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8232B1 - 접착력이 개선된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 Google Patents
접착력이 개선된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88232B1 KR101788232B1 KR1020140134200A KR20140134200A KR101788232B1 KR 101788232 B1 KR101788232 B1 KR 101788232B1 KR 1020140134200 A KR1020140134200 A KR 1020140134200A KR 20140134200 A KR20140134200 A KR 20140134200A KR 101788232 B1 KR101788232 B1 KR 1017882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binder
- secondary battery
- mixture layer
- glass transi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4—Electrodes based on metals, Si or alloy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compressing or compaction
- H01M4/0435—Rolling or calender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5—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metals, Si or alloy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6—Composites as layered produ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386—Silicon or alloys based on silic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7—Negative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유리전이온도(Tg)가 하기 제 2 바인더보다 낮은 제 1 바인더와 전극 활물질을 포함하고 있고, 집전체 상에 코팅되어 있는 제 1 전극 합제층; 및
유리전이온도(Tg)가 상기 제 1 바인더보다 높은 제 2 바인더와 전극 활물질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1 전극 합체층 상에 코팅되어 있는 제 2 전극 합제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Claims (28)
- 전극 활물질과 바인더를 포함하는 전극 합제가 집전체에 코팅되어 있는 이차전지용 전극으로서,
유리전이온도(Tg)가 하기 제 2 바인더보다 낮은 제 1 바인더와 전극 활물질을 포함하고 있고, 집전체 상에 코팅되어 있는 제 1 전극 합제층; 및
유리전이온도(Tg)가 상기 제 1 바인더보다 높은 제 2 바인더와 전극 활물질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1 전극 합제층 상에 코팅되어 있는 제 2 전극 합제층;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바인더의 유리전이온도(Tg)는 15℃ 이하이고, 제 2 바인더의 유리전이온도(Tg)는 제 1 바인더의 유리전이온도보다 높은 범위에서 10℃ 이상이며,
상기 제 2 바인더의 유리전이온도(Tg)는 제 1 바인더의 유리전이온도보다 높은 범위에서 10℃ 이상 내지 25℃ 미만이고,
상기 이차전지용 전극은 음극이고, 전극 활물질은 Si계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 합제층의 두께는 제 2 전극 합제층의 두께를 기준으로 10 내지 90%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 합제층의 두께는 제 2 전극 합제층의 두께를 기준으로 30 내지 70%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 합제층의 전극 활물질과 제 2 전극 합제층의 전극 활물질의 종류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 합제층에서 제 1 바인더의 함량은 제 1 전극 합제층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5 중량%이고, 상기 제 2 전극 합제층에서 제 2 바인더의 함량은 제 2 전극 합제층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 합제층 및 제 2 전극 합제층은 각각 전자 전도성의 도전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재의 함량은, 각각 제 1 바인더 및 제 2 바인더 100 중량부 대비 20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 전극 활물질과 바인더를 포함하는 전극 합제가 집전체에 코팅되어 있는 이차전지용 전극으로서,
유리전이온도(Tg)가 하기 제 2 바인더보다 낮은 제 1 바인더와 도전재를 포함하고 있고, 집전체 상에 코팅되어 있는 프라이머(Primer) 코팅층; 및
유리전이온도(Tg)가 상기 제 1 바인더보다 높은 제 2 바인더와 전극 활물질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 상에 코팅되어 있는 전극 합제층;
을 포함하고,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은 전자 전도성의 도전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바인더의 유리전이온도(Tg)는 15℃ 이하이고, 제 2 바인더의 유리전이온도(Tg)는 제 1 바인더의 유리전이온도보다 높은 범위에서 10℃ 이상이고,
상기 제 2 바인더의 유리전이온도(Tg)는 제 1 바인더의 유리전이온도보다 높은 범위에서 10℃ 이상 내지 25℃ 미만이며,
상기 이차전지용 전극은 음극이고, 전극 활물질은 Si계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의 두께는 0.1 내지 3.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에서 제 1 바인더의 함량은 프라이머 코팅층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0 내지 85 중량%이고, 상기 전극 합제층에서 제 2 바인더의 함량은 전극 합제층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 삭제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재의 함량은 제 1 바인더 100 중량부 대비 20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 삭제
- 삭제
-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인더와 상기 제 2 바인더는 서로 동종(同種)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인더와 제 2 바인더는 수평균 분자량이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인더와 상기 제 2 바인더는 서로 이종(異種)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인더는 스티렌(styrene monomer: SM)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BA)를 포함하는 단량체들의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바인더는 스타렌 (styrene monomer: SM) 및 부타디엔 (butadiene: BD)을 포함하는 단량체들의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 삭제
-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Si계 물질은 SiOx(0.5≤x≤2), Si 합금, 비정질 S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 제 1 항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i) 제 1 바인더와 전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슬러리를 집전체에 도포한 후 건조하여 제 1 전극 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ii) 제 2 바인더와 전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슬러리를 상기 제 1 전극 합제층에 도포한 후 건조하여 제 2 전극 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iii) 상기 제 1 전극 합제층과 제 2 전극 합제층을 건조 및 압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 제 8 항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i) 제 1 바인더와 도전재를 포함하는 슬러리를 집전체에 도포한 후 건조하여 프라이머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ii) 제 2 바인더와 전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슬러리를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에 도포한 후 건조하여 전극 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iii)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과 전극 합제층을 건조 및 압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따른 이차전지용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
- 제 24 항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를 단위전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모듈.
- 제 25 항에 따른 전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팩.
- 제 26 항에 따른 전지팩을 전원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또는 전력저장용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34200A KR101788232B1 (ko) | 2014-10-06 | 2014-10-06 | 접착력이 개선된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
US14/872,242 US10062906B2 (en) | 2014-10-06 | 2015-10-01 | Electrode having enhanced adhesion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34200A KR101788232B1 (ko) | 2014-10-06 | 2014-10-06 | 접착력이 개선된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40817A KR20160040817A (ko) | 2016-04-15 |
KR101788232B1 true KR101788232B1 (ko) | 2017-10-19 |
Family
ID=55633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34200A Active KR101788232B1 (ko) | 2014-10-06 | 2014-10-06 | 접착력이 개선된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0062906B2 (ko) |
KR (1) | KR101788232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075872A1 (ko) | 2019-10-15 | 2021-04-22 | 한양대학교에리카산학협력단 | 전극의 중간 생성물, 전극 분말, 이를 이용한 전극, 이를 이용한 전극 펠렛, 및 그들의 제조 방법 |
KR20220071686A (ko) | 2020-11-24 | 2022-05-31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기능화된 탄소 구조체, 이를 이용한 음극 전극, 및 그 제조 방법 |
KR20220083035A (ko) | 2020-12-11 | 2022-06-20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칼륨 이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이용한 칼륨 이온 전지 |
KR20220142855A (ko) | 2021-04-15 | 2022-10-24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금속 음극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
KR20220161933A (ko) | 2021-05-31 | 2022-12-07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3차원 네트워크 구조를 갖는 탄소 구조체를 포함하는 음극 전극 및 그 제조 방법 |
WO2023172048A1 (ko) * | 2022-03-07 | 2023-09-1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및 그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46280B1 (ko) | 2016-07-22 | 2023-06-2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아크릴계 점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보호 필름 |
US9972838B2 (en) | 2016-07-29 | 2018-05-15 | Blue Current, Inc. | Solid-state ionically conductive composite electrodes |
KR102207524B1 (ko) | 2016-09-01 | 2021-01-2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
CN106410267A (zh) * | 2016-11-11 | 2017-02-15 | 上海空间电源研究所 | 高比能量硅基锂离子二次电池及其制备方法 |
WO2018147226A1 (ja) * | 2017-02-08 | 2018-08-16 | 凸版印刷株式会社 | アルカリ二次電池用正極及びアルカリ二次電池 |
US20180254518A1 (en) | 2017-03-03 | 2018-09-06 | Blue Current, Inc. | Polymerized in-situ hybrid solid ion-conductive compositions |
KR102417589B1 (ko) * | 2017-09-12 | 2022-07-05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이중층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EP3704756A2 (en) * | 2017-11-02 | 2020-09-09 | Maxwell Technologies, Inc. |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ultilayer electrode films |
KR102264699B1 (ko) * | 2018-05-24 | 2021-06-1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WO2020110589A1 (ja) * | 2018-11-30 | 2020-06-04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及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
US11581570B2 (en) | 2019-01-07 | 2023-02-14 | Blue Current, Inc. | Polyurethane hybrid solid ion-conductive compositions |
CN112909262A (zh) * | 2019-11-19 | 2021-06-04 |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硅负极及其制备方法与应用 |
US12166239B2 (en) | 2019-12-20 | 2024-12-10 | Blue Current, Inc. | Polymer microspheres as binders for composite electrolytes |
US11394054B2 (en) * | 2019-12-20 | 2022-07-19 | Blue Current, Inc. | Polymer microspheres as binders for composite electrolytes |
EP4078698A4 (en) | 2019-12-20 | 2024-08-14 | Blue Current, Inc. | COMPOSITE ELECTROLYTES WITH BINDERS |
CN115715430A (zh) * | 2020-10-26 | 2023-02-24 | 株式会社Lg新能源 | 用于二次电池的电极、包括该电极的二次电池和制造电极的方法 |
CN113193170A (zh) * | 2021-04-30 | 2021-07-30 | 珠海冠宇电池股份有限公司 | 一种正极片及电池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042053A (ja) * | 2011-08-19 | 2013-02-28 | Rohm Co Ltd | エネルギーデバイス電極構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エネルギーデバイス |
JP2013131381A (ja) * | 2011-12-21 | 2013-07-04 | Toyota Motor Corp | 非水電解質二次電池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935442B2 (en) * | 2005-05-17 | 2011-05-03 | Lg Chem, Ltd. | Polymer binder for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multiply stacked electrochemical cells |
WO2010137862A2 (ko) * | 2009-05-26 | 2010-12-02 | 주식회사 엘지화학 | 고에너지 밀도 리튬이차전지 |
WO2011105574A1 (ja) * | 2010-02-26 | 2011-09-01 | 日本ゼオン株式会社 | 全固体二次電池及び全固体二次電池の製造方法 |
KR101329934B1 (ko) * | 2010-10-13 | 2013-11-14 |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 전극판, 2차 전지 및 전극판의 제조 방법 |
KR101511732B1 (ko) * | 2012-04-10 | 2015-04-1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다공성 코팅층이 형성된 전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
-
2014
- 2014-10-06 KR KR1020140134200A patent/KR101788232B1/ko active Active
-
2015
- 2015-10-01 US US14/872,242 patent/US10062906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042053A (ja) * | 2011-08-19 | 2013-02-28 | Rohm Co Ltd | エネルギーデバイス電極構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エネルギーデバイス |
JP2013131381A (ja) * | 2011-12-21 | 2013-07-04 | Toyota Motor Corp | 非水電解質二次電池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075872A1 (ko) | 2019-10-15 | 2021-04-22 | 한양대학교에리카산학협력단 | 전극의 중간 생성물, 전극 분말, 이를 이용한 전극, 이를 이용한 전극 펠렛, 및 그들의 제조 방법 |
WO2021075873A1 (ko) | 2019-10-15 | 2021-04-22 | 한양대학교에리카산학협력단 | 음극 전극, 전해 증착을 이용한 그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
KR20220071686A (ko) | 2020-11-24 | 2022-05-31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기능화된 탄소 구조체, 이를 이용한 음극 전극, 및 그 제조 방법 |
KR20220083035A (ko) | 2020-12-11 | 2022-06-20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칼륨 이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이용한 칼륨 이온 전지 |
KR20220142855A (ko) | 2021-04-15 | 2022-10-24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금속 음극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
KR20220161933A (ko) | 2021-05-31 | 2022-12-07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3차원 네트워크 구조를 갖는 탄소 구조체를 포함하는 음극 전극 및 그 제조 방법 |
WO2023172048A1 (ko) * | 2022-03-07 | 2023-09-14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및 그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40817A (ko) | 2016-04-15 |
US20160099470A1 (en) | 2016-04-07 |
US10062906B2 (en) | 2018-08-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88232B1 (ko) | 접착력이 개선된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 |
US11431019B2 (en) | Lithium secondary battery | |
KR102227811B1 (ko) |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KR101540618B1 (ko) | 이차전지용 전극 및 그것의 제조 방법 | |
US11876191B2 (en) | Method for activating secondary battery | |
KR101517043B1 (ko) | 접착력 개선된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 |
KR20190059115A (ko) |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재에 포함되는 비가역 첨가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 및 포함하는 양극재 | |
EP2811562B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cell | |
KR102231209B1 (ko) |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
KR20170059899A (ko) | 접착력이 개선된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70075963A (ko) | 각 층의 바인더의 함량이 상이한 다층 전극 | |
KR102298595B1 (ko) | 리튬 이차 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
KR20180103412A (ko) | 이차전지의 충전방법 | |
KR20170025874A (ko) | 리튬 이차전지 및 그의 구동방법 | |
US10840508B2 (en) |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 |
KR20190053120A (ko) | 높은 결정화도를 가지는 바인더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다층 전극 | |
US11870068B2 (en) |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 |
KR20130050473A (ko) | 이중 코팅 구조의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 |
KR20240029017A (ko) | 열처리에 의한 리튬 전지셀 회복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셀의 제조방법 | |
KR101438419B1 (ko) | 향상된 전지 수명 특성을 제공하는 바인더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KR101572078B1 (ko) | 저장특성이 향상된 리튬 이차전지와 이에 포함되는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 |
KR20170025873A (ko) | 리튬 이차전지 및 그의 구동방법 | |
KR20170076604A (ko) | 접착력이 개선된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 | |
KR20190053121A (ko) | 높은 결정화도를 가지는 바인더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다층 전극 | |
KR101413433B1 (ko) | 사이클 특성이 우수한 이차전지용 바인더 및 그것을 이용한 이차전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06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1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10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2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30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0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0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