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0978B1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lacquer wat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anufacturing lacquer wa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00978B1 KR101800978B1 KR1020160164562A KR20160164562A KR101800978B1 KR 101800978 B1 KR101800978 B1 KR 101800978B1 KR 1020160164562 A KR1020160164562 A KR 1020160164562A KR 20160164562 A KR20160164562 A KR 20160164562A KR 101800978 B1 KR101800978 B1 KR 1018009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am
- lacquer
- pipe
- water
- tre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922 lacque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44000044283 Toxicodendron succedane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RMTXUPIIESNLPW-UHFFFAOYSA-N 1,2-dihydroxy-3-(pentadeca-8,11-dienyl)benzen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1=CC=CC(O)=C1O RMTXUPIIESNLPW-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QARRXYBJLBIVAK-UEMSJJPVSA-N 3-[(8e,11e)-pentadeca-8,11-dienyl]benzene-1,2-diol;3-[(8e,11e)-pentadeca-8,11,14-trienyl]benzene-1,2-diol;3-[(8e,11e,13e)-pentadeca-8,11,13-trienyl]benzene-1,2-diol;3-[(e)-pentadec-8-enyl]benzene-1,2-diol;3-pentadecylbenzene-1,2-diol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1=CC=CC(O)=C1O.CCCCCC\C=C\CCCCCCCC1=CC=CC(O)=C1O.CCC\C=C\C\C=C\CCCCCCCC1=CC=CC(O)=C1O.C\C=C\C=C\C\C=C\CCCCCCCC1=CC=CC(O)=C1O.OC1=CC=CC(CCCCCCC\C=C\C\C=C\CC=C)=C1O QARRXYBJLBIVAK-UEMSJJPV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IYROWZYPEIMDDN-UHFFFAOYSA-N 3-n-pentadec-8,11,13-trienyl catechol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1=CC=CC(O)=C1O IYROWZYPEIMDDN-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DQTMTQZSOJMZSF-UHFFFAOYSA-N urushiol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1=CC=CC(O)=C1O DQTMTQZSOJMZSF-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10793 Steam injection (oil industry)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41000208225 Rh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5000014220 Rhus chinens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1100000331 toxic Toxicity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2588 tox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2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7096 poisonous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41000003910 Baronia <angiosperm> Species 0.000 abstract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4382 pot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5022 packag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019 ag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872 dietary supplem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HEFDIBZLJXQHF-UHFFFAOYSA-N fisetin Chemical compound C=1C(O)=CC=C(C(C=2O)=O)C=1OC=2C1=CC=C(O)C(O)=C1 XHEFDIBZLJXQH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935 flavono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215 flavono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7173 flavono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574 pois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419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88 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03 weig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1674 Agaricus brunnesce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1093951 Ailanthus altissim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27554 Ampelopsis cord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FNUPUYFWZXZMIE-UHFFFAOYSA-N Fustin Natural products O1C2=CC(O)=CC=C2C(=O)C(O)C1C1=CC=C(O)C(O)=C1 FNUPUYFWZXZMI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group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51 Hypersensitiv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3799 Paraly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39491 Ric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846 Ricin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322381 Ricinus <lous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6935 allerg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815 allerg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04 blood vesse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81 drying op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49 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990 fise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FNUPUYFWZXZMIE-HUUCEWRRSA-N fustin Chemical compound C1([C@@H]2[C@@H](C(C3=CC=C(O)C=C3O2)=O)O)=CC=C(O)C(O)=C1 FNUPUYFWZXZMIE-HUUCEWRR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77 insect repell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25 perc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03 reabsor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8327 se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1—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heating without chemical treatment, e.g. steam treatment, cooking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4—Extraction of jui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3—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extraction with solv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옻물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옻나무에 포함된 독성성분인 우루시올(Urushiol)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옻물을 누구나 안심하고 복용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옻물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옻물 제조장치는, 상부가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옻나무와 물이 투입되는 약탕기와; 약탕기의 내부로 관통 삽입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분사홀을 통해 고온의 스팀을 분사하여 옻나무와 물이 배합된 옻나무 혼합물로 스팀을 직접 접촉시켜 옻나무 속에 포함된 우루시올(Urushiol)을 약탕기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외부로 휘발시키도록 하는 스팀분사관과; 상기 약탕기에 설치되어 상기 옻나무 혼합물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스팀분사관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cquer produc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cquer production apparatus that effectively removes urushiol, a poisonous ingredient contained in a lacquer tree, so that anyone can safely take and use lacquer.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lacqu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ot maker having an open upper part, into which a lacquer tree and water are introduced; The steam is injected through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ttery machine, and the steam is directly contacted with the mixture of the lacquer tree and the water. Thus, the urushiol contained in the lacquer tree is introduced into the pottery A steam injection pipe for volatilizing the steam to the outside through an open top; A heating unit installed in the pottery to heat the rhus wood mixture; And a steam supply unit for supplying steam to the steam injection pipe.
Description
본 발명은 옻물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옻나무에 포함된 독성성분인 우루시올(Urushiol)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옻물을 누구나 안심하고 복용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옻물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cquer produc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cquer production apparatus which effectively removes urushiol, which is a poisonous ingredient contained in Rhus verniciflua var.
일반적으로 옻나무(Rhus vernicflua)는 옻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고목으로 중국이 원산지이며 대한민국, 일본, 중국 등 주로 동북아시아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옻나무의 수액인 옻은 일종의 식물생리상 분비물로써 주로 수피의 2차 사부조직(secondary phloem)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오래전부터 천연도료 및 약재로 이용되어 오고 있으며, 이러한 옻나무의 효능으로 동양에서는 옻이 여성의 생리기 이상, 위장약, 구충제, 혈액순환, 노화방지 등의 처방제로 전래되어 왔으며, 대한민국에서는 옻나무를 옻닭, 옻오리 등에 이용하여 중풍, 고혈압 등에 효과가 있는 몸보신용 식품으로 애용하고 있다.Generally, Rhus vernicflua is a deciduous tree belonging to the lacquer tree. It is originated from China and cultivated mainly in Northeast Asia such as Korea, Japan and China. Lacquer, which is a sap of lacquer tree, is a kind of plant physiological phase secretion, It has been used as a natural paint and medicinal material for a long time since it is present in secondary phloem. Due to the efficacy of such lacquer tree, oriental lacquer has been prescribed as a prescription agent such as female physiological abnormalities, stomach medicine, insect repellent, blood circulation, In Korea, lacquer tree, lacquer, and lacquer are used as mushrooms for food such as paralysis and hypertension.
한편, 이러한 옻나무는 주로 후라보노이드계 물질로서 피세틴(Fisetin)및 푸스틴(Fustin)과 같은 후라보노이드 성분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성분은 혈관이나 모세혈관을 보호하는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왔다.On the other hand, these Rhus verniciflua mainly have flavonoids such as Fisetin and Fustin as flavonoids, and these compounds have been known to protect blood vessels and capillaries.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옻나무는 인체의 건강증진에 좋은 원료임에도 불구하고, 우루시올(Urushiol)과 같은 알러지를 유발하는 독성성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모든 사람들이 범용적으로 복용 및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lacquer tree is a good raw material for promoting the health of the human body, since it contains poisonous ingredients that cause allergy such as urushiol, there is a problem that all people can not use and use them universally .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옻물에 포함되어 있는 독성성분인 우루시올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누구나 안심하고 복용 및 사용이 가능한 옻물을 제조할 수 있는 옻물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rucksch lacquer which can effectively remove uriciol, which is a poisonous ingredient contained in lacquer, and which can be safely used and used by anyone.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옻물 제조장치는, 상부가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옻나무와 물이 투입되는 약탕기와; 약탕기의 내부로 관통 삽입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분사홀을 통해 고온의 스팀을 분사하여 옻나무와 물이 배합된 옻나무 혼합물로 스팀을 직접 접촉시켜 옻나무 속에 포함된 우루시올(Urushiol)을 약탕기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외부로 휘발시키도록 하는 스팀분사관과; 상기 약탕기에 설치되어 상기 옻나무 혼합물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스팀분사관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lacqu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 potting device having an open upper part and injecting lacquer tree and water; The steam is injected through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ttery machine, and the steam is directly contacted with the mixture of the lacquer tree and the water. Thus, the urushiol contained in the lacquer tree is introduced into the pottery A steam injection pipe for volatilizing the steam to the outside through an open top; A heating unit installed in the pottery to heat the rhus wood mixture; And a steam supply unit for supplying steam to the steam injection pipe.
여기서, 상기 가열부로는, 스팀분사관의 상부 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팀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고온의 스팀을 이용하여 옻나무 혼합물을 가열하는 한편 상기 스팀분사관의 분사홀을 통해 분사되는 스팀을 고온으로 가열하는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 스팀가열관이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heating unit may be a heating unit that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team spraying pipe and heats the mixture of the lacquer using the high-temperature steam supplied from the steam supply unit, while heating the steam sprayed through the spray hole of the steam spraying pipe to a high temperature A steam heating pipe having a tubular shape can be provided.
그리고, 상기 스팀가열관의 상부 측에는 파쇄된 상태의 옻나무가 수용되는 복수의 타공홀이 형성된 타공망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perforated network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team heating pipe, in which a plurality of perforated holes for accommodating the lacquer tree in a broken state are formed.
또한, 상기 약탕기에는 상기 타공망을 약탕기 내부의 수면 아래로 완전히 가라앉혀 주기 위한 침지수단이 추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n immersion unit for completely submerging the perforated network under the water surface inside the chemical tank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chemical tank.
이 경우, 상기 침지수단은, 약탕기의 상단에 안착되며 옻나무로부터 휘발되는 우루시올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하로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된 상단 덮개와, 상기 상단 덮개의 중앙부를 가로지르며 상단 덮개와 일체로 형성된 크로스부재와, 상기 크로스부재의 하단에 결합되며 타공망의 상단과 접촉하여 타공망을 약탕기 내부의 수면 아래로 눌러주는 누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mmersion unit may include: an upper cover which is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pottery and has an opening vertically opened so that urushiol volatilized from the lacqu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 cross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cover, And a pressing member which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ross member and contacts the upper end of the perforated network and presses the perforated network down to the water surface inside the device.
이때, 상기 타공망의 상단에는 고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재의 하단에는 상기 고리부의 외면에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부가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n annular portion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perforated network, and a fitting portion may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pressing member to be engaged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annular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옻물 제조장치에는 상기 약탕기의 외부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스팀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고온의 스팀을 약탕기의 외부로 공급하여 옻나무 혼합물을 가열해주는 또 하나의 스팀가열관이 추가 설치될 수 있다.Further, the lacquer produ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other steam heating pipe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device for supplying the high-temperature steam supplied from the steam supply unit to the outside of the device for heating the lacquer mixture .
또한, 본 발명의 옻물 제조장치에는 상기 약탕기의 내부면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스팀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고온의 스팀을 약탕기 내부로 분사하여 옻나무 혼합물에 직접 접촉되도록 하는 또 하나의 스팀분사관이 추가 설치될 수 있다.Further, in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lacqu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other steam spraying pipe install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above-described device for injecting hot steam supplied from the steam supplying unit into the pottery to make direct contact with the lacquer mixture .
한편, 본 발명의 옻물 제조장치에는 스팀분사관으로부터 분사되는 스팀을 옻나무가 위치한 상부 측으로 고르게 분산시켜 공급해주는 정류판이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the lacquer produ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rectifying plate for uniformly distributing the steam sprayed from the steam spraying pipe to the upper side where the lacquer tree is located.
이 경우, 상기 정류판은 스팀분사관과 스팀가열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ctification plate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team injection pipe and the steam heating pipe.
또는, 상기 정류판을 스팀가열관과 타공망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rectifying plate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team heating pipe and the perforated network.
또는, 상기 정류판을 스팀분사관에 형성된 각 분사홀 부분에 개별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rectifying plates may be provided individually in the respective injection holes formed in the steam injection pipe.
한편, 본 발명의 옻물 제조장치에는 상기 약탕기 내에 투입될 옻나무를 파쇄하는 파쇄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다.Meanwhile, the lacquer produ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rushing means for crushing the lacquer tree to be injected into the device.
그리고, 상기 파쇄수단을 통해 파쇄된 옻나무를 세척하는 세척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다.The washing machine may further include washing means for washing the lacquer tree crushed through the crushing means.
또한, 상기 약탕기 내의 옻나무 혼합물을 교반할 수 있는 교반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다.
Further,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gitation means capable of agitating the rhus verniciflua mixture in the above-mentioned water pot.
본 발명에 따른 옻물 제조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lacquer produ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첫째, 옻물에 포함되어 있는 독성성분인 우루시올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누구나 안심하고 복용하거나, 이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범용적인 사용이 가능하다.First, it can be used universally because anyone can safely take uriciol, which is a poison ingredient contained in lacquer, and take it safely.
둘째, 옻물의 독성성분이 제거되어 인체에 무해하기 때문에, 이러한 옻물을 이용하여 식품, 화장품, 음료 및 건강보조식품의 원료 등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Secondly, toxic components of lacquer are eliminated and harmless to the human body. Therefore, such lacquer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foods, cosmetics, beverages and raw materials for health supplements.
셋째, 옻물을 제조하기 위한 고가의 고압장치 등과 같은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옻물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비용 절감을 비롯한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ird, since the lacquer can be easily manufactured without using an apparatus such as an expensive high-pressure apparatus for producing the lacqu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conomical effect including a reduction in manufacturing cost.
넷째, 스팀공급부에서 고온의 스팀을 공급받아 약탕기 내부의 옻나무 혼합물을 가열하여 달이는 한편 고온의 스팀을 옻나무 혼합물로 분사하여 직접 접촉시킴으로써 우루시올의 휘발작용이 보다 잘 일어나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독성성분이 완전히 제거된 상태의 옻물 제조가 가능하다.Fourth, the high-temperature steam is supplied from the steam supply part to heat the rhusin mixture in the boiler, and the high-temperature steam is sprayed with the rhus mixture to directly contact the rhusi, so that the volatile action of urushiol can be more easily caused,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lacquer in a completely removed state.
다섯째, 스팀가열관이 스팀분사관의 상부 측에 배치됨에 따라 스팀분사관에서 분사된 고온의 스팀이 상측으로 올라오는 과정에서 온도가 떨어지더라도 상기 스팀가열관을 통해 재가열이 이루어져 다시금 고온상태의 스팀으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우루시올의 휘발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우루시올 제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Fifth, since the steam heating tube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team injection tube, even if the temperature of the high temperature steam injected from the steam injection tube rises upward, the steam is reheated through the steam heating tub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gradation of the volatile capacity of urushiol, thereby improving the urushiol removal performance.
여섯째, 약탕기 내의 옻나무 혼합물을 가열해주는 가열수단이 기존과 같이 약탕기의 벽면이나 바닥면에 전기열선 형태로 설치되지 않고 고온의 스팀이 흐르는 관 형태로 약탕기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약탕기 내부의 옻나무 혼합물을 신속하고 고르게 가열하여 달일 수 있다.Sixth, since the heating means for heating the mixture of the lacquer in the pottery is not installed in the form of electric hot wire on the wall or bottom of the pottery as in the conventional way but installed in the inside of the pottery in the form of a tube in which hot steam flows, It can be heated evenly.
일곱째, 스팀분사관과 스팀가열관 사이, 또는 스팀가열관의 상부 측에 정류판이 설치됨에 따라 스팀분사관에서 분사되는 스팀이 상기 정류판을 통과하면서 사방으로 고르게 분산되어 상부의 옻나무 혼합물로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옻나무 전체에 스팀이 고르게 접촉되어 우루시올의 제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Seventh, since the rectifying plate is installed between the steam jetting tube and the steam heating tube or the upper side of the steam heating tube, the steam injected from the steam jetting tube is uniformly distributed in four directions passing through the rectifying plate and supplied to the upper rucksack mixture The steam can be uniformly contacted to the entire lacquer tree to improve the removal performance of urushiol.
여덟째, 약탕기의 상부를 개방하고, 개방된 상부에 옻나무가 수용된 타공망을 약탕기의 수면 아래로 완전히 가라앉도록 침지시키는 침지수단이 설치됨으로써, 옻나무 전체가 물속에 완전히 침지된 상태에서 가열되어 달여질 수 있기 때문에 옻물의 추출작용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Eighth, an immersing means is provided to open the upper part of the pottery machine and to immerse the perforated net in which the lacquer tree is housed in the open upper part so as to sink completely down to the water surface of the pottery machine, whereby the whole lacquer tree can be heated and kneaded The extraction function of the lacquer can be more effectively achiev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옻물 제조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옻물 제조장치의 약탕기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옻나무가 수용되어 있는 타공망 상단의 고리부에 상단 덮개에 구비된 누름부재의 끼움부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약탕기 내의 스팀분사관 배치형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약탕기 내의 스팀가열관 배치형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약탕기에 대한 또 다른 형태의 실시 예로서, 스팀가열관의 상부 측에 정류판이 배치된 구조를 예시한 단면도.
도 8은 약탕기에 대한 또 다른 형태의 실시 예로서, 스팀분사관의 각 분사홀 부분에 정류판이 개별적으로 설치된 형태를 예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옻물 제조장치를 이용한 옻물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main parts of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lacquerw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potion maker of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lacquerwa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tting portion of a pressing member provided on an upper cover is coupled to a ring portion of a top end of a perforated nesting tree in which a lacquer tree is housed.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steam injection tube arrangement in a pottery; Fig.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 steam heating tube arrangement in a pot.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rectifying plate is disposed on an upper side of a steam heating tub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rectifying plate is separately provided in each injection hole portion of a steam injection tub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lacquer using the apparatus for producing lacquer materia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옻물 제조장치는, 채취된 옻나무를 파쇄하는 파쇄수단과, 상기 파쇄된 옻나무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단과, 상기 세척된 옻나무를 물과 일정 비율을 이루도록 약탕기 내에 투입한 후 가열하여 달이는 달임수단을 포함한다.1,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n illusion of lacqu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crushing means for crushing collected lacquer trees, washing means for washing the crushed lacquer tree, And a heating means for heating the molten metal.
본 발명의 옻물 제조장치에서 사용되는 옻나무는 줄기 부분을 비롯하여 껍질부분 등을 모두 포함하여, 옻나무 줄기 부분과 껍질부분에 포함된 각각의 다른 이로운 성분을 모두 활용할 수 있도록 옻나무의 약효를 최대한 얻을 수 있도록 한다.The lacquer used in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lacqu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the stem parts and the shell parts so that the lacquer tree part and the shell parts can be utilized to obtain the maximum effect of the sumac do.
이때, 상기 옻나무는 5년 이상 생육된 야생 옻나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use a wild ivy tree grown for 5 years or mor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파쇄수단은 채취된 옻나무 원료를 달이기에 적합한 크기로 잘라 파쇄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The crushing means is provided so that the collected lacquer raw material can be cut and crushed to a size suitable for mooning.
이때, 상기 파쇄수단을 이용한 옻나무 원료의 파쇄작업시 옻물 제조 과정에서 옻나무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이 충분히 우러나올 수 있도록 잘게 잘라 파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crush the lacquer so that the ingredients contained in the lacquer can be sufficiently removed during the crushing operation of the raw lacquer using the crushing means.
상기와 같이 옻물을 제조하기 위한 옻나무의 채취 및 파쇄가 완료된 다음에는, 상기 옻나무 속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세척수단을 통해 세척작업이 실시된다. After collecting and crushing the lacquer tree for preparing the lacquer tree, the lacquer tree is cleaned by a washing means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lacquer tree.
이 경우, 상기 옻나무의 세척작업은 상기와 같이 옻나무의 파쇄작업 이후 곧바로 실시할 수도 있지만, 이후에 실시되는 건조작업 이후에 세척작업이 실시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lacquer tree may be washed immediately after the lacquer crushing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but may be performed after the drying operation.
상기와 같이 옻나무의 세척작업이 완료되면 옻나무를 자연햇빛과 바람에 충분히 노출시켜 건조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옻나무를 건조하는 이유는, 생옻나무를 그대로 달이는 것에 비하여 옻나무의 약효성분이 더 많이 우러나고 잘 우러나기 때문이다.When the lacquer tree is cleaned as described above, the lacquer tree is sufficiently exposed to natural sunlight and wind to dry it. The reason why the lacquer tree is dried in this way is because the lacquer tree has more active ingredient than the lacquer tree itself.
상기한 옻나무의 세척 및 건조작업이 모두 완료된 후에는 옻나무와 물을 일정 비율로 달임수단에 투입하여 100℃ 미만에서 달인다.After completion of washing and drying of the lacquer tree, the lacquer tree and water are added to the lacquer at a certain ratio and dried at less than 100 캜.
상기 달임수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옻나무와 물이 투입되는 약탕기(110)와, 상기 약탕기(110)의 내부로 관통 삽입되는 스팀분사관(150)과, 상기 스팀분사관(150)의 상부 측에 배치되는 스팀가열관(160)과, 상기 스팀분사관(150)과 스팀가열관(160)에 고온의 스팀을 공급해주는 스팀공급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he reclosing means includes a
상기 약탕기(1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내부로는 잘게 파쇄된 후 세척 및 건조작업을 거친 옻나무와 물이 투입된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이 경우 상기 옻나무는 외면에 다수의 타공홀(121)이 형성된 타공망(120)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약탕기(110) 내부에 채워진 물속에 침지된다. In this case, the lacquer tree is immersed in the water filled in the inside of the
상기 타공망(120)은 상부 및 하부가 등분된 형태를 이루며 힌지된 일측을 기준으로 개폐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내부공간에 옻나무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비되나, 이러한 특정 구조에 한정하지 않고 옻나무를 내부공간에 자유롭게 투입하거나 빼내는 것이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The perforated
이와 같은 타공망(120) 내에 투입되는 옻나무와 약탕기(110) 내부에 투입되는 물의 혼합비율은 달이는 과정과 가열하는 과정을 고려하여 물 90중량% 내지 97 중량%와, 옻나무 3중량% 내지 10중량% 비율로 혼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consideration of the process of raising and heating, the mixing ratio of the lacquer applied to the
한편, 약탕기(110)에는 상기와 같은 타공망(120)을 상기 약탕기(110) 내부의 수면 아래로 완전히 가라앉도록 침지시켜 주는 침지수단이 추가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an immersion unit for immersing the
옻나무가 담겨 있는 타공망(120)을 약탕기(110) 내의 물에 띄우게 되면 옻나무의 부력으로 인해 타공망(120)은 일부가 수면 위로 노출된다. 이처럼 타공망(120)이 수면 아래로 완전히 가라앉은 상태로 유지되지 못한 상태에서 옻나무를 달이게 되면 수면 위로 노출된 타공망(120) 부분에 들어 있는 옻나무가 제대로 달여질 수 없다. 이렇게 되면 옻나무 속에 포함된 몸에 유익한 성분을 추출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몸에 해로운 우루시올 성분도 제거되지 않게 된다.When the perforated
따라서, 상기 타공망(120) 전체가 수면 밑으로 가라앉도록 상기 약탕기(110)의 상단에는 상기 타공망(120)을 수면 아래로 완전히 가라앉도록 눌러주어 침지시키는 별도의 침지수단이 구비된다.Therefore, a separate immersion unit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상기 침지수단에 대한 일 예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탕기(110)의 상단에는 타공망(120)을 상부에서 가압하여 약탕기(110)의 수면 아래로 완전히 잠기도록 하는 상단 덮개(130)가 장착된다.As shown in FIGS. 2 to 4, an upper cover (not shown) for pressing the perforated net 120 from above and completely submerged below the water surface of the
이때, 상기 약탕기(110)의 상단에는 상단 덮개(130)가 안착될 수 있는 단차진 형태의 안착턱(112)이 형성된다.At this time, a step-
상기 상단 덮개(130)는 원형의 프레임 형상을 이루며 내측으로는 상기 상단 덮개(130)의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형태의 크로스부재(132)가 일체로 형성된다.The
그리고 상기 크로스부재(132)의 중심부 하단에는 타공망(120)의 상단 중심부와 접촉을 이루며 상기 타공망(120)을 약탕기(110) 내의 수면 아래로 완전히 침지되도록 눌러주는 누름부재(134)가 결합된다.A
이때, 옻나무가 들어 있는 상기 타공망(120)는 약탕기(110)의 수면 위에서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상태로 떠 있기 때문에, 이러한 타공망(120)을 수면 아래로 용이하게 눌러줄 수 있도록 상기 타공망(120)의 상단 중심부에 고리 형상을 갖는 고리부(122)를 형성하고, 누름부재(134)의 하단에는 상기 고리부(122)의 외면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관 형상을 갖는 끼움부(136)를 형성할 수 있다.Since the
따라서, 약탕기(110)의 상단에 상단 덮개(130)를 안착시킬 경우, 먼저 도 4와 같이 약탕기(110)의 수면 위에 떠 있는 타공망(120) 상단의 고리부(122)에 누름부재(134)의 끼움부(136)를 끼워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단 덮개(130)를 약탕기(110)의 상단에 안착시킬 수 있다.4, the pushing
이렇게 약탕기(110)의 상단에 상단 덮개(130)의 안착이 이루어지면, 상단 덮개(130)의 중앙에 배치된 누름부재(134)에 의해 타공망(120)이 하방으로 가압되어 수면 아래로 완전히 가라앉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상기 타공망(120) 속에 들어있는 옻나무 전체가 약탕기(110) 내의 물속에 완전히 잠긴 상태에서 달여질 수 있게 된다.When the
이때, 상기 약탕기(110) 상단에 안착되는 상단 덮개(130)의 무게는 타공망(120) 내의 옻나무의 부력보다 충분히 큰 무게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단 덮개(130)의 무게만으로 타공망(120)이 충분히 하방으로 눌려져 물속에 완전히 잠기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weight of the
아울러, 상기 상단 덮개(130)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옻나무가 달여지는 과정에서 상기 옻나무에서 휘발되는 우루시올이 외부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한편, 약탕기(110)의 최하부 측에는 외부에 위치한 스팀공급부(140)로부터 고온의 스팀을 공급받아 옻나무가 위치한 약탕기(110)의 상부 측으로 분사시켜 줄 수 있는 스팀분사관(150)이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a
상기 스팀분사관(150)은 약탕기(110) 내부를 가열하여 옻나무를 달이는 기능과, 타공망(120)에 들어 있는 옻나무 측으로 스팀을 분사하여 독성성분인 우루시올을 휘발시키는 기능을 겸비한다.The
이러한 스팀분사관(150)은 외부의 스팀공급부(140)와 연결되어 도 5에서 보는 것과 같이 약탕기(110)의 내부로 관통 삽입되어 지그재그 형태로 반복적으로 굽혀진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약탕기(110)의 내부로 삽입된 스팀분사관(150)의 한쪽 면에는 스팀이 분사되는 복수 개의 분사홀(152)이 상기 스팀분사관(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이루며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As shown in FIG. 5, the
따라서, 상기 스팀분사관(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 개의 분사홀(152)을 통해 고온의 스팀이 수증기 기포 형태로 물속으로 분사되고, 이렇게 분사된 스팀은 상부 측으로 이동하여 타공망(120) 속의 옻나무에 직접 접촉됨으로써 옻나무에 포함된 우루시올 성분이 휘발되어 약탕기(11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high-temperature steam is injected into the water through the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152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이때, 상기 스팀분사관(1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그재그 형태로 굽어진 형상 이외에도 태엽 스프링과 같은 나선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형성하게 되면, 상기 나선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 개의 분사홀로부터 분사되는 고온의 스팀이 타공망(120) 속에 들어 있는 옻나무 전체와 고르게 접촉하게 되어 우루시올의 휘발성능을 고르게 유지할 수 있고, 스팀의 고른 분사를 위해 상기 스팀분사관의 상부에 정류판(170)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In this case, the
이와 같은 스팀분사관(150)은 그 직상방에 위치한 옻나무 전체에 스팀을 고르게 전달하여 접촉되도록 할 수 있는 구조라면 상기 약탕기(110) 내에서 다양한 형상적 구조를 가지며 구비될 수 있다.The
그리고, 스팀분사관(150)의 상부 측에는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고온의 스팀 열을 이용하여 약탕기(110) 내의 물을 가열하여 옻나무를 달여주는 스팀가열관(160)이 설치된다.A
상기 스팀가열관(160)은 상기한 스팀분사관(150)과 마찬가지로 외부에 위치한 스팀공급부(140)과 연결되어 약탕기(110)의 내부로 관통 삽입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 스팀가열관(160)은 상기 스팀분사관(150)과 달리 스팀의 분사되지 않으며 관 내부를 따라 스팀의 순환만 이루어지게 된다.The
즉, 상기 스팀가열관(160)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약탕기(110)의 일측으로 인입되어 타측으로 인출되는 구조로 설치되어, 상기 스팀공급부(140)에서 공급되는 고온의 스팀을 이용하여 약탕기(110)의 내부를 가열한 후 다시 스팀공급부(140)로 빠져나가는 순환 구조를 갖게 된다.As shown in FIG. 6, the
이러한 스팀가열관(160)은 약탕기(110) 내부의 물을 효과적으로 가열해주면서 동시에 스팀분사관(150)에서 분사되어 옻나무 측으로 향하는 고온의 스팀을 효과적으로 가열해줄 수 있는 구조라면 상기 약탕기(110) 내에서 다양한 형상적 구조를 가지며 구비될 수 있다.If the
또한, 상기 스팀가열관(160)은 약탕기(110) 내부를 가열하여 옻나무를 달이는 기능 이외에도 하부 측의 스팀분사관(150)에서 분사되는 스팀을 재가열해주어 스팀의 온도를 높이는 기능도 하게 된다.The
즉, 상기 스팀분사관(150)의 분사홀(152)을 통해 상측으로 분사되는 스팀은 분사 초기에는 고온 상태이나 상측으로 올라갈수록 물과 열교환되어 점차 스팀의 온도가 낮아져 결국 저온의 스팀과 옻나무가 접촉하게 됨으로써 우루시올의 휘발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그러나, 스팀분사관(150)의 상부 측에 스팀가열관(160)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스팀분사관(150)에서 분사된 스팀이 상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온도가 낮아지게 되더라도 상기 스팀가열관(160)을 통해 다시 재가열되어 스팀을 다시 고온상태로 만들어 옻나무와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우루시올의 휘발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at is, the steam injected upward through the
아울러, 상기 스팀분사관(150)과 스팀가열관(160)에 고온의 스팀을 공급해 주는 스팀공급부(140)로는 스팀보일러가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약탕기(110) 외부에 위치하는 스팀분사관(150)과 스팀가열관(160)에는 각각 약탕기(110)의 내부로 스팀의 공급을 개폐해 주는 밸브(154,162)가 설치된다.A steam boiler may be used as the
한편, 상기와 같이 고온의 스팀이 흐르는 스팀분사관(150)과 스팀가열관(160)을 통해 옻나무가 침지된 물을 달이는 과정은 상기 옻나무가 투입되어 있는 약탕기(110) 내의 물을 가열하여 끓이지 않고 100℃ 미만의 온도에서 달이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옻나무와 물의 혼합물을 직화 가열이 아닌 스팀분사관(150)과 스팀가열관(160)을 이용하여 스팀 가열을 통해 달이게 된다.The process of raising the water immersed in the lacquer through the
그리고, 스팀을 이용하여 옻나무 혼합물을 달이는 과정에서 스팀분사관(150)으로부터 분사되는 고온의 스팀이 타공망(120) 속에 들어 있는 옻나무와 직접 접촉됨으로서 상기 옻나무 속에 포함되어 있는 독성성분인 우루시올이 효과적으로 휘발될 수 있고, 이렇게 휘발된 우루시올은 약탕기(11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됨으로써 약탕기(110) 내의 달여진 옻물에 재흡수되지 않게 된다.The high-temperature steam sprayed from the
그리고 상기 약탕기(110) 내에는 옻나무 혼합물을 교반할 수 있는 교반수단이 추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교반수단은 약탕기(110) 내의 옻나무 혼합물을 달이는 과정에서 상기 옻나무 혼합물을 교반해 줌으로써 옻나무의 반응 표면적을 높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우루시올의 휘발이 더 잘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In addition, agitation means capable of agitating the rhus verniciflua mixture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한편, 약탕기(110) 내에는 스팀분사관(150)으로부터 분사되는 고온의 스팀이 상측에 위치한 타공망(120) 속의 전체 옻나무에 골고루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분사된 스팀을 사방으로 고르게 분산시켜 주는 정류판(170)이 설치된다.The
이 경우 상기 정류판(170)은 약탕기(110)의 평면 형상과 대응하는 원판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내측으로는 다수의 홀(172)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In this case, the rectifying
이와 같은 정류판(170)은 스팀분사관(150)과 스팀가열관(160)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약탕기(110)의 내주면 상에 고정되거나, 또는 약탕기(110) 내주면 상에 정류판(170)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수단을 설치하여 상기 정류판(170)을 안착수단에 안착시킨 후 고정할 수도 있다.The rectifying
또한, 상기 정류판(170)은 도 7에 도시된 실시 예 형태와 같이 스팀가열관(160)과 타공망(120)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 형태와 같이, 스팀분사관(150)에 형성된 각각의 분사홀(152)과 인접하도록 상기 분사홀(152)의 상부 측에 작은 크기를 가지며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The rectifying
또한, 도면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정류판(170)을 약탕기(110)의 내주부 직경보다 작은 직경, 즉, 타공망(120)의 직경과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는 원판 모양으로 형성하여 약탕기(110)의 내주면 상에 연결부를 통해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원판 부분에 스팀의 정류 작용을 위한 다수의 홀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원판의 둘레와 약탕기(110)의 내면 둘레 사이에 형성된 환형 공간을 통해 물의 상하 흐름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게 되면, 옻나무를 달이는 과정에서 상기 환형 공간을 통해 정류판의 상하로 옻물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정류판의 직상방에 위치한 옻나무가 위치된 부분으로만 정류된 스팀을 고르게 분산시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옻나무와 스팀과의 접촉률을 높여 우루시올의 휘발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rectifying
아울러, 도면상에 구체적인 형태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도 1에 도시된 형태와 같이 스팀가열관(160)을 약탕기(110)의 내부에 설치하지 않고 약탕기(110)의 외부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하여 약탕기(110) 외부를 감싸는 스팀가열관으로 공급되는 고온의 스팀을 통해 약탕기(110) 내부의 옻나무 혼합물을 가열해주도록 구성할 수 있다.1, the
또한, 도 1에 나타나 있는 스팀분사관(150)의 설치 구조 이외에도 스팀분사관을 약탕기(110)의 바닥면이나 내주면, 또는 상기 바닥면과 내주면 부분에 동시에 매립된 형태로 구성하여 고온의 스팀을 약탕기(110)의 내부로 분사함으로써 옻나무에 고온의 스팀이 직접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o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이와 같은 스팀분사관은 약탕기(110) 내의 옻나무 혼합물의 내부로 직접 스팀을 공급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다양하게 적용가능할 것이다.Such a steam spraying pipe may be variously applied as long as it can supply steam directly to the interior of the rucksack mixture in the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약탕기(110)에 옻나무와 물을 넣고 달일 경우 스팀과 접촉되어 휘발되는 우루시올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약탕기(110)에 뚜껑을 덮지 않고 전술된 도 3의 형태와 같은 상단 덮개(130)를 덮어 약탕기(110)의 상부를 개방한 상태로 옻나무 혼합물을 달이게 된다. 이는 상기 옻나무 혼합물을 달이는 과정에서 옻나무 혼합물로부터 유출되는 우루시올이 뚜껑에 의하여 응축되어 다시 옻나무 혼합물에 흡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When the lacquer tree and water are put into the potting
나아가, 옻나무 혼합물을 달이는 과정에서 우루시올의 제거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환풍시설을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환풍시설은 약탕기(110)의 상부 측에 설치되어 옻나무 혼합물을 달이는 과정에서 유출되는 우루시올이 옻나무 혼합물에 다시 흡수되지 않고 그대로 배출되도록 도와준다.Furthermore, ventilation facilities can be installed to enhance the removal effect of urushiol during the process of liquor blending. At this time, the ventilation facility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상기와 같이 옻나무 달이는 과정에서 약탕기(110)의 상부를 개방하고 환풍시설을 설치하게 되면, 옻나무에서 휘발되어 유출되는 우루시올이 옻나무나 달여진 옻물에 다시 흡수되는 것이 방지되어 우루시올 제거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upper part of the
한편, 상기의 과정을 거쳐 달여진 옻물은 도 1과 같이 약탕기(110)의 하단에 연결된 배출관(180)을 통해 약탕기(110) 외부로 배출하여 음용 가능한 형태로 포장된다.Meanwhile, the lacquer passed through the above proces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즉, 약탕기(110)의 하단에 연결된 배출관(180)을 통해 옻물을 배출시키는 경우, 먼저, 배출관(180) 중간에 설치된 필터(183)를 이용하여 상기 옻나무를 달이는 과정에서 생성된 옻물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한다.That is, in case of discharging the lacquer through the
이렇게 여과된 상기 옻물은 배출관(180)의 끝단에 배치된 단열용기(185) 내에 저장되며 상기 단열용기(185) 내에서 고온 상태로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단열용기(185)는 무균용기로서 세균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한다.The lacquer filtered in this way is stored in a
그리고, 상기 단열용기(185)의 일측에 연결된 충진기(186)를 이용하여 고온 상태의 옻물을 설정된 용량에 따라 포장재(예; PET)에 담아 진공 포장한다. 여기서, 상기 포장재(187)는 고온에서도 손상이 가지 않는 재질을 이용한다.The lacquer in a high temperature state is packed in a packaging material (e.g., PET) according to the set capacity using a
다음으로, 상술한 본 발명의 옻물 제조장치를 이용한 옻물 제조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Next, the lacquer production method using the lacquer produ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옻물 제조방법은, 전처리 단계와, 건조하는 단계(S30)와, 달이는 단계(S40)와, 냉각시키는 단계(S50)와, 숙성시키는 단계(S60)와, 가열하는 단계(S70)와, 포장하는 단계(S8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9,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lacqu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treatment step, a drying step (S30), a drying step (S40), a cooling step (S50) (S60), a heating step (S70), and a packaging step (S80).
먼저, 상기 전처리 단계는 원료인 옻나무를 건조시키기 전 실시하는 단계로서, 옻나무를 채취하여 파쇄하는 단계(S10)와, 파쇄된 옻나무를 세척하는 단계(S20)를 포함한다.First, the pretreatment step is performed before drying the raw lacquer tree (step S 10), which comprises collecting and crushing the lacquer tree, and washing the crushed lacquer tree (step S 20).
상기 옻나무의 파쇄작업시 옻나무를 달이는 과정에서 옻나무 성분이 충분히 우러나올 수 있도록 잘게 잘라 파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lacquer is cut and crushed so that the lacquer component can sufficiently come out during the crushing operation of the lacquer tree.
상기 옻나무의 채취 및 파쇄가 완료되면, 상기 옻나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세척을 실시한다. When the picking and crushing of the lacquer tree is completed, the lacquer tree is clean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from the lacquer tree.
이때, 상기 세척작업은 옻나무를 건조하기 전에 실시할 수도 있고, 건조시킨 후에 실시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wash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before or after drying the sumac tree.
이와 같이 옻나무의 세척이 완료되면 자연햇빛과 바람에 충분히 노출시켜 건조한다(S30). When the lacquer tree is cleaned, it is exposed to natural sunlight and wind and dried (S30).
이렇게 옻나무를 달이기 전 건조하는 이유는, 옻나무를 건조하여 달이면 생옻나무를 그대로 달이는 것에 비하여 옻나무의 약효성분이 더 많이 우러날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drying the lacquer tree before it is dried is because the lacquer tree can dry more effectively than the lacquer tree when dried.
상기와 같이 옻나무의 세척 및 건조가 이루어지고 나면, 약탕기(110) 내에 물을 투입하고, 옻나무를 타공망(120)에 넣어 약탕기(110)의 물속에 침지시킨 후 100℃ 미만에서 달인다(S40).After the lacquer tree is cleaned and dried as described above,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이때, 상기 옻나무와 물의 혼합비율은 상기 옻나무를 달이는 과정과 가열하는 과정을 고려하여 물 90중량% 내지 97 중량%와, 옻나무 3중량% 내지 10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달이게 된다.At this time, the mixture ratio of the sumac and water is 90 to 97% by weight of water and 3 to 10% by weight of sumac, considering the process of raising and heating the sumacs.
또한, 약탕기(110)의 내부로 투입된 타공망(120)은 그 내부에 들어 있는 옻나무의 부력으로 인해 약탕기(110)의 수면 위로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떠 있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상기 타공망(120)을 약탕기(110)의 수면 아래로 완전히 가라앉게 하기 위하여 누름부재(134)가 하단에 부착된 상단 덮개(130)를 약탕기(110)의 상단에 장착시켜 수면 위에 떠 있는 타공망(120)을 수면 아래로 눌러주어 완전히 침지시켜 옻나무가 물속으로 완전히 가라앉도록 한다.Since the
그리고 상기 옻나무 혼합물을 달이는 과정은 옻나무 혼합물을 가열하여 끓이지 않고 100℃ 미만의 온도에서 달이게 되는데, 이때, 스팀공급부(140)에서 약탕기(110) 내부의 스팀분사관(150) 및 스팀가열관(160)으로 공급되는 고온의 스팀 열을 이용하여 옻나무 혼합물을 직화 가열이 아닌 스팀가열을 통해 달이게 된다.In the process of raising the liquor mixture, the liquor mixture is heated to a temperature of less than 100 ° C. without boiling. At this time, the
이때, 상기와 같이 고온의 스팀 열을 이용하여 옻나무 혼합물을 달이는 과정에서 스팀분사관(150)의 분사홀(152)을 통해 상측 방향으로 분사되는 고온의 스팀이 타공망(120)에 담겨 있는 옻나무와 직접 접촉되어 옻나무에 포함되어 있는 독성 성분인 우루시올을 휘발시키게 되고, 상기 휘발되는 우루시올은 상단 덮개(130)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At this time, the high-temperature steam sprayed in the upward direction through the
이와 같이 상기 옻나무 혼합물을 달이는 과정에서 약탕기(110)의 상부는 항상 개방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스팀과 접촉되어 옻나무로부터 휘발되는 우루시올이 옻나무 혼합물에 재흡수되지 않고 외부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다.In this way, the upper part of the
또한, 옻나무를 달이는 과정에서 스팀분사관(150)의 분사홀(152)을 통해 분사되는 고온의 스팀은 상측으로 올라갈수록 옻물과 열교환이 이루어져 점차 온도가 낮아지게 되지만 상기 스팀분사관(150)의 상부 측에 배치된 스팀가열관(160)이 온도가 낮아진 스팀을 재가열해 줌으로써 재가열된 고온의 스팀이 옻나무와 접촉되어 우루시올의 휘발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during the lacquering process, the high-temperature steam injected through the
아울러, 스팀분사관(150)으로부터 스팀이 분사되는 과정에서 스팀이 상부에 위치된 정류판(170)을 통과하면서 사방으로 고르게 분산된 상태로 상부 측으로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스팀분사관(150)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공간에도 스팀이 골고루 분산되어 타공망(120) 속에 들어 있는 전체 옻나무와 접촉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우루시올의 제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team can be transferred to the upper side while being uniformly dispersed in four directions while passing through the rectifying
상기한 옻물 제조방법에 따르면, 적정 온도로 옻나무 혼합물을 꾸준히 달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달이는 과정에서 추가적인 물보충을 하지 않아도 되고, 옻나무의 좋은 성분이 가장 효과적으로 우러나 옻물의 효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옻나무 혼합물과 스팀이 직접 접촉하도록 되어 있어 독성성분인 우루시올이 효과적으로 배출됨은 물론, 약탕기 내 옻나무 혼합물을 교반함으로써 옻나무의 반응 표면적을 높여 우루시올의 휘발성능을 더욱 크게 유도할 수 있으며, 약탕기 내에 가라앉거나 부유하는 물질 없이 고른 농도를 갖는 옻물을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lacquer production method described above, the lacquer mixture can be steadily roasted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and the lacquer product can be efficiently harvested without any additional water replenishment during the dewaxing process. As a result, urushiol, which is a poisonous ingredient, is effectively discharged. In addition, by stirring the rhus verniciflua mixture in the pot,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volatile performance of urushiol by increasing the reaction surface area of Rhus verniciflua, Lacquer having an even concentration can be obtained without floating substances.
또한, 옻나무 달이는 과정에서 약탕기의 상부를 개방하고, 환풍시설을 설치함으로써 휘발되어 유출되는 우루시올이 옻나무 혼합물에 다시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우루시올 제거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lacquer weighing proces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urushiol removal effect by opening the upper part of the pottery apparatus and preventing the urushiol volatilized and flowing out by installing the ventilating apparatus from being absorbed into the lacquer mixture again and being discharged.
그리고, 상기 옻나무 혼합물을 달이는 세부 조건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옻나무를 약탕기(110)에서 100℃ 미만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5℃범위의 온도에서 12시간 이상 24시간 이내로 달이도록 한다. 이는, 옻나무를 달이는 온도가 85℃ 미만인 경우에는 우루시올이 충분히 우려나지 않기 때문이며, 반대로 달이는 온도가 9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너무 높은 온도로 끓이기 때문에 옻나무의 독성뿐만 아니라 옻나무의 이로운 성분까지도 제거되기 때문에 옻나무의 약효 및 효능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In detail, the lacquer tree is transferred from the
또한, 상기 옻나무를 달이는 과정에서 상기 옻나무를 12시간 이상 24시간 이내의 범위에서 달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이는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로 제시된 것이며 상기 옻나무와 물의 양에 따라 12시간 이상 달일 수도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acquer tree is dried for 12 to 24 hours. However, this is a preferred embodiment, and may be more than 12 hours depending on the amount of the sumac and water.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물과 옻나무를 달이는 과정은, 종래의 끓이는 방식과는 달리 그보다 낮은 온도에서 서서히 달일 수 있기 때문에, 옻나무의 독성 성분인 우루시올이 충분히 배출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휘발성의 독성을 지닌 우루시올을 옻물에 재흡수되지 않도록 하고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 및 제거함으로써 옻나무의 독성은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 몸에 이로운 효능은 극대화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unlike the conventional boiling method, the water and the lacquer can be slowly flowed at a lower temperature than the conventional boiling method, so that urushiol, which is a poisonous component of Rhus verniciflua, can be sufficiently discharged, It is possible to maximize beneficial effects by eliminating the toxicity of Rhus verniciflua effectively by eliminating the toxic urushiol from the reacus of the lacquer and effectively discharging and removing it from the outside.
상기와 같은 옻나무를 달이는 과정을 거친 이후에는 약탕기(110)의 상단 덮개(130)를 분리하고 타공망(120)을 꺼내어 상기 약탕기(110)로부터 옻나무를 제거한 다음, 달여진 상태의 옻물의 수증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환기시켜 냉각(S50)함으로써, 우루시올을 제거한다.After the lacquer tree is processed as described above, the
상기와 같이 환기를 충분히 하고 나면 상기 옻물을 숙성시킨다(S60). After the ventilation is sufficiently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lacquer is aged (S60).
여기서, 상기 옻물의 숙성과정은 냉각된 옻물을 24시간 이상 48시간 이내 실온에서 숙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옻물의 양에 따라 24시간 이상 숙성시킬 수도 있다.Here, the aging process of the lacquer is preferably performed by aging the cooled lacquer for 24 hours or more at room temperature within 48 hours, but may be aged for more than 24 hours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lacquer.
이와 같이 옻물의 숙성이 완료되면, 숙성된 옻물을 가열한다(S70). 이러한 옻물 가열과정은 옻물에 잔존하는 우루시올을 제거함과 동시에 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When the aging of the lacquer is completed, the aged lacquer is heated (S70). This lacquer heating process is to remove the urushiol remaining in the lacquer and to improve the concentration.
이때, 상기 옻물의 가열은, 숙성된 옻물을 90℃ 내지 120℃ 범위의 온도에서 1시간 내지 3시간 동안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옻물을 90℃ 미만으로 가열할 경우 농축되는 정도가 적을 뿐만 아니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고, 반면 상기 옻물을 120℃ 초과하여 가열할 경우 농도가 너무 진해지거나, 맛이나 성분 등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heat the aged lacquer at a temperature in the range of 90 ° C to 120 ° C for 1 hour to 3 hours. This is because when the lacquer is heated to less than 90 캜, it is not only concentrated but also takes a long time. On the other hand, when the lacquer is heated to more than 120 캜, It can change.
상기한 바와 같이, 옻물이 제조되면 다음으로 상기 옻물의 포장작업을 실시한다.(S80) 이때, 상기 옻물의 포장은 멸균, 진공포장으로 실시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lacquer is produced, the lacquer is then packaged. (S80) At this time, the lacquer package is sterilized or vacuum packaged.
상기 옻물 포장하는 단계(S80)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먼저 상기 옻물의 가열과정에서 생성된 이물질을 필터(183)를 통해 걸러주도록 여과하는 과정을 거친다.In detail, the lacquer packing step S80 is performed by filtering the foreign substances generated in the heating process of the lacquer product through the
이렇게 여과된 상기 옻물은 단열용기(185)에 저장하여 고온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단열용기(185)는 무균용기로서 세균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한다.The lacquer thus filtered is stored in the heat-insulating
그런 다음, 상기 단열용기(185)에서 충진기(186) 등을 이용하여 상기 옻물을 고온의 상태에서 설정된 용량에 따라 포장재(예; PET)에 담아 진공 포장한다. 여기서, 상기 포장재(187)는 고온에서도 손상이 가지 않는 재질을 이용한다.Then, the lacquer is packed in a packaging material (for example, PET) according to a set capacity at a high temperature using a
상술한 바와 같은 옻물 제조방법을 이용하면, 옻나무가 투입된 물을 끓이지 않고 달임으로써 옻물의 독성성분인 우루시올을 충분히 제거하여 누구나 안심하고 복용하거나 이를 사용할 수 있어 범용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독성성분이 제거되어 인체에 무해하기 때문에, 이러한 옻물을 이용하여 식품, 화장품, 음료 및 건강보조식품의 원료 등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By using the lacquer production method as described above, urushiol, which is a poison ingredient of lacquer, can be sufficiently removed by boiling the water containing boar lacquer without boiling, so that anyone can safely take or use the lacquer, which is universally usable, And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Therefore, such lacquer can be used in various forms such as raw materials for foods, cosmetics, drinks, and health supplement foods.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10 : 약탕기 120 : 타공망
122 : 고리부 130 : 상단 덮개
132 : 크로스부재 134 : 누름부재
136 : 끼움부 140 : 스팀공급부
150 : 스팀분사관 152 : 분사홀
154,162,181,184 : 밸브
160 : 스팀가열관 170 : 정류판
180 : 배출관 183 : 필터
185 : 단열용기 186 : 충진기
187 : 포장재 110: < / RTI >
122: loop 130: top cover
132: cross member 134: pressing member
136: fit portion 140: steam supply portion
150: steam spray pipe 152: injection hole
154, 162, 181, 184:
160: steam heating tube 170: rectifying plate
180: exhaust pipe 183: filter
185: adiabatic container 186: filling machine
187: Packing material
Claims (15)
상기 약탕기의 내부로 관통 삽입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분사홀을 통해 고온의 스팀을 상측으로 분사하여 상기 옻나무와 물이 혼합된 옻나무 혼합물로 스팀을 직접 접촉시켜 옻나무 속에 포함된 독성성분인 우루시올(Urushiol)을 상기 약탕기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외부로 휘발시키도록 하는 스팀분사관;
상기 스팀분사관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
상기 스팀분사관의 상부 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팀분사관의 분사홀을 통해 분사되는 스팀을 고온으로 가열하는 스팀가열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물 제조장치.
Wherein the lacquer tree is kept in a water-immersed state;
The high-temperature steam is sprayed upward through a plurality of spray hole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team is directly contacted with the mixture of the sumac and the water to form a toxic component A steam spray pipe for causing urushiol, which is urushiol, to be volatiliz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above-mentioned water bath;
A steam supply unit for supplying steam to the steam injection pipe;
A steam heating pipe disposed at an upper side of the steam injection pipe and heating the steam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hole of the steam injection pipe to a high temperature;
Wherein the lacquer production apparatus comprises: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erforated net is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steam heating pipe, the perforated hole having a plurality of perforations for receiving the lacquer tree in a broken state.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further comprising immersion means for completely submerging the perforated network below the surface of the water inside the apparatus.
상기 약탕기의 상단에 안착되며, 상기 옻나무로부터 휘발되는 우루시올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하로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된 상단 덮개와;
상기 상단 덮개의 중앙부를 가로지르며 상기 상단 덮개와 일체로 형성된 크로스부재와;
상기 크로스부재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타공망의 상단과 접촉하여 상기 타공망을 상기 약탕기 내부의 수면 아래로 눌러주는 누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물 제조장치.
5.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4,
An upper cover which is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pottery and has an upper and lower openings for discharging urushiol volatilized from the lacquer tree;
A cross member integrally formed with the top cover across the central portion of the top cover;
And a pressing member which is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cross member and contacts the upper end of the perforated network to press the perforated network down to the water surface inside the tablet.
[6]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a hook is formed on an upper end of the perforated network, and a lower end of the pressing member is fit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ook.
The steam boile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other steam heating pipe installed on an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boiler to supply the high-temperature steam supplied from the steam supply unit to the outside of the boiler to heat the boiler mixture By weight.
The steam boile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other steam spraying pipe install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cooker and spraying high temperature steam supplied from the steam supply unit into the inside of the cooker so as to directly contact the lacquer tree Characterized in that the lacquer production apparatus comprises: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ctifying plate for uniformly distributing the steam injected from the steam injecting pipe to the upper side where the sumac is placed.
10.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rectifying plate is disposed between the steam injection pipe and the steam heating pipe.
10.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rectifying plate is disposed between the steam heating pipe and the perforated network.
10.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he rectifier plates are individually installed in respective spray holes formed in the steam spray pipe.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crushing means for crushing the sumac introduced into the pottery.
14.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3, further comprising cleaning means for cleaning the crushed lacquer tree through the crushing means.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gitating means capable of agitating the rhus verniciflua mixture in the pottery.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4562A KR101800978B1 (en) | 2016-12-05 | 2016-12-05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lacquer water |
PCT/KR2016/014253 WO2017099455A1 (en) | 2015-12-07 | 2016-12-06 |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lacquer sap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4562A KR101800978B1 (en) | 2016-12-05 | 2016-12-05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lacquer wat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00978B1 true KR101800978B1 (en) | 2017-11-24 |
Family
ID=59013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64562A KR101800978B1 (en) | 2015-12-07 | 2016-12-05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lacquer water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800978B1 (en) |
WO (1) | WO2017099455A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975267B2 (en) * | 2005-04-06 | 2012-07-11 | 株式会社ポッカコーポレーション | Steam extraction equipment |
KR101651238B1 (en) * | 2015-07-08 | 2016-08-26 |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Whole grains steamed green removable device and how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63684U (en) * | 1988-11-01 | 1990-05-14 | ||
KR20000009151A (en) * | 1998-07-22 | 2000-02-15 | 신용길 | Double boiler and manufacturing method to take extract by using doubled boiling |
KR20020004800A (en) * | 2000-06-23 | 2002-01-16 | 이병훈 | Method and equipment for extracting rhus verniciciflua extract |
KR100480009B1 (en) * | 2001-03-30 | 2005-03-30 | 김범준 | Method for manufacturing lacquer-containing food, and food produced from the same |
KR101635934B1 (en) * | 2015-04-28 | 2016-07-04 | 김려원 | Manufacturing method of lacquer water |
-
2016
- 2016-12-05 KR KR1020160164562A patent/KR101800978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6-12-06 WO PCT/KR2016/014253 patent/WO2017099455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975267B2 (en) * | 2005-04-06 | 2012-07-11 | 株式会社ポッカコーポレーション | Steam extraction equipment |
KR101651238B1 (en) * | 2015-07-08 | 2016-08-26 |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Whole grains steamed green removable device and how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7099455A1 (en) | 2017-06-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72230B2 (en) | Oil extraction device for use at home and method of use | |
US3020823A (en) | Piston and cylinder action coffee maker | |
KR101105539B1 (en) | Aroma Essential Oil Water Vapor Distillation Unit | |
CN106272778A (en) | A kind of process technique of rattan plaited raw material rattan | |
CN103229961B (en) | Preparation methods of granular red bean paste and red bean beverage | |
CN106902539B (en) | Internal circulatio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extraction tank and using method thereof | |
KR101800978B1 (en)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lacquer water | |
KR200438307Y1 (en) | Aroma Distillation Extractor | |
GB2464806A (en) | Kava extract production | |
CN104334057B (en) | Household appliance and methods for preparing a concentrate comprising a liquid and extracts of ingredients of plant origin | |
CN104823822A (en) | Natural green bean sprouts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 |
KR20090011352U (en) | Steam Spray Adhesive Garlic Steamer | |
KR101635934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lacquer water | |
KR101946810B1 (en) | Manufacturing device for black burdock and making method using that and black burdock | |
KR200198573Y1 (en) | Concentration liquid abstractor of herb remedy material free pressure | |
KR20160140096A (en) | High pressure steam cooker | |
KR101150393B1 (en) | A method for extracting mulbery sap | |
KR200198572Y1 (en) | Concentration liquid abstractor of herb remedy material free pressure | |
KR101066983B1 (en) | High temperature vacuum extraction device | |
JP6671592B2 (en) | Aromatic distilled water generating apparatus and aromatic distilled water generating method | |
GB2387311A (en) | Hay and feed steamer | |
KR100421283B1 (en) | Undiluted solution extract steaming box of health foods and tonic | |
CN205299456U (en) | Semi open model is from catchmenting steam ager | |
KR200313580Y1 (en) | A red ginseng extractor having a filter | |
JP4831044B2 (en) | Small extractor for microwave ov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12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1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1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