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6936B1 - Device for stretching ankles and calves - Google Patents
Device for stretching ankles and calv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76936B1 KR101776936B1 KR1020150172935A KR20150172935A KR101776936B1 KR 101776936 B1 KR101776936 B1 KR 101776936B1 KR 1020150172935 A KR1020150172935 A KR 1020150172935A KR 20150172935 A KR20150172935 A KR 20150172935A KR 101776936 B1 KR101776936 B1 KR 1017769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ot
- calf
- user
- main body
- ank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1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 A63B21/4015—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lower limbs to the foot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for ankle joint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1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for feet or to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3/00—Exercising combined with therapy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64—He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복적인 롤링운동을 이용하여 발목과 종아리 근육을 강화하고 상하반전되게 놓여 척추를 가압하는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는 전후로 반복되는 롤링에 의해 발목 및 종아리에 스트레칭, 근육강화 효과를 볼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의 허리에 놓여 척추의 고유의 만곡된 형상으로 바로 잡아주는 복합기능을 가지고 있어 휴대 및 사용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는 온열수단이 마련되어 종아리 운동시나 척추 베개 이용시 찜질 효과를 볼 수 있으며, 발지지유닛의 이탈방지턱에 의해 종아리 운동을 위한 롤링시 발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lf and ankle stretching mechanism,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lf and ankle stretching mechanism for reinforcing the ankle and calf muscles by using repetitive rolling motions and pressing the vertebrae upside down.
The calf and ankle stretch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mplex function of stretching and ankle strengthening to the ankle and calf by rolling repeatedly back and forth or correcting it to the original curved shape of the vertebrae lying on the user's waist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carrying and use.
In addition, the calf and ankle stretch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heating means, so that it is possible to see a fomenting effect when exercising a calf or using a spine pillow. By preventing the foot from falling off during rolling for calf movement by the sepa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preven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복적인 롤링운동을 이용하여 발목과 종아리 근육을 강화하고 상하반전되게 놓여 척추를 가압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는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lf and ankle stretch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lf and ankle stretching device capable of reinforcing the ankle and calf muscles using repetitive rolling motions, will be.
종아리란 무릎과 발목 사이의 뒤쪽 근육부분을 말하는 것으로서, 비복근, 가지미근, 장지굴근, 장무지 굴근, 후경골근 등으로 구성되며, 이외에 발바닥 근육, 장비골근, 단비골근 및 정강이 근육으로 전경골근, 장지신근, 장무지신근 등의 근육이 관계된다. 이러한 종아리는 인간이 직립보행을 함으로써 발생하는 충격을 제일 먼저 받게 되므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고, 특히 그 충격을 어떻게 흡수하느냐에 따라 전신에 전달되는 충격 또한 달라지게 되므로 결국 신체 전체의 체형과 통증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종아리에 발생하는 피로를 빨리 회복시켜 주어 정상적인 길이, 탄성력, 유연성, 근력 등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자세변화 방지 및 건강한 신체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The calf is the part of the back muscle between the knee and ankle. It consists of the gastrocnemius, the branch muscle, the flexor flexor, the flexor flexor muscle, and the posterior tibialis muscle. In addition, the foot muscles, intramedullary muscles, Muscles such as extensor muscles, intestines and extensor muscles. These calves play a very important role because they are the first to receive shocks caused by human body upright walking. Especially, depending on how the shock is absorbed, the shock transmitted to the whole body also changes. Therefore, .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restrain the fatigue that occurs in the calf quickly and to maintain the normal length, elasticity, flexibility, and strength, so as to prevent posture change and maintain a healthy body.
한편, 척추는 머리뼈부터 골반뼈까지 연결하여 인체의 중심축을 이루며, 신체를 지지하고 평형을 유지하며 두뇌로부터 척추뼈 속으로 내려오는 척수를 보호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들의 취침태도와 앉은 자세의 나쁜 습관에 의해 균형이 깨진 척추구조를 가지고 있다. 척추의 균형이 깨지면 그 구조의 형태가 바뀌어 상기 기능수행이 곤란해지고 소화장애, 간기능 활성저해, 기억력 감퇴, 집중력 이상, 피로, 권태 등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된다. 척추의 구조는 옆에서 보았을 때 S자 형으로 굴곡을 이루고 있어 신체의 운동역학적 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올바른 취침과 앉은 자세를 통해 척추의 S자형의 굴곡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On the other hand, the vertebra connects the head bone to the pelvic bone to form the central axis of the human body. It supports the body, maintains equilibrium, and protects the spinal cord from the brain to the spine. Most people have a spinal structure that is unbalanced by their bedtime attitudes and bad habits of sitting. When the balance of the spine is broken, the shape of the structure changes, making it difficult to perform the above functions, and causing various diseases such as digestive disorders, inhibition of liver function, memory loss, concentration problems, fatigue and boredom. The structure of the vertebrae is s-shaped when viewed from the side,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kinematics of the bod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maintain the S-shaped bend of the spine through proper sleeping and sitting postures.
하지만, 산업사회가 발달하면서 의자 생활을 많이 하는 현대인들에게는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어려우며, 스트레스와 피로를 풀어 건강을 위한 운동을 하기 위한 시간이나 장소 등의 여건을 마련하기 어려운 실정이다.However,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right attitude for modern people who have a lot of chair life as the industrial society develops, and it is difficult to provide conditions such as time and place for exercising for health by solving stress and fatigue.
이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7373호에는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으며 앉은 자세에서도 운동을 할 수 있는 다리의 종아리 근육 강화기구가 발명된바 있다. 하지만, 다리의 종아리 근육강화기구는 허리운동을 위한 기능이 없어 별도의 허리운동기구가 마련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Accordingly,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37373, a leg-like muscle strengthening mechanism of a leg capable of exercising in a sitting position without being restricted by a place has been invented. However, the calf muscle strengthening apparatus of the leg does not have a function for exercising the waist, so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separate waist exercise apparatus.
또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4378호에는 종아리회전 및 허리 회전 운동이 가능한 회전종아리 운동기구가 발명된 바 있다. 하지만, 회전종아리운동기구는 발목이 예각을 이루어 종아리가 스트레칭 되며 허리회전을 통해 허리 근력 및 스트레칭 효과는 있으나 척추의 고유의 만곡된 형태를 유지 및 보정하기 위한 기능은 없으며, 종아리 및 발목의 근력 강화를 위한 효과는 볼 수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0-0004378 also discloses a rotary calf exercise device capable of rotating the calf and rotating the waist. However, the rotating calf exerciser has an acute angle of the ankle and the calf is stretched, and there is a waist strength and a stretching effect through the rotation of the waist, but there is no function to maintain and correct the curved shape of the vertebra, and the strength of the calf and ankle The effect for the sake of this has a disadvantage that it can not be see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하반전되게 놓인 방향에 따라 종아리 운동 또는 척추베개로 사용되어, 롤링에 의한 반복운동에 의해 종아리 및 발목 스트레칭 및 근력을 강화가 가능하며 척추의 만곡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압하는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a calf motion or a spine pillow,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lf and ankle stretching mechanism for pressurizing the body so as to maintain its shap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는 곡률을 가져 바닥면과 접촉시 외력에 의해 롤링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사용자의 등과 접촉시 사용자의 척추 및 척추근육을 가압하는 곡면부와, 상기 곡면부의 양단을 연결하며 상기 곡면부가 바닥면과 접촉되었을 때는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고 상기 곡면부가 사용자의 등과 접촉되었을 때는 바닥면과 접촉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어 상기 곡면부가 바닥면과 접촉시 상기 본체의 구름운동을 위한 상기 외력을 가하는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발 지지유닛과; 상기 본체 내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에 온열 공급하는 온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alf and ankle stretching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urvature and can be rolled by an external force when it is in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When the user touches the back of the user in a lying state, And a support portion connecting the both ends of the curved surface portion and supporting the user's foot when the curved surface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and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when the curved surface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back; A foot supporting unit mounted on the supporting portion and supporting a foot of a user applying the external force for rolling motion of the main body when the curved surface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floor; And a heating unit mounted in the main body to supply heat to the main body.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곡면부 방향으로 인입되고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발 지지유닛이 수용되되 상기 곡면부에 대해 돌출되게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발지지유닛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발 지지유닛은 발과 접하게 되며 내측에 상기 발지지유닛가이드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이 각각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 상기 발지지유닛 가이드부가 인입된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사용자의 발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발지지유닛가이드부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복수 개의 발판과; 상기 발판의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발지지유닛가이드부에 결합되어 상기 발판을 결합하는 결합부재;를 구비한다.The supporting unit includes a foot supporting unit guide portion which is drawn in the direction of the curved surface portion and extend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to receive the foot supporting unit and slidably protruded from the curved surface portion The foot supporting unit is formed to have an elongated hol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ot supporting unit guide portion on the inner side and being protrud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ot supporting unit guide portion is drawn on one end side A plurality of footrests provided on the foot support unit guide portions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slid in directions away from each other; And a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foot support unit guide portion through the elongated hole of the foot plate to engage the foot plate.
상기 본체는 상기 곡면부 양단부에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서 각각 인입되어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1 및 제2슬라이딩홈이 형성되며, 상기 발지지유닛은 발과 접촉되며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발접촉부와, 상기 발접촉부 저면에서 하방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되 상기 제1 슬라이딩홈과 제2슬라이딩홈이 상호 이격된 거리만큼 이격되며 각 단부가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홈에 각각 슬라이딩 장착되는 제1 및 제2 슬라이딩홈결합부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에 탈착 가능하며 상호 이격거리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복수 개의 발판;을 구비한다.The main body is formed with first and second sliding groove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grooves being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curved surface portions at mutually corresponding positions, and the foot supporting unit is in contact with the foot, Wherein the first sliding groove and the second sliding groove are spaced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which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each end portion is ben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sliding groove and the second sliding groove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scaffolds having first and second sliding groove engaging portions slidably mounted o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grooves and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and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mutual spacing distances.
상기 본체는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곡면부방향으로 인입되며 상호 소정거리 이격된 복수개의 위치이동제한홈이 형성되며, 상기 발지지유닛은 상기 발판에 형성된 관통공에 장착되어 상기 위치이동제한홈에 일부 삽입됨으로써 상기 본체에 장착된 상기 발판의 위치이동을 제한하는 위치이동제한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위치이동제한유닛은 상기 관통공 밖으로 일부 돌출되게 장착되는 위치이동제한홈접촉부재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며 일단이 상기 위치이동제한홈접촉부재와 접촉되어 상기 위치이동제한홈접촉부재가 상기 발판의 저면에 대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타단과 접촉되고 상기 관통공의 타측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관통공에 상기 스프링을 구속하는 스프링구속부재를 구비한다.The main body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osition movement restricting grooves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curved surface portion from the support por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foot supporting unit is mounted on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foot plate, And a position movement restricting unit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footrest mounted on the main body, wherein the position movement restricting unit includes a position movement restricting groove contact member protruding from the through hole, A spring that is inserted into the groove and contacts the other end of the spring so that one end thereof is in contact with the restricting groove contact member to maintain the positional restricting groove contact member in a protruding state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foot plate; And a spring restricting member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through hole to confine the spring on the through hole.
상기 온열수단은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발열부재와, 상기 발열부재에 전원 공급 및 온도조절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발열부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구비한다.The heating unit includes a heating member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and temperature control to the heating member,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heating memb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본 발명의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는 전후로 반복되는 롤링에 의해 발목 및 종아리에 스트레칭, 근육강화 효과를 볼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의 허리에 놓여 척추의 고유의 만곡된 형상으로 바로 잡아주는 복합기능을 가지고 있어 휴대 및 사용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calf and ankle stretch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mplex function of stretching and ankle strengthening to the ankle and calf by rolling repeatedly back and forth or correcting it to the original curved shape of the vertebrae lying on the user's waist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carrying and use.
또한, 본 발명의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는 온열수단이 마련되어 종아리 운동시나 척추 베개 이용시 찜질 효과를 볼 수 있으며, 발지지유닛의 이탈방지턱에 의해 종아리 운동을 위한 롤링시 발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alf and ankle stretch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heating means, so that it is possible to see a fomenting effect when exercising a calf or using a spine pillow, and preventing a deviation of a foot during rolling for a calf movement by a sepa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에 대한 일부 절재 사시도 이고,
도 2는 도 1의 운동기구에 대한 일부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운동기구를 발목 및 종아리 운동 위해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어 롤링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운동기구를 척추 가압을 위해 사용자의 등에 접촉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에 대한 일부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운동기구에 대한 일부 단면도이다.1 is a partially cut away perspective view of a calf and ankle stretching mechanis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exercise device of Figure 1,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user's foot is seated and rolling motion is performed for the ankle and calf movement of Fig. 1,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xercise device of FIG. 1 is in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user for pressing the spin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lf and ankle stretching mechanis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ly separated perspective view of a calf and ankle stretching mechanism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exercise device of Figure 6;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calf and ankle stretching mechanis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1)가 도시되어 있다.1 to 4 show a calf and
본 발명에 따른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1)는 본체(100), 발지지유닛(200), 온열수단(300)을 구비한다.The calf and
본체(100)는 반원통 형상으로서, 곡면부(110), 지지부(120)를 구비한다.The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곡면부(110)는 곡률을 가져 곡면이 형성된 부분으로서, 바닥면(10)과 접촉시 외력에 의해 롤링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사용자의 등과 접촉시 사용자의 척추 및 척추근육을 가압하는 부분이다.3 and 4, the
곡면부(110)의 곡률은 한정되지는 않으나 롤링의 크기가 클수록 종아리 스트레칭에 효과가 늘어나므로, 곡면부(110)는 반원 또는 반원보다 큰 곡률을 갖는다.The curvature of the
지지부(120)는 곡면부(110)에 대응되는 부분으로서, 곡면부(110)의 양단을 연결하는 평면 부분이다. 지지부(120)는 곡면부(110)가 바닥면(10)과 접촉되었을 때는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고 곡면부(110)가 사용자의 등과 접촉되었을 때는 바닥면(10)과 접촉되는 부분이다.The supporting
지지부(120)는 곡면부(110) 방향으로 인입되고 본체(10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발지지유닛가이드부(121)를 구비한다. 발지지유닛가이드부(121)는 후술되는 발지지유닛(200)이 수용되어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발지지유닛(200)이 사용자의 양 발을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복수 개 형성된다. 발지지유닛가이드부(121)는 발지지유닛(200)의 발판(210)이 곡면부(110)에 대해 돌출되게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 하는 부분이다.The supporting
발지지유닛가이드부(121)는 지지부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양 발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발지지유닛이 상호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발지지유닛가이드부는 복수 개의 발지지유닛(200)이 상호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는 폭을 갖도록 적용될 수도 있다.The foot supporting
발지지유닛(200)은 지지부(120)의 발지지유닛가이드부(121)에 수용되게 장착되어 곡면부(110)가 바닥면(10)과 접촉시 본체(100)의 롤링운동을 위한 외력을 가하는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부분이다.The
발지지유닛(200)은 복수 개의 발판(210)과, 복수 개의 발판(210)을 각각 구속하여 발지지유닛가이드부(121)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결합부재(220)를 구비한다.The
발판(210)은 발지지유닛가이드부(121)에 수용되고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발과 접하여 발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발판(210)은 발의 바닥면과 접촉되는 발접촉부(211)와, 발접촉부(211)에 지지된 발의 발가락이나 발꿈치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발접촉부(211)의 일측 단부에서 돌출형성되어 발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215)을 구비한다.The
발접촉부(211)는 이탈방지턱(215)이 형성되는 일측 단부가 발의 외형에 대응되도록 호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에 발지지유닛가이드부(121)의 길이방향으로 관통연장되는 장공(230)이 형성된다. 발접촉부(211)는 발지지유닛가이드부(121)와 인접한 측의 장공(230)의 내경이 축소되도록 내경축소부(217)를 구비한다. 내경축소부(217)는 결합부재(220)에 의해 발판(210)이 구속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이탈방지턱(215)은 발접촉부(211)의 호형상으로 형성된 일측 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발의 발가락이나 발꿈치를 감싸도록 돌출형성된 부분이다. 이탈방지턱(215)은 본체(100)가 발이 주는 외력에 의해 롤링운동 시 발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1 and 3, the
발판(210)은 장공(230)에 결합부재(220)가 관통하여 발지지유닛가이드부(121)에 결합되어 발접촉부(211)의 내경축소부(217)를 구속함으로써 발지지유닛가이드부(121)에서 이탈되지 않고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을 이루어 한 발을 지지하는 두 개의 발판(210)은 발지지유닛가이드부(121)에 일렬로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며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장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발지지유닛(200)은 복수 개의 발지지유닛가이드부(121)에 각각 장착된다.The
결합부재(220)는 장공(230)의 내경축소부(217)를 관통하여 발지지유닛가이드부(121)에 결합되는 나사선부(221)와, 나사선부(221)보다 외경이 확장되어 내경축소부(217)를 구속하는 외경확장부(225)를 구비한다.The
복수 개의 결합부재(220)는 복수 개의 발판(210)이 발지지유닛가이드부(121)에 일렬로 배치되어 수용된 상태에서 이탈방지부(215)에 인접한 장공(230)의 단부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결합된다.The plurality of
온열수단(300)은 본체(100) 내에 장착되어 본체(100)에 온열을 공급하여 척추 가압용도로 이용시 찜질효과를 주는 부분이다. 온열수단(300)은 본체(100) 내부에 설치되는 발열부재(310)와, 발열부재(310)에 전원을 공급 및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발열부재(3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50)를 구비한다.The heating means 300 is mounted in the
발열부재는(3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본체(100) 내측에 설치되며 제어부와 전원공급부(350)에 연결된다. 전원공급부(350)는 상용전원과 연결된 콘센트에 결합되는 플러그가 적용되나,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베터리를 이용한 전원공급방식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전원공급부(350)와 발열부재(310) 사이에 설치되어 발열부재(310)에 전원공급을 시작하거나 정지시키는 조작을 할 수 있는 스위치 또는 열선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발열부재(310)는 전원공급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열선이다. 결합부재(220)는 발열부재(310)의 열을 전달받아 사용자의 발에 전달할 수 있는 옥과 같은 원적외선 방사소재가 적용되어 종아리 운동시에도 찜질효과를 볼 수 있다. 결합부재(220)는 옥 이외에도 발열부재(310)의 열을 발에 전달할 수 있는 소재이면 제한되지 않는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열선 외측에 옥, 맥반석, 황토, 세라믹, 게르마늄과 같은 원적외선 방사소재(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Th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실시 예에 따른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calf and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기구(1)를 발목 및 종아리 운동을 위해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곡면부가 바닥면에 접촉되게 종아리운동기구(1)를 놓는다. 그리고, 발지지유닛가이드부(121)에 수용된 복수 개의 발판(210)을 곡면부(210)에 대해 돌출되는 방향으로 잡아당긴다. 사용자가 발판(210)을 잡아당기는 힘에 따라 발판(210)은 결합부재(220)에 의해 제한되는 위치까지 슬라이딩된다. 이제, 사용자의 양 발을 발지지유닛가이드부(121)에 일렬로 배열된 발판에 각각 놓고 발목과 종아리에 근육을 이용하여 본체를 롤링시킨다.As shown in FIGS. 1 and 3, when the exercising
본체(100)가 롤링이 반복되면서 종아리 근육이 수축 및 이완이 반복되면서 스트레칭된다. 또한 본체를 롤링시키기 위하여 힘을 앞뒤로 반복적으로 주게 됨으로써 발목 운동 및 종아리의 근력이 강화된다. As the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1)를 척추가압 또는 교정용도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발판(210)을 지지부 내측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발지지유닛가이드부(121)에 수용되게 한다. 곡면부(110)를 상방을 향하도록 지지부(120)가 바닥면에 접촉되게 놓고 사용자의 척추가 접촉되게 눕는다. 사용자의 척추가 본체(100)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잘못된 자세로 변형된 부분이 척추의 고유의 만곡된 형상인 S라인으로 조정될 수 있다.When the calf and the
이러한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1)는 전후로 반복되는 롤링에 의해 발목 및 종아리에 스트레칭, 근육강화 효과를 볼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의 허리에 놓여 척추의 고유의 만곡된 형상으로 바로 잡아주는 복합기능을 가지고 있어 휴대 및 사용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운동기구(1)는 온열수단이 마련되어 종아리 운동시나 척추 베개 이용시 찜질 효과를 볼 수 있으며, 발지지유닛의 이탈방지턱에 의해 종아리 운동을 위한 롤링시 발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Such a calf and ankle stretching device (1) can be stretched or stretched in the ankle and calf by rolling back and forth repeatedly, or a compound function that rests on the user's waist and corrects the original curved shape of the vertebrae And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carried and used efficiently. In addition, the exercise device (1) is provided with a warmer means and can show a fomenting effect when exercising the calf or using the spine pillow, and preventing the safety accident by preventing the deviation of the foot during rolling for the calf movement by the separation- There is an advantage.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2)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5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calf and ankle stretching mechanism 2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elements as those in the drawings.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2)의 본체(101)는 곡면부(110)에 지지부(120) 방향으로 인입된 요홈부(115)가 구비된다. 요홈부(115)는 발지지유닛가이드부에 대응되는 곡면부에 복수 개 형성된다.The main body 101 of the calf and the ankle stretching mechanism 2 is provided with the recessed portion 115 which is drawn in the direction of the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2)를 척추 베개로 사용시, 곡면부(110)에 형성된 요홈부(115)에 의해 요홈부 사이의 곡면부(110)는 척추를 더욱 가압하게 됨으로써 척추 지압 효과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When the calf and the ankle stretching mechanism 2 are used as a spine pillow, the
한편,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발목과 종아리 운동기구(3)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6 and 7 show an ankle and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3)는 본체(102), 발지지유닛(200), 온열수단(300)을 구비한다.The calf and
본체(102)는 반원통형상으로서, 곡면부(110), 지지부(120), 제1슬라이딩홈(130), 제2슬라이딩홈(140)을 구비한다.The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체(102)는 곡률을 가져 바닥면과 접촉시 외력에 의해 롤링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사용자의 등과 접촉시 사용자의 척추 및 척추근육을 가압하는 곡면부(110)와, 곡면부(110)의 양단을 연결하며 곡면부(110)가 바닥면과 접촉되었을 때는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고 곡면부(110)가 사용자의 등과 접촉되었을 때는 바닥면과 접촉되는 지지부(120)와, 곡면부(110) 양단부에 인접하고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서 각각 인입되어 본체(10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제1 및 제2슬라이딩홈(130,140)을 구비한다.6 and 7, the
지지부(120)는 지지부(120)에서 곡면부(110) 방향으로 인입되며 상호 일정거리 이격된 복수 개의 위치이동제한홈(127)이 형성된다. 복수 개의 위치이동제한홈(127)은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부(12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되, 지지부(120)의 길이방향 양측 가장자리에 인접하고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서 병렬로 형성된다. 위치이동제한홈(127)은 후술되는 위치이동제한유닛(260)이 일부 삽입되어 발지지유닛(200)의 위치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The supporting
발지지유닛(200)은 본체(102)에 장착되어 곡면부(110)가 바닥면과 접촉시 본체(102)의 롤링운동을 위한 외력을 가하는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발지지유닛(200)은 두 개의 발판(250)과 복수개의 위치이동제한유닛(260)을 구비한다.The
발판(250)은 발접촉부(251), 제1 및 제2이탈방지부(253, 255), 제1슬라이딩홈결합부(257), 제2슬라이딩홈결합부(259)를 구비한다. 발접촉부(251)는 발의 바닥면에 대응될 수 있는 형상으로서 상면이 발의 바닥면과 접촉되며 양 단부는 발의 발가락과 발꿈지의 형상에 대응되게 호형상을 이룬다. 발판(250)은 발접촉부(251)가 본체(215)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게 본체(102)에 장착된다. 제1 및 제2이탈방지부(253,255)는 발접촉부(251)의 양단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발의 발가락과 발꿈치를 감싸도록 돌출형성된 부분이다. 제1 및 제2이탈방지부(253,255)는 본체(102)가 발이 주는 외력에 의해 롤링운동 시 발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1 및 제2슬라이딩홈결합부(257,259)는 발접촉부(251)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각각 연장형성되되 제1슬라이딩홈(130)과 제2슬라이딩홈(140)이 상호 이격된 거리만큼 이격되며 각 단부가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있다. Th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슬라이딩결합부(257,259)는 제1 및 제2슬라이딩결합홈(130,140)에 각각 슬라이딩 장착된다. 발지지유닛(200)의 복수 개의 발판(250)은 제1 및 제2슬라이딩홈(130,140)에 슬라이딩되어 위치 이동이 가능함으로 사용자에 따라 상호 이격 거리가 임의로 조정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engaging
또한, 발판(250)은 본체(102)에 장착시 지지부(120)에 형성된 위치이동제한홈(127)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본체(102)의 길이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복수 개의 관통공(270)이 형성된다. 관통공(270)은 위치이동제한홈(127)에 인접한 부분의 내경이 축소되게 형성되어있다.The
도 7을 참조하면, 위치이동제한유닛(260)은 발판(250)의 관통공(270)에 삽입장착되고 하방으로 일부 돌출되어 위치이동제한홈(127)에 안착됨으로써 발판(250)의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위치이동제한유닛(260)은 위치이동제한홈접촉부재(261)와, 스프링(263)과, 스프링구속부재(265)가 구비된다. 7, the position
위치이동제한홈접촉부재(261)는 하부는 하방으로 호형곡률을 가져 발접촉부(251)의 저면에 대해 돌출되는 호형부(261a)가 형성되고 상부는 외경이 확장되어 관통공(270)에 구속되는 구속부(261b)를 구비한다. 스프링(263)은 관통공(270)에 삽입되며 일단이 위치이동제한홈접촉부재(261)와 접촉되어 위치이동제한홈접촉부재(261)가 발접촉부(251)의 저면에 대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부분이다. 스프링구속부재(265)는 스프링(263)의 타단과 접촉되고 관통공(270)의 타측단부에 결합하여 관통공(270)에 스프링(263)을 구속하는 부분이다.위치이동제한유닛(260)은 관통공에 나사결합가능한 일체화된 볼 플런저(ball plunger)가 적용될 수도 있다.The lower limit of the positional movement restricting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3)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calf and
먼저,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3)의 발판(250)은 본체(102)에서 탈착가능한 것으로서, 운동기구(3)를 척추베개로 사용하고자 할 때는 발판(250)을 본체(102)로부터 분리하여 곡면부(110)가 상방을 항햐도록 놓고 사용자가 등이나 척추에 접촉되게 누우면 된다.The
그리고, 운동기구(3)를 종아리 운동을 위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는 발판(250)을 본체(1102)에 장착시켜야 한다. 발판(250)의 제1 및 제2슬라이딩홈결합부(257,259)를 각각 제1 및 제2슬라이딩홈(130, 140)에 슬라이딩 장착시킨다. 사용자에 따라 양발의 간격이 다르므로 발판(250)의 위치를 조정하고자 할 때, 발판(250)의 측방향으로 힘을 주어 이동시켜 조정하면 된다. 그런데, 사용자가 발판(250)에 측방향으로 주는 힘이 스프링(263)이 가지고 있는 탄성계수보다 커야 발판(250)이 제1 및 제2슬라이딩 홈(130, 14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즉, 위치이동제한유닛(260)의 스프링(263)은 사용자가 발판(250)의 위치 조정을 위하여 발판(250)을 측방향으로 밀고 당길 때 스프링(263)의 탄성계수보다 높은 힘이 전달되어야 수축된다. 스프링(263)이 수축되면서 위치이동제한홈접촉부재(261)가 관통공(270) 내로 삽입되면서, 발판(250)이 사용자가 미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발판(250)이 사용자가 미는 방향으로 이동되다가 인접한 위치이동제한홈(127)에 도달하게 되면 수축된 스프링에 의해 위치이동제한홈접촉부재(261)가 돌출되면서 위치이동제한홈(127)에 안착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발판(250)은 측방향으로 이동되지만, 본체의 롤링을 위한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을 발판의 슬라이딩 이동방향에 수직방향이므로 종아리 운동시 롤링에 의한 발판이 이동될 염려는 없다.When the
지금까지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는 전후로 반복되는 롤링에 의해 발목 및 종아리에 스트레칭, 근육강화 효과를 볼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의 허리에 놓여 척추의 고유의 만곡된 형상으로 바로 잡아주는 복합기능을 가지고 있어 휴대 및 사용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above-described calf and ankle stretch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tretched and muscular strengthened by an ankle and a calf by rolling back and forth repeatedly, or can be placed on a user's waist to correct the curved shape of the spine inherently The state has a complex function, which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carried and used efficientl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는 온열수단이 마련되어 종아리 운동시나 척추 베개 이용시 찜질 효과를 볼 수 있으며, 발지지유닛의 이탈방지턱에 의해 종아리 운동을 위한 롤링시 발의 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alf and ankle stretch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warming means, and can show a fomenting effect when exercising the calf or using the spine pillow. By preventing the foot from falling off during rolling for the calf movement by the separation- Can be prevent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는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appreciated tha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scope of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 : 종아리와 발목 스트레칭 기구
100 : 본체 110 : 곡면부
120 : 지지부 121 : 발지지유닛가이드부
200 : 발지지유닛 210 : 발판
211 : 발접촉부 215 : 이탈방지턱
217 : 내경축소부 220 : 결합부재
221 : 나사선부 225 : 외경확장부
230 : 장공 300 : 온열수단
310 : 발열부재 350 : 전원공급부1: calf and ankle stretching mechanism
100: main body 110:
120: Support part 121: Foot support unit guide part
200: Foot support unit 210: Foot plate
211: foot contact portion 215:
217: Inner diameter reduction part 220:
221: screw part 225: outer diameter enlarging part
230: long hole 300: heating means
310: heating member 350: power supply unit
Claims (5)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상기 곡면부가 바닥면과 접촉시 상기 본체의 롤링운동을 위한 상기 외력을 가하는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는 발 지지유닛과;
상기 본체 내에 장착되어 상기 본체에 온열 공급하는 온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곡면부 방향으로 인입되고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발 지지유닛이 수용되되 상기 곡면부에 대해 돌출되게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발지지유닛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발지지유닛가이드부에 대응되는 상기 곡면부에서 상기 지지부 방향으로 인입된 복수 개의 요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발 지지유닛은
발과 접하게 되며 내측에 상기 발지지유닛가이드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장공이 각각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 상기 발지지유닛가이드부가 인입된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사용자의 발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발지지유닛가이드부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복수 개의 발판과; 상기 발판의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발지지유닛가이드부에 결합되어 상기 발판을 구속하는 결합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온열수단은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발열부재와, 상기 발열부재에 전원 공급 및 온도조절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발열부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발열부재의 열을 사용자의 발에 전달할 수 있는 원적외선 방사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아리와 발목스트레칭기구.
A curved surface portion capable of being rolled by an external force when it is in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due to its curvature and pressing the spinal and lumbar muscles of a user when the user is in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user in a lying state, And a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user's foot when the curved surface portion come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user when the curved surface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user's back,
A foot supporting unit mounted on the main body and supporting a foot of a user applying the external force for rolling motion of the main body when the curved surface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floor;
And a heating unit mounted in the main body to supply heat to the main body,
Wherein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to receive the foot supporting unit and to be slidably protruded from the curved surface portion,
Wherein the main body has a plurality of recessed portions drawn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from the curved surfac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oot support unit guide portion,
The foot support unit
The foot supporting unit guide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side with a slot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oot supporting unit guide portion and protruded at one end porti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ot supporting unit guide portion is drawn, A plurality of footrests provided on the foot supporting unit guide portion and opposed to each other and slidable in directions away from each other; And a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foot support unit guide portion through the elongated hole of the foot plate to restrain the foot plate,
The heating means
A heating unit installed in the main body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and temperature control to the heating member,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heating memb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Wherein the engaging member is formed of a far-infrared radiation material capable of transmitting the heat of the heating member to a user's foo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72935A KR101776936B1 (en) | 2015-12-07 | 2015-12-07 | Device for stretching ankles and calv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72935A KR101776936B1 (en) | 2015-12-07 | 2015-12-07 | Device for stretching ankles and calve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66816A KR20170066816A (en) | 2017-06-15 |
KR101776936B1 true KR101776936B1 (en) | 2017-09-08 |
Family
ID=59217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72935A Active KR101776936B1 (en) | 2015-12-07 | 2015-12-07 | Device for stretching ankles and calv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7693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06970A (en) | 2021-07-05 | 2023-01-12 | (주)씨비에이치 | Ankle stretching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64290B1 (en) * | 2017-10-24 | 2019-04-02 | 김세현 | capability pillow with massager |
CN109498251B (en) * | 2018-12-25 | 2020-01-14 | 南通市第一人民医院 | Ankle joint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for promoting blood circulation and operation method |
KR102515069B1 (en) | 2022-08-12 | 2023-03-28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Stretching device to prevent plantar fasciiti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23914B1 (en) * | 2005-10-24 | 2006-09-13 | 김홍기 | Golf Tee Height Adjuster |
KR100759499B1 (en) * | 2006-11-10 | 2007-09-18 | (주)세영아이앤씨 | Health Supplement |
KR100879052B1 (en) * | 2007-01-29 | 2009-01-15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Posture balance training device |
KR101556477B1 (en) * | 2014-09-04 | 2015-10-01 |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aratus for Stretching Ankles with Multi-Purpose |
-
2015
- 2015-12-07 KR KR1020150172935A patent/KR10177693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23914B1 (en) * | 2005-10-24 | 2006-09-13 | 김홍기 | Golf Tee Height Adjuster |
KR100759499B1 (en) * | 2006-11-10 | 2007-09-18 | (주)세영아이앤씨 | Health Supplement |
KR100879052B1 (en) * | 2007-01-29 | 2009-01-15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Posture balance training device |
KR101556477B1 (en) * | 2014-09-04 | 2015-10-01 |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aratus for Stretching Ankles with Multi-Purpos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06970A (en) | 2021-07-05 | 2023-01-12 | (주)씨비에이치 | Ankle stretching device |
KR20240070492A (en) | 2021-07-05 | 2024-05-21 | (주)씨비에이치 | Ankle stretch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66816A (en) | 2017-06-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419650B1 (en) | Device for providing accupressure back massage | |
ES2955612T3 (en) | Body massage device | |
US9566470B2 (en) | Leg stretcher | |
KR100711104B1 (en) | Chiropractic Equipment | |
US6371894B1 (en) | Medical device for physical therapy treatment | |
US20120265114A1 (en) | Stretcher and method of stretching lower body | |
KR101776936B1 (en) | Device for stretching ankles and calves | |
KR20180075868A (en) | Key Growth Posture Calibrator | |
KR20090102595A (en) | Improved spinal manipulation apparatus | |
KR20170130767A (en) | Disc Herniation traction management | |
KR101203367B1 (en) | Rehabilitation machine device for knee joint | |
KR101529298B1 (en) | Lumbar calibration exercise assistive devices | |
KR20130115590A (en) | Stretching equipment for fatigue recovery | |
JP5114783B2 (en) | Health exercise equipment | |
KR101935587B1 (en) | Replaceable Multiple Stretching Machine | |
KR20100042140A (en) | Support apparatus for helping growth of height | |
KR102047714B1 (en) | A Treatment Apparatus for Spinal Correction and Strengthening Lumbar Muscle | |
KR101955369B1 (en) | Pelvis correction apparatus | |
US10688334B2 (en) | Stretch exercise system | |
KR200399189Y1 (en) | Vertebra relaxation utensil | |
CN209075369U (en) | lower extremity exercise device | |
KR200443470Y1 (en) | Posture Corrector | |
KR101841358B1 (en) | Patients hip external rotation inhibitor in bed rest | |
KR100632993B1 (en) | Stretching exercise mat | |
KR20160089806A (en) | Spinal adjustment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9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9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