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462B1 - 자동차 흡음재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흡음재 - Google Patents
자동차 흡음재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흡음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97462B1 KR101797462B1 KR1020160079093A KR20160079093A KR101797462B1 KR 101797462 B1 KR101797462 B1 KR 101797462B1 KR 1020160079093 A KR1020160079093 A KR 1020160079093A KR 20160079093 A KR20160079093 A KR 20160079093A KR 101797462 B1 KR101797462 B1 KR 1017974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polyurethane foam
- isocyanate
- parts
- polyo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18—Catalysts containing secondary or tertiary amines or salts thereof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22—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 C08G18/24—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of ti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03—Polyhydroxy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01/00—Manufacture of cellular produc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은 바이오 폴리올 및 바이오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여 기존의 석유계 원료를 대체함으로써 환경 친화적인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흡음률과 강도가 기존의 석유계 폴리올 또는 석유계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동등 또는 우수하며, 환경친화적인 자동차용 흡음재로 사용될 수 있고, 또한 자동차 시트나 쿠션 시트 백 등으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구분 | 레진 프리믹스 | |||||
성분 | 바이오 폴리올 | 석유계 폴리올 | 주석계 촉매 | 아민계 촉매 | 계면활성제 | 발포제 |
함량 (중량부) |
45~75 | 5~25 | 0.5~1.5 | 0.01~0.5 | 0.5~1.5 | 2.5~3.5 |
석유계 폴리올 (KPX) |
바이오 폴리올 (MCNS) |
레진 프리믹스 (피유시스) |
|
분자량 | 6,000 | 4,800 | 5100 |
수산기가 | 28 | 32 | 31 |
관능기 | 3 | 3 | 3 |
바이오매스 (중량%) |
0 | 20 | max.14 |
구분 | 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 | |
함량 (중량%) |
석유계 이소시아네이트 | 바이오 이소시아네이트 |
70 | 30 |
구분 | 석유계 ISO (BASF) |
바이오 ISO (삼양사) |
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 (피유시스) |
%NCO | 35~36 | 34.5~35.5 | 34.5~35.5 |
관능기 | 2 | 2 | 2 |
바이오매스(중량%) | 0 | 6.75 | max.2.025 |
구분 | 비교예 1 | 실시예 1 | ||
이소 시아네이트 |
구성 성분 (중량%) |
석유계 ISO | 100 | 70 |
바이오 ISO | - | 30 | ||
특징 | %NCO | 35~36 | 34.5~35.5 | |
관능기 | 2 | 2 | ||
바이오 매스함량(중량%) | 0 | max.2.025 | ||
레진 프리믹스 |
구성 성분 (중량부) |
바이오 폴리올 | - | 45~75 |
석유계 폴리올 | 70~95 | 5~25 | ||
주석계 촉매 | 0.5~1.0 | 0.5~1.5 | ||
아민계 촉매 | 0.01~0.5 | 0.01~0.5 | ||
계면 활성제 | 0.5~1.5 | 0.5~1.5 | ||
발포제 | 2.5~3.5 | 2.5~3.5 | ||
특징 | 바이오 매스함량(중량%) | 0 | max.14 | |
배합 중량비(이소시아네이트/레진프리믹스) | 43/100 | 43/100 | ||
우레탄 폼의 바이오 매스함량(중량%) | 0 | 14 |
구분 | 비교예 1 | 실시예 1 | |
반응성 | Cream Time | 9초 | 9~10초 |
Gel Time | 60초 | 61초 | |
Rise Time | 88초 | 87초 | |
기본물성 | 성형밀도(kg/㎥) | 85 | 85 |
인장강도(Kgf/cm2) | 1.354 | 1.360 | |
신율(%) | 100 | 101 | |
인열강도(Kgf/cm2 ) | 0.626 | 0.627 |
구분 | 단위 | 비교예 2 | 비교예 3 | 실시예 2 | 비교예 4 | |
바이오 이소시아네이트 | 중량% | - | 15 | 30 | 45 | |
석유계 이소시아네이트 |
MDI | 중량% | 81.2 | 66.2 | 51.2 | 36.2 |
TDI | 중량% | 18.8 | 18.8 | 18.8 | 18.8 | |
바이오매스함량 | 중량% | - | 1.0125 | 2.0250 | 3.0375 | |
배합비(이소시아네이트/레진프리믹스) | 중량비 | 43/100 | 43/100 | 43/100 | 43/100 |
구분 | 단위 | 비교예 2 | 비교예 3 | 실시예 2 | 비교예 4 | ||
발포 폼 특성 |
반응성 (25) |
Cream Time | sec. | 9-10 | 7-8 | 8-10 | 5-7 |
Gel Time | sec. | 57-63 | 57-63 | 58-65 | 60-68 | ||
Rise Time | sec. | 83-92 | 85-95 | 87-97 | 83-92 | ||
Settling | % | 8미만 | 8미만 | 8미만 | 13이상 또는 붕괴 |
||
자유발포밀도 | kg/m3 | 45-47 | 45-47 | 45-47 | 55이상 또는 붕괴 |
||
몰드 폼 물성 |
성형밀도 | kg/m3 | 85 | 85 | 85 | 85 | |
인장강도 | Kgf/cm2 | 1.35 | 1.35 | 1.33 | 0.98 | ||
신율 | % | 100 | 101 | 98 | 68 | ||
인열강도 | Kgf/㎝ | 0.626 | 0.611 | 0.602 | 0.487 | ||
내열 90, 240h |
인장강도 | Kgf/cm2 | 1.31 | 1.27 | 1.27 | 0.92 | |
신율 | % | 90 | 92 | 88 | 62 | ||
인열강도 | Kgf/㎝ | 0.571 | 0.563 | 0.550 | 0.435 | ||
내습 40, 95%RH 240h |
인장강도 | Kgf/cm2 | 1.29 | 1.28 | 1.26 | 0.96 | |
신율 | % | 95 | 93 | 90 | 62 | ||
인열강도 | Kgf/㎝ | 0.595 | 0.566 | 0.554 | 0.457 | ||
성형성 | 흐름성 | ㎝/100g | 102 | 78 | 100 | 84 | |
충진성(미성형) | 외관 | 양호 | 미성형 | 양호 | 미성형 | ||
표면 외관성 | 외관 | 양호 | void 발생 | 양호 | cell 뭉침 | ||
수축성 | 외관 | 없음 | 심함 | 없음 | 없음 | ||
탈형성 | 금형내잔유물 | 없음 | 양호 | 양호 | 불량 | ||
작업성(Line cycle) | 4분 | 양호 | 양호 | 양호 | 5분이상 |
Claims (15)
- 레진 프리믹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 40 내지 45중량부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로서,
상기 레진 프리믹스는 바이오 폴리올 45 내지 75중량부; 석유계 폴리올 5 내지 25중량부; 주석계 촉매 0.5 내지 1.5 중량부; 아민계 촉매 0.01 내지 0.5 중량부; 계면활성제 0.5 내지 1.5 중량부; 및 발포제 2.5 내지 3.5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은 바이오 이소시아네이트 20 내지 40 중량%; 및 석유계 이소시아네이트 60 내지 80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석유계 이소시아네이트는, TDI계 이소시아네이트와 MDI계 이소시아네이트가 1:2~3.5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인, 자동차 흡음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 폴리올은 피마자유계 폴리올인, 자동차 흡음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유계 폴리올은 폴리옥시알킬렌계 폴리올, 폴리에테르계 폴리올 및 다당류계 폴리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자동차 흡음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석계 촉매는 주석(II) 아세테이트, 주석(II) 옥토에이트, 주석(II) 에틸헥소에이트, 주석(II) 라우레이트, 디부틸틴 옥사이드, 디부틸틴 디클로라이드, 디부틸틴 디아세테이트,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디부틸틴 말레이트 및 디옥틸틴 디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자동차 흡음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계 촉매는 펜타메틸렌디에틸렌트리아민(Pentamethylenediethylenetriamine), 디메틸시클로헥실아민(Dimethylcyclohexylamine), 트리스(3-디메틸아미노)프로필헥사히드로트리아민{tris(3-dimethylamino)propylhexahydrotriamine}, 트리에틸렌디아민(triethylenediamine) 및 이들의 유도체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자동차 흡음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1)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이소소르비드와 숙신산 무수물(succinic anhydride)를 100 내지 150℃의 온도에서 반응시키는 단계;
2) 디메틸포름아마이드(dimethylformamide, DMF) 촉매의 존재 하에서 SOCl2와 반응시키는 단계; 및
3) 트리메틸실란아자이드(trimethyl silane azide, TMSN3)와 100 내지 150℃의 온도에서 반응시키는 단계에 의하여 얻어진 것인, 자동차 흡음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DI계 이소시아네이트는 2,4-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2,6-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자동차 흡음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DI계 이소시아네이트는 모노머릭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Monomeric 4,4-diphenyl methane diisocyanate), 모노머릭 2,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Monomeric 2,4-diphenyl methane diisocyanate), 모노머릭 2,2-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Monomeric 2,2-diphenyl methane diisocyanate), 폴리머릭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Polymeric 4,4-diphenyl methane diisocyanate), 폴리머릭 2,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Polymeric 2,4-diphenyl methane diisocyanate) 및 폴리머릭 2,2-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Polymeric 2,2-diphenyl methane diisocyan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자동차 흡음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의 NCO 함량(%)은 34.5 내지 35.5%인, 자동차 흡음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 제1항의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을 발포시켜 제조된 자동차 흡음용 폴리우레탄 폼.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폼은 바이오 매스를 10 중량% 이상 포함하는, 자동차 흡음용 폴리우레탄 폼.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폼은 성형 밀도가 80 내지 90 kg/m3이고, 인장 강도가 1.350 내지 1.365 Kgf/cm2이며, 신율이 100 내지 105%이고, 인열 강도가 0.625 내지 0.630 Kgf/cm2인, 자동차 흡음용 폴리우레탄 폼. - 제12항의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자동차 흡음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9093A KR101797462B1 (ko) | 2016-06-24 | 2016-06-24 | 자동차 흡음재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흡음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9093A KR101797462B1 (ko) | 2016-06-24 | 2016-06-24 | 자동차 흡음재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흡음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97462B1 true KR101797462B1 (ko) | 2017-11-16 |
Family
ID=60806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79093A Active KR101797462B1 (ko) | 2016-06-24 | 2016-06-24 | 자동차 흡음재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흡음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97462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85111B1 (ko) * | 2017-12-14 | 2019-05-31 |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폴리우레탄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흡음재 및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방법 |
KR20190119876A (ko) | 2018-04-13 | 2019-10-23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박테리오파지 pp2 및 카로신 d를 포함하는 채소 무름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KR102140941B1 (ko) | 2019-04-30 | 2020-08-05 | (주)대한솔루션 | 자동차용 폴리우레탄 흡음재 제조방법 및 그 폴리우레탄 흡음재 |
KR20210037936A (ko) | 2019-09-30 | 2021-04-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외관 성형성, 냄새저감 및 흡음성능이 향상된 흡음재용 저밀도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폴리우레탄 폼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폴리우레탄 폼 |
KR20230060701A (ko) | 2021-10-28 | 2023-05-08 | (주)대한솔루션 | 자동차용 흡음재 |
KR20230061601A (ko) | 2021-10-28 | 2023-05-09 | (주)대한솔루션 | 자동차용 pet 극세사 흡음재 |
US12129328B2 (en) | 2022-03-16 | 2024-10-29 | Hyundai Motor Company | Low-carbon polyurethane foam composition for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
-
2016
- 2016-06-24 KR KR1020160079093A patent/KR101797462B1/ko active Active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85111B1 (ko) * | 2017-12-14 | 2019-05-31 |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폴리우레탄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흡음재 및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방법 |
KR20190119876A (ko) | 2018-04-13 | 2019-10-23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박테리오파지 pp2 및 카로신 d를 포함하는 채소 무름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KR102140941B1 (ko) | 2019-04-30 | 2020-08-05 | (주)대한솔루션 | 자동차용 폴리우레탄 흡음재 제조방법 및 그 폴리우레탄 흡음재 |
KR20210037936A (ko) | 2019-09-30 | 2021-04-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외관 성형성, 냄새저감 및 흡음성능이 향상된 흡음재용 저밀도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폴리우레탄 폼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폴리우레탄 폼 |
US11746203B2 (en) | 2019-09-30 | 2023-09-05 | Hyundai Motor Company | Low-density polyurethane foam composition as sound-absorbing material having improved appearance formability, smell reduction and sound absorption performance, method for manufacturing polyurethane foam and polyurethane foam manufactured therefrom |
KR20230060701A (ko) | 2021-10-28 | 2023-05-08 | (주)대한솔루션 | 자동차용 흡음재 |
KR20230061601A (ko) | 2021-10-28 | 2023-05-09 | (주)대한솔루션 | 자동차용 pet 극세사 흡음재 |
US12129328B2 (en) | 2022-03-16 | 2024-10-29 | Hyundai Motor Company | Low-carbon polyurethane foam composition for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97462B1 (ko) | 자동차 흡음재용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흡음재 | |
KR20160021119A (ko) | 이소시아네이트/실록산 폴리에테르 조성물 | |
CN102378771B (zh) | 制备软质聚氨酯泡沫的方法 | |
EP3272780B1 (en) | Polyurethane foam | |
JP5311278B2 (ja) | 難燃性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を用いた車両用緩衝材および車両用カバー | |
KR20160060107A (ko) | 폴리우레탄 폼, 관련 방법 및 물품 | |
JP7368102B2 (ja) |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とその製造方法 | |
KR100793523B1 (ko) | 매우 연질의 폴리우레탄 탄성체 | |
KR101916508B1 (ko) | 폴리우레탄 폼 제조용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 |
JPWO2005077998A1 (ja) | 低反発性高通気性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及びその利用 | |
KR100936319B1 (ko) | 저밀도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JP2022541894A (ja) | ポリウレタン組成物、それを用いて調製した製品およびその調製方法 | |
KR101903302B1 (ko) | 경질 폴리우레탄폼용 폴리올 조성물 및 경질 폴리우레탄폼의 제조 방법 | |
JP4275686B2 (ja) |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 |
JP6741420B2 (ja) | 乗り物のシート用パッド形成用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及び乗り物のシート用パッド | |
KR20150024464A (ko) | 기능성 폴리우레탄 폼 | |
WO2017104600A1 (ja) | 軟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及びシート用パッド | |
US12043692B2 (en) | Polyurethane-foamed formulations and noise insulations with foams based thereon | |
KR20120053748A (ko) | 바이오 폴리올을 이용한 친환경 폴리우레탄 발포체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812592B1 (ko) | 바이오 폴리올을 함유하는 자동차용 경질 폴리우레탄 폼 | |
KR102280968B1 (ko) | 내구성 및 연신율이 우수한 친환경적인 인테그랄 스킨 폴리우레탄 폼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인테그랄 스킨 폴리우레탄 폼 | |
KR101985111B1 (ko) | 폴리우레탄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흡음재 및 폴리우레탄 폼의 제조방법 | |
JP6513340B2 (ja) | 耐熱性防音材 | |
JP2007153989A (ja) |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用ポリオール組成物 | |
JP4745671B2 (ja) | 連続気泡構造を有するポリウレタン発泡体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4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1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