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98563B1 - 완속 충전기 수명예측시스템 및 그 수명예측방법 - Google Patents

완속 충전기 수명예측시스템 및 그 수명예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8563B1
KR101798563B1 KR1020130053611A KR20130053611A KR101798563B1 KR 101798563 B1 KR101798563 B1 KR 101798563B1 KR 1020130053611 A KR1020130053611 A KR 1020130053611A KR 20130053611 A KR20130053611 A KR 20130053611A KR 101798563 B1 KR101798563 B1 KR 101798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unit
time
set time
charg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3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4024A (ko
Inventor
노동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30053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8563B1/ko
Publication of KR20140134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4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56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 G01R19/16542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for batter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DC or AC voltage with one threshol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9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to indicate that the value is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wind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8Constructional arrangements comprising digital calculation means, e.g. for performing an algorith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속 충전기 수명예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완속 충전기에 구비된 링크 커패시터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 및 전압 측정부로부터 전압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링크 커패시터가 방전되기 시작할 때부터 경과된 설정시간, 및 설정시간동안의 방전전압으로부터 완속 충전기의 교체시기임을 알리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연산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완속 충전기의 링크 커패시터 수명을 예측하여 교체시기를 신속히 알려주게 됨으로써, 완속 충전기의 고장 발생에 미리 대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로 손상 및 화재의 방지에 유용하다.

Description

완속 충전기 수명예측시스템 및 그 수명예측방법{LIFE EXPECTING SYSTEM OF ON BOARD CHARGER AND LIFE EXPEC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완속 충전기 수명예측시스템 및 그 수명예측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내외에서 개발되고 있는 완속 충전기는 거의 대부분이 링크 커패시터(link capacitor)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링크 커패시터를 구비하는 이유는, 완속 충전기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고전압을 이용한 링크 커패시터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즉, 링크 커패시터의 수명은 그 온도뿐만 아니라 주변 온도, 리플 전류, ESR(Equivalent Serial Resistance) 변화에 따라 수시로 변화되기 때문이다.
링크 커패시터로는 전력밀도가 큰 고전압 전해 커패시터가 사용되는데, 링크 커패시터의 수명이 완속 충전기의 수명에 지배적이기 때문에 링크 커패시터의 수명예측이 필요하다. 아래의 특허문헌도 수명 예측과 관련한 내용을 소개하고 있지만, 완속 충전기의 링크 커패시터 수명을 예측하여 고장에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19660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완속 충전기의 링크 커패시터 수명을 예측하여 교체시기를 신속히 알려주는 완속 충전기 수명예측시스템 및 그 수명예측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속 충전기 수명예측시스템은, 완속 충전기에 구비된 링크 커패시터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 및 상기 전압 측정부로부터 전압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링크 커패시터가 방전되기 시작할 때부터 경과된 설정시간, 및 상기 설정시간동안의 방전전압으로부터 상기 완속 충전기의 교체시기임을 알리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연산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연산 제어부는, 상기 링크 커패시터가 방전되기 시작한 후, 설정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부; 상기 전압 측정부로부터 전압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타이머부가 측정한 설정시간에 대한, 상기 방전되기 시작할 때와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되었을 때의 전압 차이의 변화율의 크기를 연산하고, 상기 변화율의 크기가 상기 설정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부가 상기 변화율의 크기가 상기 설정값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완속 충전기의 교체시기임을 알리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산 제어부는, 상기 링크 커패시터가 방전되기 시작한 후, 설정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부; 상기 전압 측정부로부터 전압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타이머부가 측정한 설정시간이 경과되었을 때의 전압이 상기 설정값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부가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되었을 때의 전압이 상기 설정값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완속 충전기의 교체시기임을 알리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완속 충전기 수명예측방법은, 전압 측정부에서, 완속 충전기에 구비된 링크 커패시터의 전압을 측정하는 제1 단계; 및 연산 제어부에서, 상기 전압 측정부로부터 전압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링크 커패시터가 방전되기 시작할 때부터 경과된 설정시간, 및 상기 설정시간동안의 방전전압으로부터 상기 완속 충전기의 교체시기임을 알리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단계는, 타이머부에서, 상기 링크 커패시터가 방전되기 시작한 후, 설정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연산부에서, 상기 전압 측정부로부터 전압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타이머부가 측정한 설정시간에 대한, 상기 방전되기 시작할 때와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되었을 때의 전압 차이의 변화율의 크기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연산부에서, 상기 변화율의 크기가 상기 설정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부가 상기 변화율의 크기가 상기 설정값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 알람부에서 상기 완속 충전기의 교체시기임을 알리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단계는, 타이머부에서, 상기 링크 커패시터가 방전되기 시작한 후, 설정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연산부에서, 상기 전압 측정부로부터 전압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타이머부가 측정한 설정시간이 경과되었을 때의 전압이 상기 설정값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부가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되었을 때의 전압이 상기 설정값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 알람부에서 상기 완속 충전기의 교체시기임을 알리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완속 충전기의 링크 커패시터 수명을 예측하여 교체시기를 신속히 알려주게 됨으로써, 완속 충전기의 고장 발생에 미리 대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로 손상 및 화재의 방지에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완속 충전기 수명예측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연산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완속 충전기 수명예측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완속 충전기 수명예측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완속 충전기의 초기기동 이후의 시간에 대한 링크 커패시터 전압의 변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완속 충전기의 수명에 따른 방전 이후의 링크 커패시터 전압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완속 충전기 수명예측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완속 충전기 수명예측시스템은, 전원부(100), 필터부(200), 정류부(300), 역률 보정부(400), 전압 측정부(500) 및 연산 제어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00)는 220V와 같은 상용전원을 공급한다.
필터부(200)는 전원부(100)에서 공급된 상용전원으로부터 전자파를 필터링한다. 필터부(200)는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정류부(300)는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한다. 이때, 정류부(300)는 브릿지 다이오드(bridge diode, 420)를 사용하여 전파정류할 수 있다. 브릿지 다이오드(420)는 4개의 다이오드(420)가 다이아몬드(diamond) 형태로 배열된 다이오드(420)이다.
역률 보정부(400)는 완속 충전기에 고역률과 고효율의 전원을 제공하기 위해 정류부(300)를 통해 입력된 전원의 역률을 보정한다. 역률 보정부(400)로는 역률 보정기(Power Factor Corrector, PFC)가 사용되는데, 인덕터(410), 다이오드(420), 모스펫(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MOSFET, 430) 및 링크 커패시터(link capacitor, 440)로 구성된다.
전압 측정부(500)는 역률 보정부(400)의 링크 커패시터(440)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고, 완속 충전기에 구비된 링크 커패시터(440)의 전압을 측정한다.
연산 제어부(600)는 전압 측정부(500)로부터 전압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링크 커패시터(440)가 방전되기 시작할 때부터 경과된 설정시간, 및 설정시간동안의 방전전압으로부터 완속 충전기의 교체시기임을 알리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완속 충전기의 교체시기를 알리는 신호는 음성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다른 방식을 통해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연산 제어부(600)는 마이크로제어장치(Microcontroller Unit, MCU)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연산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연산 제어부(600)는 타이머부(610), 연산부(620) 및 알람부(63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제1 실시예)
타이머부(610)는 링크 커패시터가 방전되기 시작한 후, 설정시간을 측정한다.
연산부(620)는 전압 측정부(500)로부터 전압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타이머부(610)가 측정한 설정시간에 대한, 방전되기 시작할 때와 설정시간이 경과되었을 때의 전압 차이의 변화율의 크기를 연산하고, 변화율의 크기가 설정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
알람부(630)는 연산부(620)에서 변화율의 크기가 설정값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 완속 충전기의 교체시기임을 알리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2 실시예)
타이머부(610)는 링크 커패시터가 방전되기 시작한 후, 설정시간을 측정한다.
연산부(620)는 전압 측정부(500)로부터 전압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타이머부(610)가 측정한 설정시간이 경과되었을 때의 전압이 설정값 이하인지를 판단한다.
알람부(620)는 연산부(620)에서 설정시간이 경과되었을 때의 전압이 설정값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 완속 충전기의 교체시기임을 알리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완속 충전기 수명예측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완속 충전기 수명예측방법은 S110 내지 S15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전압 측정부(500)에서 완속 충전기에 구비된 링크 커패시터의 전압을 측정한다(S110).
S110 이후, 타이머부(610)에서, 링크 커패시터가 방전되기 시작한 후, 설정시간을 측정한다(S120).
S120 이후, 연산부(620)에서, 전압 측정부(500)로부터 전압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타이머부(610)가 측정한 설정시간에 대한, 방전되기 시작할 때와 설정시간이 경과되었을 때의 전압 차이의 변화율의 크기를 연산한다(S130).
S130 이후, 연산부(620)에서, 변화율의 크기가 설정값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140).
S140 이후, 연산부(620)가 변화율의 크기가 설정값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 알람부(630)에서 완속 충전기의 교체시기임을 알리는 신호를 발생시킨다(S150).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완속 충전기 수명예측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완속 충전기 수명예측방법은 S210 내지 S24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전압 측정부(500)에서 완속 충전기에 구비된 링크 커패시터의 전압을 측정한다(S210).
S210 이후, 타이머부(610)에서, 링크 커패시터가 방전되기 시작한 후, 설정시간을 측정한다(S220).
S220 이후, 연산부(620)에서, 전압 측정부(500)로부터 전압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타이머부(610)가 측정한 설정시간이 경과되었을 때의 전압이 설정값 이하인지를 판단한다(S230).
S230 이후, 연산부(620)가 설정시간이 경과되었을 때의 전압이 설정값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 알람부(630)에서 완속 충전기의 교체시기임을 알리는 신호를 발생시킨다(S240).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완속 충전기의 초기기동 이후의 시간에 대한 링크 커패시터 전압의 변화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그래프는 초기기동구간, 충전구간 및 충전완료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완속 충전기의 프리 릴레이(pre-relay)를 동작시켜 기동을 시작하면 0~t1의 시간동안 전압이 V2까지 상승하고, 메인 릴레이(main relay)를 동작시켜 기동을 계속하면 t1~t2의 시간동안 전압이 V3까지 상승한다. 그리고, t2~t3의 시간동안에는 완속 충전기의 충전을 하고, t3~t5의 시간동안에는 방전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완속 충전기의 수명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일 예로 링크 커패시터가 방전되기 시작할 때부터 설정시간이 경과되었을 때까지의 시간(t3~t4)에 대한, 방전되기 시작할 때와 설정시간이 경과되었을 때의 전압 차이(V3-V1)의 변화율의 크기를 연산한다. 즉, 완속 충전기의 수명 예측을 위해 (V3-V1)/(t3-t4)의 기울기의 절대값을 연산한다. 이때, 변화율의 크기가 설정값 이상인지를 판단하고, 변화율의 크기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 완속 충전기의 교체시기임을 알리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다른 예로는, 링크 커패시터가 방전되기 시작할 때부터 설정시간이 경과되었을 때의 전압(V1)이 설정값 이하인지를 판단하고, 설정시간이 경과되었을 때의 전압이 설정값 이하인 경우, 완속 충전기의 교체시기임을 알리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완속 충전기의 수명에 따른 방전 이후의 링크 커패시터 전압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완속 충전기의 방전 이후의 그래프 형태를 3종류(A, B, C)로 나타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래프 A, B, C에서 시간 t4에서의 전압은 각각 V11, V12, V13이고, t3~t4의 시간동안 기울기의 절대값을 비교하면, A > B > C이다. 이때, 그래프 A, B, C의 기울기는 각각 완속 충전기를 30%, 50%, 100% 사용한 것으로 예를 들 수 있다. 즉, 그래프 A의 기울기는 (Pd-P1)/(t4-t3)이고, 그래프 B의 기울기는 (Pd-P2)/(t4-t3)이고, 그래프 C의 기울기는 (Pd-P3)/(t4-t3)이다. 여기서, 완속 충전기를 사용함에 따라 기울기의 절대값이 커지게 되므로, 기울기의 절대값이 설정값 이상이되면 완속 충전기의 교체시기로 판단한다.
또한, 그래프 A, B, C에서 시간 t4에서의 전압은 각각 V11, V12, V13이다. 이때, 시간 t4에서의 전압 V11, V12, V13는 각각 완속 충전기를 30%, 50%, 100% 사용한 것으로 예를 들 수 있다. 여기서, 완속 충전기를 사용함에 따라 기울기의 절대값이 커지게 되므로 t4에서의 전압도 낮아지게 되므로, t4에서의 전압이 설정값 이하가 되면 완속 충전기의 교체시기로 판단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 내에서 당 분야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전원부
200 : 필터부
300 : 정류부
400 : 역률 보정부
500 : 전압 측정부
600 : 연산 제어부
610 : 타이머부
620 : 연산부
630 : 알람부

Claims (6)

  1. 완속 충전기에 구비된 링크 커패시터의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 측정부;
    입력된 전원의 역률을 보정하는 역률 보정부; 및
    상기 역률 보정부에 병렬로 연결된 상기 전압 측정부로부터 전압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링크 커패시터가 방전되기 시작할 때부터 경과된 설정시간, 및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되었을 때의 전압 차이의 변화율의 크기 또는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되었을 때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인지로부터 상기 완속 충전기의 교체시기임을 알리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연산 제어부;
    를 포함하는, 완속 충전기 수명예측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산 제어부는,
    상기 링크 커패시터가 방전되기 시작한 후, 설정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부;
    상기 전압 측정부로부터 전압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타이머부가 측정한 설정시간에 대한, 상기 방전되기 시작할 때와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되었을 때의 전압 차이의 변화율의 크기를 연산하고, 상기 변화율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부가 상기 변화율의 크기가 상기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완속 충전기의 교체시기임을 알리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부;
    를 포함하는, 완속 충전기 수명예측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산 제어부는,
    상기 링크 커패시터가 방전되기 시작한 후, 설정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부;
    상기 전압 측정부로부터 전압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타이머부가 측정한 설정시간이 경과되었을 때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연산부; 및
    상기 연산부가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되었을 때의 전압이 상기 미리 설정된 값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완속 충전기의 교체시기임을 알리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알람부;
    를 포함하는, 완속 충전기 수명예측시스템.
  4. 역률 보정부에서 입력된 전원의 역률을 보정하는 단계;
    전압 측정부에서, 완속 충전기에 구비된 링크 커패시터의 전압을 측정하는 제1 단계; 및
    연산 제어부에서, 상기 역률 보정부에 병렬로 연결된 상기 전압 측정부로부터 전압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링크 커패시터가 방전되기 시작할 때부터 경과된 설정시간, 및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되었을 때의 전압 차이의 변화율의 크기 또는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되었을 때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인지로부터 상기 완속 충전기의 교체시기임을 알리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 단계;
    를 포함하는, 완속 충전기 수명예측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타이머부에서, 상기 링크 커패시터가 방전되기 시작한 후, 설정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연산부에서, 상기 전압 측정부로부터 전압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타이머부가 측정한 설정시간에 대한, 상기 방전되기 시작할 때와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되었을 때의 전압 차이의 변화율의 크기를 연산하는 단계;
    상기 연산부에서, 상기 변화율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부가 상기 변화율의 크기가 상기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이라고 판단한 경우, 알람부에서 상기 완속 충전기의 교체시기임을 알리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완속 충전기 수명예측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타이머부에서, 상기 링크 커패시터가 방전되기 시작한 후, 설정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연산부에서, 상기 전압 측정부로부터 전압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타이머부가 측정한 설정시간이 경과되었을 때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부가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되었을 때의 전압이 상기 미리 설정된 값 이하라고 판단한 경우, 알람부에서 상기 완속 충전기의 교체시기임을 알리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완속 충전기 수명예측방법.
KR1020130053611A 2013-05-13 2013-05-13 완속 충전기 수명예측시스템 및 그 수명예측방법 Active KR101798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611A KR101798563B1 (ko) 2013-05-13 2013-05-13 완속 충전기 수명예측시스템 및 그 수명예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3611A KR101798563B1 (ko) 2013-05-13 2013-05-13 완속 충전기 수명예측시스템 및 그 수명예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024A KR20140134024A (ko) 2014-11-21
KR101798563B1 true KR101798563B1 (ko) 2017-11-16

Family

ID=52455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3611A Active KR101798563B1 (ko) 2013-05-13 2013-05-13 완속 충전기 수명예측시스템 및 그 수명예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85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895B1 (ko) 2019-09-23 2021-04-29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 충전기 자가 상태진단 및 수명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99938B1 (ko) * 2021-04-05 2024-08-29 주식회사 미래전자 수소 충전소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수소 충전소 통합 모니터링 서버, 수소 충전소 통합 모니터링 방법 및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3463B1 (ko) * 2011-09-02 2013-05-10 주식회사 만도 배터리 충전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3463B1 (ko) * 2011-09-02 2013-05-10 주식회사 만도 배터리 충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4024A (ko) 2014-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65346B1 (en) Switching power supply
JP6895771B2 (ja) 蓄電池の劣化判定方法及び蓄電池の劣化判定装置
CN102612656B (zh) 电力供给装置
JP5733931B2 (ja) 電源装置及び照明装置
JP2011024395A (ja) 充電装置と電子機器
CN108075633B (zh) 功率因数校正电路的软启动方法、装置、电路及电器
US11009554B2 (en) Sensor module and residual battery capacity monitoring method using sensor module
JP2012205392A (ja) インバータ装置及び電解コンデンサの寿命時間推定方法
US20140320091A1 (en) Control method for supplying power
JP2014143087A (ja) 電池劣化計測装置および方法
CN104977539A (zh) 能够自动测量至少一个参数的方法和装置
KR101798563B1 (ko) 완속 충전기 수명예측시스템 및 그 수명예측방법
JP2016046851A (ja) 電源装置
JP5126511B2 (ja) 充電装置及び充電方法
JP5196011B2 (ja) 充電制御システム
JP2005312224A (ja) バッテリ充電装置
JP5569969B2 (ja) 温度センサの異常判定方法および当該方法を用いて異常を判定する車載充電器
JP6180465B2 (ja) 電力供給システム
JP7281693B2 (ja) 電子機器
JP2013186967A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バッテリ充電方法
JP2006078215A (ja) 電解コンデンサの劣化予測方法
JP4007945B2 (ja) 充電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6166534A (ja) 電源装置
KR101193319B1 (ko) 취반기의 축전지 방전 제어방법
JPH1198700A (ja) 鉛バッテリの交換時期認識方式及びそれを用いた無停電 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13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409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2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5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1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