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76120B1 - 건설기계 - Google Patents

건설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6120B1
KR101776120B1 KR1020157034695A KR20157034695A KR101776120B1 KR 101776120 B1 KR101776120 B1 KR 101776120B1 KR 1020157034695 A KR1020157034695 A KR 1020157034695A KR 20157034695 A KR20157034695 A KR 20157034695A KR 101776120 B1 KR101776120 B1 KR 101776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engine
treatment device
exhaust
pi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4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6197A (ko
Inventor
히로유키 아즈마
준 야마바야시
다카히로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06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6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6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612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66Engine compartment, e.g. heat exchangers, exhaust filters, cooling devices, silencers, mufflers, position of hydraulic pumps in the engin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09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having two or more separate purifying devices arranged in s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09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having two or more separate purifying devices arranged in series
    • F01N13/0093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having two or more separate purifying devices arranged in series the purifying devices are of the sam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1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having two or more purifying devices arranged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01N13/1811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 F01N13/1816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the pipe sections being joined together by flexible tubular elements only, e.g. using bellows or strip-woun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66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 F01N3/208Control of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e.g. dosing of reducing ag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28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90/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 F01N2590/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for heavy duty applications, e.g. trucks, buses, tractors, locomot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의 유입구(17A)는, 당해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의 통체(17)의 축선(O1-O1)을 사이에 두고 엔진(8)과는 반대측에 설치하고 있다. 엔진(8)과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의 사이를 접속하는 배기관(26)은,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의 전측에서 상부 선회체(3)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도중에 엔진(8)과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의 상대적인 변위를 흡수하는 벨로우즈관(28)을 갖는 가로 관로(27)와, 당해 가로 관로(27)의 선단측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U자 형상으로 굴곡하여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의 유입구(17A)에 접속하는 굴곡 관로(29)에 의해 구성된다.

Description

건설기계{CONSTRUCTION MACHIN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엔진의 배기관에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를 구비한 유압 셔블 등의 건설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기계로서의 유압 셔블은, 자주(自走) 가능한 하부 주행체와, 당해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된 상부 선회체와, 당해 상부 선회체의 전측에 부앙동(俯仰動) 가능하게 설치된 작업 장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에는, 선회 프레임의 전측에 캡, 연료 탱크, 작동유 탱크 등이 탑재되고, 선회 프레임의 후측에 엔진, 유압 펌프 등이 탑재되어 있다.
유압 셔블의 엔진에는 일반적으로 디젤 엔진이 이용되고 있다. 이 디젤 엔진은, 입자상물질(PM:Particulate Matter), 질소산화물(NOx) 등의 유해 물질을 배출한다고 되어 있다. 그래서, 유압 셔블은, 엔진의 배기 가스 통로를 형성하는 배기관에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로서는,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입자상물질을 포집하는 DPF(Diesel Particulate Filter)를 갖는 PM 포집 장치,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질소산화물(NOx)을 정화하는 NOx 정화 장치가 알려져 있다. 또한,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로서는, 배기 음량을 저감하기 위한 소음 장치도 알려져 있다.
여기에서, 엔진은, 선회 프레임 상에 방진(防振) 마운트로 지지되어 있다.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는, 선회 프레임에 직접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 엔진과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의 진동 계통은 다르다. 따라서, 엔진과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의 상대적인 변위(진동)는, 엔진과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를 접속하는 배기관의 도중에 설치된 주름상자 형상의 벨로우즈관에 의해 흡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특허문헌 1).
국제공개 제2011/152306호
그런데, 상술한 특허문헌 1에서는, 2개의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를 유압 펌프의 상방에서 그 일부를 상·하방향으로 포개어, 엔진에 근접한 상태로 배치하고 있다. 그러나, 벨로우즈관은, 충분히 진동을 흡수하기 위해 어느 정도의 길이가 필요하다. 따라서, 벨로우즈관을 설치한 배기관은, 엔진의 상방에서 엔진을 타고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엔진의 상방에는, 배기관을 배치할 스페이스를 확보하여야 한다. 이로 인해, 이 배기관을 포함한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가 전체로서 대형화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의 주위의 한정된 스페이스에 벨로우즈관을 설치한 배기관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한 건설기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1). 본 발명에 의한 건설기계는, 자주 가능한 차체와, 당해 차체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놓기 상태로 상기 차체에 탑재된 엔진과, 당해 엔진의 길이방향의 일측에 설치된 유압 펌프와, 상기 엔진의 배기구에 접속된 배기관과, 당해 배기관의 출구측에 설치된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와, 당해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의 유출구에 접속된 접속관과, 당해 접속관의 출구측에 설치된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이 채용하는 구성의 특징은, 상기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와 상기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는, 각각 축선이 상기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통체를 가지고, 당해 각 통체가 서로 평행이 되도록 상기 유압 펌프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의 유입구는, 상기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의 상기 통체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상기 엔진과는 반대측에 설치하고, 상기 배기관은, 상기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의 전측에서 상기 차체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도중에 상기 엔진과 상기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의 상대적인 변위를 흡수하는 벨로우즈관을 갖는 가로 관로와, 당해 가로 관로의 선단측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U자 형상으로 굴곡하여 상기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의 유입구에 접속하는 굴곡 관로에 의해 구성한 것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의 통체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엔진과는 반대측에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의 유입구를 설치하고, 배기관을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의 전측에서 차체의 좌·우방향으로 연장시킨다. 이 때문에,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를 유압 펌프의 상방의 엔진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해도, 엔진과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의 사이를 접속하는 배기관의 길이 치수(경로)를 길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 배기관에는, 엔진과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의 상대적인 변위(진동)를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길이의 벨로우즈관을 설치할 수 있다.
배기관은,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의 전측에서 차체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태로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엔진의 상측에는, 배기관을 배치시킬 필요가 없고, 엔진의 상측과 그 상방을 덮는 엔진 커버와의 사이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엔진 커버의 높이 치수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오퍼레이터의 후방의 시계성(視界性)은 향상한다.
(2).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의 유입구는, 상기 엔진의 배기구보다 상방에 설치되고, 상기 배기관의 가로 관로는, 상기 엔진의 배기구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관로부와, 당해 수평 관로부의 선단측으로부터 상기 굴곡 관로를 향해 위쪽으로 경사지는 경사 관로부를 가지고, 상기 벨로우즈관은, 상기 경사 관로부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의 유입구와 엔진의 배기구를 상·하방향에서 다른 위치에 설치하고, 벨로우즈관을 배기관의 경사 관로부에 설치한다. 따라서, 벨로우즈관은, 엔진과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의 상대적인 변위를 벨로우즈관의 굽힘방향으로 작용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엔진과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의 상대적인 변위는, 벨로우즈관의 굽힘 변형에 의해 효과적으로 흡수시킬 수 있어, 건설기계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와 상기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는, 상기 접속관에 의해 접속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포개어 배치되고, 상기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는, 상기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와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는, 접속관에 의해 접속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포개어진다. 이로 인해, 2개의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는, 엔진의 주위의 협애한 스페이스에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4).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와 상기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는, 상기 접속관에 의해 접속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포개어 배치되고, 상기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는, 상기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한 것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를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보다 상측에 위치시키고 있다. 따라서, 엔진과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의 사이를 접속하는 배기관은, 엔진과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의 사이에서 보다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배기관에 설치하는 벨로우즈관의 길이나 개수, 위치 등을 선택할 수 있는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엔진과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의 상대적인 변위는, 벨로우즈관에 의해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적용되는 유압 셔블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상부 선회체를 캡, 구조물 커버 등을 생략한 상태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 중의 화살표시 Ⅲ-Ⅲ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엔진, 배기관, 제 1,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 등을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이다.
도 5는, 배기관, 제 1,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를 도 4 중의 화살표시 Ⅴ-Ⅴ방향으로부터 본 확대도이다.
도 6은, 엔진, 유압 펌프, 배기관, 제 1,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 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배기관과 제 1,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를 엔진으로부터 떼어낸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제 1,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를 도 5 중의 화살표시 Ⅷ-Ⅷ방향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도 9는, 변형례에 의한 엔진, 배기관, 제 1,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 등을 나타내는 도 4와 동일 위치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10은, 변형례에 의한 엔진, 유압 펌프, 배기관, 제 1,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 등을 나타내는 도 6과 동일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변형례에 의한 배기관과 제 1,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를 엔진으로부터 떼어낸 상태로 나타내는 도 7과 동일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건설기계의 대표예로서, 엔진을 탑재한 유압 셔블을 예로 들어,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1은 건설기계로서의 크롤러식의 유압 셔블을 나타내고 있다. 이 유압 셔블(1)은, 자주 가능한 크롤러식의 하부 주행체(2)와, 당해 하부 주행체(2) 상에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어, 당해 하부 주행체(2)와 함께 차체를 구성하는 상부 선회체(3)와, 당해 상부 선회체(3)의 전·후방향의 전측에 부앙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토사의 굴삭 작업을 행하는 작업 장치(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5)은, 상부 선회체(3)의 지지 구조체를 형성하는 것이다.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선회 프레임(5)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두꺼운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바닥판(5A)과, 당해 바닥판(5A) 상에 세워서 설치되고, 좌·우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어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좌측 세로판(5B), 우측 세로판(5C)과, 당해 각 세로판(5B, 5C)의 좌·우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배치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좌측 사이드 프레임(5D), 우측 사이드 프레임(5E)과, 상기 바닥판(5A), 각 세로판(5B, 5C)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돌출하고, 그 선단부에 좌·우의 사이드 프레임(5D, 5E)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돌출 빔(5F)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5)의 전측에는, 좌·우의 세로판(5B, 5C) 사이에 위치하여 작업 장치(4)가 부앙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5)의 후측에는, 후술하는 카운터 웨이트(7), 엔진(8) 등이 설치되어 있다.
캡(6)은, 선회 프레임(5)의 왼쪽 전측에 탑재되어 있다. 이 캡(6)은, 오퍼레이터가 탑승하는 것이다. 캡(6)의 내부에는, 오퍼레이터가 착좌하는 운전석, 주행용의 조작 레버, 작업용의 조작 레버(모두 도시 생략)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카운터 웨이트(7)는, 선회 프레임(5)의 후단부(後端部)에 장착된 것이고, 당해 카운터 웨이트(7)는, 작업 장치(4)와의 중량 밸런스를 잡는 것이다.
엔진(8)은, 선회 프레임(5)의 후측에 설치되고, 당해 엔진(8)은, 상부 선회체(3)(차체)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놓기 상태로 탑재되어 있다.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8)의 좌측에는, 후술하는 열 교환기(10)에 냉각풍을 공급하기 위한 냉각팬(8A)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엔진(8)의 우측에는, 후술하는 유압 펌프(1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엔진(8)의 전측의 상부에는, 이그조스트 매니폴드(8B)에 접속하여 후술하는 과급기(9)가 설치되어 있다. 엔진(8)은, 4개의 방진 마운트(8C)(도 3 및 도 6 중에 2개만 도시)를 통해 선회 프레임(5)에 방진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과급기(터보차저)(9)는, 엔진(8)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고, 당해 과급기(9)는, 엔진(8)의 전측에 위치하여 이그조스트 매니폴드(8B)에 접속되고, 상부 선회체(3)의 좌·우방향의 우측을 향해 배기구(9A)가 개구하고 있다. 여기에서, 과급기(9)의 배기구(9A)는, 엔진(8)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배출하는 것이고, 이 과급기(9)의 배기구(9A)에는 후술하는 배기관(26)이 접속되어 있다.
열 교환기(10)는, 엔진(8)의 좌측에 배치되고, 당해 열 교환기(10)는, 엔진(8)의 냉각팬(8A)에 대면하여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열 교환기(10)는, 엔진 냉각수를 냉각하는 라디에이터, 작동유를 냉각하는 오일쿨러, 엔진(8)이 흡입하는 공기를 냉각하는 인터쿨러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유압 펌프(11)는, 엔진(8)의 우측에 설치되고, 당해 유압 펌프(11)는, 엔진(8)에 의해 구동된다. 유압 펌프(11)는, 후술하는 작동유 탱크(12)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를, 압유로서 제어 밸브 장치(도시 생략)를 향해 토출하는 것이다.
작동유 탱크(12)는, 유압 펌프(11)의 전측에 위치하여 선회 프레임(5)의 우측에 설치되고, 당해 작동유 탱크(12)는, 하부 주행체(2), 작업 장치(4)에 설치된 액추에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작동유를 저장하는 것이다. 한편, 연료 탱크(13)는, 작동유 탱크(12)의 전측에 위치하여 선회 프레임(5)에 설치되어 있다.
구조물 커버(14)는, 엔진(8), 열 교환기(10), 후술하는 제 1,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 21)를 포함하는 기기를 측방 및 상방으로부터 덮는 것이다. 이 구조물 커버(14)는, 캡(6)과 카운터 웨이트(7)의 사이에 위치하여 선회 프레임(5) 상에 설치되어 있다. 도 1,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조물 커버(14)는, 열 교환기(10)의 좌측을 덮는 좌면 커버부(14A)와, 유압 펌프(11)의 우측을 덮는 우면 커버부(14B)와, 각 커버부(14A, 14B)의 상측에 위치하여 엔진(8)의 상측을 덮는 상면 커버부(14C)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면 커버부(14C)에는, 엔진(8)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행할 때에 개폐되는 엔진 커버부(14D)가 설치되어 있다. 엔진 커버부(14D)는, 제 1,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 21)의 상측이 되는 부위가 다른 부위보다 1단 높게 형성되고, 후술하는 꼬리관(25)을 상측으로 돌출시키기 위한 개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엔진 커버부에 꼬리관을 일체적으로 장착하고, 이 꼬리관에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로부터 연장되는 배출관을 접속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지지 브래킷(15)은, 엔진(8)의 우측에 위치하여 선회 프레임(5) 상에 설치되고, 당해 지지 브래킷(15)은, 선회 프레임(5)에 대하여 후술하는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와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1)를 지지하는 것이다. 지지 브래킷(15)은, 유압 펌프(11)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돌출 빔(5F)으로부터 유압 펌프(11)의 상방까지 세워지는 전각부(前脚部)(15A)와, 당해 전각부(15A)와 유압 펌프(11)를 사이에 두고 대면하여 유압 펌프(11)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돌출 빔(5F)으로부터 유압 펌프(11)의 상방까지 세워지는 후각부(後脚部)(15B)와, 유압 펌프(11)의 상방에서 전각부(15A)와 후각부(15B)의 사이를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는 후처리 장치 장착 테두리(15C)에 의하여 대략 구성되어 있다.
후처리 장치 장착 테두리(15C)에는, 후술하는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와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1)가 볼트 등을 이용하여 장착되어 있다. 즉, 지지 브래킷(15)은, 유압 펌프(11)를 전·후방향으로 타고넘은 상태에서, 후술하는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와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1)를 선회 프레임(5) 상에 양쪽으로 지지하고 있다.
다음에, 엔진(8)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상부 선회체(3)의 외부에 배출하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는, 지지 브래킷(15)을 통해 선회 프레임(5)에 장착되고, 당해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는, 유압 펌프(11)의 상측에 위치하고, 후술하는 배기관(26)의 출구측에 설치되어 있다.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는, 후술하는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1)보다 상부 선회체(3)의 좌·우방향에서 엔진(8)에 가까운 쪽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는, 볼트 등을 이용하여 지지 브래킷(15)의 후처리 장치 장착 테두리(15C)에 고정된 상태에서 축선(O1-O1)이 상부 선회체(3)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통체(17)와, 당해 통체(17) 내에 배치된 산화 촉매(1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산화 촉매(18)는, 배기 가스를 정화하는 처리 부재의 하나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당해 산화 촉매(18)는, 예를 들면 세라믹제의 셀 형상 통체로 이루어지고, 그 축방향에는 다수개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내면에 귀금속 등이 코팅되어 있다. 산화 촉매(18)는, 소정의 온도하에서 각 관통 구멍에 배기 가스를 유통시킴으로써, 이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일산화탄소(CO), 탄화수소(HC) 등을 산화하여 제거하는 것이다. 한편, 산화 촉매(18)는, 필요에 따라 입자상물질(PM)도 연소하여, 제거할 수 있다.
한편, 통체(17)는, 그 양단(兩端)을 폐색함으로써 밀폐 용기로서 형성되어 있다. 통체(17)의 상류측이 되는 전측 부위에는, 통체(17)의 지름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관체로 이루어지는 유입구(17A)가 설치되어 있다.
도 3,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유입구(17A)는,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의 통체(17)의 축선(O1-O1)을 사이에 두고 엔진(8)과는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입구(17A)의 길이방향의 일단(一端)이 통체(17) 내에 삽입되고, 타단(他端)이 우면 커버부(14B)측을 향해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 유입구(17A)는, 엔진(8)의 과급기(9)의 배기구(9A)보다 상방에 설치되고, 돌출 단측에는, 후술하는 배기관(26)의 출구측이 볼트에 의해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이로 인해, 후술하는 배기관(26)의 길이 치수(경로)는, 배기구(9A)와 유입구(17A)의 사이에 길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배기관(26)의 벨로우즈관(28)을 길게 함으로써, 엔진(8)과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의 상대적인 변위를 효과적으로 흡수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유입구(17A) 중 통체(17) 내에 삽입된 부분에는, 다수개의 관통 구멍(17B)(도 8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관통 구멍(17B)은, 배기음을 저감(소음)하는 것이다. 통체(17)의 하류측이 되는 후측 부위에는, 상방을 향해 개구하여 유출구(17C)가 설치되어 있다. 이 유출구(17C)에는, 후술하는 접속관(19)의 입구측이 접속되어 있다.
접속관(19)은,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의 통체(17)의 유출구(17C)에 접속되고, 당해 접속관(19)은,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와 후술하는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1)의 사이를 접속하는 것이다. 접속관(19)은,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의 통체(17)의 바로 위쪽에서, 또한 유압 펌프(11)의 상방의 공간 내에 배치되고 당해 통체(17)의 축선(O1-O1)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원통체로 이루어지는 통부(19A)와, 당해 통부(19A)의 상류측이 되는 입구측의 가장자리를 폐색하는 상류 덮개판(19B)과, 상기 통부(19A)의 하류측이 되는 출구측의 가장자리를 폐색하는 하류 덮개판(19C)으로 구성되어 있다.
접속관(19)은, 입구측(후측)이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의 통체(17)의 유출구(17C)에 접속되고, 출구측(전측)이 후술하는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1)의 통체(22)의 급기구(22A)에 접속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접속관(19)은,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1)에 유도할 수 있다.
요소수(尿素水) 분사 노즐(20)은, 접속관(19)에 설치되고, 당해 요소수 분사 노즐(20)은, NOx 정화 장치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요소수 분사 노즐(20)은, 접속관(19)의 접속 단부(端部)의 축선 상에 있어서의 상류 덮개판(19B)에 장착되고, 요소수 용액을 저장하는 요소수 탱크에 펌프(모두 도시 생략)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요소수 분사 노즐(20)은, 통부(19A) 내를 유통하는 배기 가스를 향해 요소수 용액을 분사하는 것이다.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1)는, 지지 브래킷(15)을 통해 선회 프레임(5)에 장착되고, 당해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1)는, 접속관(19)의 출구측에 설치됨과 함께,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1)는, 볼트 등을 이용하여 지지 브래킷(15)의 후처리 장치 장착 테두리(15C)에 고정된 상태에서 축선(O2-O2)이 상부 선회체(3)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의 통체(22)와, 당해 통체(22) 내에 배치되고, 질소산화물(NOx)을 암모니아에 의해 선택적으로 환원 반응시켜 물과 질소로 분해하는 선택 환원 촉매(23)와, 당해 선택 환원 촉매(23)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당해 선택 환원 촉매(23)로 질소산화물을 환원한 후에 남은 잔류 암모니아를 산화하여, 질소와 물로 분리하는 산화 촉매(24)와, 당해 산화 촉매(24)의 하류측에 위치하여 통체(22)로부터 상측을 향해 돌출한 꼬리관(2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4,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1)의 통체(22)는, 양단을 폐색함으로써 밀폐 용기로서 형성되고,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의 통체(17)보다 약간 긴 원통체로 되어 있다.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1)는,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보다 상측으로서, 유압 펌프(11)의 상방의 공간 내에 배치되어 있다. 통체(22)의 축선(O2-O2)은,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의 통체(17)의 축선(O1-O1)과 동일한 수직 평면상으로부터 우면 커버부(14B)측으로 어긋난 위치에서 통체(17)의 축선(O1-O1)과 서로 평행인 위치 관계로 되어 있다. 즉,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와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1)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상면에서 보았을 때) 그 일부가 포개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통체(22)의 상류측이 되는 전측 부위는,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의 통체(17)의 상류측이 되는 전측보다 전방을 향해 약간 돌출하고, 통체(22)의 하류측이 되는 후측 부위는, 통체(17)의 하류측이 되는 후측보다 후방을 향해 약간 돌출하고 있다. 통체(22)의 전측 부위에는, 엔진(8)측으로 돌출하여 급기구(22A)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급기구(22A)에는 접속관(19)의 출구측이 접속되어 있다. 또, 통체(22)의 하류측이 되는 후측 부위에는, 지름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꼬리관(25)이 접속되어 있다.
선택 환원 촉매(23)는, 예를 들면 세라믹제의 셀 형상 통체로 이루어지고, 그 축방향에는 다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내면에 귀금속이 코팅되어 있다. 이 선택 환원 촉매(23)는, 통상, 엔진(8)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질소산화물(NOx)을, 요소수 용액으로부터 생성된 암모니아에 의해 선택적으로 환원 반응시켜, 질소와 물로 분해하는 것이다.
한편, 산화 촉매(24)는, 전술한 산화 촉매(18)와 거의 동일하게, 세라믹제의 셀 형상 통체로 이루어지고, 그 축방향에는 다수의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내면에 귀금속이 코팅되어 있다. 이로 인해, 산화 촉매(24)는, 선택 환원 촉매(23)로 질소산화물을 환원한 후에 남은 잔류 암모니아를 산화하고, 질소와 물로 분리하는 것이다.
또한, 꼬리관(25)은, 통체(22)의 하류측(산화 촉매(24)의 하류측)이 되는 후측 부위에 위치하고, 길이방향의 일단이 통체(22) 내에 삽입되고, 타단이 지름방향의 위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통체(22) 내에 들어간 꼬리관(25)의 하측 부분에는, 다수개의 관통 구멍(25A)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관통 구멍(25A)은 배기음을 저감(소음)하는 것이다. 한편, 통체(22)로부터 돌출한 꼬리관(25)의 상측 부분은, 엔진 커버부(14D)의 개구에 삽입 통과되고, 상단(上端)이 후측으로 굴곡하여 배기 가스의 출구로 되어 있다.
다음에, 엔진(8)과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의 사이를 접속하는 배기관(26)에 대하여 설명한다.
배기관(26)은, 엔진(8)을 구성하는 과급기(9)의 배기구(9A)에 접속된 것이다. 이 배기관(26)은, 금속제의 관로로서 형성되고, 엔진(8)으로부터 배출된 고온의 배기 가스를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로 유도하는 것이다. 배기관(26)은, 엔진(8)을 따라 상부 선회체(3)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의 유입구(17A)를 향해 수평 또는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배기관(26)은, 후술하는 가로 관로(27)와 굴곡 관로(2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가로 관로(27)는,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의 전측에서 상부 선회체(3)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당해 가로 관로(27)는, 엔진(8)의 과급기(9)의 배기구(9A)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관로부(27A)와, 당해 수평 관로부(27A)의 선단측으로부터 후술하는 굴곡 관로(29)를 향해 위쪽으로 경사지는 경사 관로부(27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 관로부(27A)는, 기단측(基端側)(상류측)이 엔진(8)의 과급기(9)의 배기구(9A)에 접속되어 후방을 향해 대략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한편, 경사 관로부(27B)는, 수평 관로부(27A)의 선단측으로부터 수평 관로부(27A)에 대하여 각도 α로써 위쪽으로 경사지고,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의 통체(17)의 전측 또한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1)의 급기구(22A)의 하측을 우면 커버부(14B)측을 향해 연장하고 있다. 경사 관로부(27B)의 선단측은, 통체(17)에 설치된 유입구(17A)와 대략 동일한 수평면상에 위치하고, 후술하는 굴곡 관로(29)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경사 관로부(27B)는,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1)의 급기구(22A)의 하측과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의 통체(17)의 전측과의 사이에 형성된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그곳에 배치함으로써, 배기관(26)의 길이 치수를 길게 하고 있다. 이로 인해, 배기관(26)이나 제 1,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 21)는, 엔진(8)의 주위의 협애한 스페이스에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벨로우즈관(28)은, 배기관(26)의 도중에 설치되고, 엔진(8)과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의 상대적인 변위를 흡수하는 것이다. 벨로우즈관(28)은, 배기관(26)을 구성하는 가로 관로(27)의 경사 관로부(27B)의 도중 부위에 2군데 배치되어 있다. 각 벨로우즈관(28)은, 주름상자 형상의 금속 통체로서 형성되고, 각 벨로우즈관(28)의 양단은 경사 관로부(27B)에 용접 수단을 이용하여 일체적으로 고착되어 있다.
이 경우, 벨로우즈관(28)은, 가로 관로(27)의 경사 관로부(27B)의 도중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엔진(8)의 배기구(9A)와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의 유입구(17A)에 작용하는 전·후, 상·하, 좌·우방향의 상대적인 변위는, 벨로우즈관(28)의 굽힘방향으로 작용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엔진(8)과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의 상대적인 변위는, 벨로우즈관(28)의 굽힘 변형에 의해 효과적으로 흡수시킬 수 있다.
굴곡 관로(29)는, 가로 관로(27)를 구성하는 경사 관로부(27B)의 선단측(하류측)에 접속되어 있다. 당해 굴곡 관로(29)는, 경사 관로부(27B)의 선단측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U자 형상으로 굴곡하여 하류측이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의 통체(17)의 유입구(17A)에 볼트 등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의 유입구(17A)는,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의 통체(17)의 축선(O1-O1)을 사이에 두고 엔진(8)과는 반대측에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의 유입구를 엔진(8)측에 설치한 경우와 비교하여, 배기관(26)의 가로 관로(27)의 길이 치수를,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의 통체(17)의 외경 치수분(分) 만큼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가로 관로(27)에는, 엔진(8)과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의 상대적인 변위를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길이의 벨로우즈관(28)을 설치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유압 셔블(1)은, 상술과 같은 구성을 갖는 것이고, 다음에 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캡(6)에 탑승한 오퍼레이터는, 엔진(8)을 시동하여 유압 펌프(11)를 구동한다. 이로 인해, 유압 펌프(11)로부터의 압유는, 제어 밸브 장치를 통해 각종 액추에이터에 공급된다. 이로 인해, 오퍼레이터가 주행용의 조작 레버(도시 생략)를 조작했을 때에는, 하부 주행체(2)를 전진 또는 후퇴시킬 수 있다. 한편, 오퍼레이터가 작업용의 조작 레버(도시 생략)를 조작함으로써, 작업 장치(4)를 동작시켜 토사의 굴삭 작업 등을 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엔진(8)의 운전시에, 당해 엔진(8)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는, 엔진(8)의 배기구(9A)로부터 배기관(26)을 통해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의 유입구(17A)에 도입된다. 도 8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기 가스는,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의 유입구(17A)로부터 접속관(19),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1)를 통해 대기중에 배출된다.
이 경우,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에 설치된 산화 촉매(18)가 배기 가스에 포함되는 일산화탄소(CO), 탄화수소(HC) 등을 산화하여 제거한다. 산화 촉매(18)는, 필요에 따라 PM도 연소하여, 제거한다. 한편, 요소수는 접속관(19) 내를 향해 분사된다. 이로 인해,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1) 내의 선택 환원 촉매(23)에 의해 질소산화물을 질소와 물로 분해한다. 또한, 산화 촉매(24)가 잔류 암모니아를 산화하여, 질소와 물로 분리함으로써, 정화한 배기 가스를 대기중에 배출한다.
또한, 유압 셔블(1)의 주행시, 작업시에는, 방진 마운트(8C)를 통해 지지된 엔진(8)이 선회 프레임(5) 상에서 진동한다. 그러나,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와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1)는, 선회 프레임(5)에 지지 브래킷(15)을 통해 장착되어 있으므로, 엔진(8)과는 다른 진동 계통으로 진동한다. 따라서, 엔진(8)과 제 1,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 21)는, 상대적으로 변위하게 된다. 이 경우, 엔진(8)과 제 1,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 21)의 상대적인 변위는, 배기관(26)의 가로 관로(27)의 도중에 설치된 벨로우즈관(28)이 굽힘 변형함으로써 흡수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와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1)는, 접속관(19)에 의해 접속된 상태로, 유압 펌프(11)의 상측에서 상·하방향으로 포개어 배치된다. 이로 인해, 엔진(8)의 주위의 협애한 스페이스에 2개의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 21)를 콤팩트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그런데,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의 통체(17)의 축선(O1-O1)을 사이에 두고 엔진(8)과 반대측에는,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의 유입구(17A)를 설치하고 있다. 배기관(26)은, 엔진(8)과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의 전측에서 상부 선회체(3)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 1,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 21)는, 엔진(8)에 근접해도, 엔진(8)과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의 사이를 접속하는 배기관(26)의 길이 치수를 길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배기관(26)의 벨로우즈관(28)은 축방향으로 긴 것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엔진(8)과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의 상대적인 변위는, 배기관(26)의 벨로우즈관(28)에서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한편, 배기관(26)은, 엔진(8)과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의 전측을 상부 선회체(3)의 좌·우방향으로 연장하는 상태로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종래 기술과 같이, 배기관을 엔진(8)의 상측에 배치할 필요가 없고, 엔진(8)의 상측과 엔진 커버부(14D)의 사이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엔진 커버부(14D)의 높이 치수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오퍼레이터의 후방의 시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의 유입구(17A)와 엔진(8)의 배기구(9A)는, 상·하방향에서 다른 위치에 설치하고, 벨로우즈관(28)을 배기관(26)의 경사 관로부(27B)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로 인해, 엔진(8)과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의 상대적인 변위는, 벨로우즈관(28)의 굽힘방향으로 작용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엔진(8)과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의 상대적인 변위는, 벨로우즈관(28)의 굽힘 변형에 의해 효과적으로 흡수시킬 수 있어, 유압 셔블(1)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를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1)보다 하측에 위치시키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내는 변형례와 같이 구성해도 된다. 즉,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31)와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32)는, 접속관(33)에 의해 접속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포개어 배치되고,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31)는,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32)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31)와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32)는, 유압 펌프(11)를 전·후방향으로 타고넘은 상태에서 선회 프레임(5) 상에 설치된 지지 브래킷(34)에 장착된다. 이 경우,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31)와 엔진(8)의 배기구(9A)의 상·하방향의 치수 차이를 크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엔진(8)의 배기구(9A)와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31)의 유입구(31A)를 접속하는 배기관(35)의 길이 치수는, 그 치수 차이의 분만큼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배기관(35)에 설치하는 벨로우즈관(36)의 길이나 개수, 위치 등의 선택의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엔진(8)과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31)의 상대적인 변위는, 벨로우즈관(36)에 의해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와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1)를 상·하방향으로 포개어 배치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와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를 동일 평면상에서 평행하게 배치해도 된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배기관(26)에 2개의 벨로우즈관(28)을 설치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배기관에 3개 이상의 벨로우즈관을 설치하는 경우나, 1개의 긴 벨로우즈관을 설치해도 된다. 이것은 변형례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의 유입구(17A)는, 엔진(8)의 배기구(9A)보다 상방에 설치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의 유입구를, 엔진의 배기구보다 하방에 설치해도 되고, 또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의 유입구와 엔진의 배기구를 수평면상에서 동일한 높이로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배기관은, 배기구와 유입구의 사이를 배기구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또는 수평으로 배치할 수 있다. 어느 경우도,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의 유입구는,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의 통체의 축선을 사이에 두고 엔진과는 반대측이 된다. 이것은 변형례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배기관(26)의 가로 관로(27)는, 엔진(8)의 배기구(9A)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관로부(27A)와, 당해 수평 관로부(27A)의 선단측으로부터 굴곡 관로(29)를 향해 위쪽으로 경사지는 경사 관로부(27B)에 의해 구성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배기관의 가로 관로를 엔진의 배기구로부터 굴곡 관로를 향해 경사지는 경사 관로부만으로 구성해도 되고, 또 배기관의 가로 관로를 엔진의 배기구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관로부만으로 구성하고, 이 수평 관로부의 선단측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굴곡 관로를 접속해도 된다. 이것은 변형례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배기관(26)의 가로 관로(27)는, 수평 관로부(27A)와, 경사 관로부(27B)에 의해 구성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엔진의 배기구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관로부와, 당해 수평 관로부의 선단측으로부터 굴곡 관로를 향해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직 관로부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벨로우즈관은 수평 관로부나 연직 관로부에 설치할 수 있다. 이것은 변형례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의 통체(17) 내에 산화 촉매(18)만을 설치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의 통체 내에, 산화 촉매의 하류측에 위치하여 입자상물질 제거 필터(DPF)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입자상물질 제거 필터는, 엔진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 중의 입자상물질을 포집하고, 연소하여 제거함으로써, 배기 가스를 정화하는 것이다. 이것은 변형례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건설기계로서 크롤러식의 하부 주행체(2)를 구비한 유압 셔블(1)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휠식의 하부 주행체를 구비한 유압 셔블에 적용해도 된다. 그 이외에도 휠 로더, 덤프트럭, 유압 크레인 등의 다른 건설기계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1 : 유압 셔블(건설기계)
2 : 하부 주행체(차체)
3 : 상부 선회체(차체)
8 : 엔진
9 : 과급기
9A : 배기구
11 : 유압 펌프
16, 31 :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
17 : 통체
17A, 31A : 유입구
17C : 유출구
19, 33 : 접속관
21, 32 :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
22 : 통체
26, 35 : 배기관
27 : 가로 관로
27A : 수평 관로부
27B : 경사 관로부
28, 36 : 벨로우즈관
29 : 굴곡 관로
O1-O1 : 통체(17)의 축선
O2-O2 : 통체(22)의 축선

Claims (4)

  1. 자주 가능한 차체(2, 3)와, 당해 차체(2, 3)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놓기 상태로 상기 차체(2, 3)에 방진 마운트에 의해 지지된 엔진(8)과, 당해 엔진(8)의 길이방향의 일측에 설치된 유압 펌프(11)와, 상기 엔진(8)의 배기구(9A)에 접속된 배기관(26, 35)과, 당해 배기관(26, 35)의 출구측에 설치되고, 상기 차체에 장착된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 31)와, 당해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 31)의 유출구에 접속된 접속관(19, 33)과, 당해 접속관(19, 33)의 출구측에 설치되고, 상기 차체에 장착된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1, 32)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건설기계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 31)와 상기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1, 32)는, 각각 축선(O1-O1, O2-O2)이 상기 차체(2, 3)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통체(17, 22)를 가지고, 당해 각 통체(17, 22)가 서로 평행이 되도록 상기 유압 펌프(11)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 31)의 유입구(17A, 31A)는, 상기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 31)의 상기 통체(17, 22)의 축선(O1-O1, O2-O2)을 사이에 두고 상기 엔진(8)과는 반대측에 설치하고,
    상기 배기관(26, 35)은, 상기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 31)의 전측에서 상기 차체(2, 3)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도중에 상기 엔진(8)과 상기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 31)의 상대적인 변위를 흡수하는 벨로우즈관(28, 36)을 갖는 가로 관로(27)와, 당해 가로 관로(27)의 선단측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U자 형상으로 굴곡하여 상기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 31)의 유입구(17A, 31A)에 접속하는 굴곡 관로(29)에 의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 31)의 유입구(17A, 31A)는, 상기 엔진(8)의 배기구(9A)보다 상방에 설치되고,
    상기 배기관(26, 35)의 가로 관로(27)는, 상기 엔진(8)의 배기구(9A)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관로부(27A)와, 당해 수평 관로부(27A)의 선단측으로부터 상기 굴곡 관로(29)를 향해 위쪽으로 경사지는 경사 관로부(27B)를 가지고,
    상기 벨로우즈관(28, 36)은, 상기 경사 관로부(27B)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기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와 상기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1)는, 상기 접속관(19)에 의해 접속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포개어 배치되고,
    상기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16)는, 상기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21)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기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31)와 상기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32)는, 상기 접속관(33)에 의해 접속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포개어 배치되고,
    상기 제 1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31)는, 상기 제 2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32)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건설기계.
KR1020157034695A 2013-06-05 2014-05-26 건설기계 Active KR1017761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18737 2013-06-05
JP2013118737 2013-06-05
PCT/JP2014/063807 WO2014196395A1 (ja) 2013-06-05 2014-05-26 建設機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197A KR20160006197A (ko) 2016-01-18
KR101776120B1 true KR101776120B1 (ko) 2017-09-07

Family

ID=52008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4695A Active KR101776120B1 (ko) 2013-06-05 2014-05-26 건설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777611B2 (ko)
EP (1) EP3006250B1 (ko)
JP (1) JP6212826B2 (ko)
KR (1) KR101776120B1 (ko)
CN (1) CN105209281B (ko)
WO (1) WO20141963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09281B (zh) * 2013-06-05 2017-11-03 日立建机株式会社 工程机械
JP6297905B2 (ja) * 2014-04-22 2018-03-20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EP2985166B1 (en) * 2014-08-14 2017-08-02 CNH Industrial Italia S.p.A. Exhaust system for an off-road vehicle
EP3222830B1 (en) * 2014-11-21 2020-03-18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Industrial vehicle
JP6232370B2 (ja) * 2014-12-24 2017-11-15 株式会社Kcm 建設機械
JP6449021B2 (ja) * 2015-01-05 2019-01-09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US9745718B2 (en) * 2015-08-21 2017-08-29 Komatsu Ltd. Hydraulic excavator
JP6495196B2 (ja) * 2016-03-15 2019-04-03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6518616B2 (ja) 2016-03-29 2019-05-22 株式会社Kcm 作業車両
WO2016163300A1 (ja) * 2016-03-31 2016-10-1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ダンプトラック
CN107651620A (zh) * 2017-10-26 2018-02-02 广东科德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单轨巷道式堆垛起重装置
JP2020019402A (ja) * 2018-08-01 2020-02-06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7271745B2 (ja) * 2018-08-01 2023-05-11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15022A (ja) * 2011-03-31 2012-11-08 Komatsu Ltd エンジン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83728B1 (en) * 2004-08-02 2006-01-10 Cnh America Llc Skid steer loader including muffler support for engine
JP2007331602A (ja) * 2006-06-15 2007-12-27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作業機械
JP5001085B2 (ja) * 2007-08-01 2012-08-15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US8191668B2 (en) * 2008-08-07 2012-06-05 Caterpillar Inc. Mounting assembly for emissions control system
DE112011100075T5 (de) * 2010-05-31 2012-10-31 Komatsu Ltd. Arbeitsfahrzeug
US20120017574A1 (en) * 2010-07-20 2012-01-26 Saad Hasan Strap for securing exhaust treatment device
JP2012171596A (ja) 2011-02-24 2012-09-10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JP2012219624A (ja) * 2011-04-04 2012-11-12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GB2515450B (en) * 2013-03-18 2017-03-22 Alexander Dennis Ltd Passenger service vehicle
CN105209281B (zh) * 2013-06-05 2017-11-03 日立建机株式会社 工程机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15022A (ja) * 2011-03-31 2012-11-08 Komatsu Ltd エンジン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4196395A1 (ja) 2017-02-23
CN105209281B (zh) 2017-11-03
KR20160006197A (ko) 2016-01-18
WO2014196395A1 (ja) 2014-12-11
CN105209281A (zh) 2015-12-30
US9777611B2 (en) 2017-10-03
EP3006250A4 (en) 2017-01-18
US20160115840A1 (en) 2016-04-28
JP6212826B2 (ja) 2017-10-18
EP3006250B1 (en) 2018-07-18
EP3006250A1 (en) 2016-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6120B1 (ko) 건설기계
JP5688167B2 (ja) 建設機械
JP5205551B2 (ja) 作業車両
JP5012406B2 (ja) 建設機械
JP2012219624A (ja) 建設機械
US20130319787A1 (en) Construction machine
JP5653585B2 (ja) エンジン装置
KR101834979B1 (ko) 건설 기계
JP2016125233A (ja) 作業機械
JP5496149B2 (ja) 建設機械
EP3020871B1 (en) Construction machine
JP5914410B2 (ja) 建設機械
WO2014184860A1 (ja) エンジンユニットおよび作業車両
JP2020019402A (ja) 建設機械
WO2010101018A1 (ja) エンジン装置
JP2016223214A (ja) 建設機械
JP5782219B2 (ja) エンジン装置
JP7045659B2 (ja) 建設機械
JP7271745B2 (ja) 建設機械
JP7223894B2 (ja) 建設機械
KR101578337B1 (ko) 유압 셔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0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2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9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9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