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95321B1 - 악취 제거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악취 제거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5321B1
KR101595321B1 KR1020140007141A KR20140007141A KR101595321B1 KR 101595321 B1 KR101595321 B1 KR 101595321B1 KR 1020140007141 A KR1020140007141 A KR 1020140007141A KR 20140007141 A KR20140007141 A KR 20140007141A KR 101595321 B1 KR101595321 B1 KR 101595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iltration
suction pipe
mesh
outs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7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6921A (ko
Inventor
조영서
Original Assignee
조영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서 filed Critical 조영서
Priority to KR1020140007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5321B1/ko
Publication of KR20150086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6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5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532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5Multi-step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B01D53/0446Means for feeding or distributing ga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장이나 병원 또는 농/축산의 등 가축을 키우는 축사와 같은 곳에서 발생하는 악취와 먼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설치하여 사용하는 악취제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기 여과의 효율을 최대로 높이고, 기존의 여과장치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인 목적으로는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악취를 탈취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그 부가적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여과장치에 다단식으로 각각의 효능이 있는 다수개의 여과장치를 설치하여서 된, 하나의 케이스에 여러 개의 여과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기존의 공기 정화기의 공기 흡입구나 배출구에 추가하여 사용함으로써 공기 정화의 효율을 최대로 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과 미세먼지 및 각종 악취까지 제거함으로써 먼지가 악취가 발생하는 곳에 상관없이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악취 제거방법 및 그 장치{The bad smell removal method and thereof device}
본 발명은 공장이나 병원 또는 농/축산의 등 의류나 종이공장 및 가축을 키우는 축사와 같은 곳에서 발생하는 악취와 먼지를 제거하기 위하여 설치하여 사용하는 악취 제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병원은 작업 환경으로 인하여 먼지와 이물질 및 냄새가 발생하게 되고, 또한 농/축산의 등 가축을 키우는 축사와 같은 곳에는 가축으로 인하여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이물질과 악취를 제거하기 위하여 공기 정화기를 설치하여 사용하였다.
즉 종래에 사용되어온 공기정화기는 실내의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불순물을 정화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종래에는 새로 지은 집이나, 먼지가 많이 발생하는 봉제, 도색, 재단, 재본 등의 공장이나 병원 또는 농/축산의 축사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되어온 공기 정화기는 단순히 실내에 있는 공기와 먼지를 흡입하여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필터로 걸러낸 다음 외부로 배출시키는 방법이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공기정화기는 대부분이 공기를 필터로 여과하여 배출하는 단순한 구조로서, 자주 필터를 청소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포름알데히드와 유기성 화합물질 또는 새집 증후군 등은 사람의 눈을 따갑게 하며, 인체의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고 아토피 피부염 등을 유발하게 한다.
그러나 단순하게 필터로만 구성된 종래의 공기정화기는 단순하게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을 필터로 걸러내는 방법으로 피부에 유해한 물질을 완벽하게 제거할 수가 없으며, 이로 인하여 농/축산의 양계나 가축을 키우는 축사 등에서는 가축의 배설물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 황화수소 등의 유해 및 오염물질이 발생하는바, 현재 이들은 그대로 대기중으로 배출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흡입되는 공기와 공기에 포함된 각종 유해 및 오염물질을 히터로 태워 연소시킨 다음 연소 된 재를 걸러내어 배출하는 먼지연소형 집진기(실용신안등록 제0365713호)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의 집진기는 연소 된 재를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함으로써 배출되는 공기에 미세 먼지가 혼합된 상태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본 출원인은 최근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집진기의 먼지 제거 방법 및 그 장치(특허 제0769110호)가 발명되었다.
그러나 상기의 특허 역시 연소 된 재를 워터스크린과 필터를 이용하여 제거하였으나, 연소 된 재가 많을 경우 재가 워터스크린을 통과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워터스크린을 통과하였다 하더라도 물기가 묻어 있는 재를 다시 필터에서 걸리게 됨으로써 자주 청소를 해야함으로써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필터의 청소가 늦을 경우 잦은 A/S를 신청함으로써 불필요한 인력의 낭비와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떨어트리게 되는 요인이 되었다.
그리고 상기 종래의 공기 정화기들은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하여 워터스크린을 가동하여야 함으로써 부피가 크고 워터스크린을 작동하기 위하여 펌프와 물탱크 및 배관을 설치하여야 함으로써 제작단가가 고가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공기여과기나 공기 정화기 및 집진기의 먼지 제거 방법 및 그 장치는 새로운 여과장치가 개발되었을 경우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기기에는 적용할 수가 없는 단점이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0365713호(2004년 10월 27일 공고) 특허 제0769110호(2012년 6월 18일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 여과의 효율을 최대로 높이고, 기존의 여과장치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부가적인 목적으로는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악취를 탈취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그 부가적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차 여과장치의 중앙부에 흡입공이 형성되고 끝 부분의 중앙부가 막힌 망사 흡입관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중앙부로 유입되어 망사 흡입관의 끝 부분에 부딪힌 공기가 망사 흡입관의 주연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미세하게 형성된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되어 망사 흡입관의 외부에 설치된 활성탄 층을 통하여 여과된 다음 1차 여과장치의 끝 부분에 외측으로 형성된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1차 여과단계;
상기 1차 여과단계를 통하여 여과된 공기가 2차 여과장치의 입구 측 외측에 형성된 흡입공을 통하여 흡입되어 상 하부로 격판을 설치하여 구성된 이동통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이동통로에 설치된 흡착망에 의하여 이물질이 여과된 다음 2차 여과장치의 내부 끝 부분의 중앙부에 형성된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한 2차 여과 단계;
상기 2차 여과단계를 통과한 공기가 3차 여과장치의 중앙부에 흡입공이 형성되고, 끝 부분이 막힌 망사 흡입관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망사 흡입관의 끝 부분에 부딪힌 공기가 망사 흡입관의 주연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미세하게 형성된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되어 망사 흡입관의 외부에 설치된 제오라이트 층을 통하여 여과된 다음 망사 흡입관의 외측으로 형성된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3차 여과단계;
상기 3차 여과단계를 통하여 여과된 공기가 4차 여과장치의 외측에 형성된 흡입공을 통하여 흡입되면서 4차 여과장치의 내부 중앙부에 설치된 UV램프에 의하여 살균처리되고, 공기 중에 포함되어있는 미세먼지는 벽면에 설치된 항균필터에 의하여 걸러지도록 된 4차 여과단계;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케이스(1)의 상부에 다단식으로 1차, 2차, 3차, 4차 여과장치(3)(4)(5)(6)가 설치되며, 그 상부에 뚜껑(2)을 체결하여 밀폐되도록 하되, 상기 1차 여과장치(3)는 몸체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끝 부분에 차단판(14)이 설치된 망사로 된 망사 흡입관(11)과,
상기 망사 흡입관(11)의 외부에는 활성탄을 넣어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및 악취를 제거하는 활성탄 층(12)과,
몸체의 끝 부분에는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망사 흡입관(11)의 외측으로 배출공(13)을 형성하여서 된 것과;
상기 2차 여과장치(4)는 몸체의 외측으로 1차 여과된 공기가 외측으로 유입되도록 중앙부에 차단판(23)이 설치되어 외측으로 흡입공(22)과, 중앙부에는 다단식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격판(21)을 상하로 설치하여 지그재그 방식으로 구성된 이동통로와,
상기 이동통로에 설치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흡착망(24)과,
상기 흡착망(24)이 설치된 몸체의 끝 부분 중앙부에 형성된 배출공(25)이 포함하여서 된 것과;
상기 3차 여과장치(5)는 몸체의 중앙부에 흡입공(32)이 형성된 망사로 된 망사 흡입관(31)을 설치하여 2차 여과장치(4)의 배출공(25)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고, 망사 흡입관(31)의 외부에는 제오라이트를 넣어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및 악취를 제거하는 제오라이트 층(34)을 구성하고, 끝 부분에는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망사 흡입관(31)의 외측으로 배출공(33)을 형성하여서 된 것과;
상기 4차 여과장치(6)는 몸체의 외측으로 3차 여과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형성 된 흡입공(41)과, 중앙부에는 수평으로 설치되어 악취를 탈취하고 살균처리하는 UV램프(42)와,
상기 UV램프(42)가 설치된 몸체의 내부 벽면에는 항균필터(44)를 설치하여 미세먼지를 걸러내고, 미세먼지가 걸러진 공기가 배출되도록 끝 부분 외측에 형성된 배출공(43)이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여과장치()와 제 3 여과장치에 설치되는 망사 흡입관(11)(31)은 관에 다수 개의 미세통공이 형성된 합성수지 관으로 구성하여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된 본 발명은 하나의 여과장치에 다단식으로 각각의 효능이 있는 다수개의 여과장치를 설치하여서 된, 하나의 케이스에 여러 개의 여과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기존의 공기 정화기의 공기 흡입구나 배출구에 추가하여 사용함으로써 공기 정화의 효율을 최대로 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과 미세먼지 및 각종 악취까지 제거함으로써 먼지가 악취가 발생하는 곳에 상관없이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활성탄 층과 흡착망 및 제오라이트 층과 항균필터와 UV램프에 의한 살균 및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수리시 케이스의 뚜껑을 열고 파손된 부분만 꺼내어 교체하면 되므로 작업이 간편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을 보린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를 보인 요부 확대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립된 상태를 보인 정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케이스(1)의 내부에 삽입 체결되고 뚜껑(2)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는 1차 여과장치(3)의 중앙부에 형성된 망사 흡입관(11)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면 유입된 공기는 망사 흡입관(11)의 끝 부분에 형성된 차단판(14)에 부딪치게 됨으로써 망사 흡입관(11)의 외부로 공기가 빠져나가게 된다.
이와 같이 망사 흡입관(11)의 외부로 유출되는 공기는 도 3에서와 같이 망사 흡입관(11)의 외부에 있는 활성탄 층(12)을 통과하면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과 악취가 걸러지면서 1차 여과장치(3)의 끝 부분에 위치한 망사 흡입관(11)의 외측부에 형성된 배출공(13)을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1차 여과장치(3)를 통과한 공기는 1차 여과장치(3)와 연결된 2차 여과장치(4)의 흡입공(22)을 통하여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2차 여과장치(4)의 내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상하로 다수 개가 설치된 격벽(21)에 의한 이동통로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공기는 이동통로에 설치된 흡착망(24)을 통과하면서 2차로 이물질과 악취가 걸러지게 된다.
그리고 2차로 이물질이 걸러진 공기는 2차 여과장치(4)의 끝 부분 중앙부에 형성된 배출공(25)을 통하여 공기가 배출되어 3차 여과장치(5)로 유입된다.
2차 여과장치(4)를 통과한 공기는 3차 여과장치(5)의 중앙부에 설치된 망사 흡입관(31)으로 유입되면서 망사 흡입관(31)의 끝 부분에 설치된 차단판에 의하여 부딪친 다음 망사 흡입관(31)의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와 같이 망사 흡입관(31)의 외부로 빠진 공기는 망사 흡입관(31)의 외부에 구성된 제오라이트 층(34)에 의하여 이물질과 악취가 3차로 제거되면서 배출공(33)을 통하여 4차 여과장치(6)의 흡입공으로 배출된다.
4차 여과장치(6)의 흡입공(41)으로 유입된 공기는 4차 여과장치(6)의 중앙부에 설치된 UV램프(42)에 의하여 조사되면서 살균처리되고, 이와 동시에 4차 여과장치(6)의 벽면에 설치된 항균필터(44)를 통과하면서 미세먼지가 흡착되어 걸러지면서 배출공(43)을 통하여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각 여과장치에 설치된 활성탄 층과 흡착망, 그리고 제오라이트 층과 UV램프와 항균필터에 의하여 이물질과 악취가 걸러지고 살균 처리된 다음 배출됨으로써 깨끗하고 위생적인 환경을 조성할 수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케이스 2. 뚜껑
3. 1차 여과장치 4. 2차 여과장치
5. 3차 여과장치 6. 4차 여과장치
11. 31. 망사 흡입관 12. 활성탄 층
13. 25. 33. 43. 배출공 14. 23. 차단판
21. 격판 22. 32. 41. 흡입공
24. 흡착망 34. 제오라이트 층
42. UV램프 44. 항균필터

Claims (3)

1차 여과장치의 중앙부에 흡입공이 형성되고 끝 부분의 중앙부가 막힌 망사 흡입관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중앙부로 유입되어 망사 흡입관의 끝 부분에 부딪힌 공기가 망사 흡입관의 주연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미세하게 형성된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되어 망사 흡입관의 외부에 설치된 활성탄 층을 통하여 여과된 다음 1차 여과장치의 끝 부분에 외측으로 형성된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1차 여과 단계;
상기 1차 여과단계를 통하여 여과된 공기가 2차 여과장치의 입구 측 외측에 형성된 흡입공을 통하여 흡입되어 상 하부로 격판을 설치하여 구성된 이동통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이동통로에 설치된 흡착망에 의하여 이물질이 여과된 다음 2차 여과장치의 내부 끝 부분 중앙부에 형성된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한 2차 여과단계;
상기 2차 여과단계를 통과한 공기가 3차 여과장치의 중앙부에 흡입공이 형성되고, 끝 부분이 막힌 망사 흡입관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망사 흡입관의 끝 부분에 부딪힌 공기가 망사 흡입관의 주연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미세하게 형성된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되어 망사 흡입관의 외부에 설치된 제오라이트 층을 통하여 여과된 다음 망사 흡입관의 외측으로 형성된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3차 여과단계;
상기 3차 여과단계를 통하여 여과된 공기가 4차 여과장치의 외측에 형성된 흡입공을 통하여 흡입되면서 4차 여과장치의 내부 중앙부에 설치된 UV램프에 의하여 살균처리되고, 공기 중에 포함되어있는 미세먼지는 벽면에 설치된 항균필터에 의하여 걸러지도록 된 4차 여과단계;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제거방법.
케이스(1)의 상부에 다단식으로 1차, 2차, 3차, 4차 여과장치(3)(4)(5)(6)가 설치되며, 그 상부에 뚜껑(2)을 체결하여 밀폐되도록 하며, 여과장치로는 활성탄 층과 제오라이트 층 및 흡착망으로 구성되고, 몸체의 내부에 다단식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격판(21)을 상하로 설치하여 지그재그 방식으로 구성된 이동통로와, 상기 이동통로에 설치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흡착망(24)으로 이루어진 악취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차, 2차, 3차, 4차, 여과 장치는 케이스(1)의 상부에 다단식으로 1차, 2차, 3차, 4차 여과장치(3)(4)(5)(6)가 설치되며, 그 상부에 뚜껑(2)을 체결하여 밀폐되도록 하되, 상기 1차 여과장치(3)는 몸체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끝 부분에 차단판(14)이 설치된 망사로 된 망사 흡입관(11)과,
상기 망사 흡입관(11)의 외부에는 활성탄을 넣어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및 악취를 제거하는 활성탄 층(12)과,
몸체의 끝 부분에는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망사 흡입관(11)의 외측으로 배출공(13)을 형성하여서 된 것과;
상기 2차 여과장치(4)는 몸체의 외측으로 1차 여과된 공기가 외측으로 유입되도록 중앙부에 차단판(23)이 설치되고 차단판(23)의 외측으로 형성된 흡입공(22)과;
몸체의 중앙부에는 다단식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의 격판(21)을 상하로 설치하여 지그재그 방식으로 이동통로를 구성하며 이동통로에 설치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흡착망(24)을 설치하되, 상기 흡착망(24)이 설치된 몸체의 끝 부분 중앙부에 형성된 배출공(25)을 형성하여서 된 것과;
상기 3차 여과장치(5)는 몸체의 중앙부에 흡입공(32)이 형성된 망사로 된 망사 흡입관(31)을 설치하여 2차 여과장치(4)의 배출공(25)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고, 망사 흡입관(31)의 외부에는 제오라이트를 넣어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및 악취를 제거하는 제오라이트 층(34)을 구성하되, 몸체의 끝 부분에는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망사 흡입관(31)의 외측으로 배출공(33)을 형성하여서 된 것과;
상기 4차 여과장치(6)는 몸체의 외측으로 3차 여과된 공기가 유입되도록 형성 된 흡입공(41)과, 중앙부에는 수평으로 설치되어 악취를 탈취하고 살균처리하는 UV램프(42)와,
상기 UV램프(42)가 설치된 몸체의 내부 벽면에는 항균필터(44)를 설치하여 미세먼지를 걸러내고, 미세먼지가 걸러진 공기가 배출되도록 몸체의 끝 부분 외측에 형성된 배출공(43)이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제거장치.
삭제
KR1020140007141A 2014-01-21 2014-01-21 악취 제거방법 및 그 장치 Active KR101595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141A KR101595321B1 (ko) 2014-01-21 2014-01-21 악취 제거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7141A KR101595321B1 (ko) 2014-01-21 2014-01-21 악취 제거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921A KR20150086921A (ko) 2015-07-29
KR101595321B1 true KR101595321B1 (ko) 2016-02-23

Family

ID=53876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7141A Active KR101595321B1 (ko) 2014-01-21 2014-01-21 악취 제거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53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3407B1 (ko) 2017-05-17 2017-09-29 센텍(주) 소켓, 이를 이용한 처리 모듈 및 탈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2965B1 (ko) 2015-08-02 2017-07-11 조도진 공기 정화기의 악취와 미세먼지 여과방법 및 그 장치
KR102363298B1 (ko) * 2021-07-01 2022-02-14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507839B1 (ko) * 2022-11-03 2023-03-07 이병문 스마트 신발 바닥 클린 정화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249B1 (ko) * 2005-04-06 2007-03-02 조영봉 악취 및 유해 공기 오염물질의 처리장치 및 방법
JP2007209594A (ja) 2006-02-10 2007-08-23 Taisei Corp 空気清浄効果を有するダクト型中空構造物および空気清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14384B1 (fr) 1993-12-29 1996-02-02 Atochem Elf Sa Copolymère bloc étoile d'un monomère vinylaromatique et d'un diène conjugué, son procédé d'obtention, et les compositions comprenant ledit copolymère et du polystyrène cristal.
JPH1147256A (ja) * 1997-08-04 1999-02-23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脱臭装置
KR20010113593A (ko) * 2001-11-22 2001-12-28 원종만 실내공기의 살균 정화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249B1 (ko) * 2005-04-06 2007-03-02 조영봉 악취 및 유해 공기 오염물질의 처리장치 및 방법
JP2007209594A (ja) 2006-02-10 2007-08-23 Taisei Corp 空気清浄効果を有するダクト型中空構造物および空気清浄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3407B1 (ko) 2017-05-17 2017-09-29 센텍(주) 소켓, 이를 이용한 처리 모듈 및 탈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6921A (ko) 2015-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5820B1 (ko) 미세먼지와 악취 제거방법 및 그 장치
KR101152787B1 (ko) 공기정화기의 유해물질 제거 방법 및 그 장치
KR101663962B1 (ko) 공기정화기의 악취 제거장치
KR20150015880A (ko) 공기정화기의 악취 제거 방법 및 그 장치
KR101595321B1 (ko) 악취 제거방법 및 그 장치
CN101322852A (zh) 厕卫空气净化装置
CN109499234A (zh) 医院环境空气处理系统
CN103925647A (zh) 空气净化器及其净化空气的方法
KR101519376B1 (ko) 기포를 이용한 미세먼지 및 악취 제거방법 및 그 장치
JP6727766B2 (ja) 畜産環境保全設備
KR101034868B1 (ko) 지능형 다단 수처리 방식의 공기정화 살균 가습장치
CN102029096A (zh) 空气清净机
KR101463216B1 (ko) 효율이 향상된 악취제거장치
CN104613551B (zh) 一种空气净化器
CN219795630U (zh) 一种有净化结构的自动通风机
CN203718962U (zh) 加湿型空气净化器
KR102000916B1 (ko) 공기 정화 및 제연 기능을 갖는 흡연 스탠드
CN214307480U (zh) 一种壁挂式室内空气净化杀菌消毒机
KR20140035118A (ko) 악취 및 공기 정화방법 및 그 장치
KR101379414B1 (ko) 공기정화용 필터
CN207881000U (zh) 一种室内空气净化装置
CN202485146U (zh) 卫生间异味气体自动清洁装置
KR200371836Y1 (ko) 필터방식 원통형 공기 청정기
CN2893503Y (zh) 多功能空气净化器
KR102594289B1 (ko) 미세먼지와 세균 및 바이러스 제거기능을 갖는 공기정화살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1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4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27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2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