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03628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3628B1
KR101803628B1 KR1020160017583A KR20160017583A KR101803628B1 KR 101803628 B1 KR101803628 B1 KR 101803628B1 KR 1020160017583 A KR1020160017583 A KR 1020160017583A KR 20160017583 A KR20160017583 A KR 20160017583A KR 101803628 B1 KR101803628 B1 KR 101803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case
guide
fa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7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6334A (ko
Inventor
윤종호
김형열
문현식
주우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7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3628B1/ko
Priority to CN201710069215.2A priority patent/CN107101450B/zh
Priority to EP17155423.1A priority patent/EP3208562B1/en
Priority to JP2017023719A priority patent/JP6417434B2/ja
Priority to US15/432,021 priority patent/US10254035B2/en
Publication of KR20170096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6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3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3628B1/ko
Priority to US16/282,623 priority patent/US10605521B2/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03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6Safety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16Systems
    • G01N27/4162Systems investigating the composition of gases, by the influence exerted on ionic conductivity in a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01D46/0006Filter elements or cartridges installed in a drawer-like man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46/6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connected in s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8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domestic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5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by deodori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02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25D2323/0024Filters in the air flow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io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캐비닛; 도어; 힌지장치; 상기 캐비닛의 상면에서 상기 도어에 의해 전면이 차폐되며, 주방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유해가스를 필터링한 후 배출하는 공기정화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정화장치는, 상기 캐비닛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상단보다 더 낮은 전면 높이를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면 둘레를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 상기 케이스 양측의 상기 경사부에 형성되며,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 상기 케이스 전면의 상기 경사부에 형성되며, 정화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팬 모터 어셈블리; 상기 흡입구와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사이를 구획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며,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어셈블리;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 양단을 형성하며, 상기 필터 어셈블리측에서 상기 흡입구까지 연장되어 흡입공기를 상기 필터 어셈블리로 안내하는 사이드 흡입 가이드;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서 상기 토출구까지 연장되어 상기 토출공기를 안내하는 프론트 토출 가이드;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주방 공간의 유해가스를 감지하는 가스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 센서의 감지에 의해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의 운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 refrigerator }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 공간에 음식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 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냉장고는 냉장실 및 냉동실과 같은 고내 저장공간의 배치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냉장고에는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구조와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근래에는 냉장고에 실내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공기 정화장치가 장착된 냉장고가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7154호에는 냉장고의 상면에 공기 청정기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팬의 회전에 의해 양측방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부에서정화시킨 후 전방을 향하여 정화된 공기를 토출하는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용 공기 청정기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먼저, 고정 설치되는 냉장고에 장착되는 종래의 공기 청정기로는 한정된 공간의 공기 정화만이 가능하게 되어 냉장고가 설치된 주방 공간에서의 충분한 공기 정화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공기 청정기는 컴팩트한 구조를 위해 크로스 팬 타입의 팬이 사용되며,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흡입 및 토출 풍량이 적어 공기 정화 효과가 적은 문제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공기 청정기의 필터부를 구성하는 필터들은 항균필터와 탈취필터 그리고 집진필터로 구성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성은 일반적인 공기청정기와 같은 구조로 주방의 환경에 특화된 구성이 아니며, 따라서 주방의 공기 정화에에 효과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주방 공간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는 냉장고 및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주방 공간의 일산화탄소와 질소 화합물의 제거가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주방 공간의 공기 상태에 따라서 자동으로 온오프 되어 능동적으로 공기를 정화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필터의 유지 보수가 용이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냉장고에 장착될 수 있는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냉장고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냉장고의 외관 디자인을 저해하지 않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공기 정화장치의 탈착이 용이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닛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장치; 상기 캐비닛의 상면에서 상기 도어에 의해 전면이 차폐되며, 주방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유해가스를 필터링한 후 배출하는 공기정화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정화장치는, 상기 캐비닛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상단보다 더 낮은 전면 높이를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면 둘레를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 상기 케이스 양측의 상기 경사부에 형성되며,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 상기 케이스 전면의 상기 경사부에 형성되며, 정화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팬 모터 어셈블리; 상기 흡입구와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사이를 구획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며,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어셈블리;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 양단을 형성하며, 상기 필터 어셈블리측에서 상기 흡입구까지 연장되어 흡입공기를 상기 필터 어셈블리로 안내하는 사이드 흡입 가이드;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서 상기 토출구까지 연장되어 상기 토출공기를 안내하는 프론트 토출 가이드;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주방 공간의 유해가스를 감지하는 가스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 센서의 감지에 의해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의 운전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스 센서는 공기 중의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질소를 유해가스로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해가스가 설정 기준 이상 감지되는 경우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의 운전을 시작하고, 운전 시작 후 상기 유해가스가 설정 기준 이하 감지되면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를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해가스의 감지량에 따라 풍량이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에는 전방으로 개구된 필터 장착구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 장착구는 상기 케이스 내측으로 슬라이딩 인출입되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에 의해 차폐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필터 장착구 후방의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측면과 접하도록 돌출되어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인출입을 안내하는 필터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다수의 필터들이 서로 결합되어 복수의 결합체로 형성되는 필터 모듈과; 결합된 상태의 상기 필터 모듈을 수용하며, 상기 케이스 내측에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는 필터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필터 모듈은 교체 또는 서비스 주기가 유사한 필터들 간에 서로 결합되어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필터 모듈은 유사기능을 가지는 필터들 간에 서로 결합되어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필터 모듈은, 상기 흡입구와 가장 가까이 배치되며, 이물질을 필터링 하는 제 1 필터와; 상기 제 1 필터와 연속 배치되며, 오일 미스트를 필터링 하는 제 2 필터와; 상기 제 2 필터와 연속 배치되며, 미세 먼지를 필터링 하는 제 3 필터와; 상기 제 3 필터와 연속 배치되며, 상기 유해가스를 필터링 하는 제 4 필터와; 상기 제 4 필터와 연속 배치되며, 세균을 살균하는 제 5 필터와; 상기 제 5 필터와 연속 배치되며, 악취 발생 인자를 필터링 하는 제 6 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필터 케이스는, 상기 필터 모듈이 삽입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필터 수용부재와; 상기 필터 수용부재의 전단에 결합되며, 상기 필터 장착구를 통해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인출입 조작되는 인출 조작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필터 수용부재에는 상기 인출 조작부재측으로 연장되는 회전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인출 조작부재에는 상기 회전 결합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 로드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인출 조작부재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 장착구와 걸림 구속되는 커버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인출 조작부재에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함몰되어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인출입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 홈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오일 미스트를 필터링 하는 필터와, 상기 유해가스를 필터링 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팬모터 어셈블리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공기를 중심방향으로 흡입하여 원주방향으로 토출하는 팬;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 장착되어 상기 모터를 지지하며, 상기 팬이 수용되는 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모터 서포터; 상기 모터 서포터와 결합되어 상기 팬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팬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가이드 흡입구와 상기 팬에 의해 토출되는 가이드 토출구를 형성하는 팬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는 상기 모터와 팬이 상기 모터 서포터와 팬 가이드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내측에 장착된 모듈 상태로 상기 케이스 내측에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팬은 터보 팬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토출구와 상기 가이드 토출구를 연결하여 토출 공기를 안내하는 토출 에어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의 배면을 바라보는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는, 상기 공기 정화장치의 운전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상기 공기 정화장치의 운전을 조작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 버튼이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모터 서포터에는, 상기 모터 서포터의 바닥을 통과하여 상기 모터와 연결되는 전선이 출입되는 전선 홀과, 상기 모터 서포터의 바닥에서 연장되는 다수의 보강 리브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팬 가이드는 상면에 상기 가이드 흡입구가 개구되고, 둘레면에 가이드 토출구가 개구되며,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의 장착시 상기 가이드 토출구는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는 토출 에어 가이드와 결합되어 토출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베리어가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좌우 양측으로 구획하며,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와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베리어에 의해 구획된 각각의 공간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베리어는 상기 토출구를 구획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토출구와 접하는 상기 베리어의 단부에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절곡되는 가이드부가 더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는, 스틸 소재의 상기 캐비닛 상면과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자석이 더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냉장고용 공기 정화장치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전원부에는 플러그가 제공되며,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에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전원부에는 커넥터가 제공되며, 상기 냉장고의 전원선과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는 상기 팬 가이드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방으로 함몰된 흡입 안내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흡입구는 상기 흡입 안내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 흡입구의 내측에는 상기 팬의 쉬라우드가 수용되는 벨마우스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및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로어 케이스와, 상기 로어 케이스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어퍼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경사부는 상기 어퍼 케이스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사이드 흡입 가이드와 상기 프론트 토출 가이드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토출공기의 흡입 및 배출을 안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에는, 상기 공기 정화장치의 운전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공기 정화장치의 운전 조작을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 버튼이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힌지장치는 상기 캐비닛의 상면 양단에 구비되며, 한쌍의 상기 도어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힌지장치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케이스의 양측면에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 및 함몰되어 서로 결합되는 장착돌기와 장착 홈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주방 공간의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여 정화하게 되며, 이때 조리시 발생되는 유해가스 즉 일산화탄소와 이산화질소가 필터 모듈을 통과하면서 제거될 수 있게 되어 주방공간의 공기 매우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필터 모듈에는 조리시 발생되는 오일 미스트와 미세먼지를 필터링 할 수 있는 필터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일반적인 환경의 공기를 정화하는 정화장치에서는 기대할 수 없는 우수한 주방 공기의 정화 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스 센서에 의해 상기 유해가스의 감지시 자동으로 상기 공기 정화장치의 운전이 개시될 수 있도록 하며, 설정된 수준의 공기 상태가 될 때까지 자동 운전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조작 없이도 주방 공기를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가스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유해가스의 정도에 따라 풍량을 조절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주방 공기의 정화가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 모듈은 상기 필터 어셈블리 상태로 상기 케이스에 인출입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를 용이하게 착탈하여 상기 필터 모듈을 꺼내고 장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필터 모듈의 교체 및 청소와 같은 서비스가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필터 모듈은 인출입되는 필터 케이스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어 필터의 서비스가 보다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필터 모듈은 유사 기능을 가지는 필터 또는 서비스 주기가 유사한 필터들을 서로 결합하여 상기 필터의 서비스 및 관리를 한층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 정화장치는 크기에 비해 우수한 풍량을 발휘할 수 이는 터보팬을 사용하여 전체적으로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컴팩트한 구조로 인하여 상기 도어와 메인 컨트롤부 그리고 힌지장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여 공간 활용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정화장치가 상기 도어의 상단보다 더 낮은 높이를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냉장고의 외관 디자인을 저해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도어의 개방시 공기 정화장치의 전면으로 디스플레이와 조작버튼이 노출되어 사용자가 보다 쉽게 동작 상태를 확인하고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정화장치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상기 캐비닛 상면에 장착될 때 상기 힌지장치의 양측과 결합되어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별도의 결합 구조를 더 제공하지 않더라도 상기 힌지장치와 메인 컨트롤부에 접하여 안정적인 장착구조를 가질 수 있데 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 자석이 구비되는 경우 스틸 소재의 캐비닛과 자력에 의해 서로 밀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되어 별도의 결합구조를 제공하지 않고도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정화장치는 상기 냉장고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며, 별도의 전원과 연결 가능한 구조를 가지게 되어 상기 냉장고와 분리된 상태에서도 콘센트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독립적인 활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정화장치는 메인 컨트롤부에 의해 운전이 제어될 수 있으며, 공기 정화장치의 동작상태를 상기 도어 상의 디스플레이로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상의 조작 버튼을 이용하여 상기 공기 정화장치의 운전을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사용 편의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공기 정화장치가 상기 냉장고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공기 정화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5-5'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6-6'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공기 정화장치의 필터 어셈블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상기 도 6의 8-8' 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필터 모듈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공기 정화장치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
도 13은 상기 공기 정화장치의 외기 흡입 및 유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는 상기 공기 정화장치의 정화된 공기의 토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공기 정화장치가 냉장고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부분 정면도이다.
도 16은 상기 공기 정화장치가 장착된 냉장고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상기 공기 정화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상기 공기 정화 장치의 공기 유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에 장착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 내부의 저장공간은 베리어(11)에 의해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부에 냉장실(12)과 하부에 냉동실(13)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13)의 공간은 좌우로 더 구획될 수도 있다. 상기 냉장실(12)과 냉동실(13)의 내부에는 다수의 선반과 서랍이 구비되어 용도에 맞는 식품의 수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21)와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1)는 상기 캐비닛(10)의 상면 양측에 구비되는 힌지장치(23)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한쌍의 상기 냉장실 도어(21)에 의해 상기 냉장실(12)은 전체 또는 부분적인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냉동실 도어(22) 또한 좌우 양측에 한쌍이 각각 독립적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냉동실 도어(22)는 구획된 상기 냉동실의 공간을 각각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1)와 냉동실 도어(22)의 배면에는 다수의 도어 바스켓이 구비되어 식품의 수납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바텀 프리즈 타입의 냉장고 를 예를 들어 설명 할 뿐, 냉장고의 형태와 구조에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한편,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는 상기 냉장고(1)의 운전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 컨트롤부(14)가 형성된다. 상기 메인 컨트롤부(14)는 상기 냉장고의 상면 중앙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컨트롤부(14)의 내부에는 상기 냉장고(1)의 운전을 제어하는 메인 피시비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는 공기 정화장치(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정화장치(30)는 상기 냉장고(1)가 배치된 주방 공간의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 구비된다.
상기 공기 정화장치(30)는 상기 메인 컨트롤부(14)와 상기 냉장실 도어(21) 그리고 상기 힌지장치(23)의 사이 공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양측방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내부에서 정화한 후 전방으로 토출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공기 정화장치(30)의 후단은 상기 메인 컨트롤부(14)의 전단과 접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메인 컨트롤부(14)가 배치되는 후방으로는 공기의 유입 또는 토출이 불가능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공기 정화장치(30)의 전면은 상기 냉장실 도어(21)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1)의 상단은 상기 공기 정화장치(3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더 높게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장실 도어(21)가 닫힌 상태에서는 전방에서 볼 때 상기 공기 정화장치(30)가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냉장실 도어(21)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즉, 상기 공기 정화장치(30)의 높이는 상기 냉장실 도어(21)의 상단보다 더 낮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장실 도어(21)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공기 정화장치(30)의 전면이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정화장치(3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303)와 조작 버튼(304)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냉장실 도어(21)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303)를 통해 상기 공기 정화장치(3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으며, 공기정화 운전에 관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작 버튼(304)을 조작하여 상기 공기 정화장치(30)의 운전을 설정 및 조작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공기 정화장치가 상기 냉장고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공기 정화장치(30)는 상기 캐비닛(10)으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공기 정화장치(30)는 상기 양측면이 상기 힌지장치(23)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정화장치(30)의 양측면에는 장착 홈(305)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힌지장치(23)에는 장착 돌기(231)가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 정화장치(3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캐비닛(1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장착 홈(305)과 장착 돌기(231)는 서로 형합되어 상기 공기 정화장치(30)가 상기 캐비닛(10)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힌지장치(23)는 상기 냉장실 도어(21)의 회동을 위한 힌지 및 힌지를 차폐하는 힌지 커버를 포괄하여 지칭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 정화장치(30)의 바닥면에는 자석(336)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자석(336)에 의해 스틸 소재의 상기 캐비닛(10)에 상기 공기 정화장치(30)가 안정적으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장착 홈(305)과 장착 돌기(231)의 형합 구조와 상기 자석(336)에 의한 부착 구조는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둘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공기 정화장치(30)의 일측에는 전원 케이블 형태의 전원부(30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301)는 커넥터에 의해 상기 메인 컨트롤부(14)의 컨트롤 커넥터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컨트롤부(14)를 통해 상기 공기 정화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도 4는 상기 공기 정화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3의 5-5' 단면도이다. 그리고,도 6은 도 4의 6-6'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공기 정화장치(30)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31)와, 상기 케이스(31)의 내부에 구비되는 팬 모터 어셈블리(34) 그리고 필터 어셈블리(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31)는 어퍼 케이스(32)와 로어 케이스(33)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케이스(32)와 로어 케이스(33)의 결합시 상기 케이스(31)의 내부에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34)와 상기 필터 어셈블리(35)가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어퍼 케이스(32)는 상면이 개구되는 로어 케이스(33)의 상면을 차폐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 케이스(32)의 상면에는 흡입 안내부(321)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 안내부(321)는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34)와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어퍼 케이스(32)의 내측면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 안내부(321)는 상기 케이스(31)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공기가 팬(343)의 중심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케이스(32)의 내측면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차폐 리브(3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폐 리브(322)는 상기 흡입 안내부(321)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되 전반부 일부 구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폐 리브(322)는 상기 팬(343)의 회전시 팬(343)의 원주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가 다시 역류하여 상기 팬(343)의 중심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차폐 리브(322)는 아래에서 설명할 팬 가이드(344)와 접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케이스(32)의 둘레는 경사면(323)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323)은 상기 어퍼 케이스(32)의 상면과 상기 어퍼 케이스(32)의 하면을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어퍼 케이스(32)의 상면은 상기 어퍼 케이스(32)의 하면 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되며, 따라서 상기 경사면(323)은 상기 어퍼 케이스(32)와 로어 케이스(33)의 사이에서 소정의 경사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323)에는 흡입구(324)와 토출구(325)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324)는 상기 어퍼 케이스(32)의 좌우 양측면과 대응하는 상기 경사면(323)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324)를 통해 상기 냉장고(1)의 좌우 양측방의 공기가 흡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흡입구(324)는 상기 어퍼 케이스(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다수의 슬릿에 의해 정의될 수 있으며, 그릴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토출구(325)는 상기 어퍼 케이스(32)의 전면과 대응하는 상기 경사면(323)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토출구(325)는 흡입된 공기가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토출구(325) 또한 상기 흡입구(324)와 같이 상기 어퍼 케이스(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다수의 슬릿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324)와 토출구(325)는 모두 상기 경사면(323) 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 정화장치(30)의 내측으로 흡입되는 공기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경사방향으로 흡입되고 정화된 공기는 하방에서 상방으로 경사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좌우 양측방에서 흡입되는 공기는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게 되므로 입체적인 공기의 순환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 토출구(325)의 경우 전방으로 토출되되 상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냉장실 도어(21)의 상단이 상기 공기 정화장치(30)의 전방을 가리고 있는 상황에서도 상기 냉장실 도어(21)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정화된 공기를 토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토출구(325)의 양측방에는 어퍼 오프닝(326)이 형성된다. 상기 어퍼 오프닝(326)은 상기 로어 케이스(33)의 로어 오프닝(331)과 함께 상기 필터 어셈블리(35)가 출입되는 필터 장착구(302)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어퍼 오프닝(326)은 상기 토출구(325)의 양측방에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323)에서 상기 어퍼 케이스(32)의 전면까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35)의 장착시 차폐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케이스(33)는 상기 케이스(31)의 바닥면과 측면을 형성하게 되며, 상면이 개구된 공간을 형성하여 내부에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34)와 상기 필터 어셈블리(35)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로어 케이스(33)의 둘레 중 전면에는 상기 어퍼 오프닝(326)과 대응하는 위치에 로어 오프닝(331)이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로어 케이스(33)와 어퍼 케이스(32)의 결합에 의해 상기 어퍼 오프닝(326)과 로어 오프닝(331)이 서로 연결되어 상기 필터 어셈블리(35)가 출입되는 필터 장착구(302)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어 오프닝(331)의 사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303) 및 조작 버튼(304)이 장착되는 프론트 장착부(332)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장착부의 내측면 또는 상기 프론트 장착부(332)와 대응하는 상기 로어 케이스(33)의 전면 내측에는 프론트 토출 가이드(3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토출 가이드(333)는 소정의 경사 또는 라운드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단부가 상기 어퍼 케이스(32)의 토출구(325) 하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토출 가이드(333)는 상기 토출구(325)의 하방에서 상기 토출구(325)와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34)를 통해 전방으로 송풍되는 공기는 상기 프론트 토출 가이드(333)를 따라서 전방 및 상방으로 유동되며 상기 토출구(325)를 통해 경사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로어 오프닝(331)의 후방에는 필터 가이드(3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가이드(333)는 상기 로어 오프닝(331)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필터 어셈블리(35)의 삽입시 상기 필터 어셈블리(35)가 정확한 위치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 가이드(333)에는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개구(333a)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333a)의 가장자리를 따라 테두리(333b)가 형성되어 상기 필터 어셈블리(35)를 지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테두리(333b)는 아래에서 설명할 필터 모듈(36)의 프레임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필터 가이드(333)는 복수개가 형성되어 상기 필터 가이드(333)를 양측에서 지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상기 필터 가이드(333)는 로어 케이스(33)와 어퍼 케이스(32)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필터 가이드(333)를 양측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필터 가이드(333)의 연장된 후단에는 지지면(333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면(333c)은 상기 케이스(31) 내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35)의 후단과 접하는 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면(333c)은 상기 필터 어셈블리(35)가 정확한 위치에서 삽입이 완료될 수 있도록 상기 필터 어셈블리(35)의 후단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토출 가이드(333)의 양단에는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34)에 의해 강제 유동되는 공기가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34)를 통과한 후 상기 프론트 토출 가이드(333)로 향할 수 있도록 연장되는 토출 에어 가이드(33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 에어 가이드(334)는 상기 프론트 토출 가이드(333)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팬 가이드(344)에 개구된 가이드 토출구(344b)와 접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토출 에어 가이드(334)는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토출구(344b)의 양단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 에어 가이드(334)는 상기 팬(343)의 회전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며, 상기 팬(343)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가 효과적으로 상기 토출구(325)로 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토출 에어 가이드(334)의 연장된 단부에는 단차부(334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차부(334a)에는 상기 어퍼 케이스(32)에 형성되는 차폐 리브(322)가 안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토출 에어 가이드(334)와 차폐 리브(322)에 의해 공기가 흡입되는 공간과 토출되는 공간이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어 케이스(33)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석의 자력에 의해 상기 로어 케이스(33)는 스틸 소재의 상기 캐비닛(10)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어 케이스(33)의 중앙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로어 케이스(33)의 내부를 좌우 양측 두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베리어(33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리어(335)의 전단에는 절곡 형성되는 가이드부(335a)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335a)에 의해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34)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의 일부를 상기 프론트 토출 가이드(333) 측으로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베리어(335)에 의해 구획되는 각각의 공간에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34)가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34)는 좌우 양측에 한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배치에만 차이가 있을 뿐 그 구조와 형상은 동일하므로 하나의 팬 모터 어셈블리(34)에 대하여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34)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341)와 상기 모터(341)를 지지하는 모터 서포터(342), 상기 모터(341)에 의해 회전되는 팬(343) 그리고 상기 공기의 흡입 및 토출 유로를 형성하는 팬 가이드(3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모터(341)는 상기 팬(343)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모터 서포터(342)에 고정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팬(343)의 중앙부에 위치되며 상기 모터(341)의 회전축이 상기 팬(343)과 결합되어 상기 팬(343)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모터 서포터(342)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로어 케이스(33)의 저면에 장착된다. 상기 모터 서포터(342)는 원형의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팬(343) 및 상기 팬 가이드(344)와 대응하는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 가이드(344)의 하면에는 방사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모터 서포터(342)와 동심을 가지는 다수의 보강 리브(342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서포터(342)의 중앙에는 함몰된 모터 장착부(342a)가 형성될 수 있으며, 모터 장착부(342a)의 둘레에는 상기 모터(341)의 고정을 위한 결합부재가 체결되는 모터 장착홀(342c)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장착부(342a)의 중앙에는 전선이 출입되는 전선 홀(342d)이 형성되어 상기 모터 서포터(342)의 바닥을 통해 전선이 유입되어 상기 모터(34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서포터(342)의 둘레에는 외측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서포터 고정부(342e)가 형성되며, 상기 서포터 고정부(342e)에는 서포터 장착홀(342f)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고정부(342e)는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되 공기가 토출되는 상기 팬 가이드(344)의 가이드 토출구(344b) 영역에는 형성되지 않도록 하여 공기의 유동에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팬(343)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원심팬의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중앙에 상기 모터(341)가 수용되는 허브(343a)가 형성되며, 상기 허브(343a)를 중심으로 방사상의 블레이드(343b)가 배치되고, 상기 블레이드(343b)는 회전판(343c)과 쉬라우드(343d)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팬(343)은 크로스 팬에 비하여 높이를 낮게 하여 컴팩트한 사이즈를 가지면서도 우수한 흡입 및 토출 성능을 가지는 터보팬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팬 가이드(344)는 상기 모터 서포터(342)와 결합되어 상기 팬(343)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팬 가이드(344)에는 상기 팬(343)의 중앙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가이드 흡입구(344a)와 상기 팬(343)의 원주 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가이드 토출구(344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팬 가이드(344)의 상면에는 가이드 흡입구(344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흡입구(344a)의 둘레에는 벨마우스(344c)가 형성되어 공기의 흡입이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벨마우스(344c)의 직경은 상기 흡입 안내부(32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흡입 안내부(321)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팬(343)의 회전에 의해 상기 흡입 안내부(321) 내측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벨마우스(344c)를 지나 상기 가이드 흡입구(344a)를 통과하여 상기 팬(343)의 중앙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팬 가이드(344)의 상면 둘레에는 측면부(344d)가 연장된다. 상기 측면부(344d)는 상기 모터 서포터(342)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토출구(344b)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상기 모터 서포터(342)와 접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344d)에는 상기 서포터 고정부(342e)와 대응하는 위치에 가이드 고정부(344e)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고정부(344e)는 상기 서포터 고정부(342e)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서포터 고정부(342e)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겹쳐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서포터 고정부(342e)는 상기 가이드 토출구(344b)의 영역에는 형성되지 않게 된다.
상기 가이드 고정부(344e)에는 상기 서포터 장착홀(342f)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가이드 체결부(344f)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체결부(344f)는 상기 서포터 장착홀(342f)을 관통하는 상태에서 스크류와 같은 고정부재가 체결되어 상기 모터 서포터(342)와 상기 팬 가이드(344)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모터 서포터(342)와 상기 팬 가이드(344)가 상기 로어 케이스(33) 상에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 토출구(344b)는 상기 한쌍의 토출 에어 가이드(334)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팬 가이드(344)를 통해서 토출되는 공기가 온전히 상기 토출구를 향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31)의 내부 또는 외부 일측에는 가스 센서(30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스 센서(306)는 상기 냉장고(1)가 설치된 주방 공간의 공기 오염 수준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가스 센서(306)에 의해 감지되는 공기의 오염 정도에 따라 상기 공기 정화장치(30)가 선택적으로 운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가스 센서(306)는 주방의 환경에서 공기의 오염 정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불완전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유해가스 즉, 일산화탄소(CO), 이산화질소(NO2) 등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31)의 전면에 형성되는 필터 장착구(302)를 통해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35)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35)는 상기 흡입구(324)와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34)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31)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324)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모두 상기 필터 어셈블리(35)를 통과하면서 정화되고,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34)를 통해 상기 토출구(325)를 지나 상기 공기 정화장치(30)의 외측으로 토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35)는 상기 케이스(31)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 장착구(302)를 통해서 슬라이드인 인출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다수의 필터가 결합된 필터 모듈(36)은 상기 필터 어셈블리(35)의 인출입시 전체가 함께 인출입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35)는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배치 위치에만 차이가 있을 뿐 그 구조는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좌우 양측의 필터 어셈블리(35) 중 일측의 어셈블리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상기 공기 정화장치의 필터 어셈블리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상기 도 6의 8-8'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필터 어셈블리(35)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31)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31)의 필터 장착구(302)를 차폐하여 상기 케이스(31)의 외측면 외관 일부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필터 어셈블리(35)는 상기 다수의 필터(361,362,363,364,365,366)가 결합 형성되는 필터 모듈(36)과, 상기 필터 모듈(36)이 장착되는 필터 케이스(37)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 케이스(37)는 상기 필터 모듈(36)이 탈착되는 필터 수용부재(38)와, 상기 필터 수용부재(38)의 인출입을 위한 인출 조작부재(39)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수용부재(38)는 상기 필터 모듈(36)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31)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구(324)와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34)의 사이를 구획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 수용부재(38)는 상기 필터 가이드(333)에 의해 상기 케이스(31)의 내측에 설정된 위치에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35)가 상기 케이스(31) 내부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 수용부재(38)의 후단은 상기 지지면(333c)과 접하게 된다.
상기 인출 조작부재(39)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35)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31)의 필터 장착구(302)를 차폐하며,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인출 조작부재(39)는 상기 케이스의 외측면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 조작부재(39)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필터 어셈블리(35)의 인출입 조작을 위해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인출 조작부재(39)는 상기 필터 수용부재(38) 전단의 회전 결합부(381)와 결합되는 필터 홀더(391)와, 상기 필터 홀더(391)와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의 필터 장착구(302)를 차폐하는 필터 커버(39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홀더(391)는 상기 회전 결합부(381)와 결합되는 홀더 로드(391c)를 포함하며, 상기 인출 조작부재(39)의 인출입시 상기 필터 수용부재(38)와 결합된 상태로 함께 인출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 커버(392)는 상기 케이스(31)의 경사면과 대응하는 경사부(393)를 가지며, 상기 로어 케이스(33)의 둘레면과 대응하는 조작부(394)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94)의 상면에는 하방으로 함몰된 손잡이 홈(394a)이 형성되며,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 홈(394a)을 잡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35)를 인출입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 홈(394a)은 상기 어퍼 케이스(32)의 테두리와 대응하는 상기 조작부(394)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필터 모듈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11은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필터 어셈블리(35)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필터 커버(392)에는 커버 보스(392a)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 보스(392a)는 상기 필터 홀더(391)의 체결홀(391a)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 홈(394a)을 통해 상기 커버 보스(392a)를 관통하는 스크류는 상기 체결홀(391a)에 체결되어 상기 필터 커버(392)와 상기 필터 홀더(391)가 서로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393)의 상단에는 상기 제 1 커버 고정돌기(393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커버 고정돌기(393a)는 상기 케이스(31)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필터 어셈블리(35)의 장착시 상기 필터 장착구(302)의 개구된 상단에 걸림 구속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작부(394)의 배면 양측에는 제 2 커버 고정돌기(394a)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커버 고정돌기(394a)는 상기 케이스(31)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필터 어셈블리(35)의 장착시 상기 필터 장착구(302)의 개구된 양측단에 걸림 구속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1 커버 고정돌기(393a)와 제 2 커버 고정돌기(394a)는 상기 케이스(31)에 형성된 필터 장착구(302)에 걸림 구속될 수 있도록 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돌기 또는 형합 가능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35)의 장착 완료시 상기 제 1 커버 고정돌기(393a)와 제 2 커버 고정돌기(394a)는 상기 케이스(31)의 필터 장착구(302)에 걸림 구속되어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필터 홀더(391)는 전후 방향 즉, 상기 필터 커버(392)와 상기 필터 수용부재(38)의 사이 공간이 관통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 홀더(391)의 전단은 상기 조작부(394) 배면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 홀더(391)의 전면 상단에는 홀더 단차부(391b)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 커버(392)의 손잡이 홈(394a) 하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홀더(391)의 내측에는 상기 필터 수용부재(38)의 회전 결합부(381)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 로드(391c)가 형성된다. 상기 홀더 로드(391c)는 상기 필터 홀더(391)의 내측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결합부(381)와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홀더 로드(391c)는 상기 필터 수용부재(38)의 회전축이 될 수 있다.
상기 필터 홀더(391)의 후면 하단에는 스토퍼(391d)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391d)는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필터 수용부재(38)의 잔단과 형합되어 상기 필터 수용부재(38)가 시계방향(도 11에서 볼 때)으로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제한하게 된다.
상기 필터 수용부재(38)는 상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필터 모듈(36)이 수용되도록 상기 필터 모듈(36)의 폭과 길이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 수용부재(38)의 내측면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필터 고정돌기(38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고정돌기(382)는 상기 필터 모듈(36)의 장착시 상기 필터 모듈(36)의 측면과 걸림 구속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필터 모듈(36)이 상기 필터 수용부재(38)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 수용부재(38)의 후단에는 하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필터 모듈(36)의 장착시 상기 필터 모듈(36)의 후단이 안착되는 안착부(383)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필터 수용부재(38)의 전면에는 상기 회전 결합부(38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결합부(381)는 전방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으며, 연장된 단부에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홀더 로드(391c)를 감싸도록 고리부(381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리부(381a)는 상기 홀더 로드(391c)가 압입될 수 있도록 일부가 개구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필터 홀더(391)와 상기 필터 수용부재(38)가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 수용부재(38)는 상기 홀더 로드(391c)를 축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필터 케이스(37)의 결합구조는 상기 필터 수용부재(38)와 필터 홀더(391) 및 필터 케이스(37)의 성형이 용이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인출 조작부재(39)와 상기 필터 수용부재(38)가 서로 결합되어 함께 인출입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회전 결합부(381)의 하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수용부재 보스(381c)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 홀더(391)와 상기 필터 수용부재(38)의 결합시 상기 필터 수용부재(38)의 회전 결합부(381) 및 상기 수용부재 보스(381c)는 상기 필터 홀더(391)의 개구된 내측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 홀더(391)의 하면에서 체결되는 스크류가 상기 수용부재 보스(381c)에 체결되어 상기 필터 수용부재(38)의 임의 분리 및 임의 회동 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필터 모듈(36)은 상기 필터 수용부재(38)에 다수의 필터가 결합된 모듈 상태로 탈착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서 상기 필터 모듈(36)의 유지 보수 작업시 상기 필터 모듈(36)이 상기 필터 수용부재(38)에서 분리되고, 이어서 다수의 필터들을 분리하여 다수의 상기 필터들에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한 후 조립하여 상기 필터 수용부재(38)에 장착하게 된다.
상기 필터 모듈(36)은 주방 공간의 공기가 통과되어 정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방 공간의 공기 특성에 맞는 필터가 구비되어 효과적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한 후 토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필터 모듈(36)은 다수의 필터(361,362,363,364,365,366)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361,362,363,364,365,366)는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프레임(361a,362a,363a,364a,365a,366a)과 상기 프레임(361a,362a,363a, 364a,365a,366a)의 내측에 구비되어 통과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멤버(361b,362b,363b,364b,365b,366b)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필터 프레임(361a,362a,363a,364a,365a,366a)은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모듈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각각의 기능을 가지는 필터(361,362,363,364,365,366)들은 상기 프레임(361a,362a,363a, 364a,365a,366a)과 함께 카트리지의 형태로 탈착 또는 분리될 수 있으며, 교환주기 또는 서비스 상황에 따라서 다수의 필터(361,362,363,364,365,366)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탈착될 수도 있다.
상기 필터 모듈(36)의 구성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공기가 흡입되는 외측에서부터 제 1 필터(361)와 제 2 필터(362), 제 3 필터(363), 제 4 필터(364), 제 5 필터(365), 제 6 필터(366)의 순으로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필터(361,362,363,364,365,366)들은 측방에서 볼 때 그 크기가 동일하여 서로 겹쳐진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361)는 상기 흡입구(324)와 가장 가까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흡입되는 공기 중의 입자가 큰 먼지 또는 이물질을 걸러줄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필터(362)는 상기 제 1 필터(361)와 접하도록 배치되며, 오일 미스트를 걸러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주방의 조리 중에 발생되는 미세한 오일 미스트들이 공기 중에 혼합된 상태로 유입되는 경우 이러한 오일 미스트가 상기 제 2 필터(36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걸러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필터(361)의 제 1 프레임(361a)에 제 1 장착홈(361c)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필터(362)의 제 2 프레임(362a)에 제 1 장착돌기(362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장착홈(361c)과 제 2 장착돌기(363c)는 서로 결합되어 상기 제 1 필터(361)와 제 2 필터(362)는 서로 일체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 1 필터(361)와 제 2 필터(362)는 결합된 상태로 상기 필터 수용부재(38)에 탈착될 수 있다.
상기 제 3 필터(363)는 상기 제 2 필터(362)에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필터(362)를 통과한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걸러 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3 필터(363)는 10㎛ 이하의 미세먼지는 물론 스모그와 연기, 배기가스 등 입자크기가 매우 작은 2.5㎛ 이하의 초미세 먼지까지 걸러줄 수 있는 헤파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 4 필터(364)는 상기 제 3 필터(363)에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조리 중 불완전 연소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일산화탄소 및 이산화질소 등이 걸러질 수 있다. 상기 제 4 필터(364)는 복수의 필터로 구성되어 각각 이산화탄소와 이산화질소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하나의 필터에 의해 이들 유해가스가 걸러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필터(363)와 제 4 필터(364) 또한 제 3 프레임(363a)에 형성되는 제 2 장착돌기(363c)와 제 4 프레임(364a)에 형성되는 제 2 장착홈(364c)의 결합에 의해 일체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4 필터(364)가 복수개 구성될 경우 이들이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제 3 필터(363)와도 결합될 수도 있다. 결합된 상태의 필터들은 상기 필터 수용부재(38)의 내측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 5 필터(365)는 상기 제 4 필터(364)와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4 필터(364)를 통과한 공기 중의 세균을 제거하는 제균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6 필터(366)는 상기 제 5 필터(365)와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 5 필터(365)를 통과한 공기중의 악취 발생인자를 제거하여 탈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5 필터(365)와 제 6 필터(366)는 하나의 필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그 위치가 서로 바뀌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5 필터(365)의 제 5 프레임(365a)에는 제 3 장착돌기(365c)가 형성되고, 제 6 필터(366)의 제 6 프레임(366a)에는 제 3 장착홈(366c)이 형성되어 상기 제 5 필터(365)와 제 6 필터(366)가 서로 일체로 결합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필터(361,362,363,364,365,366)들은 필요에 따라서 6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필터가 복수의 기능을 가지는 경우 6개보다 더 작은 개수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필터 모듈(36)을 구성하는 각각의 필터는 모두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교체 주기가 유사한 필터, 또는 이웃하는 필터의 순으로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돌기(362c,363c,365c) 및 장착홈(361c,364c,366c)들은 서로 형합 또는 걸림 구속될 수 있도록 후크 형상 또는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장착홈(361c,364c,366c) 및 장착돌기(362c,363c,365c)들은 상기 프레임(361a,362a,363a,364a,365a,366a)들의 둘레를 따라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홈(361c,364c,366c) 및 장착돌기(362c,363c,365c)들은 상기 프레임(361a,362a,363a,364a,365a,366a)들에서 서로 결합 가능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서로 결합되는 상기 장착돌기(362c,363c,365c)와 장착홈(361c,364c,366c)은 다른 장착돌기(362c,363c,365c) 및 장착홈(361c,364c,366c)과는 결합되지 않도록 그 위치 또는 형상이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361,362,363,364,365,366)간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짝을 맞추어 결합하게 될 경우 상기 필터(361,362,363,364,365,366)들이 순서에 맞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오조립에 의해 정상적인 공기정화를 할 수 없게 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361a,362a,363a,364a,365a,366a)의 전단과 후단에는 프레임 단차부(367,36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단차부(367,368)는 상기 필터 수용부재(38)의 전단과 후단에 형성되는 필터 안착부(383)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임(361a,362a,363a,364a,365a,366a) 전단의 프레임 단차부(367)와 상기 프레임(361a,362a,363a,364a,365a,366a) 후단의 프레임 단차부(368)는 그 높이 또는 함몰된 깊이 다르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필터 모듈(36)이 결합된 상태에서 방향성을 가지고 상기 필터 수용부재(38)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필터 모듈의 장착시 장착 방향이 일정하도록 하여 작업자가 상기 필터 모듈(36)을 오조립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공기 정화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2는 상기 공기 정화장치의 제어 신호의 흐름을 보인 블럭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상기 공기 정화장치의 외기 흡입 및 유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상기 공기 정화장치의 정화된 공기의 토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공기 정화장치(30)는 전원부(301)를 통해서 전원이 공급되며, 사용자의 상기 조작 버튼(304)의 조작 또는 상기 가스 센서(306)에 의해 주방 공간 공기의 오염 감지시 동작이 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303)에서는 상기 공기 정화장치(30)의 동작 상태 또는 상기 가스 센서(306)에서 감지된 주방 공간 내의 공기 상태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정화장치(30)는 상기 제어부(307)에서 동작 신호를 입력받게 되면 상기 모터(341)가 구동된다.
상기 모터(341)의 구동에 의해 상기 팬(343)이 회전하게 되며, 상기 팬(343)의 회전에 따라 공기의 유동이 강제된다. 상기 주방 공간 내의 공기는 상기 공기 정화장치(30) 좌우 양측의 상기 흡입구(324)를 통해서 상기 공기 정화장치(30)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324)를 통해 상기 케이스(31)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로어 케이스(33) 양측단에 라운드지도록 형성된 상기 사이드 흡입 가이드(337)를 통해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35)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상기 흡입구(324)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필터 모듈(36)을 구성하는 다수의 필터(361,362,363,364,365,366)를 차례로 통과하게 된다. 즉, 크기가 큰 이물질은 상기 제 1 필터(361)에서 걸러지게 되며, 주방 공기 중에 함유된 오일 미스트는 상기 제 2 필터(362)에서 걸러지게 되며, 미세먼지는 상기 제 3 필터(363)에서 걸러지게 되며, 조리 중에 발생되는 유해가스 특히 일산화탄소와 이산화질소 등은 상기 제 4 필터(364)에 의해 걸러지게 되며, 공기 중의 유해 세균은 상기 제 5 필터(365)에 의해 걸러지게 되며, 공기 중의 악취 발생 인자는 상기 제 6 필터(366)에 의해 걸러지게 된다.
한편, 상기 필터 모듈(36)을 통과하는 흡입 공기는 상기 필터 모듈(36)을 구성하는 다수의 필터(361,362,363,364,365,366)들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정화될 수 있으며, 특히 주방 공간에서 발생되는 오일 미스트와, 유해가스의 그리고 악취 발생 인자의 제거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 모듈(36)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팬 가이드(344)의 상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흡입구(344a)를 통해 상기 팬(343)의 중앙으로 유동된다. 이때, 상기 팬 가이드(344) 상면과 상기 어퍼 케이스(32)의 상면은 다소 이격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 흡입구(344a)를 통한 원활한 공기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팬 가이드(344)의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팬(343)의 회전에 따라 상기 팬(343)의 원주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으며, 원형으로 형성된 상기 팬 가이드(344)의 내측면을 따라서 유동되어 상기 가이드 토출구(344b)로 향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토출구(344b)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케이스(31) 내부에 형성되는 상기 토출 에어 가이드(334) 또는 상기 베리어(335)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를 따라서 전방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토출 에어 가이드(334) 및 베리어(335)는 상기 팬(343)의 회전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팬(343)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가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토출 에어 가이드(334) 또는 상기 베리어(335)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는 프론트 토출 가이드(333)를 따라서 상방으로 자연스럽게 유동될 수 있으며, 상기 경사면(323)에 형성된 토출구(325)를 통해서 전방 및 상방을 향하여 경사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모터(341)의 구동에 의해 상기 양측방에서 경사방향으로 흡입되어 전방에서 경사방향으로 토출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입체적인 공기의 흡입 토출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터보팬 구조의 상기 팬(343)이 장착되어 컴팩트한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주방 공간의 흡입 및 토출 유량이 증대될 수 있으며 효율적인 공기의 정화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모터(341)는 상기 가스 센서(306)에 의해 감지되는 주방 공간 내의 공기 오염도에 따라서 풍량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341)는 상기 가스 센서(306)에 의해 주방 공간 내의 공기가 설정 수준 이하의 오염도가 될 때까지 동작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모터(341)는 설정된 시간동안 동작되거나 상기 조작 버튼(304)의 조작이 이루어질 때까지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정화장치(30)의 동작 상태 또는 주방 공간의 공기 상태는 상기 제어부(307)와 연결된 통신부(308)를 통해서 사용자의 핸드폰이나 피시 또는 기타 통신 가능한 가전 기기 또는 단말기들로 송신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원격 조작에 의해 상기 공기 정화장치(30)의 운전이 조작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공기 정화장치(30)는 필요에 따라서 상기 필터의 교환 또는 청소가 필요할 수 있다. 상기 필터의 교환 또는 청소를 위해서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35)를 상기 필터 수용부재(38)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35)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케이스(31)의 외측으로 노출된 인출 조작부재(39)의 손잡이 홈을 잡고 전방으로 당기게 된다. 사용자의 인출 조작에 의해 상기 필터 어셈블리(35)는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 어셈블리(35)는 상기 필터 장착구(302)를 통해 상기 케이스(31)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35)를 분리한 후에는 상기 필터 모듈(36)을 상기 필터 수용부재(38)로부터 분리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필터 모듈(36)은 결합 상태에 따라서 한꺼번에 분리될 수도 있으며, 작업이 필요한 일부의 필터들이 모듈 상태로 선택적으로 분리될 수도 있다.
상기 필터 모듈(36)의 분리 후에는 교환 또는 청소가 필요한 필터를 각각 분리한 후 필요한 작업을 실시한 후 새로운 필터 또는 청소 완료된 필터로 교환하여 다시 결합하게 된다. 작업이 완료되어 결합된 필터는 다시 상기 필터 수용부재(38)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 모듈(36)의 장착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35)를 다시 상기 필터 장착구에 삽입하고 상기 케이스 내측으로 밀어넣게 된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35)는 후단이 상기 지지면(333c)에 접할때까지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으며,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인출 조작부재(39)가 상기 필터 장착구(302)에 구속되어 고정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정화장치(30)는 상기 냉장고 캐비닛(10)으로부터 분리 가능할 수 있으며, 상기 공기 정화장치(30)를 사용하지 않거나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에는 분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정화장치(30)는 상기 전원부(301)가 벽 전원(콘센트)에 연결 가능한 플러그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공기 정화장치(30)가 상기 냉장고(1)와 분리된 상태에서 독립적인 동작이 가능하게 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및 냉장고용 공기 정화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 및 냉장고용 공기 정화장치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공기 정화장치가 냉장고에 장착된 모습을 보인 부분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16은 상기 공기 정화장치가 장착된 냉장고의 평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에 힌지장치(23)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의 전면에는 상기 냉장고(1)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24)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냉장고(1)의 운전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버튼(25)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작 버튼(25)은 물리적인 버튼 구조나 터치 센서와 같은 구조 외에도 터치 방식의 디스플레이에 포함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4)는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 장착되는 공기 정화장치(4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조작 버튼(25)은 상기 공기 정화장치(40)의 운전 조작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는 상기 냉장고(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 컨트롤부(1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컨트롤부(14)는 상기 공기 정화장치(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공기 정화장치(4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공기 정화장치(40)의 운전을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공기 정화장치(40)는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 정화장치(4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공기 정화장치(40)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41)가 상기 도어(20)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 정화장치(40)의 전면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정화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432)를 이격된 상태로 커버하는 토출구 커버(433)가 상기 도어(20)의 상방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토출구 커버(433)의 양측에는 필터 어셈블리(45)의 전면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45)는 사용자의 용이한 필터 모듈(36)의 교환을 위해 상기 케이스(41)에 형성된 필터 장착구(438)로 인출입 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정화장치(40)는 상기 캐비닛(10)의 상면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 정화장치(40)의 크기는 상기 캐비닛(10)의 좌우 폭과 동일한 좌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컨트롤부(14)의 전단에서 상기 도어(20)의 전단까지의 거리와 대응하는 전후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 정화장치(4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냉장고(1)의 상단에서 일체감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공기 정화장치(40)의 흡입구(431)는 상기 케이스(41)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주방공간의 공기가 양측방에서 흡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내부에 구비된 필터 어셈블리(45)와 팬 모터 어셈블리(44)를 차례로 통과한 후 에어 가이드(435)를 통해서 전방의 토출구(432)로 토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도 17은 상기 공기 정화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8은 상기 공기 정화 장치의 공기 유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공기 정화장치(40)는, 어퍼 케이스(42)와 로어 케이스(43)가 결합된 케이스(41)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케이스(42)는 상기 로어 케이스(43)의 개구된 상면을 형성하며,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44)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흡입 안내부(421)가 형성되며, 상기 흡입 안내부(421)의 하방에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4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어 케이스(43)는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44)와 상기 필터 어셈블리(45)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로어 케이스(43)의 개구된 상면은 상기 어퍼 케이스(42)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케이스(43)의 좌우 양측에는 흡입구(431)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구(431)는 그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로어 케이스(43)의 측면 대부분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케이스(43)의 전면에는 토출구(432)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432)는 상기 토출구 커버(433)에 의해 가려질 수 있으며, 상기 토출구 커버(433)는 상기 토출구(432)와 이격되도록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토출구(432)와 상기 토출구 커버(433)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며 상기 토출구(43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토출구(432)와 상기 토출구 커버(433) 사이 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토출구 커버(433)의 좌우 양측단에는 상기 로어 케이스(43)를 향하여 후방으로 연장되는 커버 장착 돌기(433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토출구(432)의 좌우 양측방에는 상기 커버 장착 돌기(433a)가 삽입 고정되는 커버 홈(43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 커버(433)의 하단에는 상기 토출구 커버(433)의 하단과 상기 토출구(432)의 하단 사이를 차폐하는 차폐부(433b)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433b)에 의해 상기 토출구(432)의 하단과 상기 토출구 커버(433)의 하단 사이로 정화된 공기가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토출구(432)의 하단과 상기 토출구 커버(433)의 하단 사이로 정화된 공기가 토출될 경우 사용자의 얼굴에 직접적으로 공기가 토출될 수 있어 사용자의 불만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폐부(433b)에 의해 하방으로의 공기 토출을 방지하고 상방과 양측방향으로의 공기 토출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토출구(432)의 개구된 좌우 양측단에는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44)의 가이드 토출구(444b)를 향하여 연장되는 에어 가이드(43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 가이드(435)는 상기 토출구(432)의 단부와 상기 가이드 토출구(444b)의 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케이스(41)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토출구(444b)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토출구(432) 측으로 효과적으로 안내되어 토출될 수 있다.
상기 로어 케이스(43)는 팬 모터 어셈블리(44)가 장착되는 팬 모터 장착부(436)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 모터 장착부(436)는 상기 에어 가이드(435)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 모터 장착부(436)의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로어 케이스(43)의 후면에는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44)의 일부가 위치되는 함몰부(437)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437)에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44)의 일부가 접하도록 수용되며, 따라서, 상기 함몰부(437)는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44)의 외주면 형상과 대응하도록 함몰될 수 있다.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44)는 상기 팬 모터 장착부(436)의 중앙에 배치되는 모터(441)와, 상기 모터(441)가 수용되는 모터 하우징(44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모터(441)는 상기 모터 하우징(442)의 내측에 장착되되, 상기 모터(441)의 회전축(441a)이 상기 모터 하우징(442)을 관통하여 돌출된다. 그리고, 돌출된 회전축(441a)에 상기 팬(443)이 장착된다. 상기 팬(443)은 크기만 다를 뿐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은 터보팬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팬(443)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원주방향으로 토출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팬(443)은 상기 팬 가이드(444)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팬 가이드(444)는 상기 팬(443)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면이 개구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팬 가이드(444)의 하면은 상기 팬 모터 장착부(436)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팬 모터 장착부(436)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 가이드(444)의 상면은 상기 흡입 안내부(421)와 이격되며, 상기 흡입 안내부(421)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가이드 흡입구(444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흡입구(444a)는 그릴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 어셈블리(45)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유입되어 상기 팬(443)으로 향하도록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팬 가이드(444)의 둘레면은 하방으로 연장되며, 적어도 일부는 개구되어 상기 가이드 토출구(444b)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토출구(444b)의 개구된 양단은 상기 에어 가이드(435)와 접하게 되며 상기 팬(443)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토출구(432)의 양측방에는 필터 장착구(438)가 형성된다. 상기 필터 장착구(438)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45)가 인출입되는 것으로, 상기 필터 어셈블리(45)의 전면에 의해 차폐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45)가 상기 케이스(41) 내측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필터 장착구(438)는 차폐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45)는 다수의 필터가 모듈의 형태로 결합되는 필터 모듈(36)과, 상기 필터 모듈(36)이 장착되는 필터 케이스(37)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케이스(37)의 전면은 상기 필터 장착구(438)로 노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필터 케이스(37)의 전면을 잡고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필터 어셈블리(45) 전체가 인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45)가 상기 케이스(41) 내측에 완전히 인입되어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45)는 상기 케이스(41)의 내측을 구획하게 된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45)는 상기 흡입구(431)와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44)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게 되어 상기 흡입구(431)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44)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모두 상기 필터 어셈블리(45)를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있다.
상기 필터 모듈(36)은 상기 필터 케이스(37)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다수의 필터의 조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모듈(36)의 세부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에서의 필터 모듈(36)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필터 모듈(36)에 의해 주방공간 내의 오일 미스트와, 유해 가스 및 악취 유발 인자를 필터링 할 수 있게 되며, 정화된 상태의 공기가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44)를 지나 상기 토출구(432)를 통해 토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로어 케이스(43)의 내측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45)의 인출입시 상기 필터 어셈블리(45)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필터 가이드(43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가이드(439)는 상기 필터 장착구(438)의 후방에 구비되며, 다수개의 리브가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케이스(43)에는 자석(45)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자석(45)에 의해 상기 공기 정화장치(40)가 상기 냉장고(1)의 캐비닛(10) 상면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41)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은 가스센서(도 12에서 306)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가스센서(306)에 의해 상기 공기 정화장치(40)의 운전이 조절될 수 있다.

Claims (41)

  1.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닛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장치;
    상기 캐비닛의 상면에서 상기 도어에 의해 전면이 차폐되며, 주방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유해가스를 필터링한 후 배출하는 공기정화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정화장치는,
    상기 캐비닛 상면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상단보다 더 낮은 전면 높이를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면 둘레를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
    상기 케이스 양측의 상기 경사부에 형성되며,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
    상기 케이스 전면의 상기 경사부에 형성되며, 정화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팬 모터 어셈블리;
    상기 흡입구와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사이를 구획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며,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어셈블리;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 양단을 형성하며, 상기 필터 어셈블리측에서 상기 흡입구까지 연장되어 흡입공기를 상기 필터 어셈블리로 안내하는 사이드 흡입 가이드;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서 상기 토출구까지 연장되어 토출공기를 안내하는 프론트 토출 가이드;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주방 공간의 유해가스를 감지하는 가스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스 센서의 감지에 의해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의 운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센서는 공기 중의 일산화탄소 또는 이산화질소를 유해가스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해가스가 설정 기준 이상 감지되는 경우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의 운전을 시작하고,
    운전 시작 후 상기 유해가스가 설정 기준 이하 감지되면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해가스의 감지량에 따라 풍량이 가변될 수 있도록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전방으로 개구된 필터 장착구가 형성되며,
    상기 필터 장착구는 상기 케이스 내측으로 슬라이딩 인출입되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에 의해 차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장착구 후방의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측면과 접하도록 돌출되어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인출입을 안내하는 필터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다수의 필터들이 서로 결합되어 복수의 결합체로 형성되는 필터 모듈과;
    결합된 상태의 상기 필터 모듈을 수용하며, 상기 케이스 내측에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는 필터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모듈은 교체 또는 서비스 주기가 유사한 필터들 간에 서로 결합되어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모듈은 유사기능을 가지는 필터들 간에 서로 결합되어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모듈은,
    상기 흡입구와 가장 가까이 배치되며, 이물질을 필터링 하는 제 1 필터와;
    상기 제 1 필터와 연속 배치되며, 오일 미스트를 필터링 하는 제 2 필터와;
    상기 제 2 필터와 연속 배치되며, 미세 먼지를 필터링 하는 제 3 필터와;
    상기 제 3 필터와 연속 배치되며, 상기 유해가스를 필터링 하는 제 4 필터와;
    상기 제 4 필터와 연속 배치되며, 세균을 살균하는 제 5 필터와;
    상기 제 5 필터와 연속 배치되며, 악취 발생 인자를 필터링 하는 제 6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케이스는,
    상기 필터 모듈이 삽입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필터 수용부재와;
    상기 필터 수용부재의 전단에 결합되며, 상기 필터 장착구를 통해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인출입 조작되는 인출 조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수용부재에는 상기 인출 조작부재측으로 연장되는 회전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인출 조작부재에는 상기 회전 결합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 로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조작부재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필터 장착구와 걸림 구속되는 커버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조작부재에는 사용자가 잡을 수 있도록 함몰되어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인출입 조작을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오일 미스트를 필터링 하는 필터와, 상기 유해가스를 필터링 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모터 어셈블리는,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공기를 중심방향으로 흡입하여 원주방향으로 토출하는 팬;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 장착되어 상기 모터를 지지하며, 상기 팬이 수용되는 공간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모터 서포터;
    상기 모터 서포터와 결합되어 상기 팬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팬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가이드 흡입구와 상기 팬에 의해 토출되는 가이드 토출구를 형성하는 팬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는 상기 모터와 팬이 상기 모터 서포터와 팬 가이드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내측에 장착된 모듈 상태로 상기 케이스 내측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터보 팬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토출구와 상기 가이드 토출구를 연결하여 토출 공기를 안내하는 토출 에어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배면을 바라보는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는,
    상기 공기 정화장치의 운전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상기 공기 정화장치의 운전을 조작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 버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서포터에는,
    상기 모터 서포터의 바닥을 통과하여 상기 모터와 연결되는 전선이 출입되는 전선 홀과,
    상기 모터 서포터의 바닥에서 연장되는 다수의 보강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팬 가이드는 상면에 상기 가이드 흡입구가 개구되고, 둘레면에 가이드 토출구가 개구되며,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의 장착시 상기 가이드 토출구는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는 토출 에어 가이드와 결합되어 토출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베리어가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좌우 양측으로 구획하며,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와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베리어에 의해 구획된 각각의 공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는 상기 토출구를 구획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토출구와 접하는 상기 베리어의 단부에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절곡되는 가이드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는, 스틸 소재의 상기 캐비닛 상면과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자석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냉장고용 공기 정화장치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에는 플러그가 제공되며,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에는 커넥터가 제공되며, 상기 냉장고의 전원선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는 상기 팬 가이드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방으로 함몰된 흡입 안내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흡입구는 상기 흡입 안내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가이드 흡입구의 내측에는 상기 팬의 쉬라우드가 수용되는 벨마우스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팬 모터 어셈블리 및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로어 케이스와,
    상기 로어 케이스의 개구된 상면을 차폐하는 어퍼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어퍼 케이스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흡입 가이드와 상기 프론트 토출 가이드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토출공기의 흡입 및 배출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8. 삭제
  3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는,
    상기 공기 정화장치의 운전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공기 정화장치의 운전 조작을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 버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장치는 상기 캐비닛의 상면 양단에 구비되며, 한쌍의 상기 도어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힌지장치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케이스의 양측면에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돌출 및 함몰되어 서로 결합되는 장착돌기와 장착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1. 삭제
KR1020160017583A 2016-02-16 2016-02-16 냉장고 Active KR101803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583A KR101803628B1 (ko) 2016-02-16 2016-02-16 냉장고
CN201710069215.2A CN107101450B (zh) 2016-02-16 2017-02-08 具有用于冰箱的空气净化装置的冰箱
EP17155423.1A EP3208562B1 (en) 2016-02-16 2017-02-09 Air purifier for a refrigerator
JP2017023719A JP6417434B2 (ja) 2016-02-16 2017-02-13 冷蔵庫
US15/432,021 US10254035B2 (en) 2016-02-16 2017-02-14 Air purifier for refrigerator
US16/282,623 US10605521B2 (en) 2016-02-16 2019-02-22 Air purifier for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583A KR101803628B1 (ko) 2016-02-16 2016-02-16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6334A KR20170096334A (ko) 2017-08-24
KR101803628B1 true KR101803628B1 (ko) 2017-12-28

Family

ID=58009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7583A Active KR101803628B1 (ko) 2016-02-16 2016-02-16 냉장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254035B2 (ko)
EP (1) EP3208562B1 (ko)
JP (1) JP6417434B2 (ko)
KR (1) KR101803628B1 (ko)
CN (1) CN10710145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51608A1 (en) * 2018-02-05 2019-08-0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having air processing apparatus
US20230184635A1 (en) * 2020-09-29 2023-06-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purifi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9487A1 (ja) * 2015-06-08 2016-12-15 日本電産株式会社 ファンアセンブリ
KR101803628B1 (ko) * 2016-02-16 2017-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6729919A (zh) * 2017-03-21 2017-05-31 佛山市顺德区朝日实业有限公司 纳米光触媒清菌除味空气循环机
JP6956801B2 (ja) 2017-11-10 2021-11-02 日本碍子株式会社 全固体リチウム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365328B1 (ko) 2018-03-28 2022-02-24 엔지케이 인슐레이터 엘티디 리튬 이차전지 및 전지 내장 카드
JP6496435B1 (ja) 2018-03-28 2019-04-03 日本碍子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及び電池内蔵カード
TWI785239B (zh) 2018-05-17 2022-12-01 日商日本碍子股份有限公司 鋰二次電池
KR20200074500A (ko) * 2018-12-17 2020-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11859891B2 (en) 2019-07-17 2024-01-02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Appliance air freshener
KR102214130B1 (ko) * 2019-10-15 2021-02-09 주식회사 스타리온 의료용 냉장고 데이터기록 시스템
CN110755947B (zh) * 2019-11-25 2023-09-05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油烟净化装置
KR102293406B1 (ko) * 2019-12-12 2021-08-25 (주)인포바이오테크 시약 및 의약품 보관 장치
CN111151093B (zh) * 2019-12-30 2021-11-09 江苏龙创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漆包线用漆制作的空气净化装置及其控制方法
CN113864868B (zh) * 2020-06-30 2023-10-20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器
CN113983612A (zh) * 2020-07-27 2022-01-28 Lg电子株式会社 便携式空气净化器
CN114688783A (zh) 2020-12-29 2022-07-01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冰箱
CN114688784A (zh) * 2020-12-29 2022-07-01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冰箱
CN114688808A (zh) * 2020-12-29 2022-07-01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用于冰箱的空气卫生装置以及冰箱
CN115143674B (zh) * 2022-07-12 2023-06-0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冰箱净味控制方法及冰箱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89043A (ja) * 2008-10-10 2010-04-22 Panasonic Corp 空気清浄機
KR101034003B1 (ko) * 2004-06-25 2011-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가 구비되는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2015A (ja) * 1986-12-26 1988-07-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清浄器
JPH01254225A (ja) * 1988-04-04 1989-10-11 Nitta Ind Corp 空気清浄装置並びに当該装置に用いる空気汚れ判定装置及びフィルタ目詰まり検知装置
JPH058379U (ja) * 1991-02-25 1993-02-05 助 近藤 冷蔵庫側面収納具
JP2961453B2 (ja) 1991-06-28 1999-10-12 株式会社小森コーポレーション 印刷機械の最適張力演算装置
KR950010496Y1 (ko) 1993-08-09 1995-12-18 김두식 건조장치
US5568730A (en) * 1993-11-26 1996-10-29 Goldstar Co., Ltd. Deodorizing device for refrigerator
JPH0832248A (ja) * 1994-07-20 1996-02-02 Fujitsu General Ltd フィルタ取付装置
EP1050332A3 (en) * 1999-05-04 2001-05-23 Simatelex Manufactory Company Limited Air purifier
JP2003247773A (ja) * 2002-02-26 2003-09-05 Matsushita Refrig Co Ltd 冷蔵庫
KR20050069321A (ko) 2003-12-31 2005-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GB2415398B (en) * 2004-06-25 2008-07-0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having air-cleaner
KR20060010106A (ko) 2004-07-27 2006-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공기청정기
KR20060014144A (ko) 2004-08-10 2006-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겸용 냉장고의 토출구조
CN1740678A (zh) * 2004-08-24 2006-03-01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空气净化器
KR20060019655A (ko) 2004-08-28 2006-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치냉장고 설치용 공기청정기
CN100520249C (zh) * 2005-03-25 2009-07-29 海尔集团公司 一种有空气净化功能的节能冰箱
CN100549589C (zh) * 2005-05-09 2009-10-14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带有空气净化器的冰箱
JP2007120877A (ja) * 2005-10-28 2007-05-17 Toshiba Corp 冷蔵庫
KR100797154B1 (ko) 2005-11-16 2008-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공기청정기
JP4771850B2 (ja) * 2006-03-31 2011-09-14 三洋電機株式会社 貯蔵庫の周辺空気の除菌装置
JP4693712B2 (ja) * 2006-03-31 2011-06-01 三洋電機株式会社 貯蔵庫の周辺空気の除菌装置
JP4716927B2 (ja) * 2006-06-02 2011-07-06 シャープ株式会社 冷蔵庫
JP4744375B2 (ja) * 2006-06-30 2011-08-10 三洋電機株式会社 貯蔵庫の周辺空気の除菌装置
KR100764279B1 (ko) * 2006-07-06 2007-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음향장치
US8228782B2 (en) * 2006-12-22 2012-07-24 Lg Electronics Inc. Sequence generation and transmission method based on time and frequency domain transmission unit
KR101103031B1 (ko) * 2010-07-13 2012-01-05 강연균 냉장 시약장
KR101813030B1 (ko) * 2010-12-29 2017-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15059770A1 (ja) * 2013-10-22 2015-04-30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清浄機
KR102238946B1 (ko) * 2014-06-27 2021-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스 센서,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CN204423247U (zh) * 2015-01-26 2015-06-24 上海习善环保科技有限公司 横屏式超薄型空气净化电脑一体机
EP3163295B1 (en) * 2015-11-02 2020-09-30 Alpha M.O.S. System and method for characterizing a gas sample
JP6858549B2 (ja) * 2015-12-28 2021-04-14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記憶装置
KR101803628B1 (ko) * 2016-02-16 2017-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14268B1 (ko) * 2016-07-22 2022-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003B1 (ko) * 2004-06-25 2011-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가 구비되는 냉장고
JP2010089043A (ja) * 2008-10-10 2010-04-22 Panasonic Corp 空気清浄機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51608A1 (en) * 2018-02-05 2019-08-0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having air processing apparatus
KR20190094630A (ko) * 2018-02-05 2019-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처리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EP3749905A4 (en) * 2018-02-05 2021-11-1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ITH AN AIR TREATMENT UNIT
KR102487212B1 (ko) 2018-02-05 2023-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처리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US11846444B2 (en) 2018-02-05 2023-12-1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having air processing apparatus
US20230184635A1 (en) * 2020-09-29 2023-06-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pur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101450A (zh) 2017-08-29
US20190186811A1 (en) 2019-06-20
CN107101450B (zh) 2020-07-28
KR20170096334A (ko) 2017-08-24
US10605521B2 (en) 2020-03-31
EP3208562A1 (en) 2017-08-23
JP2017146088A (ja) 2017-08-24
US20170234598A1 (en) 2017-08-17
US10254035B2 (en) 2019-04-09
JP6417434B2 (ja) 2018-11-07
EP3208562B1 (en) 202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3628B1 (ko) 냉장고
KR102800579B1 (ko) 공기 청정기
KR101897353B1 (ko) 공기 청정기
CN106839139B (zh) 空气清洁器
US6455818B1 (en) Downdraft filter assembly for a cooking appliance
KR20170140578A (ko) 공기 청정기
KR101828936B1 (ko)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124680A (ko) 공기 청정기
KR101902070B1 (ko) 공기 청정기
KR101938647B1 (ko) 공기 청정기
KR20180040903A (ko) 공기 청정기
KR20190100142A (ko) 공기 청정기
KR101795938B1 (ko) 공기 청정기
KR101855008B1 (ko) 공기 청정기
KR20190044044A (ko) 공기 청정기
KR101809407B1 (ko) 공기 청정기
KR101809408B1 (ko) 공기 청정기
KR20180041058A (ko) 공기 청정기
KR20180108131A (ko) 공기 조화기
CN217274403U (zh) 油烟机
KR101931536B1 (ko)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US20240247811A1 (en) Cooking apparatus
KR102152658B1 (ko) 공기 청정기
KR20190124683A (ko) 공기 청정기
JPH0957048A (ja) 空気清浄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4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