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76936B1 -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 - Google Patents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6936B1
KR101776936B1 KR1020150172935A KR20150172935A KR101776936B1 KR 101776936 B1 KR101776936 B1 KR 101776936B1 KR 1020150172935 A KR1020150172935 A KR 1020150172935A KR 20150172935 A KR20150172935 A KR 20150172935A KR 101776936 B1 KR101776936 B1 KR 101776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calf
user
main body
ank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2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6816A (ko
Inventor
이종명
Original Assignee
이종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명 filed Critical 이종명
Priority to KR1020150172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6936B1/ko
Publication of KR20170066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6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93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 A63B21/4015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to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for ankle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1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for feet or to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3/00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64He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복적인 롤링운동을 이용하여 발목과 종아리 근육을 강화하고 상하반전되게 놓여 척추를 가압하는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는 전후로 반복되는 롤링에 의해 발목 및 종아리에 스트레칭, 근육강화 효과를 볼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의 허리에 놓여 척추의 고유의 만곡된 형상으로 바로 잡아주는 복합기능을 가지고 있어 휴대 및 사용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는 온열수단이 마련되어 종아리 운동시나 척추 베개 이용시 찜질 효과를 볼 수 있으며, 발지지유닛의 이탈방지턱에 의해 종아리 운동을 위한 롤링시 발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 {Device for stretching ankles and calves}
본 발명은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복적인 롤링운동을 이용하여 발목과 종아리 근육을 강화하고 상하반전되게 놓여 척추를 가압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는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아리란 무릎과 발목 사이의 뒤쪽 근육부분을 말하는 것으로서, 비복근, 가지미근, 장지굴근, 장무지 굴근, 후경골근 등으로 구성되며, 이외에 발바닥 근육, 장비골근, 단비골근 및 정강이 근육으로 전경골근, 장지신근, 장무지신근 등의 근육이 관계된다. 이러한 종아리는 인간이 직립보행을 함으로써 발생하는 충격을 제일 먼저 받게 되므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고, 특히 그 충격을 어떻게 흡수하느냐에 따라 전신에 전달되는 충격 또한 달라지게 되므로 결국 신체 전체의 체형과 통증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종아리에 발생하는 피로를 빨리 회복시켜 주어 정상적인 길이, 탄성력, 유연성, 근력 등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자세변화 방지 및 건강한 신체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척추는 머리뼈부터 골반뼈까지 연결하여 인체의 중심축을 이루며, 신체를 지지하고 평형을 유지하며 두뇌로부터 척추뼈 속으로 내려오는 척수를 보호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들의 취침태도와 앉은 자세의 나쁜 습관에 의해 균형이 깨진 척추구조를 가지고 있다. 척추의 균형이 깨지면 그 구조의 형태가 바뀌어 상기 기능수행이 곤란해지고 소화장애, 간기능 활성저해, 기억력 감퇴, 집중력 이상, 피로, 권태 등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된다. 척추의 구조는 옆에서 보았을 때 S자 형으로 굴곡을 이루고 있어 신체의 운동역학적 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올바른 취침과 앉은 자세를 통해 척추의 S자형의 굴곡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산업사회가 발달하면서 의자 생활을 많이 하는 현대인들에게는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어려우며, 스트레스와 피로를 풀어 건강을 위한 운동을 하기 위한 시간이나 장소 등의 여건을 마련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7373호에는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으며 앉은 자세에서도 운동을 할 수 있는 다리의 종아리 근육 강화기구가 발명된바 있다. 하지만, 다리의 종아리 근육강화기구는 허리운동을 위한 기능이 없어 별도의 허리운동기구가 마련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4378호에는 종아리회전 및 허리 회전 운동이 가능한 회전종아리 운동기구가 발명된 바 있다. 하지만, 회전종아리운동기구는 발목이 예각을 이루어 종아리가 스트레칭 되며 허리회전을 통해 허리 근력 및 스트레칭 효과는 있으나 척추의 고유의 만곡된 형태를 유지 및 보정하기 위한 기능은 없으며, 종아리 및 발목의 근력 강화를 위한 효과는 볼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7373호 : 다리의 종아리 근육 강화기구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4378호 : 회전종아리 운동기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하반전되게 놓인 방향에 따라 종아리 운동 또는 척추베개로 사용되어, 롤링에 의한 반복운동에 의해 종아리 및 발목 스트레칭 및 근력을 강화가 가능하며 척추의 만곡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압하는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는 곡률을 가져 바닥면과 접촉시 외력에 의해 롤링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사용자의 등과 접촉시 사용자의 척추 및 척추근육을 가압하는 곡면부와, 상기 곡면부의 양단을 연결하며 상기 곡면부가 바닥면과 접촉되었을 때는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고 상기 곡면부가 사용자의 등과 접촉되었을 때는 바닥면과 접촉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어 상기 곡면부가 바닥면과 접촉시 상기 본체의 구름운동을 위한 상기 외력을 가하는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발 지지유닛과; 상기 본체 내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에 온열 공급하는 온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곡면부 방향으로 인입되고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발 지지유닛이 수용되되 상기 곡면부에 대해 돌출되게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발지지유닛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발 지지유닛은 발과 접하게 되며 내측에 상기 발지지유닛가이드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이 각각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 상기 발지지유닛 가이드부가 인입된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사용자의 발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발지지유닛가이드부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복수 개의 발판과; 상기 발판의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발지지유닛가이드부에 결합되어 상기 발판을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곡면부 양단부에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서 각각 인입되어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1 및 제2슬라이딩홈이 형성되며, 상기 발지지유닛은 발과 접촉되며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발접촉부와, 상기 발접촉부 저면에서 하방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되 상기 제1 슬라이딩홈과 제2슬라이딩홈이 상호 이격된 거리만큼 이격되며 각 단부가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홈에 각각 슬라이딩 장착되는 제1 및 제2 슬라이딩홈결합부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며 상호 이격거리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복수 개의 발판;을 구비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곡면부방향으로 인입되며 상호 소정거리 이격된 복수개의 위치이동제한홈이 형성되며, 상기 발지지유닛은 상기 발판에 형성된 관통공에 장착되어 상기 위치이동제한홈에 일부 삽입됨으로써 상기 본체에 장착된 상기 발판의 위치이동을 제한하는 위치이동제한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위치이동제한유닛은 상기 관통공 밖으로 일부 돌출되게 장착되는 위치이동제한홈접촉부재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며 일단이 상기 위치이동제한홈접촉부재와 접촉되어 상기 위치이동제한홈접촉부재가 상기 발판의 저면에 대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타단과 접촉되고 상기 관통공의 타측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관통공에 상기 스프링을 구속하는 스프링구속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온열수단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발열부재와, 상기 발열부재에 전원 공급 및 온도조절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발열부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는 전후로 반복되는 롤링에 의해 발목 및 종아리에 스트레칭, 근육강화 효과를 볼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의 허리에 놓여 척추의 고유의 만곡된 형상으로 바로 잡아주는 복합기능을 가지고 있어 휴대 및 사용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는 온열수단이 마련되어 종아리 운동시나 척추 베개 이용시 찜질 효과를 볼 수 있으며, 발지지유닛의 이탈방지턱에 의해 종아리 운동을 위한 롤링시 발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에 대한 일부 절재 사시도 이고,
도 2는 도 1의 운동기구에 대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운동기구를 발목 및 종아리 운동 위해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어 롤링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운동기구를 척추 가압을 위해 사용자의 등에 접촉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에 대한 일부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운동기구에 대한 일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1)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1)는 본체(100), 발지지유닛(200), 온열수단(300)을 구비한다.
본체(100)는 반원통 형상으로서, 곡면부(110), 지지부(120)를 구비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곡면부(110)는 곡률을 가져 곡면이 형성된 부분으로서, 바닥면(10)과 접촉시 외력에 의해 롤링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사용자의 등과 접촉시 사용자의 척추 및 척추근육을 가압하는 부분이다.
곡면부(110)의 곡률은 한정되지는 않으나 롤링의 크기가 클수록 종아리 스트레칭에 효과가 늘어나므로, 곡면부(110)는 반원 또는 반원보다 큰 곡률을 갖는다.
지지부(120)는 곡면부(110)에 대응되는 부분으로서, 곡면부(110)의 양단을 연결하는 평면 부분이다. 지지부(120)는 곡면부(110)가 바닥면(10)과 접촉되었을 때는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고 곡면부(110)가 사용자의 등과 접촉되었을 때는 바닥면(10)과 접촉되는 부분이다.
지지부(120)는 곡면부(110) 방향으로 인입되고 본체(10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발지지유닛가이드부(121)를 구비한다. 발지지유닛가이드부(121)는 후술되는 발지지유닛(200)이 수용되어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발지지유닛(200)이 사용자의 양 발을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 개 형성된다. 발지지유닛가이드부(121)는 발지지유닛(200)의 발판(210)이 곡면부(110)에 대해 돌출되게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 하는 부분이다.
발지지유닛가이드부(121)는 지지부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양 발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발지지유닛이 상호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발지지유닛가이드부는 복수 개의 발지지유닛(200)이 상호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는 폭을 갖도록 적용될 수도 있다.
발지지유닛(200)은 지지부(120)의 발지지유닛가이드부(121)에 수용되게 장착되어 곡면부(110)가 바닥면(10)과 접촉시 본체(100)의 롤링운동을 위한 외력을 가하는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발지지유닛(200)은 복수 개의 발판(210)과, 복수 개의 발판(210)을 각각 구속하여 발지지유닛가이드부(121)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결합부재(220)를 구비한다.
발판(210)은 발지지유닛가이드부(121)에 수용되고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발과 접하여 발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발판(210)은 발의 바닥면과 접촉되는 발접촉부(211)와, 발접촉부(211)에 지지된 발의 발가락이나 발꿈치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발접촉부(211)의 일측 단부에서 돌출형성되어 발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215)을 구비한다.
발접촉부(211)는 이탈방지턱(215)이 형성되는 일측 단부가 발의 외형에 대응되도록 호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에 발지지유닛가이드부(121)의 길이방향으로 관통연장되는 장공(230)이 형성된다. 발접촉부(211)는 발지지유닛가이드부(121)와 인접한 측의 장공(230)의 내경이 축소되도록 내경축소부(217)를 구비한다. 내경축소부(217)는 결합부재(220)에 의해 발판(210)이 구속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이탈방지턱(215)은 발접촉부(211)의 호형상으로 형성된 일측 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발의 발가락이나 발꿈치를 감싸도록 돌출형성된 부분이다. 이탈방지턱(215)은 본체(100)가 발이 주는 외력에 의해 롤링운동 시 발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발판(210)은 장공(230)에 결합부재(220)가 관통하여 발지지유닛가이드부(121)에 결합되어 발접촉부(211)의 내경축소부(217)를 구속함으로써 발지지유닛가이드부(121)에서 이탈되지 않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을 이루어 한 발을 지지하는 두 개의 발판(210)은 발지지유닛가이드부(121)에 일렬로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며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장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발지지유닛(200)은 복수 개의 발지지유닛가이드부(121)에 각각 장착된다.
결합부재(220)는 장공(230)의 내경축소부(217)를 관통하여 발지지유닛가이드부(121)에 결합되는 나사선부(221)와, 나사선부(221)보다 외경이 확장되어 내경축소부(217)를 구속하는 외경확장부(225)를 구비한다.
복수 개의 결합부재(220)는 복수 개의 발판(210)이 발지지유닛가이드부(121)에 일렬로 배치되어 수용된 상태에서 이탈방지부(215)에 인접한 장공(230)의 단부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결합된다.
온열수단(300)은 본체(100) 내에 장착되어 본체(100)에 온열을 공급하여 척추 가압용도로 이용시 찜질효과를 주는 부분이다. 온열수단(300)은 본체(100) 내부에 설치되는 발열부재(310)와, 발열부재(310)에 전원을 공급 및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발열부재(3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50)를 구비한다.
발열부재는(3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본체(100) 내측에 설치되며 제어부와 전원공급부(350)에 연결된다. 전원공급부(350)는 상용전원과 연결된 콘센트에 결합되는 플러그가 적용되나,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베터리를 이용한 전원공급방식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전원공급부(350)와 발열부재(310) 사이에 설치되어 발열부재(310)에 전원공급을 시작하거나 정지시키는 조작을 할 수 있는 스위치 또는 열선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발열부재(310)는 전원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열선이다. 결합부재(220)는 발열부재(310)의 열을 전달받아 사용자의 발에 전달할 수 있는 옥과 같은 원적외선 방사소재가 적용되어 종아리 운동시에도 찜질효과를 볼 수 있다. 결합부재(220)는 옥 이외에도 발열부재(310)의 열을 발에 전달할 수 있는 소재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열선 외측에 옥, 맥반석, 황토, 세라믹, 게르마늄과 같은 원적외선 방사소재(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 예에 따른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기구(1)를 발목 및 종아리 운동을 위해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곡면부가 바닥면에 접촉되게 종아리운동기구(1)를 놓는다. 그리고, 발지지유닛가이드부(121)에 수용된 복수 개의 발판(210)을 곡면부(210)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잡아당긴다. 사용자가 발판(210)을 잡아당기는 힘에 따라 발판(210)은 결합부재(220)에 의해 제한되는 위치까지 슬라이딩된다. 이제, 사용자의 양 발을 발지지유닛가이드부(121)에 일렬로 배열된 발판에 각각 놓고 발목과 종아리에 근육을 이용하여 본체를 롤링시킨다.
본체(100)가 롤링이 반복되면서 종아리 근육이 수축 및 이완이 반복되면서 스트레칭된다. 또한 본체를 롤링시키기 위하여 힘을 앞뒤로 반복적으로 주게 됨으로써 발목 운동 및 종아리의 근력이 강화된다.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1)를 척추가압 또는 교정용도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발판(210)을 지지부 내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발지지유닛가이드부(121)에 수용되게 한다. 곡면부(110)를 상방을 향하도록 지지부(120)가 바닥면에 접촉되게 놓고 사용자의 척추가 접촉되게 눕는다. 사용자의 척추가 본체(100)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잘못된 자세로 변형된 부분이 척추의 고유의 만곡된 형상인 S라인으로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1)는 전후로 반복되는 롤링에 의해 발목 및 종아리에 스트레칭, 근육강화 효과를 볼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의 허리에 놓여 척추의 고유의 만곡된 형상으로 바로 잡아주는 복합기능을 가지고 있어 휴대 및 사용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운동기구(1)는 온열수단이 마련되어 종아리 운동시나 척추 베개 이용시 찜질 효과를 볼 수 있으며, 발지지유닛의 이탈방지턱에 의해 종아리 운동을 위한 롤링시 발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2)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2)의 본체(101)는 곡면부(110)에 지지부(120) 방향으로 인입된 요홈부(115)가 구비된다. 요홈부(115)는 발지지유닛가이드부에 대응되는 곡면부에 복수 개 형성된다.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2)를 척추 베개로 사용시, 곡면부(110)에 형성된 요홈부(115)에 의해 요홈부 사이의 곡면부(110)는 척추를 더욱 가압하게 됨으로써 척추 지압 효과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발목과 종아리 운동기구(3)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3)는 본체(102), 발지지유닛(200), 온열수단(300)을 구비한다.
본체(102)는 반원통형상으로서, 곡면부(110), 지지부(120), 제1슬라이딩홈(130), 제2슬라이딩홈(140)을 구비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체(102)는 곡률을 가져 바닥면과 접촉시 외력에 의해 롤링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사용자의 등과 접촉시 사용자의 척추 및 척추근육을 가압하는 곡면부(110)와, 곡면부(110)의 양단을 연결하며 곡면부(110)가 바닥면과 접촉되었을 때는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고 곡면부(110)가 사용자의 등과 접촉되었을 때는 바닥면과 접촉되는 지지부(120)와, 곡면부(110) 양단부에 인접하고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서 각각 인입되어 본체(10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1 및 제2슬라이딩홈(130,140)을 구비한다.
지지부(120)는 지지부(120)에서 곡면부(110) 방향으로 인입되며 상호 일정거리 이격된 복수 개의 위치이동제한홈(127)이 형성된다. 복수 개의 위치이동제한홈(127)은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부(12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되, 지지부(120)의 길이방향 양측 가장자리에 인접하고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서 병렬로 형성된다. 위치이동제한홈(127)은 후술되는 위치이동제한유닛(260)이 일부 삽입되어 발지지유닛(200)의 위치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발지지유닛(200)은 본체(102)에 장착되어 곡면부(110)가 바닥면과 접촉시 본체(102)의 롤링운동을 위한 외력을 가하는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발지지유닛(200)은 두 개의 발판(250)과 복수개의 위치이동제한유닛(260)을 구비한다.
발판(250)은 발접촉부(251), 제1 및 제2이탈방지부(253, 255), 제1슬라이딩홈결합부(257), 제2슬라이딩홈결합부(259)를 구비한다. 발접촉부(251)는 발의 바닥면에 대응될 수 있는 형상으로서 상면이 발의 바닥면과 접촉되며 양 단부는 발의 발가락과 발꿈지의 형상에 대응되게 호형상을 이룬다. 발판(250)은 발접촉부(251)가 본체(215)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게 본체(102)에 장착된다. 제1 및 제2이탈방지부(253,255)는 발접촉부(251)의 양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발의 발가락과 발꿈치를 감싸도록 돌출형성된 부분이다. 제1 및 제2이탈방지부(253,255)는 본체(102)가 발이 주는 외력에 의해 롤링운동 시 발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1 및 제2슬라이딩홈결합부(257,259)는 발접촉부(251)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되 제1슬라이딩홈(130)과 제2슬라이딩홈(140)이 상호 이격된 거리만큼 이격되며 각 단부가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슬라이딩결합부(257,259)는 제1 및 제2슬라이딩결합홈(130,140)에 각각 슬라이딩 장착된다. 발지지유닛(200)의 복수 개의 발판(250)은 제1 및 제2슬라이딩홈(130,140)에 슬라이딩되어 위치 이동이 가능함으로 사용자에 따라 상호 이격 거리가 임의로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발판(250)은 본체(102)에 장착시 지지부(120)에 형성된 위치이동제한홈(127)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본체(102)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복수 개의 관통공(270)이 형성된다. 관통공(270)은 위치이동제한홈(127)에 인접한 부분의 내경이 축소되게 형성되어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위치이동제한유닛(260)은 발판(250)의 관통공(270)에 삽입장착되고 하방으로 일부 돌출되어 위치이동제한홈(127)에 안착됨으로써 발판(250)의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위치이동제한유닛(260)은 위치이동제한홈접촉부재(261)와, 스프링(263)과, 스프링구속부재(265)가 구비된다.
위치이동제한홈접촉부재(261)는 하부는 하방으로 호형곡률을 가져 발접촉부(251)의 저면에 대해 돌출되는 호형부(261a)가 형성되고 상부는 외경이 확장되어 관통공(270)에 구속되는 구속부(261b)를 구비한다. 스프링(263)은 관통공(270)에 삽입되며 일단이 위치이동제한홈접촉부재(261)와 접촉되어 위치이동제한홈접촉부재(261)가 발접촉부(251)의 저면에 대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부분이다. 스프링구속부재(265)는 스프링(263)의 타단과 접촉되고 관통공(270)의 타측단부에 결합하여 관통공(270)에 스프링(263)을 구속하는 부분이다.위치이동제한유닛(260)은 관통공에 나사결합가능한 일체화된 볼 플런저(ball plunger)가 적용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3)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3)의 발판(250)은 본체(102)에서 탈착가능한 것으로서, 운동기구(3)를 척추베개로 사용하고자 할 때는 발판(250)을 본체(102)로부터 분리하여 곡면부(110)가 상방을 항햐도록 놓고 사용자가 등이나 척추에 접촉되게 누우면 된다.
그리고, 운동기구(3)를 종아리 운동을 위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는 발판(250)을 본체(1102)에 장착시켜야 한다. 발판(250)의 제1 및 제2슬라이딩홈결합부(257,259)를 각각 제1 및 제2슬라이딩홈(130, 140)에 슬라이딩 장착시킨다. 사용자에 따라 양발의 간격이 다르므로 발판(250)의 위치를 조정하고자 할 때, 발판(250)의 측방향으로 힘을 주어 이동시켜 조정하면 된다. 그런데, 사용자가 발판(250)에 측방향으로 주는 힘이 스프링(263)이 가지고 있는 탄성계수보다 커야 발판(250)이 제1 및 제2슬라이딩 홈(130, 14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즉, 위치이동제한유닛(260)의 스프링(263)은 사용자가 발판(250)의 위치 조정을 위하여 발판(250)을 측방향으로 밀고 당길 때 스프링(263)의 탄성계수보다 높은 힘이 전달되어야 수축된다. 스프링(263)이 수축되면서 위치이동제한홈접촉부재(261)가 관통공(270) 내로 삽입되면서, 발판(250)이 사용자가 미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발판(250)이 사용자가 미는 방향으로 이동되다가 인접한 위치이동제한홈(127)에 도달하게 되면 수축된 스프링에 의해 위치이동제한홈접촉부재(261)가 돌출되면서 위치이동제한홈(127)에 안착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발판(250)은 측방향으로 이동되지만, 본체의 롤링을 위한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을 발판의 슬라이딩 이동방향에 수직방향이므로 종아리 운동시 롤링에 의한 발판이 이동될 염려는 없다.
지금까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는 전후로 반복되는 롤링에 의해 발목 및 종아리에 스트레칭, 근육강화 효과를 볼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의 허리에 놓여 척추의 고유의 만곡된 형상으로 바로 잡아주는 복합기능을 가지고 있어 휴대 및 사용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는 온열수단이 마련되어 종아리 운동시나 척추 베개 이용시 찜질 효과를 볼 수 있으며, 발지지유닛의 이탈방지턱에 의해 종아리 운동을 위한 롤링시 발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는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
100 : 본체 110 : 곡면부
120 : 지지부 121 : 발지지유닛가이드부
200 : 발지지유닛 210 : 발판
211 : 발접촉부 215 : 이탈방지턱
217 : 내경축소부 220 : 결합부재
221 : 나사선부 225 : 외경확장부
230 : 장공 300 : 온열수단
310 : 발열부재 350 : 전원공급부

Claims (5)

  1. 곡률을 가져 바닥면과 접촉시 외력에 의해 롤링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사용자의 등과 접촉시 사용자의 척추 및 척추근육을 가압하는 곡면부와, 상기 곡면부의 양단을 연결하며 상기 곡면부가 바닥면과 접촉되었을 때는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고 상기 곡면부가 사용자의 등과 접촉되었을 때는 바닥면과 접촉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곡면부가 바닥면과 접촉시 상기 본체의 롤링운동을 위한 상기 외력을 가하는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발 지지유닛과;
    상기 본체 내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에 온열 공급하는 온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곡면부 방향으로 인입되고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발 지지유닛이 수용되되 상기 곡면부에 대해 돌출되게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발지지유닛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발지지유닛가이드부에 대응되는 상기 곡면부에서 상기 지지부 방향으로 인입된 복수 개의 요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발 지지유닛은
    발과 접하게 되며 내측에 상기 발지지유닛가이드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장공이 각각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 상기 발지지유닛가이드부가 인입된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사용자의 발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발지지유닛가이드부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복수 개의 발판과; 상기 발판의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발지지유닛가이드부에 결합되어 상기 발판을 구속하는 결합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온열수단은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발열부재와, 상기 발열부재에 전원 공급 및 온도조절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발열부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발열부재의 열을 사용자의 발에 전달할 수 있는 원적외선 방사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아리와 발목스트레칭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172935A 2015-12-07 2015-12-07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 Active KR101776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935A KR101776936B1 (ko) 2015-12-07 2015-12-07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935A KR101776936B1 (ko) 2015-12-07 2015-12-07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6816A KR20170066816A (ko) 2017-06-15
KR101776936B1 true KR101776936B1 (ko) 2017-09-08

Family

ID=59217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2935A Active KR101776936B1 (ko) 2015-12-07 2015-12-07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69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6970A (ko) 2021-07-05 2023-01-12 (주)씨비에이치 발목 스트레칭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290B1 (ko) * 2017-10-24 2019-04-02 김세현 기능성 베개
CN109498251B (zh) * 2018-12-25 2020-01-14 南通市第一人民医院 一种促进血液循环的踝关节康复训练装置及操作方法
KR102515069B1 (ko) 2022-08-12 2023-03-2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족저근막염 방지용 스트레칭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3914B1 (ko) * 2005-10-24 2006-09-13 김홍기 골프 티 높이 조절장치
KR100759499B1 (ko) * 2006-11-10 2007-09-18 (주)세영아이앤씨 건강보조기구
KR100879052B1 (ko) * 2007-01-29 2009-01-15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자세균형 훈련장치
KR101556477B1 (ko) * 2014-09-04 2015-10-01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목적 발목 스트레칭 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3914B1 (ko) * 2005-10-24 2006-09-13 김홍기 골프 티 높이 조절장치
KR100759499B1 (ko) * 2006-11-10 2007-09-18 (주)세영아이앤씨 건강보조기구
KR100879052B1 (ko) * 2007-01-29 2009-01-15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자세균형 훈련장치
KR101556477B1 (ko) * 2014-09-04 2015-10-01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목적 발목 스트레칭 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6970A (ko) 2021-07-05 2023-01-12 (주)씨비에이치 발목 스트레칭 기구
KR20240070492A (ko) 2021-07-05 2024-05-21 (주)씨비에이치 발목 스트레칭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6816A (ko) 2017-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19650B1 (en) Device for providing accupressure back massage
ES2955612T3 (es) Aparato de masaje corporal
US9566470B2 (en) Leg stretcher
KR100711104B1 (ko) 척추교정 운동기구
US6371894B1 (en) Medical device for physical therapy treatment
US20120265114A1 (en) Stretcher and method of stretching lower body
KR101776936B1 (ko)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
KR20180075868A (ko) 키성장 자세교정기
KR20090102595A (ko) 개량형 척추교정장치
KR20170130767A (ko) 디스크 도수치료기
KR101203367B1 (ko) 무릎관절 재활운동기구
KR101529298B1 (ko) 요추 교정운동 보조 기구
KR20130115590A (ko) 피로회복을 위한 스트레칭 기구
JP5114783B2 (ja) 健康運動器具
KR101935587B1 (ko) 교체 장착이 가능한 멀티 스트레칭 운동 장치
KR20100042140A (ko) 키 성장 촉진용 보조구
KR102047714B1 (ko) 척추교정 및 허리근력강화를 위한 의료보조기구
KR101955369B1 (ko) 기능성 골반교정기기
US10688334B2 (en) Stretch exercise system
KR200399189Y1 (ko) 척추이완 기구
CN209075369U (zh) 下肢运动装置
KR200443470Y1 (ko) 자세교정기
KR101841358B1 (ko) 침상환자의 고관절 외회전 교정기
KR100632993B1 (ko) 스트레칭 운동매트
KR20160089806A (ko) 척추 교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9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9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