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89747B1 - 솔잎 소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솔잎 소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9747B1
KR101789747B1 KR1020150170548A KR20150170548A KR101789747B1 KR 101789747 B1 KR101789747 B1 KR 101789747B1 KR 1020150170548 A KR1020150170548 A KR 1020150170548A KR 20150170548 A KR20150170548 A KR 20150170548A KR 101789747 B1 KR101789747 B1 KR 101789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pine
pine needle
water
leaf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0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4729A (ko
Inventor
주진온
Original Assignee
주진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온 filed Critical 주진온
Priority to KR1020150170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9747B1/ko
Publication of KR20170064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47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74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40Colouring or decolouring of fo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솔잎 소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솔잎을 세척하는 단계와, 상기 세척된 솔잎에 물을 투입하고 100~200℃의 온도 및 2~16kgf/㎠의 압력에서 유용성분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와, 상기 여과된 여과물에 소금을 용해하는 단계와, 상기 소금이 용해된 여과물을 재여과하는 단계와, 상기 재여과된 여과물이 100~200℃가 되도록 가열하여 수분을 1차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수분이 1차 제거된 솔잎 소금에 40~60℃의 간접열을 가하여 수분을 2차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수분이 2차 제거된 솔잎 소금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솔잎의 유용성분을 다량 함유하여 섭취자의 건강유지에 도움을 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솔잎 특유의 향 및 색상으로 인해 식품의 고급화를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소금을 다양화 및 차별화하여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솔잎 소금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Salt using pine needles}
본 발명은 솔잎 소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솔잎의 기능성 성분이 포함되고, 솔잎 고유의 색상과 향을 나타낼 수 있는 솔잎 소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금은 인체에서 체액의 삼투압을 조정하고 산염기 평행에 관여하여 신경자극 전달 물질일 뿐만이 아니라 소화액을 구성하는 중요성분이며, 식품의 맛을 내는 조미료이다.
이러한 소금은 일반적으로 해수로 만들어지는데, 해수에는 여러 가지의 인체에 유익한 성분인 칼륨, 칼슘, 마그네슘, 아연, 철, 인, 나트륨, 망간 등의 미네랄성분이 있는 반면에, 인체에 유해한 성분인 염화마그네슘, 염산, 황산 등도 함유하고 있다. 즉, 일반적인 천일염에는 미네랄과 함께 각종 유해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따라서, 천일염으로부터 유해성분을 제거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한편, 근래에는 소금에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함유시켜 소금 고유의 용도 외에 건강에 도움이되는 기능성 소금이 출시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21539호에는 버섯을 분쇄하고, 이 혼합물을 소금에 혼합하여 건조함으로써, 기능성 버섯 소금의 제조방법을 제안하였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39508호에서는 소금에 목초액을 분무하여 목초액이 소금알갱이에 침투하도록 함으로써, 기능성의 소금의 제조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35777호에서는 차류, 한약재, 버섯류, 꽃잎, 커피 등의 추출물을 제조하고, 이 추출물 소량을 소금과 혼합하고 건조하여서 되는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들은 모두 소금이 건조된 상태에서 그대로 버섯분말이나 목초액 또는 추출액을 흡수시키는 방법으로, 그 흡수가 용이하지 못함은 물론, 기능성 분말과 소금입자가 단순히 혼합된 상태로 존재하는바, 그 염도가 낮아져 소금 사용량을 늘려야 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KR 10-2014-0121539 A KR 10-1539508 B1 KR 10-1335777 B2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소금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기능성의 분말을 소금에 단순 혼합하여 소금을 제조하는 것이 아닌, 솔잎으로부터 유용물질을 추출한 후, 그 추출물에 소금을 용해하고, 재결정하여 소금을 제조함으로써, 소금의 결정 내에 솔잎의 유용성분이 충분히 함유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재결정 과정에서 소금과 솔잎 추출물 내 불순물 및 휘발성 성분을 증발시킴으로써, 인체 유해성분과 솔잎의 좋지 못한 향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소금에 솔잎 고유의 색과 향이 나타나 관능성이 개선되고, 그 유용물질로 인해 섭취자의 건강유지에 도움을 주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솔잎에 함유된 각종 유용성분이 소금 고유의 맛과 어우러져 음식물에 첨가시 감칠맛을 높여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솔잎 소금의 제조방법은, 솔잎을 세척하는 단계와, 상기 세척된 솔잎에 물을 투입하고 100~200℃의 온도 및 2~16kgf/㎠의 압력에서 유용성분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와, 상기 여과된 여과물에 소금을 용해하는 단계와, 상기 소금이 용해된 여과물을 재여과하는 단계와, 상기 재여과된 여과물이 100~200℃가 되도록 가열하여 수분을 1차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수분이 1차 제거된 솔잎 소금에 40~60℃의 간접열을 가하여 수분을 2차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수분이 2차 제거된 솔잎 소금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솔잎으로부터 유용성분을 추출하는 단계는, 솔잎과 물을 1:3~20 중량비로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여과된 여과물에 소금을 용해하는 단계는, 상기 여과물 100중량부에 소금 20~30중량부를 용해하며, 상기 여과물의 온도는 50~1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분을 1차 제거한 솔잎 소금은 함수율이 5~9%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솔잎의 유용성분을 다량 함유하여 섭취자의 건강유지에 도움을 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솔잎 특유의 향 및 색상으로 인해 식품의 고급화를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소금을 다양화 및 차별화하여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종래 기능성의 소금은, 천일염 또는 정제염 등의 소금에 기능성의 분말들, 예를 들면 버섯 분말, 뽕잎 분말들을 혼합하는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분말의 단순 혼합은 소금 내 기능성 성분이 흡수되는 것이 아니므로, 염도의 저하로 다량의 소금을 사용하게 되고, 기능성 분말들로 인해 소금 고유의 풍미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혼합 분말들로 인하여 소금의 외관도 좋지 못하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능성 소금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기능성 분말의 단순 혼합이 아닌, 기능성 물질, 특히 솔잎으로부터 유용성분을 고온, 고압하에서 추출하고, 그 추출물에 소금을 용해한 후 재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솔잎 소금은, 솔잎을 세척하는 단계와, 상기 세척된 솔잎에 물을 투입하고 100~200℃의 온도 및 2~16kgf/㎠의 압력에서 유용성분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와, 상기 여과된 여과물에 소금을 용해하는 단계와, 상기 소금이 용해된 여과물을 재여과하는 단계와, 상기 재여과된 여과물이 100~200℃가 되도록 가열하여 수분을 1차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수분이 1차 제거된 솔잎 소금에 40~60℃의 간접열을 가하여 수분을 2차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수분이 2차 제거된 솔잎 소금을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이하, 각 단계별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솔잎을 세척하는 단계.
먼저, 솔잎을 채취하고 깨끗이 세척한다.
상기 솔잎에는 당질과 단백질, 지방질, 칼슘, 인, 철분,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K, 엽록소, 칼슘, 철분 등의 유용성분이 다량 들어있고, 그리고 체내 합성이 불가능한 8종류의 필수 아미노산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각종 페놀화합물을 다량 함유하여 항산화 작용을 한다. 또한, 솔잎은 체내의 콜레스테롤치를 내리고, 말초신경을 확장시켜 호르몬의 분비를 높이는 등 몸의 조직을 일깨워주는 역할을 하므로 고혈압, 심근경색 등에 효과적이다. 아울러, 혈당을 낮춰주는 성분인 글리코키닌도 포함하고 있어 당뇨병에도 도움을 준다.
따라서, 이러한 솔잎의 유용성분을 소금에 함유시킬 경우, 대부분의 음식 조리시 첨가되는 소금을 통해 손쉽게 솔잎의 유용성분을 섭취할 수 있게 되어 섭취자의 건강유지를 돕게 된다.
상기 세척된 솔잎에 물을 투입하고 100~200℃의 온도 및 2~ 16kgf / ㎠의 압력에서 유용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세척된 솔잎에 물을 투입하고 고온, 고압하에서 유용성분을 추출한다.
상기 솔잎의 추출에 사용되는 용매인 물은, 상온에서 매우 극성이 높아 유전상수가 80에 이른다. 따라서, 솔잎 내 극성이 낮은 유용물질을 추출하기에 적당하지 않다. 그러나 물의 온도를 높일 경우 유전상수가 낮아져 솔잎으로부터 극성이 낮은 물질들을 추출하기 쉬워진다.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2~16kgf/㎠의 고압을 가해 물의 끓는 점을 높임으로써, 솔잎으로부터 극성이 낮은 물질과 높은 물질을 모두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고온, 고압 하의 추출은 저온 추출이나, 일반적인 열수추출보다 그 추출시간이 단축되어 공정의 효율성도 높아진다.
즉, 본 발명은 100~200℃의 온도 및 2~16kgf/㎠의 압력하에서 솔잎을 추출함으로써, 솔잎의 유용성분 추출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이러한 추출기로서는 가장 간단하게 압력솥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그 추출시간은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추출에 사용되는 솔잎의 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바, 일례로서 10~60분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솔잎과 물의 투입량은 1:3~20 중량비임이 바람직한데, 물의 투입량이 너무 적으면 용매의 부족으로 솔잎의 유용성분이 충분히 추출될 수 없고, 물이 과량이 될 경우 추출액이 묽어져 소금 내 솔잎의 유용성분이 소량 함유되어 그 기능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추출물의 농도가 너무 묽을 경우 별도의 가열을 통해 추출물을 농축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추출된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추출된 솔잎 추출물을 여과하여 추출물 내의 불순물 및 솔잎 찌꺼기를 걸러낸다. 이때, 여과는 체를 이용하는 정도면 족한바, 불순물이 제거될 수 있다면 그 방법을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여과된 여과물에 소금을 용해하는 단계.
추출물의 여과가 완료되면, 상기 여과물에 소금을 용해한다. 이때, 여과물의 온도를 50~100℃ 정도로 가열하여 소금의 용해도를 높임으로써, 공정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금은 가장 바람직한 형태로서 천일염일 수 있으며, 구운 소금, 정제염, 재제염 등의 사용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소금의 사용량은, 상기 여과된 여과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소금 20~30중량부를 용해하는 것으로, 소금의 함량이 너무 낮으면 최종 솔잎 소금의 염도가 너무 낮아져 소금의 사용량이 증가하게 되어 적합하지 못하고, 30중량부를 초과하면 과포화상태가 되어 소금이 용해되지 못하고 결정상태로 다량 존재하기 때문에 경제적이지 못하기 때문이다.
상기 소금이 용해된 여과물을 재여과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여과물을 다시 한 번 여과한다. 상기 여과 과정을 다시 수행하는 이유는, 용해되지 못한 소금의 결정을 제거하기 위한 것은 물론, 소금 내 불순물 역시 1차적으로 제거하기 위함이다. 상기 재여과 역시 체 등을 이용할 수도 있고, 활성탄 필터나 규조토 필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활성탄 필터 또는 규조토 필터는 다양한 형태 및 방식이 공지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 그 기능을 만족하는 한 특별히 제한이 없다.
상기 재여과된 여과물을 100~200℃가 되도록 가열하여 수분을 1차 제거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재여과된 여과물을 100~200℃ 정도가 되도록 가열하여 수분을 1차 제거한다. 상기 수분의 1차 제거는 솔잎 소금, 즉 수분이 증발되고 결정화되어 남은 소금의 함수율이 5~9%가 될 때까지 가열한다.
본 발명에서 1차 가열시 함수율을 5~9%로 하는 이유는, 함수율이 5% 이하가 되도록 계속해서 고온으로 수분을 증발시킬 경우 소금이 탄화되어 쓴맛이 강해질 수 있고, 색도 나빠져 기호도가 저하될 수 있고, 함수율이 9%를 초과할 경우 수분의 2차 제거 시간이 길어져 공정효율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상기 수분의 1차 제거 단계에서는 단순히 수분만을 증발시키는 것이 아닌, 소금 내 포함된 불순물을 수분과 함께 증발시키고, 솔잎 추출물 내 휘발성 성분 역시 증발시킴으로써, 휘발성 성분으로 인한 좋지 못한 솔잎 냄새를 제거함과 동시에, 유해물질이 제거된 청정의 솔잎 소금을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수분이 1차 제거된 솔잎 소금에 40~60℃의 간접열을 가하여 수분을 2차 제거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수분이 1차 제거된 솔잎 소금에 다시 40~60℃의 간접열을 가하여 수분을 2차 제거한다. 상기 2차 제거는 함수율이 0.3% 미만이 되도록 실시한다. 상기 간접열을 가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온돌방 등에서 수분을 증발시키는 것이며, 상기한 방법 이외에도 열풍 등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간접열을 가해줄 수 있다.
상기 수분이 2차 제거된 솔잎 소금을 냉각하는 단계
마지막으로, 상기 수분이 2차 제거된 솔잎 소금을 상온으로 냉각시킨다. 이때, 냉각된 소금은 재결정된 상태이나, 그 입도가 비교적 일정하여 별도의 분쇄작업이 불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제조한 솔잎 소금은 향 및 색이 우수하고, 풍미 역시 개선되어 감칠맛을 갖는다. 또한, 솔잎의 유용성분으로 인해 섭취자의 건강유지를 돕는 것은 물론, 솔잎 특유의 좋지 못한 냄새와 소금의 불순물이 충분히 제거된 것이다.
한편, 최종 제조된 솔잎 소금의 기능성을 더욱 높이고, 솔잎의 향 및 소금을 더욱 좋게 하기 위해서, 냉각된 소금에 솔잎 추출액을 분무하고, 이를 다시 40~60℃의 간접열로 건조하여 함수율이 0.3% 미만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솔잎 추출액은 앞서 고온, 고압하에서 솔잎을 추출하고, 여과한 것을 사용하며, 그 분무량은 제한하지 않지만, 제조된 솔잎 소금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5~10중량부의 범위로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솔잎을 준비하고, 깨끗이 세척한 후, 솔잎 200g에 물 2000g을 가하고, 120℃, 5kgf/㎠의 압력하에서 20분간 그 유용물질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그 추출물을 체로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다음으로, 여과액 1000g을 60~80℃로 한 후, 천일염 250g을 용해했다. 그리고 이를 다시 체로 여과하여 용해되지 못한 잔존 소금 결정을 제거하였다. 여과한 여과물을 120~130℃의 온도에서 가열하여 함수율을 5%가 되도록 수분을 증발시킨 후, 40~60℃의 간접열을 가하여 함수율이 0.3% 미만이 되도록 수분을 2차 제거하였다. 그리고 이를 실온에 방치하여 자연냉각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솔잎 추출물이 아닌 물에 천일염을 용해하고, 체로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그리고 이 여과물에 솔잎 100g을 분쇄한 솔잎 분말을 혼합한 후, 수분을 증발시켰다.
(비교예 2)
비교예 2로서 천일염을 사용하였다.
(시험예 1)
실시예 1과 비교예 1, 2의 천일염을 평가요원 20명에게 제공하고, 각각의 향, 맛, 색, 전체적인 기호도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평가에는 5점 척도법을 사용하였다(5, 아주 좋다; 4, 조금 좋다; 3, 보통이다; 2, 조금 좋지 않다; 1, 아주 좋지 않다). 그리고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1의 결과.
구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4.1 2.5 1.5
3.7 2.3 2.1
3.8 2.5 1.7
전체적 기호도 3.9 2.2 1.8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비교예 1, 2에 비해 향, 맛, 색은 물론,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솔잎 분말을 그대로 혼합하여 제조한 비교예 1보다도 현저히 우수한 평가를 받았음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또한, 각각의 천일염을 사용하여 음식을 조리하였을 때 맛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각 천일염을 사용하여 조리한 음식은 찐 감자, 고등어구이 및 오이 냉채로서, 소금을 제외한 나머지 조리법은 동일하게 하였다.
시험예 2의 결과.
구분
찐 감자 고등어구이 오이 냉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4.2 3.0 3.2 4.1 2.5 3.5 3.8 2.3 3.2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1, 2 천일염을 사용하여 음식을 조리하였을 때보다 실시예 1의 솔잎 소금을 사용하여 음식을 조리하였을 때, 음식의 맛이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특히 비교예 1은 일반 천일염인 비교예 2보다도 그 맛에서 낮은 평가를 받았다. 이는 솔잎 분말이 그대로 투입됨으로써, 솔잎의 쓴맛과 좋지 않은 향이 소금에 그대로 포함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되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1. 솔잎을 세척하는 단계와,
    상기 세척된 솔잎에 물을 1:3~20 중량비로 투입하고 100~200℃의 온도 및 2~16kgf/㎠의 압력에서 유용성분을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추출된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와,
    상기 여과된 여과물 100중량부에 소금 20~30중량부를 용해하는 단계와,
    상기 소금이 용해된 여과물을 재여과하는 단계와,
    상기 재여과된 여과물을 100~200℃가 되도록 가열하여 수분을 1차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수분이 1차 제거된 솔잎 소금에 40~60℃의 간접열을 가하여 수분을 2차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수분이 2차 제거된 솔잎 소금을 냉각하는 단계와,
    상기 냉각된 솔잎 소금 100중량부에 솔잎 추출액 5~10중량부를 분무하는 단계와,
    상기 솔잎 추출액이 분무된 솔잎 소금에 40~60℃의 간접열을 가하여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분을 1차 제거한 솔잎 소금은 함수율이 5~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잎 소금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50170548A 2015-12-02 2015-12-02 솔잎 소금의 제조방법 Active KR101789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548A KR101789747B1 (ko) 2015-12-02 2015-12-02 솔잎 소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548A KR101789747B1 (ko) 2015-12-02 2015-12-02 솔잎 소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729A KR20170064729A (ko) 2017-06-12
KR101789747B1 true KR101789747B1 (ko) 2017-10-25

Family

ID=59219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0548A Active KR101789747B1 (ko) 2015-12-02 2015-12-02 솔잎 소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97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566B1 (ko) 2017-07-04 2018-07-20 제갈담 염장을 이용한 기능성 저염 소금의 제조방법
KR102520661B1 (ko) * 2020-11-11 2023-04-11 문복례 솔잎 소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솔잎 소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729A (ko) 2017-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171949A (ja) 明日葉茶
CN102925283B (zh) 一种胡椒油树脂的制作方法
KR101602717B1 (ko) 뽕잎 소금의 제조방법
KR101704750B1 (ko) 천일염 및 함초를 이용한 함초소금 제조 방법
KR101789747B1 (ko) 솔잎 소금의 제조방법
KR101363019B1 (ko) 흑마늘을 이용한 저염 맛간장 제조방법
KR20160121305A (ko) 붉나무소금 및 그 제조 방법
KR101478784B1 (ko) 편백을 이용한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KR101880566B1 (ko) 염장을 이용한 기능성 저염 소금의 제조방법
KR101693156B1 (ko) 수분 증발을 억제하고 잘 굳지 않는 막창 제조방법
KR20120082639A (ko) 고추씨를 이용한 핫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731040B1 (ko) 생선 간장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32693B1 (ko) 황칠된장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황칠된장
CN107495280B (zh) 一种巴旦木香精的制备方法
KR101764307B1 (ko) 연 성분이 함유된 기능성 소금 제조방법
KR20150092469A (ko) 과일(비파열매)분말을 이용한 조미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것
KR20140083298A (ko) 멸치액젓 간장조미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002083B1 (ko) 옻을 포함한 차 및 그 차의 제조방법
KR101278186B1 (ko) 마늘 진액 발효소금의 제조방법
KR20150112174A (ko) 청양고추 소금 및 그 제조 방법
KR101212249B1 (ko) 조미 소금의 제조방법
KR20160130111A (ko) 강황이 함유된 식용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817252B1 (ko) 여주가 포함된 여주된장 제조방법 및 여주된장
KR102036852B1 (ko) 미네랄 소금을 이용한 액젓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액젓
KR101645358B1 (ko) 매실청을 이용한 간장낙지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0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0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619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30619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ayment date: 202306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