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95059B1 - Simulation system for determining the possibility of drive and simula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imulation system for determining the possibility of drive and simula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5059B1
KR101795059B1 KR1020110118782A KR20110118782A KR101795059B1 KR 101795059 B1 KR101795059 B1 KR 101795059B1 KR 1020110118782 A KR1020110118782 A KR 1020110118782A KR 20110118782 A KR20110118782 A KR 20110118782A KR 101795059 B1 KR101795059 B1 KR 101795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mulation
driver
mode
head
vehic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87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53574A (en
Inventor
신동수
이석범
이종복
노희진
박성민
홍기범
김성운
석동희
민정상
오광명
최진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8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5059B1/en
Publication of KR20130053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5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059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Landscapes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시뮬레이션 방법 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주행용 조작장치; 운전자 주 시야 선상에 배치되어 다수의 기 설정된 시뮬레이션 모드 중 선택된 시뮬레이션 모드 및 해당 시뮬레이션 모드에 대한 수행 결과를 표시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및 작동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조작장치와 연계하여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해당 시뮬레이션 모드를 제어하는 시뮬레이터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운전자가 실제로 주행하고 있는 것과 같은 상황에서 가상으로 운전할 수 있고, 실제 주행에 앞서서 운전자의 운전 가능성이나 컨디션을 체크하거나 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mulation system for judging the possibility of operation and a simulation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A head-up display disposed on a driver's main sight line for displaying a selected simulation mode amo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simulation modes and an execution result for the corresponding simulation mode; And a simulator controller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vehicle is capable of operating and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simulation mode displayed on the head-up display in cooperation with the operating device, so that the vehicle can be operated virtually in the same situation as the driver is actually traveling And it is possible to check the driving possibility or condition of the driver ahead of the actual driving and prevent the accident in advance.

Description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시뮬레이션 방법 {Simulation system for determining the possibility of drive and simulation method thereof} 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mulation system and a simul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시뮬레이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실제 차량 내에서 스스로 운전 가능성을 판단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시뮬레이션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mulation system for determining an operation possibility and a simulation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simulation system and a simulation method thereof in which a driver can determine an operation possibility by himself in an actual vehicle.

종래 차량 주행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전자 오락실에 설치된 게임기나 실내 자동차 운전학원에 설치된 시뮬레이션 장치가 그 대표적인 예로서, 가상의 상황을 표시하면서 운전자가 스릴을 느끼게 하거나 실제 도로에서의 위험 요소를 제거하여 안전한 운전기능의 연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A conventional vehicle driving simulation system is a game device installed in an electronic game room or a simulation device installed in an indoor driving school of a car. As a typical example, a driver may feel a thrill while displaying a virtual situation, So that it can be practiced.

그러나, 전자 오락실 등에 설치된 게임기에 적용된 종래 자동차 주행 시뮬레이션 장치의 구조를 보면 실제 차량의 운전석과 유사한 형상을 이루도록 모사하여 만들어졌으나, 실제 차량과 같은 느낌을 재현하기에는 많은 제약사항이 있었고 흥미 위주로 제작된 것이 많아 실제 교통 법규를 위반한 채 주행한다 해도 큰 문제가 일어나지 않게 프로그래밍 되어 있었다. However,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vehicle driving simulation apparatus applied to a game machine installed in an electronic game room or the like is made to simulate a shape similar to that of an actual vehicle, but there are many restrictions to reproduce the feel of an actual vehicle. It was programmed so that it would not cause a big problem even if it was running in violation of the actual traffic regulations.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0638847호와 같이 실내 자동차 운전학원에 설치된 시뮬레이션 장치로는 실제 주행하는 것과 같은 느낌을 갖기 어렵고, 실제 주행시 일어날 수 있는 주변 차량의 급정거, 차선변경 등의 돌발 행동에 대한 대처를 충분히 연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t is difficult for a simulator installed in an indoor automobile driving institute such as Korean Patent No. 10-0638847 to have a feeling that it is not actually running, and it is difficult to feel the sudden behavior such as a sudden stop of a nearby vehicl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oping could not be practiced sufficientl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운전자는 실제 차량에서 현실감 있는 주행이 가능한 가상 운전 시뮬레이션을 통해 주행 가능성 여부 또는 운전자의 컨디션인지 파악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시뮬레이션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provides a simulation system and a simulation method thereof that enable a driver to know whether a vehicle is traveling or a driver's condition through a virtual driving simulation capable of realistic running in an actual vehicle It has its purpo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차량 주행용 조작장치; 운전자 주 시야 선상에 배치되어 다수의 기 설정된 시뮬레이션 모드 중 선택된 시뮬레이션 모드 및 해당 시뮬레이션 모드에 대한 수행 결과를 표시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및 작동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조작장치와 연계하여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해당 시뮬레이션 모드를 제어하는 시뮬레이터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simulation system for determining an operation possibility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a vehicle traveling operation device; A head-up display disposed on a driver's main sight line for displaying a selected simulation mode amo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simulation modes and an execution result for the corresponding simulation mode; And a simulator controller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operation is possible and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simulation mode displayed on the head-up display in association with the operation device.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뮬레이터 제어기는 시동이 걸려 있는지와, 기울기 센서로부터 수신받은 신호를 분석하여 차량이 경사진 도로에 있는지와, 핸드 브레이크가 걸려있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simulator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running and whether the vehicle is on a sloping road by analyz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tilt sensor, and determines whether the hand brake is applied. .

이때, 상기 다수의 기 설정된 시뮬레이션 모드는 반응시간 테스트 모드, 차선 변경 모드 및 시나리오 수행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redetermined simulation modes may include a reaction time test mode, a lane change mode, and a scenario execution mode.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응시간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차량 주행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마크를 표시하고, 상기 시뮬레이터 제어기는 표시된 마크에 대해 운전자가 반응한 시간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Advantageously, in the reaction time test mode, the head-up display displays one or more marks associated with vehicle travel, and the simulator controller analyzes the time the driver responded to the displayed mark.

특히, 상기 반응시간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표시된 마크에 대해 상기 운전자와 평균적인 운전자가 반응한 시간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In particular, in the reaction time test mode, the head-up display indicates the time the average driver reacted with the driver for the displayed mark.

바람직하게는, 상기 차선 변경 모드에서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운전자의 차량 위치, 상대 차량 위치 및 차선을 표시하고, 상기 시뮬레이터 제어기는 방향 지시등에 대한 조작이 있으면 차선 변경 시작을 인지 및 상기 방향 지시등이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면 차선 변경 종료를 인지하며, 핸들이 초기 위치에 대해 기 설정된 각도 이상 회전하면 상기 핸들의 회전 방향으로 상기 운전자의 차량 위치가 점차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in the lane-changing mode, the head-up display indicates a driver's vehicle position, a relative vehicle position and a lane, and if there is an operation on the turn signal lamp, The driver's vehicle position is gradually moved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steering wheel when the steering wheel rotates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initial posi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나리오 수행 모드에서 상기 시뮬레이터 제어기는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시나리오에 따라 목적지까지 완주하는 동안 차선 이탈 횟수, 충돌 횟수, 완주시간, 법규 위반 횟수, 반응시간, 지시사항 불이행 횟수를 포함하는 완주 능력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in the scenario execution mode, the simulator controller includes the number of lane departure times, the number of collision times, the running time, the number of violation of the rule, the reaction time, and the number of instruction failure times while the robot completes to the destination according to the scenario displayed on the head- And analyzing the completeness ability of the user.

특히,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선택된 시뮬레이션 모드가 종료되면 상기 조작장치의 현재위치를 표시함과 동시에 초기위치로 되돌리도록 유도하는 사인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head-up display may be configured to indicate a current position of the operating device when the selected simulation mode is terminated, and to display a sign indicating the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시뮬레이션 방법은, 시뮬레이터 제어기에서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작동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제1단계; 상기 시뮬레이터 시스템의 작동이 가능하면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에서 다수의 기 설정된 시뮬레이션 모드 중 선택된 시뮬레이션 모드를 표시하고, 상기 시뮬레이터 제어기에서 차량 주행용 조작장치와 연계하여 해당 시뮬레이션 모드를 제어하는 제2단계; 및 선택된 시뮬레이션 모드가 종료되면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에서 해당 시뮬레이션 모드에 대한 수행 결과를 표시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imulation method for determining an operation possibility, including: a first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n operation of a simulation system is enabled in a simulator controller; A second step of displaying a selected simulation mode amo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simulation modes in the head-up display if the operation of the simulator system is possible, and controlling the simulation mode in association with the vehicle-running operation device in the simulator controller; And displaying a result of the simulation mode in the head-up display when the selected simulation mode is terminated.

바람직하게는 제1단계에서 상기 시뮬레이터 제어기는 시동이 걸려 있는지와, 기울기 센서로부터 수신받은 신호를 분석하여 차량이 경사진 도로에 있는지와, 핸드 브레이크가 걸려있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in the first step, the simulator controller is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starting and analyz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tilt sensor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on an inclined road and whether a hand brake is applied.

특히, 제2단계에서 다수의 기 설정된 시뮬레이션 모드는 반응시간 테스트 모드, 차선 변경 모드 및 시나리오 수행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second step,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simulation modes may include a reaction time test mode, a lane change mode, and a scenario execution mode.

바람직한 반응시간 테스트 모드는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에서 차량 주행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마크를 표시하는 단계; 표시된 마크에 대해 운전자가 반응한 시간을 상기 시뮬레이터 제어기에서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preferred reaction time test mode includes displaying at least one mark associated with the vehicle running in the head-up display; And analyzing, by the simulator controller, the time the driver has reacted to the displayed mark.

가장 바람직한 반응시간 테스트 모드는 표시된 마크에 대해 상기 운전자와 평균적인 운전자가 반응한 시간을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most preferred reaction time test mode further comprises displaying on the head-up display the time the average driver reacted with the driver for the displayed mark.

바람직한 차선 변경 모드는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에서 운전자의 차량 위치, 상대 차량 위치 및 차선을 표시하는 단계; 방향 지시등에 대한 조작이 있으면 상기 시뮬레이터 제어기에서 차선 변경 시작을 인지하는 단계; 핸들이 초기 위치에 대해 기 설정된 각도 이상 회전하면, 상기 핸들의 회전 방향으로 상기 운전자의 차량 위치가 점차적으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방향 지시등이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면 상기 시뮬레이터 제어기에서 차선 변경 종료를 인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preferred lane change mode includes displaying the driver's vehicle position, the relative vehicle position and the lane in the head-up display; Recognizing the start of the lane change in the simulator controller if there is an operation on the turn signal lamp; Gradually moving the vehicle position of the driver in a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handle when the handle rotates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relative to the initial position; And recognizing the end of the lane change in the simulator controller when the turn signal lamp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바람직한 시나리오 수행 모드는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시나리오에 따라 목적지까지 완주하는 동안 차선 이탈 횟수, 충돌 횟수, 완주시간, 법규 위반 횟수, 반응시간, 지시사항 불이행 횟수를 포함하는 완주 능력을 상기 시뮬레이터 제어기에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preferred scenario execution mode includes a running capability including a number of lane departure times, a number of collision times, a running time, a number of violation times, a reaction time, and an instruction failure count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to a destination according to a scenario displayed on the head- Analyzing the result of the analysis.

특히, 제3단계에서 선택된 시뮬레이션 모드가 종료되면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조작장치의 현재위치를 표시함과 동시에 초기위치로 되돌리도록 유도하는 사인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simulation mode selected in the third step is terminated, the head-up display may display a sine indicat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operating device and returning to the initial position.

본 발명에 따른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시뮬레이션 방법에 의하면 시뮬레이션 모드를 표시하는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운전자가 실제로 주행하고 있는 것과 같은 상황에서 가상으로 운전해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simulation system for determining the opera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imulation method therefor,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that a driver can virtually operate in the same situation as the driver is actually traveling by using a head-up display device for a vehicle have.

또한 본 발명에 의해서 실제 주행에 앞서서 운전자의 운전 가능성이나 컨디션을 체크해볼 수 있어 주행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초보 운전자는 실내 자동차 운전학원에서보다 효과적으로 운전 연습을 할 수 있게 되어 심리적인 안정감과 자신감을 갖도록 유도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heck the driving possibility and the condition of the driver ahead of the actual driving, so that it can help the driving, and the novice driver can practice driving more effectively in the driving room of the indoor automobile, . ≪ / RTI >

나아가 운전자가 소량의 알코올을 섭취한 경우 스스로 기준을 가지고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기 어렵게 되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주행시 운전자의 인지 능력, 반응 속도 및 돌발상황에 대한 대처 등을 분석할 수 있어 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river consumes a small amount of alcohol, it is difficult to judge the possibility of driving by himsel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r's cognitive ability, reaction speed and coping with the unexpected situation can be analyzed,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can be do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차량 실내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 반응시간 테스트 모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 차선 변경 모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 시나리오 수행 모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시뮬레이션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 is a vehicle interior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imulation system for judging the operation possi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reaction time test mode in a simulation system for determining the operation possi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lane change mode in a simulation system for determining an operation possi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cenario execution mode in a simulation system for judging the operation possi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showing a simulation method for determining the operation possi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시뮬레이션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simulation system and its simulation method for determining the operation possi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차량 실내 도면이다. 1 is a vehicle interior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imulation system for judging the operation possi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운동 가능성을 판단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차량 주행용 조작장치(10); 운전자 주 시야 선상에 배치되어 다수의 기 설정된 시뮬레이션 모드 중 선택된 시뮬레이션 모드 및 해당 시뮬레이션 모드에 대한 수행 결과를 표시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20); 및 작동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조작장치(10)와 연계하여 헤드업 디스플레이(20)에서 표시되는 해당 시뮬레이션 모드를 제어하는 시뮬레이터 제어기(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simulation system for determining the likelihood of mo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vehicle running control device (10); A head-up display (20) arranged on a driver's main sight line for displaying a selected simulation mode amo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simulation modes and an execution result for the corresponding simulation mode; And a simulator controller 30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operation is possible and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simulation mode displayed on the head-up display 20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ng device 10. [

본 발명에서의 차량 주행용 조작장치(10)는 운전자가 실제로 차량을 운전할 때 필요하여 조작하는 장치를 말하며, 키 삽입구(11) 혹은 차량의 시동을 온(ON)/오프(OFF)하는 버튼, 차량의 기울어진 정도를 측정하는 기울기 센서(12), 핸드 브레이크(13), 방향 지시등 조작기(14), 핸들(15) 혹은 스티어링 휠, 액셀 패달(16), 브레이크 패달(17), 와이퍼 조작기, 라이트 조작기, 기어 변속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vehicle running manipulation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aratus that is required when the driver actually operates the vehicle and is operated by the user. The manipulation apparatus 10 includes a key insertion port 11 or a button for turning on / off the starting of the vehicle, A tilt sensor 12 for measuring an inclination degree of the vehicle, a hand brake 13, a turn signal light manipulator 14, a steering wheel 15 or a steering wheel, an accelerator pedal 16, a brake pedal 17, A light manipulator, a gear transmission, and the like.

차량 주행용 조작장치(10)에는 운전자가 조작을 가하면 감지할 수 있는 센서 또는 감지부가 차량 내장 혹은 외장 설치되어 있을 수 있고, 센서 또는 감지부가 감지한 신호는 후술할 시뮬레이터 제어기(30)에 인가될 수 있다. A sensor or a sensing unit that can be detected when the driver operates the vehicle may be provided inside or outside the vehicle, and the signal detected by the sensor or the sensing unit may be applied to the simulator controller 30 .

헤드업 디스플레이(20)는 일반적으로 HUD(Head Up Display)로 불리며, 차량이나 항공기의 운전자 정면 즉, 운전자의 주 시야 선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배치되어 차량주행정보나 기타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를 말한다. 주행 시에 운전자는 시야에 있는 사물들을 확인함과 동시에 계기판을 바라다보지 않고 차량의 주행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주의력 분산으로 생기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The head-up display 20 is generally referred to as a head-up display (HUD), and is a device that is disposed in a range not exceeding the driver's front view of the driver or the driver, such as a vehicle or an aircraft, . At the time of driving, the driver confirms the objects in sight and at the same time confirms the driving condition of the vehicle without looking at the instrument panel, thereby preventing accidents caused by dispersion of attention.

헤드업 디스플레이(20)는 일반적으로 주행시 속도, 차량 이상 여부 등을 표시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후술할 시뮬레이터 제어기(30)의 제어에 따라 다수의 기 설정된 시뮬레이션 모드 중 선택된 시뮬레이션 모드 및 해당 시뮬레이션 모드에 대한 수행 결과도 표시한다. 다수의 기 설정된 시뮬레이션 모드는 바람직하게 반응시간 테스트 모드, 차선 변경 모드 및 시나리오 수행 모드 등이 있을 수 있고, 각 시뮬레이션 모드는 후술할 시뮬레이터 제어기(30) 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시뮬레이션 모드는 운전 가능성을 최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업데이트될 수 있으며, 각 시뮬레이션 모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The head-up display 20 generally displays a speed during driving, an abnormality in a vehicle, and the like. In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simulation modes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a simulator controller 30 to be described later, The results are also displayed. The plurality of preset simulation modes may preferably include a reaction time test mode, a lane change mode, and a scenario execution mode, and each simulation mode is preferably stored in a memory in a simulator controller 30 to be described later. Such a simulation mode can be continuously developed and updated to determine the optimum operation possibility,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simulation mode will be described later.

여기서 공지된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헤드업 디스플레이(2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헤드업 디스플레이(20)의 구동 방식이 결정되면 후술할 시뮬레이터 제어기(30)에서 결정된 구동 방식을 사용하여 헤드업 디스플레이(2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head-up display 20 can be driven using various known methods. When the driving method of the head-up display 20 is determined, the head-up display 20 can be controlled using the driving method determined by the simulator controller 30 to be described later.

시뮬레이터 제어기(30)는 본 발명에 따른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작동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바람직하게는 시뮬레이터 제어기(30)에서 조작장치(10) 중에서 키 삽입구(11)의 신호로부터 시동이 걸려있다고 판단하거나 기울기 센서(12)의 신호 혹은 핸드 브레이크(13)가 걸려있다는 신호로부터 차량이 경사진 도로에 있다고 판단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작동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덧붙여 이미 시동이 걸려있는 경우에는 시뮬레이터 제어기(30)에서 본 발명을 구동시킬 수 없다는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이는 운전자의 안전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시뮬레이션 시스템상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판단되는 사항으로, 상술한 헤드업 디스플레이(20)에서 현재 차량 환경이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작동시킬 수 없는 상황임을 표시할 수 있다.The simulator controller 30 judges whether or not the s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ble. It is preferable that the simulator controller 30 judges that starting from the signal of the key insertion port 11 in the operating device 10 or that the signal from the tilt sensor 12 or the hand brake 13 is stuck,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to operate. In addition, when the start-up is already performed, the simulator controller 30 can send a signal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not be started. This is the first priority on the s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safety of the driver, and it can indicate that the current vehicle environment in the head-up display 20 described above can not operate the simulation system.

시뮬레이터 제어기(30)는 상술한 차량 주행용 조작장치(10)와 연계하여 동작하는데, 조작장치(10)에 설치된 센서 또는 감지부가 감지한 신호를 유선 혹은 무선 방식으로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시뮬레이터 제어기(30)에서 조작장치(10) 측으로 신호를 보낼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운동 가능성을 판단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이 작동하는 동안에 라이트가 작동하면 주변 차량 또는 시민에게 불편을 줄 수 있으므로, 라이트 조작기를 조작하더라도 라이트 조작기로 수신된 신호에 의해 실제로 라이트는 동작을 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시뮬레이터 제어기(30)에서 차량의 계기판은 동작하지 않도록 신호를 보낼 수 있다. The simulator controller 30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above-described vehicle running control device 10, and can receive signals sensed by a sensor or a sensor installed in the control device 10 in a wired or wireless manner. Of course, a signal may be sent from the simulator controller 30 to the operation device 10. For example, if a light is operated while the simulation system for determining the motion possibility is operating, it may cause inconvenience to a nearby vehicle or a citizen. The light may not actually be operated by the signal received by the light manipulator. Or the simulator controller 30 can send a signal to prevent the instrument panel of the vehicle from operating.

그리고 시뮬레이터 제어기(30)는 상술한 헤드업 디스플레이(20)에서 표시되는 해당 시뮬레이션 모드를 조작장치(10)와 연계하여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헤드업 디스플레이(20)는 다수의 기 설정된 시뮬레이션 모드 중 선택된 시뮬레이션 모드를 표시하는데, 운전자에 의해 각각의 조작장치(10)가 조작되면 시뮬레이터 제어기(30)는 선택된 시뮬레이션 모드 하에서 변화 사항을 즉각적으로 혹은 일정 시간 딜레이를 가지고 반영시킬 수 있도록 조작 신호를 처리 및 분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시뮬레이터 제어기(30)는 선택된 시뮬레이션 모드가 종료되면 헤드업 디스플레이(20)에 안전을 위한 사인(sign)을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인은 조작장치(10)의 현재위치를 표시함과 동시에 초기위치로 되돌리도록 유도하는 것으로서, 초기위치는 점선 형태로 표시될 수 있고 화살표나 문자로 된 설명이 곁들여져서 표시될 수도 있다. The simulator controller 30 controls the corresponding simulation mode displayed on the head-up display 20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ng device 10. [ As described above, the head-up display 20 displays a selected simulation mode amo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simulation modes. When the respective operating device 10 is operated by the driver, the simulator controller 30 displays the change Can be processed and analyzed so that they can be reflected instantaneously or with a certain time delay. In addition, the simulator controller 30 may control the head-up display 20 to display a sign for safety when the selected simulation mode ends. The sign is indicative of the current position of the operating device 10 and is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The initial position may be indicated by a dotted line, and may be displayed accompanied by an explanation with an arrow or a letter.

이하, 다수의 기 설정된 시뮬레이션 모드에 대해 도 2,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수의 기 설정된 시뮬레이션 모드 중 하나의 시뮬레이션 모드를 선택하는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차량의 프런트 인터페시아에 매립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부를 직접 터치 혹은 디스플레이부 부근에 배치된 버튼을 이용 혹은 리모컨 등을 사용하여 선택하는 방식이 가능하다.
Hereinafter, a plurality of preset simulation mod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3 and 4. Fig. The method of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predetermined simulation modes is not limited, and the display portion embedded in the front interi of the vehicle may be directly selected by using a button disposed near the touch or display portion, .

반응시간 테스트 Reaction time test 모드mod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 반응시간 테스트 모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reaction time test mode in a simulation system for determining the operation possi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반응시간 테스트 모드에서 상술한 헤드업 디스플레이(20)는 차량 주행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마크를 표시하고, 시뮬레이터 제어기(30)는 표시된 마크에 대해 운전자가 반응한 시간을 분석할 수 있다. In the reaction time test mode, the above-described head-up display 20 displays one or more marks associated with the running of the vehicle, and the simulator controller 30 can analyze the time the driver reacted to the marked mark.

이때, 차량 주행과 관련된 마크는 신호등, 급정거, 차선 변경, 유턴, 비상등, 방향 지시등 조작, 날씨, 노면상태, 도로혼잡, 감속주행, 가속주행, 상대 차량의 움직임일 수 있고, 다수의 마크가 동시에 표시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marks related to the vehicle driving may be a traffic light, a sudden stop, a lane change, a U-turn, an emergency light, a turn signal operation, a weather, a road surface condition, a road congestion, May be displayed.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급정거와 관련된 마크(21)는 순간적으로 헤드업 디스플레이(20)에 표시될 수 있고, 이때 운전자가 얼마나 빨리 반응하는가 그리고 비상 점멸 버튼을 눌렀는가 여부가 반응시간 테스트 모드의 수행 결과에 반영될 수 있다. 또는 차선변경과 관련된 마크(22)가 헤드업 디스플레이(20)에 표시되면 운전자가 반응을 얼마나 빠르게 했는가 등이 수행 결과에 반영될 수 있으며, 후술할 차선 변경 모드의 작동 방식이 적용되어 있을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mark 21 related to the sudden stop can be instantaneously displayed on the head-up display 20, and at this time, how fast the driver reacts and whether or not the emergency flashing button is pressed is performed in the response time test mode Can be reflected in the results. Or how fast the driver has reacted when the mark 22 related to the lane change is displayed on the head-up display 20, etc., may be reflected in the result of the operation, and the operation mode of the lane change mode described later may be applied .

이 밖의 마크들은 표시된 의미 그대로 운전자가 수행하면 운전 가능 여부에 대한 결과가 긍정적으로 나오게 될 것을 알 수 있다. 덧붙여 날씨의 경우 비 혹은 눈과 관련된 마크가 표시되면 와이퍼를 동작시켰는가, 속도를 감속하여 주행하는가, 수동 자동차인 경우 변속기를 몇 단에 두었는가 등이 수행 결과에 반영될 수 있다. 상대 차량의 움직임과 관련된 마크는 상대 차량인 앞 차량이 급정거하는 마크, 상대 차량이 차선 변경하는 마크, 끼어들기 하는 마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other marks indicate that the driver will be able to see the results of the operation in a positive manner.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weather, when a rain or snow related mark is displayed, the wiper is operated, the speed is reduced, and the speed of the vehicle is changed. The mark related to the movement of the opponent vehicle may include a mark where the opponent vehicle is suddenly stopped, a mark by which the opponent vehicle changes lanes, an engaging mark, and the like.

또한, 반응시간 테스트 모드에서 헤드업 디스플레이(20)는 표시된 마크에 대해 실제로 탑승한 운전자와 평균적인 운전자가 반응한 시간을 표시할 수 있다. 평균적인 운전자가 반응한 시간은 연령별, 각 마크별 등으로 구분된 채로 기 설정되어 시뮬레이터 제어기(30) 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reaction time test mode, the head-up display 20 can display the time when the average driver reacted to the driver actually riding on the marked mark. It is preferable that the average time of the driver's response is previously set in the memory of the simulator controller 30 while being divided by age and each mark.

반응시간 테스트 모드에서의 반응시간 비교표(23)는 헤드업 디스플레이(20)에서 반응시간 테스트 모드 종료 후에 수행 결과를 표시할 때 함께 표시될 수 있고, 각 마크에 대한 평가가 마쳐진 후에 표시될 수도 있다. 반응시간 비교표(23)는 막대 그래프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실제 탑승 운전자와 평균적인 운전자의 반응 시간을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는 형태라면 적용될 수 있다. 덧붙여, 수행 결과를 수치화해서 점수로 표시할 수도 있는데, 일정 점수 이하의 결과가 나오면 현재 운전시 위험하다고 알려줄 수 있다.The reaction time comparison table 23 in the reaction time test mode can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result of the reaction after the end of the reaction time test mode in the head-up display 20, and can be displayed after the evaluation for each mark is completed have. The reaction time comparison table (23) is not limited to a bar graph, and can be applied if the response time of the actual boarding driver and the average driver are clearly distinguishable. In addition, performance results can be numerically expressed and displayed as a score. If the result is below a certain score, it can be indicated that the current operation is dangerous.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사용하여 실제 탑승한 운전자의 반응 시간이 평균적인 운전자의 반응 시간과 비교했을 때, 다양한 조건 하에서 얼마나 차이가 있는가 파악할 수 있어 실제 탑승한 운전자의 운전 가능성을 판단해볼 수 있다.
By using the simulation system for determining the operation possi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how much the difference in the reaction time of the actual driver is compared with the response time of the average driver, It is possible to judge the possibility of operation.

차선 변경 Change lane 모드mod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 차선 변경 모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lane-changing mode in a simulation system for determining operationa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차선 변경 모드에서 상술한 헤드업 디스플레이(20)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운전자의 차량 위치(25), 상대 차량 위치(26) 및 차선(27)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차선(27)이 움직이는 형태로 표시되어 운전자의 차량과 상대 차량이 주행 중이라는 효과를 줄 수 있다. In the lane change mode, the head-up display 20 described above can display the driver's vehicle position 25, the relative vehicle position 26 and the lane 27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lane 27 is displayed in a moving form so that the driver's vehicle and the opponent vehicle are running.

또한 차선 변경 모드에서 시뮬레이터 제어기(30)는 방향 지시등(14)에 대한 조작이 있으면 차선 변경 시작을 인지 및 방향 지시등(14)이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면 차선 변경 종료를 인지할 수 있다. 방향 지시등(14)에 대한 조작이 이루어지면 차선 변경 화살표(24)가 표시될 수 있다.Also, in the lane change mode, the simulator controller 30 can recognize the start of lane change when there is an operation on the turn signal lamp 14 and recognize the lane change end when the turn signal 14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The lane change arrow 24 can be displayed when the operation of the turn signal lamp 14 is made.

나아가 핸들(15)이 초기 위치에 대해 기 설정된 각도 이상 회전하면 핸들(15)의 회전 방향으로 운전자의 차량 위치(25)가 점차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차선 변경 모드가 적용될 때 본 발명에 따른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이 작동하기 위한 전제 조건에 따라 시동을 걸지 않은 상태일 수 있고, 핸들(15) 조작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핸들(15)의 초기 위치를 시뮬레이터 제어기(30)가 파악하고, 이를 기준으로 하여 기 설정된 각도 이상 핸들(15)이 회전하게 되면 운전자가 차선 변경을 한다고 시뮬레이터 제어기(30)에서 인식할 수 있다. 덧붙여 핸들(15)에 기울기 센서가 설치되어 차선 변경을 인식할 수도 있다. Further, when the handle 15 rotates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initial position, the vehicle position 25 of the driver can be gradually mov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handle 15. [ When the lane change mode is applied, the simulation system for determining the operation possi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be started according to the precondition for operation, and the operation of the steering wheel 15 may be difficult. Therefore, the simulator controller 30 recognizes the initial position of the steering wheel 15, and when the steering wheel 15 is rotated over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basis of the initial position, the driver can recognize the lane change by the simulator controller 30 . In addition, a tilt sensor may be provided on the handle 15 to recognize the lane change.

차선 변경 모드 종료 후에는 수행 결과를 표시해 주게 되고, 차선 변경의 완전성 여부, 상대 차량 위치(26)와의 충분한 거리 확보 여부 등이 수행 결과에 반영되어 표시될 수 있다. 덧붙여 이러한 차선 변경 모드는 반응시간 테스트 모드 또는 시나리오 수행 모드에서 함께 활용할 수 있고, 수행 결과를 수치화해서 점수로 표시할 수도 있는데, 일정 점수 이하의 결과가 나오면 현재 운전시 위험하다고 알려줄 수 있다.After completion of the lane change mode, the result of the lane change is displayed. Whether the lane change is complete, whether the lane change is sufficiently secured with respect to the relative vehicle position 26, and the like can be reflected and displayed in the performance result. In addition, these lane change modes can be used together in the reaction time test mode or the scenario execution mode, and the result of the performance can be numerically expressed and displayed as a score.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사용하여 실제 탑승한 운전자가 차선 변경을 다양한 조건 하에서 얼마나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지 파악할 수 있어 실제 탑승한 운전자의 운전 가능성을 판단해볼 수 있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how accurately the driver who is actually on the lane can perform the lane change under various conditions by using the simulation system for judging the possibility of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possibility of operation of the actually riding driver can be determined.

시나리오 수행 Perform the scenario 모드mod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 시나리오 수행 모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scenario execution mode in a simulation system for determining the operation possi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시나리오 수행 모드에서 상술한 시뮬레이터 제어기(30)는 헤드업 디스플레이(20)에 표시된 시나리오에 따라 목적지까지 완주하는 동안 차선 이탈 횟수, 충돌 횟수, 완주시간, 법규 위반 횟수, 반응시간, 지시사항 불이행 횟수를 포함하는 완주 능력을 분석할 수 있다. In the scenario execution mode, the above-described simulator controller 30 controls the number of lane departure times, the number of times of collision, the running time, the number of violation of the rule, the reaction time, and the number of times of instruction failure while completing to the destination according to the scenario displayed on the head- You can analyze the completeness capabilities that you include.

도 4의 헤드업 디스플레이(20)에서는 실제 도로 주행과 같은 화면을 표시하고 있고, 가상의 차량(28)이 운전자의 차량과 함께 주행하는 시나리오를 도시하고 있다. 헤드업 디플레이(20)의 하단에 차량 주행 정보 예를 들면 운전자의 차량 속도, 차량 이상 여부 등을 표시하고 있다. The head-up display 20 of FIG. 4 displays a screen such as an actual road running, and shows a scenario in which the virtual vehicle 28 travels with the driver's vehicle. At the lower end of the head-up display 20, vehicle running information such as the driver's vehicle speed, whether the vehicle is abnormal or not is displayed.

시나리오 수행 모드 종료 후에는 수행 결과를 표시해 주게 되고, 위에 제시된 완주 능력 평가 지표들이 수행 결과에 반영되어 표시될 수 있다. 덧붙여, 수행 결과를 수치화해서 점수로 표시할 수도 있는데, 일정 점수 이하의 결과가 나오면 현재 운전시 위험하다고 알려줄 수 있다.After completion of the scenario execution mode, the execution result is displayed, and the completion capability evaluation indexes shown above can be reflected and displayed in the execution result. In addition, performance results can be numerically expressed and displayed as a score. If the result is below a certain score, it can be indicated that the current operation is dangerous.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사용하여 실제 탑승한 운전자가 다양한 상황이 제시되는 시나리오를 얼마나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지 파악할 수 있어 실제 탑승한 운전자의 운전 가능성을 판단해볼 수 있다.
Accordingly, by using the simulation system for judging the operation possi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grasp how accurately the driver who is actually on board can perform a scenario in which various situations are presented, so tha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operation possibility of the actual boarding drive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시뮬레이션 방법에 대해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시뮬레이션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A simulation method for determining the operation possi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is a flowchart showing a simulation method for determining the operation possi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시뮬레이션 방법은, 시뮬레이터 제어기에서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작동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제1단계; 그 시뮬레이터 시스템의 작동이 가능하면 헤드업 디스플레이에서 다수의 기 설정된 시뮬레이션 모드 중 선택된 시뮬레이션 모드를 표시하고, 시뮬레이터 제어기에서 차량 주행용 조작장치와 연계하여 해당 시뮬레이션 모드를 제어하는 제2단계; 및 선택된 시뮬레이션 모드가 종료되면 헤드업 디스플레이에서 해당 시뮬레이션 모드에 대한 수행 결과를 표시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simulation method for determining an operation possibi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determining whether an operation of a simulation system is enabled in a simulator controller; A second step of displaying a selected simulation mode amo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simulation modes in the head-up display when the simulator system is operable, and controlling the simulation mode in association with the vehicle running manipulator in the simulator controller; And a third step of displaying a result of the simulation mode in the head-up display when the selected simulation mode ends.

각각의 시뮬레이션 모드는 음성이나 버튼으로 시작 및 종료할 수 있으며, 시뮬레이션 모드 실행 도중에도 운전자가 강제 종료시킬 수 있다. 전체 동작 과정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시뮬레이션 방법에 익숙하지 않은 운전자를 위한 안내 문구를 헤드업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할 수 있고, 시뮬레이터 제어기가 차량 내 음향장비와 연계하여 안내 음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Each simulation mode can be started and ended with voice or button, and the driver can be forcibly terminated during execution of the simulation mode. In the entire operation process, a guidance message for the driver who is unfamiliar with the simul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splayed in the head-up display, and the simulator controller can provide guidance voice in connection with in-vehicle sound equipment.

가장 우선적으로 시뮬레이터 제어기는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작동 가능 여부를 판단하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시동이 걸려 있는지와, 기울기 센서로부터 수신받은 신호를 분석하여 차량이 경사진 도로에 있는지와, 핸드 브레이크가 걸려있는지 에 대해서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운전자의 안전상 또는 최적의 상태에서 시뮬레이션 시스템이 동작할 수 있도록 위와 같은 판단과정을 시뮬레이터 제어기에서 수행함이 바람직하다.First of all, the simulator controller judges whether the simulation system is operable. Specifically, it checks whether the engine is started or not and analyzes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tilt sensor to determine whether the vehicle is on a sloping road and whether a hand brake is applied It can be judged. In other words, it is preferable that the above-described judgment process is performed in the simulator controller so that the simulation system can operate in safety or optimum condition of the driver.

시뮬레이터 시스템의 작동이 가능하다고 판단이 내려지면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다수의 기 설정된 시뮬레이션 모드 중 선택된 시뮬레이션 모드를 표시하고, 시뮬레이터 제어기는 차량 주행용 조작장치와 연계하여 해당 시뮬레이션 모드를 제어한다. 이때, 다수의 기 설정된 시뮬레이션 모드로는 반응시간 테스트 모드, 차선 변경 모드 및 시나리오 수행 모드 등이 있을 수 있고,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여 보다 다양한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operation of the simulator system is possible, the head-up display displays the selected simulation mode amo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simulation modes, and the simulator controller controls the corresponding simulation mode in conjunction with the vehicle-running operation device. In this case,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simulation modes may include a reaction time test mode, a lane change mode, and a scenario execution mode, and may continuously update to provide more various modes.

구체적으로 반응시간 테스트 모드에서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차량 주행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마크를 표시한다. 그 표시된 마크를 본 운전자는 그에 대응되는 반응을 보이게 되는데 그 반응 시간을 시뮬레이터 제어기에서 분석하여 운전자의 현재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업 디스플레이가 유턴과 관련된 마크를 표시하면 운전자는 속도를 조절하면서 핸들을 조작하여 차량을 유턴시킨다. 이때, 시뮬레이터 제어기는 핸들 조작에 들어가는 반응 시간, 속도를 감소시키는 반응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운전자의 운전가능성을 알아낸다. 이렇게 분석된 운전가능성을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즉시 혹은 추후에 표시할 수 있는데, 표시된 마크에 대해 운전자와 평균적인 운전자가 반응한 시간을 동시에 표시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이후 복수 회의 마크 표시에 대한 운전자의 반응 시간을 바탕으로 분석된 반응시간 테스트 모드의 수행 결과를 다양한 형태로 표시하여 운전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Specifically, in the reaction time test mode, the head-up display displays one or more marks associated with vehicle driving. The driver who has seen the marked mark shows the corresponding response. The reaction time of the driver can be analyzed by the simulator controller to grasp the current state of the driver. For example, if the head-up display shows a mark related to the U-turn, the driver manipulates the steering wheel while controlling the speed to turn on the vehicle. At this time, the simulator controller comprehensively analyzes the response time of the steering wheel operation, the reaction to reduce the speed, etc., to find out the operation possibility of the driver. The head-up display can be displayed either immediately or at a later time. It is preferable to display the time at which the driver and the average driver react to the displayed mark at the same time. Thereafter, the results of the reaction time test mode analyzed based on the driver's reaction time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mark displays are displayed in various forms so that the driver can confirm the results.

차선 변경 모드는 우선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통해 운전자의 차량 위치, 상대 차량 위치 및 차선을 표시한다. 그 상태에서 방향 지시등에 대한 조작이 있으면 시뮬레이터 제어기는 차선 변경 시작을 인지하고, 핸들 및 액셀 패달 혹은 브레이크 패달에 어떠한 조작이 있는지 판단하면서 그 결과치를 반영해서 헤드업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한다. 즉, 시동이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핸들 조작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핸들이 초기 위치에 대해 기 설정된 각도 이상 회전하면 시뮬레이터 제어기에서는 운전자가 차선 변경을 수행하고 있다고 인지한다. 핸들의 회전 방향으로 운전자의 차량 위치가 점차적으로 이동하는데, 액셀 패달 혹은 브레이크 패달을 함께 조작하여 상대방 차량 위치와 운전자의 차량 위치 간 거리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방향 지시등이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면 시뮬레이터 제어기는 차선 변경 종료를 인지한다. 이후 차선 변경 모드의 수행 결과를 다양한 형태로 표시하여 운전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e lane change mode first displays the driver's vehicle position, opponent vehicle position, and lane through the head-up display. If there is an operation on the turn signal lamp in this state, the simulator controller recognizes the start of the lane change and judges whether there is any operation on the steering wheel, the accelerator pedal or the brake pedal, and displays the result on the head-up display. That is, when the steering wheel is not started, the handle operability may deteriorate. Therefore, when the steering wheel rotates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initial position, the simulator controller recognizes that the driver is performing the lane change. The position of the driver's vehicle gradually moves in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handle. By operating the accelerator pedal or the brake pedal together, the distance between the opponent's vehicle position and the driver's vehicle position can be appropriately maintained. When the turn signal lamp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the simulator controller recognizes the end of the lane change. Then, the result of the lane change mode is displayed in various forms so that the driver can check it.

시나리오 수행 모드는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시나리오에 따라 운전자가 목적지까지 완주해야 하는 모드이다. 주행하는 동안 시뮬레이터 제어기는 차선 이탈 횟수, 충돌 횟수, 완주시간, 법규 위반 횟수, 반응시간, 지시사항 불이행 횟수 등의 완주 능력을 분석한다. 이후 목적지까지 완주하게 되면 시나리오 수행 모드의 수행 결과를 다양한 형태로 표시하여 운전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The scenario execution mode is a mode in which the driver must finish to the destination according to the scenario displayed on the head-up display. During running, the simulator controller analyzes the ability to complete lane departure times, number of collisions, completion time, number of violations, response time, and number of instructions failures. After completion of the process to the destination, the execution result of the scenario execution mode is displayed in various forms so that the driver can check it.

이때 선택된 시뮬레이션 모드가 종료되면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조작장치의 현재위치를 표시함과 동시에 초기위치로 되돌리도록 유도하는 사인을 표시하여 차량의 이상 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selected simulation mode ends, the head-up display displays a sign indicat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operating device and returning to the initial position, thereby preventing an abnormal operation of the vehicle.

비록 본 발명이 실시예와 몇몇 도면에 의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certain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will be possible.

10 : 조작 장치
20 :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30 : 시뮬레이터 제어기
10: Operation device
20: Head-up display (HUD)
30: Simulator controller

Claims (16)

차량 주행용 조작장치;
운전자 주 시야 선상에 배치되어 다수의 기 설정된 시뮬레이션 모드 중 선택된 시뮬레이션 모드 및 해당 시뮬레이션 모드에 대한 수행 결과를 표시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 및
작동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조작장치와 연계하여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해당 시뮬레이션 모드를 제어하는 시뮬레이터 제어기;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선택된 시뮬레이션 모드가 종료되면 상기 조작장치의 현재위치를 표시함과 동시에 초기위치로 되돌리도록 유도하는 사인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
A vehicle running control device;
A head-up display disposed on a driver's main sight line for displaying a selected simulation mode amo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simulation modes and an execution result for the corresponding simulation mode; And
A simulator controller for determining whether to operate or not and controlling the corresponding simulation mode displayed in the head-up display in association with the operating device; And,
Wherein the head-up display displays a sign indicating a current position of the operating device when the selected simulation mode ends and returning the operating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터 제어기는 시동이 걸려 있는지와, 기울기 센서로부터 수신받은 신호를 분석하여 차량이 경사진 도로에 있는지와, 핸드 브레이크가 걸려있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
The simulator controll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mulator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on a sloping road and whether a hand brake is applied by analyzing signals received from the tilt sensor,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기 설정된 시뮬레이션 모드는 반응시간 테스트 모드, 차선 변경 모드 및 시나리오 수행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
The s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predetermined simulation modes include a reaction time test mode, a lane change mode, and a scenario execution mod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반응시간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차량 주행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마크를 표시하고, 상기 시뮬레이터 제어기는 표시된 마크에 대해 운전자가 반응한 시간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in the reaction time test mode, the head-up display displays one or more marks associated with vehicle travel, and the simulator controller analyzes the time the driver responded to the displayed mark. A simulation system to judg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반응시간 테스트 모드에서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표시된 마크에 대해 상기 운전자와 평균적인 운전자가 반응한 시간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
The simula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in the reaction time test mode, the head-up display indicates a time when the driver and the average driver reacted to the displayed mark.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차선 변경 모드에서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는 운전자의 차량 위치, 상대 차량 위치 및 차선을 표시하고, 상기 시뮬레이터 제어기는 방향 지시등에 대한 조작이 있으면 차선 변경 시작을 인지 및 상기 방향 지시등이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면 차선 변경 종료를 인지하며, 핸들이 초기 위치에 대해 기 설정된 각도 이상 회전하면 상기 핸들의 회전 방향으로 상기 운전자의 차량 위치가 점차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in the lane-changing mode, the head-up display displays the driver's vehicle position, the opponent vehicle position and the lane, and if there is an operation on the turn signal lamp, The driver's vehicle position is gradually shifted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steering wheel when the steering wheel rotates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initial position, system.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시나리오 수행 모드에서 상기 시뮬레이터 제어기는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시나리오에 따라 목적지까지 완주하는 동안 차선 이탈 횟수, 충돌 횟수, 완주시간, 법규 위반 횟수, 반응시간, 지시사항 불이행 횟수를 포함하는 완주 능력을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시뮬레이션 시스템.
4.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3, wherein in the scenario execution mode, the simulator controller calculates the number of lane departure times, the number of collision times, the running time, the number of violation of regulations, the reaction time, And analyzing the completeness capability including the simulation result.
삭제delete 시뮬레이터 제어기에서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작동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제1단계;
상기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작동이 가능하면 헤드업 디스플레이에서 다수의 기 설정된 시뮬레이션 모드 중 선택된 시뮬레이션 모드를 표시하고, 상기 시뮬레이터 제어기에서 차량 주행용 조작장치와 연계하여 해당 시뮬레이션 모드를 제어하는 제2단계; 및
선택된 시뮬레이션 모드가 종료되면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에서 해당 시뮬레이션 모드에 대한 수행 결과를 표시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3단계에서, 선택된 시뮬레이션 모드가 종료되면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에서 상기 조작장치의 현재위치를 표시함과 동시에 초기위치로 되돌리도록 유도하는 사인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시뮬레이션 방법.
A first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simulation system can be operated in the simulator controller;
A second step of displaying a selected simulation mode amo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simulation modes in the head-up display when the simulation system is operable, and controlling the simulation mode in association with the vehicle-running manipulation device in the simulator controller; And
Displaying a result of the simulation mode in the head-up display when the selected simulation mode is terminated; And,
Wherein the step of displaying the sign of inducing the user to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while displaying the current position of the operating device in the head-up display is completed when the selected simulation mode is terminated in the third step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시뮬레이터 제어기는 시동이 걸려 있는지와, 기울기 센서로부터 수신받은 신호를 분석하여 차량이 경사진 도로에 있는지와, 핸드 브레이크가 걸려있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시뮬레이션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in the first step
Wherein the simulator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is on a sloping road and whether a hand brake is applied by analyzing signals received from the tilt sensor and whether the vehicle is running.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
다수의 기 설정된 시뮬레이션 모드는 반응시간 테스트 모드, 차선 변경 모드 및 시나리오 수행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시뮬레이션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in the second step
Wherein the plurality of predetermined simulation modes include a reaction time test mode, a lane change mode, and a scenario execution mode.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반응시간 테스트 모드는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에서 차량 주행과 관련된 하나 이상의 마크를 표시하는 단계;
표시된 마크에 대해 운전자가 반응한 시간을 상기 시뮬레이터 제어기에서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시뮬레이션 방법.
[Claim 12] The method of claim 11,
Displaying one or more marks associated with vehicle travel in the head-up display;
And analyzing, by the simulator controller, the time that the driver responded to the marked mark.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반응시간 테스트 모드는
표시된 마크에 대해 상기 운전자와 평균적인 운전자가 반응한 시간을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시뮬레이션 방법.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reaction time test mode comprises:
Further comprising displaying on the head-up display a time when the driver and the average driver have reacted to the displayed mark. ≪ Desc / Clms Page number 21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차선 변경 모드는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에서 운전자의 차량 위치, 상대 차량 위치 및 차선을 표시하는 단계;
방향 지시등에 대한 조작이 있으면 상기 시뮬레이터 제어기에서 차선 변경 시작을 인지하는 단계;
핸들이 초기 위치에 대해 기 설정된 각도 이상 회전하면, 상기 핸들의 회전 방향으로 상기 운전자의 차량 위치가 점차적으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방향 지시등이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면 상기 시뮬레이터 제어기에서 차선 변경 종료를 인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시뮬레이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Displaying a driver's vehicle position, a relative vehicle position and a lane in the head-up display;
Recognizing the start of the lane change in the simulator controller if there is an operation on the turn signal lamp;
Gradually moving the vehicle position of the driver in a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handle when the handle rotates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relative to the initial position; And
And recognizing the end of the lane change in the simulator controller when the turn signal lamp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시나리오 수행 모드는
상기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시나리오에 따라 목적지까지 완주하는 동안 차선 이탈 횟수, 충돌 횟수, 완주시간, 법규 위반 횟수, 반응시간, 지시사항 불이행 횟수를 포함하는 완주 능력을 상기 시뮬레이터 제어기에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가능성을 판단하는 시뮬레이션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simulator controller analyzes the completion capability including the number of lane departure times, the number of collision times, the completion time, the number of violation times, the reaction time, and the instruction failure frequency during the completion of the process to the destination according to the scenario displayed on the head- A simulation method for judging the possibility of operation.
삭제delete
KR1020110118782A 2011-11-15 2011-11-15 Simulation system for determining the possibility of drive and simulation method thereof Expired - Fee Related KR1017950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782A KR101795059B1 (en) 2011-11-15 2011-11-15 Simulation system for determining the possibility of drive and simul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782A KR101795059B1 (en) 2011-11-15 2011-11-15 Simulation system for determining the possibility of drive and simulation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574A KR20130053574A (en) 2013-05-24
KR101795059B1 true KR101795059B1 (en) 2017-12-04

Family

ID=48662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8782A Expired - Fee Related KR101795059B1 (en) 2011-11-15 2011-11-15 Simulation system for determining the possibility of drive and simulation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505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404B1 (en) * 2013-07-18 2014-08-13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Driving simulator apparatus and driver rehabilitation using the same
KR101742536B1 (en) 2015-07-03 2017-06-15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Running performance test server, test system having the same, test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690280B1 (en) 2015-07-03 2017-01-09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Running performance test server, test system having the same, test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976375B1 (en) 2017-02-01 2019-06-13 주식회사 피엔아이컴퍼니 Virtual simulation device
KR102024693B1 (en) 2017-05-24 2019-11-26 주식회사 피엔아이컴퍼니 Virtual simulation device
KR102022723B1 (en) 2017-05-24 2019-10-11 주식회사 피엔아이컴퍼니 Virtual simulation device
EP3804826A1 (en) 2018-05-24 2021-04-14 P&I Company Virtual simulation device
CN109213126B (en) * 2018-09-17 2020-05-19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Automatic driving automobile test system and method
KR102301194B1 (en) * 2019-08-26 2021-09-13 진익수 Safety apparatus for starting engine of automotive vehicle
CN113268387A (en) * 2021-05-26 2021-08-17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Test platform for detecting intelligent driving HMI func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6533A (en) * 2008-09-11 2010-03-25 Mitsubishi Precision Co Ltd Automobile driving simulatio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6533A (en) * 2008-09-11 2010-03-25 Mitsubishi Precision Co Ltd Automobile driving simulatio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574A (en) 2013-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5059B1 (en) Simulation system for determining the possibility of drive and simulation method thereof
JP6412321B2 (en) Driver training system using warning display device with augmented reality image elements
CN104395946B (en) Method for automatically carrying out a driving maneuver
CN1967147B (en) Vehicular driving assist operation device and vehicle possessing same
JP4203857B2 (en) Safe driving support system
EP1787849B1 (en) Driving assist method and driving assist apparatus for vehicle
US20160304126A1 (en) Vehicle control device
CN108883724B (en) Driving assistance method, device, driving control device, vehicle, and recording medium
CN113767025A (en)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device
JP2014182820A5 (en)
CN108698596A (en) Drive switching device
CN104641406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tutorial message to a driver of a vehicle
JP2016141264A (en) Driving assistance device
KR20080075830A (en) Car Driving Controls
EP3002655B1 (en) Assistance control system for vehicle driving operation
JP7503237B2 (en) Vehicle Control Systems
JP4775131B2 (en) Vehicle driving assistance device
JP2008129718A (en) Driving assistance device
JP2017084112A (en) Information presentation system
JPWO2019186692A1 (en) Control method and control device for autonomous vehicles
JP3890599B2 (en)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program
JP4093144B2 (en) Vehicle display device
CN110383361B (en) Method and device for alerting a driver of a start at a light signal device
JP4442520B2 (en) Course estimation device for vehicle
JP2005107916A (en)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vehicle information providing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1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10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11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1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