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97023B1 - 부하개폐기의 과투입 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부하개폐기의 과투입 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7023B1
KR101797023B1 KR1020160006122A KR20160006122A KR101797023B1 KR 101797023 B1 KR101797023 B1 KR 101797023B1 KR 1020160006122 A KR1020160006122 A KR 1020160006122A KR 20160006122 A KR20160006122 A KR 20160006122A KR 101797023 B1 KR101797023 B1 KR 101797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ircuit fixed
main circuit
fixed contact
stopp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6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6367A (ko
Inventor
이승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6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023B1/ko
Publication of KR20170086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6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02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54Mechanisms for coupling or uncoupling operating parts, driving mechanisms, or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H01H3/38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using spring or other flexible shaf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하개폐기의 과투입 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하개폐기의 투입작동시 과다 투입을 방지하도록 하여 접점부의 접촉면적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부하개폐기의 과투입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하개폐기의 과투입 방지 구조는 소호부 외함; 상기 소호부 외함에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주회로 고정접점; 상기 소호부 외함에 관통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주회로 고정접점에 소정각도 이격하도록 설치되는 접지회로 고정접점; 상기 소호부 외함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주회로 고정접점 또는 접지회로 고정접점에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가동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소호부 외함의 내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주회로 고정접점 및 접지회로 고정접점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접점의 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하개폐기의 과투입 방지 구조{Apparatus for Prevention of Over Stroke of Load Break Switch}
본 발명은 부하개폐기의 과투입 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하개폐기의 투입작동시 과다 투입을 방지하도록 하여 접점부의 접촉면적을 충분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부하개폐기의 과투입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링메인유닛(RMU)은 수배전에서 보내진 전력을 수용가로 수, 배전시 사용하는 전기계통의 감시, 제어 및 보호를 위해서 사용되는 장치로서, SF6 가스에 의해 밀폐 절연되는 구조물 안에 차단기(Circuit Breaker), 개폐기(Switches), 접지스위치(Earth Switch) 및 도체류(Conductors)의 집합체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개폐기에는 부하개폐기(Load Break Switch)를 포함한다.
도 1에 종래기술에 따른 부하개폐기의 메커니즘 및 소호부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a 내지 도 2c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부하개폐기 메커니즘에 있어서, 각각 개방상태, 투입상태, 접지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3a 내지 도 3c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부하개폐기의 소호부에 있어서, 각각 개방상태, 투입상태, 접지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부하개폐기 메커니즘(1)은 한 쌍의 측판(11,12) 사이에 주회로를 개방 또는 투입시킬 수 있는 주회로 구동축(3), 접지회로를 개방 또는 투입시킬 수 있는 접지회로 구동축(4), 그리고 소호부(2)의 가동접점(8)에 연결되는 메인 샤프트(5)가 구비된다. 주회로 구동축(3)과 접지회로 구동축(4) 사이에는 구동스프링(6)이 구비된다.
부하개폐기 메커니즘(1)은 3-position 동작을 한다. 핸들(미도시)에 의해 주회로 구동축(3) 또는 접지회로 구동축(4)이 회전하면 링크(7a,7b)를 거쳐 메인 샤프트(5)가 회전하게 되고, 메인 샤프트(5)의 단부에 소호부(2)의 가동접점(8)이 연결되어 개방, 투입, 접지 상태를 이루게 된다.
주회로 투입시에는 도 2a와 같은 개방상태에서 주회로 구동축(3)을 핸들을 이용하여 시계방향으로 180도 돌려준다. 그러면 구동스프링(6)이 압축되다가 기준 사점을 넘기면서 압축된 구동스프링(6)이 풀리면서 링크(7a,7b)를 거쳐 메인 샤프트(5)를 반시계 방향으로 60도 회전시켜 도 2b와 같은 상태로 만들게 된다. 이에 따라, 메인 샤프트(5)에 연결된 소호부(2)의 가동접점(8)이 소호부(2)의 주회로 고정접점(9a,9b)에 접촉하면서 주회로 투입이 일어난다(소호부는 도 3a의 개방상태에서 도 3b의 투입상태로 전환).
접지회로 투입의 경우 도 2a와 같은 개방상태에서 접지회로 구동축(4)을 핸들을 이용하여 시계방향으로 180도 돌려준다. 그러면 구동스프링(6)이 압축되다가 기준 사점을 넘기면서 압축된 구동스프링(6)이 풀리면서 링크(7a,7b)를 거쳐 메인 샤프트(5)를 시계 방향으로 60도 회전시켜 도 2c와 같은 상태로 만들게 된다. . 이에 따라, 메인 샤프트(5)에 연결된 소호부(2)의 가동접점(8)이 소호부(2)의 접지회로 고정접점(10a,10b)에 접촉하면서 접지회로 투입이 일어난다(소호부는 도 3a의 개방상태에서 도 3c의 투입상태로 전환).
이와 같이 부하개폐기에서 개폐동작을 할 때 주회로 투입이나 접지 투입의 경우 부하개폐기 메커니즘(1)에서 압축된 구동스프링(6)의 힘이 기준 사점을 넘기면서 구동스프링(6)이 풀리면서 그 힘이 부하개폐기의 소호부(2)에 전달되어 주회로 투입 또는 접지 투입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압축된 구동스프링(6)의 힘을 주회로 투입과 접지 투입에 필요한 크기로 정확히 조절하는 것은 어려우므로 보통 정격량보다 조금 힘을 높게 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동스프링(6)의 탄성력을 높이게 되면 가동접점(8)이 관성에 의해 고정 접점(주회로 고정접점 또는 접지회로 고정접점)을 지나쳐서 일정 부분 어긋나게 될 수 있다. 도 4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부하개폐기의 소호부에 있어서, 주회로 투입시 접점부가 어긋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럴 경우 가동접점(8)과 주회로 고정접점(9a,9b)의 접촉 면적이 감소하여 사고 발생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
가스절연 부하개폐기의 소호부와 관련하여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64067호 '가스절연부하개폐기용 차단기'를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부하개폐기의 투입작동시 과다 투입을 방지하도록 하여 접점부의 접촉면적이 최대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부하개폐기의 과투입 방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하개폐기의 과투입 방지 구조는 소호부 외함; 상기 소호부 외함에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주회로 고정접점; 상기 소호부 외함에 관통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주회로 고정접점에 소정각도 이격하도록 설치되는 접지회로 고정접점; 상기 소호부 외함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주회로 고정접점 또는 접지회로 고정접점에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가동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소호부 외함의 내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주회로 고정접점 및 접지회로 고정접점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접점의 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주회로 고정접점 및 접지회로 고정접점으로부터 각각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탄성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가 상기 가동접점에 닿는 접촉면은 상기 가동접점과 면접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주회로 고정접점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스토퍼와 상기 접지회로 고정접점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2스토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에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에는 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스프링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하개폐기의 과투입 방지 구조에 의하면 부하개폐기의 소호부에 과투입 방지용 스토퍼를 구비하여 메커니즘의 투입 동작시 가동접점이 고정접점을 지나치게 되더라도 스토퍼에 의해 이동이 저지 또는 반발되어 충분한 접촉범위를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안정적인 동작 특성을 유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부하개폐기 메커니즘 및 소호부의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종래기술에 따른 부하개폐기 메커니즘에 있어서, 개방상태, 투입상태, 접지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종래기술에 따른 부하개폐기의 소호부에 있어서, 개방상태, 투입상태, 접지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부하개폐기의 소호부에 있어서, 접점부가 어긋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하개폐기의 소호부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개방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5에서 스토퍼가 설치된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7, 도 8,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하개폐기의 소호부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각각 개방상태, 투입상태, 접지상태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부하개폐기의 소호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하개폐기의 소호부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개방상태를 나타내고, 도 6은 도 5에서 스토퍼가 설치된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부하개폐기의 과투입 방지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종래기술과 같은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같은 도면부호를 사용하였으며 도 1 내지 3c를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하개폐기의 과투입 방지 구조는 소호부 외함(20); 상기 소호부 외함(20)에 관통하여 설치되는 주회로 고정접점(9a,9b); 상기 주회로 고정접점(9a,9b)에 소정각도 이격하여 설치되는 접지회로 고정접점(10a,10b); 상기 소호부 외함(20)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주회로 고정접점(9a,9b) 또는 접지회로 고정접점(10a,10b)에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가동접점(8);을 포함하고, 상기 소호부 외함(20)의 내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주회로 고정접점(9a,9b) 및 접지회로 고정접점(10a,10b)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접점(8)의 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30a,30b);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링메인유닛(RMU)은 수배전에서 보내진 전력을 수용가로 수, 배전시 사용하는 전기계통의 감시, 제어 및 보호를 위해서 사용되는 장치로서, SF6 가스에 의해 밀폐 절연되는 구조물 안에 차단기(Circuit Breaker), 개폐기(Switches), 접지스위치(Earth Switch) 및 도체류(Conductors)의 집합체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개폐기에는 부하개폐기(Load Break Switch)를 포함한다.
부하개폐기는 회로부 차단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고 전달하는 개폐기 메커니즘(1)과 회로부 차단을 수행하는 소호부(2)를 포함한다.
개폐기 메커니즘(1)은 한 쌍의 측판(11,12)과 상기 한 쌍의 측판(11,12) 사이에 설치되는 기구부로 구성된다. 개폐기 메커니즘(1)은 주회로부에 대한 투입 또는 개방을 담당하는 주회로 구동축(3)과 접지회로부에 대한 투입 또는 개방을 담당하는 접지회로 구동축(4)을 포함한다. 주회로 구동축(3)과 접지회로 구동축(4)은 각각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각도(예를 들면 180도) 회전됨에 따라 투입 또는 개방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때, 주회로 구동축(3)과 접지회로 구동축(4)을 회전시키는 것은 핸들(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주회로 구동축(3)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주회로 구동축(3)의 단부는 제1측판(11)의 일측으로 돌출된다. 주회로 구동축(3)의 단부에는 핸들을 끼울 수 있도록 축방향을 따라 주회로 조작홀(3a)이 형성된다.
접지회로 구동축(4)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접지회로 구동축(4)의 단부는 제1측판(11)의 일측으로 돌출된다. 접지회로 구동축(4)의 단부에는 핸들을 끼울 수 있도록 축방향을 따라 접지회로 조작홀(4a)이 형성된다.
메인 샤프트(5)가 주회로 구동축(3) 및 접지회로 구동축(4)에 이격하여 설치된다. 메인 샤프트(5)는 접지회로 구동축(4)에 연결되는 상부링크(7a), 주회로 구동축(3)에 연결되는 하부링크(7b) 및 메인 샤프트(5)를 감싸고 있는 샤프트링크(5a)에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메인 샤프트(5)는 소호부(2)의 가동접점(8)에 연결되어 회전시 가동접점(8)을 회전시키게 된다.
구동스프링(6)이 주회로 구동축(3)과 접지회로 구동축(4) 사이에 구비된다. 구동스프링(6)은 주회로 구동축(3) 또는 접지회로 구동축(4)이 회전하는 경우 압축력을 받게 되고 사점을 지나는 시점에 풀리면서 메인 샤프트(5)에 대한 회전력을 제공하게 된다.
소호부 외함(20)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소호부 외함(20)은 한 쌍의 대칭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소호부 외함(20)에는 양측면에 주회로 고정접점(9a,9b) 및 접지회로 고정접점(10a,10b)의 일단부가 각각 노출되어 전원 또는 부하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주회로 고정접점(9a,9b) 및 접지회로 고정접점(10a,10b)은 3상회로의 경우 각 상마다 한 쌍씩 마련될 수 있다.
가동접점(8)은 메인 샤프트(5)에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가동접점(8)의 센터 샤프트(8a)가 메인 샤프트(5)에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주회로 고정접점(9a,9b)과 접지회로 고정접점(10a,10b)은 소호부 외함(20)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즉, 주회로 고정접점(9a,9b)과 접지회로 고정접점(10a,10b)의 일단부는 소호부 외함(20)의 외부에 노출되어 전원 또는 부하에 연결될 수 있고, 주회로 고정접점(9a,9b)과 접지회로 고정접점(10a,10b)의 타단부는 소호부 외함(20)의 내부에 돌출하여 선택적으로 가동접점(8)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주회로 고정접점(9a,9b)과 접지회로 고정접점(10a,10b)은 특정한 각도를 갖고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회로 고정접점(9a,9b)과 접지회로 고정접점(10a,10b)은 서로 60도의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스토퍼(30a,30b)는 상기 소호부 외함(20)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주회로 고정접점(9a,9b) 및 접지회로 고정접점(10a,10b)의 사이에 상기 상기 주회로 고정접점(9a,9b) 및 접지회로 고정접점(10a,10b)과 소정 간격을 갖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동접점(8)의 운동을 제한하게 된다. 스토퍼(30a,30b)는 소호부 외함(20)의 내주면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리섬유나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30a,30b)는 탄성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30a,30b)는 소호부 외함(20)의 내주면이 일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는 스토퍼(30a,30b)가 소호부 외함(20)의 내주면으로부터 소정의 두께로 돌출되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내었지만, 이외에도 가동접점(8)과 접촉할 수 있는 접촉면(30a1,30a2)을 갖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접촉면(30a1,30a2)은 가동접점(8)과 면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7을 참조하면, 스토퍼는 제1스토퍼(31a,31b)와 제2스토퍼(32a,32b)로 구분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주회로 고정접점(9a,9b)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제1스토퍼(31a,31b)라고 하고, 접지회로 고정접점(10a,10b)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제2스토퍼(32a,32b)라고 하기로 한다.
가동접점(8)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제1스토퍼(31a,31b)는 가동접점(8)이 주회로 고정접점(9a,9b)을 지나친 지점에 형성되고, 제2스토퍼(32a,32b)는 가동접점(8)이 접지회로 고정접점(10a,10b)을 지나친 지점에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1스토퍼(31a,31b)가 가동접점(8)과 접하게 되는 제1접촉면(31a1)과 제2스토퍼(32a,32b)가 가동접점(8)과 접하게 되는 제2접촉면(32a1)은 면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1스토퍼(31a,31b)와 제2스토퍼(32a,32b)에는 각각 제1삽입홀(31a3) 및 제2삽입홀(32a3)이 형성되고, 제1삽입홀(31a3) 및 제2삽입홀(32a3)에는 스프링(35,36)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삽입홀(31a3) 및 제2삽입홀(32a3)에는 스프링(35,36)의 탄성을 받으며 가동접점(8)에 접촉하게 되는 접촉자(37,38)가 구비될 수 있다. 가동접점(8)이 스프링(35,36)의 탄성력을 받는 접촉자(37,38)에 접촉하므로 구동스프링(6)의 과도한 설정에 의해 가동접점(8)이 주회로 고정접점(9a,9b)을 지나치더라도 정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부하개폐기의 과투입 방지 구조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주회로 투입시에는 주회로 구동축(3)을 핸들을 이용하여 시계방향으로 180도 돌려준다. 그러면 구동스프링(6)이 압축이 진행되다가 기준 사점을 넘기게 되면 압축된 구동스프링(6)이 풀리면서 링크(7a,7b)를 거쳐 메인 샤프트(5)를 반시계 방향으로 60도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메인 샤프트(5)에 연결된 소호부(2)의 가동접점(8)이 소호부(2)의 주회로 고정접점(9a,9b)에 접촉하면서 주회로 투입이 일어난다(개폐기 메커니즘은 도 2a, 도 2b 참조, 소호부는 도 7, 도 8 참조). 이때, 구동스프링(6)의 힘이 정상작동시보다 과하게 설정되어 가동접점(8)이 주회로 고정접점(9a,9b)을 조금 지나치게 되더라고 제1스토퍼(31a,31b)에 접하여 더 이상의 이동이 저지되고 반발력에 의해 정위치로 복귀하므로 접점부가 서로 어긋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제1스토퍼(31a,31b)는 주회로 고정접점(9a,9b)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있고 가동접점(8)이 제1스토퍼(31a,31b)에 의한 반발력 또는 탄성작용에 의해 반대로 이동하면서 주회로 고정접점(9a,9b)과 거의 일치하도록 복귀될 수 있다.
접지회로 투입의 경우 개방상태에서 접지회로 구동축(4)을 핸들을 이용하여 시계방향으로 180도 돌려준다. 그러면 구동스프링(6)이 압축이 진행되다가 기준 사점을 넘기게 되면 압축된 구동스프링(6)이 풀리면서 링크(7a,7b)를 거쳐 메인 샤프트(5)를 시계 방향으로 60도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메인 샤프트(5)에 연결된 소호부(2)의 가동접점(8)이 소호부(2)의 접지접점(10a,10b)에 접촉하면서 접지회로 투입이 일어난다(개폐기 메커니즘은 도 2a, 도 2c 참조, 소호부는 도 7, 도 9 참조). 이때, 구동스프링(6)의 힘이 정상작동시보다 과하게 설정되어 가동접점(8)이 접지회로 고정접점(10a,10b)을 조금 지나치게 되더라고 제2스토퍼(32a,32b)에 접하여 더 이상의 이동이 저지되므로 접점부가 서로 어긋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제2스토퍼(32a,32b)는 접지회로 고정접점(10a,10b)과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있고 가동접점(8)이 제2스토퍼(32a,32b)에 의한 반발력 또는 탄성작용에 의해 반대로 이동하면서 접지회로 고정접점(10a,10b)과 거의 일치하도록 복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하개폐기의 과투입 방지 구조에 의하면 부하개폐기의 소호부에 과투입 방지용 스토퍼를 구비하여 메커니즘의 투입 동작시 가동접점이 고정접점을 지나치게 되더라도 스토퍼에 의해 이동이 저지 또는 반발되어 충분한 접촉범위를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안정적인 동작 특성을 유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실시예들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개폐기 메커니즘 2 소호부
3 주회로 구동축 3a 주회로 조작홀
4 접지회로 구동축 4a 접지회로 조작홀
5 메인 샤프트 5a 샤프트링크
6 구동스프링 7a 상부링크
7b 하부링크 8 가동접점
8a 센터 샤프트 9a,9b 주회로 고정접점
10a,10b 접지회로 고정접점 11,12 제1,제2측판
20 소호부 외함 30a,30b 스토퍼
30a1,30a2 접촉면 31a,31b 제1스토퍼
31a1 제1접촉면 31a3 제1삽입홀
32a,32b 제2스토퍼 32a1 제2접촉면
32a3 제2삽입홀 35,36 스프링
37,38 접촉자

Claims (6)

  1. 소호부 외함;
    상기 소호부 외함에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주회로 고정접점;
    상기 소호부 외함에 관통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주회로 고정접점에 소정각도 이격하도록 설치되는 접지회로 고정접점;
    상기 소호부 외함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주회로 고정접점 또는 접지회로 고정접점에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가동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소호부 외함의 내부면에 형성되고, 상기 주회로 고정접점 및 접지회로 고정접점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동접점의 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주회로 투입시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주회로 고정접점을 소정간격 지나친 지점에 설치되는 제1스토퍼와, 접지회로 투입시 상기 가동접점이 상기 접지회로 고정접점을 소정간격 지나친 지점에 설치되는 제2스토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스토퍼 및 제2스토퍼에는 각각 제1삽입홀 및 제2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삽입홀과 제2삽입홀에는 상기 가동접점에 접촉하는 접촉자가 구비되고,
    상기 제1삽입홀과 제2삽입홀에는 상기 접촉자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개폐기의 과투입 방지 구조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탄성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하개폐기의 과투입 방지 구조체.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006122A 2016-01-18 2016-01-18 부하개폐기의 과투입 방지 구조 Active KR101797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122A KR101797023B1 (ko) 2016-01-18 2016-01-18 부하개폐기의 과투입 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122A KR101797023B1 (ko) 2016-01-18 2016-01-18 부하개폐기의 과투입 방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6367A KR20170086367A (ko) 2017-07-26
KR101797023B1 true KR101797023B1 (ko) 2017-11-13

Family

ID=59427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6122A Active KR101797023B1 (ko) 2016-01-18 2016-01-18 부하개폐기의 과투입 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70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123Y1 (ko) * 2018-01-11 2019-05-0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차폐부를 갖는 고정 단자를 포함하는 개폐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067B1 (ko) 2006-09-18 2007-10-12 피앤에이파워시스템 주식회사 가스절연부하개폐기용 차단기
KR101412609B1 (ko) * 2013-01-24 2014-06-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부하 개폐기의 개폐 축 바운싱 스토퍼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067B1 (ko) 2006-09-18 2007-10-12 피앤에이파워시스템 주식회사 가스절연부하개폐기용 차단기
KR101412609B1 (ko) * 2013-01-24 2014-06-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부하 개폐기의 개폐 축 바운싱 스토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6367A (ko) 201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5419B2 (en) Contactor assembly for a circuit breaker
KR101522265B1 (ko) 고압배전반 변압기실 도어 인터록 장치
US6965292B2 (en) Isolation cap and bushing for circuit breaker rotor assembly
EP2244275B1 (en) Switchgear for electric distribution networks
KR101703760B1 (ko) 진공차단기용 양방향 개폐조작기
KR101797023B1 (ko) 부하개폐기의 과투입 방지 구조
KR101904877B1 (ko) 차단기의 가동자 어셈블리
CN110021494B (zh) 用于开关柜中接地开关的传动系统以及开关柜
KR101158639B1 (ko) 차단기의 개폐기구
UA122156C2 (uk) Автоматичний вимикач
EP3242302B1 (en) Current limiting device of circuit breaker
KR100701776B1 (ko) 기중 차단기의 가동부 구조
KR101563319B1 (ko) 스위치 구동 장치
KR100417579B1 (ko) 회로차단기의 중성극 개폐장치
KR101680718B1 (ko) 스위치 구동 장치
KR101869720B1 (ko) 가스절연차단기
KR200411525Y1 (ko) 한류형 배선차단기
KR20180108005A (ko) 차단기의 보조 접점 장치
KR200481378Y1 (ko) 가스절연개폐장치의 가동축 잠금장치
JPH08306269A (ja) ガス遮断器
CN211670158U (zh) 一种断路器
CN115210841B (zh) 一种用于隔离开关的平衡弹簧组件
KR101926043B1 (ko) 기중 차단기용 인터록 장치
KR20210042519A (ko) 듀얼 링크 구조를 갖는 진공 차단기용 개폐장치 및 이를 갖는 진공 차단기
KR101725088B1 (ko) 가스절연 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4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7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4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7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5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8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709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80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7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5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