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83407B1 - 소켓, 이를 이용한 처리 모듈 및 탈취장치 - Google Patents

소켓, 이를 이용한 처리 모듈 및 탈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3407B1
KR101783407B1 KR1020170060950A KR20170060950A KR101783407B1 KR 101783407 B1 KR101783407 B1 KR 101783407B1 KR 1020170060950 A KR1020170060950 A KR 1020170060950A KR 20170060950 A KR20170060950 A KR 20170060950A KR 101783407 B1 KR101783407 B1 KR 101783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unit
space
deodorization
processing modu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0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용석
신시철
정규철
정재왕
김찬휘
Original Assignee
센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센텍(주) filed Critical 센텍(주)
Priority to KR1020170060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34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407B1/ko
Priority to PCT/KR2018/005645 priority patent/WO2018212602A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with means for influencing the odor, e.g. deodorizing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공기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장치와, 탈취장치에 사용되는 각각의 처리유닛을 모듈형으로 제작할 수 있는 공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상기 소켓은, 전방 및 후방이 개방된 박스형 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은 내벽면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경계턱에 의해 전방측 제1 공간과 후방측 제2 공간으로 구획되고, 직렬배열시 본체의 전단 및 후단이 서로 밀봉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규격화된 공용 소켓을 이용해 각각의 처리유닛을 모듈형으로 제작하고 복수의 처리유닛을 조합하여 독립된 연속유로를 갖는 하나의 용도별 탈취처리모듈로 하는 구성에 의해, 장치의 부피 대비 처리용량 및 효율이 우수하고, 제작, 설치 및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고, 동작내용에 대한 양적 또는 질적 측면에서의 선택적 조절이 용이하다.

Description

소켓, 이를 이용한 처리 모듈 및 탈취장치{SOCKETS, PROCESSING MODULES USING SOCKETS AND DEODORIZING EQUIPMENT PROVIDED WITH THE MODULES}
본 발명은 오염공기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 오염공기의 악취 제거는 오염공기의 흡배기와 같은 단순 환기는 물론, 오염공기 내부에 포함된 물질에 대한 선택적 여과, 분해, 수용해 등의 오염공기의 정화를 포함한다.
최근 생활, 산업 환경에서 발생하는 각종의 악취를 포함한 오염공기의 처리가 문제되면서, 아파트, 공장 등의 건물 내 공간은 물론 하수구 또는 하수처리시설 등의 사회간접시설에 인접한 외부 공간에서도 다양한 종류의 탈취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탈취장치는 오염공기의 정화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으나, 탈취성능이 우수하고 유지보수를 통해 반복적인 사용이 용이한 광화학적 탈취장치가 각광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광화학적 탈취장치는 오염공기를 강제 유입한 후, 광촉매를 이용해 오염공기에 포함된 악취유발 유기물질을 분해한 후, 정화공기를 강제 배기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 경우, 탈취장치를 구성하는 자외선 램프, 광촉매 셀 또는 필터 등과 같이 다양한 부품 요소들에 대해서는 주기적인 세척, 교체 및 수리가 필요한데, 제품 제작은 물론 유지보수 목적으로 해당 부품들을 분리, 수거 및 재설치하는 과정에도 과도한 시간 및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본 출원인은 이러한 문제점 등을 고려하여 대한민국특허 제10-1160635호에서 광화학적 반응유닛을 구성하는 촉매셀과 자외선 램프 각각을 별도의 모듈 형태로 제작한 후 촉매셀 모듈과 자외선 램프 모듈 각각을 프레임에 슬라이딩 결합시킴으로써 물 세척이 용이한 탈취장치를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특허 제10-1160635호가 개시하고 있는 탈취장치는 복수의 처리유닛 사이는 물론 처리유닛 각각에서 기체 누설로 인해 강제 흡배기에 필요한 전력소요량이 증가하고 운전효율이 낮은 근본적인 문제가 상존하고 있다.
이러한 기체 기밀성을 보완하기 위한 처리유닛 간에 별도의 실링부재를 설치하거나 하우징을 이용해 복수의 처리유닛을 일괄 수용하여 하우징 내부를 밀폐된 유로로 형성하고 있지만, 하우징 자체로 장치 부피가 커져야 하고, 하우징 내부에 각 처리유닛에 대한 유지보수를 위해 점검구와 같은 별도의 작업공간이 필요하고, 또한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처리유닛의 외면에 오염물질이 축적되는 등의 또 다른 여러 문제가 수반된다.
또한 상기 대한민국특허 제10-1160635호의 탈취장치의 경우, 각각의 처리유닛은 물론 이를 구성하는 부품에 대해 시공 환경에 따라 별도의 설계 및 제작이 필요하기 때문에, 설치 및 유지보수에 과도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며, 탈취장치가 설치된 이후 탈취장치 전체에 대한 설계변경 없이 탈취장치의 동작 내용을 양적 또는 질적으로 탄력적으로 조절하기가 극히 곤란하다.
대한민국특허 제10-1160635호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종래 광화학적 탈취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며, 장치의 부피 대비 처리용량 및 효율이 우수하고, 제작, 설치 및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고, 동작내용에 대한 양적 또는 질적 측면에서의 선택적 조절이 용이한 탈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러한 탈취장치에 사용되는 각각의 처리유닛을 모듈형으로 제작할 수 있는 공용 소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 등은 상기 해결과제와 관련된 탈취장치를 연구 및 개발하는 과정에서, 탈취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처리유닛 각각을 모듈형으로 제작하기 위해 복수의 처리유닛 각각에 필요한 서로 다른 부품 요소들을 호환 가능하게 장착하고 이와 동시에 기체 기밀성 확보를 위해 직렬배열시 전단 및 후단이 서로 밀봉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의 공용 소켓을 도입하는 방안을 착안하고, 상기 공용 소켓을 이용해 제작된 복수의 처리유닛의 조합을 독립의 연속유로를 갖는 하나의 용도별 탈취처리모듈로 구성한 후, 이러한 탈취처리모듈의 일종 이상이 프레임 어셈블리 상에서 레일을 따라 직렬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편 필요에 따라 상하 및 좌우에서 병렬 배치될 수 있는 구조로 탈취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해결과제를 달성할 수 있음을 지견하여 본 발명에 도달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착안 및 상기 해결과제에 대한 인식에 기초한 본 발명의 요지는 아래와 같다.
(1) 탈취장치의 처리유닛 각각을 모듈형으로 제작하기 위한 소켓으로서, 전방 및 후방이 개방된 박스형 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은 내벽면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경계턱에 의해 전방측 제1 공간과 후방측 제2 공간으로 구획되고, 직렬배열시 본체의 전단 및 후단이 서로 밀봉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2) 상기 본체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공간으로 연통되는 장착구; 상기 본체 측면에 형성되는 통기구; 상기 본체 상면에 형성되는 상부 드레인; 또는 상기 본체 하면에 형성되는 하부 드레인;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소켓.
(3) 상기 장착구에는 자외선 램프 또는 노즐이 삽입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의 소켓.
(4) 상기 통기구는 기체 흡입구 또는 배기구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의 소켓.
(5) 상기 상부 드레인 및 하부 드레인에 장착되는 트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의 소켓.
(6) 상기 장착구가 형성된 본체 측면에는 자외선 램프 어셈블리 또는 노즐 어셈블리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의 소켓.
(7) 상기 본체의 전방 단부측 주연을 따라 제공되는 결합홈; 및 상기 본체의 후방 단부측 주연을 따라 제공되는 결합리브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직렬배열시 상기 결합홈과 결합리브가 서로 밀봉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소켓.
(8) 상기 본체 외측면에 제공되는 복수의 레일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소켓.
(9) 상기 레일 지지부재는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8)의 소켓.
(10) 오염공기의 혼합을 위한 믹싱유닛; 복수의 필터부재를 이용해 오염공기로부터 유입되는 수분 또는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전처리유닛; 자외선 램프 및 광촉매 셀을 구비하여 오염공기로부터 악취유발물질을 분해하기 위한 반응유닛; 노즐 및 세퍼레이터 필터를 구비하여 과잉산화물 제거를 위한 후처리유닛; 오염공기 또는 정화공기의 전달유닛; 및 팬을 구비하여 오염공기 또는 정화공기의 배출을 위한 배기유닛;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처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유닛 각각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소켓을 이용하여 모듈형으로 제작되어, 직렬배열시 각각의 처리유닛을 구성하는 소켓 본체의 전단 및 후단이 서로 밀봉 결합됨으로써 소켓 내부 공간이 연속유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처리모듈.
(11) 상기 믹싱유닛에서, 상기 소켓의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은믹싱챔버로 할당되고, 상기 소켓의 통기구는 기체 흡입구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0)의 탈취처리모듈.
(12) 상기 전처리유닛에서, 상기 복수의 필터부재는 데미스터 또는 백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의 제1 공간은 상기 데미스터의 탑재 공간으로 할당되고 상기 소켓의 제2 공간은 상기 백필터의 탑재 공간으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0)의 탈취처리모듈.
(13) 상기 반응유닛에서, 상기 소켓의 제1 공간은 상기 자외선 램프의 탑재 공간으로 할당되고 상기 소켓의 제2 공간은 광촉매 셀의 탑재 공간으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0)의 탈취처리모듈.
(14) 상기 본체 측면에 형성된 오목부 내부로 자외선 램프 어셈블리가 억지끼움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3)의 탈취처리모듈.
(15) 상기 후처리유닛에서, 상기 소켓의 제1 공간은 상기 노즐의 탑재 공간으로 할당되고 상기 소켓의 제2 공간은 세퍼레이터 필터의 탑재 공간으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0)의 탈취처리모듈.
(16) 상기 본체 측면에 형성된 오목부 내부로 노즐 어셈블리가 억지끼움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5)의 탈취처리모듈.
(17) 상기 전달유닛은 레듀서를 포함하고, 상기 레듀서는 상기 소켓의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의 전부 또는 일부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0)의 탈취처리모듈.
(18) 상기 배기유닛에서, 상기 팬은 상기 소켓의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의 전부 또는 일부에 탑재되고, 상기 소켓의 통기구는 기체 배기구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0)의 탈취처리모듈.
(19) 상기 처리유닛 각각은 복수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0)의탈취처리모듈.
(20) 상기 탈취처리모듈은 상기 믹싱유닛; 및 상기 믹싱유닛 후단에 결합되는 배기유닛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0)의 탈취처리모듈.
(21) 상기 믹싱유닛과 상기 배기유닛 사이에 결합되는 전달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0)의 탈취처리모듈.
(22) 상기 믹싱유닛과 상기 배기유닛 사이에서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상기 전처리유닛, 반응유닛 및 후처리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0)의 탈취처리모듈.
(23) 상기 탈취처리모듈은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상기 전처리유닛, 반응유닛 및 후처리유닛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0)의 탈취처리모듈.
(24) 하나 이상의 상기 (10)에 따른 탈취처리모듈; 및 상기 탈취처리모듈이 탑재되는 프레임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탈취처리모듈은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장치.
(25) 상기 탈취처리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4)의 탈취장치.
(26) 복수의 탈취처리모듈이 상하 또는 좌우로 인접하여 배치되고 각각의 탈취처리모듈이 독립된 연속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4)의 탈취장치.
본 발명에 의하면, 규격화된 공용 소켓을 이용해 각각의 처리유닛을 모듈형으로 제작하고 복수의 처리유닛을 조합하여 독립된 연속유로를 갖는 하나의 용도별 탈취처리모듈로 하는 구성에 의해, 장치의 부피를 최소화하면서도 기체 기밀성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어 장치의 부피 대비 처리용량 및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규격화된 공용 소켓을 매개로 하여 복수의 처리유닛에 대한 조합을 시공 환경에 따라 자유롭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개별 설계나 변경 없이도 탈취처리모듈 내지 탈취장치의 동작내용을 시공 환경에 따라 양적 또는 질적 측면에서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용 소켓은 처리유닛 각각의 서로 다른 부품 요소들을 호환 가능하게 탑재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처리유닛, 탈취처리모듈 및 탈취장치의 제작, 설치 및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켓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켓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소켓의 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2의 변형 실시예들에 따른 소켓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탈취장치의 사시도.
도 6는 도 5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5의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탈취장치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8의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유닛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분해사시도.
도 13은 도 11의 부분절개 사시도 및 조립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응유닛의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분해사시도.
도 16은 도 14의 부분 절개 사시도 및 조립도.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응유닛의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처리유닛의 사시도.
도 19는 도 18의 분해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탈취처리모듈이 병렬 배치된 탈치장치의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 또는 균등물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선택적으로' 제공, 구비 또는 포함된다고 할 때, 이는 본 발명의 해결과제를 위한 필수적으로 채택되는 구성요소는 아니나 그러한 해결과제와 견련성을 가지고 임의적으로 채택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먼저 본 발명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을 통해 이하에서 언급되는 소켓, 처리유닛, 탈취처리모듈 및 탈취장치의 기술적 의미를 명확히 한 후, 각각의 실시예에 대해 세부적으로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오염공기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전후 방위를 설정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탈취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처리유닛 각각을 모듈형으로 제작하기 위해 공용 소켓을 도입하였다. 상기 공용 소켓을 이용해 복수의 처리유닛 각각을 제작한 후, 이러한 다종의 처리유닛을 조합하여 하나의 용도별 탈취처리모듈을 구성하였다. 상기 탈취처리모듈을 프레임 어셈블리에 탑재하여 실제품 형태로서 탈취장치를 구성하였다.
상기 탈취처리모듈은 처리유닛이 일종 이상으로 조합된 것을 의미하며, 각각의 처리유닛이 직렬배열시 전단 및 후단이 서로 밀봉 결합됨으로써 그 내부로 독립된 연속유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탈취처리모듈은 기체 기밀성이 유지되어 완전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프레임 어셈블리 없이 그 자체로 운전 가능한 완전한 탈취장치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처리유닛 각각은 단수로 독립적인 탈취처리모듈을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처리유닛은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위체로서, 실시예에서는 믹싱유닛, 전처리유닛, 반응유닛, 후처리유닛, 전달유닛 및 배기유닛의 5종이 예시되었다. 이 중 믹싱유닛, 전달유닛 및 배기유닛은 오염공기의 흡배기 및 전달을 위한 환기 기능과 관련되며, 전처리유닛, 반응유닛 및 후처리유닛은 각각은 오염공기 내 특정 물질에 대한 여과, 분해 및 수용해를 위한 정화 기능과 관련된다. 이하에서는 경우에 따라 전자의 환기 기능과 관련된 처리유닛을 환기유닛으로, 후자의 정화 기능과 관련된 처리유닛을 정화유닛으로 각각 통칭한다. 각각의 처리유닛은 공용 소켓을 이용하여 모듈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복수의 처리유닛 각각에 필요한 서로 다른 부품 요소들은 상기 소켓상에 호환 가능하게 탑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탈취장치는 오염공기의 흡기 및 배기와 같은 단순 환기 기능은 물론 이에 수반하여 오염공기 내부에 포함된 수분 또는 먼지와 같은 고형입자의 여과, 광화학적 반응에 의해 악취유발 유기물질의 분해, 및 오존이나 기타 과잉산화물과 같은 광화학반응 부산물에 대한 수용해 등과 같이 오염공기의 정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오염공기의 강제 흡배기가 별도의 외부 수단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에, 상기 탈취장치는 여과, 분해, 수용해 등의 정화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규격화된 공용 소켓을 매개로 하여 복수의 처리유닛에 대한 조합을 시공 환경에 따라 자유롭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개별 설계나 변경 없이도 탈취처리모듈 또는 탈취장치의 동작내용을 시공 환경에 따라 양적 또는 질적 측면에서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탈취장치 또는 탈취처리모듈에 대한 양적 조절은 처리용량에 대한 조절을 의미하며, 그 질적 조절은 예컨대 환기, 정화 등과 관련된 동작 내용에 대한 선택 내지 조절을 의미한다.
공용 소켓의 유형
본 발명에 따른 공용 소켓(100)은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위체로서 처리유닛을 모듈형으로 제작하기 위한 요소이다. 본 발명자들은 각각의 처리유닛에 수반되는 부품 요소들에 주목하여 이들을 호환 가능하게 탑재할 수 있는 구조의 공용 소켓(100)을 고안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소켓(100A)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상기 소켓(100A)은 기본적으로 전방 및 후방이 개방된 박스형 본체(110)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110)의 내부 공간은 내벽면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경계턱(111)에 의해 전방측 제1 공간(110F)과 후방측 제2 공간(110R)으로 구획되고, 직렬배열시 본체(110)의 전단 및 후단이 서로 밀봉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이다. 이에 따라 박스형 본체(110)의 내부는 직렬배열시 밀폐되어 공기에 대한 밀폐된 연속유로를 형성한다. 이를 위해, 각각의 처리유닛에 사용되는 박스형 본체(110)의 단면 사이즈는 크기별로 규격화될 수 있고, 동일한 탈취처리모듈에 적용되는 경우 동일한 단면 사이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제1 공간(110F)과 제2 공간(110R)은 기본적으로 처리유닛의 부품 요소들이 실장되는 공간으로 제공된다. 예컨대 정화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110F)은 전처리유닛의 데미스터, 반응유닛의 자외선 램프, 후처리유닛의 노즐과 같은 제1 부품 요소에 대한 공용의 탑재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제2 공간(110R)은 전처리유닛의 백필터, 반응유닛의 광촉매셀, 후처리유닛의 세퍼레이터 필터와 같은 제2 부품 요소에 대한 공용의 탑재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환기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간(110F) 및 제2 공간(110R)의 전부 또는 일부는 전달유닛의 레듀서 또는 배기유닛의 팬에 대한 공용의 탑재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부품 실장을 수반하지 않는 믹싱유닛의 경우 제1 공간(110F)과 제2 공간(110R)은 도입된 오염공기의 혼합을 위해 하나의 믹생챔버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경계턱(111)은 제1 공간(110F)과 제2 공간(110R)으로 실장 공간을 구획하는 동시에, 부품 요소 자체가 걸려지거나 부품 요소 실장시 사용되는 패스너와 같은 고정수단이 걸려지는 위치를 제공한다. 이 경우, 패스너는 경계턱(111)에 연결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켓(100A)의 전방측 개방부를 통해 제2 공간(110R)에 실장되는 제2 부품 요소가 삽입된 후 그 주연부가 경계턱(111)에 걸려 고정된 후, 제1 공간(110F)에 실장되는 제1 부품 요소이 마찬가지로 소켓(100A)의 전방측 개방부를 통해 삽입된 상태에서 패스너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제1 부품 요소 및 제 2 부품 요소가 경계턱(111)에 지지되어 밀착 고정된다. 이러한 경계턱은 도면 도시에 불구하고 불연속적인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소켓(100A)의 직렬배열시 본체(110)의 전단 및 후단이 서로 밀봉 결합될 수 있는 구조는, 구체적으로 소켓(100A)의 전단 및 후단 각각에 형성되는 결합홈(114)과 결합리브(115)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결합홈(114)은 본체(110) 전방 단부측의 주연을 따라 연속하여 함몰 형성되고, 결합리브(115)는 본체(110) 후방 단부측 주연을 따라 연속하여 돌출 형성됨으로써, 본체(110)의 직렬배열시 결합홈(114)과 결합리브(115)가 서로 밀봉 결합된다. 이에 따라 가스켓과 같은 별도의 밀봉 수단 없이도 직렬배열된 소켓(100A) 상호간에 기체 기밀성이 확실히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결합홈(114)과 결합리브(115)의 형성 위치가 바뀔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소켓(100A)에는 본체(110) 외측면 적소에서 복수로 제공되는 레일 지지부재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레일 지지부재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탈취처리모듈을 프레임 어셈블리에 탑재하여 탈취장치를 구성하는 경우에 있어서, 소켓(100A)을 이동가능하게 안내하여 처리유닛의 설치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한편, 프레임 어셈블리에 구비된 레일로부터 소켓(100A)의 이탈을 억제하여 소켓(100A)의 직렬배열 상태를 견고히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레일 지지부재는 바람직하게 마찰저항을 완화할 수 있는 롤러(160)가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예컨대 프레임 어셈블리의 레일에 삽입될 수 있는 단순한 글루브 형태(도면 미도시)도 가능하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롤러(160)는 소켓(100A)의 상부면 및 하부면에서 각각 4개씩 제공되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또한 상기 소켓(100A)의 상면 및 하면은 주연을 따라 보강리브(116)가 형성되고 중앙쪽으로는 오목하게 살빼기가 된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110)에 대해 충분한 강성을 부여하면서도 재료는 절감할 수 있어 유리하다. 이 경우, 특히 소켓(100A)의 상면이 오목한 형상으로 제공됨에 따라, 아래의 도 4의 실시예에서 소켓(100A)의 상면에 상부 드레인(140U)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방으로부터 낙하된 수분이 보강리브(116)에 의해 소켓(100A)의 측면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수집된 수분을 상부 드레인(140U) 쪽으로 자연스럽게 유도하기에도 적합하다.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소켓(100A)은 그 자체로 환기유닛 중 오염공기 또는 정화공기의 전달을 위한 전달유닛이나, 정화유닛 중 복수의 필터부재를 이용해 오염공기로부터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전처리유닛에 특히 적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소켓(100B)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소켓(100B)은 도 1의 소켓(100A)에 장착구(120)가 선택적으로 구비된 것이 특징이며, 경계턱(111)에 의한 제1 공간(110F) 및 제2 공간(110R)으로 구획된 구성, 전단 및 후단이 상호 밀봉 결합될 수 있는 구성, 레일 지지부재에 관한 구성 등은 기본적으로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장착구(120)는 본체(110)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공간(110F)으로 연통되며, 상기 제1 공간(110F)에 실장되는 제1 부품 요소를 삽입 장착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특히 이러한 장착구(120)는, 동작과정에서 외부 전원이나 공정 유체(물) 공급을 위한 수단 또는 오염공기에 대한 노출이 억제될 필요가 있는 다른 부속품을 포함하는 제1 부품 요소를 제1 공간(110F)에 실장하는 경우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반응유닛의 자외선 램프가 안정기 등의 전기적 부속품와 함께 또는 후처리유닛의 노즐이 매니폴드 등의 부속품과 함께 일체형 어셈블리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에 있어서, 자외선 램프 또는 노즐은 기능상 소켓(100B) 내부에 위치해야 하지만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안정기 또는 매니폴드 등의 다른 부속품은 오염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소켓(100B) 외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상기 장착구(120)를 매개로 어셈블리 중 자외선 램프 또는 노즐만을 제1 공간(110F)으로 선택적으로 탑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장착구(120)는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자외선 램프 또는 노즐이 복수로 설치되어 소켓(100B) 내부 공간에서 오염공기와 최대한 접촉됨으로써 반응 또는 수용해 효율을 최대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착구(120)가 형성된 본체(110) 측면에는 상기한 자외선 램프 어셈블리 또는 노즐 어셈블리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112)가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오목부(112)는 소켓(100B) 외부에서 공간을 절약하면서도 어셈블리를 안정적으로 수용하기에 유리하다. 또한 오목부(112) 주연에는 소정 개수의 걸림편(113)이 제공되며, 어셈블리는 이러한 걸림편(113)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탈부착할 수 있다.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소켓(100B)은 그 자체로 정화유닛 중 자외선 램프 및 광촉매셀을 구비하여 오염공기로부터 악취유발물질을 분해하기 위한 반응유닛이나, 노즐 및 세퍼레이터 필터를 구비하여 과잉산화물 제거를 위한 후처리유닛에 특히 적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소켓(100C)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소켓(100C)은 도 1의 소켓(100A)에 통기구(130)가 선택적으로 구비된 것이 특징이며, 경계턱(111)에 의한 제1 공간(110F) 및 제2 공간(110R)으로 구획된 구성, 전단 및 후단이 상호 밀봉 결합될 수 있는 구성, 레일 지지부재에 관한 구성 등은 기본적으로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통기구(130)는 본체(110) 측면에 형성되어 소켓(100C) 내부로 연통되며, 기체 흡입구 또는 배기구로 용도로 제공된다. 이러한 통기구(130)는 특히, 탈취처리모듈 또는 탈취장치 자체에 환기 기능을 구비하는 경우에 있어서, 예컨대 최선단에 위치하는 믹싱유닛에서의 기체 흡입구 또는 최후단에 위치하는 배기유닛(260)에서의 기체 배기구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통기구(130)는 상기 장착구(120)와는 달리 그 연통위치가 제1 공간(110F) 또는 제2 공간(110R)으로 제한되지는 않으면, 그 단면 형상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반대로 탈취처리모듈의 믹싱유닛의 전단 또는 배기유닛(260)의 후단 측에 별도의 처리유닛이 구비되는 경우 미싱유닛을 이루는 소켓(100C)의 전방 개방부 또는 배기유닛(260)을 이루는 소켓(100C)의 후방 개방부 자체가 기체의 흡입구 또는 배기구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통기구(130)는 불필요할 수 있다.
상기 제3 실시예에 따른 소켓(100C)을 그 자체로 오염공기의 혼합을 위한 믹싱유닛 또는 팬을 구비하여 오염공기/정화공기의 배출을 위한 배기유닛(260)에 특히 적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도 2의 변형 실시예들에 따른 소켓(100D)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2의 소켓(100B)에 상부 드레인(140U)이 형성된 경우(도 4의 (a)), 하부 드레인(140D)이 형성된 경우(도 4의 (b)), 상부 드레인(140U) 및 하부 드레인(140D)이 모두 형성된 경우(도 4의 (c))를 각각 나타낸다. 이러한 상부 드레인(140U) 및 하부 드레인(140D)은 시공 및 동작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요소이다.
예컨대, 다종의 처리유닛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는 탈취처리모듈이 물공급이 필요한 후처리유닛을 포함하고 있거나 오염공기에 다량의 수증기가 함유된 경우, 탈취처리모듈의 동작과정에서 다량이 수분이 생성되기 때문에 소정 시점에서 탈취처리모듈 밖으로 배출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하부 드레인(140D)은 내부에 생성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통로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탈취처리모듈을 상하 방향으로 병렬 배치하여 탈취장치를 구성하는 경우에 상부 탈취처리모듈의 동작과정에서 그 하부 드레인(140D)을 통해 배출되는 수분은 하부 탈취처리모듈의 외면을 오염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외면에 설치된 부품 요소들에 수분이 침투하여 고장의 원인을 제공하기 때문에 가능한 한 억제되어야 한다. 이 경우 상부 드레인(140U)은 상방향으로부터 유입되는 수분을 내부로 유입하기 위한 통로로 작용할 수 있다. 앞서 도 1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켓(100D)의 상면이 주연을 따라 보강리브(116)가 형성되고 중앙쪽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 경우 수집된 수분을 상부 드레인(140U) 쪽으로 자연스럽게 유도하기에 적합하다.
상기 상부 드레인(140U) 및/또는 하부 드레인(140D)이 구비된 소켓(100D)의 경우에서도 소켓(100D) 안팎으로의 기체 기밀성은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기체 기밀성을 유지하면서 수분과 같은 유체의 선택적 통과가 가능하도록 상부 드레인(140U) 및 하부 드레인(140D) 각각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트랩(15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트랩(150)은 그 내부 통로에 소정량의 유체를 상시 수용한 상태에서, 트랩(150) 쪽으로 유도되는 유체에 의한 압력이 소정 임계치에 도달시 그 내부 통로에 수용된 유체가 밀리면서 통로가 개방되고 임계치 미만으로 낮아지면 유체가 수용된 상태로 통로가 폐쇄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소켓(100; 100A, 100B, 100C, 100D)은 그 자체로 특정의 처리유닛에 적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해당 처리유닛에만 전용된다는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예컨대, 제2 실시예에서 설명된 장착구(120)나 제3 실시예에서 설명된 통기구(130)가 구비된 소켓을 믹싱유닛 또는 전달유닛 등에 적용하는 경우에, 불필요한 장착구(120) 또는 통기구(130)는 별도의 차폐수단(도면 미도시)으로 밀폐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서 설명된 걸림편(113)은 제1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소켓(100A, 100C)에서도 그 사용 여부를 떠나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고, 제4 실시예에서 설명된 상부 드레인(140U)과 하부 드레인(140D) 등은 반드시 필요하지 않는 시공 환경에서도 트랩(150) 또는 다른 차폐수단(도면 미도시)으로 밀폐시킨 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실시예로 설명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도 1의 소켓(100A) 및 도 3의 소켓(100C)에 대해서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상부 드레인(140U) 또는 하부 드레인(140D)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된 구조의 소켓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부 드레인(140U) 및 하부 드레인(140D) 각각의 역할은 동일하다.
상기한 공용 소켓(100)은 강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경질 플라스틱 재질로 하여 금형 사출로 대량 제작이 용이하다. 금형 제작된 공용 소켓(100)을 이용하여 부품 요소들을 단순 실장하는 방식으로 처리유닛을 제작한 후 탈취처리모듈 내지 탈취장치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다종의 처리유닛 각각에 대한 개별적인 설계나 가공을 했던 것과 대비하여 처리유닛, 탈취처리모듈 및 탈취장치의 제작, 설치 및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이 현저히 절감될 수 있다. 또한 공용 소켓(100)을 이용해 제작된 탈취처리모듈 또는 탈취장치는 장치 부피가 최소화된 상태에서도 양호한 기체 기밀성을 갖기 때문에 부피 대비 처리용량 및 효율을 현저히 향상될 수 있고, 시공 환경에 따라 양적 또는 질적 측면에서 탄력적으로 조절하기에 유리하다.
처리유닛, 탈취처리모듈 및 탈취장치의 예
이하의 실시예에서, 탈취처리모듈(20; 20A, 20B)을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위체인 처리유닛이 일종 이상 조합된 것으로 하고, 편의상 탈취장치(10; 10A, 10B)는 이러한 탈취처리모듈(20; 20A, 20B)을 프레임 어셈블리(30)에 탑재하여 실제품 형태로 구성한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실시예에서 상기 처리유닛은 믹싱유닛(240), 전처리유닛(210), 반응유닛(220), 후처리유닛(230), 전달유닛(250) 및 배기유닛(260)의 5종이 예시되었다. 각각의 처리유닛의 구성 및 동작 내용은 전형적인 탈취처리모듈(20; 20A, 20B) 또는 탈취장치(10; 10A, 10B)로서 오염공기의 흡배기 및 전달을 위한 환기 기능만을 수행하는 경우와, 이러한 환기 기능과 함께 정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환기 기능만을 구비하고 있는 탈취장치(10A)를 나타내며, 순서대로 상기 탈취장치(10A)의 사시도, 분해사시도 및 종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상기 탈취장치(10A)는 믹싱유닛(240), 전달유닛(250) 및 배기유닛(260)의 환기유닛만으로 탈취처리모듈(20A)을 구성한 예이고, 이 중 전달유닛(250)은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믹싱유닛(240), 전달유닛(250) 및 배기유닛(260)은 오염공기의 흐름방향으로 순차 결합된다. 믹싱유닛(240)의 전방 개방부와 배기유닛(260)의 후방 개방부는 차폐된다. 상기 탈취처리모듈(20A)은 프레임 어셈블리(30)에 탑재되어 실제품 형태의 탈취장치(10A)를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믹싱유닛(240), 전달유닛(250) 및 배기유닛(260) 각각은 공용 소켓을 이용하여 모듈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탈취처리모듈(20A) 외부 또는 내부로부터 수분 발생이 예상되는 시공 또는 동작 환경에서는 공용 소켓에는 상부 드레인(140U) 또는 하부 드레인(140D)과 이에 장착되는 트랩(150)이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믹싱유닛(240) 및 배기유닛(260)은 도 3의 소켓(100C)을, 상기 전달유닛(250)은 도 1의 소켓(100A)을 각각 채택하면서, 믹싱유닛(240) 및 배기유닛(260)에는 하부 드레인(140D) 및 트랩(150)이 구비되어 있다. 믹싱유닛(240), 전달유닛(250) 및 배기유닛(260)의 직렬배열시 각각의 처리유닛을 구성하는 소켓의 전단 및 후단이 서로 밀봉 결합됨로써 소켓의 내부 공간이 밀폐된 연속유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믹싱유닛(240)은 오염공기를 혼합하여 하류쪽으로 정상류를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믹싱유닛(240)에는 믹싱챔버(242)가 구비되고, 소켓 내부의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은 상기 믹싱챔버(242)로 할당된다. 소켓 측면에 제공된 통기구(130)는 오염공기의 유입을 위한 흡기구로 할당된다. 흡기구는 오염원으로부터 연장되는 흡기관(도면 미도시)에 연결된다.
상기 전달유닛(250)은 오염공기를 포집하여 후단의 배기유닛(260)에 구비된 팬(262) 쪽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전달유닛(250)은 전방에서 후방측으로 테이퍼진 깔대기 형상의 레듀서(252)를 더 포함함으로써 후단의 배기유닛(260)에 구비된 팬(262) 쪽으로 오염공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함과 동시에 믹싱유닛(250)과 배기유닛(260)가 공기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고, 소켓 내부의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의 전부 또는 일부는 상기 레듀서(252)의 탑재 공간으로 할당된다.
실시예에서 상기 레듀서(252)는 소켓의 제1 공간 및 제2 공간에 걸쳐 탑재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고, 레듀서(252)의 전방측에 형성된 플랜지(253)가 믹싱유닛(240) 소켓과 전달유닛(250) 소켓 사이에 개재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 경우 플랜지(253)의 양면에는 결합홈(254)과 결합리브(255)가 구비되어 믹싱유닛(240) 소켓과 전달유닛(250) 소켓 사이에서 밀봉 결합된다. 다만 실시예에 불구하고 이러한 레듀서(252)는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의 전부 또는 일부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예컨대 레듀서(252)의 플랜지(253)를 소켓 내부의 경계턱(111)에 밀착하여 패스너(170) 등을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제2 공간에만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배기유닛(260)은 오염공기 또는 정화공기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배기유닛(260)은 배기 용량에 따라 선택되는 팬(262)을 더 포함하고, 소켓 내부의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의 전부 또는 일부는 상기 팬(262)의 탑재 공간으로 할당된다. 소켓 측면에 제공된 통기구(130)는 오염공기의 배출을 위한 배기구로 할당된다. 배기구는 대기로 연장되는 배기관(도면 미도시)에 연결된다.
실시예에서 상기 팬(262)은 소켓의 제1 공간 및 제2 공간에 걸쳐 탑재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고, 팬(262)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263)가 소켓 바닥면에 볼트 체결된다(도면 미도시). 다만 실시예에 불구하고 이러한 팬(262)은 배기 용량에 따라 부피가 결정될 수 있으므로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의 전부 또는 일부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30)는 베이스(32)와 레일을 포함한다. 믹싱유닛(240), 전달유닛(250) 및 배기유닛(260)으로 조합된 탈취처리모듈(20A)은 소켓 상부 및 하부면에 구비된 롤러(160)와 같은 레일 지지부재가 레일을 따라 안내되는 방식으로 탑재된다. 이 경우 탈취처리모듈(20A)은 프레임 어셈블리(30)의 전방 또는 후방측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클램프(40)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소켓간 밀봉 상태가 보다 견고히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프레임 어셈블리(30)의 전후방 길이가 탈취처리모듈(20A)과 거의 동일한 것으롤 예시되었으나, 실제 적용시 처리유닛을 부가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탈취처리모듈(20A)에 대한 질적 또는 양적 확장이 가능하도록 프레임 어셈블리(30)의 길이를 여유 있게 설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탈취장치(10A)는 탈취처리모듈(20A)을 수용하는 하우징(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50)은 기본적으로 탈취처리모듈(20A)의 노출된 외면을 오염물질로부터 보호하고 전체 외관을 개선할 목적으로 제공된다. 실시예에서 하우징(50)은 소켓 노출면 중 상면 및 좌우 측면에 대응되도록 분할 제작되어 소켓에 직접 볼트 결합되는 것으로 하였다. 또한 분할 제작된 하우징(50)은 탈취처리모듈(20A)의 최선단 및 최후단에 위치한 믹싱유닛(240) 및 배기유닛(260) 개방부에 대한 차폐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불구하고, 이러한 하우징(50)은 개별 처리유닛별로 또는 전체 탈취처리모듈(20A) 별로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프레임 어셈블리(30)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탈취처리모듈(20A)의 최선단 및 최후단에 위치한 믹싱유닛(240) 및 배기유닛(260) 개방부에 대해서는 별도의 차폐수단이 필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탈취처리모듈(20A) 내부로 완벽한 밀폐된 연속유로가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50)은 탈취처리모듈(20A)에 대한 단순 보호나 외관 개선 목적으로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지만, 종래 탈취장치의 경우 하우징(50)은 개별 사양의 처리유닛 간 기체 기밀성이 불완전하여 이를 보완하기 위해 거의 필수적으로 채택되어야 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환기 기능과 함께 정화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탈취장치(10B)를 나타내며, 순서대로 상기 탈취장치(10B)의 사시도, 분해사시도 및 종단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상기 탈취장치(10B)는, 믹싱유닛(240), 전달유닛(250) 및 배기유닛(260)의 환기유닛과 함께, 그 중간에 전처리유닛(210), 반응유닛(220) 및 후처리유닛(230)의 정화유닛을 배치하여 탈취처리모듈(20B)을 구성한 예이다. 다만, 시공 환경에 따라 유입되는 오염공기 중 증기나 고형입자 함량이 미미하거나 배출공기 중 광화학적 반응 부산물인 과잉산화물 함량을 무시할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전처리유닛(210) 및 후처리유닛(230)은 생략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서와 마찬가지로 믹싱유닛(240)의 전방 개방부와 배기유닛(260)의 후방 개방부는 차폐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처리유닛(210), 반응유닛(220) 및 후처리유닛(230) 각각은 공용 소켓을 이용하여 모듈형으로 제작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전처리유닛(210)은 도 1의 소켓(100A)에 상부 드레인(140U) 및 하부 드레인(140D)이 부가된 형태의 소켓, 상기 반응유닛(220) 및 후처리유닛(230)은 도 4의 소켓(100D)을 채택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다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탈취처리모듈(20B) 외부 또는 내부로부터 수분 발생이 미미하거나 없는 시공 또는 동작 환경에서는 상부 드레인(140U) 또는 하부 드레인(140D)과 이에 장착되는 트랩(150)은 생략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탈취장치(10B)에서 각각의 처리유닛들 간 연결, 탈취처리모듈(20B) 내부에서의 밀폐된 연속유로의 형성, 탈취처리모듈(20B)의 프레임 어셈블리(30)상 탑재, 하우징(50)의 용도 및 설치 등에 관련된 내용은 앞서 도 5 내지 7의 탈취장치(10A)에서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미설명된 전처리유닛(210), 반응유닛(220) 및 후처리유닛(230)의 구조와 동작 내용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3은 전처리유닛(210)의 사시도, 분해사시도, 부분절개 사시도 및 조립도를 각각 나타낸다. 전처리유닛(210)은 오염공기로부터 수분 또는 고형입자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전처리유닛(210)에는 복수의 필터부재가 구비되고, 소켓 내부의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은 용도별 다종의 필터부재에 대한 탑재 공간으로 할당된다.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부재는 오염공기 중의 액적을 제거하기 위한 데미스터(212) 또는 오염공기 중 먼지와 같은 고형입자를 포집하기 위한 백필터(214)를 포함하고, 데미스터(212)와 백필터(214)는 제1 공간 및 제2 공간에 탑재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도 13을 참조할 때, 상기 데미스터(212)와 백필터(214)의 외곽 프레임(2122, 2142)은 소켓의 내경보다 작으나 경계턱(111)에 걸릴 수 있는 크기를 갖도록 규격화되어 제공된다. 소켓의 전방측 개방부를 통해 백필터(214)와 데미스터(212)를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경계턱(111) 측으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스프링 패스너(170)를 이용해 탄성적으로 고정시킨다. 이 경우 스프링 패스너(170)는 경계턱(111)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형태로 제공되며, 스프링 패스너(170)의 회동을 통해 필터부재들을 원터치 방식으로 용이하게 탈장착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은 반응유닛(220)의 사시도, 분해사시도 및 조립도를 각각 나타낸다. 반응유닛(220)은 광화학적 반응을 통해 오염공기로부터 악취유발물질을 분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반응유닛(220)은 자외선 램프(2221)와 광촉매셀(224)을 포함하고, 자외선 램프(2221)로부터의 조사광에 의해 광촉매가 활성되어 악취유발물질을 분해하게 된다. 소켓 내부에서 자외선 램프(2221)는 제1 공간에 탑재되고 광촉매셀(224)은 제2 공간에 각각 탑재된다. 이 경우 광촉매셀(224)은 앞서 도 13에 도시된 방식으로 패스너(170)를 이용해 원터치 방식으로 탈장착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할 때, 상기 자외선 램프(2221)는 다른 부속품과 함께 어셈블리 형태로 제공된다. 자외선 램프 어셈블리(222)는 복수의 자외선 램프(2221), 안정기(2222), 케이스(2223) 및 커버(2224)를 포함한다. 자외선 렘프 각각은 전극 단자가 일측으로 형성된 U자형으로 제공되고, 안정기(2222)는 외부전원(도면 미도시)에 연결되며 커버(2224)에 의해 케이스(2223)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차폐된다. 자외선 램프(2221)의 전극단자는 게이스 내부에서 브라켓(2225)에 의해 안정기(222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램프 본체는 케이스(2223) 밖으로 돌출된다.
도 16을 참조할 때, 이러한 자외선 램프 어셈블리(222)는 소켓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외선 램프 어셈블리(222)가 소켓 측면의 오목부(112)에 안정적으로 수용된 상태에서, 케이스(2223) 주연을 따라 제공되는 클립(22231)이 걸림편(113)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고정된다. 이 과정에서 케이스(2223) 외부로 노출된 램프 본체는 소켓 측면의 장공형 장착구(120)를 통해 소켓의 제1 공간으로 탑재되고, 케이스(2223) 면이 장공형 장착구(120)을 완전히 차폐하게 된다. 이에 따라 램프 본체를 제외하고 수분이나 유해성 가스에 취약한 다른 부속품들은 소켓 외부에서 격리 장착될 수 있고, 장공형 장착구(120)를 통해 복수로 탑재되는 자외선 램프(2221)에 의해 광화학적 반응 효율을 최대로 할 수 있다. 도 16의 (a)는 소켓과 자외선 램프 어셈블리(222)간 결합상태가 해제된 상태를, 도 16의 (b)는 결합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소켓으로부터 자외선 램프 어셈블리(222)의 분리는 클립(22231)을 파지하여 꺼내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광촉매셀(224)은 외곽 프레임(2242)과 다수의 촉매판(2241)으로 구성된다. 촉매판(2241)은 유리와 같은 투명 기재 위로 광촉매가 코팅된 형태이고, 운전과정에서 반응생성물의 흡착으로 활성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외곽 프레임(2242) 내부에서 종방향으로 배열되어 병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촉매셀(224)에 구비된 외곽 프레임(2242)은 앞서 데미스터(212)나 백필터(214)와 마찬가지로 소켓의 내경보다 작으나 경계턱(111)에 걸릴 수 있는 크기를 갖도록 규격화되어 제공된다. 광촉매셀(224)은 제2 공간으로의 탑재는 앞서 데미스터(212)나 백필터(214)와 마찬가지로 스프링 패스너(170)를 이용해 탄성적으로 고정시키며, 원터치 방식으로 용이하게 탈장착될 수 있다.
한편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응유닛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7의 경우, 자외선 램프(2221')가 도 14의 경우와 달리 회로기판에 복수로 제공되는 LED 소자로 구현된 예를 나타낸다. 다만 도 17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LED 소자 형태의 자외선 램프(2221') 각각도 도 14에서와 유사하게 봉상을 이루어 복수로 제공되며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부품 요소와 함께 램프 어셈블리(222)를 구성하여 소켓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는 후처리유닛(230)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를 각각 나타낸다. 후처리유닛(230)은 전단의 반응유닛(220)에서 생성된 반응 부산물인 과잉산화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후처리유닛(230)은 노즐(2321)과 세퍼레이터 필터를 포함하고, 노즐(2321)을 통해 세퍼레이터 필터(234)측으로 액적으로 분사하면서 정화공기가 세퍼레이터 필터(234)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기액 접촉으로 과잉산화물을 수용해 제거하게 된다. 세퍼레이터 필터(234)에 의해 포집된 수분은 하부 드레인(140D)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소켓 내부에서 노즐(2321)은 제1 공간에 탑재되고 세퍼레이터 필터는 제2 공간에 각각 탑재된다. 이 경우, 상기 노즐(2321)은 어셈블리 형태로 제공되어 앞서 도 16에 도시된 자외선 램프(2221)와 유사한 방식으로 탈장착될 수 있고, 상기 세퍼레이터 필터는 도 13에 도시된 방식으로 패스너(170)를 이용해 원터치 방식으로 탈장착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할 때 상기 노즐(2321)은 다른 부속품과 함께 어셈블리 형태로 제공된다. 노즐 어셈블리(232)는 복수의 노즐(2321), 매니폴드(2322), 케이스(2323) 및 커버(2324)를 포함한다. 노즐(2321) 각각은 일정 간격으로 토출구가 구비된 관체로 제공되고, 매니폴드(2322)는 외부유체공급원(도면 미도시)에 연결되며 커버(2324)에 의해 케이스(2323)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차폐된다. 노즐(2321) 관체는 일단이 케이스(2323) 내부에서 커플러(2325)에 의해 매니폴드(2322)에 연결된 후 케이스(2323) 밖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노즐 어셈블리(232)는 소켓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노즐 어셈블리(232)가 소켓 측면의 오목부(112)에 안정적으로 수용된 상태에서, 케이스(2323) 주연을 따라 제공되는 클립(23231)이 소켓의 걸림편(113)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고정된다. 이 과정에서 케이스(2323) 외부로 노출된 노즐(2321) 관체는 소켓 측면의 장공형 장착구(120)를 통해 소켓의 제1 공간으로 탑재되고, 케이스(2323) 면이 장공형 장착구(120)를 완전히 차폐하게 된다. 이에 따라 노늘 관체를 제외하고 수분이나 유해성 가스에 취약한 다른 부속품들은 소켓 외부에서 격리 장착될 수 있고, 장공형 장착구(120)를 통해 복수로 탑재되는 노즐(2321) 관체에 의해 과잉산화물 제거 효율을 최대로 할 수 있다. 소켓으로부터 노즐 어셈블리(232)의 분리는 클립(23231)을 파지하여 꺼내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퍼레이터 필터의 외곽 프레임(2342)은 앞서 데미스터(212)나, 백필터(214) 또는 광촉매셀(224)과 마찬가지로 소켓의 내경보다 작으나 경계턱(111)에 걸릴 수 있는 크기를 갖도록 규격화되어 제공되고, 제1 공간으로의 탑재는 스프링 패스너(170)를 이용해 탄성적으로 고정시키며, 원터치 방식으로 용이하게 탈장착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탈취처리모듈(20; 20A, 20B) 또는 탈취장치(10; 10A, 10B)는 도 5 내지 도 7에서 오염공기의 흡배기 및 전달을 위한 환기 기능만을 수행하는 경우와, 도 8 내지 도 10의 이러한 환기 기능과 함께 정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공용 소켓을 이용해 모듈형으로 제작된 다종의 처리유닛을 시공 또는 동작 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탈취처리모듈 또는 탈취장치로의 질적 또는 양적 확장 내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환기 기능이 흡배기 기능이 별도의 외부 수단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에 있어서, 전처리유닛(210), 반응유닛(220) 또는 후처리유닛(230)(230)의 정화유닛만으로 탈취처리모듈 또는 탈취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오염공기 중 유해물질의 농도가 높아 처리용량 또는 효율을 높힐 필요가 있는 경우,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처리, 반응유닛(220) 또는 후처리유닛(230) 등의 처리유닛을 복수로 하여 직렬로 배열하거나 또는 탈취처리모듈을 다단으로 제공되는 프레임 어셈블리(30) 상에서 상하 또는 좌우에서 병렬로 배열하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확장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규격화된 공용 소켓(100)을 이용해 각각의 처리유닛을 모듈형으로 제작하고 복수의 처리유닛을 조합하여 독립된 연속유로를 갖는 하나의 용도별 탈취처리모듈(20)로 하는 구성에 의해, 장치의 부피를 최소화하면서도 기체 기밀성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어 장치의 부피 대비 처리용량 및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규격화된 공용 소켓(100)을 매개로 하여 복수의 처리유닛에 대한 조합을 시공 환경에 따라 자유롭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개별 설계나 변경 없이도 탈취처리모듈(20) 내지 탈취장치(10)의 동작내용을 시공 환경에 따라 양적 또는 질적 측면에서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용 소켓(100)은 처리유닛 각각의 서로 다른 부품 요소들을 호환 가능하게 탑재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처리유닛, 탈취처리모듈(20) 및 탈취장치(10)의 제작, 설치 및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한 것이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는 설명의 목적으로 개시된 사항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으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을 벗어나지 아니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수정과 변경은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발명의 범위 또는 이들의 균등물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10, 10A, 10B: 탈취장치
20, 20A, 20B: 탈취처리모듈
30: 프레임 어셈블리 32: 베이스
34: 레일 40: 클램프
50: 하우징
100, 100A, 100B, 100C, 100D: 소켓
110: 본체
110F: 제1 공간 110R: 제2 공간
111: 경계턱 112: 오목부
113: 걸림편 114: 결합홈
115: 결합리브 116: 보강리브
120: 장착구 130: 통기구
140U: 상부 드레인 140D: 하부 드레인
150: 캡형 트랩 160: 레일 지지 롤러
170: 패스너
210: 전처리유닛
212: 데미스터 2122: 외곽 프레임
214: 백필터 2142: 외곽 프레임
220: 반응유닛
222: 자외선 램프 어셈블리
2221, 2221': 자외선 램프 2222: 안정기
2223: 케이스 22231: 클립
2224: 커버 2225: 브라켓
224: 광촉매 셀 2241: 촉매판
2242: 외곽 프레임
230: 후처리유닛
232: 노즐 어셈블리 2321: 노즐
2322: 매니폴드 2323: 케이스
23231: 클립 2324: 커버
2325: 커플러 234: 세퍼레이터 필터
2342: 외곽 프레임
240: 믹싱유닛
242: 믹싱챔버
250: 전달유닛
252: 레듀서 253: 플랜지
254: 결합홈 255: 결합리브
260: 배기유닛
262: 팬 263: 플랜지

Claims (26)

  1. 탈취장치의 처리유닛 각각을 모듈형으로 제작하기 위한 소켓으로서, 전방 및 후방이 개방된 박스형 본체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은 내벽면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경계턱에 의해 전방측 제1 공간과 후방측 제2 공간으로 구획되고, 직렬배열시 본체의 전단 및 후단이 서로 밀봉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공간으로 연통되는 장착구; 상기 본체 측면에 형성되는 통기구; 상기 본체 상면에 형성되는 상부 드레인; 또는 상기 본체 하면에 형성되는 하부 드레인;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구에는 자외선 램프 또는 노즐이 삽입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는 기체 흡입구 또는 배기구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드레인 및 하부 드레인에 장착되는 트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구가 형성된 본체 측면에는 자외선 램프 어셈블리 또는 노즐 어셈블리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방 단부측 주연을 따라 제공되는 결합홈; 및 상기 본체의 후방 단부측 주연을 따라 제공되는 결합리브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의 직렬배열시 상기 결합홈과 결합리브가 서로 밀봉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외측면에 제공되는 복수의 레일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지지부재는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10. 오염공기의 혼합을 위한 믹싱유닛; 복수의 필터부재를 이용해 오염공기로부터 유입되는 수분 또는 고형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전처리유닛; 자외선 램프 및 광촉매 셀을 구비하여 오염공기로부터 악취유발물질을 분해하기 위한 반응유닛; 노즐 및 세퍼레이터 필터를 구비하여 과잉산화물 제거를 위한 후처리유닛; 오염공기 또는 정화공기의 전달유닛; 및 팬을 구비하여 오염공기 또는 정화공기의 배출을 위한 배기유닛;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처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유닛 각각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소켓을 이용하여 모듈형으로 제작되어, 직렬배열시 각각의 처리유닛을 구성하는 소켓 본체의 전단 및 후단이 서로 밀봉 결합됨으로써 소켓 내부 공간이 연속유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처리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유닛에서, 상기 소켓의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은믹싱챔버로 할당되고, 상기 소켓의 통기구는 기체 흡입구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처리모듈.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유닛에서, 상기 복수의 필터부재는 데미스터 또는 백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소켓의 제1 공간은 상기 데미스터의 탑재 공간으로 할당되고 상기 소켓의 제2 공간은 상기 백필터의 탑재 공간으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처리모듈.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유닛에서, 상기 소켓의 제1 공간은 상기 자외선 램프의 탑재 공간으로 할당되고 상기 소켓의 제2 공간은 광촉매 셀의 탑재 공간으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처리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측면에 형성된 오목부 내부로 자외선 램프 어셈블리가 억지끼움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처리모듈.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후처리유닛에서, 상기 소켓의 제1 공간은 상기 노즐의 탑재 공간으로 할당되고 상기 소켓의 제2 공간은 세퍼레이터 필터의 탑재 공간으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처리모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측면에 형성된 오목부 내부로 노즐 어셈블리가 억지끼움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처리모듈.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유닛은 레듀서를 포함하고, 상기 레듀서는 상기 소켓의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의 전부 또는 일부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처리모듈.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유닛에서, 상기 팬은 상기 소켓의 제1 공간 및 제2 공간의 전부 또는 일부에 탑재되고, 상기 소켓의 통기구는 기체 배기구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처리모듈.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유닛 각각은 복수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처리모듈.
  2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처리모듈은 상기 믹싱유닛; 및 상기 믹싱유닛 후단에 결합되는 배기유닛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처리모듈.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유닛과 상기 배기유닛 사이에 결합되는 전달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처리모듈.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유닛과 상기 배기유닛 사이에서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상기 전처리유닛, 반응유닛 및 후처리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처리모듈.
  2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처리모듈은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상기 전처리유닛, 반응유닛 및 후처리유닛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처리모듈.
  24. 하나 이상의 청구항 10에 따른 탈취처리모듈; 및 상기 탈취처리모듈이 탑재되는 프레임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탈취처리모듈은 상기 프레임 어셈블리의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처리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복수의 탈취처리모듈이 상하 또는 좌우로 인접하여 배치되고 각각의 탈취처리모듈이 독립된 연속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장치.
KR1020170060950A 2017-05-17 2017-05-17 소켓, 이를 이용한 처리 모듈 및 탈취장치 Active KR101783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950A KR101783407B1 (ko) 2017-05-17 2017-05-17 소켓, 이를 이용한 처리 모듈 및 탈취장치
PCT/KR2018/005645 WO2018212602A1 (ko) 2017-05-17 2018-05-17 소켓, 이를 이용한 처리 모듈 및 탈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950A KR101783407B1 (ko) 2017-05-17 2017-05-17 소켓, 이를 이용한 처리 모듈 및 탈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3407B1 true KR101783407B1 (ko) 2017-09-29

Family

ID=60035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0950A Active KR101783407B1 (ko) 2017-05-17 2017-05-17 소켓, 이를 이용한 처리 모듈 및 탈취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83407B1 (ko)
WO (1) WO2018212602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2602A1 (ko) * 2017-05-17 2018-11-22 센텍(주) 소켓, 이를 이용한 처리 모듈 및 탈취장치
CN110787559A (zh) * 2019-10-29 2020-02-14 天津同阳科技发展有限公司 用于过滤空气中臭气气体的全位立体除臭装置
KR20210006789A (ko) * 2019-07-09 2021-01-19 센텍(주) 도심형 하수관거용 유해가스 확산방지장치
KR20210036038A (ko) * 2019-09-25 2021-04-02 유세헌 용도 및 환경에 따른 조합이 가능한 조립식 모듈 탈취기
KR20230001059A (ko) * 2021-06-25 2023-01-04 정병식 실내용 탈취 장치
KR20230036223A (ko) * 2021-09-07 2023-03-14 박상권 모듈형 분진포집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433B1 (ko) 2009-09-28 2010-04-20 아이앤비에어 주식회사 공기정화 및 살균모듈
CN202179911U (zh) 2011-07-29 2012-04-04 孙新松 一种模块组合袋式气固分离净化装置
KR200460652Y1 (ko) 2007-03-06 2012-06-13 (주)이투산업환경 공기정화장치
KR101160635B1 (ko) 2010-06-18 2012-06-29 센텍(주) 물세척이 용이한 구조의 광화학적 탈취 장치
JP2014073268A (ja) 2012-10-04 2014-04-24 Insight Corp 流体を清浄するためのシステム
KR101534829B1 (ko) 2014-10-29 2015-07-08 태성건설 주식회사 운반용기를 겸한 다단 조립식 카트리지로 구성된 악취가스 흡착탑
KR101595321B1 (ko) 2014-01-21 2016-02-23 조영서 악취 제거방법 및 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3407B1 (ko) * 2017-05-17 2017-09-29 센텍(주) 소켓, 이를 이용한 처리 모듈 및 탈취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652Y1 (ko) 2007-03-06 2012-06-13 (주)이투산업환경 공기정화장치
KR100953433B1 (ko) 2009-09-28 2010-04-20 아이앤비에어 주식회사 공기정화 및 살균모듈
KR101160635B1 (ko) 2010-06-18 2012-06-29 센텍(주) 물세척이 용이한 구조의 광화학적 탈취 장치
CN202179911U (zh) 2011-07-29 2012-04-04 孙新松 一种模块组合袋式气固分离净化装置
JP2014073268A (ja) 2012-10-04 2014-04-24 Insight Corp 流体を清浄するためのシステム
KR101595321B1 (ko) 2014-01-21 2016-02-23 조영서 악취 제거방법 및 그 장치
KR101534829B1 (ko) 2014-10-29 2015-07-08 태성건설 주식회사 운반용기를 겸한 다단 조립식 카트리지로 구성된 악취가스 흡착탑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2602A1 (ko) * 2017-05-17 2018-11-22 센텍(주) 소켓, 이를 이용한 처리 모듈 및 탈취장치
KR20210006789A (ko) * 2019-07-09 2021-01-19 센텍(주) 도심형 하수관거용 유해가스 확산방지장치
KR102276469B1 (ko) * 2019-07-09 2021-07-12 센텍(주) 도심형 하수관거용 유해가스 확산방지장치
KR20210036038A (ko) * 2019-09-25 2021-04-02 유세헌 용도 및 환경에 따른 조합이 가능한 조립식 모듈 탈취기
KR102259587B1 (ko) * 2019-09-25 2021-06-02 유세헌 용도 및 환경에 따른 조합이 가능한 조립식 모듈 탈취기
CN110787559A (zh) * 2019-10-29 2020-02-14 天津同阳科技发展有限公司 用于过滤空气中臭气气体的全位立体除臭装置
KR20230001059A (ko) * 2021-06-25 2023-01-04 정병식 실내용 탈취 장치
KR102600844B1 (ko) 2021-06-25 2023-11-10 정병식 실내용 탈취 장치
KR20230036223A (ko) * 2021-09-07 2023-03-14 박상권 모듈형 분진포집기
KR102626670B1 (ko) * 2021-09-07 2024-01-17 박상권 모듈형 분진포집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12602A1 (ko) 2018-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3407B1 (ko) 소켓, 이를 이용한 처리 모듈 및 탈취장치
JP6730272B2 (ja) Uv led及び光触媒フィルターを使用した小型空気清浄器
KR100807813B1 (ko) 차량 장착용 대기정화장치
KR100809022B1 (ko) 축사용 공기정화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오존발생기의암모니움 염 제거장치
KR20160054731A (ko) Uv led와 광촉매 필터를 사용한 소형 공기 정화기
WO2015053426A1 (ko) 타원관 형상의 광촉매모듈 및 이온클러스터 발생모듈을 갖는 공기살균정화장치
KR20160054730A (ko) Uv led와 광촉매 필터를 사용한 소형 공기 정화기
JP6527712B2 (ja) 光触媒装置
KR20160099310A (ko) 전기집진장치
US11313569B2 (en) Intelligent air purification robot with mosquito-repelling function
EP4394271A1 (en) Air purification device
KR20160054734A (ko) Uv led와 광촉매 필터를 사용한 소형 공기 정화기
KR20140114119A (ko) 실험실 장비용 유해가스 정화장치
KR20160101407A (ko) 전기집진장치
KR20160054733A (ko) Uv led와 광촉매 필터를 사용한 소형 공기 정화기
CN105987443B (zh) 包括uv发光二极管和光催化过滤器的紧凑型空气净化器
CN106839143B (zh) 空气净化器
KR20160101408A (ko) 전기집진용 대전장치
KR20160054732A (ko) Uv led와 광촉매 필터를 사용한 소형 공기 정화기
KR20160068076A (ko) Uv led와 광촉매 필터를 사용한 공기 정화기
CN205392183U (zh) 挥发性有机物净化器
KR101667235B1 (ko) 오존 활성화 반응존을 갖는 탈취 유니트
CN206343064U (zh) 等离子光解净化器
KR20170005679A (ko) 전기집진기와 오존 및 촉매를 이용한 일체형 수평식 악취제거장치
KR20080045339A (ko) 탈착식 분리 구조를 갖는 산업용 탈취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1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7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9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9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9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