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78337B1 - 유압 셔블 - Google Patents

유압 셔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8337B1
KR101578337B1 KR1020157017958A KR20157017958A KR101578337B1 KR 101578337 B1 KR101578337 B1 KR 101578337B1 KR 1020157017958 A KR1020157017958 A KR 1020157017958A KR 20157017958 A KR20157017958 A KR 20157017958A KR 101578337 B1 KR101578337 B1 KR 101578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reducing agent
tank
mount member
eng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7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아키 오자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to KR1020157017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83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33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66Engine compartment, e.g. heat exchangers, exhaust filters, cooling devices, silencers, mufflers, position of hydraulic pumps in the engine compar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75Arrangement of valve arrangements on super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83Tanks, e.g. oil tank, urea tank, fuel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 F01N3/2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methods of operation;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catalytic conversion ; Methods of operation or control of catalytic converters
    • F01N3/2066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SC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90/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 F01N2590/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adapted to particular use, e.g. for military applications, airplanes, submarines for heavy duty applications, e.g. trucks, buses, tractors, locomot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610/00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 F01N2610/02Adding substances to exhaust gases the substance being ammonia or ur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냉각수 배관의 효율적인 배치를 가능하게 하는 유압 셔블을 제공한다. 연료 탱크(36)는, 선회 프레임(31)의 측방 가장자리(31e)보다 외측으로 돌출하는 측면(36s)을 가지고 있다. 유압 셔블은, 마운트 부재(31)를 측방으로부터 덮는 외장 커버(150)와, 엔진의 냉각수를 환원제 탱크로 유도하는 냉각수 배관(17, 18)과, 보강 플레이트(140)를 구비하고 있다. 냉각수 배관(17, 18)은, 연료 탱크(36)의 하방의, 마운트 부재(130)와 외장 커버(150) 사이에 끼인 공간을 경유하여 배치되어 있다. 보강 플레이트(140)는, 냉각수 배관(17, 18)에 대하여 외측, 또한 외장 커버(150)에 대하여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Description

유압 셔블{HYDRAULIC SHOVEL}
본 발명은 유압 셔블에 관한 것이다.
유압 셔블에는, 배기 처리 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배기 처리 장치로서는, 예컨대 디젤 미립자 포집 필터 장치(DPF), 디젤 산화 촉매 장치(DOC), 및 선택 환원 촉매 장치(SCR) 등이 존재한다. 특히 선택 환원 촉매 장치는, 배기 가스 중의 질소 산화물을 환원하여 배기 가스를 정화하는 것이다. 이 배기 처리에 이용되는 환원제는, 환원제 탱크에 저류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3-2082호 공보(특허문헌 1)에는, 배기 처리 장치를 차체 후방에 배치하고, 환원제 탱크를 차체 전방에 배치하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3-2082호 공보
환원제 탱크를 구비하는 유압 셔블에서는, 환원제 탱크 내에서의 환원제의 동결을 막기 위해, 엔진의 냉각수가 흐르는 냉각수 배관을 환원제 탱크 내에 배치하여 환원제를 가열하고 있다. 유압 셔블의 선회 프레임의 면적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특허문헌 1과 같이 환원제 탱크를 차체 전방에 배치하는 경우, 냉각수 배관의 배치가 과제로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냉각수 배관의 효율적인 배치를 가능하게 하는, 유압 셔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유압 셔블은, 엔진과, 배기 처리 장치와, 환원제 탱크와, 선회 프레임과, 마운트 부재와, 연료 탱크와, 외장 커버와, 냉각수 배관과, 보강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있다. 배기 처리 장치는, 엔진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환원 반응에 의해 처리한다. 환원제 탱크는, 배기 처리 장치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환원제 탱크는, 배기 처리 장치에 공급되는 환원제를 축적하고 있다. 선회 프레임은, 엔진, 배기 처리 장치, 및 환원제 탱크를 탑재하고 있다. 마운트 부재는, 배기 처리 장치의 전방, 또한 환원제 탱크의 후방에 있어서, 선회 프레임 상에 마련되어 있다. 연료 탱크는, 마운트 부재 상에 탑재되어 있다. 연료 탱크는, 선회 프레임의 측방 가장자리보다 외측으로 돌출하는 측면을 가지고 있다. 외장 커버는, 마운트 부재를 측방으로부터 덮고 있다. 냉각수 배관은, 엔진의 냉각수를 환원제 탱크로 유도한다. 냉각수 배관은, 연료 탱크의 하방의, 마운트 부재와 외장 커버 사이의 공간을 경유하여 배치되어 있다. 보강 플레이트는, 냉각수 배관에 대하여 외측, 또한 외장 커버에 대하여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서는, 환원제 및 환원제의 전구체를 「환원제」로서 총칭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압 셔블에 따르면, 외장 커버와 마운트 부재 사이에 냉각수 배관이 끼이는 사태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연료 탱크의 하방의, 마운트 부재와 외장 커버 사이에 끼인 공간에 냉각수 배관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냉각수 배관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유압 셔블에 있어서, 보강 플레이트는, 측면에서 보아 마운트 부재와 중첩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냉각수 배관의 보호를 위해 필요한 강도를 확보하면서, 보강 플레이트를 소형화할 수 있다.
상기 유압 셔블에 있어서, 보강 플레이트는, 측면에서 보아 보강 플레이트와 중첩되는 냉각수 배관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형성된 굴곡부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강도가 높은 굴곡부에 의해, 냉각수 배관을 보다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유압 셔블은, 냉각수 배관을 선회 프레임에 대하여 지지하는 클램프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다. 클램프 부재를 마운트 부재의 근방에 배치하여 냉각수 배관의 위치 결정을 함으로써, 냉각수 배관과 마운트 부재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외장 커버와 마운트 부재 사이에 냉각수 배관이 끼이는 사태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연료 탱크의 하방의, 마운트 부재와 외장 커버 사이에 끼인 공간에 냉각수 배관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져, 냉각수 배관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유압 셔블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압 셔블의 상부 선회체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전방 커버 및 탱크 커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선회 프레임 상의 각 기기의 배치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5는 환원제의 경로, 열 교환용 매체의 경로, 및 엔진으로부터의 배기 가스의 배기 경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기능도이다.
도 6은 도 1의 유압 셔블의 외장 커버 및 보강 플레이트를 제거한 상태의, 좌측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유압 셔블의 외장 커버를 제거하고 보강 플레이트를 부착한 상태의, 좌측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보강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외장 커버 부근을 전방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0은 마운트 부재에 대한 보강 플레이트의 배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클램프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사상을 적용 가능한 유압 셔블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유압 셔블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압 셔블(1)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주행체(2)와, 상부 선회체(3)와, 작업기(4)와, 카운터 웨이트(5)와, 엔진(7)과, 캡(10)을 주로 구비하고 있다. 하부 주행체(2)와 상부 선회체(3)에 의해, 유압 셔블 본체가 주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 주행체(2)는, 진행 방향 좌우 양단 부분에 감겨진 한쌍의 무한 궤도(P)를 가지고 있다. 하부 주행체(2)는, 한쌍의 무한 궤도(P)가 회전함으로써 자주(自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3)는, 하부 주행체(2)에 대하여 임의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부 선회체(3)는, 전방 좌측에, 유압 셔블(1)의 오퍼레이터가 타고 내리는 운전실인 캡(10)을 포함하고 있다. 상부 선회체(3)는, 후방측에, 엔진(7)을 수납하는 엔진실, 및 카운터 웨이트(5)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캡(10) 내에 운전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운전자의 전방측(정면측)을 상부 선회체(3)의 전방측으로 하고, 운전자의 후방측을 상부 선회체(3)의 후방측으로 하며, 착좌 상태에서의 운전자의 좌측을 상부 선회체(3)의 좌측으로 하고, 착좌 상태에서의 운전자의 우측을 상부 선회체(3)의 우측으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부 선회체(3)의 전후 좌우와 유압 셔블(1)의 전후 좌우는 일치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부 선회체(3)의 중심으로부터 가까운 측을 내측으로 하고, 상부 선회체(3)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을 외측으로 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는, 전후 방향을 도면 중 화살표 X, 좌우 방향을 도면 중 화살표 Y, 상하 방향을 도면 중 화살표 Z로 나타내고 있다.
토사의 굴착 등의 작업을 행하는 작업기(4)는, 상하 방향으로 작동 가능하게, 상부 선회체(3)에 의해 피봇 지지되어 있다. 작업기(4)는, 상부 선회체(3)의 전방측의 대략 중앙부에 상하 방향으로 작동 가능하게 부착된 붐(4a)과, 붐(4a)의 선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작동 가능하게 부착된 아암(4b)과, 아암(4b)의 선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작동 가능하게 부착된 버킷(4c)을 가지고 있다. 붐(4a), 아암(4b) 및 버킷(4c)은 각각, 유압 실린더(58)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작업기(4)는, 캡(10)에 탑승하고 있는 오퍼레이터가 작업기(4)의 선단부를 내다볼 수 있도록, 캡(10)에 대하여, 캡(10)의 한쪽의 측부측인 우측에 마련되어 있다. 캡(10)은, 작업기(4)이 부착 부분의 측방에 배치되어 있다.
카운터 웨이트(5)는, 채굴 시 등에 있어서 차체의 밸런스를 잡기 위해 상부 선회체(3)의 후방부에 배치된 추이다. 유압 셔블(1)은, 카운터 웨이트(5)의 후면의 선회 반경을 작게 한 후방 소선회형 유압 셔블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카운터 웨이트(5)의 후방면은, 상방에서 보아 상부 선회체(3)의 선회 중심을 중심으로 한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엔진(7)은, 상부 선회체(3)의 후방부의 엔진실 내에 수용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유압 셔블(1)의 상부 선회체(3)의 일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는, 도 1에 나타내는 유압 셔블(1)의 상부 선회체(3)를 좌측 전방에서 본 구성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선회체(3)는, 선회 프레임(31)을 가지고 있다. 선회 프레임(31)은, 유압 셔블 본체에 포함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31)은, 도 1에 나타내는 하부 주행체(2)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고, 하부 주행체(2)에 대하여 임의의 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31)의 상면에는, 한쌍의 플로어 프레임(32, 32)이, 전후 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캡(10)은, 플로어 프레임(32, 32) 상에 배치되어 있다. 캡(10)은, 플로어 프레임(32)을 통해, 선회 프레임(31) 상에 탑재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31)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의 전단부에는, 센터 브래킷(33)이 마련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작업기(4)의 기단부는, 센터 브래킷(33)에 부착되어 있다. 센터 브래킷(33)은, 유압 셔블(1)의 작업기(4)를 지지하고 있으며, 작업기(4)의 부착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선회 프레임(31)의 전방 우측에는, 전방 커버(60)가 배치되어 있다. 전방 커버(60)에 대하여 후방측에는, 탱크 커버(36A, 38A)가 배치되어 있다. 도 3은 전방 커버(60) 및 탱크 커버(36A, 38A)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전방 커버(60) 내에는, 후술하는 탱크룸(92) 및 밸브룸(97)이 형성되어 있다. 탱크 커버(36A) 내에는, 후술하는 연료 탱크(36)가 수용되어 있다. 탱크 커버(36A)의 상면에는, 연료 탱크(36)로의 연료의 보급을 행하기 위한 급유구(36B)가 마련되어 있다. 탱크 커버(38A) 내에는, 후술하는 작동유 탱크(38)가 수용되어 있다.
전방 커버(60)는, 개폐 커버(61)와, 좌측면판(62)을 가지고 있다. 개폐 커버(61)는, 전방 커버(60)의 우측면을 구성하고 있으며, 유압 셔블 본체의 측면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개폐 커버(61)는, 탱크 커버(36A)의 전단으로부터, 상부 선회체(3)의 전단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개폐 커버(61)는,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개폐 커버(61)는, 손잡이(61A)를 가지고 있다. 작업자는, 손잡이(61A)를 파지하여 개폐 커버(61)를 회동시킴으로써, 폐쇄된 상태의 개폐 커버(61)를 개방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좌측면판(62)은, 전방 커버(60)의 좌측면을 구성하고 있다. 좌측면판(62)은, 후술하는 환원제 탱크(20), 메인 밸브(57) 등을 개재하여, 개폐 커버(61)와 대향하고 있다. 좌측면판(62)은, 센터 브래킷(33)을 개재하여, 캡(10)의 우측면과 대향하고 있다. 좌측면판(62)은, 상부 선회체(3)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좌측면판(62)에는, 통기구(69)가 형성되어 있다. 통기구(69)는, 전방 커버(60)의 내부에 형성된 탱크룸(92)과, 전방 커버(60)의 외부 공간을 연통하고 있다.
전방 커버(60)는 또한, 전단판(63), 하단 스텝판(64), 수직판(65), 상단 스텝판(66), 수직판(67), 및 천장판(68)을 가지고 있다. 전방 커버(60)는, 탱크 커버(36A, 38A)와 상부 선회체(3)의 전단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전단판(63)은, 상부 선회체(3)의 전단에 있어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되어 있다. 하단 스텝판(64)은, 전단판(63)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수직판(65)은, 하단 스텝판(64)의 후방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상단 스텝판(66)은, 수직판(65)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수직판(67)은, 상단 스텝판(66)의 후방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천장판(68)은, 수직판(67)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천장판(68)은, 탱크 커버(38A)의 상면과 대략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전단판(63)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설치하여, 스텝(34)이 마련되어 있다. 전단판(63), 하단 스텝판(64), 수직판(65), 상단 스텝판(66), 수직판(67), 및 천장판(68)은, 계단형의 형상을 구성하고 있다. 스텝(34)으로부터, 전방 커버(60)의 하단 스텝판(64) 및 상단 스텝판(66)에 순서대로 발을 딛어, 천장판(68) 상에의 액세스가 용이하게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연료 탱크(36)로의 연료의 보급, 작동유 탱크(38)에의 급유, 및 엔진(7)의 메인터넌스 등의 작업을, 용이 또한 안전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1)에 있어서의 환원제 탱크로부터 배기 처리 유닛까지의 환원제 배관의 경로에 대해서,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선회 프레임(31) 상의 각 기기의 배치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평면도이다. 도 4 중의 하측이 상부 선회체(3)의 전방을 나타내고, 도 4 중의 상측이 상부 선회체(3)의 후방을 나타내고 있다. 도 4에는, 도 1에 나타내는 유압 셔블(1)에 있어서, 선회 프레임(31) 상에 있어서 환원제 탱크(20)로부터 배기 처리 유닛에 환원제를 공급하기 위한 배관[이송 배관(21) 및 압송 배관(25)]의 경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하부 주행체(2) 및 작업기(4)를 구동시키기 위한 동력원인 엔진(7)은, 선회 프레임(31) 상에 탑재되어 있다. 엔진(7)은, 선회 프레임(31) 중 좌우 방향의 중앙측의 센터 프레임의, 후방부에 탑재되어 있다. 중량이 큰 엔진(7)은, 유압 셔블 본체의 전방에 부착된 작업기(4)와의 중량 밸런스를 고려하여, 작업기(4)를 지지하는 센터 브래킷(33)으로부터 떨어져 있고, 또한 카운터 웨이트(5)에 가까운, 유압 셔블 본체의 후단에 배치되어 있다. 엔진(7)을 수납하는 엔진실은, 상부 선회체(3)의 후방부에 마련되어 있다.
엔진실 내에는, 냉각 유닛(6) 및 팬(8)이 수용되어 있다. 엔진실 내에 있어서,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하여, 냉각 유닛(6), 팬(8), 엔진(7)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팬(8)은, 엔진(7)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 엔진실 내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킨다. 팬(8)은, 유압 셔블 본체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하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킨다. 냉각 유닛(6)은, 팬(8)이 발생시키는 공기의 흐름의 상류측인, 팬(8)에 대하여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엔진(7)은, 팬(8)이 발생시키는 공기의 흐름의 하류측인, 팬(8)에 대하여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냉각 유닛(6)은, 후술하는 라디에이터(16)(도 5), 인터쿨러 및 오일 쿨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라디에이터(16)는, 엔진(7)의 냉각수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 장치이다. 인터쿨러는, 엔진(7)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 장치이다. 오일 쿨러는, 유압 실린더(58)(도 1) 등의, 유압 셔블(1)에 탑재된 각종 유압 액츄에이터에 공급되는 작동유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 장치이다.
유압 셔블(1)은 또한, 엔진실 내에, 엔진(7)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처리하여 정화하기 위한 배기 처리 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배기 처리 유닛은, 배기 처리 장치(12, 14)와, 중계 접속관(13)과, 배기통(15)과, 환원제의 분사 노즐(28)을 주로 구비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평면도에서 보아, 배기 처리 유닛은, 엔진(7)에 대하여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엔진(7)에는, 엔진(7)에 의해 구동되어 작동유를 이송하는 도시하지 않는 유압 펌프(56)가 직결되어 있다. 유압 펌프(56)는 엔진(7)의 우측 옆에 배치되어 있고, 배기 처리 유닛은 유압 펌프(56)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배기 처리 장치(12)는, 후술하는 배기관(11)(도 5)에 의해 엔진(7)과 접속되어 있다. 배기 처리 장치(14)는, 중계 접속관(13)에 의해 배기 처리 장치(12)와 접속되어 있다. 엔진(7)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는, 배기 처리 장치(12, 14)를 순서대로 통과하여, 배기통(15)으로부터 대기 중에 배출된다. 엔진(7)으로부터의 배기 가스의 배출의 흐름에 대하여, 배기 처리 장치(12)는 엔진(7)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고, 배기 처리 장치(14)는 배기 처리 장치(12)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배기 처리 장치(12)는, 엔진(7)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 중에 포함되는 일산화탄소 및 탄화수소 등의 미연소 가스를 산화하여, 배기 가스 중의 미연소 가스의 농도를 저하시킨다. 배기 처리 장치(12)는, 예컨대 디젤 산화 촉매 장치이다. 배기 처리 장치(14)는, 환원제와의 반응에 의해 배기 가스 중에 포함되어 있는 질소 산화물을 환원하고, 질소 산화물을 무해한 질소 가스로 화학 변화시켜, 배기 가스 중의 질소 산화물 농도를 저하시킨다. 배기 처리 장치(14)는, 예컨대 선택 촉매 환원식의 탈질 장치이다. 중계 접속관(13)에는, 중계 접속관(13) 내에 환원제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 노즐(28)이 마련되어 있다. 중계 접속관(13)은, 배기 가스에 환원제를 분사하여 혼합하는 믹싱 배관으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유압 셔블(1)은 또한, 배기 처리 유닛에 환원제를 공급하기 위한, 환원제 공급부를 구비하고 있다. 환원제 공급부는, 환원제 탱크(20), 및 환원제 펌프(22)를 구비하고 있다. 환원제 탱크(20)는, 배기 처리 장치(14)에서 사용되는 환원제를 저류한다. 환원제로서는, 예컨대 요소수가 적합하게 이용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환원제 탱크(20) 및 환원제 펌프(22)는, 선회 프레임(31) 중,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 상에 탑재되어 있다. 환원제 펌프(22)는, 엔진실에 대하여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환원제 탱크(20)는, 환원제 펌프(22)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환원제 탱크(20)는, 환원제가 온도 상승하여 열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온의 기기인 엔진(7)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되어 있고, 예컨대 선회 프레임(31)의 전단에 배치되어 있다.
환원제 탱크(20)와 환원제 펌프(22)는, 이송 배관(21) 및 복귀 배관(2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송 배관(21)은, 환원제 탱크(20)로부터 환원제 펌프(22)에 환원제를 송출하기 위한 배관이다. 복귀 배관(23)은, 환원제 펌프(22)로부터 환원제 탱크(20)에 환원제를 복귀시키기 위한 배관이다. 환원제 펌프(22)와 분사 노즐(28)은, 압송 배관(25)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압송 배관(25)은, 환원제 펌프(22)로부터 분사 노즐(28)에 환원제를 이송하기 위한 배관이다.
환원제 탱크(20)로부터 이송 배관(21)을 경유하여 환원제 펌프(22)에 이송되어 온 환원제는, 환원제 펌프(22)에서 두 갈래로 분기된다. 배기 처리에 사용되지 않은 환원제는, 환원제 펌프(22)로부터 복귀 배관(23)을 경유하여, 환원제 탱크(20)에 복귀된다. 배기 처리에 사용되는 환원제는, 환원제 펌프(22)로부터 압송 배관(25)을 경유하여, 분사 노즐(28)에 도달하고, 분사 노즐(28)로부터 중계 접속관(13) 내에 분무된다.
엔진(7)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는, 중계 접속관(13)을 경유하여 배기 처리 장치(14)에 유입된다. 중계 접속관(13)은, 배기 가스의 흐름에 있어서, 배기 처리 장치(14)의 상류측에 마련되어 있다. 환원제 탱크(20)로부터 흡출된 환원제는, 중계 접속관(13)에 부착된 분사 노즐(28)을 경유하여, 중계 접속관(13) 내를 흐르는 배기 가스 중에 분사된다. 환원제는, 배기 처리 장치(14)에 대하여 배기 가스의 흐름의 상류측에 분사된다. 배기 가스 중에 분사되는 환원제의 양은, 배기 처리 장치(14)를 통과하는 배기 가스의 온도, 및 배기 가스 중의 질소 산화물의 농도에 기초하여, 제어되고 있다.
환원제 탱크(20)가 선회 프레임(31) 상의 전단에 배치되어 있고, 배기 처리 장치(14)가 선회 프레임(31) 상의 후단에 배치되어 있다. 이 배치 때문에, 환원제를 이송하는 이송 배관(21) 및 압송 배관(25)은, 유압 셔블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선회 프레임(31)의 전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선회 프레임(31) 중 우측의 사이드 프레임 상에는 또한, 연료 탱크(36), 작동유 탱크(38) 및 메인 밸브(57)가 탑재되어 있다. 연료 탱크(36)는, 엔진(7)에 공급되는 연료를 축적한다. 작동유 탱크(38)는, 유압 실린더(58)(도 1) 등의 유압 액츄에이터에 공급되는 작동유를 축적한다.
선회 프레임(31)은, 측방의 가장자리 부분인 측방 가장자리(31e)를 가지고 있다. 연료 탱크(36)는, 측면(36s)을 가지고 있다. 연료 탱크(36)의 우측의 측면(36s)은, 선회 프레임(31)의 측방 가장자리(31e)보다, 외측으로 돌출한다. 이에 의해 연료 탱크(36)의 용적이 증대하고 있으며, 보다 많은 연료를 연료 탱크(36) 내에 축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연료 탱크(36) 및 작동유 탱크(38)는, 중량이 크기 때문에, 선회 프레임(31) 상의 중량 밸런스를 고려하여, 배기 처리 유닛에 대해 전방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연료 탱크(36)로의 연료의 보급 작업의 작업성을 고려하여, 연료 탱크(36)는 작동유 탱크(38)보다 선회 프레임(31)의 측방 가장자리(31e)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연료 탱크(36) 및 작동유 탱크(38)는, 직육면체형의 내압 탱크로서 형성되어 있다. 연료 탱크(36) 및 작동유 탱크(38)의 전방면은, 메인 밸브(57)를 수용하는 밸브룸(97)의 후방벽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메인 밸브(57)는, 다수의 제어 밸브, 파일럿 밸브 등의 집합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메인 밸브(57)는, 작동유 탱크(38)로부터 흡출되어 유압 펌프에 의해 이송되는 작동유를, 도 1에 나타내는 유압 실린더(58), 도시하지 않는 주행 모터 및 선회 모터 등의 유압 액츄에이터에 급배한다. 이에 의해 메인 밸브(57)는, 유압 셔블(1)의 차체 및 작업기(4)를, 오퍼레이터의 운전 조작에 따라 작동시킨다.
메인 밸브(57)는, 연료 탱크(36) 및 작동유 탱크(38)보다 중량이 작기 때문에, 선회 프레임(31) 상의 중량 밸런스를 고려하여, 연료 탱크(36) 및 작동유 탱크(38)에 대하여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메인 밸브(57)는, 환원제 탱크(20)에 대하여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메인 밸브(57)를 수용하는 밸브룸(97)과, 환원제 탱크(20)를 수용하는 탱크룸(92)은, 구획판(80)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구획판(80)은, 환원제 탱크(20)의 후방, 또한 메인 밸브(57)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고, 환원제 탱크(20)와 메인 밸브(57)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구획판(80)은, 상부 선회체(3)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환원제 탱크(20)와 메인 밸브(57)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구획판(80)은, 밸브룸(97)의 전방벽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구획판(80)은, 탱크룸(92)의 후방벽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탱크룸(92)의 전방벽은, 도 2, 3에 나타내는 전단판(6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탱크룸(92)의 우측벽은, 도 3에 나타내는 폐쇄된 상태의 개폐 커버(6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탱크룸(92)의 좌측벽은, 도 2에 나타내는 좌측면판(6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개폐 커버(61), 좌측면판(62), 전단판(63), 및 구획판(80)에 의해, 탱크룸(92)을 규정하는 벽부가 구성되어 있다. 탱크룸(92)을 규정하는 벽부들 중, 후방의 벽부인 구획판(80)만이, 메인 밸브(57)와 환원제 탱크(20)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탱크룸(92)을 규정하는 벽부 중, 좌측의 벽부인 좌측면판(62)에, 통기구(69)(도 2)가 형성되어 있다. 통기구(69)는, 탱크룸(92)의 내외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환원제 탱크(20)는, 탱크룸(92) 내의 전방에 있어서 평면도에서 보아 탱크룸(92)의 코너부에 배치되어 있다. 환원제 탱크(20)는, 대략 직육면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환원제 탱크(20)의 전방면은, 전단판(63)과의 사이에 근소한 간극을 두고, 전단판(63)에 대향하고 있다. 환원제 탱크(20)의 좌측면은, 좌측면판(62)과의 사이에 근소한 간극을 두고, 좌측면판(62)에 대향하고 있다. 환원제 탱크(20)는, 탱크룸(92)의 전방벽과 후방벽 중, 전방벽에 보다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전단판(63)과 좌측면판(62)에 의해 형성되는 각부에, 환원제 탱크(20)가 배치되어 있다. 도 2,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커버(61)의 전단 부분은 곡면 형상이다. 그 때문에, 평면도에서 보아 사각 형상의 환원제 탱크(20)를 좌측면판(62)에 인접하여 배치함으로써, 탱크룸(92)을 규정하는 벽부의 보다 가까이에 환원제 탱크(20)를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1)에 있어서의 환원제의 경로, 열 교환용 매체의 경로, 및 엔진(7)으로부터의 배기 가스의 배기 경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기능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7)으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는, 배기관(11), 배기 처리 장치(12), 중계 접속관(13), 배기 처리 장치(14)를 순서대로 지나 배기통(15)으로부터 차 밖으로 배기된다. 배기 처리 장치(14)에 대하여 배기 가스의 흐름의 상류측의 중계 접속관(13)에, 분사 노즐(28)이 마련되어 있다.
환원제 탱크(20)의 내부에는, 환원제(90)가 저류되어 있다. 환원제 탱크(20)의 내부에는, 환원제 탱크(20)로부터 유출되는 환원제(90)가 흐르는 흡출관(24)이 배치되어 있다. 흡출관(24)의 선단에는, 스트레이너(여과기)(26)가 접속되어 있다. 흡출관(24)은, 이송 배관(21)에 연결되어 있다. 환원제 탱크(20)로부터 흡출된 환원제(90)는, 환원제 펌프(22)에 의해 이송되고, 이송 배관(21) 및 압송 배관(25)을 순서대로 경유하여, 분사 노즐(28)에 도달한다. 배기 처리에 사용되지 않은 환원제(90)는, 환원제 펌프(22)로부터 복귀 배관(23)을 경유하여, 환원제 탱크(20)에 복귀된다.
분사 노즐(28)은, 환원제 탱크(20)로부터 흡출한 환원제(90)를 배기 처리 장치(14)에 대하여 배기 가스의 상류측에 분사하는, 환원제 분사 장치로서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분사 노즐(28)에 의해, 중계 접속관(13) 내를 흐르는 배기 가스 중에 환원제(90)가 공급된다. 배기 처리 장치(14)에 있어서, 배기 가스 중에 함유되는 질소 산화물이 환원제(90)와 반응함으로써, 배기 가스 중의 질소 산화물의 농도가 감소한다. 환원제(90)가 요소수인 경우, 중계 접속관(13) 내에 있어서 요소수는 분해되어 암모니아로 변화하고, 질소 산화물과 암모니아의 반응에 의해 질소 산화물은 무해한 질소 및 산소로 분해된다. 질소 산화물의 양이 적정값으로 저하된 배기 가스는, 배기통(15)으로부터 배출된다.
환원제 탱크(20)의 내부에는, 환원제(90)와의 사이에서 열 교환하는 매체(열 교환 매체)가 흐르는 열 교환기(40)가 배치되어 있다. 열 교환 매체로서는, 엔진(7)의 냉각수가 이용되고 있다. 열 교환기(40)는, 열 교환 매체를 환원제 탱크(20) 내로 유도하는 제1 관로와, 환원제 탱크(20)로부터 열 교환 매체를 유출시키는 제2 관로를 가지고 있다. 제1 관로는, 냉각수 배관(17)에 연결되어 있다. 제2 관로는, 냉각수 배관(18)에 연결되어 있다. 냉각수 배관(18)에는, 라디에이터(16)와, 냉각수 펌프(19)가 마련되어 있다.
냉각수 펌프(19)의 구동에 의해, 엔진(7)의 냉각수는, 엔진(7), 열 교환기(40), 라디에이터(16), 및 냉각수 펌프(19)를, 순환하여 흐른다. 엔진(7)으로 가열된 냉각수는, 열 교환기(40)에서 환원제(90)와 열 교환함으로써, 냉각된다. 한편, 환원제(90)는, 냉각수로부터 열을 받음으로써, 가열된다. 라디에이터(16)는, 냉각수와 공기의 열 교환을 행하여, 냉각수를 냉각하기 위한 열 교환기이다. 라디에이터(16)에 있어서 냉각된 냉각수가 엔진(7)의 워터 재킷에 흐름으로써, 엔진(7)은 적절하게 냉각된다.
환원제 탱크(20)는, 선회 프레임(31) 상의 전방단에 배치되어 있다. 엔진(7), 및 라디에이터(16)를 포함하는 냉각 유닛(6)은, 선회 프레임(31) 상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배치 때문에, 환원제 탱크(20)와 엔진(7)을 연결하는 냉각수 배관(17), 및 환원제 탱크(20)와 라디에이터(16)를 연결하는 냉각수 배관(18)은, 유압 셔블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선회 프레임(31)의 전방단의 탱크룸(92)과 후방의 엔진실 사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도 6은 도 1의 유압 셔블(1)의 외장 커버(150)(도 2, 3) 및 후술하는 보강 플레이트를 제거한 상태의, 좌측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 프레임(31) 상에는, 마운트 부재(130)가 마련되어 있다. 연료 탱크(36)는, 마운트 부재(130)에 탑재되어 있다. 마운트 부재(130)는, 연료 탱크(36)와 선회 프레임(31) 사이에 개재되어, 연료 탱크(36)를 지지하고 있다. 마운트 부재(130)는, 유압 셔블 본체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서로 떨어진, 복수의 기둥형의 부재를 가지고 있다. 상기 복수의 부재의 간격을 할 수 있는 한 크게 함으로써, 연료 탱크(36)를 보다 안정적으로 마운트 부재(130)에 탑재할 수 있다.
연료 탱크(36)는 마운트 부재(130)를 통해 선회 프레임(31) 상에 탑재되어 있고, 연료 탱크(36)의 하면과 선회 프레임(31)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공간에는, 엔진에 직결되어 있는 유압 펌프와 메인 밸브(57)를 연결하는 유압 배관이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 탱크(36)는, 배기 처리 장치(14)의 전방 또한 환원제 탱크(20)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연료 탱크(36)를 탑재하는 마운트 부재(130)도 또한, 배기 처리 장치(14)의 전방 또한 환원제 탱크(20)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게 된다.
외장 커버(150)는, 마운트 부재(130)를 측방으로부터 덮고 있다. 외장 커버(150)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마운트 부재(130)는 외부로부터 시인(視認)할 수 없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장 커버(150)를 제거함으로써, 유압 셔블(1)의 측방으로부터 마운트 부재(130)의 시인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연료 탱크(36)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 프레임(31)의 측방 가장자리(31e)로부터 일부가 측방으로 비어져 나와 있다. 한편 마운트 부재(130)는, 선회 프레임(31)에 부착되어 있다. 연료 탱크(36)의 하면은, 마운트 부재(130)보다 외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마운트 부재(130)보다 외측에, 연료 탱크(36)의 하면에 면하는 공간이 존재하고 있다.
엔진(7)으로부터 환원제 탱크(20)를 향하는 냉각수가 흐르는 냉각수 배관(17)과, 환원제 탱크(20)로부터 라디에이터(16)를 향하는 냉각수가 흐르는 냉각수 배관(18)은, 서로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냉각수 배관(17, 18)은, 유압 셔블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냉각수 배관(17, 18)은, 환원제 탱크(20)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선회 프레임(31)의 상면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냉각수 배관(17, 18)은, 선회 프레임(31)의 측방 가장자리(31e)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냉각수 배관(17, 18)은, 마운트 부재(130)에 대하여, 유압 셔블 본체의 외측을 통하여 연장되어 있다.
도 7은 도 1의 유압 셔블(1)의 외장 커버(150)를 제거하고 보강 플레이트(140)를 부착한 상태의, 좌측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에는, 도 6과 동각도로 하측 전방에서 본 유압 셔블(1)에, 보강 플레이트(140)를 추가적으로 부착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유압 셔블(1)에는, 2개의 보강 플레이트(140, 140)가 부착되어 있다. 보강 플레이트(140)는, 냉각수 배관(17, 18)에 대하여 외측에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냉각수 배관(17, 18)의 일부가 보강 플레이트(140)에 의해 덮여져, 측방으로부터 시인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보강 플레이트(140)는, 유압 셔블 본체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마운트 부재(130)와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 프레임(31)의 측방 가장자리(31e)의 근방에 있어서, 전후 방향에 2개의 마운트 부재(130)가 배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보강 플레이트(140)는, 유압 셔블 본체를 측면에서 보아 마운트 부재(130)에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마운트 부재(130)는, 보강 플레이트(140)에 의해 덮여져, 시인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도 8은 보강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강 플레이트(140)는, 박판형의 부재를 2부분에서 굴곡시킨 형상을 가지고 있다. 보강 플레이트(140)는, 평판형의 평판부(141, 142, 143)와, 평판부(141) 및 평판부(142) 사이의 굴곡부(145)와, 평판부(142) 및 평판부(143) 사이의 굴곡부(146)를 가지고 있다. 보강 플레이트(140)가 2부분에서 굴곡한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보강 플레이트(140)의 강도가 향상되어 있다.
평판부(141)와 평판부(142)는, 굴곡부(145)를 경계로 하여 절곡되어져 있고, 굴곡부(145)에 있어서 둔각을 형성하고 접속되어 있다. 평판부(142)와 평판부(143)는, 굴곡부(146)를 경계로 하여 절곡되어져 있고, 굴곡부(146)에 있어서 둔각을 형성하여 접속되어 있다. 평판부(141)와 평판부(143)는, 서로 직교하고 있다.
평판부(143)에는, 평판부(143)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14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144)에 볼트가 삽입 관통됨으로써, 보강 플레이트(140)는 선회 프레임(31)에 고정되어 있다.
도 9는 외장 커버 부근을 전방에서 본 단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선회 프레임(31)은, 측방 가장자리(31e)를 가지고 있다. 선회 프레임(31) 상에는 마운트 부재(130)가 마련되어 있고, 연료 탱크(36)는 마운트 부재(130)에 탑재되어 있다.
연료 탱크(36)는, 선회 프레임(31)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하면(36b)과, 선회 프레임(31)의 측방 가장자리(31e)보다 외측으로 돌출하는 측면(36s)을 가지고 있다. 마운트 부재(130)는, 외장 커버(150)에 의해, 측방으로부터 덮여져 있다. 마운트 부재(130)는, 유압 셔블 본체의 외측을 향하는 외면(130s)을 가지고 있다. 외장 커버(150)는, 유압 셔블 본체의 내측을 향하는 내면(150s)을 가지고 있다.
엔진(7)의 냉각수를 환원제 탱크(20)로 유도하는 냉각수 배관(17, 18)은, 유압 셔블 본체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 선회 프레임(31)의 측방 가장자리(31e)와 연료 탱크(36)의 측면(36s)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냉각수 배관(17, 18)은, 연료 탱크(36)에 대하여 하방에 배치되어 있고, 마운트 부재(130)에 대하여 유압 셔블 본체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외장 커버(150)에 대하여 유압 셔블 본체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냉각수 배관(17, 18)은, 마운트 부재(130)와 외장 커버(150) 사이에 형성된 중공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냉각수 배관(17, 18)은, 연료 탱크(36)의 하방의, 마운트 부재(130)와 외장 커버(150) 사이에 끼인 공간을 경유하여 배치되어 있다.
냉각수 배관(17, 18)은, 연료 탱크(36)의 하면(36b), 마운트 부재(130)의 외면(130s), 및 외장 커버(150)의 내면(150s)에, 각각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냉각수 배관(17, 18)은, 선회 프레임(31)의 측방 가장자리(31e)보다 유압 셔블 본체의 외측으로서, 연료 탱크(36)의 측면(36s)보다 유압 셔블 본체의 내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냉각수 배관(17, 18)의 상방에는 연료 탱크(36)가 존재하고, 한편 냉각수 배관(17, 18)의 하방에는, 선회 프레임(31)이 존재하고 있지 않다.
냉각수 배관(17, 18)은, 상하 방향에 배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냉각수 배관(17)이 상측에, 냉각수 배관(18)이 하측에 배치되고, 냉각수 배관(17, 18)은 2개로 묶여 클램프 부재(160)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클램프 부재(160)는, 냉각수 배관(17, 18)을 지지하며, 냉각수 배관(17, 18)의 위치 결정을 행하고 있다.
선회 프레임(31)에는, 보강 플레이트(140)가 고정되어 있다. 보강 플레이트(140)는, 냉각수 배관(17, 18)에 대하여 유압 셔블 본체의 외측, 또한 외장 커버(150)에 대하여 유압 셔블 본체의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보강 플레이트(140)가 마련되어 있는 위치에서, 냉각수 배관(17, 18)은, 마운트 부재(130)와 보강 플레이트(140) 사이에 끼여 배치되어 있다.
보강 플레이트(140)는, 굴곡부(145)를 가지고 있다. 굴곡부(145)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냉각수 배관(17, 18)과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냉각수 배관(17, 18)은, 유압 셔블 본체를 측방에서 본 경우에 있어서, 마운트 부재(130)와 중첩되어 있다. 굴곡부(145)는, 도 9에 나타내는 냉각수 배관(17)의 상단과 냉각수 배관(18)의 하단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도 10은 마운트 부재(130)에 대한 보강 플레이트(140)의 배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에는, 도 7의 사시도와 마찬가지로 외장 커버(150)를 제거한 상태의, 유압 셔블 본체의 측방에서 본 보강 플레이트(14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 중에 있어서, 마운트 부재(130)는 보강 플레이트(140)의 안쪽측에 배치되어 있어, 직접 시인할 수 없기 때문에,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한편, 유압 셔블 본체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보강 플레이트(140)의 치수는, 마운트 부재(130)의 치수보다 조금 큰 정도이다. 전후 방향에 있어서 마운트 부재(130)가 존재하지 않는 위치까지 보강 플레이트(140)가 연장되는 치수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운트 부재(130)의 치수와 비교하여 작게 되어 있다. 보강 플레이트(140)의 치수를 이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보강 플레이트(140)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 마운트 부재(130)와 중첩되는 위치에만 마련되어 있게 된다.
도 11은 클램프 부재(160)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에는, 도 6의 사시도와 마찬가지로 외장 커버(150) 및 보강 플레이트(140)를 제거한 상태의, 마운트 부재(130) 부근이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램프 부재(160)는, 클램프 본체(161)와, 연결부(162)와, 고정부(164)를 가지고 있다. 클램프 본체(161)는, 냉각수 배관(17, 18)을 묶고 있다. 고정부(164)는, 볼트(166)에 의해, 선회 프레임(31)에 고정되어 있다. 연결부(162)는, 고정부(164)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고, 또한 볼트(163)를 이용하여 클램프 본체(161)를 고정하고 있다.
클램프 부재(160)는, 냉각수 배관(17, 18)을, 선회 프레임(31)에 대하여 지지하고 있다. 클램프 부재(160)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압 셔블 본체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 마운트 부재(130)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유압 셔블(1)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회 프레임(31) 상에 마련된 마운트 부재(130)와, 마운트 부재(130) 상에 탑재된 연료 탱크(36)를 구비하고 있다. 연료 탱크(36)는, 선회 프레임(31)의 측방 가장자리(31e)보다 외측으로 돌출하는 측면(36s)을 가지고 있다. 유압 셔블(1)은 더욱, 마운트 부재(130)를 측방으로부터 덮는 외장 커버(150)와, 엔진(7)의 냉각수를 환원제 탱크(20)로 유도하는 냉각수 배관(17, 18)과, 보강 플레이트(140)를 구비하고 있다. 냉각수 배관(17, 18)은, 연료 탱크(36)의 하방의, 마운트 부재(130)와 외장 커버(150) 사이에 끼인 공간을 경유하여 배치되어 있다. 보강 플레이트(140)는, 냉각수 배관(17, 18)에 대하여 외측, 또한 외장 커버(150)에 대하여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냉각수 배관(17, 18)을 외장 커버(150)의 바로 내측에 배치함으로써, 냉각수 배관(17, 18)에의 액세스가 용이해져, 냉각수 배관(17, 18)의 메인터넌스가 용이하게 가능해진다. 한편, 선회 프레임(31)의 측방 가장자리(31e)보다 외측에 냉각수 배관(17, 18)을 배치하는 경우, 예컨대 유압 셔블(1)의 선회 시에 외장 커버(150)에 물건이 부딪치는 등에 의해 외장 커버(150)에 충격이 가해지면, 변형된 외장 커버(150)를 통해 냉각수 배관(17, 18)에 부하가 가해져, 외장 커버(150)와 마운트 부재(130) 사이에 냉각수 배관(17, 18)이 끼이는 경우가 있다.
냉각수 배관(17, 18)과 외장 커버(150) 사이에 보강 플레이트(140)를 배치함으로써, 냉각수 배관(17, 18)보다 외측에, 외장 커버(150) 및 보강 플레이트(140)가 마련되어, 냉각수 배관(17, 18)보다 외측의 구조의 강성이 향상되어 있다. 그 때문에, 외장 커버(15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냉각수 배관(17, 18)보다 외측의 구조의 변형을 억제하여, 냉각수 배관(17, 18)을 수용 가능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외장 커버(150)를 통해 냉각수 배관(17, 18)에 가해지는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각수 배관(17, 18)이 사이에 끼이는 사태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연료 탱크(36)의 하방의, 마운트 부재(130)와 외장 커버(150) 사이에 끼인 공간에 냉각수 배관(17, 18)을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냉각수 배관(17, 18)을 효율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도 7,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강 플레이트(140)는, 측면에서 보아 마운트 부재(130)와 중첩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연료 탱크(36)가 마운트 부재(130)에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연료 탱크(36)의 하면(36b)과 선회 프레임(31)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측면에서 보아 마운트 부재(130)가 존재하지 않는 위치에 있어서, 만약 외장 커버(150)에 외부로부터의 부하가 가해져도, 냉각수 배관(17, 18)은 연료 탱크(36)와 선회 프레임(31)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냉각수 배관(17, 18)에 과대한 부하가 가해지는 일은 없다.
외장 커버(150)와 마운트 부재(130) 사이에 냉각수 배관(17, 18)이 끼이는 사태를 회피하기 위해서는, 마운트 부재(130)가 마련되어 있는 위치에 있어서, 냉각수 배관(17, 18)보다 외측의 구조의 강성을 높이면 좋다. 마운트 부재(130)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위치에 보강 플레이트(140)를 배치하여도, 냉각수 배관(17, 18)에 가해지는 부하를 저감하는 효과는 작다. 그 때문에, 측면에서 보아 마운트 부재(130)와 중첩되는 위치에 보강 플레이트(140)를 마련하고, 마운트 부재(130)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는 보강 플레이트(140)를 배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냉각수 배관(17, 18)의 보호를 위해 필요한 강도를 확보하면서, 보강 플레이트(140)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도 8,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강 플레이트(140)는, 굴곡부(145)를 가지고 있다. 굴곡부(145)는, 측면에서 보아 보강 플레이트(140)와 중첩되는 냉각수 배관(17, 18)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보강 플레이트(140)를 평판형이 아니라 굴곡부(145)를 갖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보강 플레이트(140)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굴곡부(145)가 마련되는 위치에 있어서, 보강 플레이트(140)의 강성이 보다 높여져 있다. 굴곡부(145)를, 상하 방향에 있어서 냉각수 배관(17, 18)이 마련되어 있는 위치에 중첩하여 배치함으로써, 강도가 높은 굴곡부(145)에 의해, 냉각수 배관(17, 18)을 보다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도 9,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압 셔블(1)은, 클램프 부재(160)를 더 구비하고 있다. 클램프 부재(160)는, 냉각수 배관(17, 18)을 선회 프레임(31)에 대하여 지지하고 있다.
클램프 부재(160)는, 냉각수 배관(17, 18)을 지지하며, 냉각수 배관(17, 18)을 위치 결정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클램프 부재(160)를 마운트 부재(130)의 근방에 배치하여 냉각수 배관(17, 18)의 위치 결정을 함으로써, 냉각수 배관(17, 18)과 마운트 부재(130)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금번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로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청구의 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 유압 셔블, 4 작업기, 7 엔진, 12, 14 배기 처리 장치, 13 중계 접속관, 16 라디에이터, 17, 18 냉각수 배관, 19 냉각수 펌프, 20 환원제 탱크, 21 이송 배관, 22 환원제 펌프, 23 복귀 배관, 25 압송 배관, 28 분사 노즐, 31 선회 프레임, 31e 측방 가장자리, 36 연료 탱크, 36b 하면, 36s 측면, 38 작동유 탱크, 40 열 교환기, 57 메인 밸브, 58 유압 실린더, 60 전방 커버, 61 개폐 커버, 62 좌측면판, 63 전단판, 64 하단 스텝판, 65, 67 수직판, 66 상단 스텝판, 68 천장판, 69 통기구, 80 구획판, 90 환원제, 92 탱크룸, 97 밸브룸, 130 마운트 부재, 130s 외면, 140 보강 플레이트, 141, 142, 143 평판부, 144 관통 구멍, 145, 146 굴곡부, 150 외장 커버, 150s 내면, 160 클램프 부재, 161 클램프 본체, 162 연결부, 163, 166 볼트, 164 고정부.

Claims (4)

  1. 엔진과,
    상기 엔진으로부터의 배기 가스를 환원 반응에 의해 처리하는 배기 처리 장치와,
    상기 배기 처리 장치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배기 처리 장치에 공급되는 환원제를 축적하는 환원제 탱크와,
    상기 엔진, 상기 배기 처리 장치, 및 상기 환원제 탱크를 탑재하는 선회 프레임과,
    상기 배기 처리 장치의 전방, 또한 상기 환원제 탱크의 후방에 있어서, 상기 선회 프레임 상에 마련된 마운트 부재와,
    상기 마운트 부재 상에 탑재되어, 상기 선회 프레임의 측방 가장자리보다 외측으로 돌출하는 측면을 갖는, 연료 탱크와,
    상기 마운트 부재를 측방으로부터 덮는 외장 커버와,
    상기 연료 탱크의 하방의, 상기 마운트 부재와 상기 외장 커버 사이의 공간을 경유하여 배치되어, 상기 엔진의 냉각수를 상기 환원제 탱크로 유도하는 냉각수 배관과,
    상기 냉각수 배관에 대하여 외측, 또한 상기 외장 커버에 대하여 내측에 마련된 보강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유압 셔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측면에서 보아 상기 마운트 부재와 중첩되는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것인 유압 셔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측면에서 보아 상기 보강 플레이트와 중첩되는 상기 냉각수 배관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형성된 굴곡부를 갖는 것인 유압 셔블.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배관을 상기 선회 프레임에 대하여 지지하는 클램프 부재를 더 포함하는 유압 셔블.
KR1020157017958A 2014-08-08 2014-08-08 유압 셔블 Active KR101578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7017958A KR101578337B1 (ko) 2014-08-08 2014-08-08 유압 셔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7017958A KR101578337B1 (ko) 2014-08-08 2014-08-08 유압 셔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8337B1 true KR101578337B1 (ko) 2015-12-16

Family

ID=55080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7958A Active KR101578337B1 (ko) 2014-08-08 2014-08-08 유압 셔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833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018U (ko) * 1979-07-10 1981-02-04
JPH04130348U (ja) * 1991-05-22 1992-11-30 日立建機株式会社 油圧シヨベルのブームにおける油圧配管のクランプ装置
JP2003278178A (ja) * 2002-03-25 2003-10-02 Komatsu Ltd 作業機用の油圧配管支持構造
JP2013002082A (ja) 2011-06-14 2013-01-07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JP5546707B1 (ja) * 2014-01-08 2014-07-0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還元剤タンクおよび作業車両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018U (ko) * 1979-07-10 1981-02-04
JPH04130348U (ja) * 1991-05-22 1992-11-30 日立建機株式会社 油圧シヨベルのブームにおける油圧配管のクランプ装置
JP2003278178A (ja) * 2002-03-25 2003-10-02 Komatsu Ltd 作業機用の油圧配管支持構造
JP2013002082A (ja) 2011-06-14 2013-01-07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JP5546707B1 (ja) * 2014-01-08 2014-07-0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還元剤タンクおよび作業車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0253B1 (ko) 작업 차량
US9003779B2 (en) Wheel loader
US9194104B2 (en) Wheel loader
KR101570769B1 (ko) 유압 셔블
JP5659317B1 (ja) 還元剤タンクおよび作業車両
KR101776120B1 (ko) 건설기계
KR101676982B1 (ko) 유압 셔블
EP3009759B1 (en) Utility vehicle
JP5723493B1 (ja) 油圧ショベル
KR101676983B1 (ko) 유압 셔블
JP5768191B1 (ja) 油圧ショベル
JP5723494B1 (ja) 油圧ショベル
KR101578337B1 (ko) 유압 셔블
KR20150074191A (ko) 작업 차량
KR101621674B1 (ko) 유압 셔블
KR101598770B1 (ko) 유압 셔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0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0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2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12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