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94408B1 - 음식물 가공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가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4408B1
KR101794408B1 KR1020150102328A KR20150102328A KR101794408B1 KR 101794408 B1 KR101794408 B1 KR 101794408B1 KR 1020150102328 A KR1020150102328 A KR 1020150102328A KR 20150102328 A KR20150102328 A KR 20150102328A KR 101794408 B1 KR101794408 B1 KR 101794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cooking
food
unit
contai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2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0557A (ko
Inventor
김홍배
Original Assignee
김홍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배 filed Critical 김홍배
Priority to KR1020150102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408B1/ko
Priority to CN201811294583.8A priority patent/CN109222688B/zh
Priority to CN201610084913.5A priority patent/CN105877535B/zh
Priority to CN201620119672.9U priority patent/CN205612341U/zh
Priority to JP2017513021A priority patent/JP2018504940A/ja
Priority to US15/503,696 priority patent/US20170273508A1/en
Priority to PCT/KR2016/001468 priority patent/WO2016129968A1/ko
Priority to MYPI2017700492A priority patent/MY166956A/en
Priority to EP16749508.4A priority patent/EP3257412B1/en
Publication of KR20170010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0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40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23L11/07Soya beans, e.g. oil-extracted soya bean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는 히터의 가열에 의하여 증기를 발생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용기부에서 생성된 증기가 균일하게 확산되어 음식물에 공급되도록 상기 증기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증기전달부; 상기 증기전달부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증기전달부를 통해 확산된 증기를 공급받아 상기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는 용기부에서 음식물을 조리시 사용되는 증기를 이차적으로 이용하여 새로운 음식물을 조리하는 것 이외에 사용된 증기가 고르게 음식물에 전달될 수 있는 조리부를 형성하여 음식물 가공기의 효율 및 조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가공기{food processing machine}
본 발명은 음식물 가공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조리에 따라 발생하는 증기를 이용하여 새로운 음식물을 조리하는 음식물 가공기에 관한 것이다.
두부는,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저칼로리 고단백 식품으로 포만감이 커서 다이어트에 좋을 뿐만 아니라 두부에 함유된 레시틴 성분의 경우 위벽을 보호하여 위를 편안하게 해주며, 장을 편하고 하고 식이섬유 성분과 함께 올리고당 성분이 장운동 촉진 효능으로 변비예방에도 도움을 준다.
종래에 재래식으로 두유, 두부, 비지 등을 조리하는 경우에 여러 단계의 수작업으로 요리가 행해짐에 따라 불편함과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가정에서도 하나의 장치에서 쉽게 요리가 가능한 조리기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가정용 두유 두부 제조기와 같은 기기들은 두유, 두부, 비지 등을 조리하는 경우 여러 단계의 수작업으로 요리를 하던 것을 가정에서 하나의 장치에서 쉽게 요리가 가능하도록 이용되고 있다.
한편, 상술한 두부 등을 요리하기 위한 조리기는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38580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종래 장치에 의하면 조리용기에 음식 재료를 넣고 용기 하부 또는 내부에서 열을 가하고 용기 내부의 재료를 회전날에 의하여 갈면서 분쇄 및 조리가 행해진다.
그러나 종래 가공기에 의하면, 음식물을 가공할 때 생성되는 증기를 일회용으로 소비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회전날에 의한 분쇄의 조절이 한정되어 다양한 음식물을 제조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338580호
본 발명은 상기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진보된 조리기의 구성을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용기부를 통해 음식물이 조리시 발생하는 증기를 재생산하여 새로운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또한, 음식물을 분쇄하는 회전날에 새로운 장치를 추가하여, 다양한 음식물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는 히터의 가열에 의하여 증기를 발생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용기부에서 생성된 증기가 균일하게 확산되어 음식물에 공급되도록 상기 증기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증기전달부; 및 상기 증기전달부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증기전달부를 통해 확산된 증기를 공급받아 상기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기전달부는 상기 용기부 상부와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용기부에서 전달된 상기 증기를 1차적으로 확산하며, 상기 조리부는 상기 1차적으로 확산된 증기가 상기 조리하는 과정에서 2차적으로 확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기전달부의 하면의 중심부에는 상기 용기부의 상기 증기를 공급받도록 제 1홀을 구비하고, 상면의 중심부에는 상기 제 1홀보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제 2홀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부는 상기 증기전달부에서 공급된 증기가 상측으로 갈수록 넓게 확산시키는 제 1조리 확산부 및 상기 제 1조리 확산부 상측에 배치되어, 제 1조리 확산부에서 확산된 증기를 이용하여 제 1조리 확산부보다 적은 열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제 2조리 확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조리 확산부는 상기 증기전달부에서 전달된 증기가 균일하게 확산되도록 증기확산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증기확산공간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조리 확산부 하면에는 상기 제 1조리 확산부에서 전달된 증기가 상기 증기확산공간으로 균일하게 퍼지도록 복수개의 홀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개의 홀은 하면의 중심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더 많은 홀을 구비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 2조리 확산부는 상기 음식물이 안착되는 안착면을 구비하고, 상기 안착면은 상기 증기전달부에서 확산된 증기를 공급받을 수 있는 복수개의 홀을 구비하여 상기 음식물에 상기 증기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부는 상기 조리용기의 상부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공급된 증기가 상기 제 2조리 확산부 내부에 수용되도록 조리덮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부는 상기 용기부 형상에 대응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 중심부에는 상기 증기 전달부의 제 1홀과 맞닿아 증기를 전달할 수 있는 상측 주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부 내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용기부 내부에서 조리시 유체 이외의 물질을 걸러내도록 상기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소공이 형성된 거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음식물을 분쇄하는 회전날; 및 상기 회전날 상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회전날의 분쇄력을 제어하거나 소정의 크기로 분쇄된 상기 음식물을 유체 내에서 상승시키는 분쇄 조절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쇄조절기는 상기 회전날의 상부와 결합 가능한 원뿔 형상의 중심부 및 상기 중심부 양측에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소정의 크기로 분쇄된 음식물을 상승시키는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쇄조절기는 상기 회전날의 상부와 결합 가능한 원뿔 형상의 중심부, 상기 중심부 양측에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회전날의 칼날을 감싸도록 형성된 쉴드부 및 상기 음식물이 혼합되도록 저어주는 적어도 하나의 막대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는 용기부에서 음식물을 조리시 사용되는 증기를 이용하여 새로운 음식물을 조리하는 것 이외에 사용된 증기가 고르게 음식물에 전달될 수 있는 조리부를 형성하여 음식물 가공기의 효율 및 조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는 회전날의 서브 장치를 구성하여 음식물의 혼합력을 증가하고, 새로운 레시피에 따른 음식물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부가 결합된 음식물 가공기의 외관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부가 탈착된 음식물 가공기의 외관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착된 용기부의 하부면을 나타낸 사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부 상에 배치된 스티머의 외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티머를 구성하는 증기전달부 및 조리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기전달부 및 조리부를 상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부를 상면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부 내부에 배치가능한 거름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 조절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이하에서 개시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부가 결합된 음식물 가공기의 외관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부가 탈착된 음식물 가공기의 외관구조 및 용기부의 하부면을 나타낸 사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부 상에 배치된 스티머의 외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첨부한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가공기(10)는 용기부(100), 스테이지부(200), 동력부(300) 및 스티머(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용기부(100)는 음식물이 수용되며, 용기부(100) 내부 또는 스테이지부(200) 내부에는 음식물에 열을 가하기 위한 히터(180)가 장착될 수 있다. 히터(180)는 용기부(100) 내 하부 또는 스테이지부(200) 내측에 용기부(100) 하부면과 대응되는 원형 또는 링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히터의 형상은 이에 한정된 것을 아니며, 그 외 음식물에 열을 발생할 수 있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막대 등 다양한 형태로 설계될 수 있으며, 용기부(100) 또는 스테이지부(200) 내부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용기부(100)는 조리시 열기에 의해 데워진 음식물이 쉽게 식지 않고 위생상의 안전을 위하여 스테인레스 등의 부식내구성 및 내열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진 코팅층을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팅층을 포함한 용기부(100)는 내부에서 음식물을 조리시, 내부의 열이 밖으로 손실되는 것을 차단하여 빠른 조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조리가 완성된 후에도 오랜 기간 동안 보온을 유지하여 따뜻한 음식물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2중 구조로 구성되어 보온 효과를 향상 시킬 수 있다.
용기부(100) 내부 안쪽 벽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분쇄돌기(미도시)를 구성하여 조리시 회전날(110)에 따른 음식물의 분쇄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분쇄돌기의 위치 및 수는 다양하게 배치가 가능하며, 분쇄력이 상승하여 기존의 조리기의 경우보다 빠른 음식물의 완성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분쇄돌기는 음식물의 회전 경로 상에 돌출되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된 분쇄돌기는 음식물과 충돌하여 와류를 형성하거나 회전날(110)에 의하여 분쇄되지 못한 음식물이 다시 분쇄되도록 하여 전체 음식물의 분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용기부(100)는 상부가 일정부분 개방된 원기둥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부 개구면을 막을 수 있는 덮개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덮개부(120)는 용기부(100)의 상부 형상에 대응되게 구성되며 용기부(100)의 음식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용기부(100)는 상기 덮개부(120)가 용기부와 결합시 분리되지 않고 음식물이 새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는 덮개 걸쇠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덮개 걸쇠부(130)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로 슬라이드 형식으로 스위칭되는 락/언락 모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외에도 덮개부(120)를 용기부(100)에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용기부(100)는 상측에 배치되며, 조리 재료를 용기부(100) 안으로 넣을 수 있은 상측 주입구(19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측 주입구(190)의 개구면을 막을 수 있는 마개(191)를 구비할 수 있다. 마개(191)는 용기부(100)에 담긴 음식물이 분쇄되는 도중에 나오지 못하도록 하거나 음식물의 양을 측정하는 계량컵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120) 및 마개(191)는 회전에 의하여 용기부(100)의 개구면에 대한 잠금/풀림을 조절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티머의 구성을 구성하는 증기전달부 및 조리부의 결합관계 및 분리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스티머(500)는 용기부(100) 상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용기부(100)에서 발생된 증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스티머(500)는 용기부(100)과 접하는 증기전달부(510) 및 조리부(530)로 구성될 수 있다.
증기전달부(510)는 용기부(100)로부터 전달된 증기를 균일하게 확산하여 음식물에 전달할 수 있는 확산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증기전달부(510)는 상기 덮개부(120) 상측에 형성된 상측 주입구(190)와 맞닿아 배치될 수 있다. 증기전달부(510)의 하면은 상측 주입구(19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된 제 1홀(512)을 배치하고, 증기전달부(510)의 상면은 조리부(530)가 안착할 수 있도록 제 1홀(512)보다 크기가 큰 제 2홀(513)을 배치할 수 있다. 즉, 증기전달부(510)는 상면과 하면의 크기가 다른 홀을 구성한 링 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상측 주입구(190)는 용기부(100)에서 발생한 증기가 외부로 이동하는 통로를 형성하기 때문에, 용기부(100)의 증기는 상기 상측 주입구(190)와 결합한 제 1홀(512)을 통과하여 증기전달부(51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증기전달부(510)의 하면의 제 1홀(512)은 상측 주입구(190)와 고정 결합되도록, 제 1홀(512)의 가장자리면에 소정의 단턱을 형성하여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다. 증기전달부(510)의 제 1홀(512)을 통과하여 증기전달부(510) 내부로 이동한 증기는 제 1홀(512)의 크기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의 확산공간으로 이동함에 따라 일차적인 확산이 일어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증기의 이동을 설명하면, 용기부(100)에서 발생된 증기는 상측 주입구(190) 및 제 1홀(512)를 지나 증기전달부(510)로 전달된다. 이때, 상측 주입구(190) 및 제 1홀(512)의 크기를 용기부(100)의 내부 통로보다 작게 설계하는데, 이유는 용기부(100)에서 발생한 증기가 넓은 통로에서 좁은 통로를 지나면서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를 가지게 되고 이는 음식물에 강한 열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후, 증기전달부(510) 및 제 1조리 확산부(531)를 거쳐 음식물의 고른 면적으로 열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증기전달부(510)는 제 1홀(512) 외측으로 링 형상의 홈(511)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홈(511)은 소정의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제 1조리 확산부(531) 및 제 2조리 확산부(533)에서 음식물 조리시 생성된 물이나 추출물을 수용할 수 있다. 즉, 음식물 조리시 생성되는 다양한 추출물이 흘러내려 용기부(100)로 다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증기전달부(510)의 상측에는 제 1조리 확산부(531)를 배치할 수 있다.
제 1조리 확산부(531)는 증기전달부(510)를 통하여 일차적으로 확산된 증기를 이차적으로 확산시키는 기능을 할 있고, 음식물을 배치하여 확산된 증기를 이용하여 음식물 조리가 가능하다. 제 1조리 확산부(531)의 하면은 증기전달부(510)의 상면과 대응되는 원형의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 1조리 확산부(531)는 하면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1조리 확산부(531)의 하면은 증기전달부(510)에서 전달된 증기가 제 1조리 확산부(531)의 내부 증기확산공간(532)으로 균일하게 퍼지도록 복수개의 홀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개의 홀은 제 1조리 확산부(531)의 하면에 배치된 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으며, 조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조리 확산부(531)의 하면의 복수개의 홀은 원의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증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가장자리면이 중심부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에 증기를 확산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좁은 홀을 통과함에 따라 증기의 이동 속도는 증가하면서, 복수개의 홀을 구비하여 넓은 공간으로 증기의 확산이 가능하다.
제 1조리 확산부(531)에서 이차적으로 확산된 증기는 조리부(530)의 제 2조리 확산부(533)로 전달된다.
도 4 및 7을 참조하면, 조리부(530)는 음식물이 안착되는 제 1조리 확산부(531), 제 2조리 확산부(533)와 조리덮개부(536)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조리 확산부(533)는 증기전달부(510)를 통해 전달받은 증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이미 제 1조리 확산부(531)를 통과한 증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제 1조리 확산부(531)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열을 이용하는 음식물 조리에 용이하다. 제 2조리 확산부(533)는 음식물이 안착하는 안착면(535)을 배치하고, 상기 안착면(535)은 제 1조리 확산부(531)의 개구된 상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제 1조리 확산부(531)에서 전달된 증기가 이동할 수 있는 복수개의 홀을 배치할 수 있다.
제 2조리 확산부(533)는 상기 제 1조리 확산부(531)로부터 전달된 확산 증기가 수용되도록 내부에 증기수용공간(535)이 형성되며 증기수용공간(535) 외측에는 음식물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는 외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2조리 확산부(533) 상측에는 제 2조리 확산부(533) 상면의 개구면을 차단하여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조절하는 조리덮개부(536)를 배치할 수 있다. 조리덮개부(536)는 조리부(530) 상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을 배치하여 공급되는 증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조리덮개부(536)는 조리가 완성된 음식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제 2조리 확산부(533)와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티머(500)의 구성에 의하여 용기부(100)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동시에 용기부(100)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이용하여 또 다른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조리되는 음식물에 증기가 빠른 속도로 고르게 공급되도록 하기 위하여 증기가 이동하는 통로의 크기를 조절하여 형성하였고, 적어도 2번의 확산과정을 거침에 따라 음식물 전체에 원하는 열을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부 내부에 배치가능한 거름부(4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8을 참조하면, 용기부(100) 내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용기부 내부에서 조리시 유체 이외의 물질을 걸러내도록 상기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개의 소공이 형성된 거름부(400)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거름부(400)는 조리시 공간별로 음식물을 분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거름부(400)는 스테인리스 등의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부면 및 측면에서 복수개의 소공을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면은 개구된 상태에서 용기부(100) 내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가장자리에 단턱을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소공은 긴 타원형의 홀로 구성되어 있으나, 그 외의 다양한 형상의 홀로 설계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 조절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용기부(100)는 용기부(100) 내 하측에 배치되고, 동력부(300)를 통하여 전달된 동력에 의하여 용기부(100) 내에 수용된 음식물을 분쇄하는 회전날(110)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날(110)은 동력부(300)로부터 직접적으로 동력을 전달받아야 하기 때문에 용기부(100)의 내주면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날(100)의 날의 개수는 복수개로 구성하거나 날의 각도를 바깥쪽이 안쪽에 비하여 높도록 기울기를 형성하여 회전에 의한 분쇄효과를 더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기 회전날(110) 또는 회전날(110) 상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음식물 조리시 회전날(110)의 음식물의 분쇄력을 제어할 수 있는 분쇄 조절기(600)를 구비할 수 있다.
분쇄 조절기(600)는 음식물 조리 방식에 따라 선택하고, 회전날(110)과 결합할 수 있는 제 1분쇄 조절기(610) 또는 제 2분쇄 조절기(62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제 1분쇄 조절기(610)는 회전날(11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며, 제 1분쇄 조절기(610)가 회전날(110)에 결합시, 회전날(110)에 의해 분쇄된 음식물을 저어줄 수 있는 기능 및 소정의 크기로 분쇄된 건더기를 용기부(100) 상측으로 상승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 1분쇄 조절기(610)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 1중심부(611)는 회전날(110)의 상부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부가 뚫린 원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 1분쇄 조절기(610) 제 1중심부(611)의 양측에는 대칭형의 날개부(613)를 구비할 수 있다. 날개부(613)는 음식물이 혼합되되, 음식물의 순환을 최대한 방해하지 않도록 가는 뼈대를 이루는 프레임 형상이며, 날개부(613) 끝단에는 복수개의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돌기(615)는 다양한 각도를 설정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날개부(613) 및 돌기(615)는 회전날(110)의 회전에 의하여 같이 회전하면서 음식물의 혼합을 상승시키고 소정의 크기로 분쇄된 음식물 건더기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크기로 분쇄된 음식물은 더 이상 분쇄되지 않은 상태로 전체 음식물의 상승부에 부유하게 될 수 있다.
다만, 제 1분쇄 조절기(610)의 날개부(613)의 형상 및 돌기(615)의 구성은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완전히 분쇄되어 액체상의 음식물을 먹고 싶은 경우가 있는 반면에, 소정의 양의 건더기가 섞인 음식물을 먹고 싶은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본 제 1분쇄 조절기(610)는 후자를 원할 경우에 사용되며, 소비자의 다양한 취향에 맞게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제 2분쇄 조절기(620)는 회전날(110)에 탈착 가능하며, 제 2분쇄 조절기가 회전날(110)에 결합시, 회전날(110)에 의한 분쇄를 억제하고 음식물을 골고루 혼합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 2분쇄 조절기(620)의 제 2중심부(621)는 회전날(110)의 상부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부가 뚫린 원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 2분쇄 조절기(620)의 제 2중심부(621)의 양측에는 대칭형의 쉴드부(623)가 형성되어 회전날(110)의 칼날을 덮어 직접적으로 음식물에 접촉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쉴드부(623)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막대(625)를 배치하여, 음식물의 혼합을 위하여 음식물을 저어줄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날(110)의 회전하면, 제 2분쇄 조절기(620)의 쉴드부(623)가 칼날의 분쇄력을 억제하고 음식물의 혼합력의 효과만의 누릴 수 있다.
다만, 제 2분쇄 조절기(620)의 쉴드부(623) 및 막대(625)의 구성은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일정한 쉐이크 가루와 액체를 혼합하여 먹고 싶은 경우가 있는데, 상기 음식물 조리기를 이용하여 소비자의 취향에 맞게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쉴드부(623)는 상기 회전날(110)과 결합시, 용기부(100) 바닥면까지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분쇄 조절기(620)가 회전할 때, 쉴드부(623)는 같이 회전이 일어나며, 히터(180)에 의하여 음식물이 용기부(100) 바닥면에 눌러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기존 발명의 경우 히터와 가까운 용기부의 바닥면의 음식물이 고온에 의하여 눌러붙는 현상이 있어서 조리자에게 불편함이 있었지만, 본 발명은 상기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시 도 1 내지 3을 참고하면, 용기부(100) 외면 하부에는 동력부(300)에서 제공된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회전부재(15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재(150)는 회전날(110)과 연결되어 있으며, 동력부(300)의 동력이 스테이지부(200)를 거쳐 용기부(100) 내의 회전날(100)에 전달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용기부(100)가 스테이지부(200)에 안착시, 스테이지부(200)의 커플러(230)와 용기부(100)의 회전부재(150)는 서로 회전이 가능한 암수 결합이 이루어지고 스테이지부(200)의 커플러(230)에 전달된 동력이 용기부(100)의 회전부재(150)에 전달될 수 있다.
회전부재(150)는 암수 결합에 따른 커플러(230)와 결합이 이루어질 때, 흔들림이나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어도 하나의 돌출된 모서리가 포함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돌출 모서리를 포함된 형상은 별모양으로 이루어지도록 나타나 있으나, 단단한 결속을 이룰 수 있는 모서리가 돌출되도록 형성된 삼각 및 사각의 형상 등의 다양한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
용기부(100) 하부에 배치된 회전부재(150)는 슬라이드 회전에 의하여 락/언락 모드로 스위치가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회전부재(150)가 상기 슬라이드 회전에 의하여 언락 모드로 배치되며, 용기부(100) 내부에 배치된 회전날(110)의 분리가 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음식물 조리 전이나 후, 청결한 회전날(110)을 유지하고 요리시 회전날(110)의 구동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세척이 가능하다.
또한, 커플러(230)의 구조를 회전부재(150)가 락 모드에서만 결합할 수 있도록 배치하여, 조리시 회전날(110)이 빠지지 않고 안전하게 구동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스테이지부(200)는 용기부(100)와 결합시 움직임을 방지하고 소음을 감소할 수 있도록 용기부(100)의 하면의 일정 부분이 삽입 가능한 하부 안착홈(210)을 구비할 수 있다. 즉, 하부 안착홈(210)은 용기부(100)의 하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배치되어, 용기부(100) 안의 음식물이 조리되는 과정에서 진동으로 발생하는 용기부(100)의 움직임이 최소화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부 안착홈(210)은 용기부(100)의 하단부를 커버할 수 있는 원형 또는 사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하부 안착홈(210) 내측으로 안착된 용기부(100)를 보다 흔들림없이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용기부(100)와 접촉하는 하부 안착홈(210)의 하면에는 용기부(100)의 각종 부재들과 암수 결합할 수 있는 홀 또는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용기부(100) 하부와 접촉하는 하부 안착홈(210)의 측면에는 소정의 단턱이 형성된 단턱홈(24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안착홈(210) 중심부에는 용기부(100)의 회전부재(150)와 결합하여 회전하는 커플러(230)가 구비될 수 있다.
커플러(230)의 회전부재(150)와 암수 결합을 하여 용기부(100)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회전날(110)이 구동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한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커플러(230)는 회전부재(150)의 락 모드에서만 결합이 가능하고 언락 모드에서는 결합이 불가능하도록 하여, 세척이 완료된 회전날(110)이 용기부(100)와 확실하게 결합된 상태에서만 회전부재(150)가 삽입하도록 소정의 형상으로 배치되어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커플러(230)는 회전부재(150)의 형상에 맞도록 대응 설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처럼 복수개의 돌출 모서리가 포함된 형상의 회전부재(150)의 경우, 이에 대응되는 동일한 형상으로 설계되어 암수 결합할 수 있다. 커플러(230)의 외면은 실리콘 및 고무 등의 절연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단턱홈(240)은 용기부(100) 하부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단턱면(170)이 삽입되어 고정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부 안착홈(210)의 가장자리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단턱홈(240)은 용기부(100)가 조리시 진동 및 소음을 일으키지 않도록 용기부(100)가 스테이지부(200)에 안착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단턱홈(240)은 단턱면(170)의 수와 배치에 따라 대응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단턱홈(240) 및 단턱면(170)은 안정적인 가공기의 조리를 위하여 복수개로 형성하고 용기부(100)의 중심에 대하여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테이지부(200) 내부 안쪽 면에는 용기부(100)에서 흘러넘친 액상의 음식물, 조리시 생성되는 물이나 누수된 물이 스테이지부(200) 안쪽의 히터(180) 및 내부 기기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상기 액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배수구(2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구(260)은 스테이지부(200) 바닥면에서 외부로 통하는 관로를 포함하며, 상기 관로는 배수구(260)로 들어온 물 등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지부(200)는 용기부(100)가 안착되는 중심부가 가장자리보다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스테이지부(200)는 회전부재(150)가 배치된 중심부에서 배수구(260)이 배치된 가장자리쪽으로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울기를 통해, 회전부재(150)와 연결된 전자부에 물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액상의 음식물이나 물이 배수구(260)를 통해 외부로 잘 빠져나갈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동력부(300)는 상기 스테이지부(200)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조리에 필요한 동력을 생성하고 용기부(100)가 안착시 용기부(100)의 외면을 안착할 수 있는 외면 안착홈(310)을 구비할 수 있다.
동력부(300)는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350), 각 동력에 따른 조리 조절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전장부(340) 및 상기 구동모터(350)로 생성된 열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환풍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350)는 동력부(300) 내 하측에 설치되며, 각종 전장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구동모터(350)는 상기 전장부(340)의 제어에 따라 구동모터(350)와 연결된 회전날(110)를 연속 또는 간헐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함으로서, 용기부(100) 내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또한, 전장부(340)는 음식물에 열을 가하는 히터(180)를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동모터(350)의 외측에 배치된 모터속도 감지센서(미도시)는 구동모터(350)가 회전하는 속도 등을 센싱할 수 있으며, 센싱 여부를 전장부(340)에 전달할 수 있다. 센싱된 속도 등을 전달받은 전장부(340)는 회전날(110)의 과속 또는 감속여부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동력이 전달되는 회전날(110)의 회전 속도가 제어되며 사용자가 원하는 적절 수준의 조리가 완성될 수 있다.
동력부(300)의 외면 안착홈(310)은 용기부(100)가 스테이지부(200)에 안착시, 용기부(100)의 외측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며, 스테이지부(200)의 하부 안착홈과 더불어 용기부(100)의 흔들림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부(100)의 하단과 외면이 동시에 지지되어 종래 기술과 다르게 용기부(100)의 흔들림을 이중으로 억제하여 진동 및 소음발생 방지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동력부(300) 상측에는 덮개부(120)를 고정할 수 있는 상측 걸쇠부(320)가 배치될 수 있다. 상측 걸쇠부(320)는 락/언락 모드로 스위칭될 수 있는 구조이며, 용기부(100)를 커버하는 덮개부(120)를 움직이지 못하게 하여 조리시 발생하는 진동을 추가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보조 역할을 한다.
또한, 상측 걸쇠부(320)는 용기부(100)와 덮개부(120)가 조리 중에 어긋나서 벌어지거나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동력부(300) 하부에는 지면에 부착되어 음식물 가공기(10) 전체의 떨림을 억제할 수 있는 접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접합부는 복수개로 구성되며, 조리시 발생하는 용기부(100)의 진동 및 소음 이외에도 동력부(300)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들이 변경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음식물 가공기 : 10 용기부 : 100
스테이지부 : 200 동력부 : 300
스티머 : 500 거름부 : 400
회전날 : 110 히터 : 180
상측 주입구 : 190 마개 : 191
증기전달부 : 510 조리부 : 530
제 1홀 : 512 제 2홀 : 513
홈 : 511
제 1조리 확산부 : 531 증기확산공간 : 532
제 2조리 확산부 : 533 안착면 : 534
증기수용공간 : 535 조리덮개부 : 536
분쇄 조절기 : 600
제 1분쇄 조절기 : 610 제 1중심부 : 611
날개부 : 613 돌기 : 615
제 2분좨 조절기 : 620 제 2중심부 : 621
쉴드부 : 623 막대 : 625

Claims (14)

  1. 제 1 음식물을 수용하고, 히터의 가열에 의하여 증기를 발생하는 용기부;
    상기 용기부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용기부에서 생성된 증기가 균일하게 확산되어 제 2 음식물에 공급되도록 상기 증기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증기전달부; 및
    상기 증기전달부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증기전달부를 통해 확산된 증기를 공급받아 상기 제 2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증기전달부는 상기 용기부 상부와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용기부에서 전달된 상기 증기를 1차적으로 확산하며, 상기 조리부는 상기 1차적으로 확산된 증기가 상기 조리하는 과정에서 2차적으로 확산하고,
    상기 증기전달부의 하면의 중심부에는 상기 용기부의 상기 증기를 공급받도록 제 1홀을 구비하고, 상면의 중심부에는 상기 제 1홀보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제 2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 1홀은 상기 용기부의 내부 통로보다 작게 설계되어 상기 용기부의 증기가 상기 증기전달부로 이동하는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부는 상기 증기전달부에서 공급된 증기가 상측으로 갈수록 넓게 확산시키는 제 1조리 확산부 및
    상기 제 1조리 확산부 상측에 배치되어, 제 1조리 확산부에서 확산된 증기를 이용하여 제 1조리 확산부보다 적은 열을 사용하여 제 2 음식물을 조리하는 제 2조리 확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조리 확산부는 상기 증기전달부에서 전달된 증기가 균일하게 확산되는 공간인 증기확산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증기확산공간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조리 확산부 하면에는 상기 제 1조리 확산부에서 전달된 증기가 상기 증기확산공간으로 균일하게 퍼지도록 복수개의 홀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개의 홀은 하면의 중심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더 많은 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조리 확산부는 상기 제 2 음식물이 안착되는 안착면을 구비하고, 상기 안착면은 상기 증기전달부에서 확산된 증기를 공급받을 수 있는 복수개의 홀을 구비하여 상기 제 2 음식물에 상기 증기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부는
    상기 제 2조리 확산부의 상부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공급된 증기가 상기 제 2조리 확산부 내부에 수용되도록 조리덮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상기 용기부 형상에 대응하는 덮개부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 중심부에는 상기 증기 전달부의 제 1홀과 맞닿아 증기를 전달할 수 있는 상측 주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 내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용기부 내부에서 조리시 유체 이외의 물질을 걸러내도록 상기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소공이 형성된 거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음식물을 분쇄하는 회전날; 및
    상기 회전날 상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회전날의 분쇄력을 제어하거나 소정의 크기로 분쇄된 상기 제 1 음식물을 유체 내에서 상승시키는 분쇄 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음식물 가공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조절기는 상기 회전날의 상부와 결합 가능한 원뿔 형상의 중심부 및 상기 중심부 양측에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소정의 크기로 분쇄된 제 1 음식물을 상승시키는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날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조절기는 상기 회전날의 상부와 결합 가능한 원뿔 형상의 중심부, 상기 중심부 양측에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회전날의 칼날을 감싸도록 형성된 쉴드부 및 상기 제 1 음식물이 혼합되도록 저어주는 적어도 하나의 막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부는 상기 회전날과 결합시 상기 용기부 내부의 하단까지 배치되며, 상기 쉴드부가 회전날의 회전에 따라 회전시 조리중 상기 제 1 음식물이 바닥에 눌러붙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가공기.
KR1020150102328A 2015-02-13 2015-07-20 음식물 가공기 Active KR101794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328A KR101794408B1 (ko) 2015-07-20 2015-07-20 음식물 가공기
CN201610084913.5A CN105877535B (zh) 2015-02-13 2016-02-14 食品加工烹饪设备
CN201620119672.9U CN205612341U (zh) 2015-02-13 2016-02-14 食品加工烹饪设备
CN201811294583.8A CN109222688B (zh) 2015-02-13 2016-02-14 食品加工烹饪设备
JP2017513021A JP2018504940A (ja) 2015-02-13 2016-02-15 食品加工調理機器
US15/503,696 US20170273508A1 (en) 2015-02-13 2016-02-15 Food processing and cooking apparatus
PCT/KR2016/001468 WO2016129968A1 (ko) 2015-02-13 2016-02-15 식품 가공 조리기기
MYPI2017700492A MY166956A (en) 2015-02-13 2016-02-15 Food processing and cooking machine
EP16749508.4A EP3257412B1 (en) 2015-02-13 2016-02-15 Food processing and cook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328A KR101794408B1 (ko) 2015-07-20 2015-07-20 음식물 가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0557A KR20170010557A (ko) 2017-02-01
KR101794408B1 true KR101794408B1 (ko) 2017-11-06

Family

ID=58109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2328A Active KR101794408B1 (ko) 2015-02-13 2015-07-20 음식물 가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4408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580Y1 (ko) 2003-10-20 2004-01-16 김홍배 가정용 두부 제조기의 증기 유입방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0557A (ko) 2017-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144102B (zh) 可变温搅拌机
EP3257412B1 (en) Food processing and cooking machine
JP7203023B2 (ja) 食品プロセッサの熱管理
US8438971B1 (en) Stand mixer and heating means combination apparatus
US10413109B2 (en) Food preparation appliance for steam cooking and food processing
US9968222B2 (en) Fluid communication of a blender system
CN202168741U (zh) 冷热两用果汁机
KR101269913B1 (ko) 액상 식품으로부터 거품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
CN1964653B (zh) 气流烹调器具
EP2273904B1 (en) Apparatus for preparing food
JP2018502633A (ja) 食品を蒸し及び混合するための装置
KR20170028280A (ko) 자동조리장치의 자동조리방법 및 그 과열방지방법
RU250687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аровой обработки и смешивани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US20180153335A1 (en) Beverage preparation apparatus
KR101794408B1 (ko) 음식물 가공기
KR101874157B1 (ko) 음식물 가공기
KR101613206B1 (ko) 음식물 가공기
GB2498965A (en) Milk frother comprising vessel with a spout for pouring liquid milk and a spout for pouring frothed milk
KR101583799B1 (ko) 음식물 가공기
KR102276757B1 (ko) 음식물 가공기
CN102415817B (zh) 冷热两用果汁机
CN113940559A (zh) 烘烤装置、食品加工机以及食物制作方法
KR20180030002A (ko) 음식물 가공기
CN209610916U (zh) 料理机用杯盖组件及包括该杯盖组件的料理机
CN113940568B (zh) 食品加工机、食物制作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2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9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0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0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