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7713B1 - Digital breast tomosynthesis for detecting position angle and correcting trace of x-ray focal spot - Google Patents
Digital breast tomosynthesis for detecting position angle and correcting trace of x-ray focal spo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87713B1 KR101787713B1 KR1020150164519A KR20150164519A KR101787713B1 KR 101787713 B1 KR101787713 B1 KR 101787713B1 KR 1020150164519 A KR1020150164519 A KR 1020150164519A KR 20150164519 A KR20150164519 A KR 20150164519A KR 101787713 B1 KR101787713 B1 KR 1017877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y
- image
- marker
- ray detector
- focu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10000000481 breast Anatomy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9607 mammograph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10000000779 thoracic wall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06010006187 Breast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08000026310 Breast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604 ultrason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9944 Colon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8467 Lung neoplasm maligna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5718 Stomach Neoplas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9742 colonic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91 computed tom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694 eating hab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7758 gastric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02 image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7270 liver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018 liver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5202 lung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0816 lung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55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1549 stomach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25 tom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02—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iagnosis of breast, i.e. mammograph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61B6/0492—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using markers or indicia for aiding patient position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0—Arrangements for genera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021—Arrangements for genera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involving movement of the focal spo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2—Devices using data or image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는, X-선을 생성하는 X-선 발생기; X-선 발생기에 의해 조사되어 유방을 통과한 X-선을 이미지 정보로 변환시키는 X-선 검출기 및 X-선 발생기와 X-선 검출기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X-선 검출기에 의해 이미지가 획득되는 마커(marker)를 구비한 기준표식부를 포함하고, X-선 검출기는, X-선 발생기의 회전에 따라 서로 다른 X-선 초점(FS)으로부터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이미지상의 상기 마커의 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X-선 초점(FS)의 위치각을 검출한다. 이에 의하면, 복잡하고 비싼 구성을 추가하지 않고도, X-선 초점의 정확한 위치각을 측정하는 동시에 X-선 초점의 궤적을 보정할 수 있기 때문에, 고품질의 신뢰성 있는 프로젝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The digital mammogram synthes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X-ray generator for generating X-rays; An X-ray detector that is irradiated by the X-ray generator and converts the X-ray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breast into image information, and an X-ray detector that is provided between the X-ray detector and the X-ray detector, Ray detector, wherein the X-ray detector obtains an image from a different X-ray focus (FS) according to rotation of the X-ray generator, and wherein the marker of the marker on the image Based on the positional change, the position angle of the X-ray focus FS is detected. According to this, since the accurate position angle of the X-ray focus can be measured and the locus of the X-ray focus can be corrected without adding a complicated and expensive configuration, a reliable and high quality projection image can be obtained.
Description
본 발명은 X-선 초점의 궤적을 보정하고 X-선 초점의 위치각을 측정할 수 있는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mammographic tomographic image synthesizer capable of correcting the locus of the X-ray focus and measuring the position angle of the X-ray focus.
세포의 무한 증식으로 발병하는 암(cancer)에는 간암, 대장암, 위암, 폐암 등이 있는데, 특히 여성에게 발병하는 유방암은 매우 치명적인 질환으로 주기적인 진단과 관리가 필요하다. 서구화된 식습관 탓에 아시아의 유방암 발병률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각 나라에서는 특정 연령 이상의 여성에 대해 일정 주기로 유방암 진단을 받을 것을 권장하고 있다.Cancer that develops due to infinite proliferation of cells includes liver cancer, colon cancer, stomach cancer, and lung cancer. Breast cancer that is especially a female disease is a very fatal disease and needs periodic diagnosis and management. Westernized eating habits are raising the incidence of breast cancer in Asia. Therefore, in each country, it is recommended that women with a certain age or older be diagnosed with breast cancer at regular intervals.
유방암을 진단하는 방법으로, 유방 초음파 검사(Breast Ultrasonography), 유방 자기공명영상(Breast MRI) 등이 있지만, 대표적으로 X-선(X-ray)을 이용한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를 이용한다.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는 자동노출제어장치(Automatic Exposure Control, AEC)로 적정량의 X-선을 피폭한 뒤 이미지 리셉터로부터 유방의 X-선 영상을 획득한다. Breast ultrasound (Breast Ultrasonography), Breast MRI (Breast MRI), etc. are available for diagnosis of breast cancer, but digital breast tomography image synthesizer using X-ray is typically used. The digital mammographic tomographic image synthesizer acquires an X-ray image of the breast from the image receptor after exposing an appropriate amount of X-ray to the automatic exposure control device (Automatic Exposure Control, AEC).
유방의 X-선 영상 획득은, 일반적으로 FFDM(Full Field Digital Mammography),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Digital Breast Tomosynthesis), BCT(Breast Computed Tomography)에 의해 이루어진다. FFDM은 2D 이미지를 획득하고, DBT는 X-선 발생기가 회전하면서 획득된 이미지를 이용해 영상을 재구성하며. BCT는 X-선 발생기와 X-선 검출기를 회전시켜 3차원 영상을 형성한다.X-ray image acquisition of the breast is generally performed by FFDM (Full Field Digital Mammography), Digital Breast Tomosynthesis, and BCT (Breast Computed Tomography). The FFDM acquires a 2D image, and the DBT reconstructs the image using the acquired image while the X-ray generator rotates. The BCT rotates the X-ray generator and the X-ray detector to form a three-dimensional image.
특히, 3D 영상을 얻기 위한 DBT는 프로젝션 이미지(projection image)를 얻기 위해 X-선의 초점(focal spot)이 유방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때 X-선의 초점의 궤적이 X-선 검출기의 평면(즉, 환자의 흉벽)과 정확히 수평이 되어야 한다. 하지만, 상용중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는 X-선 초점의 궤적이 수평면에서 정확히 직선으로 이동해야 함에 불구하고, 이를 무시하고 설계되는 경향이 있다. Particularly, in order to obtain a projection image, the DBT for obtaining a 3D image rotates the focal spot of the X-ray about the breast, and the locus of the focus of the X- That is, the patient's chest wall). However, commercially available digital mammographic tomographic image synthesizers tend to be designed to ignore the trajectory of the X-ray focus, even though it should be traveling straight in the horizontal plane.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의 회전축의 회전 정밀도를 고려하지 않고 설계된 상태에서 프로젝션 이미지를 얻게 되면, 각각의 프로젝션 이미지를 촬영한 X-선의 초점 위치는 유방의 흉벽과 수평인 면에서 정렬되지 않는다. 즉, X-선 초점의 바람직한 일직선상의 궤적과 달리, 실질적인 X-선 초점의 궤적은 흉벽에 대해 수평이지도 않고, X-선 초점의 위치에 따라 고르지 못한 궤적을 갖게 된다. 이 상태에서 획득된 프로젝션 이미지를 이용해 영상 재구성(3D Reconstruction)을 수행하면, 3D 영상의 품질이 열악해질 수밖에 없다. 즉, 프로젝션 이미지를 이용해 영상을 재구성할 때에는, X-선 초점의 궤적이 정확히 일직선으로 이동한다고 가정한 상태에서, 영상 재구성 알고리즘을 수행하기 때문에 제대로 된 3D 영상을 얻기 어렵게 된다.When a projection image is obtained without designing the rotation accuracy of the rotation axis of the digital breast tomographic image synthesizer, the X-ray focus position of each projection image is not aligned on the horizontal plane with the chest wall of the breast. That is, unlike the desired straight line trajectory of the X-ray focus, the trajectory of the actual X-ray focus is not horizontal to the chest wall, but has an uneven trajectory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the X-ray focus. If 3D reconstruction is performed using the projection image obtained in this state, the quality of the 3D image is inevitably poor. That is, when reconstructing an image using a projection image, it is difficult to obtain a proper 3D image because an image reconstruction algorithm is performed while assuming that the trajectory of the X-ray focus moves in a straight line.
또한, 영상 재구성을 위해서는 X-선 초점이 위치하는 위치각을 정확히 파악해야 고품질의 3D 영상을 구현할 수 있지만, 현재 상용중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는 X-선 초점의 위치각을 정확히 측정해내기 어렵다. 신뢰성 있는 위치각 측정을 위해서는 엔코더나 고정밀 각도계 등의 부가적인 부품이 필요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의 상승을 가져온다는 맹점이 있다. 만약, X-선 초점의 정확한 위치각이 아닌, 근사값으로 적당히 영상 재구성을 수행하면, 3D 영상의 품질이 열악해질 수밖에 없다.In order to reconstruct the image, it is necessary to precisely grasp the position angle at which the X-ray focus is locat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measure the position angle of the X-ray focus . Reliable position There is a blind spot in that the measurement requires an additional component such as an encoder or a high-precision angle meter, which leads to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If the image reconstruction is performed appropriately with an approximate value rather than an accurate position angle of the X-ray focus, the quality of the 3D image is inevitably poor.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복잡하고 고비용의 구성을 추가하지 않으면서, X-선 초점의 정확한 위치각을 측정하는 동시에 X-선 초점의 궤적을 보정할 수 있는, 고품질의 신뢰성 있는 3D 영상 획득을 위한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igh-quality, high-reliability Dimensional image synthesizer for acquiring a 3D imag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는, X-선을 생성하는 X-선 발생기; 상기 X-선 발생기에 의해 조사되어 유방을 통과한 X-선을 이미지 정보로 변환시키는 X-선 검출기; 및 상기 X-선 발생기와 상기 X-선 검출기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X-선 검출기에 의해 이미지가 획득되는 마커(marker)를 구비한 기준표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X-선 검출기는, 상기 X-선 발생기의 회전에 따라 서로 다른 X-선 초점(FS)으로부터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이미지상의 상기 마커의 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X-선 초점(FS)의 위치각을 검출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gital mammography apparatus comprising: an X-ray generator for generating an X-ray; An X-ray detector which is irradiated by the X-ray generator and converts the X-ray passing through the breast into image information; And a reference table unit provided between the X-ray generator and the X-ray detector and having a marker for obtaining an image by the X-ray detector, wherein the X- Acquires an image from different X-ray foci (FS) according to rotation of the X-ray generator, and detects the position angle of the X-ray focus (FS) based on the positional change of the marker on the image.
또한, 상기 기준표식부는 상기 X-선 검출기의 표면으로부터 기설정된 높이에 구비될 수 있다.The reference table portion may be provid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surface of the X-ray detector.
그리고, 상기 이미지에 나타난 마커의 위치 변화량, 상기 X-선 검출기의 표면에서 상기 기준표식부까지의 거리 및 상기 X-선 초점(FS)에서 상기 X-선 검출기의 표면까지의 거리(SID)에 기초하여, 상기 X-선 초점(FS)의 위치각을 검출할 수 있다.And a distance (SID) from the X-ray detector to the surface of the X-ray detector and a distance from the X-ray detector to the surface of the X-ray detector, And the position angle of the X-ray focus FS can be detected.
또한, 상기 X-선 발생기가 회전하면서 획득된 이미지에 나타난 상기 마커의 궤적에 기초하여 X-선 초점(FS)의 궤적에 대한 보정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획득된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다.Also, a correction value for the locus of the X-ray focus (FS) is calculated on the basis of the locus of the marker appearing in the image obtained while the X-ray generator rotates, The image can be corrected.
그리고, 상기 X-선 초점(FS)의 기준 궤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정값은 상기 마커의 궤적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 궤적의 y축 편차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reference trajectory of the X-ray focus (FS), wherein the correction value can be generated based on a y-axis deviation of the reference trajectory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the trajectory of the marker have.
또한, 상기 마커를 구비한 기준표식부는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에 대하여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reference table portion having the marker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digital mammogram image synthesizer.
상기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에 의하면, 복잡하고 비싼 구성을 추가하지 않고도, X-선 초점의 정확한 위치각을 측정하는 동시에 X-선 초점의 궤적을 보정할 수 있기 때문에, 고품질의 신뢰성 있는 3D X-선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digital breast tomographic image synthes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accurate position angle of the X-ray focus can be measured and the X-ray focus can be corrected without adding a complicated and expensiv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acquire high-quality and reliable 3D X-ray imag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의 궤적 보정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의 위치각 검출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의 위치각 측정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의 X-선 초점 위치각 산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gital mammogram image synthes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trajectory correction method of a digital mammogram image synthes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position angle detection method of a digital mammogram image synthes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views for explaining a position angle measurement method of a digital mammogram image synthes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calculating an X-ray focus position angle of a digital mammogram image synthes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특정 실시예 이외의 다른 실시예는 서로 상이하지만 상호배타적일 필요는 없다. 아울러, 후술의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show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For a specific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as to be sufficient for practicing the present invention. Other embodiments than the particular embodimen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but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첨부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그에 수반하는 도면들과 연관하여 읽히게 되며, 도면은 전체 발명의 설명에 대한 일부로 간주된다. 방향이나 지향성에 대한 언급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의도를 갖지 않는다.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read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considered a part of the description of the entire invention. The reference to direction or orientation i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ny way.
구체적으로, "아래, 위, 수평, 수직, 상측, 하측, 상향, 하향, 상부, 하부" 등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나, 이들의 파생어(예를 들어, "수평으로, 아래쪽으로, 위쪽으로" 등)는, 설명되고 있는 도면과 관련 설명을 모두 참조하여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이러한 상대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장치가 특정 방향으로 구성되거나 동작해야 함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Specifically, terms indicating positions such as "lower, upper, horizontal, vertical, upper, lower, upper, lower, upper, lower ", or their derivatives (e.g.," horizontally, Etc.) should be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both the drawings and the associated description. In particular, such a peer is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es not require that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be constructed or operated in a specific direction.
또한, "장착된, 부착된, 연결된, 이어진, 상호 연결된" 등의 구성 간의 상호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용어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개별 구성들이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부착 혹은 연결되거나 고정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고, 이는 이동 가능하게 부착, 연결, 고정된 상태뿐만 아니라, 이동 불가능한 상태까지 아우르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the term " attached, attached, connected, connected, interconnected ", or the like,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individual components are directly or indirectly attached, And it should be understood as a term that encompasses not only a movably attached, connected, fixed state but also a non-movable state.
그리고, 첨부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즉,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The thicknesses and size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explanation. That is,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100)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100)는 X-선 검출기(110), 압박 패들(120), X-선 발생기(130), 갠트리(140), 회전부(150) 및 기준표식부(160)를 포함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gital
X-선 검출기(110)는 유방(U)을 통과한 X-선을 이미지 정보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가지며, 환자의 유방(U)을 올려놓는 벅키(bucky)로서의 기능 등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X-선 검출기(110)를 수용하는 별도의 구성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The
X-선 검출기(110)는 스크린-필름 검출기, 간접변환 디지털 검출기, 직접변환 디지털 검출기 등 다양한 방식의 검출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산란된 X-선을 제거하기 위한 그리드(미도시)가 X-선 검출기(110)의 상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The
압박 패들(120)은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계되며, X-선 발생기(130)와 X-선 검출기(11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압박 패들(120)은 유방(U)의 X-선 이미지 획득에 영향을 주지 않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압박에 의한 손상이 없도록 상하 이동이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임계치 이상의 압박력이 환자의 유방(U)에 가해지는 경우, 압박 패들(120)의 하방 이동이 정지하거나, 압박력을 줄이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때, 명확한 X-선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유방(U)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압축될 필요가 있다.The
X-선 발생기(130)는 X-선 검출기(110)의 상방에 구비된다. 도 1에서는 도면번호 130을 X-선 발생기로 도시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면번호 130을 C-암으로 칭하고, C-암의 내부 혹은 일부 영역에 X-선 발생기가 구비되는 것으로 설계되어도 무방하다. X-선 발생기(130)는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고전압 발생기(미도시), 에너지를 X-선으로 변환시키는 X-선관(미도시), X-선의 조사 영역을 제한하는 콜리메이터(collimator)(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X-선 검출기(110)의 상면에 환자의 유방(U)을 올려놓은 뒤, 압박 패드(120)로 유방(U)을 압축한 상태에서, X-선 발생기(130)에 의해 조사되는 X-선이 압축된 유방(U)을 통과하여 X-선 검출기(110)에 도달한다. X-선 검출기(110)는 X-선의 위치와 입사량에 대한 신호를 생성하고, 이 정보는 영상 재구성 알고리즘에 의해 유방(U)의 X-선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X-선 초점에 대한 위치각이 영상 처리에 이용되는데, 정확한 위치각을 측정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X-선 이미지의 영상 처리와 관련해서는 종래의 다양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본질을 흐리지 않기 위해, 여기서는 영상 처리와 관련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Ray
X-선 발생기(130)의 회전에 따른 X-선 초점의 궤적, 즉, X-선 초점의 궤적이 유방(U)의 흉벽과 수평인 면에서 일직선상에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X-선 초점의 궤적의 오차를 보정할 필요가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locus of the X-ray focus due to the rotation of the
도 1을 참조하면, 갠트리(140) 내에는 X-선 발생기(130)의 회전을 위한 회전부(150)가 구비되는데, 회전부(150)가 동작하는 경우, X-선 검출기(110)와 압박 패들(120)은 제자리를 유지하고, X-선 발생기(130)만 소정 범위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 1, the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압박 패들(120)과 유방(U), 그리고 유방(U)을 지지하는 X-선 검출기(110)의 외부(예: 벅키(bucky))를 제외하고, X-선 검출기(110)와 X-선 발생기(130)가 일체적으로 회전할 수도 있을 것이다. 각 구성의 회전은, 선택적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고, 모드의 변환(수동 혹은 자동)을 통해 제어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을 것이다.Except for the external (e.g., bucky) of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100)는 X-선 검출기(110)와 X-선 발생기(130) 사이에 기준표식부(160)를 더 포함한다. 기준표식부(160)는 X-선 검출기(110)의 표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이격하여 위치한다. 또한, 기준표식부(160)는 기설정된 형상(예를 들어, 십자(+)형상)의 마커(marker)(161)를 포함한다. The
상기 마커(161)는 X-선 발생기(130)에서 조사된 X-선이 통과하면서, X-선 검출기(110)에 이미지가 생성된다. 따라서, 마커(161)는 납(pb) 등의 비중이 높은 물질로 인쇄, 증착 또는 삽입될 수 있다. The
반면, 기준표식부(160)의 마커(161)가 표시된 이외의 영역은 X-선 투과율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X-선이 기준표식부(160)를 통과하면, X-선 검출기(110)에 의해 마커(161)의 형상만 X-선 이미지로서 검출된다. On the other hand, the region other than the
이때, 마커(161)의 크기 및 기준표식부(160)의 높이는, X-선 검출기(110)에서 획득된 프로젝션 이미지에서 식별 가능하도록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이는 X-선 초점에서 X-선 검출기(110)의 표면까지의 거리(SID, Source to Image-receptor Distance)에 따라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마커(161)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예컨대, 십자 형상의 마커(161)에서 가로선과 세로선이 너무 두꺼운 경우), X-선 검출기(110)에서 검출된 이미지에서 차지하는 영역이 너무 커지기 때문에, 정확한 중심점을 찾기가 어렵다. 이는, 후술하겠지만, 마커(161)의 이미지가 이동한 거리를 인지하기 어렵게 만드는 결과를 가져온다.Since the area occupied by the image detected by the
따라서, 마커(161)의 두께는 적절히 얇은 것이 좋다. 대략 0.5∼1㎜ 정도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마커(161)의 두께에 의해 기준표식부(160)의 높이가 달라질 수 있는데, X-선 검출기(110)에서 획득된 프로젝션 이미지에서 대략 10∼20 픽셀(pixel) 정도의 크기를 갖도록, 기준표식부(160)의 위치가 선택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범위의 크기보다 크거나 작은 픽셀수로 검출되도록 기준표식부(160)의 높이가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100)의 X-선 초점의 궤적 보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현재 상용 중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는 회전축의 회전 정밀도가 고려되지 않고 설계되기 때문에, X-선 초점의 궤적, 즉, X-선 검출기에서 검출되는 X-선 초점의 궤적이 일직선상에 놓이지 않는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100)는 X-선 발생기(130)가 회전하면서 검출되는 X-선 검출기(110)에서의 X-선 초점 궤적을 흉벽에 수평인 방향으로, 정확히 일직선이 되도록 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보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locus correcting operation of an X-ray focus of a digital
즉,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100)는, 복잡한 알고리즘의 소프트웨어 또는 비용상승을 초래하는 하드웨어를 구비할 필요 없이, 오로지 기준표식부(160)의 마커(161)만을 이용해 매우 용이하게 프로젝션 이미지의 X-선 초점의 궤적의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That is, the digital breast
이상적인 X-선 초점의 궤적은, 도 2의 점선으로 도시된 RL처럼 환자의 흉벽에 수평인 방향으로 일직선 형태이다. 이는 X-선 발생기(130)가 상하 방향의 오차 없이 수평적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X-선 발생기(130)의 이상적인 회전에 의해 생성된 프로젝션 이미지가 영상 재구성 알고리즘을 거치게 되면, 최종 생성되는 3D 이미지의 품질(해상도)이 매우 좋다. The ideal X-ray focus trajectory is straight in a direction horizontal to the patient's chest wall, such as the RL shown by the dotted line in FIG. This means that the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100)의 저장부(미도시)에는, 이상적인 X-선 초점의 궤적이 기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는 x좌표에 대한 일정한 y좌표값을 갖도록 수치화된 데이터일 수도 있고, 직선형으로 표현되는 이미지 데이터일 수도 있을 것이다.In the storage unit (not shown) of the digital breast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100)는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X-선 초점 궤적(수치 데이터, 이미지 데이트 등)을 기준으로, 오차를 포함하는 실제 검출된 X-선 초점의 궤적을 이용하여 얻은 프로젝션 이미지를, 이상적인 X-선 초점 궤적을 이용하여 얻은 프로젝션 이미지가 되도록 보정한다. 이때, 실제 검출된 X-선 초점 궤적은 X-선 검출기(110)가 검출한 마커(161)의 이미지 궤적에 대응된다.The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100)는 X-선 발생기(130)의 회전에 따라, X-선 검출기(110)가 검출한 프로젝션 이미지에 나타난 마커(161)의 궤적에 기초하여 X-선 초점의 궤적이 이상적인 수평이 되도록 프로젝션 이미지를 보정한다. 이때, 저장부(미도시)의 저장된 X-선 궤적(RL)과 마커(161)의 궤적(XL)을 수치적으로 비교하거나, 이미지상의 편차를 비교하여 오차를 검출해낸다. The digital
구체적으로,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X-선 궤적(RL)(이상적인 기준 궤적)은 y축 방향으로 소정 높이에 위치하며, x축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놓인다. 그리고, 마커(161)의 궤적(XL)과 저장된 X-선 궤적(RL)에 대해, 각 X-선 초점(FS)의 위치에 따른 프로젝션 이미지마다 y좌표의 보정값(Δyn, 여기서 n은 1 이상의 자연수로서, 프로젝션 이미지의 순번을 의미함)을 구한다. 상기 보정값(Δyn)은 마커(161)의 궤적(XL)의 y좌표값과 저장된 X-선 궤적(RL)의 y좌표값의 편차에 해당한다.Specifically, the X-ray locus RL (ideal reference locus) stored in the storage unit (not shown) is loca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y-axis direction and lies on a straight line in the x-axis direction. The correction value? Y n of the y coordinate for each projection imag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each X-ray focus FS with respect to the locus XL of the
도 2에서는 마커(161)의 궤적(XL)이 모든 프로젝션 이미지를 연속해서 보았을 때 컨티뉴어스(continuous)하게 도시되어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디스크리트(discrete)하게 도시될 수 있다. 디스크리트한 이미지로 나타나는 경우, 직접 촬영되지 않은 포인트는 보간법을 이용해 y좌표값을 산출하거나, 포인트를 직선으로 연결해 해당 포인트의 y좌표값을 찾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이는 일례일 뿐이고, 다양한 방법으로 실질적인 마커(161)의 궤적(XL)을 획득할 있다.In FIG. 2, the locus XL of the
도 2에서와 같은 개념으로 각 촬영 지점 즉 X-선 초점의 위치에 따른 프로젝션 이미지마다 이미지에 나타난 마커(161)의 위치에 따라서 y좌표의 보정값(Δyn, 여기서 n은 1 이상의 자연수로 프로젝션 이미지의 순번을 의미함)을 정할 수 있고 각 프로젝션 이미지의 모든 픽셀값을 y좌표의 보정값(Δyn)만큼 이동시키는 방법으로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Even as a concept, such as in 2 for each projection imag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each shot point, that is X- ray focus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100)에 의하면 X-선 발생기(130)의 회전에 따른 상하 방향(도 2의 y축에 대응)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좌우 방향(도 2의 x축에 대응)의 오차는 후술할 위치각 측정에 의하여 보정되므로, 별도의 보정이 이루어질 필요는 없다.As described above, the digital breast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100)의 위치 검출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표식부(160)는 X-선 검출기(110)로부터 소정 높이에 위치하며, 기준표식부(160)에 인쇄, 증착 혹은 삽입된 마커(161)는 X-선 발생기(130)의 회전에 따라 X-선 검출기(110)에 이미지가 형성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원주상의 포인트(FS)들은 X-선 초점을 나타낸다.FIG.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osition detection method of the digital
X-선 발생기(130)는 회전부(150)에 의해 회전중심(A)을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하며, X-선 발생기(130)의 회전에 따라 X-선 초점(FS)은 등간격 혹은 비등간격으로 이동한다. The
도 3에서는 회전중심(A)이 X-선 검출기(130)의 표면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했지만, 이와 달리 X-선 검출기(13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위치할 수 있고, 이는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의 설계시에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Although the center of rotation A is shown as being on the surface of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100)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각은 상기 회전중심(A)에 수직인 선분에 대하여 X-선 초점(FS)이 위치하는 각도(도 5에서 α로 표시된 각도)를 의미한다. The position angle to be measured in the digital mammographic
X-선 초점(FS)의 위치 이동은 프로젝션 이미지에서의 마커(161)의 위치 이동을 야기하며,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100)는 X-선 검출기(110)에 검출된 마커(161)의 위치 이동에 따라, X-선 초점(FS)의 위치각(α)을 산출할 수 있다.The positional shift of the X-ray focus FS causes the movement of the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유방(U)이 X-선 검출기(110)와 압박 패들(120) 사이에서 압박되면, 회전부(150)에 의해 X-선 발생기(130)가 회전하면서 다양한 위치에서 X-선을 생성한다. X-선 검출기(110)는 X-선 초점(FS)의 이동에 따라 유방(U)의 X-선 이미지와 마커(161)의 이미지를 검출해낸다. X-선 검출기(110)에서 검출된 마커(161)의 이미지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에서 a'로 이동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100)는 X-선 검출기(110)에 의해 획득된 마커(161)의 이미지상에서의 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X-선 초점(FS)의 위치각(α)을 검출한다.4A, when the patient's breast U is pressed between the
도 4b에서는 십자형 마커(161)의 X-선 이미지가 선명하게 검출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실제적으로는 마커(161)의 X-선 이미지가 상대적으로 흐릿하게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X-ray image of the
이때에는 검출된 이미지의 명암에 기초해 십자형 마커(161)의 중심을 찾고, 그 중심의 이동 거리를 검출하는 방식으로, 마커(161)의 이미지가 이동한 거리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이 이와 같은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방법으로 이동 거리를 어렵지 않게 검출할 수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the distance of the image of the
도 5에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100)의 위치각 검출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D는 X-선 초점, A는 X-선 초점의 회전 중심, C는 마커(161)의 위치, B는 X-선 초점이 정중앙 위치, E는 X-선 초점이 D의 위치에 있을 때 X-선 검출기(110)에 검출된 마커(161)의 위치를 나타낸다. 한편, 선분 AD는 X-선 초점(D)에서 X-선 검출기(110)의 표면까지의 거리(SID, Source to Image-receptor Distance)이며,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의 설계시 기설정된 수치이다. X-선 검출기(110)의 표면까지의 거리(SID)에 따라 기준표식부(160)의 위치를 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SID가 65cm인 경우 기준표식부(160)의 위치는 X-선 검출기(110)로부터 25cm 내지 35cm 사이에서 정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이와 같은 거리에 한정되지 않음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osition angle detection method of the digital breast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100)는 아래 수식을 이용하여 X-선 초점의 위치각(α)을 산출할 수 있다.The digital mammographic
위의 수식에서, 선분 AC(=마커(161)의 높이), 선분 AD(=SID)는 사용자가 이미 알고 있는 기설정된 값이기 때문에, X-선 검출기(110) 상에서의 마커(161)의 위치 변화인 선분 AE의 값만 획득하면, X-선 초점의 위치각(α)을 계산해낼 수 있다.In the above equation, since the line AC (= the height of the marker 161) and the line segment AD (= SID) are predetermined values already known by the user, the position of the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100)는 복잡한 구성의 추가 없이, 마커(161)가 표시된 기준표식부(160)만 설계상에 추가하여, X-선 초점의 정확한 위치각을 측정하는 동시에, X-선 초점의 궤적까지 보정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고품질의 3D X-선 이미지를 획득하는 데 이용된다. The digital breast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100)에 구비된 기준표식부(160)는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다. 즉, X-선 초점(FS)의 궤도가 보정된 이후에는 그 보정값만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해놓고, 저장된 보정값을 향후 생성되는 프로젝션 이미지에 적용하는 방법을 취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에는, 기준표식부(160)를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100)로부터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The
또한, X-선 초점(FS)의 모든 위치각이 검출된 뒤에는, 검출된 위치각을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해놓고, X-선 발생기(130)의 회전각도에 대응하는 위치각을 저장부(미도시)로부터 읽어들여, 영상 재구성에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100)에 이용되는 기준표식부(160)는 필요시에만 부착하여, X-선 초점의 궤적 보정 및 위치각 측정에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After all the position angles of the X-ray focus FS are detected, the detected position angles are stored in a storage unit (not shown), and a position angle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포함하는 특정 실시예의 관점에서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위에서 설명된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다양한 치환이나 변형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와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 구조적이고 기능적인 변조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이나 권리범위는 본 명세서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광범위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terms of specific embodiments including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It can be predicted. In addition, various structural and functional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widely understood as set forth in the claims appended hereto.
100‥‥‥‥‥‥‥‥‥‥‥‥‥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
110‥‥‥‥‥‥‥‥‥‥‥‥‥X-선 검출기
120‥‥‥‥‥‥‥‥‥‥‥‥‥압박 패들
130‥‥‥‥‥‥‥‥‥‥‥‥‥X-선 발생기
140‥‥‥‥‥‥‥‥‥‥‥‥‥갠트리
150‥‥‥‥‥‥‥‥‥‥‥‥‥회전부
160‥‥‥‥‥‥‥‥‥‥‥‥‥기준표식부
161‥‥‥‥‥‥‥‥‥‥‥‥‥마커100 ‥‥‥‥‥‥‥‥‥‥‥‥‥‥‥‥‥‥‥‥‥‥‥‥‥‥‥‥‥‥‥‥‥‥‥‥‥‥‥‥‥‥‥‥‥‥‥‥‥‥‥‥‥‥‥‥‥‥‥‥‥‥‥‥‥‥‥‥‥‥‥‥‥‥‥‥‥‥‥‥
110 ‥‥‥‥‥‥‥‥‥‥‥‥‥‥‥‥‥‥‥‥‥‥‥‥‥‥‥‥‥‥‥‥ X
120 ‥‥‥‥‥‥‥‥‥‥‥‥‥‥‥‥‥‥‥‥‥‥‥‥‥‥‥‥‥‥‥‥‥‥‥
130 ‥‥‥‥‥‥‥‥‥‥‥‥‥‥‥‥‥‥‥‥‥‥‥‥‥‥‥‥‥‥‥‥‥ X-
140 ‥‥‥‥‥‥‥‥‥‥‥‥‥‥‥‥‥‥‥‥‥ Gantry
150 ‥‥‥‥‥‥‥‥‥‥‥‥‥‥‥‥‥‥‥‥‥‥‥‥‥‥‥‥‥‥‥‥
160 ‥‥‥‥‥‥‥‥‥‥‥‥‥‥‥‥‥‥‥‥‥‥‥‥‥‥‥‥‥‥‥‥‥‥‥‥
161 ‥‥‥‥‥‥‥‥‥‥‥‥‥‥‥‥‥‥‥ Markers
Claims (6)
상기 X-선 발생기에 의해 조사되어 유방을 통과한 X-선을 이미지 정보로 변환시키는 X-선 검출기; 및
상기 X-선 발생기와 상기 X-선 검출기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X-선 검출기에 의해 이미지가 획득되는 마커(marker)를 구비한 기준표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X-선 검출기는, 상기 X-선 발생기의 회전에 따라 서로 다른 X-선 초점(FS)으로부터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X-선 검출기로부터 획득된 상기 이미지상의 상기 마커의 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X-선 초점(FS)의 위치각을 검출하는,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An X-ray generator for generating X-rays;
An X-ray detector which is irradiated by the X-ray generator and converts the X-ray passing through the breast into image information; And
And a reference table provided between the X-ray generator and the X-ray detector and having a marker for obtaining an image by the X-ray detector,
The X-ray detector acquires an image from different X-ray focuses (F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X-ray generator,
And detects a position angle of the X-ray focus (FS) based on a change in position of the marker on the image obtained from the X-ray detector.
상기 기준표식부는 상기 X-선 검출기의 표면으로부터 기설정된 높이에 구비되는,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ference table portion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a surface of the X-ray detector.
상기 마커의 위치 변화량, 상기 X-선 검출기의 표면에서 상기 기준표식부까지의 거리 및 상기 X-선 초점(FS)에서 상기 X-선 검출기의 표면까지의 거리(SID)에 기초하여, 상기 X-선 초점(FS)의 위치각을 검출하는,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3. The method of claim 2,
Ray detector, based on a change amount of the position of the marker, a distance from the surface of the X-ray detector to the reference table portion, and a distance (SID) from the X-ray focus FS to the surface of the X- A digital mammographic tomographic image synthesizer for detecting a position angle of a line focus (FS).
상기 X-선 발생기가 회전하면서 획득된 이미지에 나타난 상기 마커의 궤적에 기초하여 X-선 초점(FS)의 궤적에 대한 보정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보정값을 이용하여 상기 획득된 이미지를 보정하는,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rrection value for the trajectory of the X-ray focus (FS) is calculated based on the locus of the marker appearing in the image obtained while the X-ray generator rotates, and the corrected image is calculated using the calculated correction value Digital mammographic tomographic image synthesizer.
상기 X-선 초점(FS)의 기준 궤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정값은 상기 마커의 궤적과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 궤적의 y축 편차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a reference locus of the X-ray focus FS,
Wherein the correction value is generated based on a locus of the marker and a y-axis deviation of a reference locus stored in the storage unit.
상기 마커를 구비한 기준표식부는 디지털 맘모그래피에 대하여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디지털 유방 단층영상합성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ference table having the marker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digital mammograph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4519A KR101787713B1 (en) | 2015-11-24 | 2015-11-24 | Digital breast tomosynthesis for detecting position angle and correcting trace of x-ray focal spo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4519A KR101787713B1 (en) | 2015-11-24 | 2015-11-24 | Digital breast tomosynthesis for detecting position angle and correcting trace of x-ray focal spo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60292A KR20170060292A (en) | 2017-06-01 |
KR101787713B1 true KR101787713B1 (en) | 2017-10-20 |
Family
ID=59221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64519A Active KR101787713B1 (en) | 2015-11-24 | 2015-11-24 | Digital breast tomosynthesis for detecting position angle and correcting trace of x-ray focal spo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8771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220486B (en) * | 2020-11-11 | 2022-12-20 | 深圳市安健科技股份有限公司 | Angle synchronization method and system for DR three-dimensional reconstructio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181252A (en) * | 2004-12-28 | 2006-07-13 | Shimadzu Corp | Tomography equipment |
KR100667014B1 (en) | 2003-06-10 | 2007-01-11 |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즈세이사쿠쇼 | Tomographic and 3D Image Creation |
-
2015
- 2015-11-24 KR KR1020150164519A patent/KR10178771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67014B1 (en) | 2003-06-10 | 2007-01-11 |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즈세이사쿠쇼 | Tomographic and 3D Image Creation |
JP2006181252A (en) * | 2004-12-28 | 2006-07-13 | Shimadzu Corp | Tomography equipmen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60292A (en) | 2017-06-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464472B2 (en) | X-ray imaging with x-ray markers that provide adjunct information but preserve image quality | |
US9675277B2 (en) | Breast thickness measurement device and breast thickness measurement method | |
US8592772B2 (en) | Method of obtaining a molecular breast image | |
EP2651299B1 (en) | Breast density assessment | |
US20100261997A1 (en) | System and Method for Molecular Breast Imaging with Biopsy Capability and Improved Tissue Coverage | |
JP4537129B2 (en) | System for scanning objects in tomosynthesis applications | |
KR102179319B1 (en) | Mammography imaging arrangement for tomosynthesis | |
JP2019030637A (en) | Variable-distance imaging | |
US20160235379A1 (en) | Optimization of x-ray imaging during mammographic examination | |
CN109394253B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fine-tuning reconstruction plane of digital composite image | |
JP2009513233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X-ray imaging | |
CN111200970A (en) | Dental chair side tomosynthesis system | |
JP2022545086A (en) | Detection of geometric calibration markers in spectral tomosynthesis systems | |
CN105326524B (en) | The medical imaging procedure and device of the artifact in image can be reduced | |
KR101768520B1 (en) | A method of integrated operation of chest X-ray digital radiography and chest digital tomosynthesis | |
JP2019536605A (en) | Method for reconstructing 2D image from multiple X-ray images | |
KR101787713B1 (en) | Digital breast tomosynthesis for detecting position angle and correcting trace of x-ray focal spot | |
KR101787714B1 (en) | Digital breast tomosynthesis | |
CN112568919B (en) | Method for recording tomosynthesis pictures, image generation unit and X-ray system | |
US11380006B2 (en) | Size measurement using angle-constrained radiographic imaging | |
JP5384293B2 (en) | X-ray CT system | |
TWI573565B (en) | Cone - type beam tomography equipment and its positioning method | |
US20230293133A1 (en) | X-ray diagnostic apparatus | |
JP2011092304A5 (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17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710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0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0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