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70163B1 - 케이블 컷팅 머신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컷팅 공정 - Google Patents

케이블 컷팅 머신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컷팅 공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0163B1
KR101770163B1 KR1020170047430A KR20170047430A KR101770163B1 KR 101770163 B1 KR101770163 B1 KR 101770163B1 KR 1020170047430 A KR1020170047430 A KR 1020170047430A KR 20170047430 A KR20170047430 A KR 20170047430A KR 101770163 B1 KR101770163 B1 KR 101770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roller
assembly
conical
dispos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7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헌
Original Assignee
박종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헌 filed Critical 박종헌
Priority to KR1020170047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01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0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016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0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feed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36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28Applying continuous inductive loading, e.g. Krarup loading
    • H01B13/282Applying continuous inductive loading, e.g. Krarup loading by wi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rwarding And Storing Of Filamentary Material (AREA)

Abstract

케이블 컷팅 머신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컷팅 공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전단에 배치되는 인풋 가이드 어셈블리; 상기 인풋 가이드 어셈블리 후방에 배치되는 이송 어셈블리; 상기 이송 어셈블리 후방에 배치되는 아웃풋 가이드 어셈블리; 및 상기 아웃풋 가이드 어셈블리 후방에 배치되는 컷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케이블 컷팅 머신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컷팅 머신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컷팅 공정 {CABLE CUTTING MACHINE AND CABLE CUTTING PROCES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케이블을 소정 길이로 절단 가공하는 케이블 컷팅 머신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컷팅 공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등과 같은 대형 구조물은 내부의 전장 설비를 구축하기 위해 다수의 케이블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케이블은 효율적인 현장 설치를 위해 미리 필요한 길이로 절단 가공되어 현장에 제공되게 된다. 즉, 원자재인 케이블이 드럼 등에 권취된 상태로 공급되면, 이를 설비에 필요한 적절한 길이로 미리 절단하는 공정이 요구되게 된다.
종래 상기와 같은 케이블 절단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었다. 즉, 작업자가 케이블 드럼을 서서히 풀면서 권출되는 케이블 길이를 측정하고, 절단 및 필요한 마킹 작업 등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작업 생산성 측면에서 매우 비효율적이다. 일부 대형 케이블의 경우, 작업자가 직접 취급하기 어려운 면이 있기 때문에 자동화된 장치가 이용되기도 한다. 통상적인 방식은 원자재인 케이블 드럼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반대측에 빈 케이블 드럼을 배치한 후, 원자재인 케이블 드럼에서 권출되는 케이블을 반대측의 드럼에 감으면서 길이 측정 및 절단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방식은 드럼에 감겨질 만큼 긴 길이로 케이블을 절단하는 경우에만 유효하며, 짧은 배선에 사용되는 다수의 케이블 절편을 가공하는데는 적합하지가 않다. 또한, 케이블 드럼에 권취된 케이블을 한 쪽에서 당겨 풀어나가는 방식이기 때문에 케이블에 과도한 장력이 작용되기 쉬우며, 이로 인해 단선 등 케이블 손상이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다. 이는 케이블의 직경이 작은 세선 케이블의 경우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세선 케이블을 짧은 길이의 케이블 절편으로 가공하는 작업은 아직까지도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작업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케이블의 손상을 줄여 가공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케이블 컷팅 머신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컷팅 공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전단에 배치되는 인풋 가이드 어셈블리; 상기 인풋 가이드 어셈블리 후방에 배치되는 이송 어셈블리; 상기 이송 어셈블리 후방에 배치되는 아웃풋 가이드 어셈블리; 및 상기 아웃풋 가이드 어셈블리 후방에 배치되는 컷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인풋 가이드 어셈블리는, 케이블이 이송되는 제1롤러스테이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의 이송에 따라 피동적으로 회전되며, 엔코더와 연결되어 회전수 및 회전각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측정되는 검침롤러; 및 상기 검침롤러 상측에 배치되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하강 동작되어 상기 케이블을 상기 검침롤러 외면에 밀착시키는 압박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어셈블리는, 전후로 소정길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이 안착 지지되는 하부 이송벨트; 상기 하부 이송벨트 상측에 배치되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하강 동작되어 상기 케이블을 상기 하부 이송벨트 외면에 밀착시키는 상부 이송벨트; 및 상기 상, 하부 이송벨트를 회전 구동시켜 상기 상, 하부 이송벨트 사이에 밀착 접촉된 상기 케이블을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케이블 컷팅 머신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의 케이블 컷팅 머신을 이용하여 케이블 드럼에 권취된 케이블을 소정 길이의 케이블 절편으로 절단하는, 케이블 컷팅 공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케이블 컷팅 머신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컷팅 공정은, 원자재로 공급되는 케이블을 자동화된 방식을 통해 소정길이로 절단 가공할 수 있어 작업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케이블 컷팅 머신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컷팅 공정은, 상, 하부 이송벨트 사이에 케이블이 압착되어 이송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단선 등 케이블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비교적 직경이 작은 세선 케이블의 경우에도 적절히 사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컷팅 머신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풋 가이드 어셈블리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인풋 가이드 어셈블리의 정면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송 어셈블리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아웃풋 가이드 어셈블리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아웃풋 가이드 어셈블리의 정면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컷팅 어셈블리의 정면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컷팅 머신(100)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컷팅 머신(100)은 베이스 프레임(11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케이블 컷팅 머신(100)의 전체적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110)은 후술할 각 구성요소들의 장착공간 내지 지지골격을 제공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소정의 장착공간을 형성하고 각 구성요소들에 대한 지지골격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면 무방하며, 특별히 그 구조나 형태가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컷팅 머신(100)은 인풋 가이드 어셈블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인풋 가이드 어셈블리(120)는 베이스 프레임(110)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풋 가이드 어셈블리(120)는 케이블이 공급되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전단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에 있어서 상기의 전단은 도면상 우측을 지칭한다. 편의상 이하에서는 도 1의 우측을 전단으로 지칭하기로 하며, 반대인 좌측을 후단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케이블은 베이스 프레임(110)의 전단으로부터 공급되어 후단으로 이동되면서 절단 가공될 수 있으며, 이는 도면상 케이블이 우측으로부터 공급되어 좌측으로 이동되면서 절단 가공되는 것과 대응된다.
인풋 가이드 어셈블리(12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케이블을 케이블 컷팅 머신(100) 내로 안내할 수 있다. 인풋 가이드 어셈블리(120)는 이 과정에서 케이블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케이블의 이송 중 꼬임이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인풋 가이드 어셈블리(120)는 이송거리를 통해 케이블의 길이를 측정하고, 케이블 외피에 마킹을 수행하는 기능을 겸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풋 가이드 어셈블리(12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는 도 2 및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컷팅 머신(100)은 이송 어셈블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 어셈블리(130)는 인풋 가이드 어셈블리(120)의 후방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면상 이송 어셈블리(130)는 인풋 가이드 어셈블리(120)의 좌측에 이격 배치되고 있다.
이송 어셈블리(130)는 인풋 가이드 어셈블리(120)에 의해 안내되는 케이블을 후방의 아웃풋 가이드 어셈블리(140)로 이송할 수 있다. 케이블은 이송 어셈블리(130)에 의해 이송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 케이블의 이송은 실질적으로 이송 어셈블리(130)가 케이블을 밀거나 당겨 이뤄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케이블 컷팅 머신(100)은 별도의 케이블 피더 등이 요구되지 않으며, 자체적으로 케이블 드럼으로부터 케이블을 끌어당겨 이송 및 절단 가공이 이뤄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케이블 컷팅 공정의 설비구성을 간소화시킬 수 있게 한다.
이송 어셈블리(130)는 상하로 배치된 상부 이송벨트(132) 및 하부 이송벨트(131) 사이에 케이블이 소정정도 압박 지지된 상태로 상, 하부 이송벨트(131)가 회전 구동됨으로써, 케이블에 이송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송 어셈블리(13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컷팅 머신(100)은 아웃풋 가이드 어셈블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웃풋 가이드 어셈블리(140)는 이송 어셈블리(130)의 후방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아웃풋 가이드 어셈블리(140)는 전단의 인풋 가이드 어셈블리(120)와 대응되도록 베이스 프레임(110)의 후단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상 이와 같은 아웃풋 가이드 어셈블리(140)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좌측단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있으며, 전술한 이송 어셈블리(130)는 인풋 가이드 어셈블리(120)와 아웃풋 가이드 어셈블리(140) 사이에 배치되고 있다.
아웃풋 가이드 어셈블리(140)는 이송 어셈블리(130)에 의해 이송된 케이블을 후단의 컷터 어셈블리(150)로 안내할 수 있다. 즉, 케이블은 인풋 가이드 어셈블리(120)와 이송 어셈블리(130)를 순차적으로 거쳐 아웃풋 가이드 어셈블리(140)로 제공될 수 있으며, 아웃풋 가이드 어셈블리(140)를 거쳐 다시 후술할 컷터 어셈블리(150)로 안내되게 된다. 필요에 따라, 아웃풋 가이드 어셈블리(140)는 이송된 케이블의 외면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피복에 마킹을 수행하는 기능을 겸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아웃풋 가이드 어셈블리(14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는 도 5 및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컷팅 머신(100)은 컷터 어셈블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컷터 어셈블리(150)는 아웃풋 가이드 어셈블리(140)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베이스 프레임(110)의 최후단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상 컷터 어셈블리(150)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좌측단에 배치되고 있다.
컷터 어셈블리(150)는 이송된 케이블을 절단할 수 있다. 즉, 컷터 어셈블리(150)는 케이블이 소정 길이만큼 이송되면, 해당 위치에서 케이블을 절단하게 된다. 컷터 어셈블리(150)에 의해 절단된 케이블(이하, 케이블 절편)은 이후의 공정이나 작업 과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에서 케이블 절편의 길이는 이송 어셈블리(130)에 의한 케이블의 이송거리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인풋 가이드 어셈블리(120)에서 측정된 이송거리에 따라 절단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즉, 케이블이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송되면, 이송 어셈블리(130)가 일시적으로 중지되고, 컷터 어셈블리(150)가 해당 위치에서 케이블을 절단하게 되는 방식이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할 도 7을 통해 부연키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컷팅 머신(100)는 제어패널 어셈블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패널 어셈블리(160)는 제어패널(161)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패널(161)은 디스플레이 및 입력수단을 구비하고, 케이블 절편의 길이 등 케이블 컷팅 머신(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어패널(161)은 대략 작업자의 신장에 대응되는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작업자가 서 있는 상태로 제어패널(161)을 조작할 수 있어 작업 편의성을 좀 더 증대될 수 있다.
제어패널 어셈블리(160)는 서포트 암(162)을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 암(162)은 제어패널(161)을 소정높이로 장착 지지할 수 있다. 서포트 암(162)의 일측은 베이스 프레임(1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타측은 제어패널(161) 상부에 체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 서포트 암(162)은 대략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태를 띄고 있으나, 서포트 암(162)의 형태는 제어패널(161)을 소정높이로 장착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무방하며, 예시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 서포트 암(162)은 상하 축을 중심으로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베이스 프레임(11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제어패널(161)은 서포트 암(162)의 단부에 상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작업자는 상황에 따라 서포트 암(162)을 회전시켜 제어패널(161)을 적절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제어패널(161) 또한 편리한 위치나 방향으로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 편의성이 보다 증대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풋 가이드 어셈블리(120)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인풋 가이드 어셈블리(120)의 정면 개략도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인풋 가이드 어셈블리(120)는 제1롤러가이드(1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롤러가이드(121)는 인풋 가이드 어셈블리(120) 전단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이와 같은 제1롤러가이드(121)는 인풋 가이드 어셈블리(120)의 우측단에 도시되고 있다.
제1롤러가이드(121)는 한 쌍의 제1롤러(121a)를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의 제1롤러(121a)는 가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1롤러(121a)는 상하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케이블은 한 쌍의 제1롤러(121a) 사이로 이송 안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한 쌍의 제1롤러(121a) 간 간격은 취급 가능한 케이블의 최대 직경보다 소정정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규격의 케이블이 취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제1롤러가이드(121)는 케이블의 상하 유동을 소정범위로 제한하여 이후의 단계에서 케이블이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롤러가이드(121)는 투입 위치에 따른 케이블의 급격한 꺾임을 방지함으로써, 공정 중 케이블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기능을 겸비할 수 있다.
인풋 가이드 어셈블리(120)는 제2롤러가이드(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롤러가이드(122)는 제1롤러가이드(121) 후방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이와 같은 제2롤러가이드(122)는 제1롤러가이드(121) 좌측에 인접하게 도시되고 있다.
제2롤러가이드(122)는 한 쌍의 제2롤러(122a)를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의 제2롤러(122a)는 상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2롤러(122a)는 좌우로 소정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케이블은 한 쌍의 제2롤러(122a) 사이로 이송 안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한 쌍의 제2롤러(122a) 간 간격은 취급 가능한 케이블의 최대 직경보다 소정정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제1롤러(121a)의 경우와 유사한 취지이다.
상기와 같은 제2롤러가이드(122)는 케이블의 좌우 유동을 소정범위로 제한하여 이후의 단계에서 케이블이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롤러가이드(122)는 투입 위치에 따른 케이블의 급격한 꺾임을 방지함으로써, 공정 중 케이블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기능을 겸비할 수 있다. 전술한 제1롤러가이드(121)의 경우, 케이블의 상하 유동이나 상하 위치에 따른 꺾임을 방지하는데 반해, 제2롤러가이드(122)는 케이블의 좌우 유동이나 좌우 위치에 따른 꺾임을 방지하는 점에서 기능상 일부 차이점을 가진다.
인풋 가이드 어셈블리(120)는 제1롤러스테이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롤러스테이지(123)는 제2롤러가이드(122) 후방에 배치되어 케이블이 이송되는 이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이와 같은 제1롤러스테이지(123)는 제2롤러가이드(122)의 좌측 하부에 도시되고 있다.
제1롤러스테이지(123)는 하나 이상의 제1하부롤러(123a)를 구비할 수 있다. 제1하부롤러(213a)는 가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1롤러스테이지(123)로 이송되는 케이블은 제1하부롤러(123a) 위에 안착 지지되어 이송 안내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1하부롤러(123a)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제1하부롤러(123a)는 제1롤러스테이지(123)에 전후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제1하부롤러(123a)가 전후로 이격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인풋 가이드 어셈블리(120)는 검침롤러(124)를 포함할 수 있다.
검침롤러(124)는 제1롤러스테이지(12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침롤러(124)가 2개의 제1하부롤러(123a) 사이에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검침롤러(124)는 가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으며, 제1하부롤러(123a)와 대응되는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검침롤러(124)는 제1하부롤러(123a)와 함께 케이블이 이송되는 이송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단의 위치가 제1하부롤러(123a) 상단의 위치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검침롤러(124)는 케이블의 이송에 따라 피동적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이송된 케이블의 길이가 측정될 수 있다. 즉, 케이블의 이송에 따라 검침롤러(124)가 회전되면, 그 회전수 또는 회전각도를 검출하여 케이블의 길이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검침롤러(124)는 엔코더 등의 회전검출수단과 연결될 수 있다. 회전검출수단은 검침롤러(124)의 회전수 또는 회전각도를 통해 케이블의 길이를 측정하고, 이를 제어부로 제공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는 본 실시예의 작동과 관련하여 좀 더 부연키로 한다.
인풋 가이드 어셈블리(120)는 압박롤러(125)를 포함할 수 있다.
압박롤러(125)는 제1롤러스테이지(123)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압박롤러(125)는 가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도 2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압박롤러(125)의 외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서 오목하게 인입된 고정홈(125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케이블이 고정홈(125a) 내에 압박 고정되어 후방으로 이송됨으로써, 이송 중 케이블의 유동이 방지되고, 케이블의 길이 측정 또한 보다 정확하게 이뤄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압박롤러(125)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압박롤러(125)는 전후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복수의 압박롤러(125)가 보다 넓은 면적에 걸쳐 케이블을 제1롤러스테이지(123)에 압박 고정하게 되므로, 보다 안정적인 케이블의 지지 및 이송 안내가 가능하게 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압박롤러(125)는 제1롤러스테이지(123)에 배치된 제1하부롤러(123a) 및 검침롤러(124)에 대응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의 경우, 제1롤러스테이지(123)에 배치된 2개의 제1하부롤러(123a)와 1개의 검침롤러(124)에 대응되도록, 상측에 3개의 압박롤러(125)가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각 압박롤러(125)는 각각의 제1하부롤러(123a) 또는 검침롤러(124)와의 사이에서 케이블을 압박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압박롤러(125)는 제1롤러스테이지(123)로 이송되는 케이블을 상부에서 압박하여 케이블의 이송에 따라 검침롤러(124)가 함께 회전되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압박롤러(125)는 케이블을 검침롤러(124) 외면에 밀착시켜 케이블 이송에 따라 검침롤러(124)가 피동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며, 케이블과 검침롤러(124) 간 슬립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검침롤러(124)에 의한 길이 측정이 보다 정확하게 이뤄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위해 압박롤러(125)는 제1롤러스테이지(123)에 대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압박롤러(125)가 장착된 롤러브라켓(126a)을 후술할 제1액츄에이터(126)에 의해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참고로, 도 2 및 3의 경우, 압박롤러(125)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케이블이 압박 해제된 상태(즉, 초기상태)를 도시하고 있음을 알려둔다. 압박롤러(125)는 도시된 상태에서 하부로 이동되어 케이블을 제1롤러스테이지(123) 또는 검침롤러(124)에 밀착시키게 된다.
인풋 가이드 어셈블리(120)는 제1액츄에이터(1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액츄에이터(126)는 압박롤러(125)와 연결되어 압박롤러(125)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압박롤러(125)는 롤러브라켓(126a)을 통해 장착 지지될 수 있으며, 제1액츄에이터(126)는 이러한 롤러브라켓(126a)에 설치되어 롤러브라켓(126a)을 상하 이동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경우 필요에 따라, 롤러브라켓(126a)은 상하로 연장된 가이드바(126b)를 통해 이동 안내될 수 있다. 다만, 제1액츄에이터(126)는 압박롤러(125)를 상하 이동시킬 수 구조로 압박롤러(125)에 연결 설치되면 무방하며, 반드시 예시된 구조에 한정되어 적용 가능한 것은 아니다.
또한, 제1액츄에이터(126)는 공지된 유, 공압 실린더 또는 전기 실린더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특별히 그 종류나 구동원에 제한되지 않는다.
필요에 따라, 인풋 가이드 어셈블리(120)는 쇼크업소버(127)를 포함할 수 있다.
쇼크업소버(127)는 제1액츄에이터(126) 하측에 이격 배치되어 롤러브라켓(126a)의 하부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액츄에이터(126)에 의한 롤러브라켓(126a)의 하강시 쇼크업소버(127)는 롤러브라켓(126a) 하부면에 접촉되어 완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쇼크업소버(127)는 압박롤러(125)와 케이블 간의 접촉이 부드럽게 이뤄질 수 있도록 하여 압박롤러(125)에 의한 케이블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액츄에이터(126)가 롤러브라켓(126a) 및 압박롤러(125)를 소정거리 하강시키게 되면, 롤러브라켓(126a) 하부면이 쇼크업소버(127)에 접촉되면서 압박롤러(125)의 하강속도가 서서히 줄어들게 되며, 이로 인해 압박롤러(125)는 케이블 외면에 부드럽게 접촉되면서 케이블을 압박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쇼크업소버(127)의 높이는 압박롤러(125)과 케이블의 접촉이 시작되는 위치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인풋 가이드 어셈블리(120)는 제3롤러가이드(128)를 포함할 수 있다.
제3롤러가이드(128)는 제1롤러스테이지(123)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3롤러가이드(128)는 전술한 제2롤러가이드(122)와 대응되며 제2롤러가이드(122)로부터 후방으로 소정간격 이격 배치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이와 같은 제3롤러가이드(128)는 인풋 가이드 어셈블리(120)의 좌측단에 도시되고 있다.
제3롤러가이드(128)는 제2롤러가이드(122)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롤러가이드(128)는 한 쌍의 제3롤러(128a)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각 제3롤러(128a)는 상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한 쌍의 제3롤러(128a)는 좌우로 소정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그 사이로 케이블이 이송 안내될 수 있다. 제3롤러가이드(128)는 제2롤러가이드(122)와 유사하게 케이블의 좌우 유동이나 꺾임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송 어셈블리(130)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송 어셈블리(130)는 하부 이송벨트(131)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이송벨트(131)는 전술한 제3롤러가이드(128) 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전후로 소정길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전후로 연장된 하부 이송벨트(131)는 케이블의 길이방향으로 접촉되어 케이블을 당기거나 밀게 되므로, 케이블에 보다 효과적으로 이송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인풋 가이드 어셈블리(120)를 거친 케이블은 상기와 같은 하부 이송벨트(131) 위에 안착 지지되어 이송되게 된다.
후술할 바와 같이 하부 이송벨트(131)는 케이블 외면에 밀착 접촉되어 케이블을 당기거나 밀어 내게 되며, 이를 통해 케이블에 이송력을 부여하게 된다. 따라서 케이블이 접촉되는 하부 이송벨트(131)의 외면은 일부 또는 전부가 마찰력이 큰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하부 이송벨트(131)는 외면의 일부 또는 전부에 고무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상부 이송벨트(132) 또한 마찬가지이다.
이송 어셈블리(130)는 상부 이송벨트(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이송벨트(132)는 하부 이송벨트(131)에 대응되도록 하부 이송벨트(131)의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부 이송벨트(132)는 하부 이송벨트(131)와 유사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후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케이블 외면에 밀착 접촉될 수 있다. 단, 상부 이송벨트(132)는 하부 이송벨트(131)와 반대로 케이블 상측에 밀착 접촉되게 된다.
상부 이송벨트(132)는 케이블과의 밀착 접촉을 위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부 이송벨트(132)는 하부 이송벨트(131)에 대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하부 이송벨트(131)로부터 이격되거나 하부 이송벨트(131)로 접근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부 이송벨트(132)는 하부 이송벨트(131) 위에 놓여진 케이블을 소정정도 압박하게 되어 케이블이 상, 하부 이송벨트(131) 사이에 밀착 접촉되게 된다.
이송 어셈블리(130)는 제2액츄에이터(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액츄에이터(133)는 상부 이송벨트(132)에 연결되어 상부 이송벨트(132)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이송 어셈블리(130)는 상, 하부 이송벨트(131)가 근접되어 사이에 케이블이 밀착 접촉되는 상태 및, 상, 하부 이송벨트(131)가 이격되어 케이블이 투입 가능한 상태로 동작될 수 있다. 초기 셋팅시 케이블은 후자의 상태에서 상, 하부 이송벨트(131)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후 제2액츄에이터(133)에 의해 상부 이송벨트(132)가 하강되어 상, 하부 이송벨트(131) 사이에 케이블이 밀착 접촉될 수 있다.
제2액츄에이터(133)는 공지된 유, 공압 실린더 또는 전기 실린더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특별히 그 종류나 구동원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어셈블리(130)는 구동모터(134)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134)는 벨트, 기어 등의 동력전달수단을 통해 상, 하부 이송벨트(131)와 연결되어 상, 하부 이송벨트(131)를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상, 하부 이송벨트(131)가 회전 구동됨으로 인해, 케이블이 길이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부 이송벨트(132)가 하강되어 상, 하부 이송벨트(131) 사이에 케이블이 밀착 접촉된 상태에서 구동모터(134)가 구동되면, 상, 하부 이송벨트(131)가 회전되어 케이블을 밀어주게 되며, 이로 인해 케이블이 이송력을 제공받아 길이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 하부 이송벨트(131)가 케이블에 밀착 접촉된 상태에서 상, 하부 이송벨트(131)를 회전시켜 케이블을 이송하는 방식은, 이송 중 케이블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즉, 일반적인 경우, 윈치 등의 수단을 통해 케이블 일단을 당겨주는 방식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케이블에 과도한 장력이 작용되어 단선이 발생될 우려가 있게 된다. 반면, 본 실시예의 경우, 2개의 이송벨트(131, 132)가 케이블 외면에 밀착되어 밀어주는 방식으로 케이블을 이송하기 때문에, 이송벨트(131, 132)가 접촉된 면적에 걸쳐 케이블에 가해지는 외력이 분산되게 되며, 따라서 케이블의 특정 부위에 외력이 집중되거나 단선 등의 케이블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식은 케이블 직경이 작은 일종의 세선 케이블에도 적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부연하면, 세선 케이블의 경우 중선 또는 태선 케이블로 지칭되는 직경이 큰 케이블에 비해 직진성이 낮고 쉽게 단선이 발생되기 때문에, 이송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이송 어셈블리(130)는 2개의 이송벨트(131, 132)가 케이블을 눌러 이송하기 때문에 세선 케이블의 경우라도 직선 형태를 유지하며 이송이 가능한 한편, 길이방향을 따라 밀어주는 방식으로 단선 등의 케이블 손상 또한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아웃풋 가이드 어셈블리(140)의 측면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아웃풋 가이드 어셈블리(140)의 정면 개략도이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아웃풋 가이드 어셈블리(140)는 제1원뿔형가이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원뿔형가이드(141)는 전술한 이송 어셈블리(130) 후방에 배치되어 상, 하부 이송벨트(131) 사이로 나오는 케이블을 이송 안내할 수 있다.
제1원뿔형가이드(141)는 좌우로 배치된 한 쌍의 제1원뿔형롤러(141a)를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의 제1원뿔형롤러(141a)는 상단을 향해 뾰족한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경사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1원뿔형롤러(141a)는 좌우로 이격 배치되되 상단이 서로 접촉 또는 근접되도록 상호 대응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한 쌍의 제1원뿔형롤러(141a)는 각 경사 축의 상단이 서로 교차되도록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케이블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원뿔형롤러(141a)가 접촉된 상단 아래의 공간으로 이송 안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원뿔형가이드(141)는 케이블의 좌우를 접촉 지지하는 한편, 케이블의 상측에도 접촉되어 이송 중 케이블의 상하 및 좌우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제1원뿔형가이드(141)는 각각 원뿔 형태로 형성된 한 쌍의 제1원뿔형롤러(141a)가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하나의 간소화된 구조만으로 케이블의 상하 및 좌우 유동을 잡아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원뿔형가이드(141)는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원뿔형가이드(14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브라켓(141b)을 통해 장착 지지될 수 있으며, 가이드 브라켓(141b)을 상하로 연장된 가이드바(141c)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브라켓(141b)은 상하로 연장된 스크류(141d)에 나합될 수 있으며, 스크류(141d)는 기어 구조를 통해 연결된 손잡이(141e)에 의해 회전 구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가 손잡이(141e)를 회전시키면, 스크류(141d)가 상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에 나합된 가이드 브라켓(141b)이 상하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다만, 제1원뿔형가이드(141)이 상하 이동 구조는 공지된 다양한 방식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상기 예시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상하 이동되는 제1원뿔형가이드(141)는 케이블을 적절히 눌러 지지함으로써, 이송 중 케이블의 유동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케이블의 규격에 따라 제1원뿔형가이드(141)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고, 한 쌍의 제1원뿔형롤러(141a)가 케이블 상측을 적당한 정도로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의 유동이 보다 확실하게 방지된 상태에서 케이블의 이송이 이뤄질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이와 같은 케이블의 유동 방지는 제1원뿔형가이드(141) 후단에서 케이블 피복에 마킹이 이뤄짐을 고려한 것이다.
필요에 따라, 제1원뿔형가이드(141)에는 제1원뿔형롤러(141a)가 한 쌍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쌍의 제1원뿔형롤러(141a)는 전후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쌍의 제1원뿔형롤러(141a)가 전후로 이격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아웃풋 가이드 어셈블리(140)는 제2롤러스테이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롤러스테이지(142)는 제1원뿔형가이드(141) 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케이블이 안착 이송되는 하나 이상의 제2하부롤러(142a)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제2하부롤러(142a)가 전후로 이격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아웃풋 가이드 어셈블리(140)는 마킹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마킹모듈(143)은 제2롤러스테이지(142)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마킹모듈(143)은 제2롤러스테이지(142)로 이송된 케이블의 피복에 소정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마킹모듈(143)의 해당 케이블의 규격이나 종류에 관한 정보, 해당 케이블의 설치에 필요한 정보 등을 피복에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마킹모듈(143)은 종래 공지된 케이블용 마킹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의 경우, 케이블이 제2롤러스테이지(142) 전후의 제1, 2원뿔형가이드(141, 145)에 의해 견고하게 유동 방지된 상태에서 마킹이 이뤄지게 되므로, 마킹모듈(143)에 의한 마킹 품질이 종래 대비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필요에 따라, 아웃풋 가이드 어셈블리(140)는 블로워(144)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로워(144)는 마킹모듈(143) 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원뿔형가이드(141) 전단에 배치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단, 블로워(144)의 위치는 마킹모듈(143) 전방에 배치되면 무방하며, 반드시 상기 예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블로워(144)는 이송되는 케이블 상측에 배치되어 케이블 외면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이송 중 케이블 외면에 들어붙는 먼지나 이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특히, 블로워(144)는 마킹모듈(143) 전단계에서 케이블 외면의 이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이물질로 인한 마킹 품질의 저하를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아웃풋 가이드 어셈블리(140)는 제2원뿔형가이드(1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원뿔형가이드(145)는 전술한 제1원뿔형가이드(141)에 대응되는 것으로, 제2롤러스테이지(142)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2원뿔형가이드(141, 145) 사이에 제2롤러스테이지(142)가 배치된 형태이다.
제2원뿔형가이드(145)는 전술한 제1원뿔형가이드(141)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원뿔형가이드(145)는 경사지게 배치된 한 쌍의 제2원뿔형롤러(145a)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케이블의 상하, 좌우 유동을 잡아주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컷터 어셈블리(150)의 정면 개략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컷터 어셈블리(150)는 상하로 이동되는 컷터(151)와 컷터(151)를 구동하는 제3액츄에이터(152, 도 1 참조)를 구비하고, 이송된 케이블을 절단할 수 있다.
컷터 어셈블리(150)는 기 설정된 길이에 따라 케이블을 절단하여 케이블 절편으로 가공할 수 있다. 즉, 전술한 검침롤러(124)에 의해 측정된 케이블 길이가 기 설정된 길이에 다다르면, 이송 어셈블리(130)의 구동이 일시 중단되고, 컷터(151)가 하강하여 케이블이 절단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케이블 컷팅 머신(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먼저 가공을 위한 케이블이 케이블 컷팅 머신(100)에 초기 셋팅된다. 통상, 케이블은 케이블 드림에 권취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권취된 케이블의 일단을 케이블 컷팅 머신(100)에 집어넣어 설치하게 된다. 다만, 이 경우 케이블 드럼은 케이블이 권출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면 무방하며, 케이블 권출을 위해 별도의 구동수단이 요구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의 케이블 컷팅 머신(100)은 자체에 구비된 이송 어셈블리(130)를 통해 케이블을 권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케이블이 초기 셋팅되면, 인풋 가이드 어셈블리(120)의
압박롤러(125)가 하강되어 설치된 케이블을 제1롤러스테이지(123)에 밀착시키며, 상부 이송벨트(132) 또한 하강되어 하부 이송벨트(131)와의 사이에 케이블이 밀착 지지되게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사용자는 절단하고자 하는 케이블의 길이를 입력하고, 케이블 규격에 따라 제1, 2원뿔형가이드(141, 145) 등을 적절히 위치 조정할 수 있다.
가공에 필요한 준비와 완료되면, 상, 하부 이송벨트(131)가 회전 구동되어 케이블이 이송된다. 케이블의 이송 과정에서 인풋, 아웃풋 가이드 어셈블리(140)는 케이블의 이송을 안내하게 되며, 검침롤러(124)에 의해 케이블의 길이가 측정된다. 또한, 측정된 길이가 기 설정된 길이에 도달되면, 상, 하부 이송벨트(131)가 정지되고, 컷터 어셈블리(150)에 의해 케이블이 절단될 수 있다. 마킹모듈(143)이 구비된 경우, 케이블의 피복에 필요한 정보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절단된 케이블 절편은 사용자에 의해 인출될 수 있으며, 이후에는 상기의 과정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며 케이블 컷팅 공정이 이뤄지게 된다.
이때, 필요에 따라 본 실시예의 케이블 컷팅 머신(100)은 케이블을 전진 또는 후진 이송시킬 수 있다. 예컨대, 케이블 절단 이후 소정위치에 마킹이 요구되거나, 작동상 오류로 케이블의 위치를 복귀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본 실시예의 케이블 컷팅 머신(100)은 케이블을 투입방향인 전방으로 다시 이송시킬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작동은 상, 하부 이송벨트(131)의 회전방향을 반대로 변경하여 간단하게 이뤄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케이블이 상, 하부 이송벨트(131) 사이에 압착되어 밀려 이송되기 때문에, 간단히 회전방향을 변경하여 반대방향의 이송이 가능한 것이다. 종래 일반적인 경우, 케이블은 한 쪽 방향으로만 이송이 가능하며, 이와 같은 양 방향 이송에는 어려움이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의 케이블 컷팅 머신(100)을 이용한 케이블 컷팅 공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컷팅 공정은, 케이블이 권취된 케이블 드럼을 준비하는 단계, 케이블을 전술한 케이블 컷팅 머신(100)에 설치하는 단계 및, 케이블 컷팅 머신(100)을 통해 케이블을 컷팅하여 케이블 절편을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 케이블의 설치나 컷팅 과정은 전술한 케이블 컷팅 머신(100)을 통해 설명한 바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케이블 컷팅 머신(100)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컷팅 공정은, 원자재로 공급되는 케이블을 자동화된 방식을 통해 소정길이로 절단 가공할 수 있어 작업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케이블 컷팅 머신(100)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컷팅 공정은, 상, 하부 이송벨트(131) 사이에 케이블이 압착되어 이송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단선 등 케이블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비교적 직경이 작은 세선 케이블의 경우에도 적절히 사용 가능한 이점이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케이블 컷팅 머신 110: 베이스 프레임
120: 인풋 가이드 어셈블리 130: 이송 어셈블리
140: 아웃풋 가이드 어셈블리 150: 컷터 어셈블리
160: 제어패널 어셈블리

Claims (5)

  1. 베이스 프레임(110);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 전단에 배치되는 인풋 가이드 어셈블리(120);
    상기 인풋 가이드 어셈블리(120) 후방에 배치되는 이송 어셈블리(130);
    상기 이송 어셈블리(130) 후방에 배치되는 아웃풋 가이드 어셈블리(140); 및
    상기 아웃풋 가이드 어셈블리(140) 후방에 배치되는 컷터 어셈블리(150);를 포함하되,
    상기 인풋 가이드 어셈블리(120)는,
    케이블이 이송되는 제1롤러스테이지(123) 상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의 이송에 따라 피동적으로 회전되며, 엔코더와 연결되어 회전수 및 회전각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측정되는 검침롤러(124);
    상기 검침롤러(124) 상측에 배치되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하강 동작되어 상기 케이블을 상기 검침롤러(124) 외면에 밀착시키는 압박롤러(125);
    상기 압박롤러(125)가 장착 지지된 롤러브라켓(126a)에 연결되어 상기 압박롤러(125)를 상하 이동시키는 제1액츄에이터(126); 및
    상기 롤러브라켓(126a) 하측에 이격 배치되어 상기 압박롤러(125)의 하강 동작시 상기 롤러브라켓(126a) 하부면에 접촉되는 쇼크업소버(127);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어셈블리(130)는,
    전후로 소정길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이 안착 지지되는 하부 이송벨트(131);
    상기 하부 이송벨트(131) 상측에 배치되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하강 동작되어 상기 케이블을 상기 하부 이송벨트(131) 외면에 밀착시키는 상부 이송벨트(132); 및
    상기 상, 하부 이송벨트(132, 131)를 회전 구동시켜 상기 상, 하부 이송벨트(132, 131) 사이에 밀착 접촉된 상기 케이블을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구동모터(134);를 포함하며,
    상기 아웃풋 가이드 어셈블리(140)는,
    상기 케이블이 이송되는 제2롤러스테이지(142);
    상기 제2롤러스테이지(142) 전방에 배치되는 제1원뿔형가이드(141);
    상기 제2롤러스테이지(142) 후방에 배치되는 제2원뿔형가이드(145);
    상기 제2롤러스테이지(142)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의 외면에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마킹모듈(143); 및
    상기 마킹모듈(143)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로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블로워(144);를 포함하고,
    상기 제1원뿔형가이드(141)는,
    좌우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제1원뿔형롤러(141a)를 구비하되, 상기 각 제1원뿔형롤러(141a)는 경사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단이 대응되는 다른 제1원뿔형롤러(141a)의 상단과 접촉 또는 근접되도록 비스듬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원뿔형가이드(145)는,
    좌우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제2원뿔형롤러(145a)를 구비하되, 상기 각 제2원뿔형롤러(145a)는 경사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단이 대응되는 다른 제2원뿔형롤러(145a)의 상단과 접촉 또는 근접되도록 비스듬하게 배치되는, 케이블 컷팅 머신.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의 케이블 컷팅 머신을 이용하여 케이블 드럼에 권취된 케이블을 소정 길이의 케이블 절편으로 절단하는, 케이블 컷팅 공정.
KR1020170047430A 2017-04-12 2017-04-12 케이블 컷팅 머신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컷팅 공정 Active KR101770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430A KR101770163B1 (ko) 2017-04-12 2017-04-12 케이블 컷팅 머신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컷팅 공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430A KR101770163B1 (ko) 2017-04-12 2017-04-12 케이블 컷팅 머신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컷팅 공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0163B1 true KR101770163B1 (ko) 2017-08-22

Family

ID=59757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430A Active KR101770163B1 (ko) 2017-04-12 2017-04-12 케이블 컷팅 머신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컷팅 공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016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8194A (ja) * 2001-08-06 2003-02-18 Tamura Electric Works Ltd ケーブル切断装置
KR100653370B1 (ko) * 2005-09-14 2006-12-01 주식회사 준마엔지니어링 케이블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8194A (ja) * 2001-08-06 2003-02-18 Tamura Electric Works Ltd ケーブル切断装置
KR100653370B1 (ko) * 2005-09-14 2006-12-01 주식회사 준마엔지니어링 케이블절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0256B2 (en) Continuous cable processing apparatus
JP2904440B2 (ja) 自動式ケーブル加工機械の中にケーブルを供給するための方法及びその実行のための装置
EP0514858B1 (en) Method for screening optical fiber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method
JP3278450B2 (ja) ケーブルを自動ケーブル処理装置内に供給するための装置
KR101976553B1 (ko) 와이어 하네스 테이핑 장치
KR101770163B1 (ko) 케이블 컷팅 머신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컷팅 공정
CN113716088B (zh) 一种全自动玻璃管铁丝捆扎机
FR2648736A1 (fr) Machine d'usinage par decharge electrique a rouleau de guidage de fil d'electrode
CN105541096B (zh) 基板加工装置
WO2013111322A1 (ja) ワイヤ放電加工機及びワイヤ電極除去装置
KR101824134B1 (ko) 태선 및 세선 겸용 케이블 포설장치
KR101607770B1 (ko) 와이어 소 및 와이어에 의한 워크의 절단 방법
EP3556228A1 (en) Machine and method for processing a web of material for the tobacco industry
CN215089878U (zh) 一种线缆生产用断线检测排线架
JP2019102531A (ja) 基板搬送装置および基板加工装置
CN210489305U (zh) 一种线束自动点缠设备及绞线机
EP0820944A1 (en) Wrapping material supply unit
CN105541093B (zh) 基板加工装置
KR101402664B1 (ko) 교정장치
CN120222111A (zh) 电线自动加工设备
JP5319181B2 (ja) 鉄筋加工装置
KR101865614B1 (ko) 자재 생산 설비 내에서의 자재 회전 장치
CN119141622A (zh) 一种绝缘套管拉管裁断装置及其使用方法
JP5689359B2 (ja) ラッピングマシン
JP6243873B2 (ja) 連続端子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704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5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8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8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