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4518B1 - 폐차 잔재물 복합선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폐차 잔재물 복합선별 방법 - Google Patents
폐차 잔재물 복합선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폐차 잔재물 복합선별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94518B1 KR101794518B1 KR1020170025067A KR20170025067A KR101794518B1 KR 101794518 B1 KR101794518 B1 KR 101794518B1 KR 1020170025067 A KR1020170025067 A KR 1020170025067A KR 20170025067 A KR20170025067 A KR 20170025067A KR 101794518 B1 KR101794518 B1 KR 1017945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duct
- particles
- specific gravity
- particle size
- magnetic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7/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7/006—Charging without electricity supply, e.g. by tribo-electricity or pyroelectricit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따라서 철을 포함하는 금속, 비철금속 기타 플라스틱 등 다양한 물질이 혼재하는 폐차 잔재물을 일관공정을 통해 선별하여 재질별로 분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차 잔재물 복합선별 방법의 공정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차 잔재물 복합선별 방법의 공정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폐차 잔재물의 성분별 구성을 나타낸 그래프와 각 성분의 사진이다.
Global Wt. % |
Wt. % | Total Wt. % | ||
1차 자력 | 1 |
Ferrous- metal | 100.0 | 1.00 |
1차 비중 |
49 |
Wood | 3.6 | 1.76 |
Fluff | 48.6 | 23.81 | ||
Sponge | 26.5 | 12.99 | ||
Sand | 21.3 | 10.44 |
Global Wt. % | Wt. % |
Total Wt. % | |||
15.99 |
고비중 23.2 |
자성 13.5 |
Ferrous metal |
100.0 | 0.50 |
비철금속 45.2 |
Non-ferrous metal | 96.2 | 1.61 | ||
Plastic | 3.8 | 0.06 | |||
비금속 41.3 |
Metal | 1.2 | 0.02 | ||
Glass | 2.5 | 0.04 | |||
Rubber | 40.2 | 0.62 | |||
Plastic | 56.1 | 0.86 | |||
저비중 76.8 |
|
Plastic | 78.7 | 9.67 | |
Rubber | 20.2 | 2.48 | |||
Wood | 0.9 | 0.11 | |||
Metal | 0.2 | 0.02 |
Global Wt. % | Total Wt. % | ||||
26.01 |
고비중 13.5 |
자성 11.9 |
Ferrous- metal | 100.0 | 0.42 |
비철금속 35.2 |
Non-ferrous metal | 97.1 | 1.24 | ||
Plastic | 2.9 | 0.10 | |||
비금속 52.9 |
Metal | 12.4 | 0.23 | ||
Glass | 15.4 | 0.29 | |||
Rubber | 12.8 | 0.24 | |||
Plastic | 59.4 | 1.10 | |||
저비중 76.8 |
|
Plastic | 68.6 | 12.71 | |
Rubber | 26.7 | 4.95 | |||
Wood | 1.7 | 0.32 | |||
Metal | 0.8 | 0.15 | |||
Glass | 2.2 | 0.41 | |||
중비중 15.2 |
|
Plastic | 62.4 | 2.47 | |
Rubber | 10.6 | 0.42 | |||
Metal | 5.4 | 0.21 | |||
Glass | 21.6 | 0.85 |
Claims (20)
- 삭제
- 폐차 잔재물(Automobile shredder residue)을 도입하고 자력으로 자성 산물과 비자성산물을 분리하여 선별하는 제1자력선별부;
상기 제1자력선별부로부터 배출되는 비자성산물을 받아서 파쇄하고 파쇄물을 생성하여 배출하는 제1파쇄부;
상기 제1파쇄부로부터 파쇄물을 전달받아 고중량산물과 저중량산물로 분리하여, 저중량산물을 배출하는 풍력선별부;
상기 풍력선별부로부터 배출되는 고중량산물을 수용하여 파쇄하는 제2파쇄물을 형성하는 제2파쇄부;
상기 제2파쇄물을 받아서 소정 기준 이상의 입도를 가지는 입자와 소정 기준 이하의 입도 크기를 가지는 입자로 분리하는 스크린부;
상기 스크린부로부터 소정 기준 이하의 입도를 가지는 입자를 전달받아 정전유도하여 전도성 금속 미립자를 회수하는 정전유도선별부;
상기 스크린부로부터 소정 기준 이상의 입도를 가지는 입자를 전달받아 고비중 산물과 저비중 산물로 분리하는 복수개의 비중선별부;
상기 비중선별부로부터 저비중 산물을 전달받아 기타 플라스틱과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를 분리하여 상기 폴리비닐클로라이드를 배출하는 마찰하전선별부; 및
상기 비중선별부로부터 고비중 산물을 전달받아 비철금속을 회수하는 와류정전선별부를 포함하되,
상기 비중선별부는 복수개의 에어테이블이 구비되되, 상기 스크린부로부터 평균입도가 5 ~ 15mm인 입자를 전달받아 고비중 산물과 저비중 산물로 분리하는 제1비중선별부와, 상기 스크린부로부터 평균입도가 2 ~ 5 mm 인 입자를 전달받아 고비중 산물과 저비중 산물로 분리하는 제2비중선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잔재물 복합선별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자력선별부는
컨베이어벨트가 구비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에 자석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폐차 잔재물에서 자성산물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잔재물 복합선별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파쇄부는
직사각형 또는 반구형 해머가 구비된 해머크러셔가 배치되어, 상기 비자성산물을 파쇄 또는 해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잔재물 복합선별 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해머크러셔는
비자성산물을 평균 입도가 30mm 이하로 파쇄하여 정규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잔재물 복합선별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선별부는
송풍기를 구비하고, 복수개의 흡입판의 각도가 조절되는 몸체를 배치하며, 상기 송풍기의 풍력과, 흡입판의 각도를 조절하여 저중량산물을 회수하고 챔버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잔재물 복합선별 시스템.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중량산물은
폐차 잔재물 중 섬유 플러프(fluff) 또는 스펀지(spong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잔재물 복합선별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파쇄부는
고속전단파쇄기가 구비되어 500 내지 720 rpm으로 회전하여 상기 고중량산물을 파쇄하여 평균 입도 15mm 이하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잔재물 복합선별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는
진동 가능한 플레이트 구비하여, 평균 입도 2mm 이하인 산물과 평균 입도가 5~15mm인 산물 및 평균입도가 2 ~ 5mm 인 산물로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잔재물 복합선별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유도선별부는
상기 스크린부에서 소정 기준 이하의 입도를 가지는 입자를 전달받되, 상기 입자들의 대전 특성에 따라 이송경로를 변경할 수 있는 분리대를 구비하고, 카본을 함유하는 정전유도판을 배치하여 상기 입자를 하전시켜 전도성 금속 미립자를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잔재물 복합선별 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유도판은
하단에 진동 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정전유도판을 진동하여 입자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잔재물 복합선별 시스템.
- 삭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테이블은
상부에 테이블 데크가 구비되되,
2이상의 축을 구비하여 축의 각도 조절에 따라 상기 테이블 데크를 진동시켜 상기 고비중 산물과 저비중산물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잔재물 복합선별 시스템.
- 삭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하전선별부는
상기 비중선별부로부터 저비중 산물을 전달받아 상기 저비중 산물을 마찰 하전시켜 마이너스 전극에서 기타 플라스틱을 회수하고, 플러스 전극에서 폴리비닐클로라이드를 회수하여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잔재물 복합선별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정전선별부는
상기 비중선별부로부터 고비중 산물을 전달받아 이송하는 벨트와,
구동 풀리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영구자석로터를 구비하되,
상기 영구자석로터의 회전을 조절하여 상기 비중선별부로부터 전달받은 고비중 산물을 전도성 물질과 비전도성 물질을 분리하여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잔재물 복합선별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정전선별부는
상측에 자력선별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잔재물 복합선별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유도선별부는
일측에 자력선별기를 구비하여 상기 정전유도선별부로 소정 기준 이하의 입도를 가지는 입자를 전달받기 전에 자성산물을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잔재물 복합선별 시스템.
- 삭제
- 폐차 잔재물(Automobile shredder residue)을 준비하여 자력을 이용하여 자성산물과 비자성산물로 분리하는 단계(a단계);
상기 비자성산물을 파쇄하여 파쇄물을 형성하는 단계(b단계);
상기 파쇄물을 전달받아 풍력을 이용하여 고중량산물과 저중량산물을 분리하고 저중량산물을 배출하는 단계(c단계);
상기 고중량산물을 파쇄하여 제2파쇄물을 형성하는 단계(d단계);
상기 제2파쇄물을 소정 기준 이상의 입도를 가지는 입자와 소정 기준 이하의 입도를 가지는 입자로 선별하는 단계(e단계);
상기 소정 기준 이상의 입도를 가지는 입자를 전달받아 고비중 산물과 저비중 산물로 분리하는 단계(f단계);
상기 저비중 산물을 마찰시켜 입자들을 하전하여 기타 플라스틱과 폴리비닐클로라이드를 분리하고, 유해한 폴리비닐클로라이드를 회수하는 단계(g단계); 및
상기 고비중 산물을 와류정전선별기에 통과시켜 비철금속으로 분리 회수하는 단계(h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f단계에서 복수개의 에어테이블을 구비하는 비중선별부를 통하여, 상기 e단계에서 평균 입도가 5 ~ 15 mm 입자 및 2 ~ 5 mm 입자를 전달받아 고비중 산물과 저비중 산물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차 잔재물 복합선별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5067A KR101794518B1 (ko) | 2017-02-24 | 2017-02-24 | 폐차 잔재물 복합선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폐차 잔재물 복합선별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5067A KR101794518B1 (ko) | 2017-02-24 | 2017-02-24 | 폐차 잔재물 복합선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폐차 잔재물 복합선별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94518B1 true KR101794518B1 (ko) | 2017-12-04 |
Family
ID=60921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25067A Active KR101794518B1 (ko) | 2017-02-24 | 2017-02-24 | 폐차 잔재물 복합선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폐차 잔재물 복합선별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9451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21874B1 (ko) * | 2019-06-27 | 2020-06-12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트롬멜을 이용한 폐차잔재물 복합선별 시스템 및 복합선별 방법 |
WO2020191113A1 (en) * | 2019-03-18 | 2020-09-24 | Valerio Thomas A |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ing desired materials using a ball mill or rod mill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7579B1 (ko) * | 2006-05-08 | 2007-02-27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폐전선 피복으로부터 미립자 구리 제거를 위한 정전선별시스템 |
KR100974206B1 (ko) * | 2008-08-01 | 2010-08-05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
KR101665501B1 (ko) * | 2016-04-04 | 2016-10-13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폐차 잔재물 선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별방법 |
JP6023070B2 (ja) * | 2010-11-24 | 2016-11-09 | オーガニック エナジー コーポレーション | 固形廃棄物流における湿潤材料および乾燥材料の機械選別 |
-
2017
- 2017-02-24 KR KR1020170025067A patent/KR101794518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87579B1 (ko) * | 2006-05-08 | 2007-02-27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폐전선 피복으로부터 미립자 구리 제거를 위한 정전선별시스템 |
KR100974206B1 (ko) * | 2008-08-01 | 2010-08-05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마찰하전형 정전선별장치 |
JP6023070B2 (ja) * | 2010-11-24 | 2016-11-09 | オーガニック エナジー コーポレーション | 固形廃棄物流における湿潤材料および乾燥材料の機械選別 |
KR101665501B1 (ko) * | 2016-04-04 | 2016-10-13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폐차 잔재물 선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별방법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191113A1 (en) * | 2019-03-18 | 2020-09-24 | Valerio Thomas A |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ing desired materials using a ball mill or rod mill |
EP3941638A4 (en) * | 2019-03-18 | 2023-01-18 | Thomas A. Valerio | SYSTEM AND PROCESS FOR RECOVERING DESIRED MATERIALS USING A BALL MILL OR ROD MILL |
KR102121874B1 (ko) * | 2019-06-27 | 2020-06-12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트롬멜을 이용한 폐차잔재물 복합선별 시스템 및 복합선별 방법 |
WO2020262959A1 (ko) * | 2019-06-27 | 2020-12-30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트롬멜을 이용한 폐차잔재물 복합선별 시스템 및 복합선별 방법 |
CN114007766A (zh) * | 2019-06-27 | 2022-02-01 | 韩国地质资源研究院 | 利用滚筒筛的报废汽车残余物复合分选系统及复合分选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21874B1 (ko) | 트롬멜을 이용한 폐차잔재물 복합선별 시스템 및 복합선별 방법 | |
Cui et al. | Mechanical recycling of waste electric and electronic equipment: a review | |
US6422493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recyclable products | |
KR101305130B1 (ko) | 폐차 잔재물의 폴리우레탄 폼 및 섬유 선별 장치 | |
US20030213859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recyclable products | |
US8226019B2 (en) | Systems for isotropic quantization sorting of automobile shredder residue to enhance recovery of recyclable resources | |
JP2008013698A (ja) | 産業廃棄物シュレッダーダストを用いた固形燃料およびそれを製造する方法 | |
Menad | Physical separation processes in waste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recycling | |
JP2008232522A (ja) | シュレッダダストの処理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 |
Lahtela et al. | Mechanical Sorting Processing of Waste Material Before Composite Manufacturing-A Review. | |
JP2000135450A (ja) | 破砕装置及び選別処理装置及び破砕方法及び選別処理方法 | |
CN112808427B (zh) | 一种固体废料多级分类处理工艺 | |
AU2025201816A1 (en) | Method, Process, and System of Using a Mill to Separate Metals from Fibrous Feedstock | |
KR101665501B1 (ko) | 폐차 잔재물 선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별방법 | |
KR101794518B1 (ko) | 폐차 잔재물 복합선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폐차 잔재물 복합선별 방법 | |
JPH11244838A (ja) | シュレッダーダストの資源化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設備 | |
JP2003236837A (ja) | 廃自動車シュレッダーダストのリサイクル方法及び設備 | |
KR20170034209A (ko) | 폐차잔재 재활용 처리시스템 및 재활용 처리방법 | |
KR101976775B1 (ko) | 폐차잔재 재활용 처리장치 | |
JP2001046975A (ja) | 複合廃棄物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 |
CN114178034B (zh) | 一种报废汽车破碎残余物的分选方法 | |
JP2006289332A (ja) | 複合廃材破砕物の分離精製方法 | |
JP2019511361A (ja) | 骨材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 |
EA034606B1 (ru) |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деления композитных материалов и смесей, в частности смесей твердых веществ и шлаков | |
KR102554008B1 (ko) | 비철금속을 포함한 고철의 자동선별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2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7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1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