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75691B1 - 족저압 측정을 통한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족저압 측정을 통한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5691B1
KR101775691B1 KR1020160129157A KR20160129157A KR101775691B1 KR 101775691 B1 KR101775691 B1 KR 101775691B1 KR 1020160129157 A KR1020160129157 A KR 1020160129157A KR 20160129157 A KR20160129157 A KR 20160129157A KR 101775691 B1 KR101775691 B1 KR 101775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pressure
low pressure
subject
info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9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우
박재한
Original Assignee
조병우
김보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병우, 김보석 filed Critical 조병우
Priority to KR1020160129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56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5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5691B1/ko
Priority to US16/339,953 priority patent/US11311208B2/en
Priority to PCT/KR2017/011135 priority patent/WO2018066978A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Measur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6Measuring load distribution, e.g. podologic stu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Bio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61B5/6892M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practices or guidelin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7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 G16H7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references relating to path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0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 A61B2560/021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of power generation or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4Arrangements of multiple sensors of the same type
    • A61B2562/046Arrangements of multiple sensors of the same type in a matrix arr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61Evaluating static posture, e.g. undesirable back curva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ethic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서, 족저압 측정을 통하여 건강 정보를 제공해주는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롤링되어 감겨져 휴대할 수 있으며, 펼쳐진 상태에서 피측정자의 족저압이 측정되어, 측정된 족저압을 피측정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족저압 측정기; 및 상기 족저압 측정기로부터 수신된 족저압을 미리 저장된 발부위별 족저압 기준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발부위별 족저압 기준범위를 벗어난 족저압을 가지는 발부위에 매칭되는 질병 의심 신체부위를 추출하여 표시하며, 추출한 질병 의심 신체부위의 증상 안내 정보와 치료 안내 정보를 포함한 건강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피측정자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족저압 측정을 통한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using in-shoe pressure measurement}
본 발명은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서, 족저압 측정을 통하여 건강 정보를 제공해주는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발은 신체의 하중을 지지하고 충격을 흡수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걸음(step)은 한쪽 발뒤꿈치가 닿은 상태에서부터, 반대쪽 발뒤굼치 닿기까지의 동작이다. 걸은폭(step width)은 두 번 연속적인 발바닥 접촉시 발 뒤꿈치들의 중심간 거리로서, 즉, 보행시 양 발뒤꿈치 중심 사이의 거리를 말한다. 발각도(Foot angle)는 발가락이 외측을 향하고 있는 각도로 신체의 진행 방향선과 발 장축 사이의 각도를 말하며, 약 7도가 정상범위로 고려한다.
족저압은 운동과학의 임상분야, 연구분야에서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측정대상 중 하나이다. 족저압 측정방법으로는 힘판(force plate), 압력판(pressure platform), 신발 내 삽입형 족저압 측정기(in-shoe pressure measurement)가 있다.
또한 거울과 램프를 활용한 족저경부터 단고정밀 센서를 활용한 기립과 보행 시 족저압 측정이 가능한 정밀 장비가 있다. 즉, 족저압(plantar pressure)을 측정하기 위하여 족부 진단장치가 제안되었다. 족부 진단장치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395775호에 그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의 족저압 측정 장치는, 고정형 측정장비가 대부분이며 병원 및 전문 치료기관에 찾아가야 하며 고가의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문가를 통해서 족저압 분석이 이루어지는데 전문가의 숙련도에 따라 상이한 분석결과가 나오는 경우가 있다. 또한 신체의 균형을 관리하기 위한 좋은 기술이나 대중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족부 진단장치의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자연스런 보행시의 족저압을 측정할 수 없고 운반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족부 진단장치에서 측정된 족저압을 이용하여, 피측정자의 건강 상태 등의 건강 정보를 알려주지 않고 있어, 그 사용에 있어 제한적인 문제가 있다.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395775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족저압 측정을 통한 개인별 맞춤형 건강 정보를 알려주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롤링되어 감겨져 휴대할 수 있으며, 펼쳐진 상태에서 피측정자의 족저압이 측정되어, 측정된 족저압을 피측정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족저압 측정기; 및 상기 족저압 측정기로부터 수신된 족저압을 미리 저장된 발부위별 족저압 기준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발부위별 족저압 기준범위를 벗어난 족저압을 가지는 발부위에 매칭되는 질병 의심 신체부위를 추출하여 표시하며, 추출한 질병 의심 신체부위의 증상 안내 정보와 치료 안내 정보를 포함한 건강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피측정자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족저압 측정기는, 막대봉 형태를 가지며, 측정된 족저압을 상기 피측정자 단말기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는 본체 하우징; 및 일단이 상기 본체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의 외면에 롤링되어 감길 수 있는 플렉서블 특성을 가지는 플레이트로서, 상면에 피측정자의 발이 위치하면, 피측정자의 발의 족저압을 측정하여 측정된 족저압을 상기 본체 하우징에 제공하는 플렉서블 측정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측정 플레이트는, 피측정자의 족저압을 측정하는 압력감지센서가 복수개로 배열된 압력감지센서 어레이; 플렉서블 특성을 가지며, 상기 압력감지센서 어레이의 상면에 결합되는 상면 패드; 플렉서블 특성을 가지며, 상기 압력감지센서 어레이의 하면에 결합되는 하면 패드; 및 상기 압력감지센서를 활성화시켜 피측정자의 족저압을 측정하여, 측정된 족저압을 상기 본체 하우징으로 전송하는 측정 플레이트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감지센서 어레이는, 매트릭스 배열되어 상기 상면 패드와 하면 패드 사이에 압력감지센서 제1어레이와 압력감지센서 제2어레이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측정 플레이트 제어부는, 상기 압력감지센서 제1어레이만을 활성화시켜 1차 측정 족저압으로서 측정하며, 측정된 1차 측정 족저압이 상기 발부위별 족저압 기준범위를 벗어난 발부위를 가지는 경우 상기 압력감지센서 제1어레이와 압력감지센서 제2어레이를 모두 활성화시켜 2차 측정 족저압으로서 측정함을 특징으로 할 있다.
상기 본체 하우징은, 표면에 마련된 측정기 표시부; 외부의 충전 케이블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며, 상기 측정기 표시부와 압력감지센서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 및 상기 플렉서블 측정 플레이트로부터 수신한 족저압을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피측정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본체 하우징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측정자 단말기는, 상기 본체 하우징 통신부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하여 족저압을 수신하는 단말기 통신부; 피측정자의 질병 의심 신체부위의 증상 안내 정보와 치료 안내 정보를 포함한 건강 안내 정보가 표시되는 단말기 표시부; 발부위별 족저압 기준범위가 할당되어 저장된 발부위별 족저압 기준범위 데이터베이스; 발부위별로 연관된 질병 의심 신체부위가 할당되어 저장된 발부위별 신체부위 할당 저장부; 질병 의심 신체부위별로 증상 안내 정보와 치료 안내 정보가 포함된 건강 안내 정보가 할당되어 저장된 건강 안내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측정된 족저압 중에서 상기 발부위별 족저압 기준범위를 벗어난 발부위가 있는 경우 상기 발부위에 연관된 질병 의심 신체부위를 추출하여 표시하며, 추출한 질병 의심 신체부위에 매칭되는 건강 안내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족저압 건강 안내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측정자 단말기는, 피측정자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파악부; 및 상기 족저압 측정기로부터 족저압을 수신할 때의 수신 날짜, 수신 시간, 수신 위치를 족저압 측정 이력으로서 저장하는 족저압 측정 이력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족저압 건강 안내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시간대별 족저압 측정 이력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피측정자 단말기는, 피측정자로부터 족저압 측정이 이루어지기 전의 피측정자의 생활 패턴 정보를 피측정자로부터 입력받는 단말기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족저압 측정 이력 저장부는, 측정된 족저압 중에서 상기 발부위별 족저압 기준범위를 벗어난 경우 피측정자의 생활 패턴 정보를 함께 저장하며, 상기 족저압 건강 안내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시간대별 족저압 측정 이력을 제공과 함께 상기 발부위별 족저압 기준범위를 벗어날 때의 생활 패턴 정보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피측정자 단말기는, 피측정자로부터 족저압 측정이 이루어지기 전의 걸음 패턴 정보를 파악하여 저장하는 걸음 패턴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족저압 측정 이력 저장부는, 측정된 족저압 중에서 상기 발부위별 족저압 기준범위를 벗어난 경우 피측정자의 걸음 패턴 정보를 함께 저장하며, 상기 족저압 건강 안내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시간대별 족저압 측정 이력을 제공과 함께 상기 발부위별 족저압 기준범위를 벗어날 때의 걸음 패턴 정보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족저압 측정을 통하여 신체의 균형을 위한 건강정보를 제공해주고 나아가 실생활에서 체계적인 헬스케어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또한 피측정자에게 건강 정보 제공뿐만 아니라 족저압 측정에 의해 얻어지는 족부관련 빅데이터를 신발, 스포츠용품, 헬스케어 용품 회사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저압 측정을 통한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저압 측정기가 롤링되어 두루마리 형태로 감겨져 있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저압 측정기가 펼쳐져 있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저압 측정기의 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면 패드, 하면 패드, 압력감지센서 어레이의 단면도를 도시한 그림.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감지센서 제1어레이만 활성화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압력감지센서 제1어레이와 압력감지센서 제2어레이 모두가 활성화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측정자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9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피측정자 단말기의 구동 모습을 도시한 그림.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저압 측정을 통한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저압 측정기가 롤링되어 두루마리 형태로 감겨져 있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저압 측정기가 펼쳐져 있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족저압 측정기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면 패드, 하면 패드, 압력감지센서 어레이의 단면도를 도시한 그림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감지센서 제1어레이만 활성화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압력감지센서 제1어레이와 압력감지센서 제2어레이 모두가 활성화된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본 발명의 족저압 측정을 통한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족저압 측정기(100)와 피측정자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족저압 측정기(100)는 피측정자의 족저압이 측정되어 측정된 족저압을 피측정자 단말기(200)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한다. 족저압 측정기(100)는 두루마리 형태로 감길수 있는 플렉서블 특성을 가지고 있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링되어 감겨져 휴대할 수 있다. 또한 도 3과 같이 펼쳐진 상태에서 피측정자가 올라서게 되면, 피측정자의 발의 압력인 족저압을 측정할 수 있다.
족저압 측정기(1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 하우징(110)과 플렉서블 측정 플레이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하우징(110)은, 막대봉 형태를 가지며, 측정된 족저압을 피측정자 단말기(200)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한다. 본체 하우징(110)은, 표면에 마련된 측정기 표시부(111)와, 외부의 충전 케이블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며 측정기 표시부(111)와 압력감지센서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112)와, 플렉서블 측정 플레이트(120)로부터 제공받은 족저압을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피측정자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본체 하우징 통신부(113)를 구비한다. 여기서 유선 통신은, 피측정자 단말기(200)와 USB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통신될 수 있으며, 무선 통신은, 피측정자 단말기(200)와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등이 이루어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플렉서블 측정 플레이트(120)는, 일단이 상기 본체 하우징(110)에 결합되어 본체 하우징(110)의 외면에 롤링되어 도 2와 같이 감길 수 있는 플렉서블 특성을 가지는 플레이트이다. 플렉서블 측정 플레이트(120)가 감겨져 있지 않고 펼쳐진 상태에서, 플레이트 측정 플레이트의 상면에 피측정자의 발이 위치하면, 피측정자의 발의 족저압을 측정하여 측정된 족저압이 본체 하우징(110)의 본체 하우징 통신부(113)로 제공된다.
이러한 플렉서블 측정 플레이트(120)는, 측정 플레이트 제어부(121), 압력감지센서 어레이(123), 상면 패드(122), 및 하면 패드(124)를 포함할 수 있다.
측정 플레이트 제어부(121)는 압력감지센서를 활성화시켜 피측정자의 족저압을 측정하여, 측정된 족저압을 본체 하우징(110)으로 제공한다.
이와 같이 족저압을 감지하는 센서가 마련되는데, 도 5(a)를 참조하면, 압력감지센서 어레이(123)는, 피측정자의 족저압을 측정하는 압력감지센서가 매트릭스 어레이 배열되어 상면 패드(122)와 하면 패드(124)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상면 패드(122)는, 플렉서블 특성을 가지며, 압력감지센서 어레이(123)의 상면에 결합되며, 하면 패드(124)는, 플렉서블 특성을 가지며, 압력감지센서 어레이(123)의 하면에 결합된다.
나아가 압력감지센서 어레이(123)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 패드(122)와 하면 패드(124) 사이에 압력감지센서 제1어레이(123a)와 압력감지센서 제2어레이(123b)가 마련되어 2개로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압력감지센서 어레이(123)의 각 압력감지센서마다 피측정자의 족저압을 측정하여,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압력감지센서 어레이(123)에 마련된 압력감지센서를 모두 활성화시켜 측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족저압 측정기(100)는 두루마리 형태로 말려서 휴대하고 다니기 때문에 충전된 배터리(112)로부터 구동 전력을 제공받는데, 족저압을 측정할 때마다 압력감지센서 어레이(123)에 마련된 모든 압력감지센서를 활성화시킬 경우, 배터리(112) 전력 소모가 더 빠르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측정 플레이트 제어부(121)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력감지센서 제1어레이(123a)만을 활성화시켜 1차 측정 족저압으로서 측정한다. 따라서 압력감지센서 제2어레이(123b)는 비활성화되기 때문에 배터리(112)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참고로, 이러한 활성화되는 압력감지센서 제1어레이(123a)와 비활성화되는 압력감지센서 제2어레이(123b)는 활성화 여부가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다.
다만, 측정된 1차 측정 족저압이 발부위별 족저압 기준범위를 벗어난 발부위를 가지는 경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력감지센서 제1어레이(123a)와 압력감지센서 제2어레이(123b)를 모두 활성화시켜 2차 측정 족저압으로서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112) 전원을 절약하면 동시에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피측정자 단말기(200)는 피측정자가 사용하는 단말기로서, 도면에서는 도면에서는 스마트폰(smart phone)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스마트폰만 아니라 데스크탑 PC(desktop PC), 태블릿 PC(tablet PC),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피측정자 단말기(200)는, 족저압 측정기(100)로부터 수신된 족저압을 미리 저장된 발부위별 족저압 기준범위와 비교하여, 발부위별 족저압 기준범위를 벗어난 족저압을 가지는 발부위에 매칭되는 질병 의심 신체부위를 추출하여 표시하며, 추출한 질병 의심 신체부위의 증상 안내 정보와 치료 안내 정보를 포함한 건강 안내 정보를 표시한다. 이하 도 8과 함께 상술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측정자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9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피측정자 단말기의 구동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피측정자 단말기(20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통신부(220), 단말기 표시부(230), 발부위별 족저압 기준범위 데이터베이스(240), 발부위별 신체부위 할당 저장부(250), 건강 안내 정보 데이터베이스(260), 및 건강 안내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2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위치 파악부(270), 족저압 측정 이력 저장부(280), 단말기 입력부(290), 및 걸음 패턴 저장부(2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통신부(220)는, 족저압 측정기(100)의 본체 하우징 통신부(113)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하여 족저압을 수신한다. 유선 통신의 경우에는 USB케이블,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를 통하여 족저압 측정기(100)의 본체 하우징 통신부(113)와 통신하며, 무선 통신의 경우에는 적외선 통신(Infrared Radiation), 블루투스(Bluetooth), 홈 RF(Radio Frequency) 및 무선 랜(Wireless LAN)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이 사용되어 저압 측정기의 본체 하우징 통신부(113)와 통신할 수 있다.
단말기 표시부(230)는, 피측정자의 질병 의심 신체부위의 증상 안내 정보와 치료 안내 정보를 포함한 건강 안내 정보가 표시된다.
발부위별 족저압 기준범위 데이터베이스(240)는, 발부위별 족저압 기준범위가 할당되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DB;DataBase)이다. 예를 들어, 발의 뒷꿈치부에는 제1족저압 기준범위가 할당되며, 발의 앞꿈치부에는 제2족저압 기준범위가 할당되며, 발의 중간부에는 제3족저압 기준범위가 할당되며, 발아치에는 제4족저압 기준범위가 할당될 수 있다. 참고로 발아치는, 발바닥이 평면에 닿을 때 발바닥이 닿는 영역을 말한다.
발부위별 신체부위 할당 저장부(250)는, 발부위별로 연관된 질병 의심 신체부위가 할당되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이다. 예컨대, 앞꿈치는 허리, 뒷굼치는 종아리 등의 질병 의심 신체부위가 할당되어 있다.
건강 안내 정보 데이터베이스(260)는, 질병 의심 신체부위별로 증상 안내 정보와 치료 안내 정보가 포함된 건강 안내 정보가 할당되어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이다.
족저압 건강 안내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210)은, 측정된 족저압 중에서 상기 발부위별 족저압 기준범위를 벗어난 발부위가 있는 경우 발부위에 연관된 질병 의심 신체부위를 추출하여 표시하며, 추출한 질병 의심 신체부위에 매칭되는 건강 안내 정보를 추출하여 표시부에 표시한다.
상술하면, 예를 들어, 로그인한 후 도 9에 도시된 시작하기 버튼(11)이 눌리어지면, 도 10에 도시된 사용자 사진이 포함된 사용자 정보가 표시된다. 그리고 피측정자가 족저압 측정기(100)에 올라선 후 족저압 체크 버튼(12)을 누르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정보 입력 필드(13)에서 실생활 및 보행 패턴 정보와 같은 기록을 피측정자로부터 입력받고, 아울러 족저압 이력 표시 필드(14)에서 족저압 이력 현황을 표시한다.
그리고 피측정자가 도 12에 도시된 측정하기 버튼(15)을 누르면, 족저압 측정기(100)로부터 측정된 족저압의 값을 수신한다. 족저압 건강 안내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21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족저압을 표시하고, 분석하기 버튼(16)이 눌리어지면 측정된 족저압 중에서 발부위별 족저압 기준범위를 벗어난 발부위가 있는지를 분석한다. 측정된 족저압 중에서 발부위별 족저압 기준범위를 벗어난 발부위가 있는 경우,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부위에 연관된 질병 의심 신체부위를 추출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출한 질병 의심 신체부위에 매칭되는 건강 안내 정보를 추출하여 표시부에 표시한다. 아울러 관련되는 치료 추천 제품의 광고 이미지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족저압 이력 표시 필드(14)에서 족저압 이력 현황을 표시함에 있어서, 족저압 건강 안내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210)은, 시간대별 족저압 측정 이력을 그래프 등의 방식으로 표시하는데, 이러한 족저압 측정 이력은, 족저압 측정기(100)로부터 족저압을 수신할 때의 수신 날짜, 수신 시간, 수신 위치를 포함한다. 족저압의 수신 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피측정자 단말기(200)는, 피측정자 단말기(200)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파악부(27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파악부(270)는, GPS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족저압 측정기(100)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아무 장소에서나 측정하여도 족저압이 측정된 위치가 함께 기록될 수 있어, 피측정자가 추후 자신의 족저압의 상태가 좋을 때 있었던 위치 정보를 참고하여, 해당 위치서의 생활을 유지하는 등의 생활 계획을 세울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한 사용자 정보 입력 필드(13)는 실생활 및 보행 패턴 정보와 같은 기록을 피측정자로부터 입력받는 필드이다. 이를 위해 피측정자 단말기(200)는, 피측정자로부터 족저압 측정이 이루어지기 전의 피측정자의 생활 패턴 정보를 피측정자로부터 입력받는 단말기 입력부(29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루종일 등산을 했다든지, 하루종일 사무실에서 일을 했다든지 하는 등의 생활 패턴을 피측정자가 입력하는 것이다.
또한 족저압 측정 이력 저장부(280)는, 측정된 족저압 중에서 발부위별 족저압 기준범위를 벗어난 경우 피측정자의 생활 패턴 정보를 함께 저장한다.
족저압 건강 안내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210)은, 시간대별 족저압 측정 이력을 제공과 함께 발부위별 족저압 기준범위를 벗어날 때의 생활 패턴 정보도 함께 제공한다. 따라서 피측정자는 족저압 기준범위를 벗어나 상태가 나쁜 값으로 측정될 때의 생활 패턴을 파악할 수 있어, 해당 생활 패턴을 하지 않도록 노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 설명한 생활 패턴 정보는 피측정자로부터 직접 입력받는 방식이어서 피측정자 입장에서는 번거로울 수 있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피측정자 단말기(200)는, 피측정자로부터 족저압 측정이 이루어지기 전의 걸음 패턴 정보를 파악하여 저장하는 걸음 패턴 저장부(295)를 포함할 수 있다. 만보기와 같이 걸음 걸이를 파악하여 걸음 패턴을 파악하여 저장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왼쪽발의 움직임이 오른쪽발의 움직임보다 더 빠른 패턴이라는 등의 피측정자의 걸음 패턴을 파악하여 저장할 수 있다.
족저압 측정 이력 저장부(280)는, 측정된 족저압 중에서 발부위별 족저압 기준범위를 벗어난 경우 피측정자의 걸음 패턴 정보를 함께 저장한다. 그리고 족저압 건강 안내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210)은, 시간대별 족저압 측정 이력을 제공과 함께 발부위별 족저압 기준범위를 벗어날 때의 걸음 패턴 정보도 함께 표시하여 제공한다. 따라서 피측정자는 자신의 족저압이 기준범위를 벗어난 질병 의심 상태일 때의 걸음 패턴을 파악할 수 있어, 걸음 패턴 교정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족저압 측정기 110:본체 하우징
111:측정기 표시부 112:배터리
113;본체 하우징 통신부 120:플렉서블 측정 플레이트
121:측정 플레이트 제어부 122:상면 패드
123:압력감지센서 어레이 124:하면 패드
200:피측정자 단말기

Claims (7)

  1. 롤링되어 감겨져 휴대할 수 있으며, 펼쳐진 상태에서 피측정자의 족저압이 측정되어, 측정된 족저압을 피측정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족저압 측정기; 및
    상기 족저압 측정기로부터 수신된 족저압을 미리 저장된 발부위별 족저압 기준범위와 비교하여, 상기 발부위별 족저압 기준범위를 벗어난 족저압을 가지는 발부위에 매칭되는 질병 의심 신체부위를 추출하여 표시하며, 추출한 질병 의심 신체부위의 증상 안내 정보와 치료 안내 정보를 포함한 건강 안내 정보를 표시하는 피측정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족저압 측정기는,
    막대봉 형태를 가지며, 측정된 족저압을 상기 피측정자 단말기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송하는 본체 하우징; 및 일단이 상기 본체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의 외면에 롤링되어 감길 수 있는 플렉서블 특성을 가지는 플레이트로서, 상면에 피측정자의 발이 위치하면, 피측정자의 발의 족저압을 측정하여 측정된 족저압을 상기 본체 하우징에 제공하는 플렉서블 측정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플렉서블 측정 플레이트는,
    피측정자의 족저압을 측정하는 압력감지센서가 복수개로 배열된 압력감지센서 어레이; 플렉서블 특성을 가지며, 상기 압력감지센서 어레이의 상면에 결합되는 상면 패드; 플렉서블 특성을 가지며, 상기 압력감지센서 어레이의 하면에 결합되는 하면 패드; 상기 압력감지센서를 활성화시켜 피측정자의 족저압을 측정하여, 측정된 족저압을 상기 본체 하우징으로 전송하는 측정 플레이트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감지센서 어레이는, 매트릭스 배열되어 상기 상면 패드와 하면 패드 사이에 압력감지센서 제1어레이와 압력감지센서 제2어레이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측정 플레이트 제어부는, 상기 압력감지센서 제1어레이만을 활성화시켜 1차 측정 족저압으로서 측정하며, 측정된 1차 측정 족저압이 상기 발부위별 족저압 기준범위를 벗어난 발부위를 가지는 경우 상기 압력감지센서 제1어레이와 압력감지센서 제2어레이를 모두 활성화시켜 2차 측정 족저압으로서 측정하며,
    상기 피측정자 단말기는,
    측정된 족저압 중에서 상기 발부위별 족저압 기준범위를 벗어난 발부위가 있는 경우 상기 발부위에 연관된 질병 의심 신체부위를 추출하여 표시하며, 추출한 질병 의심 신체부위에 매칭되는 건강 안내 정보를 추출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족저압 건강 안내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
    피측정자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 파악부;
    상기 족저압 측정기로부터 족저압을 수신할 때의 수신 날짜, 수신 시간, 수신 위치를 족저압 측정 이력으로서 저장하는 족저압 측정 이력 저장부; 및
    피측정자로부터 족저압 측정이 이루어지기 전의 걸음 패턴 정보를 파악하여 저장하는 걸음 패턴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족저압 건강 안내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시간대별 족저압 측정 이력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며,
    상기 족저압 측정 이력 저장부는, 측정된 족저압 중에서 상기 발부위별 족저압 기준범위를 벗어난 경우 피측정자의 걸음 패턴 정보를 함께 저장하며,
    상기 족저압 건강 안내 정보 제공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시간대별 족저압 측정 이력을 제공과 함께 상기 발부위별 족저압 기준범위를 벗어날 때의 걸음 패턴 정보도 함께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족저압 측정을 통한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은,
    표면에 마련된 측정기 표시부;
    외부의 충전 케이블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며, 상기 측정기 표시부와 압력감지센서에 전원을 제공하는 배터리; 및
    상기 플렉서블 측정 플레이트로부터 수신한 족저압을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피측정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본체 하우징 통신부;
    를 포함하는 족저압 측정을 통한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피측정자 단말기는,
    상기 본체 하우징 통신부와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하여 족저압을 수신하는 단말기 통신부;
    피측정자의 질병 의심 신체부위의 증상 안내 정보와 치료 안내 정보를 포함한 건강 안내 정보가 표시되는 단말기 표시부;
    발부위별 족저압 기준범위가 할당되어 저장된 발부위별 족저압 기준범위 데이터베이스;
    발부위별로 연관된 질병 의심 신체부위가 할당되어 저장된 발부위별 신체부위 할당 저장부; 및
    질병 의심 신체부위별로 증상 안내 정보와 치료 안내 정보가 포함된 건강 안내 정보가 할당되어 저장된 건강 안내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족저압 측정을 통한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

  6. 삭제
  7. 삭제
KR1020160129157A 2016-10-06 2016-10-06 족저압 측정을 통한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 Active KR101775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157A KR101775691B1 (ko) 2016-10-06 2016-10-06 족저압 측정을 통한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
US16/339,953 US11311208B2 (en) 2016-10-06 2017-10-10 Health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through plantar pressure measurement
PCT/KR2017/011135 WO2018066978A1 (ko) 2016-10-06 2017-10-10 족저압 측정을 통한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9157A KR101775691B1 (ko) 2016-10-06 2016-10-06 족저압 측정을 통한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5691B1 true KR101775691B1 (ko) 2017-09-06

Family

ID=59925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9157A Active KR101775691B1 (ko) 2016-10-06 2016-10-06 족저압 측정을 통한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11208B2 (ko)
KR (1) KR101775691B1 (ko)
WO (1) WO201806697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609B1 (ko) * 2020-02-25 2021-06-01 (주)디자인스튜디오에이 무선연결식 체력측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력측정방법
KR20240178315A (ko) 2023-06-22 2024-12-31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발가락력 측정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92676A1 (en) * 2019-11-11 2021-05-20 Orpyx Medical Technologies Inc. Physiological sensor footwear insert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e
CN110881977A (zh) * 2019-11-18 2020-03-17 永康国科康复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足底压力信息采集设备
CN111358469B (zh) * 2020-04-15 2024-01-02 青岛一小步科技有限公司 一种足底压力检测装置及足部健康检测装置和检测方法
CN113384265A (zh) * 2021-05-20 2021-09-14 西安理工大学 一种便携式足型快速检测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048B1 (ko) * 2006-12-01 2007-09-18 곽동엽 동적 족저압 측정기
KR100909350B1 (ko) * 2007-03-13 2009-07-24 최용재 3차원 생체역학 데이터와 파라메터 분석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14218A1 (de) * 1987-04-29 1988-12-01 Huberti Helmut Dr Med Therapeutische schutzvorrichtung gegen ueberlastung des menschlichen bewegungsapparates, sogenannte fusssohlenwaage
KR200395775Y1 (ko) 2005-06-29 2005-09-13 하성호 족부 진단장치
US7645211B1 (en) * 2006-04-17 2010-01-12 Lauranzo, Inc. Personal agility developer
US20100094174A1 (en) * 2007-03-13 2010-04-15 Yong Jae Choi Method for three-dimensional biomechanical data and parameter analysis and system using the same method
JP2013192721A (ja) * 2012-03-19 2013-09-30 Terumo Corp 足圧分布計測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
KR20160042262A (ko) * 2014-10-07 2016-04-19 주식회사 라이프사이언스테크놀로지 족압정보 분석을 통한 개인 맞춤형 인솔정보 제공방법
KR20160065734A (ko) * 2014-12-01 2016-06-09 주식회사 위즈넷코리아 바이오 컨트롤 기능을 갖는 신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048B1 (ko) * 2006-12-01 2007-09-18 곽동엽 동적 족저압 측정기
KR100909350B1 (ko) * 2007-03-13 2009-07-24 최용재 3차원 생체역학 데이터와 파라메터 분석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609B1 (ko) * 2020-02-25 2021-06-01 (주)디자인스튜디오에이 무선연결식 체력측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체력측정방법
KR20240178315A (ko) 2023-06-22 2024-12-31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발가락력 측정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11208B2 (en) 2022-04-26
WO2018066978A1 (ko) 2018-04-12
US20200046258A1 (en) 2020-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5691B1 (ko) 족저압 측정을 통한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343909B1 (ko) 표피하 수분 값의 좌우 대칭 비교
US20200260999A1 (en) User identification by biometric monitoring device
Sneyers et al. Influence of malalignment of feet on the plantar pressure pattern in running
US6836744B1 (en) Portable system for analyzing human gait
CN108013878A (zh) 一种基于足底压力的智能传感鞋步态分析系统
US12029277B2 (en) Insole with embedded sensing system
KR101856077B1 (ko) 스마트 인솔을 활용한 걸음 교정 시스템
US11432613B2 (en) Load cell module inserted in shoes and weight management service system using the same
US20180344210A1 (en) Extensible Wearable Weight Scale and Sensor System
CN107307869A (zh) 智能下肢负重安全保护、训练效果监测及步态分析装置
TW201346238A (zh) 無線足底壓力感測系統
TWM447216U (zh) 無線足底壓力感測系統
CN115797499A (zh) 重心轨迹绘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Pfaffen et al. Planipes: Mobile foot pressure analysis
CN110327045A (zh) 生物力线小站融合多传感器信息的健康检测装置及其方法
KR102232443B1 (ko) 족저압 측정 시스템 및 방법
KR101923676B1 (ko) 샌들 기반의 자세교정 장치
Lucangeli et al. SISTINE: Sensorized socks for telemonitoring of vascular disease patients
KR101859670B1 (ko) 몸무게 측정 겸용 플렉서블 족저압 측정기
TW202114595A (zh) 足底動態壓力感測系統
CN114305390B (zh) 用于足底压力检测和滑移校准的装置及检测方法
US11298079B2 (en) Smart shoe system for calculating energy expenditure
Anuar et al. The development of wearable sensor for arcus pedis pressure assessment
Martínez-Martí et al. A preliminary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back-pain and plantar-pressure evolution during pregnanc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0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4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12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4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2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15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705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4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22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708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8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9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