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5270B1 - 커피에 볶은 도토리를 섞은 혼합커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커피에 볶은 도토리를 섞은 혼합커피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75270B1 KR101775270B1 KR1020160038264A KR20160038264A KR101775270B1 KR 101775270 B1 KR101775270 B1 KR 101775270B1 KR 1020160038264 A KR1020160038264 A KR 1020160038264A KR 20160038264 A KR20160038264 A KR 20160038264A KR 101775270 B1 KR101775270 B1 KR 1017752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corn
- coffee
- powder
- roasted
- roas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10—Treating roasted coffee;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5/14—Treating roasted coffee;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using additives, e.g. milk or sugar; Coating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5/00—Coffee; Coffee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5/24—Extraction of coffee; Coffee extracts; Making instant coffee
- A23F5/36—Further treatment of dried coffee extract;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e.g. instant coffee
- A23F5/38—Agglomerating, flaking or tabletting or granulating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5/00—Food consisting mainly of nutmeat or seed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5/30—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astes, meal, powders; Products made therefrom, e.g. blocks, flakes, snacks;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9/00—Packaging of material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9/02—Packaging of substances, e.g. tea, which are intended to be infused in the pack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9/00—Packaging of material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9/02—Packaging of substances, e.g. tea, which are intended to be infused in the package
- B65B29/028—Packaging of substances, e.g. tea, which are intended to be infused in the package packaging infusion material into filter ba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B65B31/02—Filling, closing, or filling and closing, containers or wrappers in chambers maintained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containing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8—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ea And Coffee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커피에 볶은 도토리를 섞은 혼합커피 제조방법에 따르면 커피와 도토리의 향이 혼합되어 맛이 좋고, 중독성이 강하고 다량 섭취 시 인체에 유해한 카페인의 섭취를 일정량 줄일 수 있으며, 커피 수입을 줄이고 우리 농산물의 사용증가와 도토리에 함유된 훌륭한 성분을 섭취함으로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Claims (5)
- 커피에 도토리를 섞은 혼합커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도토리를 수확하여 가공 처리하고, 분쇄한 후 볶아서 도토리과립 또는 도토리분말을 만드는 도토리 과립 또는 분말 제조공정과;
커피의 원두를 볶은 후 파쇄하여 커피분말로 만드는 커피분말 제조공정과;
상기 커피분말과, 도토리과립 또는 도토리분말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커피을 만드는 커피 도토리 혼합공정과;
상기 혼합커피를 외부의 산소와 습기가 유입 및 커피향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포장용기로 포장하는 포장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도토리 과립 또는 분말 제조공정은 도토리를 가을에 수확한 후 일정 기간 보관하는 제조 대기단계;
상기 도토리에서 먹을 수 없는 비가식 부분을 제거한 후 세척하는 도토리 세척단계;
세척한 도토리를 일정 기간 건조시키는 도토리 건조단계;
건조된 도토리의 껍질을 벗기는 도토리 박피단계;
껍질을 벗긴 도토리를 쓴맛이 나는 타닌성분과 균(菌) 및 충(蟲)을 제거하기 위해 일정 농도의 염분수에 일정 시간 침지시키는 도토리 침지단계와;
침지하여 수분이 있는 도토리를 일정 수분 이하가 되도록 일정 기간 건조시키는 도토리 재건조단계와;
건조된 도토리를 과립 형태 또는 분말 형태로 분쇄 가공하는 도토리 분쇄가공단계와;
과립 형태 또는 분말 형태의 도토리를 일정 온도에서 일정 시간 볶아 도토리과립 또는 도토리분말을 완성시키는 도토리 볶음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커피분말과, 도토리과립 또는 도토리분말의 혼합비율은 커피분말 50~90 중량%와, 도토리과립 또는 도토리분말 10~50 중량%이고,
상기 커피분말 제조공정은 원두커피를 볶는 로스팅단계와;
맛과 향이 최적의 상태로 변해갈 수 있도록 볶은 원두에 함유된 탄산가스를 24시간 동안 지연방출시키는 탄산가스 지연방출단계와;
커피 분쇄기에서 볶은 원두를 분쇄하여 커피분말로 만드는 커피 분말제조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포장공정은 일정 중량 이상의 대용량으로 포장할 때는 금속캔이나 복합필름으로 제조된 포장용기 안에 상기 혼합커피를 넣고, 공기가 상기 혼합커피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잔존산소량을 1.0% 이하가 되도록 한 다음 밀봉하는 방법으로 시행하고, 1회용 티백으로 포장할 때는 1회분으로 티백 포장 후 커피향이 발향되어 없어지지 않도록 티백을 진공포장하고,
상기 도토리 건조단계는 햇볕에서 도토리를 건조시키고 건조기간은 2~5일이며,
상기 도토리 침지단계에서 염분수는 물 85~95 중량%와 식염(NaCl) 5~15 중량%을 혼합하여 소금을 물에 완전히 녹인 것을 사용하며, 침지시간은 2~6시간이고,
상기 도토리 재건조단계는 함수분이 5% 이하가 되도록 맑은 날 상온에서 2~10일간 상온 자연건조시키거나, 50~70℃의 건조실에서 10~20시간 동안 강제건조시키며,
상기 도토리 분쇄가공단계에서 과립의 크기는 18~50메쉬(980~279㎛)이고, 분말의 크기는 150~300메쉬(104~46㎛)이며,
상기 도토리 볶음단계에서 볶는 온도는 130~230℃이고, 볶는 시간은 5~30분이고,
상기 도토리 과립 또는 분말 제조공정은 상기 도토리 볶음단계 이후 온도가 높은 상기 도토리과립 또는 도토리분말을 일정 온도 이하까지 냉각시키는 냉각단계와, 냉각 후 혼합커피를 제조할 때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도토리과립 또는 도토리분말을 포장해서 보관하는 도토리 과립 또는 분말 포장단계가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도토리 세척단계는 수도물을 사용하지 않고 잔류 염소가 없고 미네랄이 많은 지하 암반수로 도토리를 세척하고,
상기 도토리 건조단계에서 상기 도토리는 햇볕에서 도토리를 건조시키고, 건조기간은 2~5일이며, 수분 함량이 20% 미만이 되도록 건조시키며,
상기 도토리 침지단계는 염분수에 일정 시간 침지시키는 침지단계와; 침지 후 염도가 없고 흐르는 깨끗한 물에 씻어주는 세척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침지단계에서의 염분수의 온도는 20~30℃ 이도록 하며,
상기 도토리 분쇄가공단계에서 분쇄기를 사용하여 분쇄하며, 상기 분쇄기는 다수개의 햄머가 달린 회전축을 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여 분쇄하고 원통 형상의 시브스크린을 통해 일정 크기의 입자가 배출되며,
상기 로스팅단계에서 로스팅 온도는 180~250℃, 볶는 시간은 12~20분이고,
상기 커피 분말제조단계는 커피 분쇄기에서 커피분말의 크기는 80~300메쉬(173~46㎛)로 분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에 볶은 도토리를 섞은 혼합커피 제조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8264A KR101775270B1 (ko) | 2016-03-30 | 2016-03-30 | 커피에 볶은 도토리를 섞은 혼합커피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8264A KR101775270B1 (ko) | 2016-03-30 | 2016-03-30 | 커피에 볶은 도토리를 섞은 혼합커피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75270B1 true KR101775270B1 (ko) | 2017-09-19 |
Family
ID=60033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38264A Active KR101775270B1 (ko) | 2016-03-30 | 2016-03-30 | 커피에 볶은 도토리를 섞은 혼합커피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75270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519671A (zh) * | 2021-07-22 | 2021-10-22 | 刘太明 | 一种橡子咖啡的加工方法 |
KR102534385B1 (ko) | 2022-06-10 | 2023-05-18 | 조영식 | 도토리 커피의 제조방법 |
KR20230091681A (ko) * | 2021-12-16 | 2023-06-23 | (주)해머스미스커피컴퍼니 | 로스팅 연기를 사용하는 로스팅 원두 제조 시스템 |
-
2016
- 2016-03-30 KR KR1020160038264A patent/KR101775270B1/ko active Active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519671A (zh) * | 2021-07-22 | 2021-10-22 | 刘太明 | 一种橡子咖啡的加工方法 |
KR20230091681A (ko) * | 2021-12-16 | 2023-06-23 | (주)해머스미스커피컴퍼니 | 로스팅 연기를 사용하는 로스팅 원두 제조 시스템 |
KR102687044B1 (ko) * | 2021-12-16 | 2024-07-23 | (주)해머스미스커피컴퍼니 | 로스팅 연기를 사용하는 로스팅 원두 제조 시스템 |
KR102534385B1 (ko) | 2022-06-10 | 2023-05-18 | 조영식 | 도토리 커피의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09171949A (ja) | 明日葉茶 | |
KR100906289B1 (ko) | 메밀을 포함하는 액상커피의 제조방법 | |
KR100923625B1 (ko) | 황태 된장 및 그 제조방법 | |
WO2007042742A1 (en) | Cured olive powder | |
KR101775270B1 (ko) | 커피에 볶은 도토리를 섞은 혼합커피 제조방법 | |
KR101294654B1 (ko) | 삼채를 포함하는 김치제조용 양념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김치 | |
KR101342517B1 (ko) | 건강 기능성 죽 및 상기 죽의 제조방법 | |
TWI307620B (ko) | ||
JP2003219847A (ja) | 発芽玄米の抽出液を含有する飲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20160020746A (ko) | 생홍고추를 이용한 토마토김치 및 그 제조방법 | |
KR101702720B1 (ko) | 양념 고기의 제조방법 | |
KR100521619B1 (ko) | 쑥 향나는 도토리묵 제조방법 | |
RU2680303C1 (ru) |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обогащенного растительного масла с экстрактом жгучих перцев чили | |
KR100338043B1 (ko) | 도토리차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1535214B1 (ko) | 다시마, 고대미 및 현미를 이용한 차 및 그 제조방법 | |
KR20210027959A (ko) | 달인 마늘 소스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달인 마늘 소스 | |
KR102513853B1 (ko) | 사과 성분이 함유된 기능성 흑양파 농축액의 제조방법 | |
KR101058792B1 (ko) | 알로에를 가미한 색상 무말랭이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무말랭이 | |
KR102200918B1 (ko) | 꾸지뽕을 이용한 건강 단무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 단무지 | |
KR102030980B1 (ko) | 여주 및 고구마 분말이 혼합된 가루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70071084A (ko) | 감귤 앙금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감귤 앙금 | |
KR20030063913A (ko) | 취나물 숙면 국수의 제조방법 | |
KR19990070318A (ko) | 구기자차의 제조방법 | |
KR20170114130A (ko) | 마테잎을 함유하는 커피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RU2419323C1 (ru) | Способ выработки компота из гру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5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8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8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