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95182B1 - 급경사로에서 차량의 시동 꺼짐 방지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급경사로에서 차량의 시동 꺼짐 방지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5182B1
KR101795182B1 KR1020150178047A KR20150178047A KR101795182B1 KR 101795182 B1 KR101795182 B1 KR 101795182B1 KR 1020150178047 A KR1020150178047 A KR 1020150178047A KR 20150178047 A KR20150178047 A KR 20150178047A KR 101795182 B1 KR101795182 B1 KR 101795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engine
stage
speed
acceler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8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0481A (ko
Inventor
엄태광
한정석
임창현
권혁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8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5182B1/ko
Priority to US15/289,575 priority patent/US10370002B2/en
Priority to CN201610920630.XA priority patent/CN106948953B/zh
Publication of KR20170070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0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18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109Braking
    • B60W30/18118Hill ho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02D29/02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ehicles; peculiar to engines driving variable pitch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60W10/18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with wheel brak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027Drive off, accelerating from standsti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35/00Controlling engines, dependent on conditions exterior or interior to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8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id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10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accel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10Change speed gearings
    • B60W2510/1005Transmission ratio enga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10Change speed gearings
    • B60W2510/1005Transmission ratio engaged
    • B60W2510/101Transmission neutral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2Brake ped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6Ratio selector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2/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infrastructure
    • B60W2552/15Road slope, i.e. the inclination of a road seg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710/0644Engin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710/0644Engine speed
    • B60W2710/065Idle cond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710/0666Engine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18Braking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5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vehicle or its components
    • F02D2200/501Vehicle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5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vehicle or its components
    • F02D2200/502Neutral gear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7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vehicle exterior
    • F02D2200/702Road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급경사로에서 기어를 N단(중립 기어단)에서 D단(전진 주행 기어단)으로 전환하는 경우의 차량의 시동꺼짐 방지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으로서, 변속 레버의 N단 조작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차속 및 경사로에서의 경사각을 검출하여, 차체의 경사로 밀림으로 인해 차체에 가해지는 부하를 산출하는 단계; 엔진 토크가 상기 부하보다 커지도록 엔진의 회전수(RPM)를 증가시키기 위한 엔진을 가속하는 1차 가속 단계; 운전자의 변속레버의 D단(전진 주행 기어단) 조작에 따라, 차량 출발을 위해 엔진을 가속하는 2차 가속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급경사로에서 차량의 시동 꺼짐 방지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METHOD FOR ENGINE TO PROTECT ENGINE STALL OF VEHICLE AT A ATEEPLY INCLINED WAY}
본 발명은 급경사로에서 차량의 시동 꺼짐 방지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급경사로에서 주차 또는 정차된 차량의 주행을 시작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시동 꺼짐 방지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급경사로에서 운전자가 브레이크로 정지 상태를 유지하다가 실수로 기어를 N단으로 체결한 다음 D단으로 변경하였을 때, 엔진의 동기화 실패로 인해 발생하는 시동꺼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엔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경사로에 주차된 차량 또는 주행 중 정차된 차량을 다시 주행시킬 경우 시동 꺼짐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 알려져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운전자가, 급경사로에서 액셀러레이터 페달과 브레이크 페달을 동시에 조작할 때에,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의 미숙으로 인한 엔진의 동작 중지 현상 및 그 대책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상기한 엔진 시동 꺼짐 현상의 원인과 관련하여, 토크 컨버터에 장착된 센서가 출력축의 회전 방향을 인식하지 못하는 단방향 센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D단 기어(전진 주행 기어)에서 차량이 후진하는 경우에도 전진 주행으로 인식하여 엔진에서 토크 보상을 하지 못하는 것이 시동 꺼짐의 원인으로 밝히고 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298820호 (2013.8.23)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특허문헌 1에서 개시된 전형적인 급경사로에서의 시동 꺼짐 현상과는 전혀 상이한 상황과 원인에 의해 시동 꺼짐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급경사로에서 차량이 정지되어 있을 때, 운전자는 연비 절감이나 기타 다른 이유를 들어 차량의 기어를 N단(중립 기어단)으로 유지한 채 브레이크를 밟고 있는 경우가 있다. 또한, 운전자가 브레이크 정지 상태를 유지하다가 주행을 위해 기어를 변속하면서 실수로 D단으로 변경할 것을 N단으로 변경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운전자가 브레이크 정지 상태를 해제하면, 기어가 N단으로 체결되어 있어 차량 무게에 의해 차체가 뒤로 밀리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때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운전자가 다급히 기어를 D단으로 체결한 경우에 원인 불명의 시동 꺼짐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운전자로서는 시동 꺼짐의 원인을 알 수 없어 차량 품질에 대한 불신을 낳을 수 있고, 후방 차량과의 충돌로 사고를 발생시킬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급경사로에서 운전자가 브레이크로 정지 상태를 유지하다가 실수로 기어를 N단으로 체결한 다음 D단으로 변경하였을 때 발생하는 시동꺼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엔진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시동 꺼짐 현상을 연구한 결과, 위 시동 꺼짐 현상의 원인이 차량 후방 밀림 부하에 기인한 엔진 동기화 실패에 의한 것임을 밝혀내었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급경사로 상에 위치하는 차량(10)의 기어가 N단으로 체결된 후, 차량 무게에 따른 차량 밀림에 의한 차속이 10km/h에 이르는 상태에서 D단으로 기어를 변경하는 경우, D단 체결 시에는, 이전의 N단에서의 엔진(20)의 아이들 RPM이 가지는 토크와 차량 무게의 의해 후방으로 밀리는 가속도에 의한 부하가 서로 순간적으로 평형을 이루는 경우가 존재한다. 이때에는 힘의 평형으로 인해 크랭크 샤프트의 회전이 순간 거의 정지되게 된다.
이 경우, 크랭크 각도를 검출하는 크랭크 샤프트 각도 센서로부터 크랭크 각도에 관한 신호가 일정시간 이상 송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ECU(40)에서는 엔진 동기화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일정 시간 이상 연료 분사와 점화 동작을 중지하게 되어 결국 엔진의 시동 꺼짐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시동 꺼짐 현상의 원인에 대한 지견을 바탕으로, 급경사로에서 N단 체결 시에 엔진의 아이들 RPM을 상승시켜두면, 그 이후에 D단 체결 시에는 아이들 RPM에 의한 토크가 차량 밀림 가속도에 의한 부하를 이겨낼 수 있어 시동 꺼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이러한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한 본 발명에 따른 엔진 제어 방법은, 변속 레버의 N단(중립 기어단) 조작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차속 및 경사로에서의 경사각을 검출하여, 차체의 경사로 밀림으로 인해 차체에 가해지는 부하를 산출하는 단계; 엔진 토크가 상기 부하보다 커지도록 엔진의 회전수(RPM)를 증가시키기 위한 엔진을 가속하는 1차 가속 단계; 운전자의 변속레버의 D단(전진 주행 기어단) 조작에 따라, 차량 출발을 위해 엔진을 가속하는 2차 가속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엔진의 1차 가속 단계는, 측정된 차속이 제1 소정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측정된 차속이 제1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브레이크를 작동하는 단계; 브레이크 작동에 따라, 차속이 제1 소정값 미만으로 저하된 경우에, 저하된 차속에 따라 변경된 부하를 산출하고, 엔진 토크가 상기 변경된 부하에 맞춰 엔진의 회전수(RPM)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엔진의 1차 가속 단계는, 운전자에 의해 차량의 브레이크가 온(On) 된 상태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차량의 브레이크가 온 상태일 때에는, 엔진의 회전수(RPM)의 증가시키기 위한 가속 제어를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가 온 상태일 때에, 검출된 차속이 0이 아닌 경우에는 검출된 차속 및 경사로의 경사각에 따라 차체에 가해지는 부하를 산출하여, 엔진 토크가 상기 부하보다 커지도록 엔진의 회전수(RPM)를 증가시키기 위한 엔진 가속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엔진의 2차 가속 단계에 있어서, 운전자의 변속레버의 D단(전진 주행 기어단) 조작이 이루어진 이후 1 작업 사이클(working cycle) 동안의 차체 가속도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 1 작업 사이클 동안 차체 가속도가 0보다 크고 변속기의 D단 체결이 그대로 유지되는 경우, 해당 차량이 경사로에서 D단으로 정상 출발되었다고 판단하여, 상승된 엔진 회전수를 아이들 회전수로 원상 복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이 급경사로에서 정지해 있을 때,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해 기어가 N단으로 체결된 상태에서 기어 변속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차량의 시동 꺼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운전자의 차량 품질에 대한 신뢰를 확보할 수 있으며, 차량 시동 꺼짐에 뒤따르는 경사로 상에서의 2차 사고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사로에서 정지한 뒤에, 재출발 시에 부드러운 발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운전자의 주행 감성 및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급경사로에서 차량의 시동 꺼짐 방지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엔진 제어 방법을 채용한 경우의 경사로 주행 시의 엔진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엔진 제어 방법을 채용한 경우의 경사로 주행 시의 엔진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엔진 제어 방법을 채용한 경우의 경사로 주행 시의 엔진 상태도.
도 5는 경사로에서의 N단 체결 시에 차량 밀림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급경사로에서 차량의 시동 꺼짐 방지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먼저 ECU(40)는 클러치(30)의 변속 신호로부터 변속 레버가 N단으로 체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
한편, 경사로 정차 시에 변속 레버가 N단으로 체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차량의 후방 밀림이 발생하고, 이후에 D단 체결시에는 엔진에 후방 밀림 가속도에 의한 부하가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TCU(50)에 장착된 자이로스코프 센서(51)를 이용하여 경사로의 경사각을 측정하는 한편 차속 센서(60)를 이용하여 후방 밀림에 의한 차속을 측정한다(S20).
ECU(40)는, 경사로의 경사각 및 차체(10)의 후방 밀림에 의한 차속을 측정한 뒤에는 측정값을 이용하여 차량 후방 밀림 가속도에 의해 엔진에 가해지는 부하를 계산한다(S30). 차량 후방 밀림 가속도에 의해 엔진에 가해지는 부하는,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식(1)에 의해 구해질 수 있다.
L=μm×m·g·sinθ×m·a (1)
(여기서, L은 차량 후방 밀림에 의해 엔진에 가해지는 부하(N·m), m은 차체 질량(kg), g는 중력 가속도(m/s2), θ는 경사로의 경사각(°), a는 후방 밀림 가속도(m/s2)
상술한 바와 같이, 경사로에서 정지 시에 N단이 체결되어 있으면, 차체(10)는 후방으로 밀리게 되고, 이때, 차체 후방 밀림 가속도에 의해 발생하는 부하가 엔진의 아이들 RPM에서의 토크와 평형을 이루면, 이후에 D단 체결 시에 상술한 바와 같은 엔진 꺼짐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시동 꺼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ECU(40)는 단계 S30에서 산출된 차량 후방 밀림에 의한 부하보다 엔진의 토크가 커지도록, 엔진의 아이들 RPM을 증가시키는 1차 가속을 실시한다(S40).
1차 가속 이후, ECU(40)는 클러치(30)의 변속 신호로부터, 운전자가 변속 레버를 N단에서 D단으로 조작하였지 여부를 판단한다(S50). 종래 기술과 달리, 본 발명에서는 엔진의 아이들 RPM이 차량 후방 밀림에 의한 부하보다 커지도록 엔진이 가속된 상태이므로, D단이 체결되더라도 엔진의 동기화 실패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운전자가 변속 레버를 D단으로 조작한 경우에는, ECU(40)는 차량의 출발을 위해 엔진을 가속하는 2차 가속을 실시한다(S50). 이로써 차량은 D단으로의 변속 시에 시동꺼짐 없이 정상 주행을 개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운전자의 변속레버의 D단(전진 주행 기어단) 조작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ECU(40)는 차속 센서(60)를 이용하여 1 작업 사이클(working cycle) 동안의 차체 가속도 변화를 검출한다(S70).
그리고, 1 작업 사이클 동안 차체 가속도가 0보다 크고 변속기의 D단 체결이 그대로 유지되는 경우, ECU(40)는 해당 차량이 경사로에서 D단으로 부드럽게 정상 출발 되었다고 판단한다. 이 경우, 엔진의 시동 꺼짐 방지를 위한 알고리즘을 더 이상 수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승된 엔진 회전수를 원래의 아이들 회전수로 원상 복귀하도록 한다(S90).
상기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을 실시한 경우의 엔진 상태에 대해서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변속 레버의 N단 체결 상태에서 차량 밀림 부하를 고려한 엔진 RPM 상승을 통해, D단 체결 이후에도 엔진의 동기화 상태가 정상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에서는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중복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제1 실시예와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집중적으로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차량 후방 밀림에 의해 엔진에 가해지는 부하보다, 엔진의 아이들 RPM에 의한 토크가 커지도록 엔진을 1차 가속하게 된다. 이 경우, 차체의 후방 밀림 속도가 지나치게 크면, 차량 후방 밀림에 의한 부하를 극복하기 위한 엔진의 아이들 RPM의 상승량도 커지게 된다. 이 경우, 이후에 D단 체결 시점에서의 엔진의 RPM이 지나치게 높아지게 되어 출발 시의 주행 안정성을 해치고 운전자에게 위화감을 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에서는 측정된 차량 후방 밀림 차속이 제1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차량 후방 밀림 차속을 저감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엔진 아이들 RPM을 상승시키기 위한 1차 가속 (S40)이 이루어진 이후에 ECU(40)는, 차속 센서(60)로부터 측정된 차량 후방 밀림 속도가 미리 정해진 제1 설정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41). 차량 후방 밀림 속도가 제1 설정값 이상인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에는, 안정된 차량의 출발과 운전자의 주행 감성을 보장하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하여 차량 후방 밀림 속도를 저감하기 위해, 브레이크의 작동을 On 한다(S42).
브레이크의 작동에 의해 차량 후방 밀림 속도가 저감하면, 저감된 차량 후방 밀림 속도가 제1 설정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S43)하고, 여전히 차량 후방 밀림 속도가 큰 경우에는 브레이크의 작동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한편, 저감된 차량 후방 밀림 속도가 제1 설정값 미만이 된 경우에는, ECU(40)는 저감된 차량 후방 밀림 속도에 근거하여 엔진의 RPM을 조정한다(S44). 즉, 저하된 차속에 따라 변경된 부하를 산출하고, 엔진 토크가 상기 변경된 부하에 맞춰 엔진의 회전수(RPM)를 조정하게 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출발을 위한 2차 가속(S60) 시에는 원활한 차량의 출발을 위하여 브레이크 작동을 OFF로 전환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도 1에서는 운전자가 변속 레버를 D단으로 변경하기 전에 차량 후방 밀림 속도를 저감사하기 위한 브레이크 작동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자가 변속 레버를 D단으로 변경한 직후에 실시되어도 좋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급경사로와 같이, 차량 밀림 속도가 소정값 이상 커지는 경우에,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차량 밀림 속도를 저하시킴으로써, 차량 밀림에 의해 엔진에 가해지는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시동 꺼짐을 방지하기 위한 엔진 RPM도 낮게 유지할 수 있어서, D단 체결 후에 급가속 등에 의한 운전자의 위화감이나 주행 불안정을 해소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을 실시한 경우의 엔진 상태에 대해서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다.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서는 최대 후방 밀림 차속이 미리 정해진 값 이상 상승하는 경우에는 브레이크의 작동이 On 되고, 그에 따라 차량 후방 밀림 차속이 감소하여 보다 낮은 엔진 RPM 상승량으로도 엔진의 동기화 상태가 정상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에서는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와 중복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제1 실시예와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집중적으로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차량 후방 밀림에 의해 엔진에 가해지는 부하보다, 엔진의 아이들 RPM에 의한 토크가 커지도록 엔진을 1차 가속하여, 엔진의 시동 꺼짐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N단 변속이 이루어진 경우에도, 운전자가 경사로에서의 후방 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브레이크를 페달을 밟고 있는 경우에는, 시동 꺼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엔진 RPM을 상승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이러한 상황에서의 엔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엔진 아이들 RPM을 상승시키기 위한 1차 가속 (S40)이 이루어진 이후에 ECU(40)는, 페달 센서로부터 운전자에 의해서 브레이크 페달이 작동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S54).
만약 운전자에 의해서 브레이크 페달이 작동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브레이크 작동에 의해 차량 후방 밀림이 억제되고 있기 때문에, 엔진 아이들 RPM을 상승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엔진의 아이들 RPM 상승을 위한 1차 가속제어를 중단(S55)한다.
한편, 운전자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이 작동되고 있는 상태에서도 차량이 완전히 정지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브레이크의 작동이 On이지만 차량 후방 밀림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에 의한 브레이크 작동이 On인 경우에, ECU(40)는 차속 센서(60)로부터 차량 후방 밀림 속도의 측정 결과를 전달받아 차속이 0보다 큰 지 여부를 판정한다(S53). 그리고 ECU(40)는 검출된 차량 후방 밀림 차속이 0이 아닌 경우 즉 차량 후방 밀림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검출된 차속 및 경사로의 경사각에 따라 차체에 가해지는 부하를 산출하여, 엔진 토크가 상기 부하보다 커지도록 엔진의 회전수(RPM)를 증가시키기 위한 1차 가속 제어를 실시하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을 실시한 경우의 엔진 상태에 대해서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서는 운전자에 의해 브레이크 조작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는 엔진의 아이들 RPM을 상승시키기 위한 가속 제어를 실시하지 않는다. 그리고, 운전자가 브레이크를 작동하고 있는 중에 변속 레버를 D단으로 변경하였는바, 변속 이후에는 차량 출발을 위한 엔진 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제3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서는 무의미한 엔진 RPM 상승을 막아 연료의 낭비를 막고 출발 시의 주행 안정성 및 운전자의 주행 감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급경사로에서 차량의 시동꺼짐 방지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은 변속 방법이나 내연 기관의 종류와 상관없이 적용 가능한 기술이다. 즉, 변속 방법이나 내연 기관의 종류와 관계없이, 경사로에서 기어를 중립단에서 주행단으로 변경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엔진 제어 방법을 통해 그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10: 차체 20: 엔진
30: 클러치 40: ECU
50: TCU 51: 자이로스코프 센서
60: 차속 센서

Claims (5)

  1. 경사로에서의 차량의 정차 시에 변속 레버의 N단(중립 기어단) 조작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정지된 상기 차량의 후방 밀림 시의 차속 및 경사로에서의 경사각을 검출하여, 차체의 경사로 밀림으로 인해 차체에 가해지는 부하를 산출하는 단계;
    엔진 토크가 상기 부하보다 커지도록 엔진의 회전수(RPM)를 증가시키기 위한 엔진을 가속하는 1차 가속 단계;
    운전자의 변속레버의 D단(전진 주행 기어단) 조작에 따라, 차량 출발을 위해 엔진을 가속하는 2차 가속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경사로에서 차량의 시동꺼짐 방지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1차 가속 단계는,
    상기 검출된 차속이 제1 소정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
    측정된 차속이 제1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는 브레이크를 작동하는 단계;
    브레이크 작동에 따라, 차속이 제1 소정값 미만으로 저하된 경우에, 저하된 차속에 따라 변경된 부하를 산출하고, 엔진 토크가 상기 변경된 부하에 맞춰 엔진의 회전수(RPM)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경사로에서 차량의 시동꺼짐 방지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1차 가속 단계는,
    운전자에 의해 차량의 브레이크가 온(On) 된 상태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차량의 브레이크가 온 상태일 때에는, 상기 엔진의 회전수(RPM)의 증가시키기 위한 가속 제어를 중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경사로에서 차량의 시동꺼짐 방지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브레이크가 온 상태일 때에, 검출된 차속이 0이 아닌 경우에는 검출된 차속 및 경사로의 경사각에 따라 차체에 가해지는 부하를 산출하여, 엔진 토크가 상기 부하보다 커지도록 엔진의 회전수(RPM)를 증가시키기 위한 엔진 가속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경사로에서 차량의 시동꺼짐 방지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2차 가속 단계에 있어서,
    운전자의 변속레버의 D단(전진 주행 기어단) 조작이 이루어진 이후 1 작업 사이클(working cycle) 동안의 차체 가속도 변화를 검출하는 단계;
    1 작업 사이클 동안 차체 가속도가 0보다 크고 변속기의 D단 체결이 그대로 유지되는 경우, 해당 차량이 경사로에서 D단으로 정상 출발되었다고 판단하여, 상승된 엔진 회전수를 아이들 회전수로 원상 복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경사로에서 차량의 시동꺼짐 방지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
KR1020150178047A 2015-12-14 2015-12-14 급경사로에서 차량의 시동 꺼짐 방지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795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047A KR101795182B1 (ko) 2015-12-14 2015-12-14 급경사로에서 차량의 시동 꺼짐 방지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
US15/289,575 US10370002B2 (en) 2015-12-14 2016-10-10 Engine control method for preventing engine stall for vehicle on sloped road
CN201610920630.XA CN106948953B (zh) 2015-12-14 2016-10-21 防止斜坡道路上的车辆的发动机失速的发动机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047A KR101795182B1 (ko) 2015-12-14 2015-12-14 급경사로에서 차량의 시동 꺼짐 방지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0481A KR20170070481A (ko) 2017-06-22
KR101795182B1 true KR101795182B1 (ko) 2017-11-07

Family

ID=59019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8047A Expired - Fee Related KR101795182B1 (ko) 2015-12-14 2015-12-14 급경사로에서 차량의 시동 꺼짐 방지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370002B2 (ko)
KR (1) KR101795182B1 (ko)
CN (1) CN1069489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39477C2 (sv) * 2014-07-07 2017-09-26 Scania Cv Ab Styrning av en förbränningsmotor i samband med frihjulning
US11148714B2 (en) * 2019-02-04 2021-10-19 Caterpillar Inc. Steering a differential steering machine while commanded to be in neutral
KR20220023910A (ko) * 2020-08-21 2022-03-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경사각 측정 방법 및 그 측정 장치
CN113044039B (zh) * 2021-05-13 2023-01-03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一种挡位计算方法和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3860A (ja) * 1999-10-27 2001-05-08 Mitsubishi Motors Corp 路面勾配検出装置及び路面勾配に基づくエンジン出力制御装置
JP2001323826A (ja) * 2000-05-17 2001-11-22 Toyota Motor Corp 車両の走行制御装置
JP2007230478A (ja) * 2006-03-03 2007-09-13 Toyota Motor Corp 上り坂上一時停止後の後退が抑止される車輌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76112B2 (ja) * 1995-06-30 1999-03-31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KR100721095B1 (ko) 2002-07-11 2007-05-22 주식회사 만도 수동변속기 차량의 후진방지장치
JP3974091B2 (ja) 2003-07-08 2007-09-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の制御装置
JP4172345B2 (ja) * 2003-07-15 2008-10-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
JP4218487B2 (ja) * 2003-10-07 2009-02-04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4196957B2 (ja) * 2005-03-03 2008-12-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8712650B2 (en) * 2005-11-17 2014-04-29 Invent.Ly, Llc Power management systems and designs
US8972161B1 (en) * 2005-11-17 2015-03-03 Invent.Ly, Llc Power management systems and devices
JP4997031B2 (ja) * 2007-09-06 2012-08-0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走行制御装置
JP4751455B2 (ja) * 2009-01-27 2011-08-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駆動力制御装置
US9457811B2 (en) * 2009-09-17 2016-10-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rake assisted vehicle engine restart on a road grade
JP5771953B2 (ja) 2010-11-08 2015-09-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の発進時ずり下がり防止制御装置
KR101189412B1 (ko) * 2010-12-07 2012-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Isg 로직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298820B1 (ko) 2011-10-28 2013-08-23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급경사로에서 자동변속기 차량의 시동꺼짐 방지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
KR101316017B1 (ko) * 2011-11-14 2013-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에코 운전 안내 방법 및 장치
EP2618108B1 (en) * 2012-01-19 2018-10-17 Volvo Car Corporation Driver assisting system
JP5990947B2 (ja) * 2012-03-13 2016-09-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
KR101371464B1 (ko) * 2012-09-06 2014-03-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속 자동 제어 시스템 및 방법
ITTO20130584A1 (it) * 2013-07-11 2015-01-12 Fiat Ricerche Stima della massa di un veicolo e della pendenza della strada
CN105452630B (zh) * 2013-07-23 2018-08-31 加特可株式会社 车辆的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JP5870985B2 (ja) * 2013-10-23 2016-03-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運転支援装置
JP5979119B2 (ja) * 2013-11-13 2016-08-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制御装置
JP6467888B2 (ja) * 2014-11-27 2019-02-13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自動走行制御装置及び車両の自動走行方法
KR101673348B1 (ko) * 2015-05-14 2016-11-07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G센서를 이용한 도로 구배 연산 시스템 및 방법
JP6378139B2 (ja) * 2015-06-30 2018-08-22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制御装置及び車両制御方法
US10604137B2 (en) * 2016-10-31 2020-03-3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adapting clutches of a vehicle transmiss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3860A (ja) * 1999-10-27 2001-05-08 Mitsubishi Motors Corp 路面勾配検出装置及び路面勾配に基づくエンジン出力制御装置
JP2001323826A (ja) * 2000-05-17 2001-11-22 Toyota Motor Corp 車両の走行制御装置
JP2007230478A (ja) * 2006-03-03 2007-09-13 Toyota Motor Corp 上り坂上一時停止後の後退が抑止される車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948953A (zh) 2017-07-14
US10370002B2 (en) 2019-08-06
US20170166211A1 (en) 2017-06-15
KR20170070481A (ko) 2017-06-22
CN106948953B (zh) 2021-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77233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及び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方法
JP5565324B2 (ja) 車両制御装置
KR101795182B1 (ko) 급경사로에서 차량의 시동 꺼짐 방지를 위한 엔진 제어 방법
JP6414335B2 (ja) エンジン制御方法及び車両走行制御装置
US20070208478A1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JP4862742B2 (ja) 内燃機関制御装置及び内燃機関制御システム
JP2004144293A (ja) 車両用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KR20110119567A (ko)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US7325665B2 (en)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automatic transmission
JPWO2017046880A1 (ja) 回転数表示装置
JP2011117500A (ja) クラッチスイッチの異常判定装置
KR102075135B1 (ko) 차량의 밀림 방지 제어방법
JP2007032494A (ja) 内燃機関の自動停止始動制御装置
JP2011094576A (ja) 車載内燃機関の制御装置
US12215644B2 (en) Vehicle control method, and vehicle control device
JPWO2014002687A1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7351239B2 (ja) 車両の制御装置
JP4543734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終了判定装置
JP2004316550A (ja) ドライバの加減速意思の判定方法
JPH08210480A (ja) 自動変速機の変速動作開始時期検出装置
JP2008309267A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2010025071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4779531B2 (ja) 自動変速装置
JP2017133544A (ja) 車両の制御装置
JP2009014135A (ja) 自動変速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8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703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8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5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7091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8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5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1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