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82234B1 -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2234B1
KR101782234B1 KR1020157013935A KR20157013935A KR101782234B1 KR 101782234 B1 KR101782234 B1 KR 101782234B1 KR 1020157013935 A KR1020157013935 A KR 1020157013935A KR 20157013935 A KR20157013935 A KR 20157013935A KR 101782234 B1 KR101782234 B1 KR 101782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component
electric
furnace
treating
debri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3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4609A (ko
Inventor
유타카 야스다
유키 소마
재형 홍
Original Assignee
판 퍼시픽 카파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판 퍼시픽 카파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판 퍼시픽 카파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94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23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7/00Working up raw materials other than ores, e.g. scrap, to produce non-ferrous metals and compounds thereof; Methods of a general interest or applied to the winning of more than two metals
    • C22B7/001Dry processes
    • C22B7/003Dry processes only remelting, e.g. of chips, borings, turnings; apparatus used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005Preliminary treatment of scrap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5/00Obtaining 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5/00Obtaining copper
    • C22B15/0026Pyrometallurgy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5/00Obtaining copper
    • C22B15/0026Pyrometallurgy
    • C22B15/0056Scrap tr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용련로에 있어서의 과환원의 발생을 억제하여,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를 가능한 한 많이 효율적으로 용련로에서 처리할 수 있는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 방법은, 구리를 포함하는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를 소정의 사이즈 이하로 분쇄하는 공정과, 분쇄된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를 구리의 용련로에서 처리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 방법 {PROCESSING METHOD OF ELECTRIC AND ELECTRONIC PARTS SCRAPS}
본 발명은,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전자 부품 제조업이나 그것들의 전기·전자 부품을 이용하는 제품 및 산업으로부터 발생하는 스크랩류(전선 부스러기, 리드 프레임, IC 칩, 수지 구비 기판 부스러기, 초소형 코일, 스위치 등)의 발생량이 대폭으로 증대하는 경향이 있다. 이것들 스크랩류는, 금속, 수지, 세라믹 등을 포함하는 복합 재료이며, 구체적으로는 전기 도체로서 사용되는 구리나, 접점, 도금 피막 등에 사용된 금, 은, 백금, 팔라듐 등의 유가 금속이 포함되어 있다. 이 유가 금속의 회수는, 자원의 리사이클에 의한 자원 절약의 관점에서도 중요하다.
상기와 같은 스크랩류는 물론 이전부터도 발생하고 있고, 그 리사이클 방법은 다양하다. 구리분이 많고, 다른 유가 금속(귀금속)의 함유율이 낮으면, 단순히, 용융한 구리 중에 스크랩류를 투입하여, 구리나 유가 금속을 회수할 수 있다.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로부터 구리 및 유가 금속을 회수하는 방법으로서는, 종래, 다양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유가 금속을 함유하는 스크랩류를 동광석 용련용 자용로에 샤프트 천장부에서 장입하고, 유가 금속을 노 내에 체류하는 매트에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랩류로부터의 유가 금속의 리사이클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동용련 자용로에서의 동제련에 스크랩 처리를 조합하기 때문에, 유가 금속함유율이 낮은 스크랩류에서도, 저비용으로 유가 금속을 회수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9-78151호 공보
종래, 제련소에서 받아들이는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는, 통상 입도가 예를 들어 20 내지 80mm로 크기 때문에, 받아들인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대부분은 광석을 용융 제련하는 용련로에서 얻어진 매트를 처리하는 전로에 장입해서 처리하고 있다. 최근,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리사이클 수요가 증가하고, 거기에 따른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여기서, 종래의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 방법과 같이 전로와 같은 매트 제련로에서 처리량을 증가시키면, 용련로에 비하여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에 포함되는 불순물을 분리하는 능력이 매트 제련로는 떨어지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전해용의 애노드를 제조할 때에 불순물이 많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용련로에서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를 처리하는 쪽이 바람직하지만, 용련로에 있어서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를 처리하는 경우에는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를 구성하는 수지 등의 유기물에 포함되는 탄소 성분이 증가하고, 이에 의해 용련로의 처리 시에 과환원에 의한 트러블이 발생하기 때문에 용련로에 있어서 처리량을 증가시킬 수 없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용련로에 있어서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었다. 특허문헌 1에서는 실시예로서 용련로의 1종인 자용로에 있어서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 스크랩의 처리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동광석 처리량 65ton/h에 대하여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스크랩 장입량은 0.55ton/h로 동광석에 대하여 1% 미만이었다. 현재의 자용로의 조업 기술은 당시부터 진보해서 동정광의 처리량이 200ton/h를 초과하는 처리량도 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이 증가한 동정광 처리량에 대하여 특허문헌 1의 실시예와 동등한 비율로 스크랩 장입량을 유지하면 용련로에 있어서 과환원에 의한 트러블이 증가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다른 용련로에서도 동일하게 발생하는 것이 충분히 고려되어진다. 이로 인해, 종래의 건식 제련 공정에서의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 방법에서는, 최근의 리사이클 수요를 충족시킬 만큼의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 효율이 얻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용련로에 있어서의 과환원의 발생을 억제하여,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를 가능한 한 많이 효율적으로 용련로에서 처리할 수 있는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를 용련로에서 처리하기 전에, 소정의 사이즈 이하로 분쇄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구리를 포함하는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를 소정의 사이즈 이하로 분쇄하는 공정과, 상기 분쇄된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를 구리의 용련로에서 처리하는 공정을 구비한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 방법은 다른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분쇄 공정에서의 상기 소정의 사이즈가 체적 기준의 D50이 150㎛이다.
본 발명의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 방법은 또한 별도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분쇄 공정에서의 상기 소정의 사이즈가 체적 기준의 D80가 250㎛이다.
본 발명의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 방법은 또한 별도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분쇄 공정에서의 상기 소정의 사이즈 이하로 하기 위해서 기류 분급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 방법은 또한 별도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분쇄 공정 후의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 중의 탄소 농도가 3% 이상이다.
본 발명의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 방법은 또한 별도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용련로에서 처리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분쇄된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에 동정광을 혼합해서 처리한다.
본 발명의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 방법은 또한 별도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용련로에서 처리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분쇄된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에 동정광을 혼합해서 용련로의 버너로부터 투입해서 처리한다.
본 발명의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 방법은 또한 별도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용련로에서 처리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분쇄된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연소열을 반응열로서 이용한다.
본 발명의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 방법은 또한 별도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용련로가 자용로이다.
본 발명의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 방법은 또한 별도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분쇄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를, 상기 용련로에서 상기 동정광과 함께 장입하는 규산광과 섞어서 분쇄한다.
본 발명의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 방법은 또한 별도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분쇄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적어도 일부를 수직형 롤러 밀을 사용해서 분쇄한다.
본 발명의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 방법은 또한 별도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분쇄 공정 전에, 상기 구리를 포함하는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적어도 일부를 소각하는 공정을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 방법은 또한 별도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용련로에서 처리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동정광에 대한 상기 분쇄된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중량 비율을 1% 이상으로 혼합한다.
본 발명의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 방법은 또한 별도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용련로에서 처리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분쇄된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를 중량으로 3ton/h 이상 6ton/h 이하로 처리한다.
본 발명은, 구리를 포함하는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를 소정의 사이즈 이하로 분쇄한 후, 분쇄된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를 구리의 용련로에서 처리하기 때문에, 구리의 용련로, 예를 들어 자용로의 단위 처리 시간당의 부품 부스러기 처리량을 보다 많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용련로에 있어서의 탄소 성분에 의한 과환원 현상의 발생을 억제하여, 효율적으로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를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수직형 롤러 밀의 모식도를 나타낸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 방법의 실시 형태를, 도면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관한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 방법은, 구리를 포함하는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를 소정의 사이즈로 분쇄하는 공정과, 분쇄된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를 구리의 용련로에서 처리하는 공정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는, 분쇄 및 용련로에서의 처리 전에, 먼저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적어도 일부, 바람직하게는 전부를 소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를 분쇄하기 전에 소각하기 때문에,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지 등의 유기물의 적어도 일부를 소각에 의해 제거함으로써 용량을 작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보다 효율적인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지 등의 유기물의 적어도 일부를 소각에 의해 제거함으로써, 용련로의 처리 등에서의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에 포함되는 탄소 성분에 의한 과환원 트러블의 발생을 보다 양호하게 억제하여, 노체 벽돌 및 재킷의 손상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이 물러져, 후단의 분쇄 공정에서 분쇄가 용이해진다. 또한, 소각함으로써,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 중의 휘발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용련로에 불소, 염소, 브롬 등의 바람직하지 않은 성분이 혼입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소각 공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회전 가마에 의해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를 550 내지 650℃ 정도에서 소각한 후, 냉각하여, 10mm 내지 20mm의 체눈으로 체 분리해도 좋다.
또한, 종래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용련로에서 처리하기 위해서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를 규산광과 함께 볼 밀에서 분쇄하기도 했지만, 메탈이나 유리 섬유와 같은 분쇄 곤란물도 포함되기 때문에, 이때의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규산광에 대한 비율은 약 1/10 이하로 혼합하고, 이것을 예를 들어 자용로에 장입하고 있고, 자용로의 부품 부스러기 처리량이 소량이었다. 또한, 종래의 다른 방법으로서는, 부품 부스러기 처리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입경 10mm 이하 또는 20mm 이하로 체 분리한 부품 부스러기를 분쇄하지 않고 자용로에 장입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 소각한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를 더욱 분쇄해서 자용로에서 처리하기 때문에,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량이 증가한다.
본 발명의 분쇄 공정에서의 분쇄는, 소각 부품 부스러기가 용련로(예를 들어 자용로) 세틀러 저부까지 침강하기 전에, 또는, 매트나 슬래그의 배출부로부터 배출될 때까지, 미연소 카본분이 산화되고, Cu분은 동정광 중의 S분과 반응해서 매트가 되고, Fe분은 산소와 반응해서 슬래그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입도까지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용련로 장입 전에 소각해도 잔존하는 Cu분이나 Fe분에는 메탈 형상의 것이 존재하고, 이 메탈 형상의 것이 탄소 성분과 마찬가지로 노체 부착물과 같은 산화물을 환원시켜, 과환원 트러블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다. 메탈 형상의 Cu분, Fe분을 노체나 배출 홈통과 접촉하기 전에 Cu분은 원료 중의 S분과 반응시켜서 매트로 하고, Fe분은 산소와 반응시켜서 슬래그화시키기 위해서는 입도가 작아지도록 소정 사이즈까지 분쇄해서 용련로에 장입한다. 구체적으로는, 용련로에 삽입하는 정광과 동등하거나 그 이하의 입도이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용련로에 장입되는 정광은 일반적으로는 체적 기준의 D50(메디안 직경)으로서 10 내지 150㎛인 것부터, 예를 들어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를 체적 기준의 D50이 150㎛ 이하까지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체적 기준의 D80이 250㎛ 이하까지 분쇄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소각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를 체적 기준의 D50이 150㎛ 이하 또는 체적 기준의 D80이 250㎛ 이하로 되는 사이즈(입도)까지 분쇄해서 자용로 처리하기 때문에, 자용로 내의 과환원에 의한 트러블이 보다 저감된다. 여기서, D50이 150㎛ 이하인 분체 및 D80이 250㎛ 이하인 입체는, 파우더와 같이 미세한 것이며, 모래 입자 크기의 모래 형상체보다도 훨씬 가는 입체이다.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이러한 파우더와 같이 잔 입체가 될 때까지 분쇄한다.
당해 D50은 120㎛ 이하, 100㎛ 이하, 80㎛ 이하로도 좋다. 또한, 당해 D80은 220㎛ 이하, 200㎛ 이하, 180㎛ 이하로도 좋다.
또한, 자용로 내의 과환원에 의한 트러블로서는, 예를 들어 자용로의 내벽에 셀프 코팅으로서의 노체 부착물(예를 들어, 마그네타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산화물)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것이 과환원에 의해 융해되서 제거되어 버려, 노체 벽돌 및 재킷의 손상 등이 발생하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는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를 규산광과 함께 볼 밀에서 분쇄하고 있지만,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에는 볼 밀에서 분쇄되지 않고 체류하는 분쇄 곤란물이 포함되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규산광에 대한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투입 비율을 높게 해서 볼 밀에 도입하면 메탈이나, 메탈과 같은 비중이 큰 것 등의 분쇄 곤란물이 볼 밀 내에 축적되어 볼 밀의 용적을 서서히 감소시킴으로써 분쇄 처리 속도의 저감으로 연결되고 있었다. 이에 대해, 본 발명과 같이 소각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를 정광과 동일 체적 기준의 D50이 150㎛ 이하 또는 체적 기준의 D80이 250㎛ 이하까지 분쇄해서 자용로에 장입함으로써, 정광과 동일 정도의 반응 속도가 예상되기 때문에 노벽이나 노저에 도달하기 전에 샤프트부나 용탕 내에서 잔류 탄소의 환원 반응을 완료시켜, 자용로 내의 과환원에 의한 트러블이 저감된다. 따라서, 용련로에 있어서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 처리량을 제한할 필요가 없어져, 제련 공정에 있어서 종래 이상으로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용련로에서 처리하는 공정에 있어서, 분쇄된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에 동정광을 혼합해서 용련로의 버너로부터 투입해서 처리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용련로에서 처리하는 공정에 있어서, 분쇄된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연소열을 반응열로서 이용할 수 있고,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양호한 비용으로 효율적인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는, 분쇄 공정에 있어서,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를, 용련로에서 동정광과 함께 장입하는 규산광과 섞어서 분쇄해도 좋다. 통상, 비철 제련로에 있어서는 슬래그의 유동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 규산광 등의 용제를 원료 정광과 함께 용련로에 장입하지만, 용제를 구입할 때에는 저렴한 괴상으로 구입하는 경우가 많고,볼 밀 등을 사용해서 자사에서 분쇄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용제 밀의 능력에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를 용련로에서 동정광과 함께 장입하는 규산광과 섞어서 분쇄 처리함으로써, 파쇄 설비 도입 비용을 요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분쇄 공정 후의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는, 당해 부품 부스러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지 등의 유기물 등에 기인하는 탄소 성분이 잔존되어 있어도 좋다. 여기서, 당해 분쇄 공정 후의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 중의 탄소 농도가 3% 이상이어도 좋고, 5% 이상이어도 좋고, 10% 이상이어도 좋다. 또한, 탄소 농도의 상한으로서는 30% 이하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는, 분쇄 공정에 있어서,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적어도 일부를, 수직형 롤러 밀을 사용해서 분쇄해도 좋다. 도 2는, 수직형 롤러 밀의 모식도이다. 수직형 롤러 밀을 사용한 분쇄 방식으로서는, 먼저, 분쇄 대상의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를 스크루 피더를 통해서 수평 회전하는 테이블 중앙에 공급한다. 테이블에는, 외주측을 따라 형성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테이블 중앙에 공급된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는, 원심력으로 테이블 외주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테이블의 오목부 상면을 따르도록 설치된 롤러(2 내지 3개)와, 테이블 사이에서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가 분쇄된다. 분쇄되어서 미분이 된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는, 또한 외주 방향으로 이동하고,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흐르는 상승 기류(대기를 이용)에서 뿜어 올려져, 분급(기류 분급)되어 상방에 설치된 로터 내로 운반되어 회수된다.
수직형 롤러 밀을 사용한 분쇄 방식에 의하면, 기류 분급 효과를 이용해서 풍량을 조절함으로써,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분쇄 후의 입도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비중이 큰 메탈은 미세하게 분쇄되어 있지 않으면 기류에 의해 상방으로 운반할 수 없기 때문에, 이 작용을 이용해서 소정의 크기 이하의 메탈만을 기류에서 상방으로 운반하고, 그 이상의 크기의 메탈로부터 분리(기류 분급)할 수 있다.
또한, 미분쇄물은 테이블 아래로 떨어져서 머무르기 때문에, 미분쇄물이 발생하는 경우는 정기적으로 배출 운전을 함으로써 미분쇄물을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열풍을 도입할 수 있기 때문에, 건조 분쇄가 가능하다. 또한, 동력원 단위가 작아, 고효율의 분쇄가 가능하다. 또한,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분쇄로 발생하는 메탈 등의 비중이 큰 미분쇄물을 자동 배출함으로써, 연속적인 운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리를 포함하는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를 소정의 사이즈 이하로 분쇄하는 공정과, 분쇄된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를 구리의 용련로에서 처리하는 공정을 구비하기 때문에, 용련로에서 처리하는 공정에 있어서, 동정광에 대한 분쇄된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중량 비율을 1%이상으로 혼합할 수 있고, 종래에 비해, 소정 처리량의 동정광에 대하여 보다 많은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용련로에서 처리하는 공정에 있어서, 분쇄된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를 중량으로 3ton/h 이상 6ton/h 이하로 처리할 수 있어, 종래에 비해, 효율적인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실시예는 예시 목적이며 발명이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이하에 기재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 방법을 실제의 조업으로 실시하기 위한 모의 시험을 행했다.
Cu:30질량%, Fe:4.2질량%, SiO2:20질량%, :Al2O3:10질량%을 포함하는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를 준비하고, 당해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를 회전 가마에 의해 550 내지 650℃에서 소각한 후, 냉각하여, 10mm의 체눈으로 체 분리했다. 소각 후의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는, 소각 전의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에 대하여 25체적% 감소되어 있었다. 당해 감소분은,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에 포함되어 있던 유기물의 탄소 성분이 CO2로 되어 제거된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어서, 체 분류 후의 체 아래의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수직형 롤러 밀을 사용해서 체적 기준의 D50이 100㎛ 이하까지 분쇄했다. 또한, 체적 기준의 D50은 닛키소사제 마이크로트랙 MT3300으로 측정했다. 밀내의 테이블은 1200mm 직경, 롤러수를 3개, 구동 방식을 수직형 감속기(커플링 직결형), 전동기의 출력을 340kW(밀 본체)로 했다.
분쇄되어 미분이 된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는, 밀 내에서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흐르는 상승 기류(대기를 이용)로 뿜어 올려, 풍량을 조절함으로써 분급(기류 분급)하여, 상방에 설치한 로터 내로 운반하여 회수했다.
회수 후의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조성은, Cu:27질량%, Fe:4.1질량%, SiO2:21질량%, :Al2O3:11질량%이었다.
또한, 수분 함유량은, 소각 전의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에 있어서는 15% 이하, 회수 후의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에 있어서는 3% 이하이었다.
이어서, 분쇄 후, 기류 분급에 의해 회수한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를 구리의 용련로의 1종인 자용로에서 처리했다. 자용로의 원료 처리 조건은, 동정광 처리량이 215ton/h이며,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 처리량이 동정광 처리량에 대하여 2.0%이었다. 이때, 자용로에 있어서 과환원이 발생하지 않고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를 양호하게 처리할 수 있었다. 용련로에서 생성한 매트를 전로의 산화 제련로에서 조동으로 한 후, 전해용 애노드를 제조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은,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종래의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 스크랩의 처리 방법에서, 동광석 처리량 65ton/h에 대하여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스크랩 장입량이 0.55ton/h으로 동광석에 대하여 1% 미만이었던 것에 비하여, 처리 효율이 크게 향상된 결과로 되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소각 전의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를 5,000ton/월의 처리량으로 처리할 수 있었다.

Claims (14)

  1. 구리를 포함하는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를 분쇄하고, 기류 분급을 사용하여 체적 기준의 D50으로 150㎛ 이하의 사이즈로 하는 공정과,
    상기 분쇄된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를 구리의 용련로에서 처리하는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분쇄 공정 후의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 중의 탄소 농도가 3% 이상인,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 공정이, 상기 구리를 포함하는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를 분쇄하고, 기류 분급을 사용하여 체적 기준의 D50으로 150㎛ 이하 또한 체적 기준의 D80으로 250㎛ 이하의 사이즈로 하는 공정인,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련로에서 처리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분쇄된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에 동정광을 혼합해서 처리하는,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련로에서 처리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분쇄된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에 동정광을 혼합해서 용련로의 버너로부터 투입해서 처리하는,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련로에서 처리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분쇄된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연소열을 반응열로서 이용하는,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 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련로가 자용로인,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를, 상기 용련로에서 상기 동정광과 함께 장입하는 규산광과 섞어서 분쇄하는,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 방법.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적어도 일부를 수직형 롤러 밀을 사용해서 분쇄하는,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 방법.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 공정 전에, 상기 구리를 포함하는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적어도 일부를 소각하는 공정을 더 구비한,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 방법.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련로에서 처리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동정광에 대한 상기 분쇄된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중량 비율을 1% 이상으로 혼합하는,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 방법.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련로에서 처리하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분쇄된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를 중량으로 3ton/h 이상 6ton/h이하로 처리하는,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 방법.
KR1020157013935A 2013-12-26 2014-10-07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 방법 Active KR1017822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70166A JP6050222B2 (ja) 2013-12-26 2013-12-26 電気・電子部品屑の処理方法
JPJP-P-2013-270166 2013-12-26
PCT/JP2014/076840 WO2015098232A1 (ja) 2013-12-26 2014-10-07 電気・電子部品屑の処理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609A KR20150094609A (ko) 2015-08-19
KR101782234B1 true KR101782234B1 (ko) 2017-09-26

Family

ID=53478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3935A Active KR101782234B1 (ko) 2013-12-26 2014-10-07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050222B2 (ko)
KR (1) KR101782234B1 (ko)
WO (1) WO20150982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44981B2 (ja) * 2016-07-14 2020-08-19 コリア インスティチュート オブ ジオサイエンス アンド ミネラル リソースズ 貴金属の濃縮回収方法
JP7076178B2 (ja) * 2016-11-18 2022-05-27 Jx金属株式会社 電子・電気機器部品屑の処理方法
JP6967856B2 (ja) * 2017-01-26 2021-11-17 Jx金属株式会社 電気電子部品屑の処理方法
KR20230164203A (ko) 2018-01-31 2023-12-01 제이엑스금속주식회사 선상물의 제거 방법, 선상물의 제거 장치 및 전자ㆍ전기 기기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 방법
CN111670259A (zh) * 2018-01-31 2020-09-15 捷客斯金属株式会社 电子、电气设备部件屑的处理方法
KR20230069243A (ko) 2018-03-16 2023-05-18 제이엑스금속주식회사 전자·전기 기기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 방법
JP6914220B2 (ja) 2018-03-16 2021-08-04 Jx金属株式会社 電子・電気機器部品屑の処理方法
JP7076338B2 (ja) 2018-09-03 2022-05-27 Jx金属株式会社 線状物の除去方法、線状物の除去装置及び電子・電気機器部品屑の処理方法
WO2020090941A1 (ja) 2018-10-31 2020-05-07 Jx金属株式会社 電子・電気機器部品屑の組成解析装置、電子・電気機器部品屑の処理装置及び電子・電気機器部品屑の処理方法
JP7029424B2 (ja) 2019-03-29 2022-03-03 Jx金属株式会社 電子・電気機器部品屑の処理方法
JP7104652B2 (ja) 2019-03-29 2022-07-21 Jx金属株式会社 選別機及び電子・電気機器部品屑の処理方法
JP7076397B2 (ja) 2019-03-29 2022-05-27 Jx金属株式会社 電子・電気機器部品屑の処理方法
JP7282582B2 (ja) 2019-04-22 2023-05-29 Jx金属株式会社 電子・電気機器部品屑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CN113727787B (zh) * 2019-06-03 2023-06-13 捷客斯金属株式会社 原料送出装置、电子/电气设备部件屑的处理方法及电子/电气设备部件屑的原料送出方法
JP2019202319A (ja) * 2019-08-21 2019-11-28 Jx金属株式会社 竪型粉砕装置及び竪型粉砕装置の操業方法
WO2021177381A1 (ja) 2020-03-03 2021-09-10 Jx金属株式会社 線状物の除去方法、線状物の除去装置及び電子・電気機器部品屑の処理方法
JP7368407B2 (ja) * 2021-03-05 2023-10-24 Jx金属株式会社 廃太陽光発電パネルの処理方法
WO2024135143A1 (ja) 2022-12-20 2024-06-27 Jx金属株式会社 塊状の銅線屑を含む処理対象物の処理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4126A (ja) 1998-09-30 2000-04-11 Shin Meiwa Ind Co Ltd 廃プリント基板からの銅を含む有価金属の回収方法及び廃プリント基板からの銅を含む有価金属の回収とスラグ成分の分離システム
JP2002105547A (ja) * 2000-09-29 2002-04-10 Nippon Mining & Metals Co Ltd 銅含有合金の処理方法
JP2003130318A (ja) 2001-10-26 2003-05-08 Mitsubishi Materials Corp 産業廃棄物処理プラン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50928A (ko) * 1971-10-29 1973-07-18
JP3535629B2 (ja) * 1995-09-12 2004-06-07 日鉱金属株式会社 スクラップ類からの有価金属のリサイクル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4126A (ja) 1998-09-30 2000-04-11 Shin Meiwa Ind Co Ltd 廃プリント基板からの銅を含む有価金属の回収方法及び廃プリント基板からの銅を含む有価金属の回収とスラグ成分の分離システム
JP2002105547A (ja) * 2000-09-29 2002-04-10 Nippon Mining & Metals Co Ltd 銅含有合金の処理方法
JP2003130318A (ja) 2001-10-26 2003-05-08 Mitsubishi Materials Corp 産業廃棄物処理プラン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123418A (ja) 2015-07-06
JP6050222B2 (ja) 2016-12-21
KR20150094609A (ko) 2015-08-19
WO2015098232A1 (ja) 2015-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2234B1 (ko) 전기·전자 부품 부스러기의 처리 방법
KR100795288B1 (ko) 구리, 귀금속을 함유하는 스크랩, 슬러지 또는 스크랩 및 슬러지의 처리 방법
US8800775B2 (en) Method for recovering metals from electronic waste containing plastics materials
CN108220610B (zh) 一种含重金属除尘灰的处理方法
CN102399993A (zh) 一种湿法黄金冶炼废渣的处理方法
US10697041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crude copper from low-grade copper sludge
JP6228843B2 (ja) 銅製錬における電気・電子部品屑の処理方法
KR101493968B1 (ko) 스테인리스 제강공정 및 가공공정 폐기물로부터의 유가금속의 회수방법
KR101110650B1 (ko) 서멧으로부터 유용 금속물의 회수
JP2000054039A (ja) 鉛含有材料からの金属鉛回収方法
KR102153185B1 (ko) 리튬함유 광석으로부터 황산리튬용액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JP4948429B2 (ja) 金属類及び塩素を含有する可燃性廃棄物の処理システム
CN106148682A (zh) 处理锌浸出渣的方法和系统
JP2017190529A (ja) 銅製錬における電気・電子部品屑の処理方法
CN114260099A (zh) 一种高效回收铜冶炼炉渣中铜、铁金属的方法
KR101494256B1 (ko) 유가 금속 회수 장치
JP5532823B2 (ja) 廃電池等からの有価金属の回収方法
CN205907314U (zh) 处理锌浸出渣的系统
CN116656944A (zh) 一种红土镍矿悬浮焙烧预还原—熔炼系统及工艺
JP7368407B2 (ja) 廃太陽光発電パネルの処理方法
JP2007186761A (ja) 有価金属の回収方法
KR100891204B1 (ko) 산업폐기물의 재처리 방법
JP3781316B2 (ja) 使用後の耐火物の原料リサイクル方法
KR20210039777A (ko) 리튬함유 광석으로부터 황산리튬용액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CN220224278U (zh) 一种高砷锑氧锑砷分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4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9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4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11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5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705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4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112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5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9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9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