이스(20)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단일 슬롯을 갖는 태블릿을 도시한다. 다른 실시예 및 구성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태블릿(10)이 태블릿(10)의 외측 에지(11)를 따른 슬롯(12)(또는 개구)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다. 외측 에지(11)는 또한 태블릿(10)의 하부 에지로 여겨질 수 있다. 도킹 커넥터(100) 및/또는 베이스(20) 내의(또는 그것과 연관된) 구성요소와의 전기적 및 물리적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전기 커넥터 및/또는 구성요소가 (태블릿(10)의) 슬롯(12)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슬롯(12)은 태블릿(10)의 외측 에지(11)의 중심 영역에 제공된 단일 슬롯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슬롯(12)은 슬롯(12) 내에 도킹 폴(110)(또는 다른 메커니즘)을 수용할 수 있으며, 태블릿(10)은 도킹 커넥터(100) 상으로 안내될 수 있다. 태블릿(10)이 도킹 커넥터(100)에 도킹(또는 장착)될 때, 도킹 폴(110)의 적어도 일부분이 (태블릿(10)의) 슬롯(12)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도킹 폴(110)은 태블릿(10)과 베이스(20) 사이의 전기적 및/또는 물리적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태블릿(10)은 태블릿(10)만이 사용자에 의해 직접 취급되는 태블릿 사용 모드로 제공(또는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최종적으로 도킹 폴(110)을 슬롯(12) 내로 제공(또는 안내)함으로써 태블릿(10)을 도킹 커넥터(100)에 도킹시킬 수 있다(또는 장착할 수 있다).
태블릿(10)이 도킹 커넥터(100)(또는 도킹 커넥터(50))에서 도킹될 때, 태블릿(10)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클램쉘 구성(또는 통상 사용 모드)으로 제공될 수 있다. 클램쉘 구성(또는 통상 사용 모드)에서, 태블릿(10)(및 도킹 커넥터(100))은 베이스(2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킹 커넥터(100)(또는 도킹 커넥터(50))를 통해 전기적 연결을 유지하는 동안, 태블릿(10)은 베이스(20)에 대해 회전(또는 피벗)할 수 있다.
전자 장치(또는 컴퓨터 시스템)는, 전자 장치가 (도 2a에서와 같이) 통상 사용 모드에 있을 때 그리고/또는 전자 장치가 (도 2b에서와 같이) 리버스 사용 모드에 있을 때, 태블릿(10)과 베이스(20) 사이의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도킹 커넥터(100)는 키보드, 터치패드, 백업 배터리 지원, USB 연결 등에 관련된 다양한 특징부 및 작동을 지원할 수 있다. 도킹 커넥터(100)는 또한 통상 사용 모드 및 리버스 사용 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실시예는 도킹 폴과 도킹 리셉터클 사이의 커넥터를 통합할 수 있다. 전기적 연결 및 물리적 연결이 도킹 폴과 도킹 리셉터클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도킹 리셉터클은, 또한 박스-유사 형상을 가질 수 있는 도킹 폴 둘레에 제공되도록 박스-유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킹 리셉터클은 도킹 리셉터클의 제 1 내측 표면(또는 면) 상의 제 1 복수의 전기 커넥터, 및 도킹 리셉터클의 제 2 내측 표면(또는 면) 상의 제 2 복수의 전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커넥터는 핀(또는 다른 타입의 커넥터)일 수 있으며, 이는 각자의 핀과 연관된 원하는 기능/작동에 기초하여 특정 순서로 배열 및 제공된다.
제 1 복수의 전기 커넥터의 핀 구성은, 태블릿(10)이 도킹 폴에(그리고 태블릿(10)에 대해) 통상의 방식으로 도킹(또는 장착)될 때, 태블릿(10)과 베이스(20)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 2 복수의 전기 커넥터의 핀 구성은, 태블릿(10)이 도킹 폴에(그리고 태블릿에 대해) 리버스 방식으로 도킹(또는 장착)될 때, 태블릿(10)과 베이스(20)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킹 폴 및 도킹 리셉터클을 도시한다. 다른 실시예 및 구성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도킹 폴(130) 및 도킹 리셉터클(160)을 도시한다. 도킹 폴(130)은 상기에 논의된 도킹 폴(110)에 대응할 수 있다.
도 5는 도킹 폴(130)로부터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도킹 리셉터클(160)을 도시한다. 도킹 폴(130) 및 도킹 리셉터클(160)은 도킹 커넥터의 구성요소로 여겨질 수 있다.
도킹 폴(130)은 지지 부재(132) 및 연장 부재(134)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132)는 도킹 커넥터(100)(또는 도킹 커넥터(50))와 같은 도킹 커넥터의 (도킹 커버(102)와 같은) 도킹 커버에 또는 도킹 커버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지지 부재(132)는 또한 도킹 커넥터(100)에 고정될 수 있어서, 지지 부재(132)가 도킹 커넥터(100)의 다른 구성요소와 함께 회전(또는 피벗)할 수 있다.
연장 부재(134)는 지지 부재(132)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 부재(134)는 지지 부재(132)에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다. 연장 부재(134)는 박스-유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장 부재(134)는 도킹 리셉터클(160)을 수용하고 이로써 물리적 및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킹 폴(110)의) 연장 부재(134)는 상기에 논의된 도킹 폴(110)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도 5는 제 1 외측 표면(133), 제 2 외측 표면, 제 3 외측 표면, 및 제 4 외측 표면을 포함한 4개의 외측 표면을 포함하는 박스-유사 형상을 갖는 도킹 폴(130)(및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장 부재(134))을 도시한다.
(도킹 폴(130)의) 연장 부재(134)는 연장 부재(134)의 제 1 외측 표면(133)(또는 제 1 측부 표면) 상의 복수의 전기 커넥터(13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전기 커넥터(135)는, 도킹 리셉터클(160)이 도킹 폴(110) 둘레에(또는 주위에) 제공될 때, 도킹 리셉터클(160)의 전기 커넥터와 물리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이는 베이스(20)와 태블릿(10) 사이의 전기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도킹 폴(130)의) 연장 부재(134)는 연장 부재(134)의 제 3 외측 표면(또는 제 3 측부 표면) 상의 복수의 전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 3 외측 면 상의 복수의 전기 커넥터는, 도킹 리셉터클(160)이 도킹 폴(110) 둘레에(또는 주위에) 제공될 때, 도킹 리셉터클의 전기 커넥터와 물리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이는 베이스(20)와 태블릿(10) 사이의 전기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도킹 리셉터클(160)의 적어도 일부분이 태블릿(10) 내에(또는 태블릿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킹 리셉터클(160)은 태블릿(10)의 외측 에지(11)에 제공될 수 있다. 도킹 리셉터클(160)은 태블릿(10)의 슬롯(12) 내에 또는 슬롯(12)(또는 개구)에 제공될 수 있다.
도킹 리셉터클(160)은 (4개의 내측 표면을 갖는) 박스-유사 형상을 가질 수 있어서, 도킹 리셉터클(160)의 박스-유사 형상이 도킹 폴(130)의 (4개의 외측 표면을 갖는) 박스-유사 형상을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킹 리셉터클(160)의 4개의 내측 표면 각각은, 도킹 리셉터클(160)이 도킹 폴(130)에 전기적으로 그리고/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때, 도킹 폴(130)의 4개의 외측 표면 중 상이한 하나의 외측 표면에 바로 인접할 수 있다. 이는 태블릿(10)과 베이스(20) 사이의 물리적 및/또는 전기적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도킹 리셉터클(160)이 제 1 내측 표면(161), (제 1 내측 표면(161)을 향하는) 제 2 내측 표면(163), 제 3 내측 표면, 및 (제 3 내측 표면을 향하는) 제 4 내측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킹 리셉터클(160)은 (도킹 리셉터클(160)의) 제 1 내측 표면(161) 상의 제 1 복수의 전기 커넥터(162), 및 (도킹 리셉터클(160)의) 제 2 내측 표면(163) 상의 제 2 복수의 전기 커넥터(16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내측 표면(161) 상의 제 1 복수의 전기 커넥터(162)는 접점 1, 접점 2, 접점 3, ... , 접점 8과 같은, (도 5에서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제 1 특정 순서로 제공될 수 있다. 제 2 내측 표면(163) 상의 제 2 복수의 전기 커넥터(164)는 제 1 특정 순서와 반대인, (도 5에서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제 2 특정 순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복수의 전기 커넥터(164)는 (도 5에서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접점 8, 접점 7, 접점 6, ... , 접점 1의 제 2 특정 순서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내측 표면(163) 상의) 제 2 복수의 전기 커넥터(164)의 순서는 (제 1 내측 표면(161) 상의) 제 1 복수의 전기 커넥터의 순서와 반대이다.
도킹 리셉터클(160)은 태블릿(10)에 결합(또는 부착)될 수 있다. 도킹 리셉터클(160)은 태블릿(10)과 동일한 방식으로 그리고 동시에 회전하고/하거나, 피벗하고/하거나, 기울어질 수 있다.
(제 1 방향으로 향하는 태블릿과 같은) 제 1 배열에서, 도킹 리셉터클(160)은 제 1 복수의 전기 커넥터(162)가 연장 부재(134)의 제 1 표면(133) 상의 복수의 전기 커넥터(135)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도킹 폴(130) 둘레에 제공될 수 있다. (제 2 방향으로 향하는 태블릿과 같은) 제 2 배열에서, 도킹 리셉터클(160)은 제 2 복수의 전기 커넥터(164)가 연장 부재(134)의 제 1 표면(133) 상의 복수의 전기 커넥터(135)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도킹 폴(130) 둘레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태블릿(10)은 제 1 배열(또는 구성)로부터 제 2 배열(또는 구성)로 변할 수 있으며, 도킹 리셉터클의 적절한 커넥터가 도킹 폴(130)의 복수의 전기 커넥터(135)에 연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도킹 리셉터클은 별개의 내측 표면 상에 2세트의 전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어서, 태블릿(10)은 베이스(20)에 대해 (또는 도킹 커넥터의 부품에 대해) 회전되거나 반대로 될 수 있으며, 태블릿(10)과 베이스(20) 사이에 적절한 통신이 제공(또는 허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는 리버시블(reversible) 도킹 기능을 갖는 단일-슬롯 중심 도킹 태블릿을 제공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태블릿(10)은 베이스(20)에 대해 포워드 구성으로, 또는 베이스(20)에 대해 리버스(또는 백워드(backward)) 구성으로 도킹(장착)될 수 있다. 전기적 연결이, 예를 들어, 포고 핀(pogo pin) 및/또는 스프링 핑거(spring finger)를 사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도킹 커넥터가, 도킹 커넥터에 대해 태블릿(10)을 유지하고 태블릿(10)이 클램쉘 구성 또는 컨버터블 구성 동안 쉽게 해제되지 않을 수 있음을 보장하기 위해, 로킹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킹 커넥터를 도시한다. 다른 실시예 및 구성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도킹 커넥터(200)의 부분을 도시한다. 도킹 커넥터(200)는 상기에 논의된 도킹 커넥터(50) 및/또는 도킹 커넥터(100)에 대응할 수 있다. 도킹 커넥터(200)는 베이스(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또는 피벗식으로 결합)될 수 있고/있거나, 태블릿(1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킹 리셉터클과 같은) 도킹 커넥터(200)의 다른 부분이 태블릿(10)에, 태블릿 상에, 또는 태블릿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도킹 커넥터(200)는 태블릿(10)과 베이스(20) 사이에 제공되어 태블릿(10)이 베이스(20)에 부착(또는 장착)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도킹 커넥터(200)는 도킹 커버(210)(또는 커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킹 커버(210)는 U-형상이어서 태블릿(10)을 U 형상 내에 수용할 수 있다. 도킹 커버(210)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210)는 상기에 논의된 커버(102)에 대응할 수 있다.
태블릿(10)의 외측 에지(11)가 커버(210) 내에 수용되어, 태블릿(10)을 도킹 커넥터(200)에(그리고 베이스(20)에) 도킹시킬 수 있다(또는 장착할 수 있다).
도킹 커넥터(200)는 베이스(20)의 폭의 실질적으로 중심에 제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킹 커넥터(200)는 손잡이 개구(125)의 영역에, 그리고 베이스(20)의 중심 폭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도킹 커넥터(200)는 커버(210)의 중심 영역에 제공된 도킹 폴(220)을 포함할 수 있다. 도킹 폴(220)은 또한 도킹 부재 또는 도킹 플러그로 불릴 수 있다. 도킹 폴(220)은 U-형상의 커버(210)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킹 폴(220)은 박스-유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태블릿(10)이 도킹 폴(220)에(그리고/또는 베이스(20)에) 도킹(또는 장착)될 때, 태블릿(10)(및/또는 도킹 커넥터(200)의 다른 구성요소)의 일부분이 도킹 폴(220) 둘레에 제공될 수 있다.
도킹 커넥터(200)는 커버(210)의 외측 표면 상에 해제 래치(release latch)(212)(또는 해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해제 래치는 또한 해제 버튼으로 불릴 수 있다. 해제 래치(212)는 도킹 커넥터(200)로부터(그리고/또는 베이스(20)로부터) 태블릿(10)을 연결해제시키기 위해 가압될 수 있다.
도 6은 또한 도킹 폴(220)의 상부 에지 표면 상의 복수의 전기 커넥터(225)를 도시한다. 복수의 전기 커넥터(225)는 포고 핀 커넥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커넥터(225)는 암형(female) 커넥터일 수 있다. 복수의 전기 커넥터(225)는, 예를 들어, 보드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도 8에 관해서 논의될 바와 같이, 도킹 폴(220) 상의 복수의 전기 커넥터(225)는 제 1 열(row)의 전기 커넥터 및 제 2 열의 전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또한 도킹 폴(220)의 제 1 측부 에지 상의 제 1 로크 후크(lock hook)(230)를 도시한다. 제 2 로크 후크가 도킹 폴(220)의 제 2 측부 에지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로크 후크는 도킹 폴(220) 아래로 안내되는 도킹 리셉터클에 기초하여 이동할 수 있다.
도 7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킹 커넥터의 부분을 도시한다. 도 7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킹 리셉터클을 도시한다. 다른 실시예 및 구성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도 7은 태블릿(10)에 제공될 수 있는 도킹 리셉터클의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이들 구성요소는 도킹 커넥터(200)의 구성요소에의(그리고 베이스(20)에의), 태블릿(10)의 도킹(또는 장착)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연성 인쇄 회로(flexible printed circuit, FPC) 플렉스(flex)(223)에 결합된 보드(222) 상의 복수의 전기 커넥터(221)를 포함할 수 있다. 도킹 리셉터클은 또한 지지 안내 부재(240)(또는 지지 홈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전기 커넥터(221)는 포고 핀 커넥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전기 커넥터(221)는 수형(male) 커넥터일 수 있다.
도 7은 태블릿(10) 외측에 그리고 분리된 방식으로 제공된 도킹 리셉터클을 도시한다. 그러나, 태블릿(10)에 장착될 때, 지지 안내 부재(240)는 태블릿(10)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공될 수 있고, 슬롯(12)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하기의 설명은 구성요소를, 마치 그 구성요소가 태블릿(10)에 결합된 것처럼, 기술할 수 있다.
지지 안내 부재(240)는 지지 부재(242) 및 연장 부재(244)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242)는 도킹 리셉터클을 지지하기 위해 태블릿(10)의 슬롯(12)(또는 개구)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지지 부재(242)는 태블릿(10)에 (예를 들어, 슬롯(12) 내측에) 물리적으로 결합(또는 부착)될 수 있다.
연장 부재(244)는 지지 부재(242)로부터 태블릿(10)의 슬롯(12)(또는 개구) 외측까지 연장될 수 있다. 연장 부재(244)는 지지 부재(242)에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다. 연장 부재(244)는 태블릿(10)이 도킹 커넥터(200)에 장착될 때 도킹 폴(220) 둘레에 또는 주위에 제공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연장 부재(244)는 (4개의 내측 표면을 갖는) 박스-유사 형상을 가질 수 있어서, 연장 부재(244)의 박스-유사 형상이 도킹 폴(220)의 (4개의 외측 표면을 갖는) 박스-유사 형상을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장 부재(244)의 4개의 내측 표면 각각은, 연장 부재(244)가 도킹 폴(220)에 전기적으로 그리고/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때, 도킹 폴(220)의 4개의 외측 표면 중 상이한 하나의 외측 표면에 바로 인접할 수 있다. 이는 태블릿(10)과 베이스(20) 사이의 물리적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커넥터(221)(및 FPC 플렉스(223))는 (지지 부재(242) 및 연장 부재(244)의 일부분을 통해를 비롯해) 지지 안내 부재(240)의 적어도 일부분을 통해 연장될 수 있어서, (도킹 리셉터클의) 복수의 커넥터(221)가 (도킹 폴(220) 상의) 복수의 커넥터(225)의 적어도 일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태블릿(10)에서의 도킹 리셉터클이 도킹 폴(220)에 결합될 때, 지지 안내 부재(240)는 도킹 폴(220) 둘레에(또는 주위에) 제공될 수 있다. 지지 안내 부재(240)는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지지되도록 태블릿(10)을 적절한 방향 및 배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지지 안내 부재(240)는 제 1 측부 상의 제 1 개구(243), 및 제 2 측부 상의 제 2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개구(243)는 (도킹 폴(220) 상의) 제 1 로크 후크(230)의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고, 제 2 개구는 (도킹 폴(220) 상의) 제 2 로크 후크의 일부분을 수용할 수 있다.
일단 지지 안내 부재(240)가 제 1 로크 후크(230)에 도달하면(도 7), 제 1 로크 후크(230)는 도킹 폴(22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지지 안내 부재(240)는 도킹 폴(220)에 대해 안쪽으로 제 1 로크 후크(230)를 밀어낼 수 있고, 지지 안내 부재(240)는 도킹 폴(220)에 대해 안쪽으로 제 2 로크 후크를 밀어낼 수 있다. 제 1 로크 후크(230) 및 제 2 로크 후크는, 제 1 로크 후크(230)가 (지지 안내 부재(240) 상의) 제 1 개구(243)에 제공되고 제 2 로크 후크(230)가 (지지 안내 부재(240) 상의) 제 2 개구에 제공될 때, 바깥쪽으로 이동하도록 스프링 로딩된다.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킹 커넥터를 도시한다. 다른 실시예 및 구성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도 6 및 도 7에 관하여 앞서 논의된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은 도킹 폴(220)이 보드(228) 상에 복수의 전기 커넥터(225)를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다. 복수의 전기 커넥터(225)는 보드(228) 상의 제 1 열(226)의 커넥터, 및 보드(228) 상의 제 2 열(227)의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열(226, 227)의 커넥터는, (도킹 리셉터클의) 커넥터(221)가 (도킹 폴(220) 상의) 제 1 열(226)의 커넥터 내로 또는 (도킹 폴(220) 상의) 제 2 열(227)의 커넥터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도킹 폴(220) 상에 제공된다.
도 8은 또한 도킹 폴(220) 상에 있는 또는 도킹 폴에 있는 제 1 로크 후크(230)(예를 들어, 우측 후크) 및 제 2 로크 후크(235)(예를 들어, 좌측 후크)를 도시한다. 제 1 및 제 2 로크 후크(230, 235)는, 지지 안내 부재(240)가 아래쪽으로 그리고 도킹 폴(220) 둘레로 이동될 때, 안쪽으로 밀어내질 수 있다.
도 8은 또한 도킹 폴(220) 내의 제 1 스프링(250)(제 1 로크 후크(230)에 대응함) 및 제 2 스프링(255)(제 2 로크 후크(235)에 대응함)을 도시한다. 제 1 스프링(250)은, 지지 안내 부재(240)의 제 1 개구(243)가 제 1 로크 후크(230)와 정렬될 때, 제 1 로크 후크(230)를 도킹 폴(220)로부터 바깥쪽으로 밀어내도록 힘을 가할 수 있다. 제 2 스프링(255)은, 지지 안내 부재(240)의 제 2 개구가 제 2 로크 후크(235)와 정렬될 때, 제 2 로크 후크(235)를 도킹 폴(220)로부터 바깥쪽으로 밀어내도록 힘을 가할 수 있다.
복수의 케이블(260)이 또한 도킹 폴(220)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케이블(260)은 베이스(20) 내의 구성요소와의 통신을 허용하도록 복수의 전기 커넥터(225)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도 8은 또한 폴 전면부(pole front)(272) 및 폴 배면부(pole back)를 포함하는 안내 플레이트(270)를 도시한다. 안내 플레이트(270)는 도킹 폴(220) 내에 또는 도킹 폴에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스크류(275)(또는 다른 장치)가 안내 플레이트(270)의 폴 전면부(272)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제 1 로크 후크(230) 및 제 2 로크 후크(235)가 (지지 안내 부재(240)에 의해) 안쪽으로 밀어내질 때, 안내 플레이트(270)는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도킹 폴(220)에 대한 도킹 리셉터클의 로킹을 해제할 수 있다. 태블릿(10)은 이에 의해 도킹 폴(220)로부터(그리고 베이스(20)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도킹 리셉터클(및 태블릿(10))이 도킹 폴(220)에 또는 도킹 폴에서 장착될 때, (도킹 리셉터클 상의) 복수의 전기 커넥터(221)는 도킹 커넥터(220) 상의 복수의 전기 커넥터(225)의 하나의 열과 접촉할 수 있다(또는 그것에 전기적으로 터치할 수 있다). 도킹 리셉터클이 도킹 폴(220)에 또는 도킹 폴에서 장착될 때, 도킹 폴(220) 상의 제 1 로크 후크(230) 및 제 2 로크 후크(235)는 자동적으로 도킹 폴(220)로부터 바깥쪽으로 튀어나와 지지 안내 부재(240)의 제 1 개구(243) 및 제 2 개구 내로 들어갈 수 있다. 이는 지지 안내 부재(240)를 도킹 폴(220)에 로킹시킬 수 있다. 따라서, 태블릿(10)은 도킹 커넥터(200)에 또는 도킹 커넥터에서(그리고 베이스(20)에) 장착될 수 있다.
도킹 커넥터(200)로부터 태블릿(10)(및 도킹 리셉터클)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자는 도킹 커버(210) 상의 해제 래치(212)(또는 해제 버튼)를 누를 수 있다. 이는 제 1 로크 후크(230) 및 제 2 로크 후크(235)가 자동적으로 도킹 폴(220) 내로 당겨지게(또는 삽입되게) 할 수 있다. 이는 도킹 커넥터(200)로부터 도킹 리셉터클의 로킹을 해제시킬 수 있다. 태블릿(10)(및 도킹 리셉터클)이 이어서 도킹 커넥터(200)로부터 당겨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 및/또는 도킹 커넥터는 볼-디텐트 메커니즘(ball-detent mechanism) 및 자기 래치(magnetic latch)(또는 자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작은 풋프린트(footprint)를 갖는 단일 슬롯 중심 도킹을 허용할 수 있다.
볼-디텐트 메커니즘은 이동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에 대해 일시 고정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이동 구성요소는 서로에 대해 활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 구체(sphere)와 같은 볼이 보어 형성된 원통 내에서 활주할 수 있다. 메커니즘의 다른 부품에 대해 볼을 밀어낼 수 있는 푸시-슬라이드(push-slide)의 압력에 대항하여, 메커니즘은 디텐트를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디텐트는 구멍, 슬롯, 또는 개구일 수 있다. 구멍이 원통과 일렬로 있는 경우, 볼은 활주의 압력 하에서 구멍 내로 부분적으로 들어갈 수 있으며, 이로써 구성요소를 그 위치에 유지한다.
도 9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킹 커넥터의 일부분 내로 도킹 커넥터(또는 태블릿)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것을 도시한다. 다른 실시예 및 구성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도 9는 (태블릿(10) 상의) 도킹 리셉터클(305)과 (베이스(20) 상의) 도킹 폴 메커니즘(300) 사이의 도킹의 중앙 평면의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화살표는 도킹 폴 메커니즘(300)을 향한 태블릿(10)의 이동을 나타낸다.
도킹 커넥터는 도킹 리셉터클(305) 및 도킹 폴 메커니즘(300)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도킹 리셉터클(305)은 태블릿(10)에 제공되고, 도킹 커넥터는 도킹 폴 메커니즘(300)(또는 도킹 폴)을 포함한다.
도 9는 태블릿(10)(및 도킹 리셉터클(305))이 도킹 폴 메커니즘(300)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삽입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킹 폴 메커니즘(300)의 구성요소는 상기에 논의된 바와 같은 도킹 커넥터(50)의 구성요소 및/또는 도킹 커넥터(100)의 구성요소에 대응할 수 있다. 도킹 폴 메커니즘(300)은 베이스(20)에 결합될 수 있고, 도킹 폴 메커니즘(300)은 태블릿(1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어서, 태블릿(10)이 도킹 커넥터(및/또는 베이스(20))에 대해 로킹된 상태(또는 상황) 또는 분리된 상태(또는 상황)에 있을 수 있다.
도킹 폴 메커니즘(300)은 도킹 커버에 제공될 수 있다. 도킹 커버는 U-형상일 수 있다. 도킹 커버(또는 도킹 커넥터)는 베이스(예를 들어, 베이스(2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도킹 폴 메커니즘(300)은 도킹 커버(U-형상)에 고정될 수 있고, 도킹 폴 메커니즘(300)은 도킹 커버(U-형상)에 대해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도킹 리셉터클(305)은 태블릿(10) 상에 또는 태블릿에 제공될 수 있다. 도킹 리셉터클(305)은 도킹 커넥터의 부품으로 여겨질 수 있다. 도킹 리셉터클(305)은, 태블릿(10)이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이동될 때, 도킹 폴 메커니즘(300)에 물리적으로 그리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킹 리셉터클(305)은 슬롯(350) 및 자기 장치(352)(또는 자기 블록)를 포함할 수 있다. 슬롯(350)은, 예를 들어, 도킹 폴 둘레에 또는 주위에(예를 들어, 도킹 폴 메커니즘 상에) 수용될 수 있다. 슬롯(350)은, 예를 들어, 금속 슬롯일 수 있다.
도킹 리셉터클(305) 및 도킹 폴 메커니즘(300)의 특징부가 도 10 및 도 11에 관해서 도시 및 기술될 수 있다.
도 10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킹 리셉터클(305) 및 도킹 폴 메커니즘(300)을 사용하여 도킹되는 태블릿(10)의 확대도이다. 다른 실시예 및 구성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도 10은 도킹 폴 메커니즘(300)의 구성요소 둘레에 또는 주위에, 예를 들어 도킹 폴 둘레에 또는 주위에 제공되는 슬롯(350)을 도시한다.
도킹 폴 메커니즘(300)은 도킹 폴 메커니즘(300)의 다른 구성요소를 지지할 수 있는 도킹 지지체(3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킹 지지체(340)는 베이스(20)에 장착될 수 있고/있거나, 베이스(20)에 대해 회전가능(또는 피벗가능)할 수 있다.
상기에 논의된 바와 같이, 도킹 폴 메커니즘(300)은, 베이스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도킹 커버에 제공될 수 있다.
도킹 폴 메커니즘(300)은, 도킹 커버에 장착될 수 있는 도킹 지지체(340) 상에(또는 내에) 제공된 도킹 폴(3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킹 폴(330)은 또한 도크(dock) 또는 도크 포트(dock port)로 불릴 수 있다. 도킹 폴(330)은 내측 표면을 포함하는 박스-유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킹 폴(330)은 지지 부재(332) 및 연장 부재(334)를 포함할 수 있다. 도킹 폴(330)(또는 도크)은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지지 부재(332)는 도킹 폴 메커니즘(300)을 지지하기 위해 도킹 지지체(340) 내에 부분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킹 지지체(340)는 베이스에 대해 회전하는 도킹 커버의 부품으로 여겨질 수 있다.
연장 부재(334)는 지지 부재(332)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 부재(334)는 지지 부재(332)에 실질적으로 수직일 수 있다. 연장 부재(334)는 내측 표면을 포함하는 박스-유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킹 폴 메커니즘(300)의) 연장 부재(334)는 도킹 리셉터클(305)을 수용하고 이로써 물리적 및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킹 폴(330)의) 연장 부재(334)의 구성요소는 상기에 논의된 도킹 폴(110)의 구성요소 및/또는 연장 부재(134)의 구성요소에 대응할 수 있다.
도킹 폴 메커니즘(300)은 또한 도킹 폴(330) 내에 제공된 슬라이더(slider)(32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320)는, 예를 들어, 철로 제조될 수 있다. 슬라이더(320)는 자력(magnetic force)에 기초하여 그리고/또는 중력에 의해 도킹 폴(330) 내에서 위쪽으로 그리고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킹 리셉터클(305)의) 자기 장치(352)는 슬라이더(320)를 자기적으로 끌어당길 수 있다. 자기 장치(352)는 슬라이더(320)가 자기 장치(352)와 슬라이더(320) 사이의 자력에 기초하여 자기 장치(352)를 향해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도킹 폴 메커니즘(300)은 연장 부재(334)의 제 1 표면 내에 또는 제 1 표면에 제공된 제 1 볼(310), 및 연장 부재(334)의 제 2 표면 내에 또는 제 2 표면에 제공된 제 2 볼(3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볼(310, 315)은,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강 볼일 수 있다.
슬라이더(320)는 이 슬라이더(320)의 제 1 측부 상에 제 1 슬롯(322) 및 제 1 돌출부(321)를 포함한다. 제 1 돌출부(321)는 슬라이더(320) 상의 제 1 슬롯(322) 바로 아래에 있을 수 있다. 슬라이더(320)는 또한 슬라이더(320)의 제 2 측부 상에 제 2 슬롯(324) 및 제 2 돌출부(323)를 포함한다. 제 2 돌출부(323)는 슬라이더(320) 상의 제 2 슬롯(324) 바로 아래에 있을 수 있다.
도 10은 슬라이더(320)의 제 1 슬롯(322)에 또는 부분적으로 제 1 슬롯 내에 제공된 제 1 볼(310), 및 슬라이더(320)의 제 2 슬롯(324)에 또는 부분적으로 제 2 슬롯 내에 제공된 제 2 볼(315)을 도시한다.
(도킹 리셉터클(305)의) 슬롯(350)이 (도킹 폴(330)의) 연장 부재(334)에 의해 아래쪽으로 안내됨에 따라, 자기 장치(352)와 슬라이더(320)는 점점 더 가까워질 수 있다. 자기 장치(352)와 슬라이더(320) 사이의 자력이 슬라이더(320)를 위쪽 방향으로 자기 장치(352)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자기 장치(352)는 슬라이더(320)를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작동시키는(또는 그렇도록 야기하는) 자동적 힘을 생성할 수 있다. 슬라이더(320)의 위쪽으로의 이동은 제 1 돌출부(321)가 제 1 볼(310)을 (제 1 슬롯(322)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밀어내게 하고, 제 2 돌출부(323)가 제 2 볼(315)을 (제 2 슬롯(324)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밀어내게 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돌출부(321)는 도킹 폴(320)의 에지(325)에 맞닿을 수 있고 제 2 돌출부(323)는 도킹 폴(320)의 에지(327)에 맞닿을 수 있으며, 이는 (태블릿(10)의) 도킹 리셉터클(305)을 도킹 폴 메커니즘(300)에(그리고 베이스(20)에) 로킹시킬 수 있다.
도 1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로킹된 구성(또는 로킹된 상태)의 태블릿(10)을 도시한다. 다른 실시예 및 구성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1은 슬라이더(320)가 (도킹 리셉터클(305)의) 자기 장치(352)와 슬라이더(320) 사이의 자력으로 인해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위쪽으로 이동된 것을 도시한다. 도 11은 또한 (슬라이더(320)의) 제 1 돌출부(321)에 의해 바깥쪽으로(좌측을 향하는 화살표로 도시됨) 밀어내진 제 1 볼(310), 및 (슬라이더(320)의) 제 2 돌출부(323)에 의해 바깥쪽으로(우측을 향하는 화살표로 도시됨) 밀어내진 제 2 볼(315)을 도시한다. 태블릿(10)은 로킹된 구성(또는 로킹된 상태 또는 로킹된 상황)에 있는 것으로 여겨질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제 1 돌출부(321)가 도킹 폴(320)의 에지(325)에 맞닿고 제 2 돌출부(323)가 도킹 폴(320)의 에지(327)에 맞닿기 때문이다.
도 11은 자기 장치(352)가 자동적으로 슬라이더(320)를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위쪽으로 작동시킬 수 있음을 도시한다. 제 1 및 제 2 볼(310, 315)은 슬라이더(320)(즉, 제 1 및 제 2 돌출부(321, 323))에 의해 바깥쪽으로 밀어내져 태블릿(10)을 (예를 들어, 베이스(20)에) 로킹시킬 수 있다.
도 1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킹 커넥터로부터의, 도킹 커넥터(또는 태블릿)의 일부분의 해제를 도시한다. 다른 실시예 및 구성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12는 도킹 커넥터(예를 들어, 도킹 폴)로부터의 도킹 리셉터클의 해제를 도시한다.
태블릿(10)의 해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슬라이더(320)에 부착된 버튼(328)(또는 해제 버튼)이 눌러질 수 있으며, 이는 슬라이더(320)가, 아래쪽을 향하는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 장치(352)로부터 멀어지도록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한다. 이는 제 1 볼(310)이 (슬라이더(320)의) 제 1 슬롯(322) 내로 되돌아가게(또는 부분적으로 복귀하게) 하고, 제 2 볼(315)이 (슬라이더(320)의) 제 2 슬롯(324) 내로 되돌아가게(또는 부분적으로 복귀하게) 할 수 있다.
슬라이더(320)가 버튼(380)의 누름에 기초하여(또는 다른 타입의 입력에 기초하여) 아래쪽으로(아래쪽으로의 화살표로 도시됨) 이동되면, 제 1 및 제 2 볼(310, 315)은 자유 이동을 가지며, 이는 (태블릿(10) 상의) 도킹 리셉터클(305)이 자동적으로 도킹 폴 메커니즘(300)으로부터(그리고/또는 베이스(20)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도록 허용한다.
도 12는 버튼(328)(또는 다른 타입의 입력부)이 눌러질 수 있고(또는 아래로 가압될 수 있고) 슬라이더(320)가 아래쪽으로 당겨질 수 있음을 도시한다. 제 1 및 제 2 볼(310, 315)은 도킹 폴(320)의 벽의 안쪽으로(좌측 및 우측 화살표로 도시됨) 자유롭게 복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태블릿(10)은 도킹 폴(320)로부터(그리고 베이스(20)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실시예는 전자기 볼 디텐트 메커니즘과 함께 터치 패널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베이스(또는 도킹 커넥터)로부터의 태블릿 해제를 제공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한 손 도킹 및/또는 한 손 해제를 허용할 수 있다.
도 13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킹 커넥터를 도시한다. 도 13은 또한 로킹된 구성(또는 로킹된 상태 또는 로킹된 상황)의 태블릿(10)을 도시한다. 다른 실시예 및 구성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3은 도 10 내지 도 12에 관해서 상기에 논의된 것과 유사한 구성요소를 도시한다. 도 13은 또한 도킹 리셉터클(305)이, 예를 들어, 배터리(또는 다른 전원)로부터 전력을 수신하기 위한 전자기(electric magnetic, EM) 구성요소(380)(또는 EM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13은 전력이 (EM 구성요소(380)에 대해) 차단되어서, 슬라이더(320)가 자기 장치(352) 쪽으로 위쪽으로 자기적으로 끌어당겨질 수 있는 때의 전자기 구성요소(380)의 예를 도시한다. 위쪽으로의 화살표는 자기 블록(352)을 향한 슬라이더(320)의 위쪽으로의 이동을 나타낸다.
태블릿(10)의 로킹된 구성(또는 로킹된 상태)에서, 전자기 구성요소(380)는 전력 차단(즉, 전력이 공급되지 않음)될 수 있다. 도 13은 위쪽 위치에 있는 슬라이더(320)를 도시하며, 이는 제 1 돌출부(321)가 제 1 볼(310)을 (좌측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바깥쪽으로 밀어내게 하고, 제 2 돌출부(323)가 제 2 볼(315)을 (우측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바깥쪽으로 밀어내게 한다. 태블릿(10)은 도킹 폴(320)의 에지(325)에 맞닿는 제 1 돌출부(321), 및 도킹 폴(320)의 에지(327)에 맞닿는 제 2 돌출부(323)에 기초하여 로킹될 수 있다(또는 로킹된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전자기 구성요소(380)가 전력을 공급받지 않기 때문에, 자기 장치(352)는 슬라이더(320)를 위쪽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로직 및/또는 프로그램이 다양한 작동, 예를 들어 EM 구성요소(380)에 전력 공급 또는 차단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명령어는 입력의 타입에 기초하여 일어날 수 있다. 명령어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에 제공될 수 있고/있거나, 프로세서 또는 다른 장치에 의해, 예를 들어 태블릿(10)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4는 전자 장치의 정면도이며, 여기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킹 구성요소의 구성요소로부터의 태블릿(10)의 해제(또는 맞물림 해제)를 제공하기 위해 이미지(또는 아이콘)가 태블릿(10)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다른 실시예 및 구성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도 14는 로킹된 상태(또는 위치)로부터 해제(또는 맞물림 해제)되는 태블릿(10)을 도시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블릿(10)은 디스플레이(5)로서 터치 패널(400)(또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400)은 도킹 커넥터로부터 태블릿(10)을 해제(맞물림 해제)시키기 위한 이미지(410)(또는 아이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미지(410)는 해제 이미지로 불릴 수 있다.
사용자는 터치 패널(400) 상의 아이콘(410)을 터치하고(또는 그것과 접촉하고), 터치 패널(400) 위에서 슬라이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손가락(420)을 사용해 이미지(410)(또는 아이콘)를 터치하고(또는 그것과 접촉하고), 여전히 터치 패널(400)과 접촉하고 있는 동안 이미지(410)로부터 위쪽으로 손가락(420)을 활주시킬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도킹 커넥터의 도킹 폴로부터(그리고 베이스(20)로부터) 태블릿(10)(또는 도킹 리셉터클)을 해제(또는 맞물림 해제)시킬 수 있다. 이 동작은 태블릿(10) 내에 제공된(또는 제공될) 로직, 명령어, 또는 코드에 기초하여 일어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손가락(420)이 이미지(410)를 위쪽으로 활주시킨 후에(또는 손가락(420)이 이미지(410)로부터 위쪽으로 이동한 후에),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태블릿(10) 내)는 전자기 구성요소(380)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하드웨어에 신호를 제공하고, 이로써 원래의 자기 장치 힘과 같거나 그보다 큰 전자력을 생성할 수 있다. 태블릿(10) 내의 로직, 코드 및/또는 명령어가 신호를 자동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슬라이더(320)가 자기 장치(352)로부터의 양력(lift force)을 상실하고, 슬라이더(320)가 중력으로 인해 자동적으로 아래쪽으로 낙하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 이는 하기에 논의되는 볼 디텐트를 자유롭게 할 수 있고, 태블릿(10)(또는 도킹 리셉터클)이 도킹 커넥터의 도킹 폴의 구성요소로부터(그리고/또는 베이스(20)로부터) 해제(또는 맞물림 해제)될 수 있다.
전자기 구성요소(380)는 자기 장치(352)와 슬라이더(320) 사이의 자력보다 강한 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전원 장치가 전자기 구성요소(38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전력이 전자기 구성요소(380)에 공급되면, 슬라이더(320)가 자기 장치(352)로부터 해제(또는 맞물림 해제)되고 (예를 들어, 중력에 의해) 자기 장치(352)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태블릿(10)은 이미지(410)(또는 해제 이미지)에 관해서 디스플레이(또는 터치 패널(400)) 상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에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전력이 전자기 구성요소에 제공(또는 공급)될 수 있고, 슬라이더(320)가 자기 장치(352)로부터 해제(또는 맞물림 해제)되고 (예를 들어, 중력에 의해) 자기 장치(352)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로직이 하드웨어에 기초하여 실행되어 디스플레이에서의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도킹 커넥터로부터 도킹 리셉터클을 자동적으로 맞물림 해제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명령어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제공될 수 있다. 명령어는 디스플레이 상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한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부분을 베이스 부분으로부터 자동적으로 맞물림 해제시킬 수 있다.
도 1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킹 커넥터의 일부분으로부터의, 도킹 커넥터(또는 태블릿)의 일부분의 해제를 도시한다. 다른 실시예 및 구성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도 15는 또한, 예를 들어 전원 장치로부터 전력 공급되는 전자기 구성요소(380), 및 (아래쪽으로의 화살표에 의해 도시된) 중력으로 인해 자동적으로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320)의 예를 도시한다.
한 손가락 동작을 사용해 태블릿(10)을 해제시키기 위해 다른 동작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킹 폴(320)로부터 (태블릿(10) 상의) 도킹 리셉터클(305)을 해제시키기 위해 터치 패널(400) 상에서 직선 활주 운동 또는 회전 동작을 사용할 수 있다. 베이스로부터 태블릿(10)을 해제시키기 위해 물리적 스위치 또는 버튼이 또한 태블릿(10)의 상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사용자는 태블릿(10)(또는 도킹 리셉터클)을 해제(또는 맞물림 해제)시키기 위해 지문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6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에서의 도킹 커넥터의 일부분을 도시한다. 도 17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도킹 커넥터의 일부분을 도시한다. 도 18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태블릿에서의 도킹 커넥터의 일부분을 도시한다. 다른 실시예 및 구성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6 및 도 17은 도킹 커넥터(500)의 부분을 도시한다. 도킹 커넥터(500)는 상기에 논의된 도킹 커넥터 중 임의의 것에 대응할 수 있다. 도킹 커넥터(500)는 베이스(20)에 대해 회전하거나 피벗할 수 있다. (도킹 리셉터클과 같은) 도킹 커넥터(500)의 다른 부분이 태블릿(10)에, 태블릿(10) 상에, 또는 태블릿(10)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도킹 커넥터(500)는 태블릿(10)과 베이스(20) 사이에 제공되어 태블릿이 베이스(20)에 부착(또는 장착)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도킹 커넥터(500)는 커버(502)(또는 커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502)는 U-형상이어서 태블릿을 U 형상 내에 수용할 수 있다. 커버(502)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8은 태블릿(10)의 외측 에지(11)를 도시한다. 태블릿(10)의 외측 에지(11)가 커버(502) 내에 수용되어, 태블릿(10)을 도킹 커넥터(500)에(그리고 베이스(20)에) 도킹시킬 수 있다(또는 장착할 수 있다).
커버(502)는 베이스(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커버(502)는 베이스(20)에 대해 피벗(또는 회전)할 수 있다. 이는 커버(502)가 베이스(20)에 대해 기울어질 때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킹 커넥터(500)의) 커버(502)는, 태블릿(10)의 외측 에지(11)가 커버(502) 내에 수용되고 태블릿(10)이 전방 방향 또는 후방 방향으로 물리적으로 이동(또는 회전)될 때 피벗(또는 회전)할 수 있다.
도킹 커넥터(500)는 베이스(20)의 폭의 실질적으로 중심에 제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킹 커넥터(500)는 손잡이 개구의 영역에, 그리고 베이스(20)의 중심 폭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도킹 커넥터(500)는 제 1 도킹 폴(530), 복수의 커넥터(510), 및 제 2 도킹 폴(54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커넥터(510)는 도킹 리셉터클 상의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포고 핀일 수 있다. 제 1 도킹 폴(530)은 복수의 커넥터(510)의 제 1 단부(또는 제 1 측부)에 있을 수 있고, 제 2 도킹 폴(540)은 복수의 커넥터(510)의 제 2 단부(또는 제 2 측부)에 있을 수 있다.
제 1 도킹 폴(530)은 U-형상의 커버(502)(또는 도킹 커버)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2 도킹 폴(540)은 U-형상의 커버(502)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1 도킹 폴(530)은 (복수의 커넥터(5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 1 도킹 폴(530)의 외측 에지로부터 연장되는 제 1 후크(5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도킹 폴(540)은 (복수의 커넥터(5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 2 도킹 폴(540)의 외측 에지로부터 연장되는 제 2 후크(5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또한 해제 버튼과 같은 버튼(520)을 도시한다. 버튼(520)의 누름은 제 1 후크(532) 및 제 2 후크(542)가 도킹 리셉터클로부터 해제/맞물림 해제되게(또는 구부러지게) 한다. 이 맞물림 해제는 태블릿(10) 내의(또는 태블릿(10) 내에 제공될) 로직, 코드 또는 명령어에 기초한 다른 동작에 기초하여 일어날 수 있다.
도 18은 태블릿(10)의 외측 에지(11) 상에 제공된 도킹 리셉터클(550)을 도시한다. 도킹 리셉터클은 제 1 후크 리셉터클(570), 제 2 후크 리셉터클(580), 및 제 1 후크 리셉터클(570)과 제 2 후크 리셉터클(580) 사이의 복수의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킹 리셉터클(550)은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맞물려 베이스(20)와 태블릿(1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후크 리셉터클(570)은 제 1 도킹 폴(530)을 수용할 수 있고, 제 1 후크(532)는 제 1 후크 리셉터클(570) 내부의 에지와 맞물릴 수 있다. 제 2 후크 리셉터클(580)은 제 2 도킹 폴(540)을 수용할 수 있고, 제 2 후크(542)는 제 2 후크 리셉터클(580) 내부의 에지와 맞물릴 수 있다. (커버(502) 상의) 복수의 커넥터(510)는 (도킹 리셉터클(550) 상의) 복수의 커넥터(5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버튼(520)(또는 다른 타입의 입력부)의 누름(또는 내리누름) 시에, 제 1 후크(532)는 제 1 후크 리셉터클(570) 내의 에지로부터 맞물림 해제될 수 있고, 제 2 후크(542)는 제 2 후크 리셉터클(580) 내의 에지로부터 맞물림 해제될 수 있다. 이어서, 태블릿(10)이 베이스(20)로부터 들어올려질 수 있다. 도킹 리셉터클은 입력에 기초하여 도킹 커넥터로부터 자동적으로 맞물림 해제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들)는, 버튼(520)(또는 다른 타입의 입력부)을 밀어내고 이어서 태블릿(10)을 당겨 빼냄으로써, 태블릿(10)의 한 손 제거를 허용할 수 있다.
실시예는 베이스 부분, 디스플레이 부분, 및 도킹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분은 입력 장치를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부분은 디스플레이, 복수의 제 2 커넥터를 갖춘 도킹 리셉터클을 갖는다. 도킹 커넥터는 베이스 부분에 대해 이동한다. 도킹 커넥터는 도킹 커넥터로부터 연장되고 도킹 리셉터클과 맞물리는 제 1 도킹 폴, 및 복수의 제 1 전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 2 전기 커넥터는 도킹 리셉터클의 제 1 내측 표면에 있는 제 1 세트의 커넥터, 및 도킹 리셉터클의 제 2 내측 표면에 있는 제 2 세트의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킹 리셉터클의 제 1 내측 표면에 있는 제 1 세트의 커넥터는, 도킹 리셉터클이 제 1 구성으로 제 1 도킹 폴에 제공될 때, 제 1 도킹 폴의 측부 표면에 있는 복수의 제 1 전기 커넥터와 접촉할 수 있다. 도킹 리셉터클의 제 2 내측 표면에 있는 제 2 세트의 커넥터는, 도킹 리셉터클이 제 2 구성으로 제 1 도킹 폴에 제공될 때, 제 1 도킹 폴의 측부 표면에 있는 복수의 제 1 전기 커넥터와 접촉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 전기 커넥터는 제 1 도킹 폴의 에지 표면에 있는 제 1 세트의 커넥터, 및 제 1 도킹 폴의 에지 표면에 있는 제 2 세트의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킹 리셉터클에 있는 복수의 제 2 전기 커넥터는, 도킹 리셉터클이 제 1 구성으로 제 1 도킹 폴에 제공될 때, 제 1 도킹 폴의 에지 표면에 있는 제 1 세트의 커넥터와 접촉할 수 있고, 도킹 리셉터클에 있는 복수의 제 2 전기 커넥터는, 도킹 리셉터클이 제 2 구성으로 제 1 도킹 폴에 제공될 때, 제 1 도킹 폴의 에지 표면에 있는 제 2 세트의 커넥터와 접촉할 수 있다.
제 2 도킹 폴이 도킹 커넥터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복수의 제 1 전기 커넥터가 제 1 도킹 폴과 제 2 도킹 폴 사이에 있을 수 있다.
도킹 커넥터에 있는 해제 버튼이 도킹 리셉터클을 제 1 도킹 폴 및 제 2 도킹 폴로부터 해제시킬 수 있다.
제 1 도킹 폴은 제 1 래치 후크를 포함할 수 있고, 제 2 도킹 폴은 제 2 래치 후크를 포함한다. 해제 버튼에서의 작용에 응답하여, 제 1 래치 후크가 도킹 리셉터클로부터 맞물림 해제될 수 있고, 제 2 래치 후크가 도킹 리셉터클로부터 맞물림 해제될 수 있다.
슬라이더가 제 1 도킹 폴에 대해 이동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볼이 슬라이더의 이동에 기초하여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더는 이 슬라이더가 제 1 도킹 폴에 대해 이동할 때 적어도 하나의 볼을 제 1 방향으로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 1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고, 볼은 도킹 리셉터클이 제 1 도킹 폴로부터 맞물림 해제될 때 제 2 방향으로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도킹 리셉터클은 자기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자기 장치는 슬라이더가 자기 장치와 슬라이더 사이의 자력에 기초하여 자기 장치를 향해 이동하게 한다.
도킹 리셉터클은 자기 장치와 슬라이더 사이의 자력보다 강한 자력을 제공하는 전자기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장치가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전력이 전자기 구성요소에 공급될 때, 슬라이더는 자기 장치로부터 해제되고 자기 장치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해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부분은 해제 이미지에 대한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로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에서 터치 입력을 수신함에 응답하여, 전력이 전자기 구성요소에 제공될 것이고 슬라이더가 자기 장치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할 것이다.
실시예는 베이스 부분, 디스플레이 부분, 및 도킹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부분은 입력 장치를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부분은 디스플레이, 도킹 리셉터클, 및 복수의 제 2 전기 커넥터를 가질 수 있다. 도킹 커넥터는 베이스 부분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도킹 커넥터는 도킹 폴, 도킹 폴에 대해 이동하는 슬라이더, 및 슬라이더의 이동에 기초하여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볼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는 슬라이더가 도킹 폴에 대해 이동할 때 적어도 하나의 볼을 제 1 방향으로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볼은 도킹 리셉터클이 도킹 폴로부터 맞물림 해제될 때 제 2 방향으로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도킹 리셉터클은 자기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자기 장치는 슬라이더가 자기 장치와 슬라이더 사이의 자력에 기초하여 자기 장치를 향해 이동하게 한다.
도킹 리셉터클은 자기 블록과 슬라이더 사이의 자력보다 강한 자력을 제공하는 전자기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장치가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전력이 전자기 구성요소에 공급될 때, 슬라이더는 자기 장치로부터 해제되고 자기 장치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해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부분은 해제 이미지에 대한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로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에의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전력이 전자기 구성요소에 제공될 것이고 슬라이더가 자기 장치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할 것이다.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를 갖는 베이스 부분, 디스플레이를 갖고, 복수의 제 2 전기 커넥터를 갖춘 도킹 리셉터클을 갖는 디스플레이 부분, 베이스 부분에 대해 이동하고, 복수의 제 1 전기 커넥터를 갖는 도킹 커넥터, 및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도킹 리셉터클을 도킹 커넥터로부터 자동적으로 맞물림 해제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킹 커넥터는 도킹 폴, 도킹 폴에 대해 이동하는 슬라이더, 및 슬라이더의 이동에 기초하여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볼을 포함할 수 있다.
도킹 리셉터클은 자기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자기 장치는 슬라이더가 자기 장치와 슬라이더 사이의 자력에 기초하여 자기 장치를 향해 이동하게 한다.
도킹 리셉터클은 자기 장치와 슬라이더 사이의 자력보다 강한 자력을 제공하는 전자기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입력 장치를 갖는 베이스 부분, 디스플레이를 갖고, 복수의 제 2 전기 커넥터를 갖춘 도킹 리셉터클을 갖는 디스플레이 부분, 베이스 부분에 대해 이동하고, 복수의 제 1 전기 커넥터를 갖는 도킹 커넥터, 및 디스플레이에서의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도킹 리셉터클을 도킹 커넥터로부터 자동적으로 맞물림 해제시키는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도킹 리셉터클은 자기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자기 장치는 도킹 커넥터의 슬라이더가 자기 장치와 슬라이더 사이의 자력에 기초하여 자기 장치를 향해 이동하게 한다.
도킹 리셉터클은 자기 장치와 슬라이더 사이의 자력보다 강한 자력을 제공하는 전자기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베이스 부분, 디스플레이 부분, 및 베이스 부분에 대해 이동하는 도킹 커넥터를 갖는 전자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다. 명령어는 디스플레이 부분의 디스플레이 상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고,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 대한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부분을 베이스 부분으로부터 자동적으로 맞물림 해제시키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부분은 도킹 리셉터클에 전력을 제공함으로써 베이스 부분으로부터 맞물림 해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실시예", "실시예", "예시적인 실시예" 등에 대한 임의의 언급은, 그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특정 특징부, 구조,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내 다양한 곳에서의 그러한 문구의 출현이 반드시 모두 동일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정 특징부, 구조, 또는 특성이 임의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될 때, 실시예 중 다른 실시예와 관련하여 그러한 특징부, 구조, 또는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당업자의 이해 범위 내에 있다고 생각된다.
실시예가 그것의 다수의 예시적인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원리의 사상 및 범위 내에 속할 수많은 다른 변경 및 실시예가 당업자에 의해 안출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내용, 도면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주제 조합 배열의 구성요소 부분 및/또는 배열에 있어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구성요소 부분 및/또는 배열에 있어서의 변형 및 변경에 더하여, 대안 사용이 또한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3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입력 장치를 갖는 베이스 부분(base portion);
    디스플레이, 및 복수의 제 2 전기 커넥터를 갖춘 도킹 리셉터클(docking receptacle)을 갖는 디스플레이 부분으로서, 상기 도킹 리셉터클은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을 갖는 박스 형상을 갖고, 상기 도킹 리셉터클의 내측 표면은 내측 측부 표면 및 내측 단부 표면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제 2 전기 커넥터는 상기 도킹 리셉터클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내측 측부 표면 상에 제공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부분; 및
    상기 베이스 부분에 대해 이동하는 도킹 커넥터(docking connector)를 포함하고,
    상기 도킹 커넥터는,
    상기 도킹 커넥터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도킹 리셉터클과 맞물리는 제 1 도킹 폴(docking pole)로서, 상기 제 1 도킹 폴은 외측 측부 표면 및 외측 단부 표면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도킹 폴, 및
    상기 제 1 도킹 폴의 적어도 하나의 상기 외측 측부 표면 상의 복수의 제 1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제 1 도킹 폴의 상기 하나의 상기 외측 측부 표면 상의 상기 복수의 제 1 전기 커넥터는 상기 도킹 리셉터클의 내측 측부 표면 상의 상기 복수의 제 2 전기 커넥터와 각각 접촉하는, 상기 복수의 제 1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2 전기 커넥터는 상기 도킹 리셉터클의 제 1 내측 측부 표면에 있는 제 1 세트의 커넥터, 및 상기 도킹 리셉터클의 제 2 내측 측부 표면에 있는 제 2 세트의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리셉터클의 제 1 내측 측부 표면에 있는 상기 제 1 세트의 커넥터는, 상기 도킹 리셉터클이 제 1 구성으로 상기 제 1 도킹 폴에 제공될 때, 상기 제 1 도킹 폴의 외측 측부 표면에 있는 상기 복수의 제 1 전기 커넥터와 접촉하고,
    상기 도킹 리셉터클의 제 2 내측 측부 표면에 있는 상기 제 2 세트의 커넥터는, 상기 도킹 리셉터클이 제 2 구성으로 상기 제 1 도킹 폴에 제공될 때, 상기 제 1 도킹 폴의 외측 측부 표면에 있는 상기 복수의 제 1 전기 커넥터와 접촉하는
    전자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전기 커넥터는 상기 제 1 도킹 폴의 상부 에지 표면 상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 1 전기 커넥터는 제 1 세트의 커넥터 및 제 2 세트의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세트의 커넥터는 상기 제 1 도킹 폴의 상부 에지 표면에 있는 제 1 열에 배치되는 복수의 커넥터이고, 상기 제 2 세트의 커넥터는 상기 제 1 도킹 폴의 상부 에지 표면에 있는 제 2 열에 배치되는 복수의 커넥터이고, 상기 제 1 열의 커넥터는 상기 제 2 열의 커넥터에 평행한
    전자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리셉터클에 있는 상기 복수의 제 2 전기 커넥터는, 상기 도킹 리셉터클이 제 1 구성으로 상기 제 1 도킹 폴에 제공될 때, 상기 제 1 도킹 폴의 상기 상부 에지 표면에 있는 상기 제 1 세트의 커넥터와 접촉하고,
    상기 도킹 리셉터클에 있는 상기 복수의 제 2 전기 커넥터는, 상기 도킹 리셉터클이 제 2 구성으로 상기 제 1 도킹 폴에 제공될 때, 상기 제 1 도킹 폴의 상기 상부 에지 표면에 있는 상기 제 2 세트의 커넥터와 접촉하는
    전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커넥터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도킹 리셉터클과 맞물리는 제 2 도킹 폴과, 상기 도킹 리셉터클을 상기 제 1 도킹 폴 및 상기 제 2 도킹 폴로부터 해제시키기 위한, 상기 도킹 커넥터에 있는 해제 버튼(release button)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제 1 전기 커넥터는 상기 제 1 도킹 폴과 상기 제 2 도킹 폴 사이에 있고, 상기 제 1 전기 커넥터는 상기 도킹 리셉터클의 상기 제 2 전기 커넥터와 맞물리는
    전자 장치.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킹 폴은 제 1 래치 후크(latch hook)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도킹 폴은 제 2 래치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해제 버튼에서의 작용에 응답하여, 상기 제 1 래치 후크가 상기 도킹 리셉터클로부터 맞물림 해제되고 상기 제 2 래치 후크가 상기 도킹 리셉터클로부터 맞물림 해제되는
    전자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킹 폴 내에 제공되고, 상기 제 1 도킹 폴에 대해 이동하는 슬라이더(slider)로서, 상기 슬라이더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 및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기초하여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볼은 볼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볼은 상기 슬라이더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롯으로부터 이동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볼을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 1 도킹 폴에 대해 이동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볼을 제 1 방향으로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볼은 상기 도킹 리셉터클이 상기 제 1 도킹 폴로부터 맞물림 해제될 때 제 2 방향으로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위치로 이동하는
    전자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리셉터클은 자기 장치(magnetic device)를 포함하며, 상기 자기 장치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자기 장치와 상기 슬라이더 사이의 자력(magnetic force)에 기초하여 상기 자기 장치를 향해 이동하게 하는
    전자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킹 리셉터클은 상기 자기 장치와 상기 슬라이더 사이의 자력보다 강한 자력을 제공하는 전자기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장치를 더 포함하며, 전력이 상기 전자기 구성요소에 공급될 때,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자기 장치로부터 해제되고 상기 자기 장치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하는
    전자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해제 이미지(release image)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부분은 상기 해제 이미지에 대한 상기 디스플레이상에서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로직(logic)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터치 입력을 수신함에 응답하여, 상기 전력이 상기 전자기 구성요소에 제공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자기 장치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하는
    전자 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KR1020157023468A 2013-03-29 2013-03-29 탈착가능 태블릿을 갖는 전자 장치 Active KR1018054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3/073448 WO2014153773A1 (en) 2013-03-29 2013-03-29 Electronic device having a detachable tabl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131A KR20150113131A (ko) 2015-10-07
KR101805474B1 true KR101805474B1 (ko) 2017-12-07

Family

ID=51622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3468A Active KR101805474B1 (ko) 2013-03-29 2013-03-29 탈착가능 태블릿을 갖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23702B2 (ko)
EP (1) EP2956836A4 (ko)
KR (1) KR101805474B1 (ko)
CN (1) CN105190467B (ko)
TW (1) TWI556086B (ko)
WO (1) WO20141537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63433B2 (en) 2012-10-31 2015-10-20 Invue Security Products Inc. Display stand for a tablet computer
KR101805474B1 (ko) 2013-03-29 2017-12-07 인텔 코포레이션 탈착가능 태블릿을 갖는 전자 장치
TWI499145B (zh) * 2013-07-31 2015-09-01 Pegatron Corp 電子裝置、底座及切換連接器接腳功能之方法
EP2851620B1 (en) * 2013-09-19 2018-06-27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Touch screen control panel and kitchen appliance comprising such a control panel
WO2015070419A1 (en) * 2013-11-14 2015-05-21 Intel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system with a configurable display
KR102232279B1 (ko) * 2014-08-25 2021-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를 위한 크래들
TWI528147B (zh) * 2014-08-27 2016-04-0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具有可旋轉夾持座的機構裝置及顯示裝置
TWI563364B (en) * 2015-03-23 2016-12-21 Compal Electronics Inc A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base
EP3272193A4 (en) 2015-09-30 2018-06-27 InVue Security Products, Inc. Gang charger, shroud, and dock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9727083B2 (en) * 2015-10-19 2017-08-08 Hand Held Products, Inc. Quick release dock system and method
JP6735453B2 (ja) * 2015-11-06 2020-08-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子機器
JP6820458B2 (ja) * 2015-11-06 2021-01-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子機器
JP6741936B2 (ja) * 2015-12-15 2020-08-19 富士通クライアントコンピューティング株式会社 電子機器
KR102401718B1 (ko) * 2015-12-21 2022-05-26 삼성전자 주식회사 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TW201807532A (zh) * 2016-08-26 2018-03-0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KR102375542B1 (ko) * 2017-04-25 2022-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개 가능한 커넥터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190380681A1 (en) * 2018-06-14 2019-12-19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systems for a portable ultrasound imaging system
CN112005189A (zh) 2018-07-19 2020-11-27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计算装置和底座
US11379004B2 (en) 2018-08-08 2022-07-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djustment control mechanisms of pogo pin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46666A1 (en) * 2003-06-09 2004-12-09 Arif Maskati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docking unit
KR100538649B1 (ko) * 2004-04-30 2005-12-28 윤성훈 컴퓨터의 액정모니터 접속장치
US20080232061A1 (en) * 2007-03-21 2008-09-25 Asustek Computer Inc. Portable Electronic System
US20090141439A1 (en) * 2005-11-09 2009-06-04 George Moser Portable Computer With Reconfigurable Display
US20090244009A1 (en) * 2008-03-31 2009-10-01 Terra Soft Solutions Of Colorado, Inc. Tablet computer
JP2011248872A (ja) * 2010-05-28 2011-12-08 Asustek Computer Inc ドッキングステーション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2759A (en) * 1992-07-27 1993-11-16 Cordata Incorporated Removable computer display interface
US6788527B2 (en) 2002-05-31 2004-09-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ablet computer keyboard and system and method incorporating same
US6775129B1 (en) 2003-02-14 2004-08-10 Intel Corporation Convertible and detachable laptops
CN1249554C (zh) 2003-07-03 2006-04-05 宏碁股份有限公司 便携式计算机
US7206196B2 (en) 2003-09-15 2007-04-17 Intel Corporation Computer system with detachable display
CN100485578C (zh) * 2003-12-25 2009-05-06 安桥株式会社 便携式电子装置
CN1300656C (zh) * 2003-12-30 2007-02-14 英业达股份有限公司 模块化电子装置组装拆卸机构
US7052256B2 (en) * 2004-01-28 2006-05-30 Eaton Corporation Synchronized transaxle hydraulic motor
US8422210B2 (en) * 2005-11-09 2013-04-16 George Moser Reconfigurable computer
CN101093404B (zh) * 2006-06-23 2011-07-2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卡合装置及采用该卡合装置的扩展坞
TWI324291B (en) 2006-07-26 2010-05-01 Compal Electronics Inc Connection assembly for connecting bodies, an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base using the same
CN201243339Y (zh) * 2008-04-01 2009-05-20 李明 分离式智能手机
TWM397130U (en) 2010-08-31 2011-01-21 Jarllytec Co Ltd Connection device
KR20120115899A (ko) 2011-04-11 2012-10-19 박재호 도킹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랩탑 컴퓨터
TWI477226B (zh) 2011-08-15 2015-03-11 Universal Scient Ind Shanghai 電子產品多段式角度調整裝置及其電子產品顯示裝置
CN202455033U (zh) * 2011-12-24 2012-09-26 天津光电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以数字化手段对电源进行控制的系统
US9134807B2 (en) * 2012-03-02 2015-09-1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essure sensitive key normalization
KR101805474B1 (ko) 2013-03-29 2017-12-07 인텔 코포레이션 탈착가능 태블릿을 갖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46666A1 (en) * 2003-06-09 2004-12-09 Arif Maskati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docking unit
KR100538649B1 (ko) * 2004-04-30 2005-12-28 윤성훈 컴퓨터의 액정모니터 접속장치
US20090141439A1 (en) * 2005-11-09 2009-06-04 George Moser Portable Computer With Reconfigurable Display
US20080232061A1 (en) * 2007-03-21 2008-09-25 Asustek Computer Inc. Portable Electronic System
US20090244009A1 (en) * 2008-03-31 2009-10-01 Terra Soft Solutions Of Colorado, Inc. Tablet computer
JP2011248872A (ja) * 2010-05-28 2011-12-08 Asustek Computer Inc ドッキングステーション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05330A1 (en) 2015-07-23
EP2956836A4 (en) 2017-02-15
CN105190467B (zh) 2020-11-24
EP2956836A1 (en) 2015-12-23
US9823702B2 (en) 2017-11-21
CN105190467A (zh) 2015-12-23
KR20150113131A (ko) 2015-10-07
TW201502750A (zh) 2015-01-16
TWI556086B (zh) 2016-11-01
WO2014153773A1 (en) 2014-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5474B1 (ko) 탈착가능 태블릿을 갖는 전자 장치
US9907197B2 (en) Electronic card connec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CN107300952B (zh) 电子设备的连接器组件
US9645614B2 (en) Tablet attachment system
JP6352735B2 (ja) ドッキング装置
US9389644B2 (en) Docking apparatu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625263B2 (en) Portable computer having detachable wireless keyboard
KR20150081189A (ko) 분리형 전자기기 및 이에 사용되는 연결 장치
JP2004272597A (ja) ドッキング・ステーション
JP5687508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バッテリーチャージャ及び電子機器
JP6125605B1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拡張装置
CN103632878B (zh) 按键机构与其可携式电子装置
TWI485931B (zh) 電子設備
US9910457B2 (en) Expansion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15038656A (ja) ドッキングステーションおよび電子機器
KR101308506B1 (ko) 휴대용 정보 단말기를 위한 홀더
WO2020000645A1 (zh) 连接器及手持设备
CN104656772B (zh) 一种电子设备
JP2014106650A (ja) 着脱機構およびクレードル、並びに電子機器システム
TW201505267A (zh) 電子卡連接裝置及電子裝置
JP5362046B2 (ja) 電子機器
JP2000124640A (ja) 中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2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1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30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