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689B1 -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97689B1 KR101797689B1 KR1020140148192A KR20140148192A KR101797689B1 KR 101797689 B1 KR101797689 B1 KR 101797689B1 KR 1020140148192 A KR1020140148192 A KR 1020140148192A KR 20140148192 A KR20140148192 A KR 20140148192A KR 101797689 B1 KR101797689 B1 KR 1017976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module
- plate
- module assembly
- brackets
- batter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72—Vertically superposed cells with vertically disposed plat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56—Carrying devices, e.g. bel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shock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제 1 플레이트 및 브라켓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 1 플레이트 및 브라켓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제 1 플레이트, 브라켓들 및 제 2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A-B”의 단면도이다.
Claims (19)
- 차량에 장착되는 충방전이 가능한 전지모듈 어셈블리로서,
복수의 전지모듈들이 측면으로 접한 상태에서 배열되어 이루어진 전지모듈 배열체;
상기 전지모듈 배열체의 상단에 결합되어 있는 제 1 플레이트;
상기 제 1 플레이트 및 전지모듈 배열체와 결합된 브라켓들로서, 제 1 플레이트의 상면의 양단에 각각 장착되는 제 1 및 제 2 브라켓들과, 제 1 플레이트의 상면의 중앙 부위에 장착되는 제 3 브라켓을 포함하고 있는 브라켓들;
상기 브라켓들의 상단에 위치하여 제 1 플레이트 및 브라켓들과 결합되어 있는 제 2 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 상에 마련되며 BMS(Battery Management System)를 탑재하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에서의 양단은 단차 구조를 형성하도록 하향 절곡되어 있고, 절곡된 저단 부위에는 제 1 체결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에서의 양단은 전지모듈 배열체의 길이보다 큰 길이로 하향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양단은 전지모듈 배열체의 길이의 105% 내지 140%의 크기로 연장된 상태로 하향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브라켓들은 제 1 플레이트의 단차 구조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하향 절곡되어 있고, 상기 제 1 체결홈들에 대응하는 부위에 제 2 체결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브라켓들의 하향 절곡된 단부의 적어도 일부는 수직으로 상향 절곡된 연장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절곡된 연장부에는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리프팅을 위한 하나 이상의 관통구가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양단은 제 1 플레이트의 양단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하향 절곡되어 있고, 절곡된 저단 부위에는 제 3 체결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 제 5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홈들, 제 2 체결홈들 및 제 3 체결홈들은 볼트/너트에 의해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양단 및 중앙 부위에는 상기 전지모듈 배열체를 제 1 플레이트의 하단에 장착할 수 있도록, 폭 방향을 따라 제 1 장착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들은 상기 제 1 장착홈들에 대응하는 부위에 제 2 장착홈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착홈들 및 제 2 장착홈들은 볼트/너트에 의해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상면에는, 전지모듈 배열체의 장착에 의한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상기 브라켓들 사이의 공간에 비드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모듈들은 버스 바에 의해 전극단자들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 제 1 항에 따른 전지모듈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 제 15 항에 따른 전지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또는 전력저장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팩은 차량의 트렁크 하부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팩은 전지모듈 어셈블리의 제 1 플레이트, 브라켓들 및 제 2 플레이트의 양 단부들이 트렁크의 전지팩 수납부의 외주면에 걸치면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48192A KR101797689B1 (ko) | 2014-10-29 | 2014-10-29 |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어셈블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48192A KR101797689B1 (ko) | 2014-10-29 | 2014-10-29 |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어셈블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50310A KR20160050310A (ko) | 2016-05-11 |
KR101797689B1 true KR101797689B1 (ko) | 2017-11-14 |
Family
ID=56025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48192A KR101797689B1 (ko) | 2014-10-29 | 2014-10-29 |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9768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90610B1 (ko) * | 2017-12-15 | 2023-01-19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고전압 배터리 모듈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146340A (ja) * | 2010-01-18 | 2011-07-28 | Mitsubishi Motors Corp | 車両用バッテリケース |
KR101307369B1 (ko) * | 2011-05-23 | 2013-09-1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팩 |
JP5360039B2 (ja) * | 2010-12-06 | 2013-12-04 |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 電池モジュール保護構造 |
-
2014
- 2014-10-29 KR KR1020140148192A patent/KR10179768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146340A (ja) * | 2010-01-18 | 2011-07-28 | Mitsubishi Motors Corp | 車両用バッテリケース |
JP5360039B2 (ja) * | 2010-12-06 | 2013-12-04 |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 電池モジュール保護構造 |
KR101307369B1 (ko) * | 2011-05-23 | 2013-09-11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팩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50310A (ko) | 2016-05-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684972C1 (ru) |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установки аккумуляторной батареи | |
US9196882B2 (en) | Battery pack of compact structure | |
KR101653307B1 (ko) | 단위모듈들을 포함하는 전지모듈 어셈블리 | |
KR102032504B1 (ko) | 내충격성이 향상된 배터리 모듈 | |
US10361463B2 (en) | Battery module having improved fastening structure | |
EP2685522B1 (en) | Battery pack having excellent structural reliability | |
KR101293952B1 (ko) | 신규한 구조의 버스 바 어셈블리 | |
EP2328201B1 (en) | Battery Pack | |
KR101799565B1 (ko) |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팩 | |
US20170200925A1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 |
US9537126B2 (en) | Battery pack | |
KR20140060633A (ko) | 버스 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 |
KR101302357B1 (ko) | 신규한 구조의 전지팩 | |
KR101750487B1 (ko) | 외부 입출력 단자 및 버스 바의 장착 수단을 포함하는 전지모듈 | |
KR101435441B1 (ko) | 지지부재들과 연결부재들로 전지모듈 배열체를 고정하고 있는 전지팩 | |
KR101667519B1 (ko) | 외부 입출력 단자를 형성하는 버스 바를 포함하는 전지모듈 | |
KR101684311B1 (ko) | 크래쉬 빔을 포함하는 차량용 전지팩 | |
KR101797689B1 (ko) | 안전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어셈블리 | |
KR101477548B1 (ko) | 콤팩트한 구조의 전지팩 | |
KR101440402B1 (ko) | 센싱 어셈블리용 체결홈과 단위셀 조립체용 고정 홈을 구비한 전지모듈 | |
KR101797690B1 (ko) | 절연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버스 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지팩 | |
KR20150112917A (ko) | 연결 신뢰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 |
KR101658508B1 (ko) | 전지모듈의 이동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지팩 | |
KR20140060619A (ko) | 연결 신뢰성이 향상된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29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12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10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1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